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8291A - 왑폰을 이용한 무선인터넷 망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왑폰을 이용한 무선인터넷 망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8291A
KR20030078291A KR1020020017234A KR20020017234A KR20030078291A KR 20030078291 A KR20030078291 A KR 20030078291A KR 1020020017234 A KR1020020017234 A KR 1020020017234A KR 20020017234 A KR20020017234 A KR 20020017234A KR 20030078291 A KR20030078291 A KR 20030078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ne
repeater
swap
network
manage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7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9916B1 (ko
Inventor
정하재
송주태
Original Assignee
이노에이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에이스(주) filed Critical 이노에이스(주)
Priority to KR10-2002-0017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9916B1/ko
Publication of KR20030078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8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9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9916B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왑폰을 이용한 망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인터넷망 관리를 위한 망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RF 중계기의 제어부에 의해서 무선인터넷 브라우져가 내장된 왑폰을 일정한 주기로 제어하는 RF 중계기; 상기 RF 중계기에서 전송된 왑프로토콜로 정의된 데이터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상위 망관리자와 인터넷 접속하여 운영상태를 제어 및 관리하는 왑/웹서버; 및, 이동중인 운영자의 왑폰에 의해 망관리가 가능한 무선인터넷 폰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왑폰을 이용한 무선인터넷 망관리 시스템 {Wireless Internet of Network Management System Using the WAP Phone}
본 발명은 RF 중계기의 상위 무선인터넷망 관리 시스템(NMS : network management system)에 의하여 통신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왑폰을 이용한 망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무선을 사용하여 관리하는 관리망 시스템, 예컨대 모든 형태의 RF중계기를 사용하는 상위 관리망 시스템에 있어서 관리망의 이상유무를 바로 알 수 있고 동시에 전 서비스 영역의 통화품질 및 이상유무를 관리할 수 있는 왑폰을 이용한 망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망관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운영방식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SMS방식(Short Message Service)을 이용하여 망관리를 위해 통신할 경우 데이터 베이스(22)에 연결된 중계기 감시용 서버(21)가 이더넷 TCP/IP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존의 이동전화망 내의 SMS 센터(23)내에서 동작하는 가상(Vertical)SMS서버(24)와, 위치등록기(HLR; 25), MSC교환기(26) 및 기지국 제어기(27)를 통하여 중계기 감시용 단말기(28)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연결된 중계기 감시용 서버(21)와 중계기 감시용 단말기(28) 사이에는 이더넷 TCP/IP 인터페이스의 정합을 맞추어야 하는 문제로 관리망 구축에 어려움이 발생된다. 또한 SMS의 단문메시지를 전송한 경우 단문메시지를 80 바이트 이내로 하여 전송하여야 하므로 메시지 전송량의 제약이 따른다. 더구나 전송은 단방향 이어야 하므로 송/수신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SMS을 이용한 망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이더넷 TCP/IP 인터페이스의 정합을 맞추어야 전송데이터 제약 및 착신 성능 등의 문제를 개선하고 무선 및 유선 인터넷 베이스의 메시지 전송에 의해 이동 중에도 관리가 용이한 왑폰을 이용한 중계기 관리 시스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왑폰을 이용한 중계기 관리 시스템에서, RF 중계기는 그 내부의 RF 중계기 제어부에 의해서 무선인터넷 브라우져가 내장된 왑폰을 제어한다. 이 RF 중계기 제어부는 일정한 주기, 예컨대 5분, 10분, 또는 30분 등으로 무선인터넷에 접속하여 왑프로토콜에 정의된 프로토콜에 맞게 상위 관리 망 서버(이하, 왑/웹라 한다)에 RF 중계기의 상태정보, 알람정보, 진단정보(주파수 스펙트럼 파형 데이터) 등을 전송하여 RF 중계기 제어 명령을 수행한다. 또한, 왑/웹서버는 RF 중계기에서 전송된 왑 프로토콜로 정의된 데이터 정보를 DB(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상위 망관리자에 유선 LAN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여 운영상태 및 제어관리를 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을 통해 망 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웹 형태로 변환하며, 망관리자가 운영이 가능하도록 변환하여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망 관리자에 의해 이동중인 관리자의 왑폰을 RF 중계기 관리폰으로 등록을 하고 해당 RF 중계기의 웹사이트 를 등록하면 이동중인 관리자폰에 해당 RF 중계기의 목록이 리스팅된다. 이 리스팅 목록을 보고 사용자는 해당 왑폰으로 해당 RF 중계기의 운영을 이동 중에 수행할 수 있다. 왑/웹서버에서는 관리자 왑폰으로 등록된 왑폰을 통해 RF 중계기의 상태정보, 알람정보, 운영 로그인 등을 관리자 폰에 왑프로토콜에 정의된 형태로 해당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제어명령이 있으면 해당명령을 받아 RF 중계기의 제어명령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웹/왑폰서버에 연결된 SMS 폰은 해당 RF 중계기에 SMS 로 단문메시지를 전송하고, RF 중계기에 내장된 왑폰으로 하여금 무선인터넷을 통해 접속하도록 하여 RF 중계기의 상태,알람,제어정보를 받는다. 이에 따라 유선망(유선LAN)이 있는 곳에서는 누구나 언제라도 인터넷을 통해 중계기 관리를 할 수 있으며 또한 이동중인 관리자의 관리자 왑폰을 통해 이동중에도 관리가 가능한 관리망으로 쉽게 언제라도 관리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망관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운영방식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왑폰을 이용한 망관리 시스템의 운용방식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 망관리자 2 : 유선인터넷망
3 : 웹/왑폰서버 4 : RF중계기
5 : 중계기제어부 6 : 왑폰
7 :기지국1 8 : 이동전화망(무선인터넷망)
9 : 관리자 왑폰 10 : 타기지국2
11 : 타기지국3 12 : SMS폰
13 :DB(데이터 베이스)
이하 본 발명의 왑폰을 이용한 망관리 시스템에 대한 설명과 구체적인 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왑폰을 이용한 중계기 관리 시스템은 도 2와 같이 RF중계기(4)의 내부에 있는 중계기 제어부(5)의 제어 하에서 내부의 상태 정보, 알람 정보, 진단 정보(스펙트럼 파형데이터) 등을 일정주기 간격으로 RF중계기(4) 내부에 설치된 왑폰(6)을 통해 기지국1 (7)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전송되는 일정주기는 5분, 10분, 30분 등 간격으로 망관리자가 지정할 수 있다.
기지국1(7)은 RF중계기(4)에 인접하여 연결되고 RF 중계기(4)로부터 전송된 상태정보, 알람정보, 진단정보, 환경정보 등을 이동전화망(무선인터넷)(8)을 통해 웹/왑폰서버(3)로 전송한다. 이때의 이동 전화망 전송은 왑 프로토콜에 정의된 WML 랭귀지 프로토콜 방식으로 접속하여 전송한다.
한편 왑/웹폰서버(3)에서는 일정주기로 올라온 RF중계기(4)의 상태정보, 알람정보, 진단정보,전파환경 등은 DB(13)에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데이터를 망관리자(1)에 의해 유선 인터넷망(2)을 통해 접속할 때에 망관리자(1)에 제공한다.
또한 왑폰을 이용한 중계기 관리망의 구성은 망관리자(1)에서 RF중계기(4)을 제어하고자 할 때는 해당되는 제어 정보인 중계기의 이득, RF출력 on/off등의 제어정보를 변경 저장하고 있다. 이 제어정보가 RF중계기(4)에서 왑 폰(6)을 통해 일정주기로 무선인터넷망(8)을 통해 접속하였을 경우 제어정보는 RF중계기(4) 내부의 왑 폰(6)을 통해 제어정보를 받아서 중계기 제어부(5)을 통해 RF중계기(4)의 중계기 이득, RF출력 on/off등 제어정보를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이동 중에 RF중계기(4)에 의한 망 관리는 다음과 같다. 도 2와 같이 망관리자(1)에 의해 웹/왑폰서버(3)에서 관리하고자 하는 해당 RF중계기(4)를 유선 인터넷 망(2)에 접속하여 관리자 왑 폰(9)에 등록한다. RF중계기(4)를 등록하면 이동중인 망관리자(1)가 그의 왑 폰(9)을 통해 타기지국(10)을 경유하여 무선인터넷망(8)에 접속하고 관리정보를 선택하면, 웹/왑폰서버(3)에서 RF중계기(4)로부터 일정주기로 올라오는 중계기 DB정보를 보관하고 있다가 이동중인 관리자 왑 폰(9)에 관리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제공된 관리정보를 보고 이동 관리자가 그의 왑 폰(9)을 통해 제어하고자 하는 제어정보를 입력하고 웹/왑폰서버(3)로 전송하면 웹/왑폰서버(3)는 해당 RF중계기(4)에 무선인터넷망(8)에 접속된 제어정보를 제공하여 제어한다.
웹/왑폰서버(3) 내부에 설치된 단문메시지를 서버스하는 단말기인 SMS 폰(12)은 RF중계기(4) 내부에 설치된 왑 폰(6)에 대해 일정주기로 정보를 보내는 자동보고 기능을 한다. 이 RF 중계기 제어부는 일정한 주기(5분,10분,30분 등)로 무선인터넷에 자동 보고한다.
그리고 알람 발생시에만 왑/웹서버(3)에 무선인터넷 접속한다. 이를 위하여 SMS 폰(12)를 이용하여 제어명령 및 상태명령을 일정주기 사이에서 중계기 내부에 설치된 왑 폰(6)에게 단문형식의 메시지를 보내서 푸시(Push)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웹/왑폰서버(3) 내부에 설치된 SMS 폰(12)를 통해 긴급명령 메시지가 인근 타기지국(11)에 접속된 이동전화망(8)과 기지국1(7)을 통해 RF중계기(4)에 설치된 왑 폰(6)으로 전달된다. 전달된 긴급명령인 단문 메시지는 RF중계기(4)내부에 설치된 중계기 제어부(5)에서 분석되고, 웹/왑폰서버(3)에서 요구하는 메시지는 왑 폰(6)을 통해 무선인터넷망(8)에 접속하여 웹/왑폰서버(3)에서 요구하는 긴급 제어명령 및 상태 요구 명령을 수행함으로서 제어를 일정주기가 아닌 신속한 제어를 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웹/왑폰서버(3)은 서버내부에 왑서버기능, 웹서버기능을 동시 수행한다. 또한 무선인터넷을 통해 접속된 데이터를 DB로 가지고 있어 시스템의 전체적인 알람 통계, 상태 통계, 위치(MAP)등 서비스가 가능하며 진단기능(스펙트럼 파형)등 가능하다.
그리고 웹/왑폰서버(3)는 관리자 모드에서 이동중인 관리자 왑 폰(9)에 해당되는 RF중계기(4)의 알람 통보기능을 설정하는 경우, 관리자 왑 폰(9)에 해당되는 RF중계기(4)의 알람 상태를 웹/왑폰서버(3)내에 설치된 SMS 폰(12)를 통해서 단문메시지로 이상유무를 알리는 기능이 추가 되어 이동관리자가 언제든지 알람 발생원인을 알 수 있다.
또한, 웹/왑폰서버(3)는 이동통신망에서 일정간격, 예컨대 5분 주기로 자동 보고되는 명령을 읽어 해당 RF중계기(4)의 상태/제어값 등을 데이터베이스(DB)서버(13)에 저장하고, 저장된 상태/제어값 등을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 1대의 서버로 구성한다. 그리고 웹/왑폰서버(4)는 이동중인 관리자의 인터넷 왑폰(360)에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RF중계기(320)에서 받은 데이터를 출력하고 제어하는 기능이 있다.
한편, 웹/왑폰서버(3)는 웹/왑폰서버(3)와 RF중계기(4)사이에 운영되는 상태를 웹 변환으로 유선인터넷 망(2)의 LAN을 통해 관리가 가능하도록 기능한다.
또한, SMS 폰(12)은 웹/왑폰서버(3)에 연결된 SMS 폰(12)을 통해 RF중계기(4) 혹은 이동중인 운영자의 관리자 왑 폰(9)에 알람 등 긴급내용을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왑폰을 이용한 망관리 시스템은 인터넷을 통해 원격으로 운영상태 및 제어가 용이하며 언제 어디서나 관리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왑폰을 이용한 망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인터넷을 통한 관리망을 구축하여 유선망이 있는 곳에서는 인터넷을 통해 언제나 누구라도 관리가 용이하므로 관리망 구축 비용이 절감된다. 이동 중에도 관리자 왑폰을 통해 무선인터넷에 접속하여 중계기 및 타시스템 관리가 용이하다. 무선의 원격 관리망을 구축하여 데이터 전송량에 제한이 없어 많은 양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며 아울러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등이 용이하다. 즉 기존의 RF접속방식의 하나인 SMS접속방식에 비해서 데이터 전송량 제한이 없다. 단방향이 아닌 쌍방향 통신이 가능하다.

Claims (8)

  1.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망 관리를 위한 망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RF 중계기 제어부에 의해서 무선인터넷 브라우져가 내장된 왑폰을 일정한 주기로 제어하는 RF 중계기;
    상기 RF 중계기에서 전송된 왑프로토콜로 정의된 데이터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상위 망관리자와 인터넷 접속하여 운영상태를 제어 및 관리하는 왑/웹서버; 및,
    이동중인 망관리 운영자의 왑폰에 의해 망관리가 가능한 무선인터넷 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왑폰을 이용한 망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웹/왑폰서버는 무선인터넷망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RF 중계기를 관리하는 무선인터넷 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왑폰을 이용한 망관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웹/왑폰서버는 유선망(LAN)을 이용하여 원격관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왑폰을 이용한 망관리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F 중계기는 그 사이트를 등록한 RF 중계기의 리스팅 목록을 관리자에게 전송하고 상기 관리자는 상기 RF 중계기의 제어를 이동 중에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왑폰을 이용한 망관리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F 중계기는 무선인터넷을 통해 접속하고 단문메시지를 웹/왑폰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왑폰을 이용한 망관리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인터넷 폰은 SMS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왑폰을 이용한 망관리 시스템.
  7.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SMS폰은 RF 중계기의 상태,알람,제어정보를 웹/왑폰서버에 전송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왑폰을 이용한 망관리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F 중계기 제어부는 5분,10분,또는 30분 간격으로 상위 관리 망 서버에 RF 중계기의 상태정보, 알람정보, 진단정보를 전송하여 RF 중계기 제어 명령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왑폰을 이용한 망관리 시스템.
KR10-2002-0017234A 2002-03-29 2002-03-29 왑폰을 이용한 무선인터넷 망관리 시스템 KR100449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7234A KR100449916B1 (ko) 2002-03-29 2002-03-29 왑폰을 이용한 무선인터넷 망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7234A KR100449916B1 (ko) 2002-03-29 2002-03-29 왑폰을 이용한 무선인터넷 망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8291A true KR20030078291A (ko) 2003-10-08
KR100449916B1 KR100449916B1 (ko) 2004-09-22

Family

ID=32377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7234A KR100449916B1 (ko) 2002-03-29 2002-03-29 왑폰을 이용한 무선인터넷 망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991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377B1 (ko) * 2004-10-13 2007-03-09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통신 장치의 원격 감시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721474B1 (ko) * 2004-07-21 2007-05-23 히다찌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진단 방법, 및 무선 통신시스템의 진단에 이용하는 무선 단말기
CN100375557C (zh) * 2005-01-11 2008-03-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利用移动台操作维护电信网设备的方法及其移动网管系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1254A (ko) * 1999-01-20 2000-08-16 나형수 무선단말기의 채널분석기능을 이용한 중계기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29221B1 (ko) * 1999-01-23 2002-03-21 이상철 중계기의 운용상태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19334B1 (ko) * 1999-07-31 2006-09-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의 중계기 상태 감지 방법
JP2001111552A (ja) * 1999-10-13 2001-04-20 Nec Corp 交換システム障害情報通知装置及びその通知方法並びにその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0441438B1 (ko) * 2001-12-29 2004-07-2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씨.디.엠.에이(CDMA) 단말기를 이용한 멀티밴드(Multi Band) 중계기 감시 방법 및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474B1 (ko) * 2004-07-21 2007-05-23 히다찌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진단 방법, 및 무선 통신시스템의 진단에 이용하는 무선 단말기
US7542762B2 (en) 2004-07-21 2009-06-02 Hitachi Communication Technologies, Lt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st method thereof, and access terminal for testing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996004B2 (en) 2004-07-21 2011-08-09 Hitachi, Lt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st method thereof, and access terminal for testing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691377B1 (ko) * 2004-10-13 2007-03-09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통신 장치의 원격 감시 제어장치 및 방법
CN100375557C (zh) * 2005-01-11 2008-03-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利用移动台操作维护电信网设备的方法及其移动网管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9916B1 (ko) 2004-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82947A1 (en) Terminal setting change notification
US8538407B2 (en) Fixed mobile convergence home control system
CN103595601A (zh) 用于物联网监控的家庭网关及物联网监控系统
JP3917958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中継器遠隔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2007288579A (ja) 基地局ログ収集装置、基地局のログの収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449916B1 (ko) 왑폰을 이용한 무선인터넷 망관리 시스템
KR100346999B1 (ko) 무선데이터서비스의 체감품질 측정 및 관리 시스템과 그방법
KR101242734B1 (ko)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와 방법
EP1304006B1 (en) Managing control data in mobile station
CN115022116A (zh) 一种电台拉远通信系统及其控制方法
KR20000060717A (ko) 무선중계시스템의 rf중계기 작동감시 시스템
JP3069853B2 (ja) 工場内データ伝送システム
KR101329155B1 (ko) 통신망 정보 획득 장치
KR100424363B1 (ko) 상하향 접속이 가능한 통신 장치 및 방법
KR20060099588A (ko) 이동통신망으로 홈게이트웨이에 연결되는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홈게이트웨이장치
KR20030059367A (ko) 원격지에서의 가전기기 제어 방법 및 서버
KR20110111206A (ko) 이동통신 중계기의 원격 제어 관리 시스템
KR20070064451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애 감시 장치
KR100637554B1 (ko) Pda를 이용한 운용자 위치정보 확인시스템
KR100600783B1 (ko) Gps 모듈이 내장된 pda를 이용한 운용자 위치정보확인시스템
CN105684352A (zh) 用于远程管理属于私用网络的装置的技术
KR20060022073A (ko) 무선통신기기를 이용한 중계기 원격 관리시스템 및 그원격 관리방법
JP4641449B2 (ja) 通信システム
CN109831376A (zh) 一种基于gsm网络的即时通信系统
JP2006215791A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