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8906A - 디술피드 함유 펩티드 및 질소함유 염기를 포함하는화합물, 및 이의 의약 용도 - Google Patents

디술피드 함유 펩티드 및 질소함유 염기를 포함하는화합물, 및 이의 의약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8906A
KR20030078906A KR10-2003-7010419A KR20037010419A KR20030078906A KR 20030078906 A KR20030078906 A KR 20030078906A KR 20037010419 A KR20037010419 A KR 20037010419A KR 20030078906 A KR20030078906 A KR 20030078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ssg
inosine
composition
monophosphate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0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오니드 에이. 코제미아킨
앤드류 엘. 코제미아킨
Original Assignee
노베로스 쎄라퓨틱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RU2001103535/14A external-priority patent/RU2178710C1/ru
Application filed by 노베로스 쎄라퓨틱스, 인크. filed Critical 노베로스 쎄라퓨틱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030078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8906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2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at least one abnormal peptide link
    • C07K5/0215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at least one abnormal peptide link containing natural amino acids, forming a peptide bond via their side chain functional group, e.g. epsilon-Lys, gamma-Glu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 조성물 및 항-감염성 약리와 같은 의약적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조성물은 질소함유 염기를 포함하는 카운터이온 1종 이상을 비롯하여 GSSG의 염 및 화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질소함유 염기의 예는 DNA 염기, DNA 염기의 뉴클레오시드, DNA 염기의 뉴클레오티드, RNA 염기, RNA 염기의 뉴클레오시드, RNA 염기의 뉴클레오티드, 이노신, 이노신의 뉴클레오티드 및 이의 상동체, 유사체 및 유도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바이러스성 B형 및 C형 간염, AIDS 및 헤르페스와 같은 감염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디술피드 함유 펩티드 및 질소함유 염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및 이의 의약 용도{COMPOUNDS COMPRISING DISULFIDE-CONTAINING PEPTIDES AND NITROGENOUS BASES, AND MEDICAL USES THEREOF}
B형 간염(HBV) 및 C형 간염(HCV)에 의해 야기되는 감염은 HIV에 의한 감염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전파된다. HBV, 특히 HCV에 의한 감염 속도는 최근 증가하고있다. 세계 일부 지역에서는, 10% 이상의 성인 인구가 C형 간염에 감염되어 있다. 또한, HCV는 만성 상태로 진행할 잠재성이 높고 전범위의 심각한 간 질환의 원인일 수 있다. 특히, HCV는 70% 이상의 만성 간염 경우, 40%의 간 경화 및 60%의 간세포성 암종의 원인이다 (J. Hepatol. 1999, 30:956-961).
만성 바이러스성 간염, 특히 C형 간염의 진행의 기본적 기전은 면역 감시기구의 "바이러스 회피" 뿐만 아니라 소위 "유사-종"으로 알려진 변형되었으나 유사한 게놈을 갖는 복수의, 동시에 존재하는 바이러스 변이체의 출현을 포함한다. 최근의 연구는 간 세포 중 바이러스 특이적 T-림프구의 존재를 보여주고, 이는 C형 간염의 면역 매개 병인을 나타낸다. (Naoumov NV., Gastroenterology, 1999, 117:1012-1014.) 더구나, 간내 CD4+ 세포의 함량에 대한 간 형태 (크노델 지수; Knodell's index)의 심각도의 의존성이 발견되었다 (Tran A et al., Dig. Dis. Sci. 1997, 42:2495-2500). HCV NS3에 대한 CD4+, CD8+ 및 CD16/56+ 반응이 자발적 C형 간염 회복 및 항바이러스 요법의 긍정적 결과에 매우 중요한 것으로 기술되었으므로, T-세포 반응이 일차적으로 중요하다 (Gerlach JT et al., Gastroenterology, 1999, 117:933-941; Cramp ME et al., Gut 1999, 44:424-429).
면역 반응은 생성되는 사이토카인이 상이한 T-헬퍼 1 (Th1) 및 T-헬퍼 2 (Th2)인 T-림프구의 CD4+ 클론의 우세한 관여 및 세포 또는 체액 경로를 통한 면역 반응 활성화에 따라서 다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Th1 생성 인터페론-감마 (IFN-γ), 인터류킨-2 (IL-2), 종양 괴사 인자 알파 및 베타 (TNF-α 및 β)의 활성화는 T-림프구 및 대식세포 기능의 자극, 즉 세포 매개 면역 반응을 유발하고, 이는 항바이러스 방어에 결정적이다. Th2 방출 IL-4, IL-5, IL-6, IL-9, IL-10 및 IL-13은 체액성 면역을 유발한다. 따라서, Th1/Th2 세포 간의 사이토카인 생성의 균형 변화가 HBV, HCV 및 HIV의 면역 병인에 일차적으로 중요하다. Th2 유형 사이토카인의 우세한 참여는 바이러스 존속 및 질환 진행과 관련된다. Th1-의존성 사이토카인 생성의 활성화는 급성 바이러스 감염으로부터의 자발적 회복을 촉진하고(하거나) 바이러스 제거 및 손상된 기관의 기능적 능력을 복구하는 제제의 치료적 유효성을 증진시킨다 (Eckels, D.D. et al., Hum. Immunol., 1999, 60:187-199; Ferrari, C. et al., Cancer Res., 1998, 154:330-336; Fan, X.G. et al., Mediators Innamm. 1998, 7:295-297; Rehermann, B. et al. Cur. Top. Microbiol. Immunol. 2000, 242:299-325).
다면적 사이토카인인 IL-12의 기능은 숙주 면역 반응 조절의 인자일 수 있다. Th1/Th2 균형을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IL-12는 대식세포 기능, 특히 간에 존재하는 대식세포 (쿠퍼 세포)의 기능을 조절한다. 만성 C형 또는 B형 간염에서, IL-12는 Th1 세포에서의 사이토카인 방출을 활성화하고, 상응하는 Th2 기능을 억제한다. 바이러스성 간염의 만성 형태 및 바람직하지 않은 경과는 IL-12 함량 감소를 수반한다 (Schlaak, J.F. et al., J. Med. Viol. 1998, 56:112-117). 따라서, HBV 및 HCV 감염의 경과 및 결과 및 성공적인 치료에 관련된 T-세포 면역성은 항원 자극에 반응할 수 있는 적합한 사이토카인의 내적 생산에 의존한다. 숙주 면역 반응 및 새로운 "유사-종"의 생성과 경쟁적인 이들 사이토카인의 생성은 모두 숙주 면역 반응의 표적화 및 강도를 조절하는 능력을 결정한다.
바이러스성 간염에 대한 항바이러스 화학요법은 다음의 3가지 주요 군과 관련된다: (1) 뉴클레오시드 유사체, 뉴클레오티드 유사체 및 비-뉴클레오시드 유사체를 비롯한 역 전사효소 억제제; (2) 프로테아제 억제제; 및 (3) 피로포스페이트 유사체. 여러 연구는 B형 간염에 대하여 뉴클레오시드 유사체 군에서 가장 효과적인 제제는 라미부딘 (GlaxoSmithKline, Reserach Triangle Park, N.C.), 아지도티미딘 ("AZT", GlaxoSmithKline, Research Triangle Park, N.C.) 및 팜시클로버 (Novartis Pharmaceuticals, East Hanover, N.J.)이고, C형 간염에 대하여 가장 널리 사용되는 치료제는 리바비린 (레베톨(등록상표), Kenilworth, N.J.) 및 아지도티미딘 (GlaxoSmithKline, Research Triangle Park, N.C.)임을 보여준다 (Semenenko, T.A., Inf. Bull. No. 1(8), 2000; Bartholomew, M.W. et al., Lancet, 1997, 349 No. 9044, 20-22; Di Bisceglie, A.M. et al. Ann. Intern. Med., 1995, 123, 897-903).
뉴클레오시드 유사체인 라미부딘을 이용한 만성 B형 간염의 치료가 유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Schiff, E.R., J. Med. Virol., 2000 Jul; 61(3):386-91; Dienstag, J.L. et al., N. Engl. J. Med. 1999 Oct 21; 341 (17): 1256-63; Yao, G.B. et al., DDW 1999). 그러나, 라미부딘의 다수의 부작용은 잘 알려져 있다. 부작용의 예로는 오심, 구토, 설사, 간독성, 신독성, 호중구감소증, 혈소판감소증, 빈혈, 및 피부 발진 및 탈모와 같은 피부학적 반응을 들 수 있다.
단일 제제 요법으로 이용되는 리바비린은 만족스러운 치료 효과를 제공하지 못하나, 고용량의 인터페론 및 리바비린의 장기간 (즉, 12 개월 이상)의 병용 투여는 유망한 치료법일 수 있다 (Pol S. et al., Hepatology, 2000 Jun; 31(6):1338-44). 그러나, 리바비린은 심각한 부작용, 예를 들면 기관지 경련, 폐 부종, 고혈압, 빈혈, 피부 발진 및 무력증이 없지 않다. 그러나, 리바비린의 주된 단점은 이의 낮은 항바이러스 활성 및 바이러스성 간염 치료에 중요한 간보호 효과의 부재이다.
AZT 제제는 HIV 및 헤르페스 감염에 대한 유망한 약물이다 (The Medical Management of AIDS, 4th edition, Sande M. et al., Saunders Company, 1995.). 그러나, 혈액- 및 면역억제, 알레르기성 피부병 및 점액 칸디다증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의 급속한 발생 (2-3 치료 사이클 후)은 AZT의 광범위한 투여를 방해한다.
산화된 글루타티온 (GSSG)의 독특한 성질은 사이토카인 및 조혈 인자의 내적 생성을 자극하는 것으로 이미 밝혀졌다 (러시아 공화국 특허 제2089179호, Kozhemyakin, L.A. et al.)
GSSG 디술피드 결합의 안정화는 종래 발견한 GSSG의 생물학적 및 약리학적 적용의 경우보다 생물학적 매체에서 외적으로 도입된 GSSG 산화 (디술피드) 형태의 반감기를 상당히 연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러시아 공화국 특허 제2089179호, Kozhemyakin, L.A. et al.; 러시아 공화국 특허 제2153350호, Kozhemyakin, L.A. et al.). 생물학적 매체에서, GSSG는 NADP·H+-의존성 글루타티온-환원효소에 의해 대사되고, 이는 GSSG 디술피드 결합을 절단하여 2 분자의 환원된 글루타티온 (GSH)을 형성한다.
생물학적 매체 중에서 디술피드 형태의 외적으로 도입된 GSSG 반감기를 연장하기 위하여, 이노신 또는 이노신-모노포스페이트 (IMP)를 첨가하여 NADP·H+-의존성 글루타티온-환원효소의 "공격"에 대하여 GSSG를 보호하는 것은 이미 개시되어 있다 (러시아 공화국 특허 제2153350호, Kozhemyakin, L.A. et al.) 러시아 공화국 특허 제2153350호는 또한 알칼리성 금속 (Na, Li) 또는 알칼리성 토금속 (Ca, Zn, Mg)를 양이온으로 함유하는 성질상 무기성인 복합물의 형태 중 활성 물질로 GSSG를 함유하는 일 군의 제약적으로 허용가능한 물질을 개시한다.
요약하자면, B형 및 C형 간염에 대한 종래 통상적인 치료법은 재조합 인터페론 및 뉴클레오시드 유사체의 투여를 포함한다. 허가된 병용 요법 프로그램 (인터페론, 3 mln IU, 6개월 동안 1주 3회, + 리바비린)은 최근까지 "가장 좋은" 요법으로 여겨지고, 30% 이상의 환자에서 질환 완화를 가져왔다. 근래, 상기 질환은 단지 12 내지 15%의 환자에서만 완화된다. 이러한 통상적인 항바이러스 병용물의 치료 효과의 부정적인 발전은 인터페론이 항체 생성을 유발하는 고분자 (크기가 큰) 단백질이라는 사실로 인한 것이다 (다른 기전을 배제하지 않음). 따라서, 투여량이 높고 상기 치료법이 인간 집단 내에 더 오래 적용될수록 (바이러스성 간염 역학의 진행 속도를 고려함), 시간 경과에 따른 효능이 더 낮고 자가면역으로 나타나는 합병증의 발병률이 높아진다.
관련 출원
본 출원은 2001년 6월 22일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09/887,537호의 일부 계속인 2001년 7월 11일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09/903,443호의 일부 계속이다. 본 출원은 또한 그 전체 내용이 본원에 참고로서 삽입된 러시아 출원 2001103535/14 (2001년 2월 8일 출원)을 우선권 주장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신규 조성물 및 항감염성 약리와 같은 의약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바이러스성 B형 및 C형 간염, AIDS 및 헤르페스(herpes)와 같은 감염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 사용되는 것을 의도하는 펩티드, 뉴클레오시드 및 뉴클레오티드의 활성 대사물에 기초한 신규 치료제의 개발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한 측면은 감염성 질환과 같은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저분자량 화합물, 및 관련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태양에서, 이들 화합물은 동시에 항바이러스, 면역조절, 간 및 혈액 보호 효과를 지녀서 의학적으로 바람직한 결과를 달성하는 주요 세포 조절 인자의 구조 및 기능적 유사체 (활성 대사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화합물은 산화된 글루타티온 (GSSG) (예를 들면, 산화된 염으로), 및 질소함유 염기를 함유하는 카운터이온 1종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제1 군의 항바이러스제 (즉, 라미부딘, 아지도티미딘, 팜시클로버)가 본 발명의 조성물과 비교하여 효능 평가를 위한 원형으로 선택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바이러스성 간염 및 AIDS에 대한 치료 전략은 면역재생제의 공급을 포함한다. 이들 제제는 동시에 (1) 항바이러스제로 작용, 즉 내적 사이토카인 생성을 조절 (헬퍼 또는 세포독성 활성 봉쇄의 조건하에서도 효과를 재현할 수 있도록)하고; (2) 바이러스 복제 활성을 선택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론적 기전이 치료 효과에 대한 기초로서 제안될 수 있으나, 본원에 개시된 발명은 임의의 특정 이론 또는 기전에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GSSG 및 1 이상의 유기 카운터이온 간의 이온 결합 형성을 통하여 얻어진, GSSG의 유기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한다. 일 실시태양은 산화된 글루타티온 염, DNA 염기, DNA 염기의 뉴클레오시드, DNA 염기의 뉴클레오티드, RNA 염기, RNA 염기의 뉴클레오시드, RNA 염기의 뉴클레오티드, 이노신, 이노신의 뉴클레오티드 및 이의 동족체, 유사체 및 유도체 1 종 이상을 비롯한 질소함유 염기를 포함하는 산화된 글루타티온의 카운터이온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실시태양에서, GSSG 염은 질소함유 염기의 프로톤화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카운터이온을 갖는 음이온을 포함한다. 음이온은 GSSG의 글리신 잔기의 카르복실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태양에서, 프로톤화 질소는 질소함유 염기의 헤테로사이클의 일부이다. 염의 예로는 GSSG 및 이노신-모노포스페이트 (GSSG·IMP); GSSG 및 유리딘-모노포스페이트 (GSSG·UMP)를 포함한다.
일 실시태양에서, GSSG 염은 GSSG의 D-형태를 포함한다.
일 실시태양에서, 복합물은 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카운터이온을 갖는 양이온으로서 GSSG를 포함한다. 일 실시태양에서, 염은 형성된 이온 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이온 결합은 GSSG의 글루탐산 잔기의 프로톤화 아미노기 (NH3 +) (pH=9.47) 및 뉴클레오티드 음이온의 이온화 1차 포스페이트기 (pH=1.0) 사이에 pH=5-7에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이노신에 공유 결합된 산화된 글루타티온을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GSSG 및 뉴클레오티드-모노포스페이트 (예: 이노신-51-포스페이트, 유리딘-51-포스페이트, 시티딘-51-포스페이트, 티미딘-51-포스페이트, 아데노신-51-포스페이트 및 구아노신-51-포스페이트) 사이의 공유 결합을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태양에서, 공유 결합은 GSSG의 아미노기 및 뉴클레오티드-모노포스페이트의 인산기 사이에 형성된 포스포르아미드 결합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태양에서, 조성물은 GSSG의 D-형태의 염 및 뉴클레오티드-모노포스페이트 사이의 공유 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 22 및 도 23 참조).
하기 용어는 당업계에서 허용되는 바와 같이 본원에서 사용된다.
"대사"는 생존 유기체의 세포 내의 모든 생화학적 반응 전체이다 (Robert C Bohinski "Modern Concepts in Biochemistry", 4th edition, 1987). "활성 대사물"은 대사에 의해 생성되는 모든 생화학적 화합물을 의미하는 것을 의도하고 (통상적으로, 2 내지 9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단쇄 펩티드), 이들의 변형은 다양한 대사 과정의 방향 및 활성을 결정할 수 있다.
"아포토시스(apoptosis)"는 유전적으로 프로그램된 세포 사멸의 일 형태이다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4th edition, p. 511, 1998; Apoptosis: a role in neoplasia, C.D. Gregory, 1996; The Molecular Biology of Apoptosis, D.L. Vaux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3, 1996). 노화 세포는 아포토시스 기전을 통하여 인체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세포 사멸은 배형성 뿐만 아니라 "폐" 활성화 면역 세포의 사멸 도중에 유발될 수 있다. 아포토시스는 생리학적인 세포 자살일 수 있다.
사이토카인은 종종 단백질인 인체 조절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고, 통상적으로 면역적격 세포에 의해 생선된다. 사이토카인은 면역 반응, 조혈 및 아포토시스 과정의 인자이다. 사이토카인은 인터류킨 (IL - 예: IL-1β, IL-2, IL-4, IL-5, IL-6, IL-9, IL-10, IL-12 및 IL-13), 인터페론 (IFN - 예: IFN-γ), 종양 괴사 인자 (TNF - 예: TNF-α 및 β) 및 에리스로포이에틴 등을 포함한다. 사이토카인 생성의 속도 및 함량은 감염성 질환을 비롯한 다양한 질환의 병인의 성질을 결정한다.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4th edition, p. 511, 1998; Cytokines in oncohematology, L.A. Grachyova, Moscow, 1996).
CD3+; CD4+; CD8+; CD16/56+ (NK-세포)로 표시되는 면역적격 세포는 주어진 세포 유형에 특이적인 상이한 유형 (상이한 마커)의 T-림프구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고, 항원 또는 다른 병인 원소에 대한 숙주 면역 반응을 형성한다.
크노델(R.G. Knodell) 등 (1981)에 의해 제안된 크노델 조직학적 활성 지표 (HAI)는 간 세포 중의 염증 및 괴사성 손상의 특성 및 강도 뿐만 아니라 간 조직의 형태학적 변화의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크노델 지표는 또한 간 조직 손상의 활성 속도를 반-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지표는 B형 및 C형 바이러스성 간염을 비롯한 상이한 유형의 간염에 대하여 점-기준 시스템을 포함한다. 1-3점의 스코어는 최소 활성을 나타내고, 4-8점은 낮음 내지 중간 활성을 나타내고, 9-12점은 중간 활성을 나타내며, 13-18점은 통상적으로 경화성 간 변화에서 발견되는 심한 활성을 나타낸다.
중합효소 연쇄 반응 (PCR)은 B형 간염 바이러스 (HBV) 또는 C형 간염 바이러스 (HCV)와 같은 DNA 및 RNA 바이러스의 복제 활성의 존재 (+) 또는 부재 (-)를 측정가능한 기술이다. 정량적 PCR은 또한 혈액 1 ml 당 바이러스 카피 수를 추정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높은 복제 활성, 즉 숙주 유기체에서의 활동적 바이러스 복제 (높은 바이러스 "로딩")은 심각한 감염성 임상 경과를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바이러스 복제 활성의 종결 또는 이의 상당한 감소는 바이러스 질환에 투여된 약물의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C형 간염 바이러스의 비구조 단백질 (NS3)은 바이러스 복제, 따라서 활성에 필요한 주요 조절 바이러스 단백질이다. 상기 단백질은 하기 3개의 촉매 성질을 보유한 다기능 효소이다: (1) 프로테아제; (2) 헬리카제 (바이러스 이식을 위하여 숙주 DNA의 "꼬임을 품"); 및 (3) ATP-아제, 즉 정력적 바이러스 복제 (예: "캡" 복제)를 제공하기 위한 ATP 절단 능력. (P. Galinari et al., J. Virol., August 1998, p. 6758-6769, Vol. 72, No. 8).
본 발명의 다른 잇점, 신규한 성질 및 목적은 첨부한느 도면을 함께 고려하는 경우 하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수 있다. 일부 첨부 도면은 개요이고, 당업자들에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화학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형식을 나타내는 것으로 의도된다. 명백히 하자면, 도해가 당업자들이 본 발명을 이해하게 하는데 필요하지 않은 경우 모든 성분이 모든 도면에 라벨링된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각 실시태양의 모든 성분을 나타낸 것은 아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아데닌을 갖는 비스-(γ-L-글루타밀)-L-시스테이닐-비스-글리신 (GSSG)의 유기 염의 구조식이다.
도 2는 구아닌을 갖는 GSSG의 유기 염의 구조식이다.
도 3은 티미딘을 갖는 GSSG 유기 염의 구조식이다.
도 4는 우라실을 갖는 GSSG 유기 염의 구조식이다.
도 5는 시토신을 갖는 GSSG 유기 염의 구조식이다.
도 6는 5-메틸-시토신을 갖는 GSSG 유기 염의 구조식이다.
도 7은 4-티오우라실을 갖는 GSSG 유기 염의 구조식이다.
도 8은 디히드로우라실을 갖는 GSSG 유기 염의 구조식이다.
도 9는 이온 종 GSSG 및 이노신 (9-β-D-리보푸라노실하이포크산틴)을 포함하는 화합물 (유기 염)의 구조식이다.
도 10은 이온 종 GSSG 및 티미딘 (3-β-D-2-데옥시리보푸라노실티미딘)을 포함하는 화합물 (유기 염)의 구조식이다.
도 11은 이온 종 GSSG 및 유리딘 (3-β-D-리보푸라노실우라실)을 포함하는 화합물 (유기 염)의 구조식이다.
도 12는 이온 종 GSSG 및 R이 리보스 잔기인 구아노신을 포함하는 화합물 (유기 염)의 구조식이다.
도 13은 이온 종 GSSG 및 R이 리보스 잔기인 아데노신을 포함하는 화합물 (유기 염)의 구조식이다.
도 14는 Na2-GSSG 및 유리딘-51-포스페이트 (UMP) 사이에 공유 결합을 포함하는 화합물의 구조식이다.
도 15는 Na2-GSSG 및 사이티딘-51-포스페이트 (CMP) 사이에 공유 결합을 포함하는 화합물의 구조식이다.
도 16은 Na2-GSSG 및 티미딘-51-포스페이트 (TMP) 사이에 공유 결합을 포함하는 화합물의 구조식이다.
도 17은 Na2-GSSG 및 아데노신-51-포스페이트 (AMP) 사이에 공유 결합을 포함하는 화합물의 구조식이다.
도 18은 Na2-GSSG 및 구아노신-51-포스페이트 (GMP) 사이에 공유 결합을 포함하는 화합물의 구조식이다.
도 19는 Zn2-GSSG 및 티미딘-51-포스페이트 (TMP) 사이에 공유 결합을 포함하는 화합물의 구조식이다.
도 20은 Ag2-GSSG 및 유리딘-51-포스페이트 (UMP) 사이에 공유 결합을 포함하는 화합물의 구조식이다.
도 21은 Li2-GSSG 및 구아노신-51-포스페이트 (GMP) 사이에 공유 결합을 포함하는 화합물의 구조식이다.
도 22는 Na2-GSSG의 D-형태 및 시토신-모노포스페이트 (D-글루탐산) 사이에공유 결합을 포함하는 화합물의 구조식이다.
도 23은 Na2-GSSG의 D-형태 및 시토신-모노포스페이트 (D-시스테인) 사이에 공유 결합을 포함하는 화합물의 구조식이다.
도 24는 이온 종 GSSG D-형태 및 우라실을 포함하는 화합물 (유기 염)의 구조식이다.
도 25는 이온 종 GSSG D-형태 및 이노신을 포함하는 화합물 (유기 염)의 구조식이다.
도 26은 이온 종 GSSG 및 퓨린 및 피리미딘 기원의 질소함유 염기를 포함하는 결합 유기 염의 구조식이다.
도 27은 이온 종 GSSG 및 퓨린 및 피리미딘 기원의 뉴클레오시드를 포함하는 결합 유기 염의 구조식이다.
도 28은 GSSG의 아미노기 및 퓨린 및 피리미딘 기원의 뉴클로에티드의 포스포아미드 기 중에 공유 결합을 포함하는 결합 화합물의 구조식이다.
도 29는 Na2(Li2)-GSSG 및 이노신-모노포스페이트 (IMP) 사이 공유 결합의 형성에 의해 얻은 9-β-D-리보푸라노실-5'-포스포릴-N-비스-(γ-L-글루타밀)-L-시스테이닐-비스-글리신의 이나트륨 (이리튬) 염의 구조식이다 (실시예 1).
도 30은 GSSG·이노신으로 치료한 K (만성 B형 간염, 실시예 7)의 임상적, 실험실적 및 형태학적 지표의 발전을 보여주고, DNA +/- 및 RNA +/-는 각각 DNA HBV 및 RNA HCV에 대한 양성 또는 음성 PCR을 나타낸다.
도 31은 GSSG·이노신으로 치료한 Z (실시예 10)의 임상적, 실험실적 및 형태학적 지표의 발전을 보여주고, DNA +/- 및 RNA +/-는 각각 DNA HBV 및 RNA HCV에 대한 양성 또는 음성 PCR을 나타낸다.
도 32는 치료 전 (1999년 10월)의 흉부 X-선 상 (좌폐)이다 (실시예 16 참조).
도 33은 치료 후 (2000년 1월)의 흉부 X-선 상 (좌폐)이다 (실시예 16 참조).
도 34는 실험적 디클로로에탄 간염에 대해 연구한 간보호 약제의 치료 효과를 보여준다 (실시예 17), 1=디클로로에탄, 2=디클로에탄+레가론(Legalon; 등록상표), 3=디클로로에탄+에센티알(Essentiale; 등록상표), 4=디클로로에탄+GSSG·이노신.
도 35는 실험적 아세트아미노펜 간염에 대해 연구한 간보호 약제의 치료 효과를 보여준다 (실시예 17), 1=아세트아미노펜, 2=아세트아미노펜+레가론, 3=아세트아미노펜+에센티알, 4=아세트아미노펜+GSSG·이노신.
도 36은 병용 (디클로로에탄+아세트아미노펜) 실험적 간염에 대해 연구한 간보호 약제의 치료 효과를 보여준다 (실시예 17), 1=디클로로에탄+아세트아미노펜, 2=디클로로에탄+아세트아미노펜+레가론, 3=디클로로에탄+아세트아미노펜+에센티알, 4=디클로로에탄+아세트아미노펜+GSSG·이노신.
도 37은 병용 실험적 간염 (디클로로에탄+아세트아미노펜)에서 세포용해 증후군 지표 (ALT, AST)의 변화를 보여준다 (실시예 17), 열 1=ALT, 열 2=AST, 1=비손상 동물, 2=병용 중독, 3=GSSG·이노신으로 치료, 4=레가론(등록상표)으로 치료, 5=에센티알(등록상표)로 치료.
도 38은 병용 실험적 간염 (디클로에탄+아세트아미노펜)에서 혈액 빌리루빈 함량 변화를 보여준다 (실시예 17), 열 1=ALT, 열 2=AST, 1=비손상 동물, 2=병용 중독, 3=GSSG·이노신으로 치료, 4=레가론(등록상표)으로 치료, 5=에센티알(등록상표)로 치료.
도 39는 GSSG·이노신으로 치료하기 전 및 후의 만성 바이러스성 C형 간염 환자의 사이토카인 혈청을 보여준다 (실시예 11 참조).
도 40은 GSSG·이노신으로 치료한 급성 바이러스성 B형 간염 환자의 면역학적 지표의 발전을 보여준다 (실시예 5 참조).
도 41은 GSSG·이노신으로 치료하기 전 및 후의 만성 바이러스성 C형 간염 환자의 면역학적 지표의 발전을 보여준다 (실시예 11 참조).
도 42는 이노실-5'-포스포릴-GSSG-Na2의 합성의 개요이다, I=이노신-5-모노포스페이트, HOSu=옥시숙신이미드, DCC=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II=에테르 활성화 이노신-5-모노포스페이트 옥시숙신이미드, III=이노신-5-모노포스포릴-N-글루타티온 (실시예 1).
상세한 설명
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산화된 글루타티온 (GSSG)의 유기 염을 포함한다.글루타티온 (GSH)는 글리신 잔기에 결합된 시스테인 잔기에 결합된 글루탐산 잔기를 포함한다. "잔기"는 2 이상의 더 작은 분자로 이루어진 더 큰 분자 내의 단일 단위를 지칭한다. "잔기"라는 용어는 결합에 의해 종종 소수의 원자 또는 작은 분자 (예: 물)이 제거되고 2개의 분자가 함께 더 큰 분자를 형성하는 것을 설명한다. 산화된 글루타티온은 글루타티온 중의 시스테인 잔기의 -SH 기를 산화하는 것에 의해 2개의 -S· 라디칼이 결합하여 디술피드 단위에 의해 연결된 다이머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유기 염"은 1 이상의 카운터이온이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을 지칭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조성물은 1 이상의 카운터이온이 질소함유 염기를 포함하는 GSSG의 염을 포함한다. "질소함유 염기"는 염기의 화학적 성질을 갖는 임의의 질소를 포함하는 분자를 포함한다. 일 실시태양에서, 질소함유 염기는 수소 원자가 유기 잔기로 치환된 NH3의 임의의 유도체를 포함한다.
질소함유 염기의 광물 또는 유기 산과 같은 화합물과의 상호작용은 염 형성을 일으킨다. 이온 쌍 내에서, 질소함유 염기는 질소함유 염기의 질소 원자 상의 단독 쌍을 통한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양이온으로 존재한다. 당업자는 질소함유 염기를 스크리닝하고 염기를 GSSG와 화학적으로 상호작용시킬 수 있다. 안정한 유기 염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본 발명의 측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질소함유 염기의 예로는 DNA 염기, DNA 염기의 뉴클레오시드, DNA 염기의 뉴클레오티드, RNA 염기, RNA 염기의 뉴클레오시드, RNA 염기의 뉴클레오티드, 이노신, 이노신의 뉴클레오티드, 및 이의 상동체, 유사체 및 유도체를 들 수 있다.DNA 염기는 퓨린 (아데닌, 구아닌) 및 피리미딘 (티미딘 및 시토신)이다. RNA 염기는 퓨린 (아데닌 및 구아닌) 및 피리미딘 (우라실 및 시토신)이다. 본 발명에 유요한 뉴클레오시드는 당 (예: 리보스 또는 데옥시리보스)에 결합된 질소함유 염기를 포함한다. 뉴클레오시드의 다른 예로는 알도- 및 케토-트리오스 및 상응하는 테트로스 및 헥소스, 뿐만 아니라 모든 입체이성질체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알도헥소스는 만노스, 갈락토스 및 글루코스를 비롯한 8쌍의 거울상이성질체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른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의 상기 측면에 따른 적당한 당은 글루코스와 유사한 화학 반응성을 갖는 모든 당을 포함한다. 뉴클레오티드는 질소함유 염기, 당 및 1 이상의 포스페이트기를 포함한다. 별법으로, 뉴클레오티드는 뉴클레오시드 및 1 이상의 포스페이트기를 포함한다. 일 실시태양에서, 뉴클레오티드는 모노포스페이트, 디포스페이트 또는 트리포스페이트를 포함한다.
GSSG 중의 시스테인 또는 글루탐산 잔기는 D- 또는 L-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GSSG 중의 모든 아미노산 잔기는 L-형태로 존재한다. 다른 실시태양에서, 2개의 화학적으로 등가인 아미노산이 D-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든 시스테인 잔기는 D-형태로 존재하거나, 또는 모든 글루탐산 잔기가 D-형태로 존재하고, 나머지 아미노산은 L-형태로 존재한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은 D-형태인 2개의 화학적으로 등가인 아미노산 (시스테인) 및 L-형태인 다른 아미노산을 갖는 GSSG·이노신의 D-형태를 제공한다 (도 25 참조). 다른 실시태양에서, 도 24에 나타낸 D-GSSG-우라실 구조는 D-형태의 글루탐산을 제공한다.
산화된 글루타티온은 양이온성 또는 음이온성 잔기를 포함할 수 있는 복수의부위를 갖는다. 일 잔기 상의 전하는 다른 부위가 전하를 증가하거나, 전하를 중화하거나 또는 전혀 효과가 없을 수 있으므로 산화된 글루타티온의 총 전하에 필수적으로 기여하지 않을 수 있다. 에를 들면, 1 이상의 음이온성 잔기의 존재는 GSSG의 음성 총 전하를 가져올 수 있으나, 1 이상의 양이온성 잔기의 존재는 중성 또는 음성 전하의 분자를 가져올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산화된 글루타티온은 음이온성 잔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음이온은 프로톤을 포함하는 모든 부위에서 탈프로톤화에 의해 형성된다. 예를 들면, 카르복실산의 탈프로톤화는 1 이상의 글리신 잔기 및(또는) 1 이상의 글루탐산 잔기 상에 음성 전하의 카르복실레이트기를 생성한다.
음이온성 잔기는 양성 전하의 카운터이온을 필요로 한다. 일 실시태양에서, 카운터이온은 프로톤화된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질소함유 염기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태양에서, 산화된 글루타티온은 양이온성 잔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양이온은 프로톤화 반응에 의해 형성된다. 예를 들면, 임의의 질소 원자 부위에서의 프로톤화는 양성 전하 암모늄기를 생성할 수 있다.
유기 카운터이온 이외에 산화된 글루타티온은 또한 암모늄 양이온 (1 이상의 비수소기를 가짐),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및 전이 금속을 비롯한 동일 또는 다른 유형의 유기 카운터이온 또는 무기 카운터이온을 포함하는 다른 카운터이온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산화된 글루타티온이 1 보다 많은 유기 카운터이온을 갖는 경우, 일 실시태양에서, 1 카운터이온은 퓨린을 포함하고, 다른 카운터이온은 피리미딘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태양에서, 카운터이온 모두가 동일 또는상이한 유형의 퓨린이거나, 카운터이온 모두가 동일 또는 상이한 유형의 피리미딘일 수 있다. 별법으로, 카운터이온은 상기 퓨린 또는 피리미딘의 상응하는 뉴클레오시드 또는 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질소함유 염기는 이노신, 즉,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조식을 갖는 9-β-D-리보푸라노실-하이포크산틴 (이노신)이다. 바람직하게는, 염은 약 1:1의 몰비로 산화된 글루타티온 및 이노신을 포함하는 카운터이온을 포함한다. 상기 비는 특히 증가된 생물학적 및 약리학적 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른 놀라운 발견은 수용액에 단지 약간만 용해성인 이노신이 GSSG의 유기염의 카운터이온으로서 쉽게 용해가능해진다는 것이다 ("GSSG·이노신"). 임의의 이론에 얽매이길 원치 않으면서, 용해도의 이러한 변화는 GSSG 및 이노신 간의 이온 결합의 형성, 즉 육 염의 형성의 증거이다.
일 실시태양에서, 질소함유 염기는 DNA 염기, DNA 염기의 뉴클레오시드, DNA 염기의 뉴클레오티드, RNA 염기, RNA 염기의 뉴클레오시드, RNA 염기의 뉴클레오티드, 이노신 또는 이노신의 뉴클레오티드의 상동체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상동첸"는 그 후속 부재가 조성물 중 정규적인 상이함을 갖는 화학적 계열에 속하는 조성물을 지칭한다. 예를 들면, 상동체는 1 이상의 메틸렌기에 의해 모 조성물과 상이할 수 있다 바람직한 상동체는 요망되는 치료 효과를 제공한다.
일 실시태양에서, 질소함유 염기는 DNA 염기, DNA 염기의 뉴클레오시드, DNA 염기의 뉴클레오티드, RNA 염기, RNA 염기의 뉴클레오시드, RNA 염기의 뉴클레오티드, 이노신 또는 이노신의 뉴클로에티드의 유사체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유사체"는 질소함유 염기와 화학적으로 유사하나 조성이 약간 상이한 (상이한 요소의 한 원자에 의한 1개의 원자의 치환 또는 특정 관능기의 존재로 인하여) 화합물을 포함한다. 질소함유 염기의 유사체의 예는 우라실의 산소 원자가 황 원자로 치환된 4-티오우라실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유사체는 요망되는 치료 효과를 제공한다.
일 실시태양에서, 질소함유 염기는 DNA 염기, DNA 염기의 뉴클레오시드, DNA 염기의 뉴클레오티드, RNA 염기, RNA 염기의 뉴클레오시드, RNA 염기의 뉴클레오티드, 이노신 또는 이노신의 뉴클레오티드의 유도체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유도체"는 알킬, 아릴, 아민, 티올, 포스페이트 및 아미노산과 같은 기로 유도된 질소함유 염기를 포함한다. 유도체의 예로는 5-메틸-시토신 및 디히드로우라실을 들 수 있다. 당업자는 조합법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산화된 글루타티온과 요망되는 염을 형성할 수 있는 질소함유 염기의 적합한 유도체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다른 실시태양에서, 질소함유 염기의 유도체는 아미드 또는 카르복실레이트기에 변형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유도체는 요망되는 치료 효과를 제공한다.
일 실시태양에서, GSSG는 아미드 또는 카르복실기에서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이노신에 공유 결합된 산화된 글루타티온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실시태양에서, 산화된 글루타티온은 포스포아미드 링크를 통하여 이노신에 공유 결합된다. 일 실시태양에서, 산화된 글루타티온 대 이노신의 비는 1:1이다. 이노신은 또한 이노신의 뉴클레오시드 또는 뉴클레오티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유기 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글루타티온을 포함하는 용액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태양에서, 산화된 글루타티온은 염기성 용액에 글루타티온을 첨가하는 것에 의해 제조된다. 유기 염을 얻기 위하여, 양 성분 (산 및 염기)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온화되는 것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실시태양에서, 용액은 하기 수학식 (1) 및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pH를 갖는다.
<수학식 1>
pH ≥pKa-2
<수학식 2>
pH ≤16-pKb
수학식 (1) 및 (2)는 GSSG의 이온화 상수 (pKa) 및 상응하는 질소함유 염기의 이온화 상수 (pKb)를 고려한 것이다.
이어서, 글루타티온은 산화되어 다른 유사 라디칼과 재조합되어 디술피드 결팝을 형성하는 시스테인 잔기 라디칼을 형성한다. 산화는 전기화학적으로 또는 화학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화학적 산화 조건은 산화제의 첨가를 포함할 수 있다. 산화제의 예로는 히드로겐 퍼옥사이드, 공기 또는 산소 + 당업계에 공지된 촉매, 요오딘, 질소 산화물 및 디메틸술폭사이드와 같은 활성 산소를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잇다. "활성 산소"는 다른 화합물로 전달될 수 있는 산소 원자를 지칭한다. 본원에 개시된 모든 질소함유 염기가 용액에 첨가될 수 있다.
별법으로, 유기 염은 음이온 형태로 용액 중에 산화된 글루타티온 자체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실시태양에서, 글루타티온은 먼저 산화되고, 이어서 염기성 용액에 첨가된다. 일 실시태양에서, 용액은 상기 수학식 (1) 및 (2)에 규정한 바와 같은 pH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질소함유 염기를 포함하는 카운터이온을 1종 이상 포함하는 GSSG 염 포함 약제를 통하여 감염성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감염성 질환 군의 예로는 바이러스성 감염성 질환, 세균성 감염성 질환, 혐기성 감염, 클라미디아(chlamydia) 감염, 미코플라스마(mycoplasma) 감염, 진균(mycoses) 및 원생동물(protozoa) 감염을 들 수 있다. 본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광범위한 감염성 질환의 치료 및 이들의 합병증의 예방용 치료제로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목표하는 감염성 질환은 진행이 다음과 같은 것들이다:
a) 감염제 생존 주기에서 세포내 지속성;
b) 숙주 면역 감시를 벗어나게하는 감염제의 유사-가변성 게놈;
c) 림프구-헬퍼의 Th1/Th2 군에 의한 사이토카인 생산의 변화된 적당한 균형 (숙주 방어와 관련), 즉 유효한 숙주 면역 감시의 변화된 방향성;
d) 전신성 세포변성 효과, 특히 간-, 신- 및 혈액세포변성 효과.
본 방법은 세포 보호 효과를 보장하는 T-세포 및(또는) 체액성 항-감염 면역성의 자극을 비롯한 다양한 전략을 고려한 것이다. 아포토시스 기전은 바이러스 감염된 세포에서 아포토시스 유도인자인 FAS/APO-1 항원 (CD95+)의 발현 등으로 유도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 (도 1 내지 29의 구조식 참조)은 다음과 같은 생물학적 및 약리학적 효과의 독특한 조합을 지난다: a) 직접 (HCV NS3 ATP-아제/헬리카제 활성의 억제) 및 간접 (아포토시스 유도인자인 FAS/APO-1 수용체의 발현을 비롯한 바이러스 감염된 세포에서의 아포토시스 유도를 통함) 항바이러스 활성; b) 면역재생 활성; 및 c) 전신성 세포 보호, 특히 경화성 간 변화 예방 및 나아가 간 섬유증의 역전이 가능한 특이적 간보호 효과.
본 발명의 임의의 1 이상의 화합물은 본원에 개시된 임의의 1 이상의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조합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질환에 결핵균을 포함하는 대식세포, 또는 미코플라스마, 클라미디아, 말라리아 플라스모듐 및 다른 감염제로 감염된 세포가 관연되는 일 실시태양에서, 바람직한 치료제는 GSSG·이노신, GSSG·우라실, GSSG·티민, GSSG·아데노신, GSSG·구아닌, GSSG-이노신-모노포스페이트, GSSG-우라실-모노포스페이트, GSSG-티미딘-모노포스페이트 및 GSSG-시토신-모노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치료 유효량이다.
일 실시태양에서, 대상이 C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되고 조성물은 GSSG·이노신, GSSG-이노신-모노포스페이트 및 GSSG-우라실-모노포스페이트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1종 이상을 포함한다.
일 실시태양에서, 대상은 B형 간염 및(또는) C형 간염에 감염되고 조성물은 GSSG·이노신 및(또는) GSSG-이노신-모노포스페이트이다.
일 실시태양에서, 대상은 급성 바이러스성 B형 간염에 감염되고 조성물은 GSSG·이노신 및(또는) GSSG-이노신-모노포스페이트이다.
일 실시태양에서, 대상은 만성 B형 간염, 만성 C형 간염, 후-알코올성 간 질환, 간 경화증, 간세포 암종 및 이의 조합에 감염되고, 조성물은 GSSG·이노신이다.
일 실시태양에서, 대상은 급성 바이러스성 C형 간염에 감염되고 조성물은 GSSG·이노신, GSSG·우라실 및 GSSG-이노신-모노포스페이트 중 임의의 하나이다.
일 실시태양에서, 대상은 만성 바이러스성 B형 간염에 감염되고, 조성물은 GSSG·이노신, GSSG·아데노신, GSSG·구아노신, GSSG-이노신-모노포스페이트 및 GSSG-티미딘-모노포스페이트 중 임의의 하나이다.
일 실시태양에서, 대상은 만성 바이러스성 C형 간염에 감염되고, 조성물은 GSSG·이노신, GSSG·우라실, GSSG·시토신, GSSG·디히드로우라실, GSSG-우라실-모노포스페이트, GSSG-시토신-모노포스페이트 및 우라실-GSSG-이노신 중 임의의 하나이다.
일 실시태양에서, 대상은 경화 상태의 만성 바이러스성 간염에 감염되고, 조성물은 GSSG·이노신, GSSG·유리딘, GSSG·티미딘, Li2-GSSG-이노신-모노포스페이트 및 Na2-GSSG-티미딘-모노포스페이트 중 임의의 하나이다.
일 실시태양에서, 대상은 폐 결핵에 감염되고, 조성물은 GSSG·이노신, GSSG·시토신, GSSG-5-메틸시토신 및 Li2-GSSG-이노신-모노포스페이트 중 임의의 하나이다.
일 실시태양에서, 대상은 비뇨생식기 결핵에 감염되고, 조성물은 GSSG·티미딘, Na2-GSSG-구아노신-모노포스페이트 및 우라실-Li2-GSSG-구아노신-모노포스페이트 중 임의의 하나이다.
일 실시태양에서, 대상은 AIDS,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감염, 엡스타인-바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 및 뉴모시스트(pneumocyst) 중 임의의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감염되고, 조성물은 GSSG·이노신, GSSG·디히드로우라실, GSSG-4-티오우라실, Zn2-GSSG-티미딘-모노포스페이트, Ag2-GSSG-우라실-모노포스페이트 및 유리딘·GSSG·이노신 중 임의의 하나이다.
일 실시태양에서, 대상은 헤르페스성 감염에 감염되고, 조성물은 GSSG·이노신, Li2-GSSG-구아노신-모노포스페이트, D-형태의 Na2-GSSG-시토신-모노포스페이트 및 D-형태의 GSSG·우라실 중 임의의 하나이다.
일 실시태양에서, 대상은 칸디다증에 감염되고, 조성물은 GSSG·유리딘, GSSG-4-티오우라실 및 Ag2-GSSG-우라실-모노포스페이트 중 임의의 하나이다.
일 실시태양에서, 대상은 미코플라스마 감염에 감염되고, 조성물은 GSSG·이노신, GSSG·아데노신 및 Na2-GSSG-아데노신-모노포스페이트 중 임의의 하나이다.
일 실시태양에서, 대상은 클라미디아 감염에 감염되고, 조성물은 GSSG·이노신, GSSG·티미딘, GSSG·유리딘, GSSG·구아노신 및 Na2-GSSG-구아노신-모노포스페이트 중 임의의 하나이다.
일 실시태양에서, 대상은 말라리아 및 레이슈마니아증 중 임의의 하나에 감염되고, 조성물은 GSSG·이노신, GSSG·시토신 및 GSSG-5-메틸시토신 중 임의의 하나이다.
일 실시태양에서, 대상은 혐기성 감염에 감염되고, 조성물은 D-형태의 GSSG·이노신 (D-시스테인) 및 D-형태의 GSSG·우라실 (D-글루탐산) 중 임의의 하나이다.
일 실시태양에서, 대상은 바이러스성 A형 간염, 이질 및 콜레라 중 임의의 하나에 감염되고, 조성물은 GSSG·이노신, GSSG-이노신-모노포스페이트 및 D-형태의 GSSG·우라실 (D-글루탐산) 중 임의의 하나이다.
일 실시태양에서, 대상은 감염성 뇌수막염에 감염되고, 조성물은 GSSG·이노신, Li2-GSSG-이노신-모노포스페이트, D-형태의 GSSG·우라실 (D-글루탐산), GSSG-5-메틸시토신 및 Ag2-GSSG-우라실-모노포스페이트 중 임의의 하나이다.
일 실시태양에서, 대상은 페스트, 야토병(tularemia) 및 탄저병 중 임의의 하나로 감염되고, 조성물은 GSSG·이노신, GSSG·아데닌, GSSG·티미딘, GSSG-5-메틸시토신, GSSG-4-티오우라실, D-형태의 GSSG·우라실 (D-글루탐산), D-형태의 GSSG·이노신 (D-시스테인) 및 아데닌·GSSG·티미딘 중 임의의 하나이다.
일 실시태양에서, 대상은 프리온(prion)에 의한 감염에 감염되고, 조성물은 GSSG·이노신, GSSG·유리딘, GSSG·디히드로우라실, Ag2-GSSG-우라실-모노포스페이트, Ag2-GSSG-티미딘-모노포스페이트 및 우라실-모노포스페이트-Li2-GSSG-이노신-모노포스페이트 중 임의의 하나이다.
일 실시태양에서, 대상은 인플루엔자 및 급성 호흡기 감염 중 임의의 하나에 감염되고, 조성물은 GSSG·이노신, GSSG·아데노신, GSSG·우라실 및 GSSG·티미딘 중 임의의 하나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태양은 GSSG·이노신을 포함하는 치료제를 제공한다. GSSG·이노신이 하기 질환의 치료에 독특한 조합의 생물학적 및 약리학적 효과를 지닌다는 것은 놀라운 발견이다: 바이러스성 B형 및 C형 간염 및 이의 합병증; AIDS (실시예 5-8, 12-13 참조); 헤르페스성 및 비뇨생식기 감염 (실시예 14-15 참조). 본 발명의 상기 측면에 따라서, 특히 바이러스성 간염에 대한 GSSG·이노신의 유익한 치료 효능은 항바이러스, 면역재생 및 간보호 활성을 비롯한 3가지 유형의 활성에 효과적임을 발견하였다.
이들 GSSG·이노신 약리 활성의 유형 각각은 독특한 것임을 발견하엿다. 어떠한 이론에 얽매이기를 원치 않으면서, GSSG·이노신 (이의 D-형태) 및 디술피드 함유 펩티드 및 퓨린/피리미딘 상호작용을 통하여 얻은 다른 화합물의 항바이러스, 면역재생 및 간보호 활성을 비롯한 다양한 기전을 예상할 수 있다.
한가지 항바이러스 기전은 아포토시스 유도인자인 FAS/APO-1 수용체 (CD95+)의 증가된 발현을 비롯하여, 바이러스 감염된 세포 등에서의 아포토시스 기전의 유도를 포함한다 (실시예 3 참조). 본 기전은 DNA 및 RNA 바이러스에 의한 질환의치료 및 예방에 대하여 GSSG·이노신 및 일부 다른 화합물 (GSSG-IMP, GSSG-UMP, Li2-GSSG-IMP, Zn2-GSSG-TMP)의 높은 효능을 포함한다.
GSSG·이노신 항바이러스 활성이 리프트 계곡열 (RVF), 일반화된 헤르페스 감염; 베네수엘라 말 뇌수막염 (VHE); 인플루엔자 (A형 바이러스, H3N2)와 같은 여러 유형의 바이러스 감염에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냄을 발견하였고 (실시예 2 참조), 이는 GSSG·이노신이 통상적인 항바이러스제보다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나아가, 결핵 (실시예 16 참조); 비뇨생식기 감염 (실시예 14-15 참조); AIDS (실시예 12 및 13 참조); 급성 및 만성 B형 감염 (실시예 5-8, 표 12-21, 및 도 30 및 31 참조)의 치료에 대한 감염성 질환 임상에서 GSSG·이노신 및 다른 개시된 화합물의 구체적 치료 활성이 나타났다.
따라서, 바이러스 감염된 세포에서 아포토시스를 유발하는 GSSG·이노신 및 다른 개시된 화합물의 유익한 특성은 또한 미코박테리아, 클라미디아, 미코플라스마, 우레아플라스마(ureaplasma) 및 다른 감염제로 감염된 세포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급성 및 만성 B형 간염에 대한 GSSG·이노신의 치료 효능은 트란스아미나제(transaminase) 활성 (ALT, AST). 빌리루빈, 프로트롬빈 및 HbsAg 함량의 회복에 의해 나타나고, 이는 통상적인 치료의 치료 효능보다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면, 급성 B형 간염에서, 통상적인 치료는 50-60일 치료를 통하여 트란스아미나제 활성, 빌리루빈 및 HbsAg 함량의 긍정적 변화를 모니터링한다. GSSG·이노신을 단일 제제 치료법으로 적용하는 것에 의해, 결과는 14-17일에 달성된다 (실시예 5 및 6, 표 12-17 및 도 40 참조).
급성 B형 간염의 경우, 적용된 치료 효능의 지표는 트란스아미나제 활성 (간세포의 세포용해 속도를 나타냄) 및 PCR 시험에 의해 측정되는 바이러스 복제 활성이다. 상기 지표를 사용하여, 통상적인 제제 (재조합 인터페론 및 뉴클레오티드 유사체)를 이용한 만성 B형 간염 치료 효능은 34-40% 이하의 HBV DNA (최대 100%)에 대한 양성 PCR의 백분율 감소를 제공하고, 즉 60-70% 환자에서의 치료는 효과적이지 않다. 대조적으로, GSSG·이노신을 이용하여 환자의 75-90%에서 음성으로의 양성 (100%의 경우) HBV DNA PCR 전환 결과를 얻는다 (실시예 7-8, 표 17-21, 도 30 및 31 참조). 생합성 및 해독 지표를 통하여 측정되는 바이러스 및 독성 간염의 경우에 기능적 간 능력의 회복은 예를 들면 헵트랄(Heptral; 등록상표) (S-아데노실메티오닌, 독일 루드빅샤펜 소재 크놀 게엠베하) 또는 에센티알(Essentiale; 등록상표) (미국 뉴저지주 브리지워터 소재 아벤티스 파마슈티칼스 인크. 실시예 11, 14 참조)를 이용한 치료와 비교하여 2-3배 감소된 기간에 GSSG·이노신을 이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태양은 DNA-함유 B형 간염 바이러스 (HBV DNA)와 대조적으로 C형 간염 바이러스 (HCV RNA)의 치료에서 GSSG·이노신, GSSG-IMP 및 GSSG-UMP 및 이의 염의 특이적 항바이러스 활성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 바람직한 제제는 C형 간염 바이러스의 조절 비구조적 단백질 - NS3의 ATP-아제/헬리카제 활성을 억제가능하다(실시예 4 참조). Zn2-GSSG-UMP 및 GSSG-UMP의 다른 염 (예: Ag2-GSSG-UMP)는 HCV 및 HIV 양자의 비구조 (조절) 효소 단백질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다.
급성 및 만성 바이러스성 간염, 헤르페스 및 AIDS에 대한 GSSG·이노신의 강력한 치료 효능 (실시예 5-14 참조)는 간접 (바이러스 감염된 세포에서의 아포토시스 유도) 및 직접 항바이러스 성질 (HCV NS3ATP-아제/헬리카제 활성의 억제)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으며, 이는 바이러스성 C형 간염에 대한 예방 및 치료의 독특한 성질이다.
동시에, GSSG·이노신 D-형태는 바이러스 감염, 특히 바이러스성 간염 및 또한 AIDS에 대하여 유리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었고, 이는 높은 바이러스 복제 활성의 중단 및 이들의 제거를 보장한다 (실시예 12 참조).
GSSG·이노신 면역재생 성질을 통한 T-세포 면역성의 직접 활성화는 GSSG·이노신 및 일반 화합물의 제2 유형의 약리학적 활성으로서 바이러스성 간염, 특히 C형 간염의 치료에서 매우 중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GSSG·이노신 면역재생 효능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T-세포 면역성의 활성화가 우세한 Th1/Th2 세포의 사이토카인 생성비의 정상화;
* IL-2, IL-12 및 IFN 및 TNF의 우세한 생산 자극.
임상 사례 실시예 9-11은 만성 감염에 대한 심각한 경과 (바람직하지 않은 만성 C형 간염 경화)에 대한 특징적 Th1/Th2 T-헬퍼기에 의한 변화된 사이토카인생산 균형은 GSSG·이노신의 적용에 의해 유익하게 회복됨을 보여준다. 나아가, GSSG·이노신의 투여 후 HCV-감염 환자에서 관찰되는 IL-4, IL-10, IL-6 및 IL-13과 같은 Th2 사이토카인기의 우세한 활성은 IL-2, IL-12, IFN-α 및 γ 및 TNF-α 및 β의 방출이 증가된 Th1 사이토카인기 활성이 우세하게 전환된다. 동시에, T-세포 면역성이 상당히 부양되고 (CD4+, CD8+, CD16/56+, CD25+가 증가되고, 내재 대식세포가 자극됨), 이는 HBV 및 HCV (B 및 C형 간염의 바이러스)가 적합한 면역 감시하에 놓이게 되고, 이로 인하여 제거되고 바람직한 치료 결과를 일으킨다.
GSSG·이노신 치료 효과의 한가지 중요한 기전은 Th1 기 활성 존재의 유지, 및 따라서 내생 (숙주 자신의) 인터페론의 활성적 생산을 촉진하는 IL-12 방출의 유도이다 (실시예 5-7, 12 참조).
약제로서의 GSSG·이노신 생물학적 및 약리학적 활성의 다른 유형은 독특한 항-경화 효과를 의미있게 결정하는 간보호 활성이다. 상기 기전을 나타내는 감염성 질환은 바이러스성 간염, 특히 C형 간염이다.
40%의 간 경화증 및 60%의 간암은 만성 C형 간염에 의해 야기된다. 만성 C형 간염 치료 문제에 대한 모든 건설적인 해법은 바이러스의 간 조직의 세포변성적 손상의 제거 및 간 악성 변형의 예방과 함께 간 섬유증 형성 과정의 예방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며의 본 발명은 실험적 모델의 간 경화증 및 환자에서 얻은 GSSG·이노신의 항경화 효과의 근거를 개시한다. 특히, 디메틸니트로스아민 (DMNA)의 만성 도입에 의해 유도되는 경화증의 모델은 6 주 동안 1주에 3회 10 mg/kg의 GSSG·이노신 적용 용량이 64%의 결합 조직양의 감소 및 손상된 간세포의 회복 촉진을 보장한다. 대조 약제인 헵트랄(Heptral; 등록상표) (S-아데노실-메티오닌)은 실험 동물에서 단지 35%의 간 섬유증 형성 속도의 감소 및 간 기능 (단백질 합성 등)의 회복에 대한 상당한 작용이 없는 상당히 낮은 치료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18 참조).
유사한 결과가 만성 바이러스성 B형 간염 (및(또는) 만성 C형 간염); 경화 상태 (PCR HBV+; PCR HCV+), 복수, 문맥 고혈압으로 진단되고 GSSG·이노신으로 치료한 환자에서 관찰되었다. 여러 주기의 단일 약제 요법으로 투여된 GSSG·이노신 치료는 환자의 임상 상태 및 특이적 시험의 긍정적 발전으로 확인되는 독특한 치료 효과를 보증하였다 (실시예 8-9, 11 참조).
따라서, GSSG·이노신을 이용한 바이러스성 간염, 특히 C형 간염 환자의 치료는 그 감염 과정의 제거 뿐만 아니라 바이러스성 간염 합병증, 특히 간 경화증 및 암의 예방을 보증한다. 나아가, 알콕성 경화증과 유사한 발전된 독성 경화증의 경우에, 실험 및 환자에서의 GSSG·이노신의 적용은 공지의 간보호 기술 중에 합당한 것이 없는 치료 효능을 나타내었다.
나아가, 실험 및 임상 연구 (실시예 2-18 참조)는 GSSG·이노신 및 다른 개시된 의약제는 감염 과정의 원인병리의 상기 언급한 인자들을 보정하는 능력으로 인하여 높은 치료 효능을 지닌다. 따라서,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GSSG 염 및 다른 치료제를 사용하여 하기 감염성 질환의 경우에 유익한 치료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 원인 인자가 DNA 및 RNA 바이러스와 같은 세포내 병원체인 감염성 질환의 치료; 클라미디아, 미코플라스마 및 우레아플라스마; 급성 및 만성 바이러스성 간염, AIDS, 미코플라스마 및 클라미디아 감여의 치료.
* 원생동물 감염 (말라리아, 레이슈마니아증)의 치료;
* 보충적 치료를 위한 단일 약제 요법으로 및 급성기에 통상적인 항균 치료를 병용한 곰팡이 (진균) 및 폐포자에 의한 질환의 치료.
* 원인인자가 감염제의 지속, 예를 들면 결핵 (대식세포 중 미코박테리아 지속)을 특징으로 하는 비포자 형성 혐기균 뿐만 아니라 그람 양성 및 그람 음성 세균에 의한 감염성 질환의 치료. 이러한 경우, GSSG-뉴클레오티드/뉴클레오티드기의 약제에 의한 감염된 세포 (대식세포 포함) 중의 아포토시스 유도는 미코박테리아에 대한 특이적 화학요법 및 T-세포 면역성의 효과적 영향을 보증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대상은" 감염성 질환과 연관된 상태 (상기 기술한 상태 등)에 감수성일 수 있는 모든 포유동물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지칭한다.
일부 측면에서, 본 발명은 감염성 질환으로 감염될 위험이 있는 대상을 치료하는 것을 의도한다. 이들 대상은 감염성 질환과 관련된 과거의 병을 가지거나 가지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질환에 앞서서, 질환 발병시, 질환 발병에 이어서, 또는 감염성 질환이 있는 것으로 진단받은 대상을 치료하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원에서 사용되는 대상의 "치료"는 예방적 및 치료적 처치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고, 증상 또는 감염성 질환의 발병을 함께 제한 또는 제거하는데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질환 발병은 감염성 질환으로부터 야기될 수 있는 장애 또는 상태를 포함한다.
본 방법은 대상에게 감염성 질환의 위험을 저하, 예방 감소, 억제 또는 치료하기 유효량의 모든 개시된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유효량"은 의학적으로 요망되는 결과를 달성하는 모든 양을 지칭한다.
유효량은 치료되는 특정 상태, 연령 및 치료되는 대상의 물리적 상태, 상태의 심각도, 치료 지속, (있다면) 현재 치료법의 성질, 특정 투여 경로 및 의료 분야의 지식 및 전문지식 범위 내의 기타 인자 등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염성 질환과 관련하여, 유효량은 감염성 질환과 연관된 인자의 성장을 감속 또는 억제하는 양이다.
마찬가지로, 감염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유효량은 감염성 질환의 발전 또는 진행을 감속 또는 중지시키기 위하여 완전히 경감 또는 억제하기 충분한 양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최대 용량, 즉 합리적인 의학적 판단에 따라서 최대한의 안전 용량이 바람직하다.
치료적으로 사용되는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치료적 유효량 투여된다. 일반적으로, "치료적 유효량"은 치료되는 특정 상태의 발병을 지연, 진행을 억제 또는 완전히 중지시키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치료적 유효량은 대상의 연령, 상태 및 성별 뿐만 아니라 대상의 질환의 성질 및 범위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들 모두는 당업자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투여량은 특히 합병증이 있는 경우 개개 의사 또는 수의사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치료적 유효량은 통상적으로 대상의 체중 kg 당 0.01 mg 내지 약 1000 mg이다. 0.1 내지 500 mg/kg의투여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 mg/kg 또는 0.1 내지 50 mg/kg의 투여량 범위가 적합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열거된 투여량은 하루에 적용된다. 다른 실시태양에서, 투열량은 약 0.1 mg/kg 내지 약 200 mg/kg, 약 0.2 mg/kg 내지 약 20 mg/kg, 또는 약 0.1 내지 2 mg/kg의 범위일 수 있다. 다른 실시태양에서, 적용되는 투여량은 약 0.01-1000 mg/kg/일, 0.1-1000 mg/kg/일, 0.1-500 mg/kg/일, 0.1-200 mg/kg/일, 0.1-100 mg/kg/일, 0.1-50 mg/kg/일, 0.1-10 mg/kg/일, 0.1-5 mg/kg/일, 0.1-2 mg/kg/일, 1 ㎍/kg/일 내지 10 mg/kg/일, 1-200 ㎍/kg/일, 1-100 ㎍/kg/일, 1-50 ㎍/kg/일 또는 1-25 ㎍/kg/일의 범위일 수 있다. 이들 투여량은 하루에 1회 이상, 1일 이상 투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약제는 감염성 질환에 대한 약제의 활성을 유리하게 하는 투여량, 제제 및 투여 계획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약제는 대상에 치료 및(또는) 예방적 잇점을 제공하기 충분한 시간 동안 투여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약제는 1일 이상 투여된다. 일부 경우, 특히 일부 경우, 약제는 대상의 남은 평생 동안 투여될 수 있다. 약제가 투여되는 속도는 대상의 필요도 및 투여 양식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부 경우 예를 들면, 질환 발생 도중 또는 직후 대상에 더 많고 높은 빈도의 약제를 투여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으며, 단 여전히 상기 투여는 의학적으로 요망되는 결과를 달성할 것을 조건으로 한다. 다른 한편으로, 이미 달성된 경우 의학적으로 요망되는 결과를 유지하기 위하여 더 낮은 용량을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동일 용량의 약제가 대상의 평생 동안으로 연장가능한 본원에 기술된 치료 기간을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투여 빈도는 대상의 특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약제는 1일 1회, 2일 1회, 3일 1회, 4일 1회, 5일 1회, 1주 1회, 10일 1회, 2주 1회, 1개월 1회 또는 그 이상, 또는 이러한 시간이 본원에 명백히 인용되는 것과 같이 그 사이의 임의의 시간에 투여될 수 있다.
다양한 경로의 투여가 가능하다. 선택되는 특정 양식은 물론 선택되는 특정 약물, 치료되는 상태의 심각도, 및 치료 효능에 요구되는 투여량에 의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일반적으로 의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모든 투여 양식을 사용하여 실행될 수 있으며, 이는 임상적으로 허용되지 않은 부작용을 야기함이 없이 효과적 수준의 활성 화합물을 생성하는 모든 양식을 의미한다. 이러한 투여 양식은 경구, 직장, 경피, 비강, 피내 또는 비경구 경로를 포함한다. "비경구"라는 용어는 경피, 정맥, 근육내 또는 주입을 포함한다. 정맥 또는 근육내 경로는 장기간 요법 및 예방에는 특히 적당하지는 않다. 그러나, 이들은 응급 상황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경구 투여는 환자 및 투여 게획의 편리성으로 인하여 예방적 처치에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제약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모든 표준 생리학적 및(또는) 제약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와 함께 모든 개시된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조성물은 무균이고 치료적 유료량의 조성물을 환자에 투여하기 적당한 중량 또는 부피의 단위 안에 포함하여야 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제약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인간 또는 다른 동물에 투여하기 적당한 1 이상의 상용성 고체 또는 액체 충전제, 희석제 또는 캡슐화 물질을 의미한다. "담체"라는 용어는 이와 함께 활성 성분이 합쳐져서 촉진되는, 천연 또는 합성의 유기 또는 무기 성분을 지칭한다. 제약 조성물의 성분은 또한 요망되는 제약 효능을 실질적으로 손상시킬 수 있는 상호작용이 없는 방식으로 본 발명의 분자 또는 다른 것과 함께 혼합가능한 것이다. 제약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나아가 세포, 세포 배양물, 조직 또는 유기체와 같은 생물학적 시스템과 상용성인 비독성 물질을 의미한다. 담체의 특성은 투여 경로에 의존할 수 있다. 생리학적 및 제약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희석제, 충전제, 염, 완충제, 안정화제, 가용화제 및 당업계에 공지된 다른 물질을 포함한다.
비경구 투여에 적당한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무균 수성 제제의 조성물을 포함하고, 이는 바람직하게는 수용체의 혈액과 등장성이다. 상기 수성 제제는 적당한 분산 또는 습윤제 및 현탁제를 사용하여 공지된 방법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무균 주사가능한 제제는 또한 예를 들면, 1,3-부탄 디올 중 용액으로서, 비독성 비경구적으로 허용가능한 희석제 또는 용매 중의 무균 주사가능한 용액 또는 현탁액일 수 있다. 이용될 수 있는 허용가능한 비히클 및 용매 중에는 물, 링거 용액 및 등장 염화나트륨 용액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합성 모노- 또는 디-글리세리드를 포함하여 모든 무자극성 고정 오일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올레산과 같은 지방산이 주사가능한 제제에서 사용될 수 있다. 경구, 경피, 정맥, 근육내 등 투여에 적당한 담체 제형은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 Easton, Pa.]에서 발견할 수 있다.
경구 투여에 적당한 조성물은 각각 미리 정해진 양의 조성물을 함유하는 캡슐, 정제, 로젠지 등의 분리 단위로 존재할 수 있다. 다른 조성물은 시럽, 엘릭시르 또는 유제와 같은 수성 액체 또는 비수성 액제 중 현탁액으로 존재할 수 잇다.
다른 송달 시스템은 시간-방출, 지연 방출 또는 지속 방출 송달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본원에 투여된 모든 조성물의 반복된 투여를 피하고, 대상 및 의사들에게 편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많은 유형의 방출 송달 시스템은 당업자들에게 입수가능하고 공지되어 있다. 이들은 상기 기술한 폴리머 시스템 뿐만 아니라 폴리머 기재 시스템, 예를 들면 폴리(락티드-글리콜리드), 코폴리옥살레이트,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에스테르아미드, 폴리오르쏘에스테르, 폴리히드록시부티르산 및 폴리안히드리드를 포함한다. 약물을 포함하는 상기 폴리머의 마이크로캡슐은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5,075,109에 기술되어 있다. 송달 시스템은 또한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에스테르와 같은 스테롤을 포함하는 지질 및 모노-, 디- 및 트리-글리세리드와 같은 지방산 또는 중성 지방; 히드로겐 방출 시스템; 실라스틱(sylastic) 시스템; 펩티드 기재 시스템; 왁스 코팅; 통상적인 결합제 및 부형제를 사용한 압축 정제; 부부적으로 융합된 이식제 등인 비-폴리머 시스템을 포함한다. 특정 예로는 (a) 미국 특허 제4,452,775호, 제4,667,014호, 제4,748,034호 및 제5,239,660호에 기술된 것과 같이 매트릭스 내 형태에 조성물이 함유된 부식 시스템, 및 (b) 미국 특허 제3,832,253호 및 제3,854,480호에 기술된 것과 같이 활성 성분이 폴리머로부터 제어된 속도로 투과되는 확산 시스템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펌프 기재 하드웨어 송달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 일부는 이식용으로 이용된다.
장가간 지속 방출 이식제의 사용은 만성 상태의 치료에 특히 적당하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장기간 방출은 치료 수준의 활성 성분을 적어도 30일, 바람직하게는 60일 동안 송달하도록 구성 및 배열된 이식제를 의미한다. 장기간 지속 방출 이식제는 당업자들에게 공지되어 있으며, 본원에 기술된 일부 방출 시스템을 포함한다.
모든 개시된 조성물은 주사 또는 시간에 걸친 점진적 주입을 비롯한 모든 통상적인 경로에 의하여 단독으로 또는 상기 기술한 약물 요법과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다. 투여는 예를 들면, 경구, 정맥, 복강내, 근육내, 강내, 경피 또는 경피일 수 있다. 모든 기술된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풍선 혈관형성술 카테터와 함께 투여하는 것 등에 의한 혈관 손상 부위로의 직접 투여가 바람직하다.
하기는 약 3-150 kg, 또는 약 40-120 kg 범위의 체중을 갖는 대상에 대한 GSSG 화합물 및(또는) 염의 예에 대한 바람직한 투여량 범위이다.
바람직하게는, GSSG·이노신 및 GSSG-이노신-모노포스페이트 (GSSG-IMP), Li2-GSSG-이노신-모노포스페이트 (Li2-GSSG-IMP) 및(또는) 우라실-GSSG-이노신이 급성 바이러스성 B형 및 C형 간염 및 혼합형 간염의 치료에 이용된다. 바람직한 용량 범위는 20-30일 동안 매일 근육내 또는 정맥 투여로 10-30 mg/일이다.
바람직하게는, GSSG·이노신 및 GSSG-이노신-모노포스페이트 (GSSG-IMP) 및(또는) GSSG-우라실-모노포스페이트 (GSSG-UMP)가 만성 바이러스성 B형 및 C형 간염의 치료에 이용된다. 바람직한 투여 범위는 30-60 mg/일을 30일 동안 매일 근육 투여로 및 이어서 3-6개월 동안 하루 걸러서 근육내 투여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간 변화의 형태학적 특성 및 기능적 비정상의 심각도에 따라서 GSSG·이노신 뿐만 아니라 GSSG·아데노신, GSSG·유리딘, GSSG·티미딘 및 Na2-GSSG-티미딘 (Na2-GSSG-TMP)이 만성 간염의 경화 단계의 치료에 이용된다. 바람직한 투여 범위는 30-60 mg/일을 30일 동안 매일 근육내 투여로 및 이어서 3-6개월 동안 하루 걸러서 근육내 투여하는 것이다. 추가로, 매3개월 마다 1회 상기 약제를 5-6일 동안 120-20 mg의 일일 용량으로 간 동맥을 통하여 도입한다.
바람직하게는, GSSG·이노신 뿐만 아니라 GSSG·시토신 및 GSSG-5-메틸시토신은 폐결핵의 치료에 이용된다. 바람직한 투여 범위는 10-30 mg/일을 30일 동안 1일 2회 정맥 또는 근육내 투여로 및 이어서 3-6개월 동안 하루 걸러서 근육내 또는 경피 투여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Na2-GSSG-구아노신-모노포스페이트 (Na2-GSSG-GMP) 및(또는) 우라실-모노포스페이트-Li2-GSSG-구아노신-모노포스페이트 (UMP-Li2-GSSG-GMP)가 비뇨생식기 결핵의 치료에 이용된다. 바람직한 투여 범위는 60-90 mg/일을 30일 동알 1일 1회 정맥 또는 근육내 투여하는 것이다. 미코박테리아 결핵의 존재에 대한 소변 검사의 결과에 따라서 반복된 치료 주기가 투여된다.
바람직하게는, 질환 상태, 기회 감염의 기원 및 카포시 육종의 존재에 따라서, GSSG·이노신, GSSG·디히드로우라실 뿐만 아니라 Zn2-GSSG-TMP, Ag2-GSSG-UMP 및 유리딘·GSSG·이노신이 AIDS 뿐만 아니라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감염,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및(또는) 폐포자에 의한 감염의 치료에 이용된다 바람직한 투여 범위는 30-90 mg/일을 30일 동안 매일 정맥 똔는 근육내 투여로 및 이어서 3개월 동안 3일마다 1회 근육내 또는 경피 투여하는 것이다. 바이러스 로딩 시험의 결과에 따라서 반복된 치료 주기가 투여된다. 주어진 치료 요법은 단일 약제 요법으로 이용되는 것이다. 특정 항바이러스제를 포함하는 병용 요법의 경우, 주어진 치료 요법은 항바이러스 화학요법의 전체 계속기 동안 이용된다.
바람직하게는, Li2-GSSG-GMP 뿐만 아니라 D-형태의 Na2-GSSG-시토신-모노포스페이트 (Na2-GSSG-CMP) 및 D-형태의 GSSG·우라실이 헤르페스의 치료에 이용된다. 바람직한 투여 범위는 60-90 mg/일을 14일 동안 매일 정맥 또는 근육내 투여로 및 이어서 다음 14일 동안 하루 걸러서 손상 부위 주변에 30-60 mg/일을 근육내 또는 경피 투여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USSG·유리딘, GSSG·4-티오-우라실 및 Ag2-GSSG-우라실-모노포스페이트가 진균증의 치료에 이용된다. 바람직한 투여 범위는 60-90 mg/일을 30일 동안 매일 정맥 또는 근육내 투여로 및 이어서 다음 30일 동안 하루 걸로서 손상 부위 주위에 30 mg/일을 근육내 또는 경피내 투여하는 것이다. 실험실 시험 결과에 따라서 반복된 치료 주기가 투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GSSG·이노신, GSSG·아데노신 뿐만 아니라 Na2-GSSG-아데노신-모노포스페이트 (Na2-GSSG-AMP)가 미코플라스마 감염의 치료에 이용된다. 바람직하게는, GSSG·이노신, GSSG·구아노신, GSSG·티미딘 뿐만 아니라 Na2-GSSG-GMP가 클라미디아 감염의 치료에 이용된다. 바람직한 투여 범위는 30-60 mg/일을 항생제 요법의 전체 기간 동안 매일 정맥 또는 근육내 투여하는 것이다. 단일 약제 요법은 30-60일 동안 1주 2회 10-30 mg/일의 근육내 또는 경피 투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말라리아 열원충 또는 레이슈마니아 등의 감염제 유형에 따라서 GSSG·이노신 뿐만 아니라 GSSG·시토신 및 GSSG·5-메틸시토신이 원생동물 감염의 치료에 사용된다. 바람직한 투여 범위는 10-60 mg/일을 특정 화학요범의 전체 지속기 동안 1일 2회 (아침 및 저녁) 정맥 또는 근육내 투여로 및 이어서 45일 동안 1일 1회 20-30 mg/일을 근육내 또는 경피 투여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D-형태의 GSSG·이노신 (D-시스테인) 및 D-형태의 GSSG·우라실 (D-글루탐산)이 혐기성 감염의 치료에 이용된다. 바람직한 투여 범위는 90-120 mg/일을 특정 항생 요법의 전체 지속기 동안 정맥 또는 근육내 투여로 및 이어서 21일 동안 1일 1회 30-60 mg/일을 근육내 또는 경피 투여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Li2-GSSG-GMP, GSSG·이노신 뿐만 아니라 D-형태의 GSSG-우라실 (D-글루탐산)이 바이러스성 A형 간염 및 장 감염 (이질, 콜레라)의 치료에 이용된다. 바람직한 치료 범위를 60-90 mg/일을 특정 화학요법의 전체 지속기 동안 1일 3회 정맥 또는 근육내 투여로 및 이어서 30일 동안 1일 2회 10-30 mg/일을 근육내 또는 경피 투여하는 것이다 (단일-약제 요법으로).
바람직하게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및 급성 호흡기 감염 (ARI)를 유발하는바이러스의 유형에 따라서 GSSG·이노신, GSSG·아데노신, GSSG·우라실 및 GSSG·티미딘이 인플루엔자 및 ARI의 치료에 이용된다. 바람직한 투여 범위는 10-30 mg/일을 7-10일 동안 1일 1회 근육내 또는 경피 투여하는 것이다. 인플루엔자 유행의 경우에, 1회 치료 주기 후 7일 간 단일-약제 요법으로 주어진 약제의 반복된 치료 주기가 10일 동안 1일 1회 10 mg/일의 투여량으로 투여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실시태양의 작용 및 잇점은 하기 실시예로부터 보다 자세히 이해될 수 있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을 의도하나, 가능한 감염성 질환의 넓은 범위에 대한 이들의 적용을 고려할 때 이는 본 발명의 전체 범위를 의도하지는 않는다.
실시예: GSSG·이노신의 합성
400 g (1.3 M)의 환원된 글루타티온 (GSH)를 교반하고 온도를 12-15℃ (얼음 조)로 유지하면서 700 mL의 증류수에 용해하였다. 이어서, 163 mL (0.65 M)의 4N NaOH 용액을 첨가하였다. 용해가 완료된 후, 295 mL의 H2O23% 용액을 온도를 12-15℃로 유지하기 위하여 용액을 얼음 조 중에서 유지하면서 서서히 첨가하였다. 용액을 추가 3-4 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 때 용액 온도는 20℃ 이하로 유지하였다. 반응 완료는 HPLC로 모니터링하였다 (GSSG 목표 함량은 98% 이상). 용액의 pH를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경우 NaOH 4 N 용액을 첨가하여 pH를 5.5로 조정하였다.
이어서, 174.2 g (0.65 M)의 이노신 (균일 무수 분말로)을 첨가하고, 23-25℃에서 10-12 시간 동안 교반을 지속하여 이노신이 용해 완료되도록 하였다.
얻은 용액을 0.7 미크론 이상의 필터를 통하여 통과시켰다. 여과된 용액은 투명, 무색이고, 유백광이 없으며, pH 5.3+/-0.2이어야 한다. 1 N 내지 4 N의 NaOH 용액으로 pH를 6.0으로 조정한다. GSSG 및 이노신에 할당된 피크 (뉴클레오실(Nucleosil) C18, MeCN-0.1% TFA)를 HPLC를 통하여 검사하였다.
얻은 용액을 다음과 같이 동결건조하였다 (또한, 첨부된 동결건조 스케줄 참조):
* 셀브(shelve)를 -20+/-0.2℃ 이하로 냉각함;
* 용액을 셀브에 로딩함;
* 용액을 -35+/-0.2℃ 이하로 동결시킴;
* 동결된 물질을 3+/-0.5 시간 동안 상기 온도에서 유지함;
* 셀브 스위치를 끔;
* 15+/-3 분 동안 -54+/-2℃ 이하로 냉각하는 응축기 스위치를 킴;
* 30+/-5 분 동안 4-6 Pa에 도달하도록 진공으로 함;
* 물질을 2 시간 동안 유지시킴;
* 셀브 및 물질이 일정한 온도에 이르도록 셀브를 점차 가온함.
실시예 1 - 이노실-5'-포스포릴-GSSG-Na의 합성
(I) 일반적 약물 특성.
1. 명칭: 9-β-D-리보푸라노실-5'-포스포릴-N-비스-(γ-L-글루타밀)-L-시스테이닐-비스-글리신 이나트륨 (이리튬) 염
2. 구조식 - 도 42 참조
3. 일반식: C36H55N10O19Na2S2P
4. 분자량: 1072,96 (이나트륨 염).
5. 외관: 백색 무취 분말
6. 용해도: 물, 주사용 염화나트륨의 0.9% 등장 용액에 가용성; 95% 알콜, 클로로포름, 에테르 및 다른 유기 용매에 가용성.
7. 용액 투명도 및 색상: 10 ㎖의 물 중의 0.05 g의 약물 용액은 투명하고 무색임.
8. 0.1% 용액의 pH : 4.5-5.5 (포텐티오메트리(potentiometry))
9. 동정:
a) 아미노산 분석 (6 n HCL, 110℃, 20 시간), (오차 마진 20%, 시스테인에 대하여 - 35%), 대응: 글리신 - 2.00; 글루탐산 - 2.0; 시스테인 - 2.0.
b) NMR(1H)-분광분석, "브루커(BRUCKER)" AM 500, 500 MHz, D2O에 따름
c) HPLC -표준에 대응하는 방출 시간.
10. 순도 (주성분 함량):
a) HPLC에서: 97% 이상;
장치: BECKMAN "Gold Nouveau Chromatography Data System" 버전 1.0, 다이오드 배열 검출 모듈 126.
검정 - 20 ㎕의 0.1% 약물 용액, ULTRASPERE ODS 250×4.6 mm 칼럼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 등장식 아세토니트릴-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2:98) 중 전환된 C18 상을 가짐; 유속 1 ㎖/분, 220 nm에서 검출, 스캐닝 196-600 nm, PDA 기능 - 윤곽 플롯, 3D.
b) 아미노산 검정: 85% (정확한 중량을 갖는 아이템 9a 당 검정);
c)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는 균일하고, 시험은 밴드 중 5 ㎕의 1% 약물 용액의 도입으로 개시하였다. 플레이트 - 키셀겔(Kieselgel) 60f(머크) 10x5 cm, 시스템: n-부탄올 - 아세트산 - 물 (4:1:1). 전개 - 표준 방법에 따라서 - 닌히드린 및 클로린/벤지딘. Rf=0.15;
d) 방출 스펙트럼 방법에 따른 나트륨(Na) 함량은 4.8%였다.
11. 원소 검출 함량, ㎍/g:
은 (Ag) <1.0 (0.0001% 미만)
알루미늄 (Al) 2.0
비소 (As) <1.0
바륨 (Ba) <0.50
베릴륨 (Be) <0.05
칼슘 (Ca) 7.0
카드뮴 (Cd) <0.05
코발트(Co) <0.5
크로뮴 (Cr) 1.7
구리 (Cu) <0.5
철 (Fe) <1.0
칼륨 (K) <2.5
셀레늄 (Se) <2.0
마그네슘 (Mg) <2.5
망간 (Mn) <0.2
몰리브데늄 (Mo) <0.2
니켈 (Ni) <0.5
납 (Pb) <0.40
스트론튬 (Sr) 1.9
티타늄 (Ti) <0.5
바나듐 (V) <0.5
아연 (Zn) 0.65
안티몬 (Sb) <0.5
측정 방법
정확한 검정 중량 (약 50 mg)을 50 ㎖의 이중 증류수에 용해하고, 용액을 시험용으로 사요하였다.
백금 함량을 PQe 장치 (VG Elemental, 영국) 상에서 유도 결합 혈장으로 중량 분광분석 방법에 의해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시험 상대 정확도는 5% 였다.
다른 원소의 함량은 TRACE 61E (Thermo Jarell Ash, USA) 상에서 유도 결합 혈장으로 원소 방출 분광계에 의해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시험 상대 정확도는 5% 였다.
12. 건조시 중량 손실: CaCl2및 P2O5상에서 진공 중 (1 mm Hg) 중 100℃에서 일정한 중량이 될 때까지 건조시 10%.
(II) 합성 방법 설명.
13. 화학 반응식 - 도 42 참조.
I - 이노신-5-모노포스페이트
HOSu - 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II - 이노신-5-모노포스페이트의 옥시숙신이미드 활성화된 에테르
III - 이노신-5-모노포스포릴-N-글루타티온
14. 방법 설명
이노신-5-모노포스페이트 (I)을 디메틸포름아미드 중에 용해하고, 이 때 교반하고 0-5℃로 냉각하였다. 1 당량의 N-옥시숙신이미드 및 1.2 당량의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이어서, 얻은 혼합물을 1 시간 동안 및 이어서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 냉각하였다. 침전된 디시클로카르브아미드를 여과하고, 3 당량의 산화된 글루타티온의 이나트륨 염을 잔류물에 첨가하였다. 얻은 혼합물을 실온에서 2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디메틸포름아미드를 증발시키고, 생성물을 상기 기술한 방식으로 제조 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 대조 - 260 nm의 퓨린 염기의 흡수 밴드에 의한 UV 스펙트럼.
실시예 2 - GSSG·이노신의 항바이러스 활성
리프트 계곡열의 경과에 대한 GSSG·이노신의 효과. 리프트 계곡열 (RVF)은 가축 및 인간을 침범하는 바이러스 기원의 급성 열병이다. 인간의 질환은 급격한 발병, 열병 증상의 신속한 발전, 관절 및 말단부의 통증, 안구의 병, 출혈성 설사 증상을 특징으로 한다. 인간 및 동물에서 전형적인 RVF 징후의 하나는 간 유조직의 출혈 및 다량의 괴사를 야기하는 바이러스성 간 질환이다. 질환은 또한 백혈구감소증을 수반한다.
RVF에 대한 원인 및 병인성 요법의 현재의 수단은 불충분한 활성을 갖는다. RVF 질병발생의 세부사항, 특히 감염제의 간세포에 대한 높은 친화도를 고려하여, 상기 감염의 실험 모델이 GSSG·이노신의 항바이러스 활성을 평가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1. 연구물질 및 방법.
1.1동물. 연구에서, 러시안 아카데미 오브 메디칼 사이언스의 "라포로보(Rappolovo)" 농장으로 부터 얻은 18-21 g 중량의 성인 미교배 백색 수컷 생쥐를 사용하였다.
1.2감염제. RVF 모델에 대하여, 리서치 인스티튜트 오브 밀리터리 메디슨의 바이러스 컬처 뮤지움에 보관된 출혈열에 걸린 인간으로부터 1987년에 우즈베키스탄에서 단리된 바이러스 주를 이용하였다. 상기 바이러스 주로 뇌내 감염시킨 신생 생쥐의 뇌 현탁액을 접종물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바이러스 감염 용량은 1 내지 20 LD50였고, 감염제는 복강내 도입하였다. 추적 연구 기간은 14일이었다.
1.3시험 물질. GSSG·이노신 - 주사용 약물형태 (1% 내지 3%) - 를 단일 주사로 3, 10 및 30 mg/kg의 용량으로 이용하였다. 약물을 6-7일 동안 1일 1회 복강내 도입하였다. 도입 개시 - 주사 전 1-2일, 이어서 약물을 감염일에 도입하고(감염 전 4 시간 ) 도입을 4일 이상 동안 지속하였다. 따라서, 총 처리 요법은 GSSG·이노신 6-7회 주사를 포함한다.
대조제인 리바미딜(비라졸, 리바비린과 같은 수입 약제의 제네릭 - 올라인 (Olaine; 라트비아)에 의해 제조됨)은 주사용 약물 형태이다. 현재, 리바미딜은 특히 출혈열의 경우에 가장 효과적인 항바이러스 화학요법제의 하나이다. 약물은 최적의 이미 전개된 요법에 따라서 경피 도입하였다: 단일 (1일) 용량은 100 mg/kg였고, 도입 기간은 GSSG·이노신 투여 시간에 상응한다.
1.5효능 종말점. 약물의 보호 효능을 실험 및 대조 동물의 생존률 (%) 및 평균 수명 (일)로 산정하였다.
2. 시험 결과
2.1 RVF 결과에 대한 단일약제인 GSSG·이노신에 기초한 요법의 효과
제1 실험계에서, GSSG·이노신 효능을 단일 약제 요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약물을 감염제로 동물을 주사하기 전, 제1 요법으로 감염전 48 시간 및 다른 2가지로 감염전 4 시간 전 도입하였다. 일반적으로, 치료 주기는 3, 10 및 30 mg/kg의 단일 용량의 GSSG·이노신의 6-7회 복강내 주사를 포함한다. 리바미딜은 5일 동안 100 mg/kg의 치료하 용량으로 경피 도입하엿다.
대조 군 동물에서 인큐베이션을 6일 동안 지속하였다. 그러나, 실험 동물의 경우, 감염 징후는 2일 후 나타났다. 상기 실험의 최종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나타낸 데이타에 따르면, 10-20 LC50용량으로 감여시킨 대조군 이환률은 100%에 달하였다. 1-2 LD50의 감염 용량의 경우에는, 67%의 감염된 생쥐가 사망하였다. 양성 대조인 대조제인 리바미딜은 높은 바이러스 용량으로 감염시킨 동물의 약 1/3 및 낮은 용량으로 감염시킨 동물을 60% 까지 사망으로부터 보호하였다. 급성 일반화된 감염의 주어진 모델에서 GSSG·이노신은 또한 치료 용량 및 감염 심각도에 따라서 대조와 비교하여 22-59%의 동물 생존률을 개선하는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제2 실험 계에서는, 리바미딜 및 GSSG·이노신의 병용 도입의 보호 유효성을 평가하였다. 약물은 제1 계와 유사한 투여량 및 요법으로 적용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는 표 2에 나타낸다. 얻은 데이타는 실험적 RVF 바이러스 유도감염의 경우에 투여된 병용 리바미딜 및 GSSG·이노신의 항바이러스 효과는 각각의 개별 약제보다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제3 실험 계에서, 생존 지표에 관하여 RVF 경과에 대한 GSSG·이노신의 영향 및 상기 감염의 발전 도중에 생검한 실험 및 대조 생쥐에서의 간 표면 상의 출혈 발생을 연구하였다.
감염을 위하여, 바이러스는 4 LD50의 용량으로 취하고, 감염은 복강내로 도입하였다.
GSSG·이노신은 또한 7일 동안 3 및 30 mg/kg의 용량으로 복강내로 도입하였다. 치료는 동물의 감염, 및 이어서 매일 (1일 1회) 이후 즉시 개시하였다. 동물은 10일 동안 추적연구하였다 (표 3).
3 mg/kg의 용량으로 투여된 GSSG·이노신의 주어진 치료법은 동물 생존률을 약 2배 증가시키는 (66% 대 대조군의 31%), 리프트 계곡열의 4 LD40로 복강내 감염시켜 유도된 흰색 생쥐에서 실험적 감염에 대하여 보호 효과를 지닌 것임을 발견하였다. 실험 동물의 일반적 상태는 대조 동물보다 상당히 양호하고, 특히 대조 군 생쥐는 5일 째에 식욕감퇴를 나타낸 반면 전체 모니터링 기간 동안 식품 섭취가 더 양호하였음을 주목하여야 한다.
실험 및 대조 군의 생존 생쥐는 5일 (실패 발생) 및 10일 (실험 완료) 째에 검시하였다. 외적으로 건강한 생쥐를 검시용으로 선택하였다. 사망한 생쥐를 검사하였다. 5일 째에 각 군으로부터 1마리 동물, 및 10일 째에 실험 군으로부터 2마리 및 대조 군으로부터 3마리 동물을 검시하였다. 바이러스 간 검사는 실험 동물에서의 출혈 부위의 수는 대조 군에서 더 적었음을 나타내었다. 후자의 경우, 각 간에서 15-20 부위 이상인 반면, 실험 동물은 단지 1 내지 3 부위였고, 나아가, 더 높은 GSSG·이노신 용량, 즉 30 mg/kg로 치료한 동물에서 더 양호한 지표가 관찰되었다 (부위는 확인되지 않음).
따라서, 신규 전신성 세포-보호제 및 면역개질제인 GSSG·이노신은 항바이러스 활성을가지고 동물에서 간 및 다른 기관에 영향을 갖는 치명적 일반화 감염을 유도하는 RVF 감염제에 대하여 흰색 생쥐의 저항성을개선한다. 바이러스 1-20 LD50로 감염시킨 흰색 생쥐에서 실험적 RVF의 경우에 6일 동안 3, 10 또는 30 mg/kg의단일 용량으로 복강내 도입한 GSSG·이노신은 동물 생존률을 30-60% 개선하고, 수명을 상당히 (2배 이상) 증가시킨다. 흰색 생쥐에서의 실험적 RVF의 경우 항바이러스제인 리바미딜과 함께 GSSG·이노신의 도입은 감염된 생쥐의 더 양호한 생존률 (20%) 및 수명 (2배)을 나타내며, 후자의 보호 효과를 개선하였다.
흰색 생쥐에서 일반화된 헤르페스 감염의 경과에 대한 GSSG·이노신의 효과. 본 연구에서는 러시안 아카데미 오브 메디칼 사이언스의 라포로보 농장으로부터 얻은 체중 12-14 g의 흰색 미교배 수컷 생쥐를 사용하였다.
헤르페스 감염 모델에 대하여, 리서치 인스티튜트 오브 밀리터리 메디슨의 뮤지움으로부터 얻은 헤르페스 심플렉스 바이러스 L-2주를 사용하였다. 동물은 감염시키고 질병에 걸린 신생 생쥐의 뇌 유제로부터 얻은 접종물로 복강내 감염시켰다.
GSSG·이노신을 매일, 5일 동안 일일 용량 30 mg/kg로 1일 1회 도입하고, 도입은 감염 2 시간 전에 개시하였다.
헤르페스 감염과 함께 시클로포스파미드 (CPA), 군 1; 히드로코르티손 (HC) - 군 2; 방사선 (Rad) - 군 3으로 면역결핍 유도를 진행하였다.
대조제 - 시클로페론 (1일 1회, 100 mg/kg의 용량으로 감염 2 시간 전)
추적연구- 14일
결과
수행한 실험은 GSSG·이노신이 헤르페스 심플렉스 바이러스가 관련된 DNA 바이러스에 관하여 보호 효과를 가짐을 나타내었다. 치사 감염 용량 조건하에서도,모든 대조동물이 사망한 반면 GSSG·이노신은 약 30% 까지 동물 생존을 촉진하였다 (표 4).
동물에서 말 베네수엘라 뇌척수염 (HVE) 바이러스에 의해 야기된 감염 경과에 대한 GSSG·이노신의 효과. 본 연구에서는 러시안 아카데미 오브 메디칼 사이언스의 라포로보 농장으로부터 얻은 체중 18-20 g의 미교배 흰색 수컷 생쥐를 사용하였고, 동물은 총 144마리였다.
감염제는 HVE 바이러스 "트리니다드(TRINIDAD)" 주이고, 감염 용량은 1 및 2 LD50였다. 바이러스는 경피 도입하였다.
시험 물품: GSSG·이노신. 약물은 3 및 30 mg/kg이 용량으로 복강내 도입하였고, 건조 샘플은 정상 식염수에 용해하여 0.5 ㎖ 부피의 적합한 단일 용량을 얻었다.
약물 투여량: 약물은 2가지 요법 - 예방 (-72 시간, -48 시간, -24 시간, 0) 및 응급-예방 (+2, +24,+48, +72, +97, +120 시간)으로 주어진 용량으로 도입하였다.
대조제 (양성 대조): 인터페론 유도인자 시클로페론 (CYCLOPHERONE; CP)를 50 mg/kg 용량으로 감염 4 시간 전 도입하였다.
바이러스 대조: 동물은 바이러스 함유 물질로 감염시키고 치료하였다.
병용 약물 투여: 2 실험군에 대하여 3 mg/kg 용량의 GSSG·이노신 및 50 mg/kg 용량의 시클로페론의 병용 예방적 투여를 적용시켰다.
동물은 감염후 14일 동안 추적연구하였다.
약물 효능 종말점: 실험 및 대조 동물의 생존률 지표 (%) 및 평균 수명 (T, 일)의 차이.
얻은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
얻은 데이타를 통하여, 주어진 연구에서 감염시킨 VHE 바이러스 용량이 계산한 것 보다 어느 정도 적은 것임을 발견하였다 - 감염제 2 LD50후 대조 동물 50%, 1 LD50후 33%에서 사망이 발생하였다.
제1, 4 및 5 군에서, 감염 후 3일 및 4일째에, 독성 약제 또는 외상에 의해 통상 발생하는 1-2마리 동물의 비특이적 사망이 관찰되었다. 흰색 생쥐에서 특이적 VHE-유도 사망은 통상적으로 감염 후 5일째부터 기록하였다.
50 mg/kg의 치료하 용량으로 이용된 대조 약제인 시클로페론은 2 LD50도입 후 보호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1 LD50도입의경우 보호 효과는 33%였다.
30 mg/kg 용량의 GSSG·이노신은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었다. 보호 요법의 경우, 이의 보호 활성은 시클로페론 효능과 동일하였다 (33%의 개선된 생존률, 수명의 현저한 증가).
병용 예방 실험에서, 생존률 지표 (17-30% 증가) 및 T 지표 값, 즉 평균 수명 (3배 개선) 모두에 대하여 GSSG·이노신의 명백한 긍정적인 활성을 관찰할 ㅅ 있었다.
GSSG·이노신의 항바이러스 (항-인플루엔자) 활성. 러시안 페더레이션 미니스트리 오브 헬쓰의 인플루엔자 인스티튜트의 화학요법 실험실 (세인트-페테르스부르크)에서,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H3 No.2)에 관한 GSSG·이노신 항바이러스 활성을 연구하였다. 항바이러스 활성은 닭 배의 장요막 (CAM)의 생존 단편의 모델에 대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복제를 억제하는시험 물품의 능력에 의해 측정하였다.
2.0 lg LD50이상 대조와 비교하여 실험에서 역가 (중화 지표)를 감소시키는 약물은 활성인 것으로 간주하고, 1.0 내지 2.0 lg LD50는 중간 활성이고, 1.0 lg LD50이하는 불활성인 것으로 간주하였다.
GSSG·이노신 독성의 예비 연구는 1 mg/0.5 ㎖ 농도에서도 이들은 CAM 세포에 손상을 일으키지 않는 것임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최대 허용 용량 (MTD)는 ≥1000 ㎍/0.5 ㎖이었다.
모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홍콩/1/68(NZ No.2)에 관한 GSSG·이노신 샘플의 항바이러스 활성에 관한 연구 결과는 표 6에 나타낸다.
나타낸 데이타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GSSG·이노신 샘플은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에 관하여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나타낸 데이타는 GSSG·이노신 특이적 약리학적 활성 및 이어서 또한 바이러스 간 영향에 대한 결과의 외사을 연구하기 위한 독성 간염의 실험 모델에 대한 선택을 확인하였다.
결론
1. 신규 전신성 세포 보호제 및 면역개질제인 GSSG·이노신은 동물에서 간및 다른 기관 영향으로 치사 일반화된 감염을 야기하는 RVF 감염제에 대한 흰색 생쥐의 저항성을 개선한다.
2. 1-20 LD50바이러스로 감염시킨 흰색 생쥐에서 실험적 RVF의 경우 6일 동안 3, 10, 30 mg/kg와 같은 단일 용량의 복강내 GSSG·이노신 도입은 30-60% 생존률을 증가시키고 수명을 상당히 연장하였다 (2배 이상).
3. 항바이러스제인 리바미딜과 함께 RVF를 갖는 흰색 생쥐에서의 GSSG·이노신 적용은 감염된 생쥐의 개선된 생존률 (20%) 및 수명 (2배)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후자의 보호 효과를 증가시킨다.
4. 5일 동안 도입한 30mg/kg 용량의 GSSG·이노신은 DNA-함유 바이러스, 즉 헤르페스 심플렉스에 대한 면역손상 흰색 생쥐의 저항성을 증가시켰다.
5. VHE 감염제에 의한 신경바이러스 감염 모델에서 GSSG·이노신의 항바이러스 효과를 관찰하였다. GSSG·이노신의 예방 요법은 응급-예방 요법보다 더욱 효과적임을 발견하였다.
6. 인플루엔바 A 바이러스에 관한 항바이러스 활성 연구는 GSSG·이노신 샘플이 현저한 항바이러스 활성 (CTI=5)를 지니고, 바이러스 감염 활성을 감소시킴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바이러스 감염딘 세포에서 아포토티스 기전을 유도하고, 정상 세포에서 증식 및 분화를 활성화하는 GSSG·이노신의 독특한 성질은 광범위한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GSSG·이노신의 높은 효능을 제공한다.
실시예 3 - GSSG·이노신에 의한 바이러스 감염된 강세포 중 증가된 아포토시스 유도인자 발현 - Fas/APO1 - 수용체 (CD95)
CD95+ 항원이라고도 불리는 Fas-수용체는 수용체 매개 아포토시스 캐스케이드의 초기 원소이다. 간 조직에는 이들 수용체가 많고, 따라서 간세포 아포토시스는 통사적으로 Fas-의존성 기전을 통하여 진행된다. 결함이 있는 간세포 중의 Fas-수용체의 활성화는 유전적으로 변화되거나 바이러스 감염딘 세포의 사멸을 일으킨다. C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질환의 긍적적인 경과는 이들의 프로그램화된 사멸을 촉진하고 이에 의해 감염된 세포를 제거하는 바이러스 감염된 세포 중의 Fas-수용체의 축적과 연관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응성 시스테인이 풍부한 Fas-수용체 도메인의 세포외 부분의 존재는 세포간 매질 중의 SH-기 상태의 작은변화의 경우 그 활성화를 예정한다. 이는 글루톡심과 약제로 환자를 치료하는 경우 산화 및 환원된 글루타티온 비의 변화 후 일어난다. 본 연구에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 환자의 간 생검 샘플 중 Fas-수용체 발현에 대한 GSSG·이노신 치료의 영향을 탐구하였다.
간 생검 검사 환자 군은 임상적인 질환의 경과, 바이러스 유형 및 통상적인 치료제 대신 GSSG·이노신의 투여에 따라서 형성하였다. 생검은 만성 B형 또는 C형 간염이 있는 환자로부터만 취하였다. 첫번째 생검은 치료 전 간 조직의 손상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었다. 통상적인 치료법 개시 또는 GSSG·이노신 주사 치료 주기 3 (B형 간염) 또는 6개월 (C형 간염) 후에 반복 생검을 수행하였다.
총 85명의 B형 간염 및 63명의 C형 간염 환자를 검사하였다. 생검 샘플은형태학적 크노델 등급에 따라서 분포하였다. 따라서, 프로토콜에서, 중간 간 염증 상태인 환자 및 간 유조직의 섬유 치환의 중간 징후를 나타내는 환자를 선택하였다. 치료 주기 초기에, PCR로 500000 내지 1000000 카피/㎖의 바이러스 입자를 검출하였다. 최종적으로, 78명의 B형 간염 및 54명의 C형 간염 환자를 포함시켰다.
섬유증 과정의 형태학적 평가 및 바이러스 입자의 검출 이외에, Fas-수용체를 포함하는 세포를 면역형태학적 분석하고 또한 면역화학 시험을 사용하여 갓 제조한 샘플 균질물 중 Fas-수용체의 양을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다코(DAKO; 덴마크)에서 제조한 시약 및 항체를 면역형태 분석에 사용하고, 면역 분석은 온코진(Oncogene; 미국)에 의해 제조된 키트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파라핀 블럭으로 고정된 조직 샘플을 5-미크론 조작으로 제조하였다. 파라핀을 제거하고, 이어서 이들 조각을 다코 프로토콜에 기술된 바와 같이 탈수하였다. Fas/Apo1-수용체에 대한 모노클로날 항체는 표면에서 이를 인식할 수 있다. 항체를 지시에 따라서 용해하고 (1:150), 샘플 슬라이드 상에 놓았다. 이어서, 이를 동봉된 계획안에 따라서 30분 또는 1 시간 동안 웨트 카메라 중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비결합 항체를 2 분 동안 PBS-완충 50 ㎖로 2회 세척하고, 이어서 결합된 1차 항체를 다코 키트 (DAKO LSAB 키트 k675)를 사용하여 φ 비오틴 마크를 함유하는 2차 항체로 표지하였다. 결합 비오틴을 프로토콜에 기술된 바와 같이 디아미노벤지딘 (DAB) 등의 발색 성분의 존재하에서 스트렙타비딘-퍼옥시다제 컨쥬게이트에 의해 표지하였다. 상응하는 성분 및 시약은 다코키트에 동봉되어 있다. 다른 세포에 대한 표지한 Fas-수용체를 갖는 세포의 비는 프로토콜에 따라서 평가하였다.
신선한 생검물의 세포 용해물을 이용하여 Fas-항원 면역 검정을 수행하였다. 효소 면역 검정은 온코진 96-웰 플레이트 (미국)의 웰 중에 고정화된 인간 Fas-단백질에 대한 생쥐 모노클로날 항체를 사용한 "샌드위치" 방법에 의해 수행하였다. 용해물의 시간 당 인큐베이션은 Fas-항원 결합을 일으키고, 후속적인 세척시 결합 Fas-항원은 웰 중에 잔류한다. 세척한 웰 중에 Fas-항원에 대한 다른 특이적 "비오틴화" 항체를 첨가하고, 이들이 Fas-항원에 결합된 후 웰을 다시 세척하였다. 호스라디시(horseradish) 퍼옥시다제를 갖는 스트렙타비딘의 컨쥬게이트를 첨가하였다. 호스라디시 퍼옥사이다제 연결된 스트렙타비딘은 2차 항체의 비오틴에 특이적으로 연결되고, 세척 후, 전체 복합체가 웰 중에 잔류하였다. 이어서, 테트라메틸 벤지딘 (TMB)의 발색 성분을 웰 중에 디입하고, 이는 퍼옥시아데의 작용하에서 무색 성분에서 분광계에 의해 기록될 수 있는 유색의 밝은 청색 생성물로 전환된다. 온코진(등록상표) 리서치 프로덕트 (미국)의 Fas-APO-1 키트를 준비하였다.
생검물 일부에 용해 완충액을 10:1의 비로 첨가하고, 이를 균일하게 하였다. 이어서, 이를 주기적으로 교반하면서 얼음 상에서 3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세포 잔류물을 5분 동안 12.000 rmp에서 에펜도르프 원심분리기 중에서 원심분리하여 제거하였다. 상층액은 즉시 사용하거나 -80℃에서 보관하였다.
100 ㎕의 세포 용해물 상층액을 고정화 항체를 갖는 웰-플레이트의 웰 중에 도입하고, 1 시간 동안 실온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이어서, 이를 세척 완충액으로 3회(3X) 세척하였다. 이어서, 100 ㎕의 검출 항체를 각 웰에 첨가하고, 추가 1 시간 동안 실온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이어서, 이를 세척 완충액으로 3회(3X) 세척하였다. 이어서, 스트렙타비딘-퍼옥시다제 컨쥬게이트를 1:400으로 용해하고, 이를 100 ㎕씩 각 웰에 첨가하였다. 추가 30분 동안 실온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이어서, 웰을 세척 완충액으로 세척하였다. 100 ㎕의 발색성 성분 용액을 30분 동안 첨가하였다. 100 ㎕의 종료 용액을 첨가하고 (2.5 N 황산) 용액 흡수를 각 웰에서 분광광도계 또는 450/540 nm 파장을 갖는 면역 검정 리더에서 측정하였다. 측정은 종료-용액 도입 30 분 이내에 수행하였다. 결과를 키트에 동봉된 대조 샘플과 비교하였다. B형 간염 및 C형 간염 환자 모두의 세포에서 Fas-수용체가 증가된 높은 백분율이 나타났다 (표 7, 8).
생검물 일부의 신선한 균질물 중의 Fas-수용체 함량의 측정은 또한 B형 간염 및 특히 C형 간염 모두의 경우 GSSG·이노신 치료 후 간 조직에서 Fas-수용체의 축적을 나타내었다 (표 9). 예를 들면, 신선한 생검물로부터 얻은 간세포 용해물-균질물의 상층액 중, Fas-표준과 비교하여 Fas 함량은 2 U/mg 미만이었다.
바이러스 감염의 조내는 Fas-수용체 함량의 상당한 증가를 야기하였다. 통상적인 치료를 받는 환자에서 3 (B형 간염) 또는 6 (C형 간염) 개월의 반복된 시험에서, Fas-수용체 함량은 동일하였다. 반대로, GSSG·이노신으로 치료한 환자에서 Fas-수용체 함량은 현저히 증가하였다.
논의. Fas-의존성 아포토시스는 간세포 프로그램화된 세포 사멸의 주요 경로이다. Fas-수용체 세포외 부분 중 반응성 시스테인이 많은 도메인의 존재는 GSSG·이노신이 응집을 촉진하고, 따라서 세포외 글루타티온 풀 중 산화 및 환원된 SH-기 함량의 파동형 변화로 인하여 Fas-수용체의 활성화를 촉진함을 시사하였다.나아가, 시스테인 프로테아제인 Fas-의존성 세포 사멸 신호를 나타내는 세포내 캐스케이드 또한 GSSG·이노신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결론
Fas-의존성 아포토시스 활성화는 바이러스 감염된 세포의 제거를 촉진한다. 그러나, 아포토시스 억제제의 바이러스 의존성 합성으로 인하여, Fas-유도 과정은 완전히 수행될 수 었고, 이어서 바이러스 감염된 세포가 아포토시스를 벗어난다. Fas-의존성 함량 및 GSSG·이노신에 의한 활성의 증가는 바이러스 감염된 세포의 더욱 완전한 제거를 제공한다. 이들 결과는 GSSG·이노신 치료 후 혈류 중 C형 간염 바이러스의 감소 또는 부재에 대한 데이타에 상응하는 것이다.
실시예 4 - 정상 및 바이러스 감염된 세포 배양물 중 GSSG·이노신, GSSG-IMP 및 GSSG-UMP에 의한 C형 간염 바이러스의 ATP-아제/헬리카제 활성 억제의 연구
이노신을 갖는 산화된 글루타티온 (GSSG-I), 이노신-모노포스페이트를 갖는 산화된 글루타티온 (GSSG-IMP) 및 유리딘-모노포스페이트를 갖는 산화된 글루타티온 (GSSG-UMP) 화합물의 정상 및 바이러스 감염된 (HEP-2) 세포의 ATP-아제/헬리카제 활성에 영향을 주는 능력. 상기 성분들은 정상 공여체의 말초 혈액으로부터 얻은 정상 림프구의 핵 용해 생성물 또는 C형 간염 바이러스로 감염된 HEP-2 세포의 균질물과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건강한 지원자의 정맥혈을 엔도톡신 부재하에서 시험한 헤파린 첨가 시험 튜브에 수집하였다. 피콜-팩 밀도 구배 (파마시아)에서 원십분리하여 단핵 분획을 얻었다. 세포 농도는 20 mM HEPES, 2 mM의 글루타민, 50 ㎕/㎖의 겐타마이신 및10% 우태아혈청을 포함하는 완전 배양 배지 (RPMI 1640) 1 ㎖ 당 2 x 106세포로 올렸다. 세포 생존률을 시험 청색을 이용한 시험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이어서, 세포 현탁액을 다시 원심분리하여 배지와 함께 잔류 피콜을 제거하였다. 침전물을 1 ㎖의 정상 식염수에 현탁하고, 노니데트(Nonidet) 40으로 용해하여 마니아티스(Maniatis) 등에 기술된 바와 같이 세포 핵을 제거하였다. 이어서, 핵을 용해시키고, 용해 생성물 중 시험 물품의 존재하에서 ATP-아제/헬리카제 활성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0.2 ㎖의 핵 용해물에, P32표지된 상보성 올리고뉴클레오티드 (길이-42 뉴클레오티드)로 어닐링한 단쇄 파지 M13 mp의 DNA 0.1 ㎖을 첨가하였다. 예비적으로, 파지 DNA 농도를 측정하였고, 이는 방사선사진에서 파지 DNA로부터의 표지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최소 꼬임풀림(untwisting) 및 분리를 식별하고, 최종적으로 파지 M13의 단일쇄 형태의 DNA로부터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분리를 완료한다.
인큐베이션 혼합물에 또한 ATP 및 Mg2+를 포함하는 트리스-HCl 완충액 용액 0.1 ㎖을 도입하였다. 이어서, 0.1 ㎖의 정상 식염수 또는 시험 물품이 첨가된 0.1 ㎖의 정상 식염수를 10, 50 또는 100 ㎕/㎖의 최종 농도가 되도록 도입하였다.
30분 배양 후, 10 ㎕의 샘플을 8% 폴리아크릴아미드 겔에서 수직 전기영동을 통하여 샘플을 진행시켰다. 파지 DNA에 연결된 P32-표지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하이브리드인 고분자 분획, 및 헬리카제의 작용하에서 유래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저분자 분획을 얻었다. 방사선사진의 농도계는 표지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헬리카제의 작용하에서 방출된 P32-표지된 것의 비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C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된 배양물의 용해물 중에서 헬리카제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유사한 기술을 적용하였으나, 핵 용해물 대신에 세포 용해물을 사용하여 바이러스 유도 세포질 단백질의 기여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는 표 10 및 11에 나타낸다. 표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농도 10 ㎕/㎖ 중에서 어떠한 연구 성분도 공여체 림프구의 핵 용해물 중 헬리카제 활성을 일으키지 못한 반면, 50 및 100 ㎕/㎖의 농도에서 모든 3가지 연구 성분이 현저히 헬리카제 활성을 억제하였다. GSSG-UMP가 가장 ATP-아제/헬리카제 활성을 억제하였다.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의 단쇄 도메인 M13의 2중 쇄 DNA 하이브리드 90%의 꼬임풀림은 공여체 림프구의 핵 용해물 중 20 pg/㎖ 대 5 pg/㎖의 하이브리드 농도에서 나타났으므로, 바이러스 감염된 세포 용해물 중에서 헬리카제 활성이 더 높았다. 연구 화합물의 효과는 또한 더 높은 율의 헬리카제 활성에서 나타났다. 헬리카제 활성의 현저한 억제가 50 및 100 ㎕/㎖에서 나타났으나, 후자에서는 ATP-아제/헬리카제 활성 억제가 더욱 현저하였다. GSSG-UMP의 도입은 ATP-아제/헬리카제 활성에 대하여 최대 억제 효과를 제공하였다.
논의 및 결론
C형 간염 바이러스로 감염된 세포 대 공여체 림프구 중의 높은 헬리카제 활성은 증식 활성 뿐만 아니라 ATP-아제/헬리카제 활성을 갖는 효소인 C형 간염의 제3 비구조 단백질의 발현과 연관이 있는 듯 하다. 공여체 림프구의 핵 뿐만 아니라 바이러스 감염된 세포 용해물에서의 헬리카제 활성의 억제는 뉴클레오시드를 갖는 산화된 글루타티온 화합물 (GSSG-I) 또는 뉴클레오티드를 갖는 산화된 글루타티온 화합물 (GSSG-IMP, GSSG-UMP)가 감염된 세포에서 바이러스 특이적 RNA의 합성을 차폐하는 C형 간염 바이러스의 비구조 단백질 NS3의 헬리카제 활성을 억제하였음을 시사한다.
실시예 5 - GSSG·이노신에 의한 연장된 경과로 급성 바이러스성 B형 간염의 치료
실시예 5-16은 40 내지 120 kg의 인간의 치료에 관한 것이다.
환자: K.V.V.
성별: 남성
연령: 32
사례-이력: 제661호
진단: 급성 바이러스성 B형 간염, 복제 상 (PCR HBV+), 연장 경과, 중간 활성 속도
검사 합병증: 일반적 약화, 갈비뼈 아래 오른쪽의 둔중함, 발한
과거력: 질환은 98년 10월 1일 시작되었으며,이 때 작은 손 관절에서 날카로운 통증이 나타났고, 이어서 모든 관절의 동통, 충혈 및 부종이 나타났다. 98년 10월 9일부터 소변 색깔이 짙어졌음을 발견하였다. 환자는 바이러스 감염 병원에 수용되었다. 치료 주기 (하기 참조) 후 높은 세포용해 증후군이 여전히 존재하였다.
이전 치료법: 해독, 진경, 항균 (카나마이신 0.5 1일 2회, IM, N 7), 소염 (인도메타닌 1정, 1일 3회) 요법을 투여하였다.
GSSG·이노신을 이용한 치료법: 98년 10월 29일부터 98년 11월 21일까지
0일
IM GSSG·이노신, 1% - 1 ㎖
1-14일
IV GSSG·이노신, 1% - 1 ㎖, 매일
15-17-19일
IV GSSG·이노신, 3% - 1 ㎖
20-24일
IM GSSG·이노신, 1% - 1 ㎖
치료 완료에 따른 환자의 상태. 현저한 개선이 나타났으며, 일반적 허약, 오심 및 오른쪽 피하 영역에서 둔중함이 없었다. 실험실 시험 - 표 12, 13 및 14 참조. 39명의 환자로부터 얻은 급성 B형 간염 바이러스 (본 실시예에 나타낸 환자와 유사한 질병분류)에 대한 GSSG·이노신의 효능 연구의 결과를 표 43-46에 나타낸다.
결론
GSSG·이노신으로의 치료 경과는 하기 주요 환자 상태 지표에서 긍정적인 발전을 제공하였다:
* 생화학적 지표의 회복
* 중단된 HBV 복제
* Hbs Ag 지속의 부재
* 개선된 일반적 상태
추적연구 (치료완료 1 및 3개월)는 상기 지표의 안정성을 보여주었으며, 상기 상태를 초기 회복기로 지칭함을 시사하였다.
실시예 6 - GSSG·이노신에 의한 심각한 경과의 급성 바이러스성 B형 간염의 치료
환자: A.J.V.
성별: 여성
연령: 18
사례-이력: 제6006호
진단: 급성 바이러스성 B형 간염, 복제 상 (PCR HBV+), 심각한 경과
검사 합병증: 일반적 약화, 오른쪽 늑골하 영역에서 둔중함, 오심, 발한, 쉽게 피로를 느낌
과거력: 질환은 99년 3월 12일에 시작되었으며, 이때 작은 손 관절에서 날카로운 동통이 나타났고, 이어서 모든 관절에서 동통, 충혈 및 부종이 나타나싸. 99년 9월 16일부터 소변 색깔이 어두어짐을 발견하였다. 환자는 스.피.보트킨(S.P.Botkin) 병원의 디파트먼트 26에 수용되었다. 치료 주기 (하기 참조) 후, 높은 세포용해 증후군이 여전히 존재하였다.
이전 치료: 광범위한 해독, 진경, 항균 (겐타마이신 40 mg, 1일 2회, IM, N7), 소염 (인도메타신, 1정, 1일 3회) 요법을 투여하였다.
GSSG·이노신으로의 치료: 99년 4월 8일부터 99년 5월 2일까지
0일
IM GSSG·이노신 1% - 1 ㎖
1-14일
IV GSSG·이노신 1% - 1 ㎖
15-17-19일
IV GSSG·이노신 3% - 1 ㎖
20-24일
IM GSSG·이노신 1% - 1 ㎖
치료 완료에 따른 환자의 상태. 현저한 개선이 나타났으며, 일반적 허약, 오심 및 오른쪽 늑골하 영역에서 둔중함이 없었다. 실험실 시험 - 표 15, 16 및 17 참조. 35명의 환자로부터 얻은 심각한 경과의 급성 B형 간염에 대한 GSSG·이노신의 효능 연구의 결과를 표 50-53에 나타낸다.
결론
GSSG·이노신으로의 치료 경과는 하기 주요 환자 상태 지표에서 긍정적인 발전을 제공하였다:
* 생화학적 지표의 회복
* 중단된 HBV 복제
* Hbs Ag 지속의 부재
* 개선된 일반적 상태
추적연구 (치료완료 1개월)는 상기 지표의 안정성을 보여주었으며, 상기 상태를 초기 회복기로 지칭함을 시사하였다.
실시예 7 - GSSG·이노신에 의한 만성 바이러스성 B형 간염의 치료
환자: K.M.D.
성별: 여성
연령: 41
진단: 만성 바이러스성 B형 간염 (HbsAg+), 복제 상 (PCR HBV+), 중간 활성률. 부수 질환: 만성 담낭염, 만성 췌장염. 비만 (등급 II)
간 생검 (기준): 빔 및 소엽 간 조직을 얻었다. 포르토포탈(portoportal) 격벽을 형성하는 결합 조직의 성장으로 인하여 문맥은 확장되었다. 문맥간 결합 조직에서, 중간 림프-대식세포 침윤이 있었다 (3 점). 내부 영역막이 특히 파괴되어 있었고, 단계적 괴사가 있었다 (2 점). 소엽에서, 병소 괴사가 있었다 (1 점). 소엽내 및 중심주위 임파 침윤, 퇴행 및 다형핵과 함께 간세포 세포질의 공포생성; 흐릿한-유리질 간세포가 존재하였다. 결론: 약간 활성 (크노델 조직 활성 지표 = 6) 및 중간 섬유증을 갖는 만성 간염.
간 생검 (치료 완료 12개월 후): 빔 및 소엽 간 조직은 유지되었다. 결합 조직의 성장으로 인하여 문맥은 약간 확장되었다. 문맥주위 결합 조직에서, 약간 림프-대식세포 침윤이 있었다 (1 점). 내부 경계막이 유지되었다. 적은 소엽내 및 중심주위 임파 침윤이 존재하였다. 결론: 최소 활성 (크노델 조직 활성 지표 =1) 및 약간 섬유증을 갖는 만성 간염.
검사 합병증: 일반적 허약, 통상적 활동을 수행할 가능성이 없음.
과거력: 환자는 만성 바이러스성 B형 간염으로 진단되고 97년 4월 9월부터 30일까지 병원에 있었다. 질환에는 중간 세포용해 증후군이 수반되었다. 해독 요법을 적용하였다. 치료 도중에, AT 율은 15.5부터 7.7 mmol/시간.l로 감소되었고, 퇴원일에 빌리루빈 함량은 정상이었다.
이전 치료: 바이러스 복제 활성 (PCR HBV+)로 인하여, 아시클로버 과정을 97년 4월 25일부터 21일 동안 투여하고, 이어서 시클로페론 과정을 97년 5월 26일부터 투여하였다. 치료 도중, Alt 율은 7.4부터 3.4 mmol/시.l로 변하였다. 바이러스 활성은 1개월 동안 중지되었고, 97년 10월 15일부터 다시 나타났다.
GSSG·이노신으로의 치료법: 97년 10월 15일부터
0일
IM GSSG·이노신, 1% - 1 ㎖
1-14일
IV GSSG·이노신, 1% - 1 ㎖
15-30일
IV GSSG·이노신, 3% - 1 ㎖
31-90일
IM GSSG·이노신, 3% - 1 ㎖, 1주 3회
치료 완료에 따른 환자의 상태. 지난 7개월 도중의 처음 생화학적 지표는정상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ALT - 33 U/l, 빌리루빈 - 9.0 μmold/l). 환자 상태는 양호하였고, 허약하지 않았으며, 정상적으로 통상의 물리적 활동을 허용할 수 있었다. 실험실 시험 - 표 18, 19 및 20, 및 표 30 참조. 62명의 환자로부터 얻은 만성 바이러스성 B형 간염에 대한 GSSG·이노신의 효능의 결과는 표 47-49에 나타낸다.
결론
GSSG·이노신으로의 치료는 다음을 제공한다:
* 중단된 HBV 복제
* 생화학적 지표의 정상화
* 면역 지표 및 사이토카인 상태의 정상화
* 형태학적 지표의 상당한 개선 (감소된 크노델 지표 및 섬유증)
따라서, GSSG·이노신은 만성 바이러스성 B형 간염에 대한 효과적인 약제이다.
실시예 8 - GSSG·이노신에 의한 만성 바이러스성 B형 간염, 경화성 상태의 치료
환자: A.V.I.
성별: 남성
연령: 59
진단: 만성 바이러스성 B형 간염, 경화성 상태 (PCR HBV+), 복수(ascite), 문맥성 고혈압
검사 합병증: 일반적 허약, 지속적인 복수, 현기증
과거력: 처음 환자는 병원에서 1995년에 "만성 HBV, 경화성 상태, 복수"로 진단되었다. 그 후, 환자는 다시 1997년 4월에 치료받았다. 본 상태는 10월에 악화되었고, 호흡곤란이 증가되고, 갈비 아래 및 상복부 왼쪽에서 당기는 통증이 있었다. 환자는 퓨로세미드 (Furosemid; Lasix) 1정을 1주 2회 복용하였다. 입원시 중간정도의 심각한 상태, 창백한 피부, 밝고 축추간 혀, 심박-110 bpm, 혈압-140/90, 호흡속도-20/분을 나타내었다. 견갑골 왼쪽 아래에서, 호흡 유도 없이 둔감한 충돌 소리가 있었다. 위는 복수로 인하여 팽창하였다 (직경 113 cm 이하). 경골 부종은 없었다. 환자는 해독, 증상적 및 항균 요법으로 치료하였다. 또한, 이뇨제 및 단백질을 이용한 주입 요법을 사용하였다.
GSSG·이노신으로의 치료 주기:
97년 11월 27일부터 97년 12월 20일까지의 제1 주기, 1%, IM, 1주 3회
98년 1월 12일부터 98년 2월 6일까지의 제2 주기, 1%, IM, 1주 3회
98년 2월 11일부터 98년 5월 14일까지의 제3 주기, 1%, IM, 1주 3회
98년 6월 6일부터 98년 7월 10일까지의 제4 주기, 1%, IM, 1주 3회
제1 주기의 완료 후 환자의 상태. 환자의 상태는 만족스러웠다. 상당한 개선, 활성이 있었고, 걸을 수 있었다. 복수는 감소하였고 (위 직경 89 cm), 이뇨는 적절하고, 왼쪽 피하 영역에 동통은 없었다. 임상적 및 실험적 데이타는 표에 나타낸다. 환자는 치료법에 따라서 GSSG·이노신으로 반복 주기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상기 치료 주기는 안정한 양호한 상태 뿐만 아니라 안정한 임상적 및 실험실 지표를 지속하도록 하였다 (표 21).
결론
GSSG·이노신으로의 치료는 다음을 제공하였다:
* 림프구감소 및 혈소판감소증의 긍정적인 보정
* HBV 복제의 중단
* 세포용해 증후군의 부재 (빌리루빈 함량 및 ALT 활성의 정상화)
* 감소된 복수
* 보다 양호한 삶의 질: 8개월의 추적연구 동안 개선 및 안정된 상태와 함께 증가된 활동, 행복감 및 상기 치료의 지속 요구
실시예 9 - GSSG·이노신에 의한 만성 바이러스성 B형 간염, 경화성 상태의 치료
환자: T.I.N.
성별: 남성
연령: 48
진단: 주요: 만성 바이러스성 B형 간염 (HbsAg+), 적분 상 (PCR HBV-), 경화성 상태, 수반: 담낭적제술 후 상태
검사 합병증: 일반적 허약, 불면
과거력: 만성 간염은 담낭절제술 전 검사에서 1999년에 처음으로 진단되었다. 2000년 1월 초 수술 (담낭절제술) 수행 후, GSSG·이노신 치료를 2000년 4월 6일에 시작하였다.
GSSG·이노신으로의 치료 요법: 1% 용액, 12주 동안 1주 3회
초음파 진단: 2000년 4월 18일의 기준 제1344호. 간은 정상 크기를 가지고,그 구조는 균일하고, 작은 그레인형이고, 명확한 혈관을 말초 부위에서 볼 수 있었으며, 구조는 조밀하였다. 문맥 - 13 mm, 상장간막정맥 14 mm, 총담관 - 7 mm, 비장 - 정상 크기, 매끄럽고 뚜렷한 형상을 갖는 저반사성 구조. 담낭은 제거되었다. 췌장: 머리 - 22 mm, 몸체 - 16 mm, 꼬리 - 20 mm, 매끄러운 형상, 균일, 작은 그레인형 구조, 간과 반사성 유사함. 신장은 정상 크기, 열매형 형상이고, 결석이 없었다. 결론: 확산형 간 변화.
치료 완료에 따른 환자의 상태. 환자 상태는 만족스러웠다. 환자는 상태의 현저한 개선 및 정상적이고 전문적인 활동 능력을 인식하였다. 치료는 임상적 및 실험실적 지표 및 삶의 질을 개선하였다 (표 22, 23 및 24 참조).
결론
GSSG·이노신으로의 치료는 다음을 제공하였다:
* 혈소판감소증 보정
* 세포용해 증후군 중단 (정상화된 빌리루빈 함량 및 ALT 활성)
* 세포 면역성 촉진 (증가된 CD3, CD4, CD16/56 카운트)
* 도플러검사에 따르면 문맥 혈류의 상당한 개선
실시예 10 - GSSG·이노신에 의한 만성 바이러스성 C형 간염 및 만성 바이러스성 B형 간염 환자의 치료
환자: M.V.V.
성별: 남성
연령: 18
과거력: 제1043호
진단: 만성 바이러스성 C형 간염, 복제상 (PCR HCV+), 중간 활성; 만성 바이러스성 B형 간염, 적분상 (PCR HBV-), 마약 중독, 약물 상용자.
간 생검 (기준): 빔 및 소엽 간 조직을 유지하였다. 결합 조직의 성장으로인하여 문맥은 확장되었다. 문맥간 결합 조직에서, 중간 림프-대식세포 침윤이 있었다 (3 점). 내부 영역막은 유지되었다. 일부 소엽에서, 카운실멘체(Kaunsilmen's body)가 존재하였다 (1 점). 소엽내 및 중심주위 임파 침윤, 간세포 세포질의 공포생성 및 일부 간세포의 핵이 존재하였다. 결론: 최소 활성 (크노델 조직 활성 지표=4) 및 약한 섬유증을 갖는 만성 간염.
간 생검 (치료 완료 12개월 후): 빔 및 소엽 간 조직은 유지되었다. 문맥은 변화가 없었다. 문맥주위 결합 조직에서, 약한 림프-대식세포 침윤이 있었다 (1 점). 내부 경계막이 유지되었다. 일부 소엽에서, 카운실멘체가 존재하였다 (1점). 소엽내 및 중심주위 임파 침윤, 간세포 세포질의 공포형성 및 일부 간세포의 핵이 존재하였다. 결론: 최소 활성을 갖는 만성 간염 (크노델 조직 활성 지표 = 2).
검사 합병증: 일반적 허약, 왼쪽 늑골하 영역, 무릎 관절, 척수 및 손 관절에서 강한 동통.
과거력: 환자는 1997년 8월 초에 무릎 관절 및 척수에서 동통을 인식하였다. 혈액 시점은 34.0 μmole/l로 증가된 빌리루빈 및 2.1 mmol/시.l의 ALT를 나타내었다. 1997년 8월 15일에 병원 검사 도중, 항 HCG IgG 및 복제성 C형 간염 바이러스활성을 발견하였다.
생활력: 환자는 14세에 약물을 시작하고, 17세에 정맥투여하기 시작하였다. 검사일에, 환자는 2 g의 헤로인을 매일 투여받았으며, 마약 금단으로 고통을 받았다.
이전 치료: 환자는 이전에 치료받지 않았다.
GSSG·이노신으로의 치료법: 97년 8월 15일부터
0일
IM GSSG·이노신, 3% - 1 ㎖
1-14일
IV GSSG·이노신, 3% - 1 ㎖
15-30일
IV GSSG·이노신, 3% - 1 ㎖
치료는 3개월 동안 행해졌다
치료 완료에 따른 환자의 상태. 환자 상태는 만족스러웠다. 환자는 허약상태의 상당한 감소 및 오른쪽 늑골하 영역 및 관절에 동통이 없음을 인식하였다. 또한, 환자는 약물 금단기가 거의 통증이 없으며 더 짧다고 하였다. 생화학적 지표 및 복제 바이러스 활성 중단을 발견하였다 (표 25, 26 및 27 및 도 31 참조).
결론
GSSG·이노신 치료는 생화학적, 혈청학적 지표의 정상화 및 중단된 HCV 복제를 나타내는 질환의 긍정적 발전을 제공하였다. 면역 및 사이토카인 상태 지표는감염 과정의 제어 및 바이러스 복제의 부재와 관련이 있다. 치료 후 FasAg (CD95+)에 대한 모노클로날 항체를 사용한 유세포분석에 의한 환자 림프구를 연구하고, 바이러스 감염된 세포 중 프로그램화된 세포 사멸의 활성화를 나타내는, CD95+ 세포의 증가를 발견하였다. 치료 완료 후 1 및 3개월 간의 추적연구는 상기 상태의 안정성을 보여주었다.
부수적인 약물 남용 및 금단증상은 GSSG·이노신 적용으로 초기에 조절되고, 환자의 고통은 경감되었다.
따라서, 복제 활성을 갖는 만성 C형 간염 및 수반하는 약물 남용에 대한 GSSG·이노신 치료는 하기 결과를 얻을 수 있게 하였다:
* 생화학적 지표의 회복
* 혈액학적 지표의 회복
* C형 간염 바이러스의 복제 활성이 없음
* 개선된 형태학적 파라미터
* 면역 지표 및 사이토카인 상태의 회복
* 말초 혈액의 바이러스 감염된 세포 중 아포토시스 유도
* 약물 금단증상의 급속한 완화
* 안정적인 치료 효과
실시예 11 - GSSG·이노신에 의한 만성 바이러스성 C형 간염, 경화성 상태 환자의 치료
환자: G.N.V.
성별: 여성
연령: 48
진단: 만성 바이러스성 C형 간염, 경화증 (소아 C), 복수 증후군, 식도 정맥 및 위 분문(cardia)의 정맥류 이완, 단계 II.
치료 전 합병증: 허약, 불면, 관절통, 피부 가려움, 잇몸 출혈.
질환력: 질환은 1993년에 처음 나타났고, 이 때 만성 바이러스성 C형 간염, 경화성 상태가 진단되었다. 복수는 GSSG·이노신 치료를 시작할 때까지 1999년부터 시작하여 증가되었다.
GSSG·이노신으로의 치료 경과: 1% 용액, 12주 동안 1주 3회
치료 경과 완료 후 환자의 상태:
환자의 상태는 만족스러웠다. 환자는 현저한 상태 개선을 인식하였고, 완전히 행동가능하였다. 적용한 치료는 보다 양호한 임상적 및 실험실적 지표 및 환자의 삶의 질을 보장하였다 (표 28, 29 및 30 참조). 74명의 환자로부터 얻은 만성 바이러스성 C형 간염에 대한 GSSG·이노신의 효능 연구의 결과 (실시예에 나타낸 환자와 유사한 질병분류)는 표 54-55에 나타낸다.
기준 치료 후
무력증 +++ +
관절통 +++ -
피부 가려움 ++ +
모발 상태 - -
잇몸 출혈 ++ -
결론
GSSG·이노신으로의 치료 결과는 다음의 보증하였다:
* 최소 징후의 복수 증후군.
* 도플러검사 데이타에 따른 문맥 혈류의 개선.
* 문맥 고혈압의 도플러검사 징후가 없음 (비장-신장 문합이 없음)
* 정상 내지 거의 정상 카운트의 림프구 및 혈소판.
* 개선된 삶의 질.
실시예 12 - AIDS 환자에서 GSSG·이노신의 치료 효과
환자: M.V.M.
성별: 남성
연령: 50
진단: AIDS, C3 (CDC 아틀란타 등급)
수반 질환: 카포시 육종, 흉골내 림프절의 결핵,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감염, 진균성 구내염, 헤르페스 심플렉스, 습진, 신경매독.
HIV는 1994년에 진단되었다. 양성 면역블롯팅 - p24, p17, p25, p18, p55, p40, p68, p58, p34, gp120, gp160.
초기 환자 상태: 심각, 1개월 이상 38.5℃ 체온, 카르노브스키(Karnovsky) 스코어 - 50, 면역 지표의 점진적 악화. 급격한 백혈구감소증 (1.8 x 1012) 및 림프구감소증 (570)은 AZT 군 약제 및 다른 항바이러스 약물의 적용 가능성을 배제하였다.
GSSG·이노신으로의 치료 경과 (D-형태): GSSG·이노신 - 3%, 1 ㎖, 1주 3회, 근육내, 12주 동안.
1개월 치료 후 치료 효과:
* 체온 - 37.5℃
* 개선된 삶의 질 - 카르노브스키 스코어 70;
* 면역 지표는 회복되는 경향을 보임 (림프구 카운트 - 570에서 832로 증가, CD4+/CD8+ 비는 0.71에서 0.84로 증가);
* 바이러스 로딩 - 89000 카피/㎖
2개월 치료 후 치료 효과:
* 체온 - 36.9℃
* 개선된 삶의 질 - 카르노브스키 스코어 75;
* 면역 지표는 여전히 회복되는 경향을 보임 (림프구 카운트 - 736, CD4+/CD8+ 비 - 0.87; CD4+ - 199; CD8+ - 228)
* 바이러스 로딩 - 56000 카피/㎖
치료 완료 후 치료 효과:
* 체온 - 36.6℃;
* 개선된 삶의 질 - 카르노브스키 스코어 90;
* 면역 지표는 여전히 회복되는 경향을 보임 (림프구 카운트 - 1350, CD4+/CD8+ 비 - 0.87; CD4+ - 527; CD8+ - 608)
* 바이러스 로딩 - 10000 카피/㎖
실험실적 지표 - 표 31 및 32 참조
실시예 13 - Zn 2 -GSSG-TMP - AIDS의 치료 효과
(주; Zn2-GSSG-TMP - 이노신-모노포스페이트에 공유 결합된 GSSG의 아연 염)
환자: J.O.I.
성별: 여성
연령: 40
진단: HIV-감염 (ADIS 단계); C2 (CDC 아틀란타 등급). 만성 재귀성 헤르페스 심플렉스. 뇌병증. 만성 바이러스성 B형 간염 (HbsAg+), 적분상.
호스피탈 오브 인펙셔스 디지즈 (AIDS 디파트먼트)에 96년 3월 12일 입원시, 환자는 일반적 허약, 피로, 발한, 특히 야간 발한, 체중 감소, 기억 장애, 손목 관절 및 왼쪽 다리오금에서 압통을 호소하였다.
객관적 검사: 환자의 상태는 만족스러웠다. 체중 감소 징후, 창백한 피부 표면 및 구강 점액이 있었다. 목 및 겨드랑이 림프절이 직경 1 cm 까지 팽대하였다. 폐 상부의 타진 소리는 소음되지 않았다. 청진시, 거친 호흡 소리, 건조한 산재성 수포음이 있었다. 위 영역은 상복부에서 부드럽고 약간 예민하였으며, 오른쪽 장골부에 약간의 경화가 있었다. 손은 말단청색증상이 있었다. 복수의 헤르페스 발진으로 인하여 입술 상처가 생겼다. 카르노브스키 지수 - 75.
Zn2-GSSG-TMP로의 치료 경과: 96년 3월 26일부터, GSSG·이노신, 3% - 1 ㎖, 1주 3회, 8주 동안 근육내.
Zn2-GSSG-TMP로의 1개월 치료 후 치료 효과: 환자는 허약함이 약화되었고, 야간 발한이 사라졌다. 환자는 체중이 1.8 kg 증가하였다. 림프구 카운트 1276, CD4+ - 319, CD8+ - 370, 카르노브스키 스코어 - 80.
Zn2-GSSG-TMP로의 치료 완료 후 치료 효과: 합병증이 없었다. 환자 상태는 만족스러웠다. 발한은 보고되지 않았으며, 환자는 보다 활동적으로 되었다. 피부 표면은 덜 창백해졌으며, 체중이 2.5 kg 증가하였다. 림프구 카운트 - 2295, CD4+ - 574, CD8+ - 597. 카르노브스키 스코어 - 90.
면역 및 혈액 지표의 특이적 발전은 표 33 및 34에 나타낸다.
결론
단일 약제 요법으로서 Zn2-GSSG-TMP로의 치료는 다음을 제공한다:
* 개선된 삶의 질
* 개선된 면역 지표
* 혈액학적 지표의 안정화
* 감소된 바이러스 로딩
실시예 14 - 클라미디아 감염에 대한 GSSG·이노신의 치료 효능
환자: S-n, I.M., 연령 - 29
진단: 전신성 징후를 갖는 비뇨생식기 클라미디아증. 만성 수포성 전립선염. 오른쪽 관절 만성 활막염, 만성 안검결막염.
병력: 만성 전립선염이 약 8.5년 전에 진단되었다. 환자는 마크로라이드,플루오로퀴놀론 및 독시시클린과 같은 현재의 항생제를 이용하여 4회 치료받았다. 마지막 2회의 치료 주기는 면역요법 (시클로페론, 비페론(Viferon))과 함께 투여되었다. 1999년에 마지막으로 환자는 세인트-페테르스부르크 메디칼 유니버시티의 비뇨기과에서 치료받았으나, 만성 전립선염 악화, 무릎 관절 활막염, 쑤시는 듯한 안구, 눈부심, 야간 수면 후 안구 분비물을 증상으로 하여 3개월 내에 재발하였다. 따라서, 환자는 안과적 치료를 받았으나 (테트라시클린 및 에리스로마이신 연고), 어떠한 긍정적 결과가 없었다. 1992년 3월부터, 환자에게 다음 치료제를 투여하였다: 비실린, 카나마이신, 독시시클린, 테트라시클린, 트리코폴, 티니다졸, 메타시클린, 숨마메드, 시프란, 자노진, 아박탈, 루리드, 시클로페론, 비페론.
2000년 9월 디파트먼트 온 밀리터리 트라우마톨로지 및 오토페디 오브 밀리터리 메디칼 아카데미에서 환자는 디파트먼트 온 인펙셔스 디지즈 오브 더 밀리터리 메디칼 아카데미로 상담을 받으로 보내졌으며, 여기서 환자는 철저히 검사받고 GSSG·이노신 및 항생제의 도이을 비롯하여 복합적 치료를 받았다. 사정물 및 관절 활막액으로부터 얻은 세포 배양물 상에 추출된 클라미디아의 항생제 감수성의 시험 후 원인적 치료법을 적용하였다.
입원시: 환자의 상태는 만족스러웠다. 일반적 피로, 허약, 지속적 (1.5개월 이상) 간헐성 체온, 회음부 및 오른쪽 무릎 영역에서 주기적 동통 뿐만 아니라 연조직 부종 및 무릎 영역의 피부 충혈.
전립성 분비에서 - 만성 전립선염이 나타났다. 오른쪽 무릎 관절 천자에서 8 ㎖의 혼탁한 활막액을 얻었다. 천자 후 무릎 부종은 약간 감소되었다.
직접 면역형광 검정 (DIFA)는 전립선 분비 및 활막액 중에서 상당한 수의 망상체 및 씨. 트라코마티스(C. trachomatis) 기본체를 나타내었다. 씨. 트라코마티스에 대한 혈청 항체 역가 (IIFA에 의한 - 직접 면역형광 검정)는 1;128에 달하였고, 활막액은 1:64에 달하였다. 순수한 감염제 배양물은 사정물 및 관절 활막액으로부터 얻은 세포 배양물에서 얻었으며, 항생제 감수성을 측정하였다.
주요 실험실적 지표의 발전은 표 35에 나타낸다.
결론
GSSG·이노신은 다음 요법에 따라서 이용하였다: 항생제 치료 전에 1 ㎖의 3% 용액을 매일 1회 10일 동안 (5회 시도) 및 치료 도중 유사한 방식으로 98일 - 막사빈(Maxavin) 및 8일 - 빌프라펜(Vilprafen)). 이는 안정한 임상적 및 세균학적 효과를 제공하였다. 치료 후 즉히 주요 파라미터에 의하여, 및 치료 후 3개월에 PCR에 의하여 클라미디아의 제거가 증명되었다. GSSG·이노신은 주요 면역 지표의 회복 기간을 단축하는 것을 촉진하였다 (T- 및 B-림프구, IL-2, IL-8, IFN-α 및 γ의 카운트).
실시예 15
헤르페스 및 클라미디아의 복합 감염에 대한 GSSG·이노신의 치료 효능
환자: G.M.M.
진단: 클라미이아증. 생식기 헤르페스
수반질환 진단: 만성 신우신염 및 클라미디아성 헤르페스 감염으로 약 5년 전 진단받았다. 환자는 로페론 및 시클로페론을 이용한 보조 치료를 비롯하여 모든 알려진 항생제 (플루오로퀴놀론, 마크로라이드, 테트라시클린)으로 치료받았다. 시클로페론의 투여는 열 (40℃ 이하), 탈모, 피부 발진을 수반하였다. 1996년에, 환자는 신우신염 악화로 인하여 센트랄 메디칼 앤드 새니터리 호스피탈의 비뇨기관 제122호에서 치료받았다.
5년 동안의 연속적인 치료 도중, 클라미디아 트라코마티스에 대한 항체 역가는 64점으로 감소되었다. 각 치료 경과 후 구강에서 이는 150 이하이었다.
1993년 12월부터 1997년 8월부터, 환자에 다음 약제를 투여하였다.
트리코폴, 티니다졸, 비실린, 티모겐, 숨마메드, 메타시클린, 다라신 C, 마르베론, 독시시클린, 시프란, 자노신, 마크로펜, 클로트리마졸, 레오페론,아박탈, 로바미신, 타리비드, 루리드.
1998년에 환자는 치료를 위하여 메디칼 아카데미 오브 포스트-그래듀에이션의 비뇨 및 남성의학과를 왕래하였고, 여기서 항생제 요법과 병용하여 신규 치료제인 GSSG-우라실로 치료받았다.
입원시 상태: 만족스러움. 일반적 허약, 무릎 관절 및 골반 영역에서 주기적 동통, 백대하인 질 분비물.
약한 백혈구뇨. 혈액 중 신장 조직에 대한 자가 항체, 역가 - 1;4 ( 오프(V.I. Ioffe) 및 로센탈(K.M. Rosental)의 완전 고정 시험).
혈액 지표의 변화는 표 36에 나타낸다.
치료 프로토콜:
* 2 항생제 요법 주기 (독시시클린, 0.1 g, 1일 2회, 10일 동안 3 내지 12치료일; 클라시드 - 0.25 g, 1일 2회, 10일 동안, 21 내지 30 치료일).
* 치료법 당 GSSG-우라실 (치료일 - 1 내지 30).
월간 치료시:
환자 상태는 만족스러웠다. 합병증은 없었다. 혈액 및 소변 지표는 정상이었다.
결론:
GSSG-우라실의 투여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제공하였다:
* 임상적 개선;
* 클라미디아 및 헤르페스 감염의 실험실적 징후가 없음 (세균 및 혈청학적 시험, PCR);
* 신장 조직에 대한 자가항체가 없음. 소변 지표의 정상으로의 회복.
실시예 16
폐 결핵 환자에서 Li 2 -GSSG-IMP의 효과
환자: N.F.V.
성별: 남성
연령: 30
진단: 좌측 폐 상부엽의 침윤성 결핵, 파괴 및 살포 상태, 세균 분비물(+).
부수질환 진단: 만성 기관지염, 악화 상태.
병력: 1998년 5월 교도소에서 폐 결핵으로 진단받았다. 환자는 명백한 효과없이 교도소 병원에서 1998년 5월부터 8월까지 치료받았으며, 질환은 계속 진행되었다. 1998년 8월 석방으로, 환자는 세인트-페테르스부르크의 결핵 병원에서 추가 치료를 받았다. 그러나, 개선은 없었고, 1998년 10월 여전히 대량의 세균 분비물이 존재하였고, 폐 파괴 공동은 확장되었다. 또한, 스트렙토마이신 및 이소니아지드에 대한 미코박테리아 내성을 발견하였다.
입원시 상태: 중간정도의 심각함, 야간 체온 - 37.5℃, 야간 발한, 고름이 있는 생산적 기침, 카르노브스키 스코어 - 50, 면역 지표의 점진적 감소. 백혈구감소증, 림프구감소증, 단핵세포증, 중성구에서의 천자(stab) 이동. 격벽에서 - 현미경에 의하여 세균 분비물 (+) -이 가시부에서 100 이하이었다. X-선 사진: 왼쪽 폐의 상부엽에서 - 파괴성 공극의 침윤, 크기 4x3 cm, 및 왼쪽 폐 하부엽내로의 살포 부위가 존재하였다.
항균 요법 (이소니아지드, 리팜피신, 피라신아미드, 아미카신)에 대한 보조 치료로서 Li2-GSSG-IMP에 의한 치료 주기. Li2-GSSG-IMP - 3%, 1 ㎖, 근육내, 1일 1회, 1주 5회, 지속 - 3개월.
1개월 치료 효용성:
- 체온 정상화;
- 야간 발한 없음;
- 개선된 삶의 질: 카르노브스키 스코어 - 70;
- 4 kg의 체중 증가;
- 개선된 혈액학적 지표, IL-2 함량의 증가 경향, Th1/Th2비의 표준으로의 회복;
- 감소된 세균 분비물 (세균 분비물 (+) - 현미경 시야에서 2-4), 격벽이 심해짐.
2개월 치료 효용성:
- 체온 - 36.7℃
- 개선된 삶의 질: 카르노브스키 스코어 - 75;
- 면역 지표의 회복 경향;
- 세균 분비물 중단 (현미경에 의하여 세균 분비물 (-)).
치료 완료시 치료 효용성:
- 체온 - 36.6℃;
- 개선된 삶의 질: 카르노브스키 스코어 - 90;
- 면역 지표의 회복;
- 세균 분비물 중단 (부유에 의하여 세균 분비물 (-)) - 3회 연속 시험);
- X-선: 왼쪽 폐 상부엽에서 파괴 공극 치유됨, 결과 - 선형 상처 (도 31 및 32 참조).
실험실적 지표 - 표 37 참조.
결론:
3.5개월 동안의 병용 결핵 치료에서 Li2-GSSG-IMP의 투여는 다음 결과를 제공하였다:
- 세균 분비물 중단;
- 폐 파괴 공극의 치유;
- 미코박테리아 약물 내성의 극복
상기 효과는 이전의 6개월 동안의 통상적인 항결핵 화학요법에서 얻지 못한 것이었다.
실시예 17
GSSG·이노신의 간보호 효능
GSSG·이노신 간보호 활성의 실험적 연구
염증, 세포용해 및 담즙분비중지와 같은 간독성 기전은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간 손상을 유도하는 약제에 따라서 비특이적이므로 GSSG·이노신 간보호 활성은 이용가능한 재생성독성 간염 모델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비교용으로 공지된 간보호제인 에센티알 (등록상표; 아벤티스 파마슈티칼스, 미국 뉴저지주 브리지워터 소재) 및 레가론 (등록상표; 마드아스 아게, 독일 쾰른소재)을 사용하엿다.
독성 간염을 만들기 위하여 디클로로에탄 및 아세트아미노펜을 사용하였다. 이들 화합물은 올리브 오일과 혼합하여 (1:1) 4일 동안 1일 1회, 각각 500 및 400 mg/kg 용량으로 금속 비손상성 튜브를 통하여 표준 체중 (160-170 g)를 갖는 수컷 생쥐의 위에 도입하였다. 또한, 디클로로에탄 및 아세트아미노펜을 각각 300 및 250 mg/kg의 용량으로 도입하였다. 10일째에, 모든 실험 동물은 형태학적 간 사진에 따르면 독성 간염을 나타내었다. 이 날로부터 시작하여 10일 동안, 동물에 1일1회 GSSG·이노신 (5 mg/kg, IM) 및 비교제, 즉 에센티알 (등록상표) (앰퓰, 1mg/kg, 꼬리 정맥을 통한 IV) 및 레가론 (등록상표) (실리마린, 위로 100 mg/kg)을 도입하였다.
치료 효과는 임상 조건, 체중 변화, 상대적 간 중량, 트란스아미나제 활성, 빌리루빈, 포스파타제, 세루로플라스민, 총 단백질, 혈중 지질, 글리코겐, 글루타티온, SH-기, 간중 시토크롬의 함량, 로딩 시험 (헥세날 시험, 브롬-술포알레인 새험) 간 조직연구를 통하여 평가하였다.
독성물질 유형에 따라서, 연구 20일 째에 동물 사망은 40% (디클로로에탄-중독 군) 내지 80% (디클로로에탄 및 아세트아미노펜으로 치료한 군)으로 다양함을 발견하였다 (도 34, 35 및 36 참조). 가장 심각한 간 손상은 상기 2개의 약제의 병용 도입 후 관찰되었고, 이는 기능적 간세포 상태의 생화학적 지표의 변화: 트란스아미나, 포스파타제, 락테이트-디히드로게나제의 활성 증가, 총 단백질, 지질의 함량 감소, 혈중 술프히드릴기의 보존, 빌리루빈 및 세룰로플라스민의 함량 증가, 브롬-술파레인 배설의 현저한 억제로 확인되었다.
독성 간염의 존재는 간 형태검사로 확인되었다.
동물은 디클로로에탄 경구 도입 1일 후 사망 또는 안락사시킨 동물은 급성 독성 간염의 징후를 나타내었다. 현미경검사 후, 간세포 세포질이 큰 지방 덩어리로 조밀하게 충전되었음을 발견하였다. 간 지방 영향실조가 확산되었다. 또한, 간세포 세포질의 공극화 및 세포체 팽윤이 관찰디었다.
유사한 변화가 아세트아미노펜 처리 후 발견되었다. 병용 손상의 경우, 간생검 형태검사는 더욱 주목할만 하였다. 간 유조직의 상기 변화 이외에, 또한 소엽 colliquative 괴사 부위가 존재하였다.
병용 중독 모델을 사용하여, 글리코겐, 환원된 글루타티온 및 해독 시트크롬 함량은 상당히 감소되었다. 간 손상은 헥세날 파괴 및 브롬-술파레인의 감소된 비율에 의해 나타나는 기능적 활성의 저하로 특징지워진다. GSSG·이노신 이용은 레가론(등록상표) 및 에센티알(등록상표)의 도입 보다 더욱 효과적이었다.
GSSG·이노신 투여는 동물의 상태를 상당히 개선하였으며, 이들의 사망을 예방하고, 간 조직의 형태학적, 생화학적 및 기능적 지표에 대한 긍정적 영향을 가졌다.
GSSG·이노신 이용은 대조 군의 80% 사망률; 레가론(등록상표) 치료 군의 45% 사망률 및 에센티알(등록상표) 처리 군의 30% 사망률과 비교하여 실험 동물에서 100% 생존률을 제공하였다 (도 36).
생화학적 지표를 연구하면, 다음과 같은 명백한 상당한 간 손상의 징후가 존재하였다: 상기 2개의 독소, 즉 아세트아미노펜 및 디클로로에탄의 병용 도입 후 독성 간염의 형성 조건하에서 불안한 단백질-합성 및 지질-합성 기능, 활성화된 세포용해 증후군 및 담즙분비 중지. GSSG·이노신 치료법은 주요 간 기능 및 독성 간 손상을 특징짓는 주요 파라미터의 회복을 촉진하였다 (표 38, 39).
GSSG·이노신으로 치료한 동물에서 간 대사를 직접 특징지슨 지표 (글리코겐 공급, 글루타티온 함량, 마이크로솜 효소의 활성, 상대적 강 중량)은 기준선 값과 실질적으로 유사하였다 (표 40).
따라서, 나타낸 결과는 GSSG·이노신이 효과적인 간보호제임을 시사한다. 5 mg/kg 용량 10일 주기 후, 약물은 디클로로에탄 및 아세트아미노펜으로 유도한 병용 간 손상에서 상당한 치료 효과를 가지고, 생화학적 상태 및 형태의 부정적인 변화를 회복시켰다. GSSG·이노신 치료 이용은 대조군의 80% 사망률, 레가론(등록상표) 치료 군에서의 45% 사망률 및 에센티알(등록상표) 치료 군에서의 30% 사망률에 대하여 실험 군에서 100% 생존률을 제공하였다 (표 38, 39 및 40 참조).
실시예 18
실험적 독성 간 경화증에 대한 GSSG·이노신의 치료 효능
실험에 사용한 체중 180-240 g의 흰색 미교배 수컷 쥐 총 60마리는 러시안 페더레이션 아카데미 오브 사이언스의 라포로보 농장으로부터 얻었다.
제제켈(Jezequel, A.M.)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쥐에서 간 경화를 유발하였다 (디메틸니트로스아민 유도 간경화. 면역 기전에 대한 증가. J. Hepatol., 8, 42-52 (1989).) 상기 방법에 따라서, 동물에는 1 mg/kg의 용량으로 디메틸니트로스아민 (DMNA)의 1% 용액을 3일 연속으로 복강내 (i/p) 도입하고 4일 쉰 후 주사를 계속하였다. DMNA를 정상 식염수에 용해하였다. 현저한 경화증을 얻기 위하여, 상기 주사 주기는 4회가 충분하였다.
형태학적 검사를 위하여 마취한 후 중심 및 우엽으로부터 간 조직의 샘플을 취하였다. 간 샘플을 포르말린, 알콜 및 아세트산의 혼합물로 고정하였다. 이어서, 파라핀 4 ㎛ 폭 구역을 제조하고, 헤마톡실린-에오신 또는 반-기슨 방법에 의해 염색하였다.
결합 조직 발전에 대한 시험 물품의 영향을 결정하기 위하여 실험적 DMNA 유도 독성 변화의 경우, 결합 조직에 점유된 면적을 5-7 간엽 내에서 6개의 간 부위에서 측정하였다. 콜라겐 섬유가 붉은색인 반-기슨 염색 샘플을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컴퓨터 처리하여 간 부위의 스캐닝한 200X 배율의 상을 붉은색 섬유를 색 증폭하여 둘로 하였다. 선택된 물체를 형성하는 픽셀의 수에 의하여 간 조직 중 전개된 콜라겐 (결합 조직)에 의해 점유된 상대 면적을 계산하였다.
측정 결과를 통계 처리하였다. 스튜던트법을 사용하여 평균 샘플 간의 차리 유의성은 p=0.05의 유의성 수준을 나타내었다.
형태학적 변화는 연구 결과의 악화 위험을 감소시키는 블라인드 마킹한 샘플에서 평가하였다.
병리학적 과정 및 약리 효능은 임상적 징후 (체중, 외관, 복수, 운동 활성, 사망) 뿐만 아니라 동물 부검 후 형태학적 검사 및 형태학적 간 샘플 검사에 의해 평가하였다.
병리학적 과정의 전개, 즉 DMNA 도입 개시 4주 후 모든 동물은 각각 12마리의 4개의 군에 균분하였다. 제1군 - 처리 없음, 제2군 - 정상 식염수로 처리함, 제3군 - GSSG·이노신으로 처리함, 제4군 - 대조제임 헵트랄로 처리함. 제1군은 형태학적검사에 사용한 유사한 군의 12마리 비손상 동물을 포함한다.
각 군을 2개의 하위 군으로 나누었다. 하나는 3주 동안 시험 물품을 도입한 후 형태학적 검사를 수행하였고, 제2 하위 군의 동물은 6주 동안 치료하였다. 약제를 1일 1회 대퇴골 근육에 근육내 도입하였다.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제1 실험 군 (12마리 쥐)는 DMNA 도입 완료 후 치료되지 않은 동물을 포함한다. 이들 동물은 체중 증가가 느렸으며 (표 41), 3-4주 동안 낮은 운동 활성을 나타내었고, 식욕이 부진하였으며, 모발이 흐릿하고 거칠었다. DMNA 도입 완료 3주 후 형태학적 및 조직학적 검사 (6마리 동물)은 복수 및 고혈압 징후를 보였다. 반 기슨 염색 샘플 검사는 간 격벽의 결합 조직의 양이 정규 구조를 이룸을 보여주었다. 결막절 중 중심 정맥강은 종종 폐색되고 결합 조직으로 대체되었다. 평행 혈류는 정규 섬유 격벽 프레임 내의 확장된 유동을 통과하였다. 간 세포는 영양실조성 변화를 나타내었다.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 샘플은 특징적 단백질-히드로픽 영양실조 징후를 갖는 다량의 세포를 드러내었다. 간세포 핵은 일부의 경우 비중하고(pycnotic) 다른 것은 용해되었다.
독성 약제 도입 후 3주의 추적연구에 상응하는 상기 비정상과 비교하여, 다른 6마리 동물의 6주간의 추적 연구는 발견된 변화의 동시적 퇴보가 없음을 밝혔다. 예를 들면, DMNA 도입 완료 후 6주에 동물의 반 기슨 염색은 혈액으로 충전된 이완된 정맥 평행 혈관을 갖는 비후된 결합 조직 격벽을 나타내었다.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은 간세포 중에서 그레인 및 단백질-히드로픽 영양실조와 같은 유사한 심각한 영양실조성 간 변화를 나타내었다.
제2 대조 군 (12마리 쥐)는 정상 식염수 처리한 동물로 이루어진다. 매일의 추적연구는 이들이 DMNA 도입 완료 후 장기간 (3-4주) 동안 제1 대조 군의 동물과 유사하게 식욕이 부진하고, 체중 증가가 빈약하며, 모발이 거칠어짐을 보여주었다.동물은 낮은 운동 활성을 가지고, 졸리운 듯 보였다. 형태학적 및 조직학적 검사는 정상 식염수의 3주 도입은 유사-소엽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밝혔다. 정상 식염수 적용에도 불구하고, 이완된 미세혈관의 출혈로 소엽 구조의 변화, 간세포의 영양실조 및 사멸과 함께 세포 핵 용해가 일어났다. 6주간의 정상 식염수 도입 후에도 중심 결합 조직 격벽은 중심 소엽을 뚜렷이 경계를 지었다. 이완된 정맥 평행 혈관은 파괴된 중심 정맥 대신에 격벽내에서 관찰가능하였다. 반 기슨 염색은 활성화된 피브린형성과 함께 뚜렷한 단백질-히드로픽 영양실조를 나타냈다.
제3 군 동물은 GSSG·이노신으로 치료하였으며, 이는 상태의 신속한 개선을 일으켰다. 상기 약제로 치료 개시 후 7일간 매일 추적연구는 상기 군 모든 쥐에서 증가된 물리적 활동, 더 양호한 식품 섭취, 개선된 외관 및 증가된 체중을 나타냈다. 3주 동안 GSSG·이노신으로 치료한 쥐의 조직학적 간 샘플은 결합 조직 수가 감소되고, 콜라겐 섬유가 얇은 스레드로서 소엽의 문맥주위 구역에 주로 유동주위에 분포하였다.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은 단백질-히드로픽 영향실조 세포 수의 상당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대식세포 요소는 주목할만하게 활성화되었다. 6주 동안의 GSSG·이노신의 도입은 결합 조직 양의 상당한 감소를 수반하였다. 기관내 평행 혈류 발전의 징후는 없었다.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 샘플에서 주어진 용량은 간세포 중 영양실조성 변화의 수 및 용해된 핵을 갖는 세포의 상당한 감소를 보여주었다. 영양실조성 변화는 주로 개별 간세포 중 그레인 및 히아린-드랍 위축으로 나타났다. 활성화된 식세포에 의한 결합 조직 격별의 흡수가 샘플에서 나타났다. 결합 조직 중 림프구의 수는 증가되었다.
헵트랄로 치료한 제4군의 동물 (12마리 쥐)의 관찰은 장기간 (치료 개시 후 3주) 동안 이들의 상태가 개선되지 않고, 식욕이 불량하며, 체중이 증가되지 않으며, 양호하지 않게 보이며 늘 않아있었다. 형태학적 및 조직학적 검사는 3주 치료 후 급성기 변화의 심각도는 대조군 (정상 식염수 처리군)과 유사함을 보였다. 결합 조직 격벽으로 제한된 유사소엽이 샘플 중에 뚜렷이 나타났고, 이들은 중심 정맥의 작은 평행 혈관을 포함하였으며, 이는 문맥과 접합 및 링크를 형성하는 것이었다. 간세포는 심각한 영양실조성 변화를 가지고, 단백질-히드로픽 영양실조가 대부분 존재하였다. 단지 6주간의 헵트랄 투여는 약한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GSSG·이노신에 의한 것보다 덜 우세하였으며, 간 중의 콜라겐 백분율은 감소하였으며, 염증 징후는 완화되었으며, 시데로파지(siderophage)가 결합 조직에 나타났다. 간세포 상태를 검토하여 보면 헵트랄 6주간의 투여 후에도 히드로픽 변화를 갖는 다량의 세포가 존재하였다. 상기 사실은 헵트랄을 이용한 실험적 경화증의 치료의 불충분한 효능을 지적하는 것이었다.
실험 및 대조군 쥐의 간 중 결합 조직 함량에 관한 객관적 평가를 이하여 간 부위의 푹신필러스(fuchsinephilous) (즉, 결합 조직, 콜라겐) 섬유를 형태학적으로 검사하였다. 얻은 데이타를 표 42에 나타낸다. 3주 동안의 GSSG·이노신을 이용한 독성 경화증의 치료는 정상 식염수 대조군과 비교하여 1.6배 저하된 양의 콜라겐을 수반하고, 동시에 헵트랄 치료는 단지 1.1배의 간 중 콜라겐 양 감소를 수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주 투여 후 차이는 더더욱 현저하였다. GSSG·이노신은 콜라겐 양을 3.27배 감소시킨 반면, 헵트랄은 1.7배 감소시켰다. 상기 사실은GSSG·이노신 치료가 간 경화증의 경우에 결합 조직 퇴화를 촉진함을 시사한다. 상기 사실은 GSSG·이노신 이용이 간 경화증의 경우 결합 조직의 퇴화를 촉진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실험적 디메틸니트로스아민-유도 간 경화증 중의 GSSG·이노신의 높은 치료 효과는 조직학적 검사로 동물을 확인한 후 매일 관찰 후 발견되었다. 대조 군 (치료 없는 DMNA)의 간 샘플에서, 간세포 사망 부위, 작은 중심 정맥벽에서의 염증 및 결합 조직 격벽 형성이 뚜렷이 보였다. 정상 식염수 투여는 간 변화와 관련하여 어떠한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내지 않았고, 조직학 샘플은 성숙 결합 조직 격벽 및 형성된 유사 소엽의 간세포 중 영양실조성 변화를 가졌다. 헵트랄 치료는 결합 조직 양 및 문맥 중 급성기 염증 과정의 심각성 뿐만 아니라 영양실조성 간세포 변화의 약간의 감소를 가져왔으며, 이 때 헵트랄 투여의 긍정적인 효과는 6주에나 나타났다. 반대로, GSSG·이노신으로 치료한 동물은 3주에서도 결합 조직 양의 상당한 감소를 나타냈으며, 6주 투여 후에는 더욱 잘 나타났다. 이들 동물로부터 얻은 간 샘플의 조직학적 검사는 미세혈관을 포함하는 단지 유일한 작은 결합 조직 격벽을 나타냈었고, 간세포 중 어떠한 상당한 단백질-히드로픽 변화가 발견되지 않았으며, 이는 약제의 상당히 강력한 간보호 활성을 나타낸다.
결론. 흰색 쥐의 실험적 디메틸니트로스아민 유도된 간 경화증에 대한 6주 동안 1주 3회 10 mg/kg 용량의 GSSG·이노신 이용은 기관에서의 결합 조직의 직접적 퇴화와 관련이 있으며, 또한 변화된 간세포의 회복을 촉진하였다. 비교제인 헵트랄은 상당히 낮은 치료 효능을 나타내었다.
주:
* - 감염 후 첫번째 3일에 비특이적 동물 사망 (군 당 1-2마리 동물)이 있었고, 감염일에 모든 군에 6마리 동물이 있었다.
& - 무한
3순환 면역 복합체
4순환 면역 복합체
5순환 면역 복합체
6적혈구 침강 속도
7순환 면역 복합체
Zn 2 -GSSG-TMP로 치료시 바이러스 로딩 발전 (실시예 13)
지표 초기 값 1개월 치료 치료 완료
바이러스 로딩(HIV RNA의 카피/㎖) 80000 66000 15000
주요 실험실적 지표 발전 (실시예 14)
지표 치료 전 치료 후 치료 후 1개월 치료 후 3개월 표준
사정물 중 클라미디아 (DIFA, 세포 배양물) +++ _ _ _ _
전립선 분비 중 클라미디아 (DIFA, 세포 배양물) +++ _ _ _ _
활막액 중 클라미디아 (DIFA, 세포 배양물) ++ _ _ _ _
혈액 백혈구 중 클라미디아 (DIFA, 세포 배양물) ++ _ _ _ _
전립선 분비물 중 감염제 (PCR) ++ + ± _ _
활막액 중 감염제 (PCR) ++ ± _ _ _
CD3 (T-림프구), % 52 59 68 72 60-85
CD4 (T-림프구), % 26 29 32 40 31-46
CD8 (T-림프구), % 22 24 30 32 26-40
CD20 (B-림프구), % 18 16 15 16 11-16
IL-1 (1β), pg/㎖ 100 250 60 0 0
IL-2, un/pg 20 44 62 80 0-40
IL-8, pg/㎖ 340 120 64 0 0
IFN-α, IU/㎖ 52 102 94 108 0-8
IFN-γ, IU/㎖ 37 97 93 314 10-60
주요 실험실적 지표의 발전 (실시예 15)
지표 치료 전 값 치료 후 1개월 치료 후 3개월 표준
도포에 의한 클라미디아 (IFA) + - - -
혈청 항체 역가 - IgG 1:232 - - 1:32
클라미디아 트라코마티스에 대한 PCR + - - -
헤르페스 심플렉스 I+II에 대한 PCR + - - -
T-림프구 (CD3+), % 50 65 73 60-85
T-림프구 (CD3+), 106/㎖ 675 1623 1601 590-2200
B-림프구 (CD19+), % 13 12 9 5-20
B-림프구 (CD19+), 106/㎖ 176 300 212 95-532
T-헬퍼 (CD4+), % 29 62 61 30-60
T-헬퍼 (CD4+), 106/㎖ 392 1005 979 309-1571
T-세포독성 림프구 (CD8+), 5 22 35 33 19-48
T-세포독성 림프구 (CD8+), 106/㎖ 297 562 532 282-999
IL-2 수용체 수반 세포 (CD25+), 106/㎖ 149 429 433 208-576
HLA (II) DR 수용체 106/㎖ 243 374 383 304-720
NK-세포 (CD16+), 106/㎖ 270 407 386 78-605
LMIT*-자발성 백혈구 이동, un. 1.2 4.4 4.0 2.5-5.0
LMIT-피로헤마글루티닌, % 33 52 48 29-56
LMIT-콘카나발린 A, % -116 42 65 40-75
식세포 수, % 46 88 72 65-95
식세포 지표 4 6 7 4-10
식세포작용 완료 지표 0.7 1.6 1.6 >1
NBT** - 기저 시험, % 1 8 8 6-10
NBT - 자극 시험, % 37 76 74 40-80
총 혈청 IFN, IU/㎖ 26 42 8 0-8
IFN-α/β 66 564 432 250-520
IFN-γ 32 265 186 110-250
* LMIT - 백혈구 이주-억제 시험
** NBT -니트로블루 테트라졸륨
주요 실험실적 지표의 발전 (실시예 16)
혈액 면역 시험 20.10.98 21.11.98 19.12.98 21.01.99 표준
림프구 832 1350 1400 1680 1200-3000
CD4+ 199 527 860 892 700-1100
CD8+ 357 422 563 594 500-900
CD4/CD8 0.56 1.25 1.53 1.50 1.0-1.5
IL-1 22 29 46 39 30-50
IL-4 32 30 37 34 30-50
IL-6 16 29 44 39 30-50
IL-8 23 45 50 48 30-100
IL-12 14 28 39 47 30-50
일반 혈액 시험 20.10.98 21.11.98 19.12.98 21.01.99 표준
적혈구 3.7 4.2 4.3 4.2 4.0-5.0
헤모글로빈 108 128 132 128 130-160
혈소판 260 210 230 210 180-320
백혈구 9.9 5.2 5.2 6.8 4.0-9.0
천자 중성구 12 6 1 3 1-6
분절 중성구 57 53 51 50 47-72
단핵구 12 4 2 5 3-11
ESR 50 27 13 11 2-10
디클로로에탄 및 아세트아미노펜을 도입한 동물의 간 상태를 특징짓는 형태학적평가 지표 (연구 20일째), M±m (실시예 17)
지표 및 측정 단위 대조 (비손상 동물) 실험 (치료 없음) 실험 (GSSG·이노신으로 치료함)
중량, g 190±5 130±10* 180±15**
상대적 간 중량, mg/100 g의 중량 27.7±1.1 56.2±1.2* 31.3±1.3**
* - 대조군과 상당히 상이함 (p<0.05)
** - 비치료 실험 군과 상당히 상이함
디클로로에탄 및 아세트아미노펜을 도입한 동물의 간 상태를 특징짓는 생화학적 지표 (연구 20일째), M±m (실시예 17)
지표 및 측정 단위 대조 (비손상 동물) 실험 (치료 없음) 실험 (GSSG·이노신으로 치료함)
1 2 3 4
단백질 합성 기능
총 혈청 단백질, g/l 64±2 28±4* 52±5*
γ-GTP, μcat/l 0.86±0.10 0.21±0.07* 0.72±0.09**
프로트롬빈 시간, 혈청, s 33±5 92±17* 43±5**
지질 대사
총 지질, g/l 3.7±0.3 2.1±0.1* 3.2±0.1**
콜레스테롤, mmole/l 1.72±0.44 0.82±0.24* 1.58±0.21**
세포용해 증후군
ALT, μcat/l 0.20±0.03 2.55±0.25* 0.54±0.08**
AST, μcat/l 0.60±0.05 1.54±0.17* 0.82±0.06**
산 포스파타제, μcat/l 0.74±0.12 3.07±0.17* 0.82±0.03**
탄수화물 대사
글리코겐, 간, mg% 2500±100 400±60* 1600±100**
글루코스, 혈청, mmole/l 5.0±0.3 3.2±0.4** 4.2±0.4
담즙분비중지
총 빌리루빈, 혈청, mmole/l 3.0±0.3 8.2±0.2* 3.2±0.1**
알칼라인 포스파타제, μcat/l 0.69±0.10 3.15±0.35* 0.72±0.09**
* - 대조와 상당히 상이함 (p<0.05)
** - 비치료 실험 군과 상당히 상이함
디클로로에탄 및 아세트아미노펜에 노출된 동물에서 간 해독 기능에 대한 GSSG·이노신의 효과 (연구 20일째), M±m (실시예 17)
지표 및 측정 단위 대조 (비손상 동물) 실험 (치료 없음) 실험 (GSSG·이노신으로 치료함)
환원된 글루타티온, 간, mg% 160±5 50±10* 165±10**
-SHgr, 혈액, μmole/100 ㎖ 1650±90 330±30* 1100±50**
시토크롬 P450, 간, mmole/mg의 단백질 x 10-4 1.24±0.03 0.62±0.06* 1.08±0.06**
시토크롬 B5, 간, mmole/mg의 단백질 x 10-4 0.85±0.04 0.34±0.06* 0.64±0.07**
브롬-술파레인 함량, 혈청, 도입 10분 후, mg% 13.86±1.2 54.2±2.6* 19.3±1.1**
헥세날 수면, 분 25.0±1.5 52.5±2.5* 27.0±1.5**
* - 대조와 상당히 상이함 (p<0.05)
** - 비치료 실험 군과 상당히 상이함
연구 도중 쥐 체중 발전 (g) (실시예 18)
기준 중독 후 1주 치료 3주 치료 6주 치료
비손상 150.5 182.0 237.5 251.25 262
제1군,DMNA 156.25 178.75 195 211
제2군,정상 식염수 184 200 223
제3군,GSSG·이노신 200.6 238 259
제4군,헵트랄 191.0 212 232
실험적 디메틸니트로스아민(DMNA)-유도 경화증에 대하여 치료된 흰색 생쥐의 간 유조직의 결합 조직량 (실시예 18)
치료 기간 치료 변형법 간 구역에서의 결합 조직의 상대적 구획, %
비손상 동물 1.744±0.101
경화 모델링 완료 3주 후 치료 없음 (DMNA만) 8.654±0.702
정상 식염수 9.292±0.886
GSSG·이노신 5.74±0.421*
헵트랄 8.215±0.751
경화 모델링 완료 6주 후 치료 없음 (DMNA만) 15.840±1.476
정상 식염수 13.288±1.221
GSSG·이노신 4.062±0.320*
헵트랄 7.781±0.943*
주: * - 정상 식염수 처리된 동물과 상당히 상이함, p<0.05
급성 HBV 감염에서 ALT (정상 범위: 0-41 U/L), 시험 물품으로 치료함
개월 GSSG·이노신, n=20 대증 요법, n=19
기준 (치료 전) 651±18.5 604±20.0
1 (치료 후) 153.5±9.5* **350.8±3.5*
2 (치료 1개월 후)*** 56.4±5.0* **115.3±2.2*
4 (치료 3개월 후)*** 31.0±3.7* **75.5±6.3*
* 검사 기간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함;
** 실험 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함.
*** - 추가 치료 없음.
급성 HBV 감염에서 PCR (%), 시험 물품으로 치료함
개월 GSSG·이노신, n=20 대증 요법, n=19
기준 (치료 전) 100 100
1 (치료 후) 20* **57.9*
2 (치료 1개월 후)*** 0* **42.0*
4 (치료 3개월 후)*** 0 **57.9
* 검사 기간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함;
** 실험 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함.
*** - 추가 치료 없음.
급성 HBV 감염에서 HbsAg (ng/㎖), 시험 물품으로 치료함
개월 GSSG·이노신, n=20 대증 요법, n=19
기준 (치료 전) 159.8±12.9 172.0±4.6
1 (치료 후) 49.5±24.8* **136.7±2.3*
2 (치료 1개월 후)*** 11.2±3.5* *887.3±2.7*
4 (치료 3개월 후)*** 0* 68.8±3.8
* 검사 기간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함;
** 실험 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함.
*** - 추가 치료 없음.
급성 HBV 감염에서의 빌리루빈 (정상 범위: 8-20.5 μmole/L), 시험 물품으로 치료함
개월 GSSG·이노신, n=20 대증 요법, n=19
기준 (치료 전) 79.21±28.8 82.7±1.5
1 (치료 후) 26.2±8.0* **46.7±2.7*
2 (치료 1개월 후)*** 21.8±7.6 27.6±3.0*
4 (치료 3개월 후)*** 16.5±6.6* **22.0±3.2*
* 검사 기간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함;
** 실험 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함.
*** - 추가 치료 없음.
만성 HBV 감염에서의 ALT (정상 범위: 0-41 U/L), 시험 물품으로 치료함
개월 GSSG·이노신*n=22 팜비르(팜시클로버)글락소 웰컴 인비라사(사크비나버)호프만 라 로슈
기준 (치료 전) 196.9±9.8 165.7±13.8 165.7±17.0
1 (치료 후) 55.1±6.7* **70.2±9.1* **90.8±5.5
2 (치료 1개월 후)*** 31.6±1.9* **75.9±9.6 **71.4±6.5
3 (치료 3개월 후)*** 37.5±3.5 **77.9±10.2 **71.8±7.4
* 검사 기간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함;
** 실험 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함.
*** - 추가 치료 없음.
만성 HBV 감염에서의 HbsAg (ng/㎖), 시험 물품으로 치료함
개월 GSSG·이노신*n=22 팜비르(팜시클로버)글락소 웰컴 인비라사(사크비나버)호프만 라 로슈
기준 (치료 전) 123.21±32.55 157.8±8.84 137.0±20.6
1 (치료 후) 90.26±33.65* **150.5±10.43 **109.0±54.5*
2 (치료 1개월 후)*** 73.56±35.39* **153.5±10.14 **112.2±22.2
3 (치료 3개월 후)*** 67.87±35.41 **132.5±43.76 **172.0±14.5*
* 검사 기간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함;
** 실험 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함.
*** - 추가 치료 없음.
만성 HBV 감염에서 PCR(%)
개월 GSSG·이노신*n=22 팜비르(팜시클로버)글락소 웰컴n=20 인비라사(사크비나버)호프만 라 로슈n=20
기준 (치료 전) 100 100 100
1 (치료 후) 13.64 **50.0* **70.0*
2 (치료 1개월 후)*** 13.64 **60.0 **60.0*
4 (치료 3개월 후)*** 9.09 **20.0 **60.0
* 검사 기간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함;
** 실험 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함.
*** - 추가 치료 없음.
심각한 HBV 감염에서의 ALT (정상 범위: 0-41 U/L), 시험 물품으로 치료함
개월 GSSG·이노신, n=20 대증 요법 및 프레드니솔론 (치료 경과 당 500-1000 mg), n=15
기준 (치료 전) 1593.71±217.8 1657.9±96.5
1 (치료 후) 113.6±26.3* **293.8±18.8*
2 (치료 1개월 후)*** 40.5±5.86* **145.4±15.5*
4 (치료 3개월 후)*** 29.6±4.7* **65.3±15.7*
* 검사 기간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함;
** 실험 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함.
*** - 추가 치료 없음.
심각한 HBV 감염에서의 HbsAg (ng/㎖), 시험 물품으로 치료함
개월 GSSG·이노신*, n=20 대증 요법 및 프레드니솔론 (치료 경과 당 500-1000 mg), n=15
기준 (치료 전) 184.57±18.90 189.7±20.4
1 (치료 후) 21.28±3.7* **97.8±18.6*
2 (치료 1개월 후)*** 7.54±1.24* **87.7±12.7
4 (치료 3개월 후)*** 0 **76.6±15.4
* 검사 기간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함;
** 실험 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함.
*** - 추가 치료 없음.
심각한 HBV 감염에서의 PCR(%), 시험 물품으로 치료함
개월 GSSG·이노신*, n=20 대증 요법 및 프레드니솔론 (치료 경과 당 500-1000 mg), n=15
기준 (치료 전) 100 100
1 (치료 후) 10* **66.7
2 (치료 1개월 후)*** 5 **66.7
4 (치료 3개월 후)*** 0 **53.3
* 검사 기간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함;
** 실험 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함.
*** - 추가 치료 없음.
심각한 HBV 감염에서의 빌리루빈 (정상 범위: 8-20.5 μmole/L), 시험 물품으로 치료함
개월 GSSG·이노신*, n=20 대증 요법 및 프레드니솔론 (치료 경과 당 500-1000 mg), n=15
기준 (치료 전) 306.5±82.4 313.9±62.6
1 (치료 후) 43.8±10.7* **86.9±21.9*
2 (치료 1개월 후)*** 18.95±2.4* **31.4±14.6*
4 (치료 3개월 후)*** 14.92±2.73 **26.84±13.99
* 검사 기간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함;
** 실험 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함.
*** - 추가 치료 없음.
만성 HCV 감염에서의 ALT (정상 범위: 0-41 U/L), 시험 물품으로 치료함
개월 GSSG·이노신n=22 레트로비르(지도부딘)글락소 웰컴n=22 히비드(잘지타빈)호프만 라 로슈n=23
기준 (치료 전) 239.5±42.5 180±20.0 187.5±48.4
1 (치료 후) 60±11.8 **132.0±51.5* **190±71.1*
2 (치료 1개월 후)*** 54.0±9.6 **108±40.3* **153±25.3*
3 (치료 3개월 후)*** 59.5±10.3 **90.0±25.2* **151±25.2*
* 검사 기간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함;
** 실험 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함.
*** - 추가 치료 없음.
만성 HCV 감염에서의 PCR (%), 시험 물품으로 치료함
개월 GSSG·이노신n=22 지도부딘n=22 잘지타빈n=23
기준 (치료 전) 100 100 100
1 (치료 후) 37.93 **54.5* **73.9*
2 (치료 1개월 후)*** 41.4 **63.6* **56.5*
3 (치료 3개월 후)*** 41.4 **59.1* **60.9*
* 검사 기간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함;
** 실험 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함.
*** - 추가 치료 없음.

Claims (67)

  1. 산화된 글루타티온을 포함하는 산화된 글루타티온의 염, 및 DNA 염기, DNA 염기의 뉴클레오시드, DNA 염기의 뉴클레오티드, RNA 염기, RNA 염기의 뉴클레오시드, RNA 염기의 뉴클레오티드, 이노신, 이노신의 뉴클레오티드 및 이의 상동체, 유사체 및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질소함유 염기를 포함하는 산화된 글루타티온의 카운터이온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산화된 글루타티온이 L-형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산화된 글루타티온이 D-형태 및 L-형태의 나머지 아미노산의 2개의 화학적으로 동등한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질소함유 염기가 퓨린을 포함하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질소함유 염기가 피리미딘을 포함하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질소함유 염기가 이노신을 포함하는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산화된 글루타티온 및 이노신이 약 1:1의 몰비로 조성물 중에 존재하는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동체가 5-메틸-시토신 및 디히드로우라실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유사체가 4-티오우라실을 포함하는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뉴클레오티드가 모노포스페이트, 디포스페이트 및 트리포스페이트로부터 선택되는 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산화된 글루타티온이 음이온이고, 질소함유 염기가 양이온인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산화된 글루타티온이 카르복실레이트로 존재하는 글리신 잔기를 포함하고, 질소함유 염기가 프로톤화된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이온 1종 이상이 제1 유형의 카운터이온이고, 조성물이 암모늄 양이온,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및 전이 금속으로부터 선택되는 무기 카운터이온을 포함하는 제2 유형의 카운터이온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카운터이온이 질소함유 염기를 포함하는 것인 카운터이온 2종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각각의 질소함유 염기가 상이한 구조를 포함하는 조성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질소함유 염기 1종 이상이 퓨린이고, 질소함유 염기 1종 이상이 피리미딘인 조성물.
  17. 제15항에 있어서, 질소함유 염기 1종 이상이 퓨린의 뉴클레오시드이고, 질소함유 염기 1종 이상이 피리미딘의 뉴클레오시드인 조성물.
  18. 제15항에 있어서, 질소함유 염기 1종 이상이 퓨린의 뉴클레오티드이고, 질소함유 염기 1종 이상이 피리미딘의 뉴클레오티드인 조성물.
  19. 이노신에 공유 결합된 산화된 글루타티온을 포함하는 조성물.
  20. 제19항에 있어서, 산화된 글루타티온이 포스포아미드 연결을 통하여 이노신에 공유 결합된 조성물.
  21. 제19항에 있어서, 산화된 글루타티온 대 이노신의 비가 1:1인 조성물.
  22. 제19항에 있어서, 이노신이 뉴클레오시드 또는 뉴클레오티드로 제공되는 조성물.
  23. 음이온 형태의 글루타티온을 포함하는 용액을 제공하는 단계;
    글루타티온을 산화하는 단계; 및
    DNA 염기, DNA 염기의 뉴클레오시드, DNA 염기의 뉴클레오티드, RNA 염기, RNA 염기의 뉴클레오시드, RNA 염기의 뉴클레오티드, 이노신, 이노신의 뉴클레오티드 및 이의 상동체, 유사체 및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질소함유 염기 1종 이상을 상기 용액에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 염의 제조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질소함유 염기 1종 이상이 이노신을 포함하는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이노신 대 산화된 글루타티온의 몰비가 약 1:1인 방법.
  26. 제23항에 있어서, 음이온 형태의 글루타티온을 포함하는 용액을 제공하는 단계가 염기성 용액 중의 글루타티온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7. 제23항에 있어서, 글루타티온을 산화하는 단계가 용액에 산화제를 첨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산화제가 히드로겐 퍼옥사이드, 공기,산소 및 활성 산소를 갖는 요오드, 질소 산화물 및 황 화합물을 포함하는 촉매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방법.
  29. 산화된 글루타티온을 포함하는 용액을 제공하는 단계; 및
    DNA 염기, DNA 염기의 뉴클레오시드, DNA 염기의 뉴클레오티드, RNA 염기, RNA 염기의 뉴클레오시드, RNA 염기의 뉴클레오티드, 이노신, 이노신의 뉴클레오티드 및 이의 상동체, 유사체 및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질소함유 염기 1종 이상을 상기 용액에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 염의 제조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질소함유 염기 1종 이상이 이노신을 포함하는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산화된 글루타티온 대 이노신의 몰비가 약 1:1인 방법.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을 제공하는 단계가 염기성 용액 중의 산화된 글루타티온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33. 산화된 글루타티온 또는 산화된 글루타티온 염의 글루탐산 또는 글루타메이트를 인산 또는 인산 유도체와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산화된 글루타티온 유도체의 제조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인산 또는 인산 유도체가 퓨린 뉴클레오시드, 피리미딘 뉴클레오시드 및 이노신 뉴클레오시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뉴클레오시드에 추가로 결합된 방법.
  35. 제33항에 있어서, 인산 유도체가 이노신 뉴클레오티드에 추가로 결합된 방법.
  36. 산화된 글루타티온 염 및 질소함유 염기를 포함하는 산화된 글루타티온의 카운터이온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치료 효과를 달성하기 유효한 양으로 대상에게 도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감염성 질환의 치료 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질환이 세균성 감염성 질환인 방법.
  38. 제36항에 있어서, 질소함유 염기가 DNA 염기, DNA 염기의 뉴클레오시드, DNA 염기의 뉴클레오티드, RNA 염기, RNA 염기의 뉴클레오시드, RNA 염기의 뉴클레오티드, 이노신, 이노신의 뉴클레오티드 및 이의 상동체, 유사체 및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39. 제36항에 있어서, 대상이 바이러스성 감염성 질환, 세균성 감염성 질환, 혐기성 감염, 클라미디아 감염, 미코플라스마 감염, 진균증 및 원생동물 감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환에 걸린 방법.
  40. 제36항에 있어서, 대상이 바이러스-감염된 세포, 결핵 미코박테리아를 함유하는 대식세포, 미코플라스마, 클라미디아 및 말라리아 열원충으로 감염된 세포로부터 선택되는 병에 걸리고,
    조성물이 GSSG·이노신, GSSG·우라실, GSSG·티미딘, GSSG·아데노신, GSSG·구아닌, GSSG-이노신-모노포스페이트, GSSG-우라실-모노포스페이트, GSSG-티미딘-모노포스페이트 및 GSSG-시토신-모노포스페이트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41. 제36항에 있어서, 대상이 C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되고, 조성물이 GSSG·이노신, GSSG-이노신-모노포스페이트 및 GSSG-우라실-모노포스페이트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42. 제36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GSSG·이노신인 방법.
  43. 제36항에 있어서, 대상이 B형 간염, C형 간염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환에 걸리고, 조성물이 GSSG·이노신인 방법.
  44. 제36항에 있어서, 대상이 B형 간염, C형 간염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환에 걸리고, 조성물이 GSSG-이노신-모노포스페이트인 방법.
  45. 제36항에 있어서, 대상이 급성 바이러스성 B형 간염에 걸리고, 조성물이 GSSG·이노신 및 GSSG-이노신-모노포스페이트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46. 제36항에 있어서, 대상이 만성 B형 간염, 만성 C형 간염, 독성 간염, 알콜후 간 질환, 간 경화증, 간세포 암종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환에 걸리고, 조성물이 GSSG·이노신인 방법.
  47. 제36항에 있어서, 대상이 급성 바이러스성 C형 간염에 걸리고, 조성물이 GSSG·이노신, GSSG·우라실 및 GSSG-이노신-모노포스페이트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48. 제36항에 있어서, 대상이 만성 바이러스성 B형 간염에 걸리고, 조성물이GSSG·이노신, GSSG·아데노신, GSSG·구아노신, GSSG-이노신-모노포스페이트 및 GSSG-티미딘-모노포스페이트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49. 제36항에 있어서, 대상이 만성 바이러스성 C형 간염에 걸리고, 조성물이 GSSG·이노신, GSSG·우라실, GSSG·시토신, GSSG·디히드로우라실, GSSG-우라실-모노포스페이트, GSSG-시토신-모노포스페이트 및 우라실-GSSG-이노신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50. 제36항에 있어서, 대상이 경화성 상태의 만성 바이러스성 간염에 걸리고, 조성물이 GSSG·이노신, GSSG·유리딘, GSSG·티미딘, Li2-GSSG-이노신-모노포스페이트 및 Na2-GSsG-티미딘-모노포스페이트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51. 제36항에 있어서, 대상이 폐 결핵에 걸리고, 조성물이 GSSG·이노신, GSSG·시토신, GSSG-5-메틸시토신 및 Li2-GSSG-이노신-모노포스페이트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52. 제36항에 있어서, 대상이 비뇨생식기 결핵에 걸리고, 조성물이 GSSG·티미딘, Na2-GSSG-구아노신-모노포스페이트 및 우라실-Li2-GSSG-구아노신-모노포스페이트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53. 제36항에 있어서, 대상이 AIDS,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감염, 엡스타인-바 바이러스로 인한 감염 및 뉴모시스트(pneumocyst)로 인한 감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환에 걸리고, 조성물이 GSSG·이노신, GSSG·디히드로우라실, GSSG-4-티오우라실, Zn2-GSSG-티미딘-모노포스페이트, Ag2-GSSG-우라실-모노포스페이트 및 유리딘-GSSG·이노신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54. 제36항에 있어서, 대상이 헤르페스 감염에 걸리고, 조성물이 GSSG·이노신, Li2-GSSG-구아노신-모노포스페이트, D-형태의 Na2-GSSG-시토신-모노포스페이트 및 D-형태의 GSSG·우라실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55. 제36항에 있어서, 대상이 칸디다증에 걸리고, 조성물이 GSSG·유리딘, GSSG-4-티오우라실 및 Ag2-GSSG-우라실-모노포스페이트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56. 제36항에 있어서, 대상이 미코플라스마 감염에 걸리고, 조성물이 GSSG·이노신, GSSG·아데노신 및 Na2-GSSG-아데노신-모노포스페이트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57. 제36항에 있어서, 대상이 클라미디아 감염에 걸리고, 조성물이 GSSG·이노신, GSSG·티미딘, GSSG·유리딘, GSSG·구아노신 및 Na2-GSSG-구아노신-모노포스페이트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58. 제36항에 있어서, 대상이 말라리아 및 레이슈마니아증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환에 걸리고, 조성물이 GSSG·이노신, GSSG·시토신 및 GSSG-5-메틸시토신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59. 제36항에 있어서, 대상이 혐기성 감염에 걸리고, 조성물이 D-형태의 GSSG·이노신 (D-시스테인) 및 D-형태의 GSSG·우라실 (D-글루탐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60. 제36항에 있어서, 대상이 바이러스성 A형 간염, 이질 및 콜레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환에 걸리고, 조성물이 GSSG·이노신, GSSG-이노신-모노포스페이트 및 D-형태의 GSSG·우라실 (D- 글루탐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61. 제36항에 있어서, 대상이 감염성 수막염에 걸리고, 조성물이 GSSG·이노신,Li2-GSSG-이노신-모노포스페이트, D-형태의 GSSG·우라실 (D-글루탐산), GSSG-5-메틸시토신 및 Ag2-GSSG-우라실-모노포스페이트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62. 제36항에 있어서,대상이 페스트, 야토병 및 탄저병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환에 걸리고, 조성물이 GSSG·이노신, GSSG·아데닌, GSSG·티미딘, GSSG-5-메틸시토신, GSSG-4-티오우라실, D-형태의 GSSG·우라실 (D-글루탐산), D-형태의 GSSG·이노신 (D-시스테인) 및 아데닌·GSSG·티미딘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63. 제36항에 있어서, 대상이 프리온(prion)에 의한 감염에 걸리고, 조성물이 GSSG·이노신, GSSG·유리딘, GSSG·디히드로우라실, Ag2-GSSG-우라실-모노포스페이트, Ag2-GSSG-티미딘-모노포스페이트 및 우라실-모노포스페이트-Li2-GSSG-이노신-모노포스페이트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64. 제36항에 있어서, 대상이 인플루엔자 및 급성 호흡기 감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환에 걸리고, 조성물이 GSSG·이노신, GSSG·아데노신, GSSG·우라실 및 GSSG·티미딘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65. 제36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비경구 및 경구 경로, 흡입 용액, 국소 투여를 위한 용액, 눈 또는 비강 드롭제, 연고, 크림 또는 겔 및 좌제를 통하여 제약적으로 허용가능한 용매 또는 비히클을 통하여 대상에 도입되는 방법.
  66. 산화된 글루타티온 염 및 질소함유 염기를 포함하는 산화된 글루타티온의 카운터이온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치료를 요하는 대상에게 치료적 효과를 얻기 위하여 도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바이러스, 세균 또는 다른 감염제의 복제 활성에 의한 병의 치료를 요하는 대상의 치료 방법.
  67. 산화된 글루타티온 염 및 질소함유 염기를 포함하는 산화된 글루타티온의 카운터이온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치료를 요하는 대상에게 세포 보호 효과를 얻기 위하여 도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의 치료 방법.
KR10-2003-7010419A 2001-02-08 2002-02-07 디술피드 함유 펩티드 및 질소함유 염기를 포함하는화합물, 및 이의 의약 용도 KR200300789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RU2001103535/14A RU2178710C1 (ru) 2001-02-08 2001-02-08 Индивидуальные вещества, полученные на основе химического взаимодействия дисульфидсодержащих пептидов с производными пуриновых или пиримидиновых оснований,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е композиции и препараты на их основе, способы их применения для лечения инфекционных заболеваний и профилактики осложнений
RU01103535/14 2001-02-08
US88753701A 2001-06-22 2001-06-22
US09/887,537 2001-06-22
US09/903,443 US20030073618A1 (en) 2001-02-08 2001-07-11 Compounds comprising disulfide-containing peptides and nitrogenous bases, and medical uses thereof
US09/903,443 2001-07-11
PCT/US2002/003670 WO2002076490A1 (en) 2001-02-08 2002-02-07 Compounds comprising disulfide-containing peptides and nitrogenous bases, and medical uses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8906A true KR20030078906A (ko) 2003-10-08

Family

ID=27354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0419A KR20030078906A (ko) 2001-02-08 2002-02-07 디술피드 함유 펩티드 및 질소함유 염기를 포함하는화합물, 및 이의 의약 용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20030073618A1 (ko)
EP (1) EP1365789A1 (ko)
KR (1) KR20030078906A (ko)
CN (1) CN1498111A (ko)
WO (1) WO200207649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2395A (ko) * 2017-11-17 2019-12-26 오브쉐스트보 에스 오그라니체노이 오트베츠트벤노스츄 "이바 파름" 글루타티온 다이설파이드 및 글루타티온 다이설파이드 s-옥사이드를 포함한 제약학적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505781D0 (en) * 2005-03-21 2005-04-27 Univ Cardiff Chemical compounds
CA2724788C (en) * 2008-05-20 2016-12-06 Neurogesx, Inc. Hepatoprotectant acetaminophen mutual prodrugs
HUE030402T2 (en) 2009-09-15 2017-05-29 Taigen Biotechnology Co Ltd HCV protease inhibitors
IT1401504B1 (it) * 2010-08-02 2013-07-26 Cattarini Mastelli Composizione comprendente glutatione reduttasi e glutatione ossidato
RU2451010C1 (ru) * 2011-01-11 2012-05-20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Ива Фарм" Палладиево-медные катализаторы гомогенного селективного окисления тиольных групп, комбинация и композиция на их основе и способ терапевтического воздействия
EP2727932B1 (en) * 2011-06-30 2020-05-13 Kaneka Corporation Solid oxidized glutathione sal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N102895649A (zh) * 2012-11-08 2013-01-30 兆科药业(合肥)有限公司 一种治疗肝损伤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US20160257961A1 (en) * 2013-11-06 2016-09-08 Solstice Biologics, Ltd. Polynucleotide constructs having disulfide groups
US10278984B2 (en) * 2014-05-02 2019-05-07 Nitor Therapeutics Guanosine as an immune potentiator mediated through toll receptors
AU2017312116A1 (en) 2016-08-17 2019-03-07 Solstice Biologics, Ltd. Polynucleotide constructs
WO2019006455A1 (en) 2017-06-30 2019-01-03 Solstice Biologics, Ltd. AUXILIARIES OF CHIRAL PHOSPHORAMIDITIS AND METHODS OF USE THEREOF
RU2747890C1 (ru) * 2021-03-24 2021-05-1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Ива Фарм" Средство для снижения риска и облегчения симптомов заражения бета-коронавирусной инфекцией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0022A (en) * 1981-10-05 1985-10-29 Alcon Laboratories, Inc. Tissue irrigating solution
JPH075631B2 (ja) * 1986-03-19 1995-01-25 参天製薬株式会社 グルタチオン誘導体
RU2089179C1 (ru) * 1995-12-14 1997-09-10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ВАМ" Стимулятор эндогенной продукции цитокинов и гепопоэтических факторов и способ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JP4002313B2 (ja) * 1996-08-21 2007-10-31 株式会社ノエビア 皮膚外用剤
RU2144374C1 (ru) * 1998-11-23 2000-01-20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ВАМ"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омпозита окисленного глутатиона с cis-диаминодихлорплатиной и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х композиций на его основе, регулирующих метаболизм, пролиферацию, дифференцировку и механизмы апоптоза нормальных и трансформированных клето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2395A (ko) * 2017-11-17 2019-12-26 오브쉐스트보 에스 오그라니체노이 오트베츠트벤노스츄 "이바 파름" 글루타티온 다이설파이드 및 글루타티온 다이설파이드 s-옥사이드를 포함한 제약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65789A1 (en) 2003-12-03
US20030105026A1 (en) 2003-06-05
CN1498111A (zh) 2004-05-19
US20030073618A1 (en) 2003-04-17
WO2002076490A1 (en) 2002-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49258B2 (ja) 新規な抗ウイルス化合物
JP2764014B2 (ja) アシルデオキシリボヌクレオシド誘導体
KR20030078906A (ko) 디술피드 함유 펩티드 및 질소함유 염기를 포함하는화합물, 및 이의 의약 용도
EA021974B1 (ru) Противовирусное соединение
KR100256144B1 (ko) 아실화된 피리미딘 누클레오사이드를 이용한 화학요법제 및 항비루스제의 독성의 치료
JP2002508736A (ja) ペプチジルプロドラッグ及びそれの製法と使用方法
RU2126417C1 (ru) Сложные эфиры нуклеозидов,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JPH11513992A (ja) シチジンデアミナーゼまたはデオキシシチジンデアミナーゼの過剰発現を伴う疾患を治療するための薬剤および方法
JP3393645B2 (ja) 造血改善のためのオキシプリンヌクレオシド、およびそれらの同族体、ならびにそのアシル誘導体
CN111479574A (zh) 用于治疗和预防细胞外组蛋白介导的病理的化合物
BRPI0620530A2 (pt) sais e misturas de 9-oxioacridona-10-ácido acético e 1-alquilamina-1-deoxipolióis, composições farmacêuticas e métodos para tratamento
RU2166508C2 (ru) Фосфонолипиды карбоновых кислот и их соли и антивирусное средство на их основе
AU732120B2 (en) Pyrimidine nucleotide precursors for treatment of systemic inflammation and inflammatory hepatitis
JP3769011B2 (ja) イノシトール三燐酸エステルの薬剤調製への使用
EP1244356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l-nucleosides, l-nucleotides, and their analogs
JP3102945B2 (ja) 肝炎治療剤
RU2487878C1 (ru) Комплексные соединения германия с производными азотистых оснований пуринового ряда, способы их получения и содержащие их лекарственные средства
RU2178710C1 (ru) Индивидуальные вещества, полученные на основе химического взаимодействия дисульфидсодержащих пептидов с производными пуриновых или пиримидиновых оснований,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е композиции и препараты на их основе, способы их применения для лечения инфекционных заболеваний и профилактики осложнений
RU2178418C2 (ru) Ковалентные конъюгаты липидов с фосфонокарбоновой кислотой, их получение и применение в качестве антивирусных лекарственных средств
CA2279214A1 (en) Antiviral agents
JPH0959178A (ja) 抗ウイルス剤及び抗ウイルス作用増強剤
CN110669106B (zh) 一种成骨靶向肽修饰的查尔酮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6140367A (en) Use of ethylene diamine disuccinate for preparing a medicament with antiviral properties
MX2014010209A (es) Agente inhibidor para acumulacion de fluido de la cavidad corporal.
WO2023277730A1 (ru) Лекарствен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 заражения sars-cov-2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