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4363B1 - 상하향 접속이 가능한 통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상하향 접속이 가능한 통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4363B1
KR100424363B1 KR10-2001-0045759A KR20010045759A KR100424363B1 KR 100424363 B1 KR100424363 B1 KR 100424363B1 KR 20010045759 A KR20010045759 A KR 20010045759A KR 100424363 B1 KR100424363 B1 KR 100424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modem
main system
data
iw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5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1190A (ko
Inventor
박종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니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니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니온
Priority to KR10-2001-0045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4363B1/ko
Priority to CN02126936A priority patent/CN1400801A/zh
Publication of KR20030011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1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4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43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58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main exchange and sub-exchange or satelli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94CDMA, code division multiplexing, i.e. combinations of H04Q2213/13291 and/or H04Q2213/13292 with space div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회선의 구성에 비용을 들이지 않고서도 CDMA망을 이용하여 상향 및 하향으로의 접속이 모두 가능하도록 한 상하향 접속이 가능한 통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메인 시스템에 게이트웨이가 연결되고, 단말장치에 패킷 조립/분해 수단이 연결되며, 상기 게이트웨이와 패킷 조립/분해 수단 사이에는 CDMA망 및 모뎀이 위치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메인 시스템에서 상기 단말장치로의 통신 시도시에는 모뎀 대 모뎀 접속 채널을 사용하여 통신 시도를 행하고, 상기 단말장치에서 상기 메인 시스템으로의 통신 시도시에는 IWF(Inter-working function) 접속 채널을 사용하여 통신 시도를 행하되, 상기 메인 시스템 및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어느 접속 채널로 상호 접속된 상태에서는 일정 시간내의 데이터를 현재 접속된 채널을 통하여 송수신함으로써, 상황에 따라 채널 변경이 이루어지고 그로 인해 메인 시스템에서 단말장치에게로 및 단말장치에서 메인 시스템으로의 데이터 전송에 제한이 적으며 통신의 신뢰도 및 망 이용의 극대화를 향상시키게 된다.

Description

상하향 접속이 가능한 통신 장치 및 방법{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capable of up/down connection}
본 발명은 상하향 접속이 가능한 통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격의 메인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인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원방 감시제어 시스템)분야 및 원격의 메인 시스템에서 현장의 메터(meter)기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데이터(검침량)를 수집하는 시스템인 AMR(Automatic Meter Reading)분야에 CDMA(셀룰러 및 PCS)망을 적용하여 상향 및 하향으로 각각 접속이 가능하도록 한 통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CDMA망이 적용된 SCADA분야에서는 단말장치에서 IWF를 통하여 메인 시스템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방식 및 메인 시스템의 CDMA 모뎀을 통하여 단말장치의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요구하는 통신 방식중에서 하나를 채택하여 사용한다.
전자의 통신 방식은, 이미 설정된 시간 주기/시간대별로 데이터를 전송하며 원격 검침 시스템에 적용되는데 단말장치의 제어, 설정, 상태 감시 등의 데이터를 운용자가 요구할 수 없으므로 단말 장치 스스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까지는 단말장치가 갖고 있는 현장 상태를 확인할 방법이 없고 어떠한 제어나 설정 정보를 전송할 수 없다. 여기서, 설정(setting)이라 함은 단말장치에서 정보를 발생할 수 있도록 메인 시스템에서 설정값을 변경 또는 지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후자의 통신 방식은, 모뎀만을 이용하여 통신하므로 수용하고 있는 단말장치의 수량이 많은 경우 단말장치측에서 전송하는 데이터 수신에 문제가 발생한다. 즉,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용량의 문제가 발생한다. 다시 말해서, 게이트웨이에서는 사용 포트(즉, 모뎀)를 알 수 있지만 단말장치에서는 게이트웨이측의 어떤 모뎀이 비어있는지를 알 수 없으므로 특정 모뎀으로 접속을 시도하여 대부분의 데이터 전송이 실패한다. 또한, 단말장치측에서 게이트웨이에 수용되어 있는 모든 모뎀의 전화번호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있어야 접속 실패시 다른 모뎀으로 접속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접속에 따른 시간 지연으로 인해 접속이 되더라도 통신이 실패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현재까지 주기적으로 메인 시스템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원격검침 분야 및 모뎀을 통한 1:1 통신에 주로 사용되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통신 회선의 구성에 비용을 들이지 않고서도 CDMA망을 이용하여 상향 및 하향으로의 접속이 모두 가능하도록 한 상하향 접속이 가능한 통신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신 회선의 구성에 비용을 들이지 않고서도 CDMA망을 이용하여 상향 및 하향으로의 접속이 모두 가능하도록 한 상하향 접속이 가능한 통신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하향 접속이 가능한 통신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게이트웨이의 내부 구성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패킷 조립/분해 수단(PAD)의 내부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메인 시스템 12 : 게이트웨이
14 : IWF(Inter-working Function) 16 : 교환기
18 : 기지국 20, 22 : RF모뎀
24 : 패킷 조립/분해 수단(Packet Assembly/Disassembly)(PAD)
26 : 단말장치 30 : 메인 시스템 인터페이스부
32 : 데이터베이스 34 : 단말장치 접속관리부
36 : GUI(Graphic User Interface)부
38 : IWF인터페이스부 40 : RF모뎀 인터페이스부
50 : RF모뎀 인터페이스부 52 : 데이터베이스
54 : 접속관리부 56 : 모뎀 제어부
58 : 콘솔(console)부 60 : 프로토콜 처리부
62 : 단말장치 인터페이스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하향 접속이 가능한 통신 장치는, 메인 시스템과 단말장치간에 CDMA망을 채용한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 시스템과 CDMA망을 연결하되, 상기 메인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요청 또는 명령 신호를 모뎀을 통하여 상기 단말장치에게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장치로부터의 응답 및 요청 신호를 모뎀을 통하여 상기 메인 시스템에게로 전송하는 게이트웨이; 및 상기 단말장치와 상기 CDMA망을 연결하되, 상기 게이트웨이에서 전송되는 상기 메인 시스템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장치에게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장치에서 스스로 데이터를 상기 메인 시스템에게로 전송하고자 할 때 상기 모뎀이 비접속상태이면 상기 CDMA망의 IWF(Inter-working function)를 통하여 상기 메인 시스템에게로 전송하는 패킷 조립/분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하향 접속이 가능한 통신 방법은, 메인 시스템에 게이트웨이가 연결되고, 단말장치에 패킷 조립/분해 수단이 연결되며, 상기 게이트웨이와 패킷 조립/분해 수단 사이에는 CDMA망 및 모뎀이 위치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인 시스템에서 상기 단말장치로의 통신 시도시에는 모뎀 대 모뎀 접속 채널을 사용하여 통신 시도를 행하고, 상기 단말장치에서 상기 메인 시스템으로의 통신 시도시에는 IWF(Inter-working function) 접속 채널을 사용하여 통신 시도를 행하되, 상기 메인 시스템 및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어느 접속 채널로 상호 접속된 상태에서는 일정 시간내의 데이터를 현재 접속된 채널을 통하여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하향 접속이 가능한 통신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하향 접속이 가능한 통신 장치의 구성도로서, 운용자 또는 자체적인 통신 스케쥴에 의하여 현장의 기기 상태 감시 및 제어 등을 수행하고, 화면상에 기기의 상태 등을 표시하는 기기로서 컴퓨터 등으로 구성되는 메인 시스템(10); 상기 메인 시스템(10)의 자체적인 통신 스케쥴 및 운용자의 요구에 의한 데이터를 단말장치(26)에게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 전송시 프로토콜 변환 및 전송 매체의 변환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단말장치(26)의 응답 또는 요청을 상기 메인 시스템(10)에게로 전송하는 게이트웨이(12); RF망을 인터넷망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망사업자의 기기인 IWF(14); 가입자의 통화로를 구성시켜 주고 타통신망과의 접속을 수행하는 교환기(16); 상기 단말장치(26)와 함께 무선구간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기지국(18); 상기 게이트웨이(12)에 의해 제어되고, 유선 환경을 무선 환경으로 변환시키거나 무선 환경을 유선 환경으로 변환시키는 RF모뎀(20, 22), 및 상기 단말장치(26)측에 위치하는 CDMA용 RF모뎀 제어 및 상기 메인 시스템(10)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직렬(serial)로 단말장치(26)에게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장치(26)가 이해할 수 있는 프로토콜로의 변환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단말장치(26)에서 특정 정보가 발생하여 스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벤트 구동(Event Driven; unsolicited message)의 경우 상기 게이트웨이(12)의 접속 상태를 파악하여 그 게이트웨이(12)의 모뎀이 비접속상태이면 상기 IWF(14)와의 접속을 처리하고 그 IWF(14)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패킷 조립/분해 수단(PAD)(24)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 시스템(10)에서 상기 단말장치(26)에게로 전송되는 데이터에는, 원격 제어에 관한 데이터(예컨대, 차단기/개폐기 등의 제어, 가스 및 수도 밸브류의 제어, 현장의 릴레이 제어 등), 원격 설정에 관한 데이터(예컨대, 단말장치 운용 정보 설정, 설비 운용 정보 설정, 통신 관련 설정 등), 원격 감시에 관한 데이터(예컨대, 사용자 요구에 의한 비주기성 데이터) 및 기타 명령들이 있게 된다.
상기 단말장치(26)는 현장 기기를 최종적으로 제어하고 상태를 감시하는 기기로서 자체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기능이 구현되며, 제어/상태감시/계측/통신 등이 가능하다. 상기 현장 기기라 함은 개폐기/차단기류, 밸브류 등을 포함하여 상기 단말장치(26)의 전기적 신호를 통하여 제어되고 상태가 감시되는 기기를 말한다.
도 1에서는, 상기 단말장치(26)를 하나만 도시하였으나, 실질적으로는 여러개이고, 각 단말장치마다 RF모뎀이 대응되게 존재한다.
상기 도 1에서, 게이트웨이(12) 및 패킷 조립/분해 수단(24)은 두 가지의 접속 채널을 갖게 되는데, IWF(14)를 통한 패킷 접속 채널 및 모뎀과 모뎀을 통한 서킷(circuit) 접속 채널을 상황에 따라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IWF(14)와 교환기(16) 및 기지국(18) 등은 CDMA 망사업자가 구현한다.
상기 메인 시스템(10)에서 단말장치(26)로 데이터를 요청하거나 명령을 전송하는 경우, 상기 게이트웨이(12)에서는 메인 시스템(10)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받아서 단말장치(26)측의 RF모뎀(22)의 전화번호를 데이터베이스상에서 인출한 후 모뎀 대 모뎀 방식으로 접속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장치(26)의 응답을 상기 패킷 조립/분해 수단(24)을 통하여 수신하여 상기 메인 시스템(10)에게 데이터를 넘겨준다. 여기서, 동시에 상기 게이트웨이(12)에서 단말장치(26)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수용 용량은 게이트웨이(12)에 설치된 모뎀 수량과 동일하다.
한편, 상기 단말장치(26)에서 먼저 데이터를 상기 메인 시스템(10)으로 전송하는 경우 즉, 모뎀과 모뎀을 통한 접속 채널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CDMA망의 IWF(14)를 경유 통로로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IWF(14) 또는 RF모뎀(20,22)을 통하여 상기 메인 시스템(10)과 단말장치(26)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어느 일측이 다른측으로 데이터를 전송한 경우에는 데이터를 제대로 수신하였는지를 문의하는 응답신호(confirm)(ack)를 요청한다. 따라서, 데이터를 전송한 이후에 일정 시간(즉, 접속 해제 대기시간)동안 접속을 종료하지 않는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게이트웨이의 내부 구성도이다. 상기 게이트웨이(12)는 상기 메인 시스템(10)과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며 TCP/UDP 서비스를 수행하는 메인 시스템 인터페이스부(30); 상기 단말장치(26)의 RF모뎀의 전화번호, 재접속시도, 접속 대기시간, 접속 해제 대기시간 등의 정보의 저장 및 편집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단말장치(26) 및 현장 기기의 이력 사항 기록을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32); 상기 게이트웨이(12)와 단말장치(26) 사이의 접속 유무, 접속 채널 등의 상태를 파악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32)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게이트웨이(12)와 단말장치(26)간의 데이터 송수신에 필요한 접속 채널을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장치 접속관리부(34); 상기 단말장치 접속관리부(34)의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장치(26)측의 RF모뎀 상태, 통화 시간 및 접속 성공률, 통신 프레임 모니터링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GUI부(36); 상기 단말장치 접속관리부(34)의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IWF(14)와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IWF인터페이스부(38); 및 상기 단말장치 접속관리부(34)의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CDMA용 RF모뎀(20)과 직렬(serial)로 인터페이스되는 RF모뎀 인터페이스부(40)를 구비한다.
상기 IWF인터페이스부(38)는 UDP/TCP 서비스를 수행하며, IWF(14)를 통한 데이터의 전송시 상기 IWF(14)와의 접속시마다 단말장치(26)의 IP 주소가 계속 변경되므로 메인 시스템(10)의 응답을 단말장치(26)측에 제대로 전송하기 위하여 단말장치(26)의 IP 주소를 단말장치 고유 주소 또는 전화번호와 연계하여 계속적으로 갱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RF모뎀 인터페이스부(40)는 AT 명령을 이용한 전화걸기/모드 설정/접속해제, 데이터 전송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AT 명령은 Heyes사의 스마트(smart) 모뎀 명령어로서 거의 모든 다이얼(dial) 모뎀의 표준이다. 모뎀의설정을 위한 명령을 사용할 때 AT 문자로 시작한다.
상기 단말장치 접속관리부(34)가 상기 게이트웨이(12)내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제어를 총괄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패킷 조립/분해 수단(PAD)의 내부 구성도이다. 상기 패킷 조립/분해 수단(24)은 RF모뎀(22)과의 직렬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RF모뎀 인터페이스부(50); 전화걸기 재시도 회수, 접속 대기 시간, 접속 해제 대기 시간 등의 설정을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52); 상기 패킷 조립/분해 수단(24)과 게이트웨이(12)간의 접속 상태를 감시하고, 상기 단말장치(26)와 게이트웨이(12)간의 데이터 송수신에 필요한 접속 채널을 선정하는 접속 관리부(54); 상기 접속 관리부(54)의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RF모뎀(22)을 통한 전화걸기/접속 해제, 데이터 전송 기능을 수행하는 모뎀 제어부(56); 외부 PC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52)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정보에 대한 설정 변경 및 확인을 행함과 더불어 통신 프레임 모니터링을 담당하는 콘솔부(58); 상기 접속 관리부(54)의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현재 송수신되는 데이터에 대한 PPP, TCP/UDP, 전용 프로토콜의 선택적 처리를 담당하는 프로토콜 처리부(60); 및 상기 단말장치(26)와의 직렬 인터페이스(속도, 데이터 비트 등) 및 통신 관련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단말장치 인터페이스부(62)를 구비한다.
이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하향 접속이 가능한 통신 장치의 동작에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게이트웨이(12)에서의 접속 시도는 모뎀 대 모뎀 접속 채널이고, 패킷 조립/분해 수단(24)에서의 접속 시도는 IWF(14)를 통한 접속 채널이며, 메인 시스템(10) 및 단말장치(26)중에서 어느 것이 먼저 접속 채널로 접속하여도 일정시간(즉, 접속 해제 대기시간)이내의 데이터는 계속 동일 채널로 통신이 이루어지며, 그 접속 해제 대기시간은 데이터의 송수신이 발생되면 계속 재시작된다. 즉, 상기 메인 시스템(10)의 요청에 의한 데이터의 전송의 경우 게이트웨이(12)에서 모뎀 대 모뎀 접속 채널로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단말장치(26)에서 자발적으로 데이터를 상기 메인 시스템(10)에게로 전송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모뎀 대 모뎀 접속 채널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장치(26)의 요청에 의하여 IWF 접속 채널로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 시스템(10)의 데이터(예컨대, 제어, 설정, 감시 등의 데이터)는 상기 IWF 접속 채널을 통해 전송된다.
상기 메인 시스템(10)의 요청이 먼저 있게 된 경우, 모뎀 대 모뎀 접속 채널을 통하여 상기 메인 시스템(10)과 단말장치(26)간의 데이터 송수신이 행해지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게이트웨이(12)는 상기 메인 시스템(10)에서 네트워크 프로토콜(TCP/UDP) 형태로 전송한 제어 및 상태 감시, 설정 등의 요구를 RF모뎀(20)을 통하여 전용의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상기 단말장치(26)측의 RF모뎀(22)에게로 전송하고, 그 전송된 데이터는 패킷 조립/분해 수단(24)를 경유하여 직렬 데이터로 상기 단말장치(26)에 보내진다. 이어, 그 단말장치(26)는 수신된 데이터를 해석하여 응답이 필요하면 상기 패킷 조립/분해 수단(24)에게로 응답을 전송하고, 그 패킷 조립/분해 수단(24)은 상기 RF모뎀(22)을 통하여 상기 게이트웨이(12)측의 RF모뎀(20)에게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에 따라, 상기 게이트웨이(12)는 수신된 데이터를 메인 시스템(10)측으로 네트워크 프로토콜(TCP/UDP) 형태로 송신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모뎀(20)과 모뎀(22)을 통한 접속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메인 시스템(10)과 단말장치(26)간의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는데, 상기 게이트웨이(12)에서는 데이터베이스(32)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단말장치의 고유 주소에 관계한 전화번호를 획득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고, 일정시간(즉, 접속 해제 대기시간)동안 상기 메인 시스템(10) 또는 해당 단말장치(26)로부터 더 이상의 데이터가 없으면 접속을 종료한다. 즉, 상기 메인 시스템(10)의 요구에 의하여 상기 단말장치(26)와 접속이 시도되어 유지되고 있는 경우에는 추가적인 송수신은 상기 RF모뎀(20, 22)을 통하여 상호 통신을 하게 되며, 접속 해제 대기시간동안 추가적인 데이터 송수신이 없으면 상기 게이트웨이(12)는 상기 단말장치(26)와의 접속을 종료시킨다.
한편, 상기 메인 시스템(10)의 요구에 의하여 접속이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단말장치(26)에서 특정 정보가 발생되어 스스로 데이터를 상기 메인 시스템(10)에게로 전송하고자 하는 이벤트 구동(Event Driven; unsolicited message)인 경우 상기 단말장치(26)에서 패킷 조립/분해 수단(24)에게로 해당 데이터를 전송하고, 그 패킷 조립/분해 수단(24)에서는 현재 게이트웨이(12)의 접속 상태를 파악하여 접속되어 있으면 그 게이트웨이(12)의 RF모뎀(20)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반면에, 상기 게이트웨이(12)가 비접속 상태로 있으면 상기 IWF(14)로 접속한다. 여기서, 상기 패킷 조립/분해 수단(24)은 상기 게이트웨이(12)에게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기 저장되어 있는 상기 게이트웨이(12)의 IP 주소 및 IWF(14)의 전화번호, IWF(14) 접속을 위한 ID 및 패스워드 등을 갖고 IWF(14) 접속을 통하여 상기 게이트웨이(12)에게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이벤트 구동인 경우라 함은 현장 기기의 상태(예컨대, 접점의 오픈(open)/클로우즈(close) 등)가 변경되는 경우로서 아날로그값이 설정 상태를 초과하면 스스로 데이터를 상기 메인 시스템(10)에게 전송해야 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상기 IWF(14)를 통한 접속의 경우 다수의 단말장치(26)들이 동시에 접속이 가능하며, 접속시에 인증절차(PPP서비스)를 거쳐 IP 주소를 획득한 후 기 설정된 게이트웨이(12)의 IP 주소에 근거하여 상기 게이트웨이(12)측으로 네트워크 프로토콜(TCP/UDP)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에 따라, 상기 게이트웨이(12)에서는 수신된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32)에 존재하는 것인지를 파악하여 존재하면 상기 메인 시스템(10)에게로 해당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리고, 그 전송된 데이터에 대한 상기 메인 시스템(10)으로부터의 응답이 있는 경우 상기 게이트웨이(12)는 IWF(14)를 통하여 패킷 조립/분해 수단(24)에서 수신된 IP 주소로 그 데이터를 TCP/UDP 프로토콜 형태로 변환하여 전송한다. 이후, 상기 패킷 조립/분해 수단(24)에서는 자신을경유하여 일정시간(즉, 접속 해제 대기시간)동안 데이터가 없으면 상기 IWF(14)측과의 접속을 해제한다.
그리고, 상기 IWF(14)를 통한 접속 채널 또는 모뎀과 모뎀(20, 22)을 통한 접속 채널에 의한 접속의 경우, 첫 번째 접속(dialing)이 실패하더라도 설정된 만큼의 재접속을 시도하여 통신 실패를 최소화시킨다.
상기 IWF(14)를 통한 접속 채널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게이트웨이(12)에서는 단말장치(26)에서 전송한 IP 주소를 데이터베이스(32)에 저장하여 접속 해제 대기시간 이전의 메인 시스템(10)에서 단말장치(26)로 보내고자 하는 데이터는 해당 IP 주소를 갖고 IWF(14)를 경유하여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접속 해제 대기시간 이내에 추가적인 데이터 송수신이 있는 경우, 상기 게이트웨이(12)는 해당 단말장치의 고유 주소 또는 전화번호에 관계한 IP 주소를 계속적으로 갱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32)에 저장하고, 상기 메인 시스템(10)에서 전송한 데이터에 대하여 단말장치의 고유 주소 또는 전화번호에 관련된 단말장치의 IP 주소를 상기 데이터베이스(32)에서 획득하여 패킷을 재구성한다. 한편, 상기 IWF(14)를 통한 접속 채널을 사용하여 데이터 송수신시 상기 게이트웨이(12)는 그 접속 해제 대기시간 이후의 데이터는 RF모뎀(20, 22)을 통하여 전송하게 되는데, 그 RF모뎀(20, 22)을 통하여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메인 시스템(10)의 요구에 의하여 게이트웨이(12)에서 제어/설정 등의 명령을 전송한 경우에는 상기 단말장치(26)는 그에 대한 응답을 RF모뎀(20, 22)을 통하여 전송하며, 메인 시스템(10)이 추가적으로 요구하는 데이터는 접속 해제 대기시간 이전의 것에 한하여 모뎀을 통하여 계속 전송하며, 응답신호가 올때까지 일정 시간(접속 해제 대기시간)을 유지시킨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게이트웨이에 의하여 모뎀을 통하여 단말장치와 접속된 경우에는 메인 시스템의 데이터 및 단말장치의 데이터의 전송 채널은 모뎀 대 모뎀 방식에 의하여 전송되고, 단말장치에 의하여 IWF를 통한 접속이 게이트웨이에 이루어지고 있으면 메인 시스템 및 단말장치의 데이터는 IWF를 통하여 전송되므로, 상황에 따라 채널 변경이 이루어지고 그로 인해 메인 시스템에서 단말장치에게로 및 단말장치에서 메인 시스템으로의 데이터 전송에 제한이 적으며 통신의 신뢰도 및 망 이용의 극대화를 향상시키게 된다.
그리고, 연속된 통신 흐름에 빠른 실시간적인 통신 구조를 갖고, 접속 해제 대기시간에 따른 추가 통신이 없는 경우에는 접속을 해제시킴으로써, 재접속으로 인한 시간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력 감시제어 시스템, 가스 감시제어 시스템, 수처리 감시제어 시스템, 원격 검침 시스템, 및 기타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 등에 적용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14)

  1. 메인 시스템과 단말장치간에 CDMA망을 채용한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 시스템과 CDMA망을 연결하되, 상기 메인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요청 또는 명령 신호를 모뎀 대 모뎀을 통하여 상기 단말장치에게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장치로부터의 응답 및 요청 신호를 상기 모뎀 대 모뎀을 통하여 상기 메인 시스템에게로 전송하는 게이트웨이; 및
    상기 단말장치와 상기 CDMA망을 연결하되, 상기 게이트웨이에서 전송되는 상기 메인 시스템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장치에게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장치에서 스스로 데이터를 상기 메인 시스템에게로 전송하고자 할 때 상기 모뎀 대 모뎀이 비접속상태이면 상기 CDMA망의 IWF(Inter-working function)를 통하여 상기 메인 시스템에게로 전송하는 패킷 조립/분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향 접속이 가능한 통신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메인 시스템의 데이터를 상기 단말장치에게로 전송하는 경우 상기 메인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장치측의 모뎀의 전화번호를 데이터베이스상에서 인출한 후 모뎀 대 모뎀 방식으로 접속하여 데이터를 상기 패킷 조립/분해 수단을 통해 상기 단말장치에게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향 접속이 가능한 통신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모뎀 대 모뎀을 통하여 메인 시스템과 단말장치간에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진 후 소정시간동안 추가적인 데이터 송수신이 없으면 접속을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향 접속이 가능한 통신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메인 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메인 시스템 인터페이스부; 상기 단말장치의 모뎀의 전화번호, 상기 단말장치 및 그 단말장치에 의해 감시되는 현장기기의 이력 사항 기록을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단말장치와의 접속 채널을 선택하는 단말장치 접속 관리부; 상기 IWF와 인터페이스되는 IWF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모뎀과 직렬로 인터페이스되는 모뎀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향 접속이 가능한 통신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IWF인터페이스부는, 상기 IWF를 통한 데이터 전송시 상기 메인 시스템의 응답을 상기 단말장치측에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장치의 IP 주소를 해당 단말장치의 고유 주소 또는 전화번호와 연계하여 계속적으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향 접속이 가능한 통신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조립/분해 수단은, 상기 모뎀과의 직렬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모뎀 인터페이스부; 상기 게이트웨이와의 접속 상태를 감시하고 상기 게이트웨이와의 접속 채널을 선정하는 접속 관리부; 상기 모뎀을 통한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모뎀 제어부; 송수신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PPP, TCP/UDP, 전용 프로토콜의 선택적 처리를 담당하는 프로토콜 처리부; 및 상기 단말장치와의 직렬 인터페이스 및 통신 관련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단말장치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향 접속이 가능한 통신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조립/분해 수단은, 상기 IWF를 통하여 상기 단말장치와 메인 시스템간에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진 후 소정시간동안 추가적인 데이터 송수신이 없으면 접속을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향 접속이 가능한 통신 장치.
  8. 메인 시스템에 게이트웨이가 연결되고, 단말장치에 패킷 조립/분해 수단이 연결되며, 상기 게이트웨이와 패킷 조립/분해 수단 사이에는 CDMA망 및 모뎀이 위치하는 통신 시스템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인 시스템에서 상기 단말장치로의 통신 시도시에는 모뎀 대 모뎀 접속 채널을 사용하여 통신 시도를 행하고, 상기 단말장치에서 상기 메인 시스템으로의 통신 시도시에는 IWF(Inter-working function) 접속 채널을 사용하여 통신 시도를 행하되,
    상기 메인 시스템 및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어느 접속 채널로 상호 접속된 상태에서는 일정 시간내의 데이터를 현재 접속된 채널을 통하여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향 접속이 가능한 통신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IWF 접속 채널 또는 모뎀 대 모뎀 접속 채널에 의하여 상기 메인 시스템과 단말장치가 상호 접속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소정시간동안 데이터의 송수신이 없으면 현재의 접속 채널을 접속종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향 접속이 가능한 통신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시스템의 요청에 의하여 상기 모뎀 대 모뎀 접속 채널로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단말장치에서 송신되는 자발적인 데이터는 상기 모뎀 대 모뎀 접속 채널을 통하여 상기 메인 시스템에게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향 접속이 가능한 통신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의 요청에 의하여 상기 IWF 접속 채널로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 시스템에서 송신되는 데이터는 상기 IWF 접속 채널을 통하여 상기 단말장치에게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향 접속이 가능한 통신 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의 요청에 의하여 상기 IWF 접속 채널로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패킷 조립/분해 수단에 기 저장되어 있는 상기 게이트웨이의 IP 주소 및 IWF의 전화번호, IWF 접속을 위한 ID 및 패스워드에 근거하여 상기 IWF 접속 채널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향 접속이 가능한 통신 방법.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IWF 접속 채널에 의해 상기 단말장치와 메인 시스템간에 접속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단말장치측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한 후 그 수신시간으로부터 일정시간이내의 상기 메인 시스템의 응답 또는 요청신호를 상기 IWF 접속 채널을 통하여 상기 단말장치에게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향 접속이 가능한 통신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해당 단말장치의 고유 주소 또는 전화번호에 관계한 IP 주소를 계속적으로 갱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메인 시스템에서 전송한 데이터에 대하여 단말장치의 고유 주소 또는 전화번호에 관련된 단말장치의 IP 주소를 데이터베이스에서 획득하여 패킷을 재구성한 후 상기 패킷 조립/분해 수단에게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향 접속이 가능한 통신 방법.
KR10-2001-0045759A 2001-07-28 2001-07-28 상하향 접속이 가능한 통신 장치 및 방법 KR100424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5759A KR100424363B1 (ko) 2001-07-28 2001-07-28 상하향 접속이 가능한 통신 장치 및 방법
CN02126936A CN1400801A (zh) 2001-07-28 2002-07-25 能够上/下行连接的通信设备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5759A KR100424363B1 (ko) 2001-07-28 2001-07-28 상하향 접속이 가능한 통신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1190A KR20030011190A (ko) 2003-02-07
KR100424363B1 true KR100424363B1 (ko) 2004-03-24

Family

ID=19712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5759A KR100424363B1 (ko) 2001-07-28 2001-07-28 상하향 접속이 가능한 통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24363B1 (ko)
CN (1) CN140080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12493B (zh) * 2006-12-30 2011-07-27 上海贝尔阿尔卡特股份有限公司 一种扩展网络接入设备的功能及性能的方法和装置
CN107037756B (zh) * 2017-04-17 2020-11-20 北京京东尚科信息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00801A (zh) 2003-03-05
KR20030011190A (ko) 200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9278B1 (ko) 데이터 어댑터
US6618394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economical utilization of communication networks
JP3917958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中継器遠隔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00424363B1 (ko) 상하향 접속이 가능한 통신 장치 및 방법
CN1587843A (zh) 网络空调监控系统及方法
EP1693985B1 (en) A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the subscriber line
US7778184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remote diagnosis system
KR100464192B1 (ko) Cdma형 이동 단말기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0400734B1 (ko) Wll 시스템에서 팩스 서비스 방법
KR100449916B1 (ko) 왑폰을 이용한 무선인터넷 망관리 시스템
JP3594876B2 (ja) 無線網と端末装置とに接続される遠隔監視制御装置
KR200199024Y1 (ko) 휴대용 무선 전화를 이용한 개선된 원격 감시 장치
KR100285955B1 (ko) 단말기를이용한기지국의원격유지보수방법및장치
KR100271310B1 (ko) 무선가입자망에서의 데이터 서비스 제공방법
US20040131080A1 (en) Data communication device
KR20000043348A (ko) 원격 제어 시스템
KR100768564B1 (ko) 원격지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311312B1 (ko) 광대역 무선 이동 단말 기지국 제어기에서의 멀티미디어 호설정 시험 방법
KR200435662Y1 (ko) 원격지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KR100358439B1 (ko) 컴팩트 제어국간의 이더넷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KR100498934B1 (ko) 망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공중/사설용 무선망 시스템
KR20010059551A (ko) 통합형 기지국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0357984B1 (ko) 망 관리 장비와 통신 가능한 무선 반송 장비 및 그 방법
JP2548962Y2 (ja) 回線切り換え装置
JP3823377B2 (ja) 回線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