KR20030080201A - 개선된 접착형 섬유 및 부직 웨브 - Google Patents

개선된 접착형 섬유 및 부직 웨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0201A
KR20030080201A KR10-2003-0019489A KR20030019489A KR20030080201A KR 20030080201 A KR20030080201 A KR 20030080201A KR 20030019489 A KR20030019489 A KR 20030019489A KR 20030080201 A KR20030080201 A KR 20030080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lting point
web
point portion
polyolefin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9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6019B1 (ko
Inventor
피트만아이다엘.제이.
래튼폴엘.
린팅동
Original Assignee
아르테바 테크놀러지즈 에스에이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804425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3008020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아르테바 테크놀러지즈 에스에이알엘 filed Critical 아르테바 테크놀러지즈 에스에이알엘
Publication of KR20030080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0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6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60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2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c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1F6/3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c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rising olefins as the major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applying, incorporating or activating chemical or thermoplastic bonding agents, e.g. adhesives
    • D04H1/6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applying, incorporating or activating chemical or thermoplastic bonding agents, e.g. adhesives the bonding agent being applied in dry state, e.g. thermo-activatable agents in solid or molten state, and heat being applied subsequently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44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D01F6/46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of polyolefi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06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olefin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yarns or filaments produced by wel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22Nonlinear [e.g., crimped, coiled, etc.]
    • Y10T428/2924Composi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29Bicomponent, conjugate, composite or collateral fibers or filaments [i.e., coextruded sheath-core or side-by-side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29Bicomponent, conjugate, composite or collateral fibers or filaments [i.e., coextruded sheath-core or side-by-side type]
    • Y10T428/2931Fibers or filaments nonconcentric [e.g., side-by-side or eccentric,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탈로센 촉매화된 폴리에틸렌(mPE) 및 접착 조촉매를 함유하는 접착형 섬유를 포함한다. 접착형 섬유 및 흡수재를 포함하는 웨브(web) 또한 고찰된다. 본 발명은 또한 폴리올레핀, 접착 조촉매, 및 증진제를 함유하는 접착형 섬유를 포함한다. 폴리올레핀은 폴리프로필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초 저밀도 폴리에틸렌일 수 있고, 이는 찌글러-나타(Ziegler-Natta) 또는 메탈로센 촉매로 제조된 것이다. 이러한 접착형 섬유 및 흡수재를 포함하는 웨브 또한 고찰된다. 접착 조촉매는 말레산 무수물 접목 폴리올레핀, 또는 에틸렌-아크릴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배합물일 수 있다. 증진제는 하나 이상의 티타늄 이산화물, 활석, 실리카, 명반, 탄산 칼슘, 산화 칼슘, 및 산화 마그네슘일 수 있다.

Description

개선된 접착형 섬유 및 부직 웨브{IMPROVED BINDER FIBER AND NONWOVEN WEB}
본 발명은 특히 약 140℃ 미만의 온도에서 흡수재 물질에 의해 개선된 접착성을 갖는 접착형 섬유에 관한 것이다. 접착형 섬유는 저융점 섬유 또는 이성분 섬유의 형태일 수 있다. 이들 섬유(또는 이들 섬유의 혼합물)를 흡수재 물질과 함께 사용하여 부직 웨브를 제조할 수 있다. 개선된 접착형 섬유는 현재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개선된 접착성 섬유와 비교하여 140℃ 미만의 온도에서 개선된 접착성을 가진다. 이러한 섬유는 사용자가 더 빠른 처리량으로 이상적인 열접착을 이룰 수 있게 해주고, 더 높은 기본 중량의 웨브를 위한 z-방향 웨브 강도(두께)를 증가시키고, 열접착 효율성은 보유하면서, 이전에는 사용할 수 없었던 부가의 감열성 원료의 혼입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접착형 섬유로 제조된 웨브는 기저귀, 요실금 패드, 생리대 및 액체에 대한 타 흡수 패드에 유용하다.
일회용 기저귀와 같은 일회용 흡수 물품 형태의 부직 웨브는 특히 시장에서많은 성공을 거둬왔다. 그러나, 이들 제품을 개선하려는 요구가 항상 존재했고 제품으로 제조, 가공하는 동안 및 사용하는 동안 이들이 분리되지 않게 하는 접착성에 있어서 특히 그러했다. 본 발명 이전에는, 목재 펄프(및 임의적으로는 25 중량%까지의 초 흡수 중합체, SAP), 및 이성분 섬유 또는 저융점 중합체 섬유와 같은 접착제로부터 부직 웨브를 제조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었다. 이들 현존하는 조성물은 약 10 중량%의 접착제 및 약 80 내지 90 중량%의 목재 펄프(및 임의적으로는 SAP)를 함유했다.
이들 부직 웨브는 먼저 목재 펄프(및 임의적으로는 SAP)와 접착제를 혼합하여 제조했다. 이어서 이 조성물을 가열 지역에 도입하여, 중합체의 저융점 물질, 또는 이성분 섬유의 저융점 물질을 융해시켜서 대부분의 목재 펄프 섬유(및 임의적으로는 SAP)의 적어도 일부분을 코팅시켰다. 이어서 조성물을 저융점 접착형 물질을 응고시키는 냉각 지역에 도입하여 목재 펄프(및 임의적으로는 SAP)를 단일 웨브 구조로 접착시켰다.
임의적으로는, 타 합성 섬유나 또는 천연 섬유와 같은 타 섬유를 도입하여 저밀도, 고 로프트성(high loft), 내압축성, 및 유동체 흡수율과 같은 타 목적하는 특징을 획득할 수 있다.
참조로 인용한 미국 특허 제 4,950,541호 및 미국 특허 제 5,372,885호 둘다에서 테이버(Tabor) 등은, 말레산 또는 말레산 무수물 접목 폴리에틸렌의 사용을 개시한다. 이들 섬유는 본 발명이 개선시키거나 또는 개선물인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통상적인 섬유이다.
미국 특허 제 5,981,410호에서 한센(Hansen) 등은 펄프 섬유 또는 면 섬유와 같은 셀룰로오스 섬유와 혼합하여 예를 들면 일회용 기저귀에 유용한 부직 웨브를 제조하기 위한 이성분 섬유를 개시한다.
미국 특허 제 5,994,244호에서 후지와라(Fujiwara) 등은 타 물품들 중에서도 일회용 기저귀를 생산하는 데 유용한 플러프 펄프와 같은 셀룰로오스 유형 섬유 및 저융점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 웨브를 개시한다. 또한 이 특허는 에틸렌-아크릴 에스테르-말레산 무수물이 외장된 이성분 스펀본드(spunbond) 필라멘트에 대한 무기성 입자(예를 들면, TiO2)의 첨가를 개시한다. 이 입자는 방적 동안 필라멘트의 접착성을 감소시키고 더 균일한 웨브를 부여한다.
미국 특허 제 5,126,201호에서 쉬바(Shiba) 등은 이성분 접착형 섬유의 중심부 및 외장 둘다에 TiO2를 첨가하여 부직 웨브의 커팅(cutting) 효율성을 개선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중심부 내 TiO2분량은 >1.5%이고, 외장 내 TiO2는 접착성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외장에는 TiO2가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본 특허 JP 02-169718에서 마츠오(Matsuo) 등은 폴리올레핀 외장/폴리에스테르 중심부의 이성분 섬유를 개시하는데, 무기 입자(바람직하게는 TiO2) 0.3-10%를 함유하는 외장은 웨브의 부드러움 및 불투명성을 더 낫게 해준다. 이 특허는 무기 입자의 첨가가 부직 웨브 강도를 감소시킴을 교시한다.
테이버 특허에서 개선된 접착 강도와 관련된 부직 웨브를 제공하는 개선에도 불구하고, 부직 웨브의 접착성을 개선하려는 요구가 여전히 존재하며, 더 낮은 가공 온도를 사용할 때 특히 그러하다. 또한, 열접착 효율성에 영향을 주지 않고도 처리량 및 생산성을 증가시키려는 요구가 있다. 또한 더 높은 중량을 갖는 더 두꺼운 웨브의 z-방향 웨브 강도(두께)를 증가시키려는 요구도 있다. 끝으로, 열접착 효율성은 보유하면서 가공 온도는 낮춤으로써 부가의 감열성 원료, 즉 항균제, 탈취제, 및 방향제 등을 부직 웨브 생산에 사용하려는 당업계의 요구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접착형 섬유와 비교한 본 발명의 접착형 섬유의 접착 온도의 함수로써 결합 지수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테이버 등의 참조문헌에서 개시한 접착형 섬유를 사용하는 현존의 부직 웨브 제품을 능가하는 개선물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접착형 섬유를 사용함으로써 부직 웨브의 접착성을 개선한다. 본 발명의 접착형 섬유는 더 낮은 열접착 온도를 갖기 때문에 오븐을 작동 온도에서 유지시키고 오븐을 통과하는 웨브의 선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처리량 또는 생성물을 증가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부가의 감열성 원료를 열접착 효율성에 영향을 주지 않고도 웨브에 혼입시킬 수 있으므로 가공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끝으로, 본 발명의 접착형 섬유가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보다 낮은 융점을 갖기 때문에, 오븐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고 생성물 선속도를 늦추지 않고도 본 발명의 접착형 섬유를 사용함으로써 더 두꺼운 웨브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착형 섬유는 저융점 섬유, 이성분 섬유, 또는 둘다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이성분 섬유의 저융점 부분은 저융점 섬유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한다. 저융점 섬유 및 이성분 섬유의 저융점 부분은 폴리올레핀으로부터 제조되고 "베이스 폴리올레핀"으로 일컬어진다. 베이스 폴리올레핀은 이성분 섬유의 고융점 성분 안에 어떠한 폴리올레핀도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접착형 섬유는 이성분 섬유이다.
가장 넓은 의미로, 본 발명은 메탈로센 촉매화된 폴리에틸렌(mPE) 및 접착 조촉매를 함유하는 접착형 섬유를 포함한다. 접착 조촉매는 말레산 또는 말레산 무수물 접목 폴리올레핀, 또는 에틸렌-아크릴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배합물일 수 있다.
가장 넓은 의미로, 본 발명은 또한 베이스 폴리올레핀, 접착 조촉매, 및 증진제를 함유하는 접착형 섬유를 포함한다. 베이스 폴리올레핀은 찌글러-나타(Ziegler-Natta) 또는 메탈로센 촉매로 제조한 폴리프로필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초 저밀도 폴리에틸렌일 수 있다. 접착 조촉매는 말레산 무수물 접목 폴리올레핀, 또는 에틸렌-아크릴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배합물일 수 있다. 증진제는 하나 이상의 티타늄 이산화물, 활석, 실리카, 명반, 탄산 칼슘, 산화 칼슘, 및 산화 마그네슘일 수 있다.
가장 넓은 의미로,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접착형 섬유 및 흡수재로 만든 웨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접착형 섬유는 저융점 부분을 가지는데 이는 접착형 섬유의 100%가 저융점 섬유이거나, 또는 (이성분 섬유처럼) 섬유의 일부분이 저융점 부분인 것이다. 저융점 섬유 및 이성분 섬유의 저융점 부분은 폴리올레핀으로 제조되어 "베이스 폴리올레핀"으로 일컬어진다. 저융점 부분은 접착 조촉매와 메탈로센 촉매화된 선형 저밀도 폴리올레핀(mLLDPE)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착형 섬유는 또한 접착 조촉매 및 증진제를 수반한 베이스 폴리올레핀일 수 있다. 적당한 베이스 폴리올레핀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초 저밀도 폴리에틸렌(ULDPE), 폴리프로필렌(PP),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이들 제품은 당업자에게 잘 공지되어 있으며 모두 매우 다양한 제조사로부터 시판되어 입수 용이하다.
LLDPE 수지는 알파-올레핀 함량이 낮은 에틸렌 및 알파-올레핀의 공중합체이다. 알파-올레핀 함량이 높아질수록 수지의 밀도는 낮아진다. 메탈로센 촉매화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mLLDPE)은 상표명 EXCEED로 Exxon Mobil에서 생산되고 또한 상표명 "AFFINITY"로 Dow Chemical에서도 생산된다. 찌글러-나타(Ziegler-Natta) 촉매로 생산되는 LLDPE에 반해, mLLDPE는 좁은 분자량 분포 및 균일한 조성물 분포를 가진다. mLLDPE의 융점은 그들의 조성물에 따라 현저한 경향성을 보이며, 따라서 매우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파-올레핀 1½몰%를 함유하는 공중합체의 경우에는 120℃인 것부터 알파-올레핀 3.5 몰%를 함유하는 공중합체의 경우에는 110℃인 것까지이다. 반면에, LLDPE 수지는 비균일한 조성물 분포를 가진다. 이러한 혼합물의 융해는 매우 결정성인 적게 분지된 단편에 의해 좌우된다. 결과적으로 LLDPE 수지의 융점은 공중합체 조성물에 민감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125 내지 128℃의 범위가 된다.
본 발명에 적당한 접착 조촉매는 폴리올레핀에 접목되는 즉시 숙신산, 숙신산 무수물로 전환되는 말레산 또는 말레산 무수물(MAH)이 접목된 폴리올레핀일 수 있다. 바람직한 MAH 접목 혼입량은 10 중량%(적정에 의함)이다. 또한, 에틸렌-아크릴 공중합체, 및 이것과 상기 접목된 폴리올레핀과의 배합물이 접착 조촉매로 적합하다.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말레산 무수물 접목 폴리에틸렌으로는 Dow Chemical의 ASPUN 수지가 있다.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에틸렌-아크릴 공중합체로는 DuPont의 Bynel 2022, Bynel 21E533 및 Fusabond MC 190D 또는 Fusabond C, 및 ExxonMobil의 에스코(Escor)산 삼원공중합체가 있다. 에틸렌-아크릴 공중합체는 베이스 폴리올레핀의 중량에 기초하여 약 1 내지 약 20 중량%, 및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 중량%로 포함된다. 접목된 폴리올레핀 접착 조촉매의 분량은 혼입되는 말레산 또는 말레산 무수물의 중량을 약 0.05 중량% 내지 약 2 중량%, 및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5 중량%로 포함시키는 정도이다.
증진제는 임의의 티타늄 이산화물, 활석, 실리카, 명반, 탄산 칼슘, 산화 칼슘, 마그네슘 및 타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티타늄 이산화물이 바람직하다. 증진제는 베이스 폴리올레핀의 중량에 기초하여 약 0.1 내지 약 1 중량%의 분량으로 중합체에 사용된다. 중합체 내 양호한 분산 및 양호한 방적성을 획득하기 위한 입자 크기는 약 0.04 내지 약 5 마이크론 범위, 및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 마이크론 범위이다.
일단 접착 조촉매 및 임의의 증진제를 수반한 베이스 폴리올레핀이 바람직하게는 마스터 배취(master batch)를 베이스 폴리올레핀에 혼합함으로써 생성되면, 그것은 당업계에 공지된 것처럼 섬유로 용융 방적된다. 이성분 섬유가 접착형 섬유로 사용될 때, 고융점 부분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부틸렌과 같은 폴리올레핀 종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등과 같은 폴리에스테르 종류; 나일론 6, 나일론 66과 같은 폴리아미드 종류;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폴리아크릴레이트 종류; 뿐만 아니라 이들의 혼합물 및 공중합체 종류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성분 섬유는 나란한 형태 또는 외장-중심부 형태이지만 외장-중심부 형태가 바람직하고, 특히 여기서 저융점 성분이 외장이다. 이성분 섬유의 저융점 부분은 상기 이성분 섬유의 약 5 중량% 내지 약 7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이성분 섬유는 약 3 내지 75mm의 평균 길이를 가진다. 1에서 10 사이의 데니어를 갖는 이성분 섬유가 바람직한 접착형 성분이다.
잠시 타 성분은 무시하고, 적당한 이성분 섬유의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폴리에스테르(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일론 뿐 아니라 이들의 혼합물이다. 바람직하게는, mLLDPE/PET와 같은 폴리에틸렌/폴리에스테르 섬유, 또는 mLLDPE/PP와 같은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이 사용된다. 이성분 섬유의 저융점 부분 및 고융점 부분이 둘다 폴리올레핀을 함유할 때, 고융점 폴리올레핀은 저융점 폴리올레핀보다 적어도 5℃ 이상 높은 융점을 가져야 한다.
적절한 흡수재는 천연 또는 합성 흡수재이다. 합성 흡수재는 주로 초 흡수 중합체(SAP)로 알려져 있다. 흡수재는 웨브의 50-95 중량%를 포함한다. 천연 흡수재는 셀룰로오스 섬유, 목재 펄프 플러프, 면, 면 린터와 같은 친수성 물질, 및 레이온과 같은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목재 펄프 플러프가 바람직한데, 이는 값싸고 쉽게 이용할 수 있다.
흡수재는 그들의 일부분을 합성 섬유, 및 바람직하게는 복합체에 로프트성을 제공하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교체했을 때만큼 많은 체액을 흡수하지 못한다. 복합체에 로프트성을 제공하면 천연 흡수재의 더 많은 표면을 체액에 노출하게 되므로 그들은 체액 흡수에 있어서 훨씬 더 효과적이다.
천연 흡수재를 사용하는 흡수 패드는 모든 상황에 적절한 체액 흡수를 수행할 수 없을 수 있다. 또한 천연 흡수재는 매우 부피가 크다. 따라서, 많은 흡수 패드가 상대적으로 적은 분량으로 SAP를 사용한다. 이것은 SAP의 가격이 천연 흡수재의 가격보다 훨씬 비싸기 때문이다. 천연 흡수재의 일부를 SAP로 교체하면 패드의 전반적인 부피를 줄일 수 있고/거나 우수한 유동체 흡수를 수행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단어 "초 흡수 중합체" 또는 "SAP"는 수팽창성이고, 일반적으로 적어도 약 10배, 바람직하게는 약 20배, 및 더 바람직하게는 약 50배 또는 그 이상의 중량의 물을 흡수할 수 있는 비수용성 물질을 의미한다. 초 흡수 중합체는 아가, 펙틴, 및 구아르 검과 같은 천연 물질 뿐 아니라 합성 하이드로겔 중합체와 같은 합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는 유기 물질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합성 하이드로겔 중합체는 예를 들면,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폴리아크릴산의 알칼리 금속염,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비닐 알콜, 에틸렌 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폴리비닐 에테르,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모르폴리논, 비닐 술폰산의 중합체 및 공중합체,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비닐 피리딘 등을 포함한다. 적당한 타 중합체로는 가수분해된 아크릴로니트릴 접목 녹말, 아크릴산 접목 녹말, 및 이소부틸렌 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하이드로겔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약하게 가교결합되어 실질적으로 비수용성인 물질이 된다. 가교결합은 예를 들면, 방사선 조사에 의한 것이거나 또는 공유결합, 이온결합, 반 데르 발스(van der Walls)결합, 또는 수소결합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적당한 물질을 Dow Chemical Company, Allied Colloid, Inc., 및 Stockhausen, Inc.와 같은 다양한 상업적 판매자들로부터 이용할 수 있다. 초 흡수 중합체는 입자, 박편, 섬유, 막대, 필름의 형태 또는 임의의 수많은 기하학적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웨브는 건식 레이(dry laid) 또는 습식 레이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건식 레이 웨브는 에어레이(airlay), 소면, 가네팅(garneting), 또는 무작위 소면 공정으로 만든다. 에어레이 웨브는 섬유를 공기 흐름 속으로 도입하여, 섬유를 균일하게 혼합시키고 이어서 이들을 스크린 표면에 내려앉게 함으로써 제조된다. 소면 공정은 섬유를 수평 배열로 빗질하거나 정렬시킴으로서 실타래를 각각의 섬유로 분리한다. 가네팅 공정은 섬유를 빗질한다는 점에서 소면 공정과 비슷하다. 이후에 빗질된 섬유는 맞물려서 웨브를 형성한다. 복수개의 웨브가 오버래핑되어 목적하는 중량으로 구축된다. 무작위 소면 공정은 원심분리적 힘을 사용하여 섬유를 내던져서 무작위 배향의 섬유로 이루어진 웨브를 제조한다. 다시 복수층을 형성시켜 목적하는 웨브 중량을 수득할 수 있다. 습식 레이 웨브는 섬유를 수중에 현탁시켜, 스크린에 가만히 따른 다음, 건조시켜서 함께 접착시키는 변형된 제지 공정으로 제조한다.
섬유의 웨브는 가열 수단으로 접착시킬 수 있다. 열접착에는 오븐(열기형, 복사형 또는 마이크로파형), 또는 가열된 압연 로울, 또는 초음파 에너지를 이용한다. 이제 웨브는 흡수 패드의 성분으로 유용하도록 충분히 견고한 구조를 가진다.
흡수재를 접착형 섬유(베이스 폴리올레핀, 접착 조촉매, 및 증진제)와 혼합하여 접착형 섬유가 총 웨브의 약 5 내지 약 25%를 포함하도록 하고, 나머지는 실질적으로 흡수재가 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웨브 조성물은 이들의 중량이 약 20 내지 약 500g/㎡(gsm),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약 250gsm의 범위에 이를 때까지 적층될 수 있다.
접착형 섬유 또는 적당한 이성분 섬유가 흡수재와의 혼합물에 사용될 때, 저융점 중합체 섬유 또는 이성분 섬유의 저융점 부분을 융해시키기에 충분한 온도에서 작동 되는 오븐이 사용되어야 한다. 이어서 웨브를 냉각 조건 하에 두어 접착형 섬유를 응고시킴으로써 흡수재 섬유가 서로 구조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이후에, 웨브는 최종 용도에의 적용, 즉 창문 커튼, 치과용 턱받이, 안대, 기저귀, 요실금 패드, 생리대, 붕대, 공기 여과지, 액체 여과지 및 커튼, 침구 또는 베게와 같은 직물을 위해 다양한 길이와 넓이로 잘라질 수 있다.
하기 시험된 중합체의 융점은 헬륨 대기 안에서, ASTM D3418-97의 방법에 따라 측정한 것이다.
웨브의 습윤 및 건조 강도는 각각 TAPPI 시험 방법 T 456 om-87 및 T 494 om-88에 따라 측정했다. 습윤 강도는 15초의 침윤 뒤에 측정했다. 웨브 강도는 Instron 1122 시험 기계로 MD(종방향) 및 CD(횡방향) 둘 다에 대해 25.4×203.2mm 조각으로 시험했다. 시험은 304.8mm/분의 속도로 127mm의 본래 간격으로 진행되었다. 강도는 g/25mm의 단위로 보고했다.
접착 지수는 종방향 강도×횡방향 강도의 제곱근이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에서 다양한 이성분 섬유가 0.55IV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중심부 및 다양한 조성물 외장으로 제조되었다. 이성분 섬유는 LLDPE 또는 mLLDPE인 외장을 수반하는 50/50 중심부/외장을 포함했다. LLDPE는 ASPUN XU-61800.34(Dow 34)로써 Dow Chemical Company에서 입수했고, mLLDPE는 XU-58200.03(Dow 03)으로써 Dow Chemical Company에서 입수했다. Dow 03은 108℃의 융점을 가지고 Dow 34는 128℃의 융점을 가졌다. 마스터 배취 내 첨가제를 섬유 방적 전 외장 중합체와 혼합했다. 방적 및 드로잉 후에, 이성분 섬유를 6mm 길이로 잘랐다.
실시예 1
다양한 2.5 dpf 이성분 섬유를 표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조했다. 접착 조촉매는 ASPUN XU 60769.07(Dow 07)로써 Dow Chemical에서 입수한 말레산 무수물(MAH) 접목 폴리에틸렌이며 10% 수준으로 첨가하여 외장 내 0.1% 농도의 혼입된 MAH를 부여했다.
부직 웨브는 습식 레이 공정을 통해 이들 이성분 섬유로부터 제조되어 90g/㎡의 기본 중량이 부여되었다. 웨브는 이성분 섬유 20 중량% 및 목재 펄프 80 중량%를 포함했다. 사용된 펄프 유형은 Waco 416이었다.
웨브 샘플을 열기형 오븐에서 143℃ 또는 166℃로 30초 동안 접착시켰다. 접착 지수를 표 1에 나타냈다.
외장 접착 온도(℃) 접착 지수(g/25mm)
LLDPE 143 560
mLLDPE 143 962
LLDPE 166 707
mLLDPE 166 902
이는 접착 조촉매를 수반하는 mLLDPE 접착형 섬유가 이전 기술의 LLDPE 외장의 이성분 섬유보다 높은 웨브 강도를 가짐을 설명한다.
실시예 2
2 dpf 섬유를 실시예 1과 같이 준비했다. 웨브가 100gsm의 기본 중량으로 10%의 이성분 섬유를 함유하도록 준비되었다. 웨브를 30초 동안 건조기에서 115℃, 140℃ 및 165℃의 온도로 접착시켰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외장 접착 온도(℃) 접착 지수(g/25mm)
LLDPE 115 157
mLLDPE 115 376
LLDPE 140 437
mLLDPE 140 448
LLDPE 165 508
mLLDPE 165 444
이러한 자료는 도 1에 그래프화한 것으로서, 이전 기술의 LLDPE와 비교했을때 mLLDPE에 의해 넓은 접착 범위가 얻어짐을 입증한다.
실시예 3
실시예 2의 mLLDPE 이성분 섬유를 에어 레이 공정을 사용하여 웨브로 형성시켰다. 웨브는 12%의 이성분 섬유를 함유하고 250gsm의 기본 중량을 가진다. 열-테이프를 웨브의 상층과 바닥에 두었다. 이들은 웨브의 상층과 바닥이 접착용 오븐 내에서 겪어온 실제 웨브 온도를 가리켰다. 145℃ 및 165℃의 접착 고정 온도가 사용되었다. 고정 온도와 실제 웨브 온도의 차이가 표 3에 주어졌다.
접착 온도(℃) 상층 온도(℃) 바닥 온도(℃)
145 -9 -17
165 -9 -29
이는 둘 모두 더 낮고 더 넓은 접착 범위를 갖는 접착형 섬유의 값을 설명한다(도 1 참조). 웨브 전체 두께가 접착 조촉매를 수반하는 mLLDPE 섬유와 같은 넓은 접착 범위의 접착형 섬유의 사용으로 완전히 접착되어, 낮은 접착 온도에서 최적의 z-방향 강도를 부여한다.
실시예 4
실시예 2의 mLLDPE 이성분 섬유를 에어 레이 공정을 사용하여 웨브로 형성시켰다. 웨브는 12%의 이성분 섬유를 함유하고 175gsm의 기본 중량을 가진다. 또한 접착 조촉매 없이, 단지 mLLDPE 외장만 있는 이성분 섬유를 준비했다. 웨브는 155℃의 고정 온도에서 17초 동안 접착시켰다. 접착 지수를 표 4에 나타냈다.
외장 접착 지수, 건조(g/25mm) 접착 지수, 습윤(g/25mm)
mLLDPE 217 171
mLLDPE+0.1% MAH 1493 789
LLDPE+0.1% MAH 816 350
이는 접착 조촉매의 필요성 및 이전 기술과 비교하여 접착 조촉매를 함유한 mLLDPE 접착형 섬유의 우수한 접착 지수를 보여준다.
실시예 5
2dpf의 이성분 섬유를, 50% 외장 내에 TiO2를 0.7% 함유하도록 제조하고 증진제를 함유하지 않은 LLDPE 섬유와 비교했다. 모든 외장는 혼입된 MAH를 0.1 중량% 함유했다. 이들 이성분 섬유를 20% 수준으로 습식 레이 공정을 사용하여 85gsm 웨브로 형성시켜, 150℃의 오븐 고정 온도에서 50초 동안 접착시켰다. 이들 웨브의 접착 지수를 표 5에 나타냈다.
외장 접착 지수(g/25mm)
LLDPE 972
LLDPE+TiO2 1966
mLLDPE+TiO2 2070
이는 TiO2와 같은 무기 입자 증진제의 첨가로 인한 LLDPE 및 mLLDPE 두 접착형 섬유(접착 조촉매 함유)의 접착 지수의 놀랄만한 증가를 설명한다.
임의의 이론에 얽매이고 싶지는 않지만, 접착형 섬유 표면 상의 작은 무기 입자의 존재가 웨브 형성 공정 동안 섬유의 분산을 향상시킨다고 믿어진다. 이는 웨브를 통해서 섬유의 더 많은 균일한 분산 및 더 높은 접착 지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메탈로센 촉매화된 폴리에틸렌(mPE) 및 접착 조촉매를 함유하는 접착형 섬유; 이들로부터 제조된 웨브; 폴리에틸렌, 접착 조촉매, 및 증진제를 함유하는 접착형 섬유; 및 이들로부터 제조된 웨브가 상기한 목적, 목표, 및 이점을 완전하게 만족시킴을 증명하였음이 명백하다. 본 발명을 그것의 특정 양태와 관련하여 기술하였지만, 많은 대안, 변형, 및 변화가 상술한 바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 분명하다. 따라서, 이러한 모든 대안, 변형, 및 변화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의 취지 및 넓은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Claims (56)

  1. 메탈로센 촉매화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mLLDPE) 및 접착 조촉매를 포함하는 접착형 섬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조촉매가 말레산 또는 말레산 무수물 접목 폴리올레핀, 에틸렌-아크릴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배합물 종류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형 섬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목 폴리올레핀이 혼입된 말레산 또는 말레산 무수물을 상기 mLLDPE의 약 0.05 내지 약 2.0 중량%의 범위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형 섬유.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아크릴 공중합체가 상기 mLLDPE의 약 1 내지 약 20 중량%의 범위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형 섬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형 섬유가 저융점 섬유, 이성분 섬유, 또는 둘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형 섬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성분 섬유가 저융점 부분 및 고융점 부분을 갖는데, 상기 저융점 부분은 상기 mLLDPE이며, 상기 고융점 부분은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의 배합물 종류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형 섬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융점 부분이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형 섬유.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융점 부분이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형 섬유.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LLDPE가 ASTM D3418-97에 의해 측정했을 때 약 120℃ 미만의 융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형 섬유.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부분이 상기 이성분 섬유의 약 5 내지 약 7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형 섬유.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LLDPE가 상기 mLLDPE의 중량에 기초하여 약 0.1 내지 약 1 중량%의 증진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형 섬유.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증진제가 티타늄 이산화물, 활석, 실리카, 명반,탄산 칼슘, 산화 칼슘 및 산화 마그네슘의 종류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형 섬유.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증진제가 약 0.04 내지 약 5 마이크론 범위의 분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형 섬유.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형 섬유가 저융점 섬유, 이성분 섬유, 또는 둘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형 섬유.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성분 섬유가 저융점 부분 및 고융점 부분을 갖는데, 상기 저융점 부분은 상기 mLLDPE이며, 상기 고융점 부분은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의 배합물 종류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형 섬유.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융점 부분이 폴리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형 섬유.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융점 부분이 폴리올레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형 섬유.
  18. 베이스 폴리올레핀, 접착 조촉매, 및 증진제를 포함하는 접착형 섬유로서, 상기 베이스 폴리올레핀이 저융점 섬유, 이성분 섬유의 저융점 부분, 또는 둘다인 접착형 섬유.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폴리올레핀이 폴리프로필렌,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및 초 저밀도 폴리에틸렌(ULDPE) 종류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형 섬유.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폴리올레핀이 메탈로센 촉매화된 폴리올레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형 섬유.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증진제가 티타늄 이산화물, 활석, 실리카, 명반, 탄산 칼슘, 산화 칼슘, 및 산화 마그네슘의 종류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형 섬유.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조촉매가 말레산 또는 말레산 무수물 접목 폴리올레핀, 에틸렌-아크릴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배합물 종류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형 섬유.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접목 폴리올레핀이 혼입된 말레산 또는 말레산 무수물을 상기 베이스 폴리올레핀의 약 0.05 내지 약 2.0 중량% 범위로 함유하고, 상기 증진제를 상기 베이스 폴리올레핀에 기초하여 약 0.1 내지 약 1 중량% 범위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형 섬유.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폴리올레핀이 이 베이스 폴리올레핀의 중량에 기초하여, 상기 에틸렌-아크릴 공중합체 약 1 내지 약 20 중량%, 및 상기 증진제 약 0.1 내지 약 1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형 섬유.
  25.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이성분 섬유가 고융점 부분을 갖는데, 상기 저융점 부분은 상기 베이스 폴리올레핀이며, 상기 고융점 부분은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의 배합물 종류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형 섬유.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융점 부분이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형 섬유.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융점 부분이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형 섬유.
  28. 접착형 섬유 및 흡수재를 포함하는 웨브로서, 상기 접착형 섬유가 메탈로센 촉매화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mLLDPE) 및 접착 조촉매인 웨브.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조촉매가 말레산 또는 말레산 무수물 접목 폴리올레핀, 에틸렌-아크릴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배합물의 종류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접목 폴리올레핀이 혼입된 말레산 또는 말레산 무수물을 상기 mLLDPE의 약 0.05 내지 약 2.0 중량% 범위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아크릴 공중합체가 상기 mLLDPE의 약 1 내지 약 20 중량% 범위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
  32.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형 섬유가 저융점 섬유, 이성분 섬유, 또는 둘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성분 섬유가 저융점 부분 및 고융점 부분을 갖는데, 상기 저융점 부분은 상기 mLLDPE이며, 상기 고융점 부분은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의 배합물 종류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융점 부분이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
  35.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융점 부분이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
  36.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부분이 상기 이성분 섬유의 약 5 내지 약 7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
  37.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mLLDPE가 이 mLLDPE의 중량에 기초하여 약 0.1 내지 약 1 중량%의 증진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증진제가 티타늄 이산화물, 활석, 실리카, 명반, 탄산 칼슘, 산화 칼슘, 및 산화 마그네슘의 종류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
  39.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형 섬유가 저융점 섬유, 이성분 섬유, 또는 둘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이성분 섬유가 저융점 부분 및 고융점 부분을 갖는데, 상기 저융점 부분은 상기 mLLDPE이며, 상기 고융점 부분은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의 배합물 종류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융점 부분이 폴리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
  42.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융점 부분이 폴리올레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
  43.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재가 천연 흡수재, 초 흡수 중합체, 또는 둘다를 포함하고; 상기 흡수재가 상기 웨브의 약 75 내지 약 9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
  44.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가 약 120-160℃ 사이의 접착 온도에서 LLDPE로부터 제조된 웨브의 적어도 10%보다 큰 건조 접착 지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
  45. 접착형 섬유 및 흡수재를 포함하는 웨브로서, 상기 접착형 섬유는 베이스 폴리올레핀, 접착 조촉매, 및 증진제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폴리올레핀은 저융점 섬유, 이성분 섬유의 저융점 부분, 또는 둘다인 웨브.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폴리올레핀이 폴리프로필렌,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및 초 저밀도 폴리에틸렌(ULDPE) 종류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
  47.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폴리올레핀이 메탈로센 촉매화된 폴리올레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
  48.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증진제가 티타늄 이산화물, 활석, 실리카, 명반, 탄산 칼슘, 산화 칼슘, 및 산화 마그네슘 종류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
  49.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조촉매가 말레산 또는 말레산 무수물 접목 폴리올레핀, 에틸렌-아크릴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배합물 종류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
  50.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접목 폴리올레핀이 혼입된 말레산 또는 말레산 무수물을 상기 베이스 폴리올레핀의 약 0.05 내지 약 2.0 중량%의 범위로 함유하고, 상기 베이스 폴리올레핀에 기초하여 상기 증진제 약 0.1 내지 약 1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
  51.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폴리올레핀이 이 베이스 폴리올레핀의 중량에 기초하여, 상기 에틸렌-아크릴 공중합체 약 1 내지 약 20 중량%, 및 상기 증진제 약 0.1 내지 약 1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
  52.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재가 천연 흡수재, 초 흡수 중합체, 또는 둘다를 포함하고; 상기 흡수재가 상기 웨브의 약 75 내지 약 9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
  53.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부분이 상기 이성분 섬유의 약 5 내지 약 75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폴리올레핀, 상기 증진제, 및 상기 접착 조촉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
  54.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성분 섬유가 고융점 부분을 갖는데, 상기 저융점 부분은 상기 베이스 폴리올레핀이고, 상기 고융점 부분은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의 배합물 종류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
  55.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융점 부분이 폴리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
  56.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융점 부분이 폴리올레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
KR1020030019489A 2002-04-05 2003-03-28 개선된 접착형 섬유 및 부직 웨브 KR1009960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7016302P 2002-04-05 2002-04-05
US60/370,163 2002-04-05
US10/137,157 2002-05-02
US10/137,157 US6670035B2 (en) 2002-04-05 2002-05-02 Binder fiber and nonwoven web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0201A true KR20030080201A (ko) 2003-10-11
KR100996019B1 KR100996019B1 (ko) 2010-11-22

Family

ID=28044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9489A KR100996019B1 (ko) 2002-04-05 2003-03-28 개선된 접착형 섬유 및 부직 웨브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670035B2 (ko)
EP (1) EP1350869B1 (ko)
JP (1) JP2003306828A (ko)
KR (1) KR100996019B1 (ko)
CN (1) CN1255588C (ko)
BR (2) BR122013031657C8 (ko)
DE (1) DE60336952D1 (ko)
DK (1) DK1350869T3 (ko)
TW (1) TWI29937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937B1 (ko) * 2009-09-24 2012-05-17 디에스알 주식회사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여 중합한 폴리에틸렌을 이용하는 로프용 섬유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87102A1 (en) 1997-09-02 2003-10-02 Marshall Medoff Compositions and composites of cellulosic and lignocellulosic materials and resin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20050084671A1 (en) * 1997-09-02 2005-04-21 Xyleco, Inc., A Massachusetts Corporation Texturized fibrous materials from poly-coated paper and compositions and composites made therefrom
DE19909653A1 (de) 1999-03-05 2000-09-07 Stockhausen Chem Fab Gmbh Pulverförmige, vernetzte, wässrige Flüssigkeiten sowie Blut absorbierende Polymer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US20030207639A1 (en) * 2002-05-02 2003-11-06 Tingdong Lin Nonwoven web with improved adhesion and reduced dust formation
US20050064186A1 (en) * 2002-04-05 2005-03-24 Tingdong Lin Nonwoven web with improved adhesion and reduced dust formation
US7169843B2 (en) 2003-04-25 2007-01-30 Stockhausen, Inc. Superabsorbent polymer with high permeability
US7175741B2 (en) * 2003-07-16 2007-02-13 Weyerhaeuser, Co. Reducing odor in absorbent products
DE10334286B4 (de) 2003-07-25 2006-01-05 Stockhausen Gmbh Pulverförmige,wasserabsorbierende Polymere mit mittels thermoplastischen Klebstoffen gebundenen Feinteilchen,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diese beinhaltende chemische Produkte und Verbunde
ES2259744T3 (es) * 2003-08-08 2006-10-16 A. Schulman Plastics Masterbatch conteniendo pmma y su empleo para la produccion de films de poliolefina.
US7173086B2 (en) 2003-10-31 2007-02-06 Stockhausen, Inc. Superabsorbent polymer with high permeability
US20050130540A1 (en) * 2003-12-15 2005-06-16 Nordson Corporation Multicomponent spunbond filaments having a melt-processable superabsorbent polymer core
US7465684B2 (en) 2005-01-06 2008-12-16 Buckeye Technologies Inc. High strength and high elongation wipe
EP2508263B1 (en) 2005-03-24 2015-11-25 Xyleco, Inc. Method of densifying fibrous material
US20150328347A1 (en) 2005-03-24 2015-11-19 Xyleco, Inc. Fibrous materials and composites
US7708214B2 (en) 2005-08-24 2010-05-04 Xyleco, Inc. Fibrous materials and composites
US20060292947A1 (en) * 2005-06-24 2006-12-28 Lavietes Daniel Polyester fiber scrim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7812082B2 (en) 2005-12-12 2010-10-12 Evonik Stockhausen, Llc Thermoplastic coated superabsorbent polymer compositions
US7666274B2 (en) * 2006-08-01 2010-02-23 International Paper Company Durable paper
CN101220118B (zh) * 2007-01-12 2010-08-11 远东新世纪股份有限公司 改质共聚物及以其改质的鞘层材料及芯鞘型复合纤维
TW200829741A (en) * 2007-01-12 2008-07-16 Far Eastern Textile Ltd Modifying copolymer, sheath layer material modified with the same and core-sheath composite fiber
EP2150385B8 (en) 2007-06-03 2012-03-21 Imerys Pigments, Inc. Spunlaid fibers comprising coated calcium carbonate, processes for their production, and nonwoven products
WO2009073324A2 (en) 2007-11-29 2009-06-11 Invista Technologies S.A.R.L. High-loft nonwoven including stabilizer or binder
US8779045B2 (en) * 2009-10-15 2014-07-15 Milliken & Company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
KR101233813B1 (ko) * 2010-07-12 2013-02-14 (주)리앤에스 열가소성 유기 섬유, 그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한 섬유 복합 보드 및 그 제조 방법
ES2861272T3 (es) 2010-12-08 2021-10-06 Georgia Pacific Mt Holly Llc Material de toallita no tejido dispersable
KR101774078B1 (ko) * 2013-04-08 2017-09-01 (주)엘지하우시스 유기합성섬유를 포함하는 진공단열재용 심재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단열재
DE102013014917A1 (de) * 2013-07-15 2015-01-15 Ewald Dörken Ag Bikomponentenfaser zur Herstellung von Spinnvliesen
ES2671005T3 (es) 2013-11-15 2018-06-04 Georgia-Pacific Nonwovens LLC Material de toallita no tejido dispersable
CN103911682A (zh) * 2014-03-25 2014-07-09 杭州瑞晟实业有限公司 高强度pp/pet合金纤维及其制备方法
CN104404650A (zh) * 2014-11-04 2015-03-11 张桂华 一种复合纤维
KR101761196B1 (ko) * 2015-10-08 2017-07-25 삼성교역(주) 내구성이 향상된 친환경 코팅사와 코팅사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직조한 원단
CN108697955B (zh) * 2016-01-12 2022-02-11 佐治亚-太平洋Mt.哈利有限责任公司 非织造清洁基材
KR101866776B1 (ko) * 2016-09-02 2018-07-23 삼성염직(주) 컬러발현성이 우수한 고강도 폴리올레핀계섬유의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한 원단의 제조방법
US20190376011A1 (en) 2017-01-12 2019-12-12 Georgia-Pacific Nonwovens LLC Nonwoven material for cleaning and sanitizing surfaces
WO2018132692A1 (en) 2017-01-12 2018-07-19 Georgia-Pacific Nonwovens LLC Nonwoven material for cleaning and sanitizing surfaces
US20200024556A1 (en) 2017-01-12 2020-01-23 Georgia-Pacific Nonwovens LLC Nonwoven material for cleaning and sanitizing surfaces
ES2924646T3 (es) 2017-04-03 2022-10-10 Georgia Pacific Mt Holly Llc Estructuras absorbentes unitarias multicapa
WO2019067487A1 (en) 2017-09-27 2019-04-04 Georgia-Pacific Nonwovens LLC NON-WOVEN AIR FILTRATION MEDIA
EP3688216A1 (en) 2017-09-27 2020-08-05 Georgia-Pacific Nonwovens LLC Nonwoven material with high core bicomponent fibers
EP3746033A1 (en) 2018-01-31 2020-12-09 Georgia-Pacific Nonwovens LLC Modified cellulose-based natural binder for nonwoven fabrics
EP3765663B1 (en) 2018-03-12 2022-05-25 Georgia-Pacific Mt. Holly LLC Nonwoven material with high core bicomponent fibers
KR102653795B1 (ko) * 2018-03-29 2024-04-03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이성분 섬유 및 이들의 중합체 조성물
JP7377809B2 (ja) * 2018-03-29 2023-11-10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複合成分繊維およびそのポリマー組成物
CN108441978A (zh) * 2018-03-29 2018-08-24 南通新帝克单丝科技股份有限公司 大直径高强度聚丙烯单丝及其制备方法
CN108914670B (zh) * 2018-07-14 2019-09-03 潍坊杰高长纤维制品科技有限公司 一种高透医用胶带基材及其制备方法
KR20210058851A (ko) 2018-09-19 2021-05-24 조지아-퍼시픽 마운트 홀리 엘엘씨 일체형 부직포 재료
CN113056253A (zh) 2018-09-26 2021-06-29 佐治亚-太平洋霍利山有限责任公司 无胶乳且无甲醛非织造织物
JP7432603B2 (ja) 2018-12-10 2024-02-16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少なくとも1つの二成分繊維を有するエアレイド基材
JP2022534773A (ja) 2019-05-30 2022-08-03 ジョージア パシフィック マウント ホリー エルエルシー 低流出エアレイド不織布材料
MX2022001672A (es) 2019-08-08 2022-07-27 Glatfelter Corp Materiales no tejidos depositados por aire con bajo contenido de polvo.
EP4010524B1 (en) 2019-08-08 2024-03-06 Glatfelter Corporation Dispersible nonwoven materials including cmc-based binders
CA3155103A1 (en) 2019-09-18 2021-03-25 Glatfelter Corporation Absorbent nonwoven materials
US11912837B2 (en) 2020-08-07 2024-02-27 San Fang Chemical Industry Co., Ltd. Thin film, manufacturing method and uses thereof
CN113897703B (zh) * 2021-10-25 2024-01-23 华峰化学股份有限公司 一种具备超声波粘合性能的聚氨酯弹性纤维及其制备方法
CN115012068B (zh) * 2022-07-20 2024-03-15 贺氏(苏州)特殊材料有限公司 具有高低温熔融温度的双组分聚酯纤维及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7888A (en) * 1986-09-05 1990-05-22 The Dow Chemical Company Maleic anhydride graft copolymers having low yellowness index and films containing the same
US4950541A (en) 1984-08-15 1990-08-21 The Dow Chemical Company Maleic anhydride grafts of olefin polymers
US5372885A (en) 1984-08-15 1994-12-13 The Dow Chemical Company Method for making bicomponent fibers
JPH02169718A (ja) 1988-12-15 1990-06-29 Mitsubishi Rayon Co Ltd ポリオレフイン系熱融着性繊維及びその不織布
JP2635139B2 (ja) 1988-12-28 1997-07-30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5167765A (en) * 1990-07-02 1992-12-01 Hoechst Celanese Corporation Wet laid bonded fibrous web containing bicomponent fibers including lldpe
US5272236A (en) * 1991-10-15 1993-12-21 The Dow Chemical Company Elastic substantially linear olefin polymers
EP0683252A1 (en) 1994-05-16 1995-11-22 AlliedSignal Inc. Polyamide fiber
US5635262A (en) * 1994-12-12 1997-06-03 Exxon Chemical Patents Inc. High molecular weight high density polyethylene with improved tear resistance
WO1998022643A1 (en) 1996-11-22 1998-05-28 Chisso Corporation A non-woven fabric comprising filaments and an absorbent article using the same
US5981410A (en) 1997-04-08 1999-11-09 Fibervisions A/S Cellulose-binding fibres
EP0878567B1 (de) * 1997-05-14 2004-09-29 Borealis GmbH Polyolefinfasern und Polyolefingarne und daraus hergestellte textile Flächengebilde
ID26886A (id) * 1998-03-11 2001-02-15 Dow Chemical Co BAHAN PENYUSUN DAN BARANG BUATAN MUATAN YANG MEMPUNYAI MEMORI BENTUK DIBUAT DARI INTERPOLIMER α-OLEFIN/VINIL ATAU VINILIDEN AROMATIK DAN/ATAU VINIL ATAU VINILIDEN ALIFATIK DIHALANGI
EP1068377A1 (en) * 1998-03-11 2001-01-17 The Dow Chemical Company Fibers made from alpha-olefin/vinyl or vinylidene aromatic and/or hindered cycloaliphatic or aliphatic vinyl or vinylidene interpolymers
JP3495629B2 (ja) * 1998-04-28 2004-02-09 協和化学工業株式会社 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使用
US6025422A (en) * 1998-05-29 2000-02-15 Siecor Operations, Llc Flame retardant polymer compositions
US6589892B1 (en) * 1998-11-13 2003-07-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icomponent nonwoven webs containing adhesive and a third component
AU6117100A (en) * 1999-07-23 2001-02-13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Ethylene acid copolymer with enhanced adhesion
US6455771B1 (en) * 2001-03-08 2002-09-24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Corporation Semiconducting shield compositions
EP1241284A1 (en) * 2001-03-12 2002-09-18 BP Chemicals SNC Bicomponent fibe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937B1 (ko) * 2009-09-24 2012-05-17 디에스알 주식회사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여 중합한 폴리에틸렌을 이용하는 로프용 섬유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1350869T3 (da) 2011-06-27
BRPI0300367B1 (pt) 2015-08-11
TW200304967A (en) 2003-10-16
BR122013031657C8 (pt) 2015-12-22
EP1350869B1 (en) 2011-05-04
EP1350869A1 (en) 2003-10-08
US20030194552A1 (en) 2003-10-16
JP2003306828A (ja) 2003-10-31
KR100996019B1 (ko) 2010-11-22
BR0300367A (pt) 2004-08-03
US6670035B2 (en) 2003-12-30
TWI299371B (en) 2008-08-01
CN1450211A (zh) 2003-10-22
CN1255588C (zh) 2006-05-10
DE60336952D1 (de) 201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6019B1 (ko) 개선된 접착형 섬유 및 부직 웨브
EP1359240B1 (en) Improved binder fiber and nonwoven web comprising binder fiber and absorbent
JP3672324B2 (ja) セルロース結合繊維
BR122013031657B1 (pt) Fibra aglomerante e trama
US5981410A (en) Cellulose-binding fibres
CN101680128B (zh) 具优异庞大性与柔软性的热粘着性复合纤维以及使用该复合纤维的纤维成形品
US20030003830A1 (en) Air-laid web with high modulus fibers
US20030118814A1 (en) Absorbent structures having low melting fibers
US20030114066A1 (en) Uniform distribution of absorbents in a thermoplastic web
WO2000029655A1 (en) Bicomponent nonwoven webs containing adhesive and a third component
JPH02169718A (ja) ポリオレフイン系熱融着性繊維及びその不織布
US20030089443A1 (en) Dry-laid web with hollow synthetic fibers
JP2003518567A (ja) 流体処理用生分解性不織ウェブ
US20040103970A1 (en) Air-laid web with hollow synthetic fibers
US20050064186A1 (en) Nonwoven web with improved adhesion and reduced dust formation
JP2003247157A (ja) 吸収体及びこ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JPH0369649A (ja) 木綿/ポリエステル繊維配合物およびバツト
CN116084087A (zh) 一种孖纺生产线添加sap生产高吸水性孖纺非织造布的方法
MXPA99008903A (en) Cellulose-binding fib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