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9334B1 - 이동 통신망의 중계기 상태 감지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망의 중계기 상태 감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9334B1
KR100619334B1 KR1019990031481A KR19990031481A KR100619334B1 KR 100619334 B1 KR100619334 B1 KR 100619334B1 KR 1019990031481 A KR1019990031481 A KR 1019990031481A KR 19990031481 A KR19990031481 A KR 19990031481A KR 100619334 B1 KR100619334 B1 KR 100619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eater
text data
monitoring
state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1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1899A (ko
Inventor
홍성철
신성호
정성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31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9334B1/ko
Publication of KR20010011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1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9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9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40Monitoring; Testing of 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0Supervising unattended repea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계기의 상태를 감시하는 상태 감시 제어 장치에 휴대 전화기의 진단 모니터(Diagnostic Moinitor) 포트가 연결되어 이동 통신망내 중계기의 상태를 감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중앙 관리자는 감시하고자 하는 중계기에 연결되어 있는 휴대 전화기에 감시하고자 하는 정보를 문자 데이타로서 전송하며, 중계기내의 상태 감시 제어 장치는 휴대 전화기에 수신된 문자 데이타를 독출하고, 독출된 문자 데이타에 따라 중계기의 상태를 항목별로 감시하고 감시된 정보를 문자 데이타로서 휴대 전화기를 통하여 중앙 관리자에게 전송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중계기의 상태 감시 장치에 별도의 유선 또는 무선 채널을 할당할 필요없이 중계기의 상태를 중앙 관리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 통신망의 중계기 상태 감지 방법 {METHOD FOR DETECTING STATE OF REPEATER}
도 1은 종래 이동 통신망에서 중계기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망의 개략 블럭도,
도 2는 종래 이동 통신망에서 전파 환경을 감지하기 위한 망의 개략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망의 중계기 상태 감지 방법을 행하는 망의 개략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망의 중계기 상태 감지 방법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n : 중계기 21 : 도너
31 : 기지국 41 : 이동망 스위칭 센터
51 : 데이타 베이스 61 : 중앙 관리자
본 발명은 이동 통신망 내 중계기의 상태를 감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 전화기를 이용하므로써 별도의 유선 및 무선 채널을 사용하 지 않고서 중계기의 상태 감시 및 전파 환경을 감시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망 사업자들은 가입자들의 이동 통신망 가입 판단 기준이되는 통화 품질의 향상을 위해 도시 외곽이나 음영 지역 등에 다양한 형태의 중계기를 설치, 운용하고 있다. 한편, 사업자는 중계기의 작동 상태 즉, 출력 전파 세기, 중계기 내 온도, 설정 온도에서의 팬 구동 여부 등을 감시하여, 중계기의 작동 및 중계기의 작동 설정값(출력 전파 세기값, 또는 팬 구동 온도 등)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중계기 수의 증가에 따라 중계기로의 현장 방문에 의한 상태 감시 및 제어 관리하기에는 인력 손실이 막대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별도의 무선 또는 유선 채널을 이용하여 중계기의 상태 감시 및 관리를 행하고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기(11-1n) 내부에 설치된 상태 감시 제어 장치(c1-cn)와 도너(Doner)(21) 측은 점선으로 표시한 별도의 광선로 또는 무선 채널(c)(이 무선 채널은 이동 통신망에서 사용되는 무선 채널과는 다른 채널로 구성된다.)로 연결하였다. 중계기(11-1n) 내의 상태 감시 제어 장치(c1-cn)는 중계기의 현재 상태 정보를 채널(c)을 통하여 도너(21)측에 제공하며, 도너(21)는 수신한 중계기(11-1n)의 상태 정보를 E1 또는 T1 등의 유선을 통하여 기지국(31) 및 이동망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 MSC)(41)에 제공하고, 이동망 스위칭 센터(41)는 이 정보를 중앙의 데이타 베이스(51) 및 중앙 관리자(61)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중앙 관리자(61)가 중계기(11-1n)의 상태 정보에 따라 중계기(11-1n)의 구동 제어(팬의 구동 또는 송신 전력의 증감) 또는 설정값을 변경(예컨데, 송신 전력의 증감, 또는 중계기(11-1n) 설정 온도의 증감 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 제어 명령 및 설정값 정보들을 중계기 상태 정보와 역순 즉, MSC(41) 및 기지국(31)을 거쳐 도너(21)에 제공하며, 도너(21)에 제공된 설정값 정보들은 광선로 또는 무선 채널(c)을 통하여 중계기(11-1n)에 제공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무선 채널 또는 광 선로(c)를 이용하여 중계기(11-1n)와 도너(21)를 연결하는 종래의 방법에서는 도너(21)에 장애가 발생할 경우에 장애 복구시까지 중계기(11-1n)의 상태 정보 및 중계기(11-1n)로의 설정값 정보 등을 전달할 방법이 없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이동 통신망에서는 이동 통신망내 각 지역의 전파 환경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는 종래에는 별도의 전파 환경 감시 장치를 이용하고 있다.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파 환경 감시 장치(e1-en)와 기지국(31)을 E1 또는 T1의 유선으로 연결하고, 전파 환경 감시 장치(e1-en)는 감시된 수신 전파 세기 정보 및 알람 정보 등을 유선을 통하여 기지국(31)에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지국(31)은 이 정보를 다시 MSC(41)를 거쳐 중앙의 데이타 베이스(51) 및 중앙 관리자(61)에 제공한다. 여기서, 알람 정보는 중앙 관리자(61)가 설정한 설정값 이하로 전파가 수신될 경우에 제공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중앙 관리자(61)의 설정값 정보는 수신 전파 세기 정보와 역순으로 전파 환경 감시 장치(e1-en)에 제공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이동 통신망에서는 중계기(11-1n)의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상태 감시 제어 장치(c1-cn) 그리고 전파 환경을 감시하기 위한 전파 환경 감시 장치(e1-en)들이 각각 사용되어야 하며, 특히 상태 감시 제어 장치(c1-cn)와 중앙 관리자(61)가 통신하기 위한 별도의 유선 또는 무선 채널을 설치하여야 한다는 불편이 있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노력하던중 수신 전계를 측정하는 기능은 일반 휴대 전화기에도 구비되어 있으며, 휴대 전화기는 음성 정보외에 데이타 전송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하였다. 즉, 휴대 전화기를 이용하여 상태 감시 제어 장치와 중앙 관리자간의 통신을 중재하면 별도의 유선 및 무선 채널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전파 환경 정보도 중앙 관리자에게 전송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을 착안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착안에 의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전화기를 이용하여 중계기의 상태 감시 제어 장치와 이동 통신망의 중앙 관리자간의 통신을 중재하면서 중계기가 설치된 지역에서의 전파 환경을 감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계기의 상태를 감시하는 상태 감시 제어 장치에 휴대 전화기의 진단 모니터(Diagnostic Moinitor) 포트가 연결되어 있는 이동 통신망내 중계기의 상태를 감시하는 방법으로서, 중계기 상태를 감시하는 중앙 관리자는 감시하고자 하는 중계기에 연결되어 있는 휴대 전화기에 감시하고자 하는 정보를 문자 데이타로서 전송하며, 중계기 제어에 대한 문자 데이타를 포함시켜 전송하며, 중계기 감시 항목들의 설정값에 대한 문자 데이타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단계와, 중계기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 감시 제어 장치는 휴대 전화기에 수신된 문자 데이타를 독출하고, 독출된 문자 데이타에 따라 중계기의 상태를 항목별로 감시하고 감시된 정보를 문자 데이타로서 휴대 전화기를 통하여 중앙 관리자에게 전송하며, 문자 데이타에 따라 휴대 전화기로부터 전파 환경 정보를 항목별로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를 문자 데이타로서 휴대 전화기를 통하여 중앙 관리자에게 전송하며, 문자 데이타에 따라 중계기의 제어를 수행하며, 문자 데이타에 따라 중계기의 감시 항목들에 대한 설정값을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중계기의 상태를 감시하는 상태 감시 제어 장치에 휴대 전화기의 진단 모니터(Diagnostic Moinitor) 포트가 연결되어 있는 이동 통신망내 중계기의 상태를 감시하는 방법으로서, 중계기 상태를 감시하는 중앙 관리자는 감시하고자 하는 중계기에 연결되어 있는 휴대 전화기에 전송하고자 하는 정보를 문자 데이타로서 전송하는 단계와, 중계기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 감시 제어 장치는 휴대 전화기에 수신된 문자 데이타를 독출하고, 독출된 문자 데이타에 따라 중계기를 제어하고, 소정 시간 간격으로 중계기의 항목별 상태를 문자 데이타로서 휴대 전화기를 통하여 중앙 관리자에게 전송하며, 독출된 문자 데이타에 따라 휴대 전화기를 제어하며, 소정 시간 간격으로 휴대 전화기의 항목별 전파 환경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를 문자 데이타로서 휴대 전화기를 통하여 중앙 관리자에게 전송하며, 문자 데이타에 따라 중계기의 감시 항목들에 대한 설정값을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을 행하는 이동 통신망의 개략 블럭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기(11-1n)내의 상태 감시 제어 장치(c1-cn)와 휴대 전화기(h1-hn)가 상호 연결되어 있다. 휴대 전화기(h1-hn)에는 외측으로 진단 모니터(Diagnostic Moinitor) 포트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중계기(11-1n)내의 상태 감시 제어 장치(c1-cn)와는 간단히 연결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것이다.
중계기(11-1n)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31) 및 MSC(41)를 통하여 중앙 데 이타 베이스(51) 및 중앙 관리자(61)에 연결된다.
이렇게 구성된 이동 통신망에서 중앙 관리자(61)는 중계기(11-1n)에 연결되어 있는 휴대 전화기(h1-hn)와 문자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를 이용하여 문자 데이타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문자 서비스를 이용하여 중계기(11-1n)의 상태 감시 및 전파 환경을 감시한다. 즉, 중앙 관리자(61)는 중계기(11-1n)에 연결된 휴대 전화기(h1-hn)에 전달하고자 하는 명령을 문자 데이타로 전송한다. 이러한 문자 데이타는 휴대 전화기(h1-hn)에 수신되어어 저장되며, 중계기(11-1n)내의 상태 감시 제어 장치(c1-cn)는 휴대 전화기(h1-hn)에 저장되어 있는 문자 데이타들을 독출하여 해석하므로써 중앙 관리자(61)의 명령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태 감시 제어 장치(c1-cn)는 수행된 결과 즉, 중계기(11-1n)의 상태 또는 전파 환경 등에 대한 정보를 문자 데이타로 휴대 전화기(h1-hn)에 전달하고, 휴대 전화기(h1-hn)로 하여금 이 문자 데이타를 문자 서비스로서 중앙 감시자(61)에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작동을 행하는 상태 감시 제어 장치(c1-cn)의 작동 흐름도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태 감시 제어 장치(c1-cn)는 휴대 전화기(h1-hn)에 저장되어 있는 문자 데이타의 전송을 요구하고(S1), 휴대 전화기(h1-hn)로부터 문자 데이타가 전송되면(S2) 이 문자 데이타가 중계기(11-1n)에 관한 것인가를 판단한다 (S3). 그러나, 단계(S2)의 수행 결과, 휴대 전화기(h1-hn)로부터 문자 데이타가 전송되지 않으면 단계(S16)로 진행한다.
단계(S3)의 판단 결과, 문자 데이타가 중계기(11-1n)에 관계된 것이면 상태 감시 제어 장치(c1-cn)는 단계(S4)로 진행하여 중계기(11-1n)의 제어(예컨데, 중계기(11-1n) 내부 팬의 구동, 송신 전력의 증감등)에 관한 것인가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태 감시 제어 장치(c1-cn)는 문자 데이타가 중계기(11-1n) 제어에 관한 것이면 단계(S5)에서 중계기(11-1n)의 제어를 행하나, 문자 데이타가 중계기(11-1n) 제어에 관한 것이 아니면 단계(S6)로 진행하여 중계기(11-1n) 상태 감시에 관한 것인가를 판단한다.
단계(S6)의 판단 결과, 문자 데이타가 중계기(11-1n)의 상태 감시에 관한 것이면 상태 감시 제어 장치(c1-cn)는 중계기의 상태(송신 전력, 내부 온도등)를 파악하고 단계(S14)로 진행하나(S7), 문자 데이타가 중계기(11-1n)의 상태 감시에 관한 것이 아니면 문자 데이타를 중계기(11-1n) 감시 항목(송신 전력, 내부 팬 구동 온도등)의 설정값에 관한 것으로 인식하고, 문자 데이타에 따라 감시 항목의 설정값을 재설정한다(S8).
한편, 상태 감시 제어 장치(c1-cn)는 단계(S3)의 판단 결과, 수신된 문자 데이타가 중계기(11-1n)에 관계된 것이 아니면 휴대 전화기(h1-hn)에 관한 것으로 인식하여 단계(S9)로 진행하고, 이 수신된 문자 데이타가 휴대 전화기(h1-hn)의 제어(예컨데, 송신 전력 조정, 착신 전화 번호등)에 관한 것인가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태 감시 제어 장치(c1-cn)는 문자 데이타가 휴대 전화기(h1-hn) 제어에 관한 것이면 단계(S10)에서 휴대 전화기(h1-hn)의 제어를 행하나, 문자 데이타가 휴대 전화기(h1-hn) 제어에 관한 것이 아니면 단계(S11)로 진행하여 휴대 전화기(h1-hn)를 이용한 전파 환경 감시에 관한 것인가를 판단한다.
단계(S11)의 판단 결과, 문자 데이타가 전파 환경의 상태 감시에 관한 것이면 상태 감시 제어 장치(c1-cn)는 휴대 전화기(h1-hn)로부터 전파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나(S12), 문자 데이타가 전파 환경 감시에 관한 것이 아니면 전파 환경 감시 항목(수신 전력의 최소값 등)의 설정값에 관한 것으로 인식하고, 문자 데이타에 따라 휴대 전화기(h1-hn)의 전파 환경 설정값을 재설정한다(S13).
상태 감시 제어 장치(c1-cn)는 단계(S8, S13)들을 수행 한 후에 중앙 관리자(61)에게 전송할 문자 데이타를 작성한다(S14). 이 문자 데이타에는 단계(S7, S12)의 수행에 의한 중계기 상태 정보 또는 휴대 전화기(h1-hn)로부터 수신한 전파 환경 정보등이 될 것이며, 이외에 중계기의 상태 정보들중 중계기 감시 항목 설정값 이상 또는 이하가 되는 값이 검출되거나, 전파 환경 설정값 이상 또는 이하의 전파 환경값이 검출되는 경우에는 이를 알리는 경보 데이타 등이 포함될 것이다.
단계(S14)에 의하여 전송할 문자 데이타가 작성되면 상태 감시 제어 장치(c1-cn)는 휴대 전화기(h1-hn)에 문자 데이타를 송신하고 이와 함께 이 문자 데이타를 기 설정된 착신 번호로 전송할 것으로 명령한다(S15). 여기서, 착신 번호는 결국 중앙 관리자(61)의 전화 번호가 되어야 함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 후, 상태 감시 제어 장치(c1-cn)는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는가를 판단하여(S16)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는 단계(S1)를 재 수행한다. 즉, 상태 감시 장치는 도 4의 과정을 소정 시간 간격을 갖고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것이다.
상술한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중계기의 상태 감시 정보를 휴대 전화기를 이용하여 문자 데이타로서 중앙 관리자에게 전송하므로서 별도의 무선 또는 유선 채널이 필요없으며, 휴대 전화기의 전파 환경 상태 감시 기능을 이용하여 휴대 전화기에 감시된 전화 환경 정보 역시 문자 데이타로 중앙 관리자에게 전송이 가능하므로 별도의 전파 환경 감시 장치가 필요없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4의 흐름도에서는 중계기(11-1n)의 상태 감시 정보 및 전파 환경 정보를 중앙 관리자의 제어에 따라 감시하여 보고하는 과정을 수행하도록 구성하였으나, 이 중계기 상태 감시 및 전파 환경은 중앙 관리자의 제어에 관계없이 일정 시간 간격으로 감시하여 중앙 관리자에게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중계기의 상태 감시 장치에 별도의 유선 또는 무선 채널을 할당할 필요없이 중계기의 상태를 중앙 관리자에게 전송할 수 있으며, 별도의 전파 환경 감시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중계기의 부근의 전파 환경을 중앙 관리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중계기의 상태를 감시하는 상태 감시 제어 장치에 휴대 전화기의 진단 모니터(Diagnostic Monitor) 포트가 연결되어 있는 이동 통신망내 중계기의 상태를 감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중계기 상태를 감시하는 중앙 관리자는 감시하고자 하는 중계기에 연결되어 있는 휴대 전화기에 감시하고자 하는 정보를 문자 데이타로서 전송하며, 상기 중계기 제어에 대한 문자 데이타를 포함시켜 전송하며, 상기 중계기 감시 항목들의 설정값에 대한 문자 데이타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중계기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 감시 제어 장치는 상기 휴대 전화기에 수신된 문자 데이타를 독출하고, 독출된 문자 데이타에 따라 중계기의 상태를 항목별로 감시하고 감시된 정보를 상기 문자 데이타로서 상기 휴대 전화기를 통하여 상기 중앙 관리자에게 전송하며, 상기 문자 데이타에 따라 상기 휴대 전화기로부터 전파 환경 정보를 항목별로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를 상기 문자 데이타로서 상기 휴대 전화기를 통하여 상기 중앙 관리자에게 전송하며, 상기 문자 데이타에 따라 상기 중계기의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문자 데이타에 따라 상기 중계기의 감시 항목들에 대한 설정값을 재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망의 중계기 상태 감지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리자는 상기 휴대 전화기의 제어에 대한 문자 데이타를 포함시켜 전송하며, 상기 상태 감시 제어 장치는 상기 문자 데이타에 따라 상기 휴대 전화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이동 통신망의 중계기 상태 감지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리자는 상기 휴대 전화기의 전파 환경 감시 종목의 설정값에 대한 문자 데이타를 포함시켜 전송하며, 상기 상태 감시 제어 장치는 상기 문자 데이타에 따라 상기 휴대 전화기의 전파 환경 감시 항목들에 대한 설정값을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이동 통신망의 중계기 상태 감지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감시 제어 장치는 상기 중계기의 상태들중 상기 중계기 감시 항목 설정값 이상 또는 이하가 되는 상태가 감지되면 이를 알리는 경보 메시지를 상기 문자 데이타내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이동 통신망의 중계기 상태 감지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감시 제어 장치는 상기 휴대 전화기의 전파 환경이 항목별 설정값 이상 또는 이하가 되는 상태가 감지되면, 이를 알리는 경보 메시지를 상기 문자 데이타내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이동 통신망의 중계기 상태 감지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중계기의 상태를 감시하는 상태 감시 제어 장치에 휴대 전화기의 진단 모니터(Diagnostic Monitor) 포트가 연결되어 있는 이동 통신망내 중계기의 상태를 감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중계기 상태를 감시하는 중앙 관리자는 감시하고자 하는 중계기에 연결되어 있는 휴대 전화기에 전송하고자 하는 정보를 문자 데이타로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중계기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 감시 제어 장치는 상기 휴대 전화기에 수신된 문자 데이타를 독출하고, 독출된 문자 데이타에 따라 중계기를 제어하고, 소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중계기의 항목별 상태를 상기 문자 데이타로서 상기 휴대 전화기를 통하여 상기 중앙 관리자에게 전송하며, 상기 독출된 문자 데이타에 따라 휴대 전화기를 제어하며, 소정 시간 간격으로 휴대 전화기의 항목별 전파 환경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를 상기 문자 데이타로서 상기 휴대 전화기를 통하여 상기 중앙 관리자에게 전송하며, 상기 문자 데이타에 따라 상기 중계기의 감시 항목들에 대한 설정값을 재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망의 중계기 상태 감지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감시 제어 장치는 상기 문자 데이타에 따라 상기 휴대 전화기의 전파 환경 감시 항목들에 대한 설정값을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이동 통신망의 중계기 상태 감지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감시 제어 장치는 상기 중계기의 상태들중 상기 중계기 감시 항목 설정 값 이상 또는 이하가 되는 상태가 감지되면 이를 알리는 경보 메시지를 상기 문자 데이타내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이동 통신망의 중계기 상태 감지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감시 제어 장치는 상기 휴대 전화기의 전파 환경이 항목별 설정값 이상 또는 이하가 되는 상태가 감지되면, 이를 알리는 경보 메시지를 상기 문자 데이타내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이동 통신망의 중계기 상태 감지 방법.
KR1019990031481A 1999-07-31 1999-07-31 이동 통신망의 중계기 상태 감지 방법 KR100619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1481A KR100619334B1 (ko) 1999-07-31 1999-07-31 이동 통신망의 중계기 상태 감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1481A KR100619334B1 (ko) 1999-07-31 1999-07-31 이동 통신망의 중계기 상태 감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1899A KR20010011899A (ko) 2001-02-15
KR100619334B1 true KR100619334B1 (ko) 2006-09-06

Family

ID=19605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1481A KR100619334B1 (ko) 1999-07-31 1999-07-31 이동 통신망의 중계기 상태 감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93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1438B1 (ko) * 2001-12-29 2004-07-2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씨.디.엠.에이(CDMA) 단말기를 이용한 멀티밴드(Multi Band) 중계기 감시 방법 및 장치
KR100449916B1 (ko) * 2002-03-29 2004-09-22 주식회사 떠블유엔솔루션 왑폰을 이용한 무선인터넷 망관리 시스템
KR20030091361A (ko) * 2002-05-27 2003-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계기 제어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4603A (ko) * 1996-12-27 1998-09-25 정태기 디지탈 코드분할 다원접속 이동통신 수신기를 이용한 중계기 감시방법
KR20000051559A (ko) * 1999-01-23 2000-08-16 이상철 중계기의 운용상태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00051254A (ko) * 1999-01-20 2000-08-16 나형수 무선단말기의 채널분석기능을 이용한 중계기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4603A (ko) * 1996-12-27 1998-09-25 정태기 디지탈 코드분할 다원접속 이동통신 수신기를 이용한 중계기 감시방법
KR20000051254A (ko) * 1999-01-20 2000-08-16 나형수 무선단말기의 채널분석기능을 이용한 중계기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00051559A (ko) * 1999-01-23 2000-08-16 이상철 중계기의 운용상태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1899A (ko) 200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3261B1 (ko) 이동 통신 시스템과 이동국, 기지 송수신국 및 그 이용 방법
US5615034A (en) Optical micro cell transmission system
EP1142396B1 (e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at supports mobile test software agents
US7996004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st method thereof, and access terminal for testing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00023485A (ko) 통신 트렁크의 연속성 및 보전성을 자동으로 감시하는 방법
EP2187698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general base station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base station status control method
RU2010118515A (ru) Конфигурирование терминала доступа и управление доступом
KR20000049756A (ko)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중계기 감시 시스템 및 방법
RU98118996A (ru) Фиксированные беспроволочные терминалы в способе управления сетями, и аппаратура
AU680990B2 (en) Monitoring of the operation of a subscriber unit
EP3162110B1 (en) Network access fault reporting
KR100619334B1 (ko) 이동 통신망의 중계기 상태 감지 방법
KR20030091361A (ko) 중계기 제어 시스템
CN105517187A (zh) 使无线传感器与接入点控制面板配对的系统和方法
KR100603500B1 (ko) 중계기 제어 단말 및 그 제어 방법과, 중계기 통합 관리장치 및 그 방법
KR100441438B1 (ko) 씨.디.엠.에이(CDMA) 단말기를 이용한 멀티밴드(Multi Band) 중계기 감시 방법 및 장치
KR100300853B1 (ko) 통신망시스템의상태정보통지방법
CN110582120B (zh) 多级中继组网方法和装置
WO2020202381A1 (ja) 基地局、端末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534564B1 (ko)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망 품질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49916B1 (ko) 왑폰을 이용한 무선인터넷 망관리 시스템
EP0930591A1 (en) Automatically locating individuals utilizing a combination of wireless media
JP4367150B2 (ja) 携帯電話無線基地局装置及びその情報取得及び状態制御方法
KR100492413B1 (ko) Cdma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장애 메시지 처리 장치
KR20060022073A (ko) 무선통신기기를 이용한 중계기 원격 관리시스템 및 그원격 관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