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9677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9677A
KR20030079677A KR10-2003-0015065A KR20030015065A KR20030079677A KR 20030079677 A KR20030079677 A KR 20030079677A KR 20030015065 A KR20030015065 A KR 20030015065A KR 20030079677 A KR20030079677 A KR 200300796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oles
fitting
locking
contac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5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이시아키오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Publication of KR20030079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967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극수가 다른 복수의 커넥터에 있어서 극수에 따라 계합돌기의 초기 접접면의 경사각도를 변경하고 어떤 극수의 커넥터에 있어서도 불완전 감합상태를 확실하게 방지함과 동시에 극수가 적은 커넥터에 있어서 감합작업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는 이른바 관성 록 타입의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해결수단을 보면, 극수가 다른 복수의 커넥터(A)에 있어서 화살표(a)로 나타내는 감합방향과 직교하는 화살표(b)로 나타내는 방향과 초기 접접면(14a)과 이루는 각도 Z°를 전기콘택트의 극수가 증가함에 따라 작아지도록 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불완전 감합상태를 방지할 수 있는 이른바 관성 록 타입의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이러한 종류의 커넥터로서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는 것(실공소58-41745호 공보참조)나 도 7에 나타낸 것(실용신안등록 제2522319호 공보참조)가 알려져 있다.
여기서 도 6에 나타내는 커넥터는 전기콘택트(미도시)를 수용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수하우징(100)과 암하우징(2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하우징(100)과 암하우징(200)과는 서로 감합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수하우징(100)에는 그 상면의 감합방향 전방단(도 6에서의 우측단)에서 시작하는 스타트 기부(101)를 개입하여 록킹 암(102)이 후방으로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다. 록킹 암(102)의 상면에 있어서 자유단부에 해당하는 감합방향 후단부에는 조작부(103)가 돌설되어 있다. 또한 록킹 암(102)의 상면에 있어서 감합방향 거의 중앙부에는 계합돌기(104)가 돌설되어 있다. 계합돌기(104)는 전방으로 감합방향에 대해 급경사면(104a)을 갖고 후방으로 감합방향에 대해 완만한 경사면(104b)을 가지며 그들 경사면(140a) 및 (104b)는 정점(104c)에서 일치한다.
한편 암하우징(200)에는 그 감합방향 전방부(도 6에서의 좌측부)에 수하우징(100)을 수용하는 수하우징 수용요부(203)가 형성되고 수하우징 수용요부(203)의 상벽(201)의 감합방향 전방부에는 수하우징 수용요부(203) 내를 향한 계지부(202)가 형성되어 있다. 계지부(202)의 감합방향 전방부에는 계지돌기(104)에 대한 수입안내 경사면(202a)가 형성되고, 수입안내 경사면(202a)의 하방의 종단부에는 수입안내 경사면(202a)보다도 급경사인 충합(衝合)단부가 형성되어 있다. 수하우징(100) 및 암하우징(200)을 계합하는 때에 계합돌기(104)는 계지부(202)를 넘으면서 록킹 암(102)을 하방으로 휘게 하여 계지부(202)에 계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전기 콘택트(미도시)를 수용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수하우징(301)과 암하우징(암하우징에 설치된 감합푸드부(401)를 도시)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하우징(301)과 암하우징과는 서로 감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암하우징의 감합 푸드부(401)의 감합방향 전단(도 7(A)에서의 좌단)에는 하방으로 돌출하는 계지부(402)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수하우징(301)의 상면에는 록킹 암(302)이 감합방향 전단(도 7(A)에서의 좌측)에서 후방으로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다. 록킹 암(302)의 상면에 있어서 자유단부에 해당하는 감합방향 후단부에는 조작부(303)가 돌설되어 있다. 또한 록킹 암(302)의 상면에 있어서 감합방향 거의 중앙부에는 계합돌기(304)가 돌설되어 있다. 계합돌기(304)는 수하우징(301) 및 암하우징이 감합하는 때에 계지부(402)를 넘으면서 록킹 암(302)을 하방으로 휘게 하여 계지부(402)에 계합하는 것으로 그 상면은 승월(乘越) 접접(摺接)면(304b)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타넘기 접접면(304b)은 록킹 암(302)의 자유상태에서 감합방향에 대해 경사지고 있으나 그 경사각은 록킹 암(302)의 최대 휨각과 거의 일치시키고 있다. 그리고 타넘기 접접면(304b)의 감합방향 전방에는 초기 접접면(304a)이 설치되어 있다. 이 초기 접접면(304a)은 록킹 암(302)의 자유상태에서 감합방향에 대해 경사지고 있으나 그 경사각은 타넘기 접접면(304b)의 경사각보다 크고 한층 기립한 면으로 되어 있다.
수하우징(301) 및 암하우징의 감합시에는 우선 계합돌기(304)의 초기 접접면(304a)가 계지부(402)의 전면 하단 가장자리에 당접하고 수하우징(301)의 감합삽입의 진행에 따라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넘기 접접면(304b)의 전단 가장자리가 계지부(402)의 전면 하단 가장자리에 올라앉아 록킹 암(302)은 최대 휨각에 이른다. 이 때 타넘기 접접면(304b)은 감합방향에 따른 거의 수평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수하우징(301)의 감합삽입을 진행시키면 타넘기 접접면(304b)이 계지부(402)의 하면에 대해 접동한다. 이 때, 록킹 암(302)의 최대 휨각은 유지되어 있다. 록킹 암(302)의 최대 휨각은 타넘기 접접면(304b)의 후단 가장자리가 계지부(402)의 후면 하단 가장자리에 이르기까지 유지된다.
더욱이 수하우징(301)의 감합삽입을 진행시켜 타넘기 접접면(304b)의 후단 가장자리가 계지부(402)에서 잠금(록)측(계지부(402)의 좌측 이웃)으로 벗어나면 록 암(302)은 원래 상태로 복귀하고 계합돌기(304)는 계지부(402)에 잠궈진다.
이러한 일련의 감합동작에 있어서의 감합삽입의 스트록과 하우징 삽입력과의 관계는 도 7(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되어 있다. 즉 도 7(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타넘기 접접면(304b)의 전단 가장자리가 계지부(402)의 전면 하단 가장자리에 올라앉아 록킹 암(302)은 최대 휨각에 이른 시점에서 (a)와 같이 하우징 삽입력이 피크가 된다. 이 하우징 삽입력의 피크 값은 계합돌기(304)의 초기 접접면(304a)의 감합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한 경사각도, 즉 감합방향과 직교하는 방향과 초기 접접면(304a)이 이루는 각도에 의해 정해지고, 이 경사각도가 작은 경우, 즉 감합방항과 직교하는 방향과 초기 접접면(304a)과 이루는 각도가 작은 경우에는 하우징 삽입력의 피크 값이 커지고 상기 각도가 큰 경우에는 하우징 삽입력의 피크 값이 작아진다.
그리고 타넘기 접접면(304b)이 계지부(402)의 하면에 대해 접동하기 시작하면 (b)와 같이 하우징 삽입력이 저하되고 타넘기 접접면(304b)의 후단 가장자리가 계지부(402)의 후면 하단 가장자리에 이르기까지 하우징 삽입력이 유지된다.
그리고 타넘기 접접면(304b)의 후단 가장자리가 계지부(402)에서 잠금측으로 벗어나면 (c)와 같이 하우징 삽입력이 단번에 0이 되고 단번에 계합돌기(304)는 계지부(402)에 잠궈진다.
이와 같이 하우징 삽입력이 초기에 최대 피크(a)를 나타내고 그 후 삽입력이감소하여 잠금상태(c)에 이르기 때문에 이런 종류의 커넥터는 관성 록 타입의 커넥터라 칭한다. 즉 작업자는 감합삽입시에 처음에는 어느 정도 하우징이 삽입력을 필요로 하지만 그 후 삽입력이 급격히 떨어져 잠금상태까지 단숨에(관성적으로) 밀어 넣어버리는 작업상태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런 종류의 관성 록 타입의 커넥터는 불완전 감합상태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런 종류의 관성 록 타입의 커넥터에 있어서 불완전 감합상태를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하우징 삽입력의 피크 값이 서로 접촉하는 복수의 전기 콘택트의 접촉에 의한 총하중보다도 약간 크다는 것이 조건이 된다. 그 이유는 하우징 삽입력의 피크 값이 총하중보다도 작으면 작업자가 감합삽입시에 잠금상태까지 관성적으로 밀어 넣어 버리는 작업상태를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관성 록 타입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이하와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일반 작업자는 커넥터의 크기(극수)를 보고 감합에 필요한 힘을 대충 추정하고 그것이 선입관이 된다. 이 때문에 특히 하우징 삽입력의 피크 값을 크게 하여 불완전 감합상태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감합방향과 직교하는 방향과 초기 접접면(304a)(경사면104a)이 이루는 각도를 전기 콘택트의 극수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일률적으로 작게 설정하면 전기 콘택트의 극수가 적은 커넥터의 감합작업시에 있어서 하우징 삽입력의 피크 값이 콘택트의 접촉에 의한 총하중에 대해 지나치게 커지므로 선입관을 넘는 힘이 감합작업에 필요하여 감합작업성이 양호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극수가 다른 복수의 커넥터에 있어서 극수에 따라 계합돌기의 초기 접접면의 경사각도를 변경하고 어떤 극수의 커넥터에 있어서도 불완전 감합상태를 확실하게 방지함과 동시에 극수가 적은 커넥터에 있어서 감합작업성이 양호한 이른바 관성 록 타입의 커넥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극수가 2P인 커넥터예의 수하우징을 나타내고 (A)는 정면도, (B)는 (A)의 2B-2B선에 따른 단면도, (C)는 평면도이다.
도 3은 극수가 2P인 커넥터예의 암하우징을 나타내고 (A)는 정면도, (B)는 (A)의 3B-3B선에 따른 단면도, (C)는 평면도이다.
도 4는 극수가 6P인 커넥터예의 수하우징을 나타내고 (A)는 정면도, (B)는 4B-4B선에 따른 단면도, (C)는 평면도이다.
도 5는 극수가 6P인 커넥터예의 암하우징을 나타내고 (A)는 정면도, (B)는 5B-5B선에 따른 단면도, (C)는 평면도이다.
도 6은 종래예의 관성 록 타입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종래의 다른 예의 관성 록 타입 커넥터를 나타내고 (A)는 주요부의 개략설명도, (B)는 감합삽입시의 스트록과 하우징 삽입력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 주요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수하우징
13 록킹 암
14 계합돌기
14a 초기접접면
20 암하우징
26 계지부
A 커넥터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커넥터는 각각이 서로 감합하는 암수하우징과, 해당 암수하우징의 각각에 수용된 전기콘택트를 구비하고 해당 전기콘택트의 극수가 다른 복수의 커넥터로서 상기 암하우징에 계지부를 설치하고 상기 수하우징에 록킹 암을 설치하며 해당 록킹 암에 상기 암하우징의 감합시에 상기 계지부에 계합하는 계합돌기를 설치하고 해당 계합돌기의 감합방향 전단에는 상기 감합방향에 대해 경사지고 상기 암수하우징의 감합 초기에 상기 계지부에 당접하는 초기 접접면이 형성된 상기 전기콘택트의 극수가 다른 복수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감합방향과 직교하는 방향과 상기 초기 접접면과 이루는 각도를 상기 전기콘택트의 극수가 증가함에 따라 작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커넥터에 의하면 극수가 다른 복수의 커넥터에 있어서, 감합방향과 직교하는 방향과 계합돌기의 초기 접접면과 이루는 각도가 전기콘택트의 극수가 증가함에 따라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하우징 삽입력의 피크 값이 극수가 많은 커넥터에 있어서 커지고 극수가 적은 커넥터에 있어서 작아지며, 어떤 극수의 커넥터에 있어서도 하우징 삽입력의 피크 값을 전기콘택트의 접촉에 의한 총하중에 대해 약간 크게 할 수 있고 특히 극수가 적은 커넥터의 감합작업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커넥터(A)는 암형 전기콘택트(미도시)를 수용한 수하우징(10)과 수하우징(10)에 대향하고 수형 전기콘택트(21)를 수용한 암하우징(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하우징(10)은 암하우징(20)에 대해 화살표(a)로 표시되는 감합방향으로 갑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하우징(10)의 전기콘택트와 암하우징(20)의 전기콘택트(21)과는 암하우징(10, 20)이 감합한 때에 접촉하고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암하우징(20)에는 전기콘택트(21)를 수용하기 위한 콘택트 수용통로(22)가 형성되고, 콘택트 수용통로(22)에는 전기콘택트(21)를 계지하기 위한 탄성 랜스(2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암하우징(20)의 전방부(도 1에서의 우방부)에는 수하우징(10)을 수용하는 수하우징 수용요부(24)가 형성되고, 수하우징 수용요부(24)의 상벽(25)의 전방단에는 수하우징 수용요부(24)로 향한 계지부(26)가형성되어 있다.
한편 수하우징(10)에는 전기콘택트를 수용하기 위한 콘택트 수용통로(11)가 설치되고, 콘택트 수용통로(11)에는 전기콘택트를 계지하기 위한 탄성 랜스(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하우징(10)의 상면에는 감합방향 전방단(도 1에서의 좌측단)에서 시작하는 스타트 기부(13a)를 통해 록킹 암(13)이 후방으로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다. 록킹 암(13)의 상면에 있어서 자유단부에 해당하는 감합방향 후단부에는 조작부(15)가 돌설되어 있다. 또한 록킹 암(13)의 상면에 있어서 감합방향 거의 중앙부에는 계합돌기(14)가 돌설되어 있다. 계합돌기(14)는 수하우징(10) 및 암하우징(20)의 감합시에 계지부(26)를 타넘으면서 록킹 암(13)을 하방으로 휘게 하여 계지부(26)에 계합하는 것으로 그 상면은 타넘기 접접면(14b)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타넘기 접접면(14b)의 감합방향 전단에는 화살표(a)로 나타내는 감합방향에 대해 경사지고 수하우징(10) 및 암하우징(20)의 감합 초기에 계지부(26)에 당접하는 초기 접접면(14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초기 접접면(14a)의 형성시에는 전기콘택트의 극수가 다른 복수의 커넥터(A)에 있어서 감합방향과 직교하는 화살표(b)방향과 초기 접접면(14a)과 이루는 각도 Z°를 전기콘택트의 극수가 증가함에 따라 작아지도록 되어 있다. 표 1에 초기 접접면(14a)의 경사각도 Z°를 전기콘택트의 극수가 증가함에 따라 작아지도록 되어 있는 예를 나타낸다.
극수(P) 초기접점면의 경사각도Z° 콘택트의 접촉에의한 총하중(N) 하우징 삽입력의 피크치(N)
2 21 8.8 9.8
3 14 13.2 14.7
4 9 17.6 19.6
6 6 26.4 28.4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콘택트의 극수가 2P(2극), 3P, 4P, 6P로 증가한 경우에 초기 접접면(14a)의 경사각도 Z°를 각각 21°, 14°, 9°, 6°로 서서히 작게 하고 있다. 그리고 극수가 2P(2극), 3P, 4P, 6P로 증가한 경우에는 전기콘택트의 접촉에 의한 총하중은 각각 8.8N, 13.2N, 17.6N, 26.4N으로 서서히 증가하고 있다.
한편 전기콘택트의 극수가 2P, 3P, 4P, 6P인 경우에 초기 접접면(14a)의 경사각도 Z°를 각각 21°, 14°, 9°, 6°로 함으로써 전기콘택트의 극수가 2P, 3P, 4P, 6P인 경우의 하우징 삽입력의 피크 값은 각각 9.8N, 14.7N, 19.6N, 28.4N으로 극수의 증가에 따라 커지고 각각의 극수에 있어서 전기콘택트의 접촉에 의한 총하중보다도 약간 커지게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감합방향과 직교하는 화살표(b)와 계합돌기(14)의 초기 접접면(14a)과 이루는 각도 Z°가 전기콘택트의 극수가 증가함에 따라 작아지도록 구성되고, 하우징 삽입력의 피크 값이 극수가 많은 커넥터에 있어서 커지고 극수가 적은 커넥터에 있어서 작아지며 어느 극수의 커넥터에 있어서도 하우징 삽입력의 피크 값이 전기콘택트의 접촉에 의한 총하중보다도 약간 커지고, 불완전 감합상태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극수가 적은 커넥터에 있어서 하우징 삽입력의 피크 값이 작기 때문에 감합작업성이 양호하다.
다음으로 수하우징(10) 및 암하우징(20)의 감합시에 있어서의 계합돌기(14) 및 계지부(26)의 잠금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수하우징(10) 및 암하우징(20)의 감합시에는 우선 계합돌기(14)의 초기 접접면(14a)가 계지부(26)의 전면 하단 가장자리에 당접한다. 그리고 수하우징(10)의 감합삽입의 진행에 따라 타넘기 접접면(14b)의 전단 가장자리가 계지부(26)의 전면 하단 가장자리에 올라앉아 록킹 암(13)은 최대 휨각에 이른다. 록킹 암(13)이 최대 휨각에 이른 시점에서 하우징 삽입력이 피크가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기콘택트의 극수가 2P, 3P, 4P, 6P인 경우에 초기 접접면(14a)의 경사각도 Z°를 각각 21°, 14°, 9°, 6°로 서서히 작게 하고 각각 9.8N, 14.7N, 19.6N, 28.4N으로 극수의 증가에 따라 커지고 각각의 극수에 있어서 전기콘택트의 접촉에 의한 총하중보다도 약간 커지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수하우징(10)의 감합삽입을 진행시키면 타넘기 접접면(14b)이 계지부(26)의 하면에 대해 접동한다. 타넘기 접접면(14b)이 계지부(26)의 하면에 대해 접동하기 시작하면 하우징 삽입력이 저하된다.
더욱이 수하우징(10)의 감합삽입을 진행시켜 타넘기 접접면(14b)의 후단 가장자리가 계지부(26)에서 잠금측으로 벗어나면 록 암(13)은 원래 상태로 복귀하고 하우징 삽입력이 단번에 0이 되고 계합돌기(14)는 계지부(26)에 관성적으로 잠궈진다.
다음으로 극수가 2P인 경우의 커넥터의 예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고, 극수가 6P인 경우의 커넥터의 예를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극수가 2P인 경우의 커넥터예의 수하우징을 나타내고, (A)는 정면도, (B)는 (A)의 2B-2B선에 따른 단면도, (C)는 평면도이다. 도 3은 극수가 2P인 경우의 커넥터예의 암하우징을 나타내고, (A)는 정면도, (B)는 (A)의 3B-3B선에 따른 단면도, (C)는 평면도이다. 도 4는 극수가 6P인 경우의 커넥터예의 수하우징을 나타내고, (A)는 정면도, (B)는 4B-4B선에 따른 단면도, (C)는 평면도이다. 도 5는 극수가 6P인 경우의 커넥터예의 암하우징을 나타내고, (A)는 정면도, (B)는 (A)의 5B-5B선에 따른 단면도, (C)는 평면도이다.
우선 극수가 2P인 경우의 커넥터는 2개의 전기콘택트(미도시)를 수용한 수하우징(10)과, 수하우징(10)에 대향하고 2개의 전기콘택트(미도시)를 수용한 암하우징(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하우징(10)은 암하우징(20)에 대해 감합되로록 구성되어 있다. 수하우징(10)의 전기콘택트와 암하우징(20)의 전기콘택트와는 암수하우징(10, 20)이 감합한 때에 접촉하고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암하우징(20)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콘택트를 수용하기 위한 콘택트 수용통로(22)가 형성되고, 각 콘택트 수용통로(22)에는 전기콘택트를 계지하기 위한 탄성 랜스(2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암하우징(20)의 전방부(도 3(B)에서의 우방부)에는 수하우징(10)을 수용하는 수하우징 수용요부(24)가 형성되고, 수하우징 수용요부(24)의 상벽(25)의 전방단에는 수하우징 수용요부(24) 내로 향한 계지부(26)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수하우징(10)에는 전기콘택트를 수용하기 위한 2개의 콘택트 수용통로(11)가 설치되고, 각 콘택트 수용통로(11)에는 전기콘택트를 계지하기 위한 탄성 랜스(1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수하우징(10)의 상면에는 감합방향 전방단(도 2(B)에서의 좌측단)에서 시작하는 스타트 기부(13a)를 통해 록킹 암(13)이 후방으로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다. 2개의 록킹 암(13)의 자유단부에 해당하는 감합방향 후단부에는 그들 록킹 암(13)을 연결하는 연결부(16)가 설치되고 연결부(16)의 상면에는 조작부(15)가 돌설되어 있다. 또한 각 록킹 암(13)의 상면에 있어서 감합방향 거의 중앙부에는 계합돌기(14)가 돌설되어 있다. 계합돌기(14)는 수하우징(10) 및 암하우징(20)의 감합시에 계지부(26)를 타넘으면서 록킹 암(13)을 하방으로 휘게 하여 계지부(26)에 계합하는 것으로 그 상면은 타넘기 접접면(14b)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타넘기 접접면(14b)의 감합방향 전단에는 감합방향에 대해 경사지고 수하우징(10) 및 암하우징(20)의 감합 초기에 계지부(26)에 당접하는 초기 접접면(14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초기 접접면(14a)의 형성시에는 감합방향과 직교하는 화살표(b)방향과 초기 접접면(14a)과 이루는 각도를 표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21°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전기콘택트의 극수가 2P인 경우에 초기 접접면(14a)의 경사각도를 21°로 함으로써 하우징 삽입력의 피크 값은 표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9.8N이 되고 전기콘택트의 접촉에 의한 총하중 8.8N보다도 약간 커져 있다. 이 때문에 전기콘택트의 극수가 2P인 경우에도 불완전 감합상태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하우징 삽입력의 피크 값이 작아지므로 감합작업성이 양호하다.
또한 극수가 6P인 경우의 커넥터는 6개의 전기콘택트(미도시)를 수용한 수하우징(10)과, 수하우징(10)에 대향하고 6개의 전기콘택트(미도시)를 수용한 암하우징(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하우징(10)은 암하우징(20)에 대해 감합되로록 구성되어 있다. 수하우징(10)의 전기콘택트와 암하우징(20)의 전기콘택트와는 암수하우징(10, 20)이 감합한 때에 접촉하고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암하우징(20)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콘택트를 수용하기 위한 6개의 콘택트 수용통로(22)가 상하 3개씩 형성되고, 각 콘택트 수용통로(22)에는 전기콘택트를 계지하기 위한 탄성 랜스(2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암하우징(20)의 전방부에는 수하우징(10)을 수용하는 수하우징 수용요부(24)가 형성되고, 수하우징 수용요부(24)의 상벽(25)의 전방단에는 수하우징 수용요부(24) 내로 향한 계지부(26)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수하우징(10)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콘택트를 수용하는 6개의 콘택트 수용통로(11)가 상하 3개씩 설치되고, 각 콘택트 수용통로(11)에는 전기콘택트를 계지하기 위한 탄성 랜스(1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수하우징(10)의 상면에는 감합방향 전방단에서 시작하는 스타트 기부(13a)를 통해 3개의 록킹 암(13)이 후방으로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다. 3개의 록킹 암(13)의 자유단부에 해당하는 감합방향 후단부에는 그들 록킹 암(13)을 연결하는 연결부(16)가 설치되고 연결부(16)의 상면에는 조작부(15)가 돌설되어 있다. 또한 3개의 록킹 암(13) 중의 외측 2개의 상면에 있어서 감합방향 거의 중앙부에는 계합돌기(14)가 돌설되어 있다. 계합돌기(14)는 수하우징(10) 및 암하우징(20)의 감합시에 계지부(26)를 타넘으면서 록킹 암(13)을 하방으로 휘게 하여 계지부(26)에 계합하는 것으로 그 상면은 타넘기 접접면(14b)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타넘기 접접면(14b)의 감합방향 전단에는 감합방향에 대해 경사지고 수하우징(10) 및 암하우징(20)의 감합 초기에 계지부(26)에 당접하는 초기 접접면(14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초기 접접면(14a)의 형성시에는 감합방향과 직교하는 화살표(b)방향과 초기 접접면(14a)과 이루는 각도를 표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6°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전기콘택트의 극수가 6P인 경우에 초기 접접면(14a)의 경사각도를 6°로 함으로써 하우징 삽입력의 피크 값은 표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28.4N이 되고 전기콘택트의 접촉에 의한 총하중 26.4N보다도 약간 커져 있다. 이 때문에 전기콘택트의 극수가 6P인 경우에도 불완전 감합상태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커넥터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극수가 2P, 3P, 4P 및 6P인 경우의 커넥터뿐만 아니라 극수가 다른 복수의 커넥터 전체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계되는 커넥터는 극수가 다른 복수의 커넥터에 있어서, 감합방향과 직교하는 방향과 계합돌기의 초기 접접면과 이루는 각도가 전기콘택트의 극수가 증가함에 따라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하우징 삽입력의 피크 값이 극수가 많은 커넥터에 있어서 커지고, 극수가 적은 커넥터에 있어서 작아지며, 어떤 극수의 커넥터에 있어서도 하우징 삽입력의 피크 값을 전기콘택트의 접촉에 의한 총하중에 대해 약간 크게 할 수 있어 불완전 감합상태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전기콘택트의 극수가 적은 커넥터의 감합작업성이 양호한 관성 록 타입의 커넥터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각각이 서로 감합하는 암수하우징과, 해당 암수하우징의 각각에 수용된 전기콘택트를 구비하고 해당 전기콘택트의 극수가 다른 복수의 커넥터로서 상기 암하우징에 계지부를 설치하고 상기 수하우징에 록킹 암을 설치하며 해당 록킹 암에 상기 암하우징의 감합시에 상기 계지부에 계합하는 계합돌기를 설치하고 해당 계합돌기의 감합방향 전단에는 상기 감합방향에 대해 경사지고 상기 암수하우징의 감합 초기에 상기 계지부에 당접하는 초기 접접면이 형성된 상기 콘택트의 극수가 다른 복수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감합방향과 직교하는 방향과 상기 초기 접접면과 이루는 각도를 상기 전기콘택트의 극수가 증가함에 따라 작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03-0015065A 2002-04-01 2003-03-11 커넥터 KR200300796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99178A JP2003297486A (ja) 2002-04-01 2002-04-01 コネクタ
JPJP-P-2002-00099178 2002-04-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9677A true KR20030079677A (ko) 2003-10-10

Family

ID=28035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5065A KR20030079677A (ko) 2002-04-01 2003-03-11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716053B2 (ko)
EP (1) EP1351344A1 (ko)
JP (1) JP2003297486A (ko)
KR (1) KR20030079677A (ko)
CN (1) CN100585959C (ko)
TW (1) TWI28444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47463B2 (ja) * 2008-03-05 2013-02-20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180267B2 (ja) * 2010-08-31 2013-04-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
JP5674124B2 (ja) * 2010-12-21 2015-02-25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ハウジング
US9203183B2 (en) * 2013-07-30 2015-12-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41562A1 (de) 1977-09-26 1979-03-29 Rohner Ag Nicht-migrierende, hochkonzentrierte, dispergiermittelarme, feindisperse, fliessfaehige, stabile waessrige farbstoff- oder pigmentpraeparate
JP2819151B2 (ja) 1989-06-05 1998-10-3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電子部品搬送体の底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522319Y2 (ja) * 1991-03-13 1997-01-1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3767779B2 (ja) * 1999-06-16 2006-04-19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ロック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297486A (ja) 2003-10-17
TWI284441B (en) 2007-07-21
CN1449076A (zh) 2003-10-15
TW200400669A (en) 2004-01-01
US6716053B2 (en) 2004-04-06
US20030186575A1 (en) 2003-10-02
CN100585959C (zh) 2010-01-27
EP1351344A1 (en) 2003-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44910B1 (en) Electrical box contact with stress limitation
EP0854543A2 (en) A connector
US6659797B2 (en) Connector with resiliently deflectable lock arm
EP1524730A1 (en) Electrical connector
JP2001052798A (ja) コネクタの連結構造
US20040058568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complementary recess and projection interengagement
US5803756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hort circuit terminal
US20040023564A1 (en) Connector
US11735862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improved locking portions
US7520785B2 (en) Connector
CN113745872A (zh) 浮动连接器
JP3101203B2 (ja) リテーナ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US11936136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KR20030079677A (ko) 커넥터
EP1863132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3397735B2 (ja) 電気コネクタ
EP0997987A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providing floating movement between connectors
US6497584B1 (en) Half-fitting prevention connector
JPH1079269A (ja) プリント基板用コネクタ
CN220821979U (zh) 一种板端连接器
JP3491751B2 (ja) コネクタ
CN220021639U (zh) 一种板对板连接器的母座结构
JPH09289059A (ja) コネクタ
CN217405733U (zh) 连接器
JP3534311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