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9213A - 이온수를 이용한 과일·채소류의 세척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이온수를 이용한 과일·채소류의 세척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9213A
KR20030079213A KR1020020018077A KR20020018077A KR20030079213A KR 20030079213 A KR20030079213 A KR 20030079213A KR 1020020018077 A KR1020020018077 A KR 1020020018077A KR 20020018077 A KR20020018077 A KR 20020018077A KR 20030079213 A KR20030079213 A KR 20030079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bles
fruits
water
washing
reservo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8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세홍
Original Assignee
비손푸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이세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손푸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이세홍 filed Critical 비손푸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8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79213A/ko
Publication of KR20030079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921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6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combined with subsequent dry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26B21/02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30/00Other cleaning aspects applicable to all B08B range
    • B08B2230/01Cleaning with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온수를 이용한 과일·채소류의 세척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과일·채소류 및 물을 저수조에 투입시키는 단계,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이온화 기체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이온화 기체를 상기 저수조 내에 송풍시켜 생성된 이온수로 상기 과일·채소류를 세척 및 살균시키는 단계, 상기 세척 및 살균된 과일·채소류를 수거하여 표면에 묻은 물기를 탈수 및 건조시키는 단계, 및 상기 탈수 및 건조된 과일·채소류를 특성에 맞추어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온수를 이용한 과일·채소류의 세척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발생된 이온화 기체를 물속에 송풍시켜 이온수로 만든 다음, 상기 이온수를 이용하여 과일 및 채소류 표면에 붙어 있는 유해한 성분을 좀 더 강력하게 세척 및 멸균 처리함으로써, 장기간 운송을 요하는 수입농산물 등에 투여되는 방부제 및 과다한 농약사용에 의한 유해성분을 단시간 내에 확실하게 중화시켜 제거할 수 있는 과일·채소류의 세척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온수를 이용한 과일·채소류의 세척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washing fruit and vegetable using ionized water}
본 발명은 과일·채소류의 세척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생성된 이온수를 사용하여 과일 및 채소류를 세척함으로써 각종 농약 및 방부제 등의 유해성분을 빠른 시간 내에 중화시켜 제거할 뿐만 아니라, 상기 이온수에 존재하는 오존으로 확실하게 살균 소독할 수 있는 이온수를 이용한 과일·채소류의 세척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맛을 지닌 과일 및 채소류는 그 재배과정에 있어서 과수를 식해(食害)하는 멸구, 진딧물 및 잎벌레와 같은 각종 해충이나 유해성 환경으로 인하여 병충해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수차례에 걸쳐 농약과 같은 화학약품을 살포한다.
이러한 수차례에 걸친 농약 살포에 의해 과일 및 채소류의 표면에는 다량의 농약이 잔류하게 되며, 이러한 농약이 묻어 있는 과일 및 채소류를 그대로 소비자가 섭취하는 경우에는 인체에 상당한 해를 끼치게 된다.
또한, 원거리 생산지에서 재배한 과일 및 채소류의 경우에는 이들의 상품가치를 저하시키지 않고 장기간 보관하기 위하여 방부제와 같은 화학 약품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과일 및 채소류 표면에 존재하는 유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이를 섭취하기 전에 통상적으로 깨끗한 물을 이용하여 세척한 후 섭취하게 되나, 이는 식용열매의 표면에 응고상태로 달라붙은 잔류 농약이나 각종 유해물질 또는 세균을 전량 깨끗하게 제거할 수 없어 잔류분의 유해성 물질이 그대로 인체에 유입되어 각종 질병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산업의 발달에 따라 인간이 처리해야할 일의 양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문화생활 수준의 향상에 따라 인간의 편리성 및 위생에 대한 관념은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농약사용의 증가 등으로 인한 오염으로 인하여 환경보존 및 개선에 대한 인식이 극대화되고 있다.
그러나, 주방 분야에서 이러한 편리성, 위생 및 환경개선을 동시에 만족시켜줄 수 있는 과일 및 채소류 세척기의 개발은 아직 미미한 상태이다.
따라서, 이러한 야채류 및 과일류 등을 손쉽게 위생적으로 세척하기 위한 기술은 절실히 요구되어 왔으며, 특히 이러한 편리성, 위생 및 환경개선을 동시에 충족시켜줄 수 있는 세척기 시스템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에 여러 가지 세척기술이 개발 사용되어 왔으나, 이러한종래기술은 단순히 마찰·분사·회전 및 건조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과일 및 채소류를 세척하는데 불과하며, 소독의 효과가 없어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물의 사용량이 많아 경제성이 적은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과일 및 채소류를 수확하여 이를 사람이 일일이 세척하고 선별하여 포장까지 모든 작업을 수작업으로 행하였으나, 최근 기술의 발달로 많은 부분이 자동화되고 있으며, 현재 시중에도 이러한 자동 과일 및 채소류 세척기가 출시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출시된 과일 및 채소류의 세척기는 그 대부분이 콘베이어를 타고 지나가는 과일 및 채소류에 물줄기를 분사하는 방식으로 세척하고 있어, 깨끗하게 세척이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물줄기가 닿은 부분만이 세척되므로 그렇지 못한 부분은 다시 사람이 손으로 닦아주어야 하는 불편이 있다.
예를 들어,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01-87682호는 컨베이어 이송수단을 이용하여 세척 대상물을 일정 구간별로 순차적으로 통과시키면서 세척수를 샤워분사방식으로 분사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한 후, 차후의 살균소독 공정을 통해 전자동 시스템으로 세척 대상물을 세척하는 과일 세척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의 기술에 따른 세척방법은 물줄기를 분사하는 방식으로 세척하고 있어, 세척부위가 한정될 뿐만 아니라, 공정이 다소 복잡한 단점이 있다.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초음파 및 음이온과 같은 매체를 이용한 세척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중화 및 살균력이 미약한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01-54719호는 초음파 및 오존장치를 이용한 과일·야채 세척기를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 특허에 따른 방법은 오존을 이용한 세척방법으로서 중화 및 살균력이 미약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생성된 이온수를 사용하여 과일·채소류를 세척함으로써 농약 및 방부제 등의 유해성분을 단시간 내에 확실히 중화시켜 제거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살균 소독시킬 수 있는 과일·채소류의 세척방법 및 그 장치를 발견하였으며, 본 발명은 이에 기초하여 완성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과일·채소류의 표면에 붙어 있는 각종 농약 및 방부제 등의 유해성분을 빠른 시간 내에 중화시켜 제거하고 살균 소독할 수 있는 과일·채소류의 세척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과일·채소류를 공급지에서 직접 세척 및 살균시켜 유해성분을 신속히 제거할 수 있는 과일·채소류의 세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세척방법은 과일·채소류 및 물을 저수조에 투입시키는 단계,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이온화 기체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이온화 기체를 상기 저수조 내에 송풍시켜 생성된 이온수로 상기 과일·채소류를 세척 및 살균시키는 단계, 상기 세척 및 살균된 과일·채소류를 수거하여 표면에 묻은 물기를 탈수 및 건조시키는 단계, 및 상기 탈수 및 건조된 과일·채소류를 특성에 맞추어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세척장치는 과일·채소류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수단; 상기 과일·채소류가 투입되는 저수조, 이온화된 기체를 발생시키기 위한 플라즈마 발생기, 상기 플라즈마 발생기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이온화 기체 및 공기를 상기 저수조로 내보내기 위한 송풍수단, 및 상기 저수조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이온화 기체 및 공기를 상기 저수조에 방출하기 위한 산기수단을 구비한 세척 및 소독장치; 상기 세척 및 소독된 과일·채소류를 수거하기 위한 스키머; 상기 수거된 과일·채소류를 탈수 및 건조시키기 위한 탈수 및 건조수단; 및 상기 탈수 및 건조된 과일·채소류를 특성에 맞추어 포장하기 위한 포장수단;으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온화 기체의 발생과정 및 물속에서의 반응과정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온수를 이용한 과일·채소류의 세척장치의 배열을 공정순서에 따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온수를 이용한 과일·채소류의 세척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계통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a: 송풍수단 2b: 플라즈마 발생기
2c: 급수수단 2d: 저수조
2e: 송풍관 파이프 2f: 산기수단
2g: 배수수단 2h: 배수 파이프
2i: 자동제어시스템(MCC판넬부) 4a: 탈수 및 건조조
10: 투입수단 20: 세척 및 소독장치
30: 스키머 40: 탈수 및 건조수단
50: 포장수단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생성된 강력한 산화력 및 살균력을 갖는 이온수를 사용하여 생산지 또는 공급지에서 과일 및 채소류를 직접 세척 및 살균시켜 포장함으로써 과일·채소류에 붙어 있는 농약 및 방부제 등의 유해성분을 단시간 내에 확실하게 중화시켜 제거할 수 있는 이온수를 이용한 과일·채소류의 세척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 및 세척하고자 하는 과일·채소류를 저수조에 투입시킨 후, 플라즈마 발생기를 이용하여 이온화 기체를 발생시킨 후, 상기 이온화 기체를 이용하여 상기 저수조 내에 이온수를 발생시켜 상기 과일·채소류를 세척 및 살균시킨다.
상기 이온수는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발생된 이온화 기체가 일정압력으로 공기와 섞이면서 저수조로 방출되어 상기 저수조 내의 물과 반응하여 물분해 (dissociation)를 일으켜 원자화됨으로써 수화전자(e-, aq), 이온 및 라디칼 (radical) 등의 형태로 존재하며, 이는 상기 과일·채소류의 표면에 존재하는 각종 오염물질과 반응한다.
상기 이온화 기체의 발생, 오염물질과의 반응원리 및 경로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플라즈마 발생기의 두 전극사이에 전압이 걸리면 절연파괴가 발생하여 전류가 흐르는데, 이때 전기장내 전자들은 중성입자들과 수없이 충돌하여 자유전자를발생시킴으로써 이온화 기체가 발생한다.
상기 이온화 기체는 물속에서 물분자 및 오염물질 분자와 반응하여 전자충격해리(electron-impact dissociation) 또는 물분자의 이온화(H+, OH-)를 야기시켜 오염물질 분자를 산화시키거나 또는 환원시켜 파괴한다.
한편, 물 속에 투입된 상기 이온화 기체 및 분해 부산물들은 매우 복잡한 궤적을 그리면서 주위에 에너지를 전달하게 된다.
상기 과정에서 분해 부산물은 연속적으로 물분자와 접촉하며, 자신의 에너지가 완전히 소멸할 때까지 활성화된 전자들을 생성시켜 OH 라디칼을 만든다. 그 중 산화환원 전위차(ORP)가 가장 큰 수화전자(e-, aq), H+및 OH-가 주로 물 속의 오염물질과 반응하여 산화 또는 환원 파괴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산화 환원 반응을 좀 더 상세히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이온과 자유기 (radical)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 불포화 화합물(-C??C-, -C=C-, -N=N-, -C??O-)을 포화 화합물(-C-C-, -N-N-, -C-O-)로 전환시킨다.
- 독성이 있는 난분해성 방향족 화합물(벤젠, 톨루엔 및 크레졸 등)을 사슬화합물로 전환시킨다.
- 긴 사슬 화합물질을 짧은 사슬화합물의 이온화물질로 전환시킨다.
하기 도 1은 이온화 기체의 발생과정 및 물속에서의 반응과정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하기 표 1은 반응물질의 생성반응을 각각 나타낸 반응식이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 발생기를 통하여 발생된 이온화 기체는 공기와 섞이면서 일정압력으로 산기장치를 통해 가압되어 방출됨으로써 상기 저수조 내의 이온수는 상기 압력에 의해 와류(vortex)를 형성하여 저수조 내에 있는 과일 및 채소류가 서로 활발히 움직여 상기 이온수와의 접촉면적이 극대화됨으로써, 이온수와 과일 및 채소류의 표면에 붙어 있는 오염물질과의 반응이 고르게 충분히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이온화 기체의 방출압력은 저수조의 물깊이가 3m인 경우 3,000∼ 5,000㎜Aq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압력이 3,000㎜Aq미만이면 저수조내의 와류효과가 떨어지고, 5,000㎜Aq을 초과하면 저수조내의 과와류현상에 따른 과일 손상과 경제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그 다음, 상기 세척 및 소독과정을 마친 과일 및 채소류는 스키머(skimmer)를 이용하여 탈수 및 건조 수단으로 옮겨져 표면의 물기가 제거된 후, 다음의 포장단계에서 각각의 상품 특성에 맞추어 포장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모든 작업은 전자동시스템을 통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이온수를 이용한 과일·채소류의 세척방법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세척장치는 과일·채소류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수단; 상기 과일·채소류가 투입되는 저수조, 이온화된 기체를 발생시키기 위한 플라즈마 발생기, 상기 플라즈마 발생기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이온화 기체 및 공기를 상기 저수조로 내보내기 위한 송풍수단, 및 상기 저수조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이온화 기체 및 공기를 상기저수조에 방출하기 위한 산기수단을 구비한 세척 및 소독장치; 상기 세척 및 소독된 과일·채소류를 수거하기 위한 스키머; 상기 수거된 과일·채소류를 탈수 및 건조시키기 위한 탈수 및 건조수단; 및 상기 탈수 및 건조된 과일·채소류를 특성에 맞추어 포장하기 위한 포장수단;으로 구성된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온수를 이용한 과일·채소류의 세척장치의 배열을 공정순서에 따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온수를 이용한 과일·채소류의 세척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계통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척장치는 과일 및 채소류를 저수조에 투입하기 위한 투입수단(10), 상기 투입수단(10)을 통해 공급된 대상 농산물을 세척하고 소독하기 위한 세척 및 소독장치(20), 상기 세척 및 소독장치(20)에 의해 세척 및 소독된 대상 농산물을 수거하기 위한 스키머(30), 이로부터 수거된 농산물을 탈수 및 건조시키기 위한 탈수 및 건조수단(40), 및 상기 탈수 및 건조된 농산물을 특성에 맞추어 포장하기 위한 포장수단(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세척 및 소독장치(20)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세척 및 소독장치(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일 및 채소류를 투입되는 저수조(2d), 이온화된 기체를 발생시키기 위한 플라즈마 발생기(2b), 공기를 내보내어 상기 이온화 기체를 일정압력으로 운반하도록 상기 플라즈마 발생기(2b) 전단에 설치된 송풍수단 (2a), 상기 공기와 이온화 기체를 혼합된 상태로 상기 저수조(2d)로 운반하기 위한송풍관 파이프(2e) 및 상기 송풍관 파이프(2e)에 연결되고 상기 저수조(2d) 내에 설치되어 상기 운반된 이온화 기체를 일정압력으로 물속에 뿜어내어 방출하기 위한 산기수단(2f)을 구비한다.
특히, 상기 송풍수단(2a)은 저수조의 크기에 따라 3,000∼5,000㎜Aq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공기를 밀어냄으로써 플라즈마 발생기(2b)에서 발생한 이온화 기체가 배관내의 가속화된 공기의 흐름에 끌려 섞이며 저수조(2d)의 하단부에 설치된 산기수단(2f)을 통해 방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송풍수단(2a)은 주(main)송풍기와 예비(stand-by)송풍기로 2대가 설치되어, 주 송풍기가 고장 등으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는 경보음이 울리면서 예비송풍기로 자동으로 연결되어 작동되도록 릴레이(relay)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송풍관 파이프(2e)는 이온화 기체가 배관재 내의 탄소와 결합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낮은 탄소함량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척 및 소독장치(20)는 저수조(2d)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수단(2c), 세척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수단(2g), 각각의 급수 및 배수수단에 물을 공급 및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 파이프(2h) 및 이들 각 부분을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MCC 패널부(2i)를 더욱 구비한다.
특히, 상기 MCC 패널부(2i)에서는 이온화된 기체가 원하는 시간동안 자동으로 저수조에 공급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화되어 자동으로 셋팅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시 수동으로 전환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산기수단(2f)을 통해 가압되어 방출되는 이온화 기체는 저수조 (2d) 내의 물분자의 이온화를 야기시켜 오염물질 분자를 산화, 환원 파괴시킬 뿐만 아니라, 저수조 내의 이온수를 와류(vortex)시킴으로써 과일 및 채소류가 이온수 속에서 자연스럽게 움직여 자체 접촉 마찰이 유도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과일 및 채소류의 표면 각 부위에 골고루 이온수가 접촉되어 오염물질 분자와 충분히 반응함으로써 세척 및 살균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세척 및 소독장치(20)에 의해 세척 및 소독된 과일·채소류는 스키머 (30)로 수거되고 탈수 및 건조수단(40)에 운반되어 탈수 및 건조조(4a)에서 상기 과일·채소류 표면에 남아 있는 물기가 제거된 후, 포장수단(50)에서 각각의 과일·채소류의 특성에 맞추어 포장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지만, 하기 예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2 및 3과 같은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를 통하여 과일(사과와 감귤)의 세척 전 단계의 오염 데이터와 본 발명에 따라 세척후의 오염 데이터를 측정하였다. 단, 세척 전의 오염 데이터는 본 실험을 위해 하기 표 2에 언급된 살충제와 살균제를 약간 량 씩 대상 과일에 분무한 후 측정한 데이터이다.
처리용량이 3㎥(1m L×1m W×3m H)인 저수조에 세척전의 사과와 감귤을 각각 10개씩 넣고 약 15분간 플라즈마 발생기를 이용하여 이온화기체를 발생시킨 후 송풍기를 이용하여 약 3,000㎜Aq의 압력으로 저수조로 압송하였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이온화기체가 공기와 섞이면서 저수조로 방출되었다.
약 15분간 공기와 이온화기체의 혼합기체가 저수조의 산기수단을 통해 물 속에서 물 분해를 일으켜 이온수로 변화하여 사과와 감귤의 표피에 존재하는 각종 잔류농약 성분의 오염물질과 반응하고, 또한 3,000㎜Aq의 압력에 의해 저수조내의 물이 와류(vortex)를 일으켜 사과와 감귤들이 자체 마찰하여 사과와 감귤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구분 세척전 검출량 평균치 (㎎/㎏) 세척후 검출량 평균치 (㎎/㎏) 잔류농약허용기준(㎎/㎏)
농약성분 용도 사과 감귤 사과 감귤
메치다치온(Methidation) 살충제 3.0 3.5 0.14 0.17 0.3
디크로보스(Dichlorvos) 살충제 1.3 1.5 0.03 0.05 0.1
EPN 살충제 1.5 1.4 0.04 0.08 0.1
클로로타로닐(Chlorothalonil) 살균제 7.0 9.0 0.2 0.4 1.0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강력한산화력 및 살균력을 갖는 이온수를 사용하여 모든 과일과 야채의 생산지, 장기보관장소, 수입농산물 검역소 근처 또는 출하단계 및 출하 후의 제품포장 전 단계에서 최소면적의 부지에 본 발명에 따른 세척장치를 설치하여 모든 과일과 채소류의 이물질, 농약 및 방부제 등의 인체 유해성분을 전자동으로 완전 세척 및 살균시켜 중화 제거함으로써, 과일 및 채소류 등을 유기농산물과 동등한 수준으로 껍질채 위생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이를 섭취하는 소비자의 건강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세척수를 별도의 처리 없이 방류시킬 수 있어 세척에 따른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5)

  1. 과일·채소류 및 물을 저수조에 투입시키는 단계;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이온화 기체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이온화 기체를 상기 저수조 내에 송풍시켜 생성된 이온수로 상기 과일·채소류를 세척 및 살균시키는 단계;
    상기 세척 및 살균된 과일·채소류를 수거하여 표면에 묻은 물기를 탈수 및 건조시키는 단계; 및
    상기 탈수 및 건조된 과일·채소류를 특성에 맞추어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수를 이용한 과일·채소류의 세척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압력이 저수조의 물깊이가 3m인 경우 3,000∼ 5,000㎜Aq이고, 상기 저수조 내에 와류를 발생시켜 상기 과일·채소류 표면의 오염물질 및 이온수와의 반응을 극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수를 이용한 과일·채소류의 세척방법.
  3. 과일·채소류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수단;
    상기 과일·채소류가 투입되는 저수조, 이온화된 기체를 발생시키기 위한 플라즈마 발생기, 상기 플라즈마 발생기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이온화 기체 및 공기를 상기 저수조로 내보내기 위한 송풍수단, 및 상기 저수조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이온화 기체 및 공기를 상기 저수조에 방출하기 위한 산기수단을 구비한 세척 및 소독장치;
    상기 세척 및 소독된 과일·채소류를 수거하기 위한 스키머;
    상기 수거된 과일·채소류를 탈수 및 건조시키기 위한 탈수 및 건조수단; 및
    상기 탈수 및 건조된 과일·채소류를 특성에 맞추어 포장하기 위한 포장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수를 이용한 과일·채소류의 세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및 소독장치는 저수조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수단, 세척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수단, 및 상기 각각의 구성장치를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MCC 패널부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수를 이용한 과일·채소류의 세척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수단은 주(main) 송풍기 및 예비(stand-by) 송풍기로 구성되며, 상기 주 송풍기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 상기 예비송풍기로 자동으로 연결되도록 릴레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수를 이용한 과일·채소류의 세척장치.
KR1020020018077A 2002-04-02 2002-04-02 이온수를 이용한 과일·채소류의 세척방법 및 그 장치 KR200300792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8077A KR20030079213A (ko) 2002-04-02 2002-04-02 이온수를 이용한 과일·채소류의 세척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8077A KR20030079213A (ko) 2002-04-02 2002-04-02 이온수를 이용한 과일·채소류의 세척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9213A true KR20030079213A (ko) 2003-10-10

Family

ID=32377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8077A KR20030079213A (ko) 2002-04-02 2002-04-02 이온수를 이용한 과일·채소류의 세척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7921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911B1 (ko) * 2005-09-21 2007-07-10 한국식품연구원 과일표면 세척방법
KR20140124592A (ko) * 2013-04-17 2014-10-27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살균 세정장치
CN108497519A (zh) * 2018-04-23 2018-09-07 江苏省农业科学院 基于低温等离子技术的叶菜清洗解毒保鲜一体化装置及其使用方法
US11617386B2 (en) 2018-03-07 2023-04-04 Chan Ju KIM Bubble sterilizing clean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8708A (ko) * 1996-10-24 1998-07-15 원승호 식품의 살균방법
JPH11243934A (ja) * 1998-02-27 1999-09-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野菜洗浄装置
KR200222494Y1 (ko) * 1998-08-07 2001-05-02 박찬의 살균 세정 장치
KR20020023631A (ko) * 2000-09-23 2002-03-29 황현배 오존 및 음이온 발생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8708A (ko) * 1996-10-24 1998-07-15 원승호 식품의 살균방법
JPH11243934A (ja) * 1998-02-27 1999-09-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野菜洗浄装置
KR200222494Y1 (ko) * 1998-08-07 2001-05-02 박찬의 살균 세정 장치
KR20020023631A (ko) * 2000-09-23 2002-03-29 황현배 오존 및 음이온 발생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911B1 (ko) * 2005-09-21 2007-07-10 한국식품연구원 과일표면 세척방법
KR20140124592A (ko) * 2013-04-17 2014-10-27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살균 세정장치
US11617386B2 (en) 2018-03-07 2023-04-04 Chan Ju KIM Bubble sterilizing cleaner
CN108497519A (zh) * 2018-04-23 2018-09-07 江苏省农业科学院 基于低温等离子技术的叶菜清洗解毒保鲜一体化装置及其使用方法
CN108497519B (zh) * 2018-04-23 2023-08-15 江苏省农业科学院 一种叶菜清洗解毒保鲜一体化装置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21166B (zh) 等离子体喷射空气过滤和灭菌系统
CN202962243U (zh) 工业恶臭异味气体处理系统
JP2005515843A6 (ja) プラズマ放電及びフィルタを用いた殺菌・汚染除去システム
JP2005515843A (ja) プラズマ放電及びフィルタを用いた殺菌・汚染除去システム
JP6050545B2 (ja) 殺生物剤を集中的に気相施用する装置及び方法
CN109892019A (zh) 自由基发生装置及其方法
US9592315B2 (en) Plasma injection air filtration and disinfection system
Baggio et al. Antimicrobial effect of oxidative technologies in food processing: an overview
KR100957789B1 (ko) 농산물 세정 방법
KR101793497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 악취 제거장치
KR20030079213A (ko) 이온수를 이용한 과일·채소류의 세척방법 및 그 장치
CN106421863A (zh) 一种太赫兹家用电器的制造杀菌净化空气的制备方法
KR100932102B1 (ko)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주방용 살균 및 탈취시스템
JP2004130006A (ja) オゾン殺菌方法とその装置
CN110572924B (zh) 一种滚动果蔬表面微生物控制的等离子体系统
JP2013031825A (ja) 脱臭除菌除塵空気清浄装置
CN110721326A (zh) 一种实验室多功能消毒清洗机制造及应用
CN111466412B (zh) 一种贝壳基消毒除臭剂及其制备方法
CN215249701U (zh) 一种杀菌效果好的水体综合灭杀器
KR200259694Y1 (ko) 오존발생기의 부엌가구 설치구조
CN211894716U (zh) 一种医用手术器械等离子体消毒柜
CN2554931Y (zh) 果蔬真空预冷降解残留双效成套设备
Sorică et al. Considerations on the use of ozone within different decontamination processes.
RO133071A2 (ro) Echipament pentru decontaminare cu ozon în soluţie apoasă
KR20220165027A (ko) 영상정보를 제공 주방용 살균 및 탈취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