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6367A - 일회용 기저귀 - Google Patents

일회용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6367A
KR20030076367A KR10-2003-0017049A KR20030017049A KR20030076367A KR 20030076367 A KR20030076367 A KR 20030076367A KR 20030017049 A KR20030017049 A KR 20030017049A KR 20030076367 A KR20030076367 A KR 20030076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diaper
wing
crotch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7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1194B1 (ko
Inventor
미나토히로나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76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6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1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11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adjustable by adding or removing material, e.g. umbilical cord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being placed longitudinally, transversely or diagonally over the artic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 A61F2013/49031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being elastic in longitudinal dir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했을 때에 패널의 날개부를 착용자의 몸통부에 밀착시킬 수 있고, 날개부에서의 배설물 흡수 기능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는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는 투액성 표면 시트(2) 및 불투액성 이면 시트(3)와, 이들 시트(2, 3)의 사이에 개재하는 흡액성 패널(4)로 구성된 일회용 기저귀(1A)로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절곡 안내부(15)가 패널(4)의 앞 몸통 둘레 접촉부(11)와 날개부(14) 사이에 형성되어, 세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신축성 탄성 부재(17)가 절곡 안내부(15)로부터 가로 방향 외측으로 주어진 치수만큼 이간 배치되어 사이드 플랩(9)에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Description

일회용 기저귀{DISPOSABLE DIAPER}
본 발명은 배설물을 흡수, 유지하는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2000-11047 공보는 투액성 표면 시트와 불투액성 이면 시트 사이에 흡액성 패널이 개재하고, 세로 방향으로 앞 몸통 둘레 부분 및 뒤 몸통 둘레 부분과, 이들 몸통 둘레 부분의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 부분을 구비하여, 패널의 양측 가장자리의 외측을 세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사이드 플랩과, 패널의 양끝 가장자리의 외측을 가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엔드 플랩을 지니고, 평면 형상이 실질적으로 모래시계형을 나타내는 해방형(解放型)의 일회용 기저귀를 개시하고 있다.
패널은 가랑이 아래 부분으로부터 앞뒤 몸통 둘레 부분을 향해 연장되어 있고, 기저귀의 평면 형상과 같이 모래시계형을 나타낸다. 패널은 앞뒤 몸통 둘레 부분의 가로 방향 중앙부에 위치하는 앞뒤 몸통 둘레 접촉부와, 가랑이 아래 부분의 가로 방향 중앙부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 부분 접촉부와, 앞뒤 몸통 둘레 접촉부에서 가로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날개부를 갖는다. 패널은 플러프 펄프(fluff pulp)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와 열가소성 합성 수지 섬유와의 혼합물로서, 소정의 두께로 압축되어 있다. 그러므로, 패널은 그 강성이 표리면 시트의 강성보다도 크다.
이 기저귀를 착용하기 위해서는, 뒤 몸통 둘레 부분의 사이드 플랩을 앞 몸통 둘레 부분의 사이드 플랩의 외측에 겹쳐, 뒤 몸통 둘레 부분의 사이드 플랩에 부착된 테이프 패스너(fastener)를 앞 몸통 둘레 부분의 외면에 고착시켜 앞뒤 몸통 둘레 부분을 연결한다. 앞뒤 몸통 둘레 부분이 연결된 기저귀에는 몸통 둘레 개구와, 그 아래쪽으로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한 기저귀에서는 앞뒤 몸통 둘레 부분을 연결한 착용 상태에서, 이들 몸통 둘레 부분이 띠 형상을 형성했다고 하더라도 표리면 시트보다도 그 강성이 큰 패널의 날개부가 착용자의 몸통부를 따라서 꺾이지 않아서, 날개부를 착용자의 몸통부에 밀착시키는 것이 어렵다. 이 기저귀에서는 패널의 날개부와 착용자의 몸통부 사이에 간극이 생겨 날개부에서의 배설물 흡수 기능을 충분히 이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착용했을 때에 패널의 날개부를 착용자의 몸통부에 밀착시킬 수 있고, 날개부에서의 배설물 흡수 기능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는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기저귀의 부분 파단 평면도.
도 2는 도 1의 기저귀의 사시도.
도 3은 착용 상태로 도시한 도 1의 기저귀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기저귀의 부분 파단 평면도.
도 6은 도 5의 B-B선 단면도.
도 7은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기저귀의 부분 파단 평면도.
도 8은 도 7의 C-C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일회용 기저귀
1B: 일회용 기저귀
1C: 일회용 기저귀
2: 투액성 표면 시트
3: 불투액성 이면 시트
4: 흡액성 패널
4a: 양측 가장자리
4b: 양끝 가장자리
6: 앞 몸통 둘레 부분
6a: 가로 방향 중앙부
7: 가랑이 아래 부분
7a: 가로 방향 중앙부
8: 뒤 몸통 둘레 부분
8a: 가로 방향 중앙부
9: 사이드 플랩
10: 엔드 플랩
11: 앞 몸통 둘레 접촉부
12: 가랑이 아래 부분 접촉부
13: 뒤 몸통 둘레 접촉부
14: 날개부
14a: 내단 가장자리
14b: 외단 가장자리
15: 절곡 안내부
16: 비존재 부분
17: 신축성 탄성 부재
17a: 세로 방향 단부
25: 저강성 부분
26: 슬릿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제는, 투액성 표면 시트 및 불투액성 이면 시트와, 이들 시트의 사이에 개재하는 흡액성 패널로 구성되고, 세로 방향으로 앞 몸통 둘레 부분 및 뒤 몸통 둘레 부분과, 이들 몸통 둘레 부분의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 부분을 구비하여, 상기 패널의 양측 가장자리의 외측을 세로방향으로 연장하는 사이드 플랩과, 상기 패널의 양끝 가장자리의 외측을 가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엔드 플랩을 지니고, 상기 패널이 상기 앞뒤 몸통 둘레 부분의 가로 방향 중앙부에 위치하는 앞뒤 몸통 둘레 접촉부와, 상기 가랑이 아래 부분의 가로 방향 중앙부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 부분 접촉부와, 상기 앞뒤 몸통 둘레 접촉부 중의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가로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날개부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이다.
상기 전제에서의 본 발명의 특징은, 세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절곡 안내부가 상기 패널의 몸통 둘레 접촉부와 날개부 사이에 형성되어, 세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신축성 탄성 부재가 상기 절곡 안내부에서 가로 방향 외측으로 주어진 치수만큼 이간 배치되어 상기 사이드 플랩에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례는, 상기 탄성 부재의 세로 방향 단부가 상기 날개부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일례로서, 상기 절곡 안내부는 상기 패널이 존재하지 않는 비존재 부분으로 형성되어, 상기 날개부의 가랑이 아래 부분으로 치우쳐 위치하는 내단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날개부의 엔드 플랩에 치우쳐 위치하는 외단 가장자리를 향해 연장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일례로서, 상기 절곡 안내부는 상기 절곡 안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패널의 강성이 그곳을 제외한 상기 패널의 나머지의 강성보다도 낮은 저강성 부분으로 형성되어, 상기 날개부의 가랑이 아래 부분으로 치우쳐 위치하는 내단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날개부의 엔드 플랩에 치우쳐 위치하는 외단 가장자리를 향해 연장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일례로서, 상기 절곡 안내부는 상기 패널을 두께 방향으로 절단한 슬릿으로 형성되어, 상기 날개부의 가랑이 아래 부분으로 치우쳐 위치하는 내단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날개부의 엔드 플랩에 치우쳐 위치하는 외단 가장자리를 향해 연장되어 있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일회용 기저귀의 상세한 내용을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기저귀(1A)의 부분 파단 평면도 및 도 1의 기저귀(1A)의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각각 착용 상태를 도시한 도 1의 기저귀(1A)의 사시도와,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는 가로 방향을 화살표 X, 세로 방향을 화살표 Y로 나타내고, 두께 방향을 화살표 Z로 나타낸다. 또한, 표리면 시트(2, 3)나 누출 방지 시트(5)의 내면은 패널(4)에 대향하는 면을 말하며, 이들 시트(2, 3, 5)의 외면은 패널(4)에 비대향인 면을 말한다. 또한, 패널(4)의 상면은 표면 시트(2)에 대향하는 면을 말하며, 패널(4)의 하면은 이면 시트(3)에 대향하는 면을 말한다.
기저귀(1A)는 피부 접촉면에 위치하는 투액성 표면 시트(2)와, 피부 비접촉면에 위치하는 불투액성 이면 시트(3)와, 표리면 시트(2, 3)의 사이에 개재하여 이들 시트(2, 3) 중 적어도 한쪽의 내면에 고착된 흡액성 패널(4)로 구성되어 있다. 기저귀(1A)는 표리면 시트(2, 3)와 패널(4), 그 외에 표면 시트(2)의 외면에 위치하는 불투액성 누출 방지 시트(5)를 갖는다.
기저귀(1A)는 세로 방향으로 앞 몸통 둘레 부분(6) 및 뒤 몸통 둘레 부분(8)과, 이들 몸통 둘레 부분(6, 8)의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 부분(7)을 구비하여, 패널(4)의 양측 가장자리(4a)의 외측을 세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사이드 플랩(9)과, 패널(4)의 양끝 가장자리(4b)의 외측을 가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엔드 플랩(10)을 갖는다. 기저귀(1A)는 사이드 플랩(9)이 가랑이 아래 부분(7)에 있어서 가로 방향 내측을 향하여 호를 그리고 있고, 그 평면 형상이 모래시계형을 나타낸다. 기저귀(1A)는 그 착용시에 앞뒤 몸통 둘레 부분(6, 8)을 연결하는 개방형인 것이다.
패널(4)은 가랑이 아래 부분(7)으로부터 앞뒤 몸통 둘레 부분(6, 8)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패널(4)은 앞뒤 몸통 둘레 부분(6, 8)의 가로 방향 중앙부(6a, 8a)에 위치하는 앞뒤 몸통 둘레 접촉부(11, 13)와, 가랑이 아래 부분(7)의 가로 방향 중앙부(7a)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 부분 접촉부(12)와, 앞 몸통 둘레 접촉부(11)로부터 가로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날개부(14)를 갖는다. 패널(4)의 앞 몸통 둘레 접촉부(11)와 날개부(14) 사이에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절곡 안내부(15)가 형성되어 있다.
패널(4)은 플러프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와의 혼합물, 또는, 플러프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와 열가소성 합성 수지 섬유와의 혼합물이며, 주어진 두께로 압축되어 있다. 그러므로, 패널(4)은 그 강성이 표리면 시트(2, 3)의 강성보다도 크다. 패널(4)은 그것의 형의 붕괴나 폴리머 입자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서, 전체가 티슈 페이퍼나 친수성 섬유 부직포 등의 투액성 시트에 싸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곡 안내부(15)는 패널(4)이 존재하지 않는 비존재 부분(16)으로 형성되어 있다. 절곡 안내부(15)는 날개부(14)의 가랑이 아래 부분(7)에 치우쳐 위치하는 내단 가장자리(14a)로부터 날개부(14)의 엔드 플랩(10)에 치우쳐 위치하는 외단 가장자리(14b)를 향해 연장되어 있다. 절곡 안내부(15)는 내단 가장자리(14a)로부터 외단 가장자리(14b)를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것으로, 실질적으로 삼각형을 나타낸다.
가랑이 아래 부분(7)의 사이드 플랩(9)에는 세로 방향으로 똑바로 연장되는 1 조의 신축성 탄성 부재(17)가 배치되어 있다. 탄성 부재(17)는 가랑이 아래 부분 접촉부(12)의 양측 가장자리(4a)의 외측에 위치하여, 절곡 안내부(15)로부터 가로 방향 외측으로 주어진 치수만큼 이간되어 있다. 탄성 부재(17)는 사이드 플랩(9)에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그 세로 방향 단부(17a)가 날개부(14)의 내단 가장자리(14a) 근방에 연결되어 있다. 절곡 안내부(15)와 탄성 부재(17)와의 이간 치수는 1∼30 mm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랑이 아래 부분(7)의 사이드 플랩(9)에는 탄성 부재(17)로부터 가로 방향 외측으로 주어진 치수만큼 이간되어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여러 개의 다리 둘레용 탄성 부재(18)가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다리 둘레용 탄성 부재(18)는 가랑이 아래 부분(7)의 가로 방향 중앙부(7a)를 향해 실질적으로 호를 그리고 있다. 엔드 플랩(10)에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띠 형상의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19)가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누출 방지 시트(5)는 사이드 플랩(9)에 부착되어 가랑이 아래 부분(7)으로부터 앞뒤 몸통 둘레 부분(6, 8)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누출 방지 시트(5)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측부(5a)와, 표면 시트(2)의 상측으로 기립 성향을 가지고 세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자유측부(5b)와, 기저귀(1A)의 가로 방향 내측으로 도복(倒伏)된 고정 양단부(5c)를 갖는다. 자유측부(5b)에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신축성 탄성 부재(20)가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탄성 부재(20)는 자유측부(5b)의 일부에 피복되어 있다.
사이드 플랩(9)은 패널(4)의 양측 가장자리(4a)로부터 가로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표리면 시트(2, 3)의 측부(2a, 3a)와 누출 방지 시트(5)의 고정측부(5a)로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 플랩(9)에서는 표면 시트(2)의 측부(2a)가 패널(4)의 측 가장자리(4a)로부터 가로 방향 외측으로 약간 연장되어 있고, 표면 시트(2)의 측부(2a)에서 또한 가로 방향 외측으로 이면 시트(3)의 측부(3a)와 누출 방지 시트(5)의 고정측부(5a)가 연장되어 있다. 측부(2a)는 측부(3a)와 측부(5a) 사이에 개재하고, 이들 측부(3a, 5a)의 내면에 고착되어 있다. 측부(3a)와 측부(5a)는 이들 측부(3a, 5a)의 서로 겹치는 부분에 있어서 이들 측부(3a, 5a)의 내면끼리 고착되어 있다.
탄성 부재(17)는 표면 시트(2)의 측부(2a)와 이면 시트(3)의 측부(3a) 사이에 개재하고, 이들 시트(2, 3)의 측부(2a, 3a) 내면에 고착되어 있다. 탄성 부재(17)의 세로 방향 단부(17a)는 이면 시트(3)와 패널(4) 사이에 개재하고, 이면 시트(3)의 내면 및 패널(4)의 하면과 고착되어 있다. 다리 둘레용 탄성 부재(18)는이면 시트(3)의 측부(3a)와 누출 방지 시트(5)의 고정측부(5a) 사이에 개재하고, 이들 시트(3, 5)의 측부(3a, 5a) 내면에 고착되어 있다.
엔드 플랩(10)은 패널(4)의 양끝 가장자리(4b)로부터 세로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표리면 시트(2, 3)의 단부(2b, 3b)로 형성되어 있다. 엔드 플랩(10)에서는 표면 시트(2)의 단부(2b)와 이면 시트(3)의 단부(3b)가 서로 겹쳐진 상태로, 이들 시트(2, 3)의 단부(2b, 3b) 내면이 고착되어 있다.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19)는 표면 시트(2)의 단부(2b)와 이면 시트(3)의 단부(3b) 사이에 개재하고, 이들 시트(2, 3)의 단부(2b, 3b) 내면에 고착되어 있다. 누출 방지 시트(5)의 고정 양단부(5c)는 표면 시트(2)의 단부(2b) 외면에 고착되어 있다.
뒤 몸통 둘레 부분(8)에는 사이드 플랩(9)으로부터 가로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있는 한 쌍의 테이프 패스너(21)가 부착되어 있다. 테이프 패스너(21)의 자유단부에는 점착제(도시하지 않음)가 도포되어 있다. 앞 몸통 둘레 부분(6)에 있어서의 이면 시트(3)의 외면에는 테이프 패스너(21)를 착탈 가능하게 고착하는 가로 방향으로 긴 구형의 타겟 테이프(22)가 부착되어 있다. 테이프 패스너(21)와 타겟 테이프(22)는 가요성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저귀(1A)를 착용하기 위해서는, 뒤 몸통 둘레 부분(8)의 사이드 플랩(9)을 앞 몸통 둘레 부분(6)의 사이드 플랩(9)의 외측에 겹쳐, 점착제를 통해 테이프 패스너(21)의 자유단부를 타겟 테이프(22)에 고착하여, 앞 몸통 둘레 부분(6)과 뒤 몸통 둘레 부분(8)을 연결한다. 앞뒤 몸통 둘레 부분(6, 8)이 연결된 기저귀(1A)에는 몸통 둘레 개구(23)와 그 아래쪽으로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24)가 형성되어있다. 기저귀(1A)에서는 그것을 착용했을 때에 패널(4)의 앞뒤 몸통 둘레 접촉부(11, 13)가 표면 시트(2)를 통해 착용자의 몸통부에 밀착하는 동시에, 패널(4)의 가랑이 아래 부분 접촉부(12)가 표면 시트(2)를 통해 착용자의 가랑이 사이부에 밀착한다.
착용 상태에 있는 기저귀(1A)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랑이 아래 부분(7)이 착용자의 가랑이 사이 부분에 의해서 조여지고, 탄성 부재(17)가 가랑이 아래 부분(7)의 가로 방향 중앙부(7a)로 가까이 당겨지기 때문에, 탄성 부재(17)가 세로 방향 단부(17a)로부터 가랑이 아래 부분(7)을 향해 가랑이 아래 부분(7)의 가로 방향 중앙부(7a)로 점차적으로 근접하도록 경사져 있다.
기저귀(1A)에서는 그것을 착용했을 때에 앞뒤 몸통 둘레 부분(6, 8)이 띠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패널(4)의 날개부(14)를 꺾으려는 힘이 작용한다. 또한, 기저귀(1A)에서는 탄성 부재(17)의 세로 방향 내측으로의 수축력이 세로 방향 단부(17a)로부터 가랑이 아래 부분(7)의 가로 방향 중앙부(7a)를 향해 작용하여, 탄성 부재(17)의 수축력에 의해서 패널(4)의 날개부(14)가 기저귀(1A)의 가로 방향 내측으로(에) 가까이 당겨진다. 기저귀(1A)에서는 도 4에 화살표 X1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날개부(14)를 꺾으려는 힘과 탄성 부재(17)의 수축력에 의해서, 패널(4)의 날개부(14)가 절곡 안내부(15)를 통해 기저귀(1A)의 가로 방향 내측을 향해 꺾여진다.
기저귀(1A)에서는 그것을 착용했을 때에 패널(4)의 날개부(14)가 가로 방향 내측을 향해 꺾여지기 때문에, 날개부(14)를 착용자의 몸통부에 밀착시킬 수 있어,날개부(14)와 착용자의 몸통부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으므로, 날개부(14)에서의 배설물 흡수 기능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다.
기저귀(1A)에서는 절곡 안내부(15)가 패널(4)의 비존재 부분(16)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절곡 안내부(15)가 패널(4)의 강성의 영향을 받는 일이 적어, 날개부(14)를 절곡 안내부(15)에서 용이하게 꺾을 수 있다.
기저귀(1A)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것이 표면 시트(2)를 내측으로 하여 세로 방향으로 만곡되면, 탄성 부재(20)가 세로 방향 내측으로 수축하여, 누출 방지 시트(5)의 자유측부(5b)가 표면 시트(2)의 상측으로 기립하게 된다. 기저귀(1A)에서는 누출 방지 시트(5)의 자유측부(5b)가 배설물에 대한 장벽을 형성하기 때문에, 사이드 플랩(9)으로부터의 배설물의 누출을 막을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기저귀(1B)의 부분 파단 평면도와, 도 5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에서는 가로 방향을 화살표 X로 나타내고, 세로 방향을 화살표 Y로 나타낸다.
기저귀(1B)는 그 착용시에 앞뒤 몸통 둘레 부분(6, 8)을 연결하는 개방형인 것으로, 투액성 표면 시트(2) 및 불투액성 이면 시트(3)와, 표리면 시트(2, 3)의 사이에 개재하는 흡액성 패널(4)로 구성되어 있다. 기저귀(1B)는 한 쌍의 사이드 플랩(9)과 한 쌍의 엔드 플랩(10)을 지니고, 사이드 플랩(9)에 불투액성 누출 방지 시트(5)가 부착되어 있다.
패널(4)은 앞뒤 몸통 둘레 부분(6, 8)의 가로 방향 중앙부(6a, 8a)에 위치하는 앞뒤 몸통 둘레 접촉부(11, 13)와, 가랑이 아래 부분(7)의 가로 방향중앙부(7a)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 부분 접촉부(12)와, 앞뒤 몸통 둘레 접촉부(11, 13)로부터 가로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날개부(14)를 갖는다. 패널(4)은 기저귀(1B)의 평면 형상과 같이, 모래시계형을 나타낸다. 패널(4)의 앞 몸통 둘레 접촉부(11, 13)와 날개부(14) 사이에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곡 안내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절곡 안내부(15)는 그곳에 위치하는 패널(4)의 강성이 절곡 안내부(15)를 제외한 패널(4)의 나머지 부분의 강성보다도 낮은 저강성 부분(25)으로 형성되어 있다. 절곡 안내부(25)는 날개부(14)의 내단 가장자리(14a)로부터 외단 가장자리(14b)를 향해 연장되어, 외단 가장자리(14b) 근방에 달하고 있다. 절곡 안내부(15)에서는 패널(4)을 형성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와 열가소성 합성 수지 섬유 중의 적어도 한쪽의 단위 체적당 평량이 절곡 안내부(15)를 제외한 패널(4)의 나머지의 단위 체적당 평량보다도 작고, 절곡 안내부(15)에 위치하는 패널(4)의 두께 치수가 절곡 안내부(15)를 제외한 패널(4)의 나머지 부분의 두께 치수보다도 작다.
가랑이 아래 부분(7)의 사이드 플랩(9)에는 세로 방향으로 똑바로 연장되어 있는 여러 개의 신축성 탄성 부재(17)가 배치되어 있다. 탄성 부재(17)는 가랑이 아래 부분 접촉부(12)의 양측 가장자리(4a)의 외측에 위치하여, 절곡 안내부(15)로부터 가로 방향 외측으로 주어진 치수만큼 이간되어 있다. 탄성 부재(17)는 사이드 플랩(9)에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그 세로 방향 단부(17a)가 날개부(14)의 내단 가장자리(14a) 근방에 연결되어 있다. 절곡 안내부(15)와 탄성 부재(17)와의이간 치수는 도 1의 이간 치수와 동일하다.
가랑이 아래 부분(7)의 사이드 플랩(9)에는 탄성 부재(17)로부터 가로 방향 외측으로 주어진 치수만큼 이간되어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여러 개의 다리 둘레용 탄성 부재(18)가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엔드 플랩(10)에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띠 형상의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19)가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기저귀(1B)에서는 그것을 착용했을 때에 탄성 부재(17)가 세로 방향 단부(17a)에서 가랑이 아래 부분(7)을 향해 가랑이 아래 부분(7)의 가로 방향 중앙부(7a)로 점차적으로 근접하도록 경사져 있다. 기저귀(1B)에서는 앞뒤 몸통 둘레 부분(6, 8)이 띠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패널(4)의 날개부(14)를 꺾으려는 힘이 작용하는 동시에, 세로 방향 단부(17a)에서 가랑이 아래 부분(7)의 가로 방향 중앙부(7a)를 향해 작용하는 탄성 부재(17)의 수축력에 의해서 패널(4)의 날개부(14)가 기저귀(1B)의 가로 방향 내측으로 가까이 당겨지고, 날개부(14)가 절곡 안내부(15)를 통해 기저귀(1B)의 가로 방향 내측을 향해 꺾여진다. 기저귀(1B)에서는 날개부(14)를 착용자의 몸통부에 밀착시킬 수 있으므로, 날개부(14)와 착용자의 몸통부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일은 없으며, 날개부(14)에서의 배설물 흡수 기능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다.
기저귀(1B)에는 절곡 안내부(15)가 패널(4)의 저강성 부분(25)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절곡 안내부(15)가 패널(4)의 강성의 영향을 받는 일이 적어, 날개부(14)를 절곡 안내부(15)에서 용이하게 구부릴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각각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기저귀(1C)의 부분 파단 평면도와, 도 7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7에서는 가로 방향을 화살표 X로 나타내고, 세로 방향을 화살표 Y로 나타낸다.
기저귀(1C)는 그 착용시에 앞뒤 몸통 둘레 부분(6, 8)을 연결하는 개방형인 것으로, 투액성 표면 시트(2) 및 불투액성 이면 시트(3)와, 표리면 시트(2, 3)의 사이에 개재하는 흡액성 패널(4)로 구성되어 있다. 기저귀(1C)는 한 쌍의 사이드 플랩(9)과 한 쌍의 엔드 플랩(10)을 지니고, 사이드 플랩(9)에 불투액성 누출 방지 시트(5)가 부착되어 있다.
패널(4)은 앞뒤 몸통 둘레 부분(6, 8)의 가로 방향 중앙부(6a, 8a)에 위치하는 앞뒤 몸통 둘레 접촉부(11, 13)와, 가랑이 아래 부분(7)의 가로 방향 중앙부(7a)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 부분 접촉부(12)와, 앞뒤 몸통 둘레 접촉부(11, 13)로부터 가로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한 쌍의 날개부(14)를 갖는다. 패널(4)은 기저귀(1C)의 평면 형상과 같이, 모래시계형을 나타낸다. 패널(4)의 앞 몸통 둘레 접촉부(11, 13)와 날개부(14) 사이에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절곡 안내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절곡 안내부(15)는 패널(4)을 그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향해 두께 방향으로 절단한 슬릿(26)으로 형성되어 있다. 절곡 안내부(15)는 날개부(14)의 내단 가장자리(14a)로부터 외단 가장자리(14b)를 향해 연장되어, 이들 단부(14a, 14b)를 종단하고 있다. 앞뒤 몸통 둘레 접촉부(11, 13)와 날개부(14)는 절곡 안내부(15)를 사이에 두고 나뉘어 있다.
가랑이 아래 부분(7)의 사이드 플랩(9)에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1 조의 신축성 탄성 부재(17)가 배치되어 있다. 탄성 부재(17)는 가랑이 아래 부분 접촉부(12)의 양측 가장자리(4a)의 외측에 위치하여, 절곡 안내부(15)로부터 가로 방향 외측으로 주어진 치수만큼 이간되어 있다. 탄성 부재(17)는 사이드 플랩(9)에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탄성 부재(17)는 가랑이 아래 부분(7)의 가로 방향 중앙부(7a)를 향해 실질적으로 호를 그리고 있다. 절곡 안내부(15)와 탄성 부재(17)와의 이간 치수는 도 1의 그것과 동일하다.
가랑이 아래 부분(7)의 사이드 플랩(9)에는 탄성 부재(17)로부터 가로 방향 외측으로 주어진 치수만큼 이간되어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여러 개의 다리 둘레용 탄성 부재(18)가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엔드 플랩(10)에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띠 형상의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19)가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기저귀(1C)에는 그것을 착용했을 때에, 탄성 부재(17)가 세로 방향 단부(17a)로부터 가랑이 아래 부분(7)을 향해 가랑이 아래 부분(7)의 가로 방향 중앙부(7a)로 점차적으로 근접하도록 경사져 있다. 기저귀(1C)에서는 앞뒤 몸통 둘레 부분(6, 8)이 띠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패널(4)의 날개부(14)를 꺾으려는 힘이 작용하는 동시에, 세로 방향 단부(17a)로부터 가랑이 아래 부분(7)의 가로 방향 중앙부(7a)를 향해 작용하는 탄성 부재(17)의 수축력에 의해서 패널(4)의 날개부(14)가 기저귀(1C)의 가로 방향 내측으로 가까이 당겨지고, 날개부(14)가 절곡 안내부(15)를 통해 기저귀(1C)의 가로 방향 내측을 향해 꺾여진다. 기저귀(1C)에서는날개부(14)를 착용자의 몸통부에 밀착시킬 수 있어, 날개부(14)와 착용자의 몸통부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일이 없으므로, 날개부(14)에서의 배설물 흡수 기능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다.
기저귀(1C)에는 절곡 안내부(15)가 패널(4)을 그 두께 방향으로 절단한 슬릿(26)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절곡 안내부(15)가 패널(4)의 강성의 영향을 받는 일이 없어, 날개부(14)를 절곡 안내부(15)에서 용이하게 꺾을 수 있다.
기저귀(1C)에는 탄성 부재(17)가 가랑이 아래 부분(7)의 가로 방향 중앙부(7a)를 향해 호를 그리고 있기 때문에, 탄성 부재(17)의 세로 방향 내측으로의 수축력이 가랑이 아래 부분(7)의 가로 방향 중앙부(7a)를 향해 작용하기 쉬워, 패널(4)의 날개부(14)를 탄성 부재(17)의 수축력에 의해 기저귀(1C)의 가로 방향 내측으로 가까이 당기는 것이 더욱 용이하다.
표면 시트(2)에는 친수성 섬유 부직포, 다수의 개공을 갖는 소수성 섬유 부직포, 미세한 다수의 개공을 갖는 투액성 플라스틱 필름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면 시트(3)나 누출 방지 시트(4)에는 소수성 섬유 부직포, 통기 불투액성 플라스틱 필름, 소수성 섬유 부직포를 겹쳐 만든 복합 부직포, 소수성 섬유 부직포와 통기 불투액성 플라스틱 필름을 겹쳐 만든 복합 시트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면 시트(3)나 누출 방지 시트(5)에는 높은 내수성을 갖는 멜트 블로운법에 의한 섬유 부직포의 양면을 높은 강도와 양호한 유연성을 갖는 스펀 본드법에 의한 섬유 부직포로 끼워 제조한 복합 부직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부직포로서는, 스펀 레이스, 니들 펀치, 멜트 블로운, 서멀 본드, 스펀 폰드, 케미컬 본드, 에어 스루의 각 제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부직포의 구성 섬유로서는, 폴리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의 각 섬유,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심초형 복합 섬유 또는 병렬형 복합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시트(2, 3)끼리의 고착이나 표리면 시트(2, 3)에 대한 패널(4)의 고착, 표리면 시트(2, 3)에 대한 누출 방지 시트(5)의 고착, 시트(2, 3, 5)에 대한 탄성 부재(7, 18, 19, 20)의 고착에는 핫멜트형 접착제, 또는, 히트 시일이나 소닉 시일 등의 열에 의한 용착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일회용 기저귀에 따르면, 패널의 몸통 둘레 접촉부와 날개부 사이에 절곡 안내부가 형성되어, 가랑이 아래 부분의 사이드 플랩에 절곡 안내부로부터 가로 방향 외측으로 주어진 치수만큼 이간되어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신축성 탄성 부재가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기저귀에서는 그것을 착용했을 때에, 가랑이 아래 부분이 착용자의 가랑이 사이 부분에 의해서 조여지고, 탄성 부재가 가랑이 아래 부분의 가로 방향 중앙부로 가까이 당겨지기 때문에, 탄성 부재가 세로 방향 단부로부터 가랑이 아래 부분을 향해 가랑이 아래 부분의 가로 방향 중앙부로 점차적으로 근접하도록 경사져 있다.
이 기저귀에서는 그것을 착용했을 때에, 앞뒤 몸통 둘레 부분이 고리를 형성함으로써, 패널의 날개부를 꺾으려는 힘이 작용하는 동시에, 세로 방향 단부로부터가랑이 아래 부분의 가로 방향 중앙부를 향해 작용하는 탄성 부재의 수축력에 의해서 패널의 날개부가 기저귀의 가로 방향 내측으로 가까이 당겨지고, 날개부가 절곡 안내부를 통해 기저귀의 가로 방향 내측을 향해 꺾여진다. 이 기저귀에서는 날개부를 착용자의 몸통부에 밀착시킬 수 있어, 날개부와 착용자의 몸통부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일이 없어, 날개부에 있어서의 배설물 흡수 기능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다.

Claims (5)

  1. 투액성 표면 시트 및 불투액성 이면 시트와, 이들 시트의 사이에 개재하는 흡액성 패널로 구성되고, 세로 방향으로 앞 몸통 둘레 부분 및 뒤 몸통 둘레 부분과, 이들 몸통 둘레 부분의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 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패널의 양측 가장자리의 외측을 세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사이드 플랩과, 상기 패널의 양끝 가장자리의 외측을 가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엔드 플랩을 지니고, 상기 패널이 상기 앞뒤 몸통 둘레 부분의 가로 방향 중앙부에 위치하는 앞뒤 몸통 둘레 접촉부와, 상기 가랑이 아래 부분의 가로 방향 중앙부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 부분 접촉부와, 상기 앞뒤 몸통 둘레 접촉부 중의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가로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한 쌍의 날개부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절곡 안내부가 상기 패널의 몸통 둘레 접촉부와 날개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세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신축성 탄성 부재가 상기 절곡 안내부로부터 가로 방향 외측으로 주어진 치수만큼 이간 배치되어 상기 사이드 플랩에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저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세로 방향 단부가 상기 날개부에 연결되어 있는 기저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 안내부는 상기 패널이 존재하지 않는비존재 부분으로 형성되어, 상기 날개부의 가랑이 아래 부분으로 치우쳐 위치하는 내단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날개부의 엔드 플랩에 치우쳐 위치하는 외단 가장자리를 향해 연장되어 있는 기저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 안내부는 상기 절곡 안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패널의 강성이 그곳을 제외한 상기 패널의 나머지의 강성보다도 낮은 저강성 부분으로 형성되어, 상기 날개부의 가랑이 아래 부분으로 치우쳐 위치하는 내단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날개부의 엔드 플랩에 치우쳐 위치하는 외단 가장자리를 향해 연장되어 있는 기저귀.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 안내부는 상기 패널을 두께 방향으로 절단한 슬릿으로 형성되어, 상기 날개부의 가랑이 아래 부분으로 치우쳐 위치하는 내단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날개부의 엔드 플랩에 치우쳐 위치하는 외단 가장자리를 향해 연장되어 있는 기저귀.
KR1020030017049A 2002-03-20 2003-03-19 일회용 기저귀 KR1009711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79390 2002-03-20
JP2002079390A JP4050920B2 (ja) 2002-03-20 2002-03-20 使い捨ておむ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6367A true KR20030076367A (ko) 2003-09-26
KR100971194B1 KR100971194B1 (ko) 2010-07-20

Family

ID=27785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7049A KR100971194B1 (ko) 2002-03-20 2003-03-19 일회용 기저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264614B2 (ko)
EP (1) EP1346713A3 (ko)
JP (1) JP4050920B2 (ko)
KR (1) KR100971194B1 (ko)
CN (1) CN1287756C (ko)
TW (1) TWI2475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78363B2 (ja) 2001-04-23 2007-09-1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US20040002690A1 (en) 2002-07-01 2004-01-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elasticized outer leg cuff
JP2004216082A (ja) * 2003-01-10 2004-08-05 Uni Charm Corp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US7794441B2 (en) 2004-04-14 2010-09-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ual cuff for a unitar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being spaced away from backsheet
JP4159539B2 (ja) * 2004-11-22 2008-10-01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PL1827335T3 (pl) * 2004-12-23 2012-11-30 Essity Hygiene & Health Ab Wyrób chłonny
JP4530937B2 (ja) * 2005-07-28 2010-08-25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4530938B2 (ja) * 2005-07-28 2010-08-25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US20070073259A1 (en) * 2005-09-29 2007-03-29 Erdman Edward P Absorbent article with dual gather leg cuff assemblies
JP5328203B2 (ja) 2008-03-31 2013-10-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吸収性着用物品
US8690851B2 (en) * 2008-08-29 2014-04-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tailored leg edge
JP5774293B2 (ja) 2010-11-10 2015-09-09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吸収性物品および使い捨ておむつ
JP5832761B2 (ja) * 2011-03-01 2015-12-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着用物品
JP5846756B2 (ja) * 2011-04-01 2016-01-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CN102151199B (zh) * 2011-05-02 2015-05-27 曹乃承 新型纸尿裤
JP5255139B1 (ja) * 2012-04-27 2013-08-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RU2651437C2 (ru) 2013-03-22 2018-04-19 Дзе Проктер Энд Гэмбл Компани Одноразовые абсорбирующие изделия
KR101773355B1 (ko) * 2013-09-30 2017-08-31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흡수체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JP6598351B2 (ja) * 2015-03-30 2019-10-30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9913763B2 (en) 2015-10-30 2018-03-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channels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95107U (ja) * 1982-12-15 1984-06-28 ユニ・チャ−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4642110A (en) 1985-07-03 1987-02-10 Evelin Dudek Disposable diaper
FR2590125B1 (fr) * 1985-11-19 1988-01-15 Beghin Say Sa Change complet avec matelas absorbant ramifi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JPS6430303U (ko) * 1987-08-11 1989-02-23
US4887602A (en) * 1988-01-11 1989-12-19 Weyerhaeuser Company Ventilated diaper or incontinent garment
US5197959A (en) * 1988-03-31 1993-03-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JP2826185B2 (ja) * 1990-03-12 1998-11-1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パンツ型着用物品
JPH042344A (ja) * 1990-04-19 1992-01-07 Daio Paper Corp 紙おむつ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382246A (en) * 1990-09-18 1995-01-17 Koyo Disposable Goods Company Disposable diaper
GR1002062B (en) * 1992-12-31 1995-11-28 Mcneil Ppc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flexible bending axes.
JP3012425B2 (ja) * 1993-03-30 2000-02-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5601544A (en) * 1993-12-23 1997-02-11 Kimberly-Clark Corporation Child's training pant with elasticized shaped absorben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A2134268C (en) * 1994-06-13 2005-10-04 Frederich Oma Lassen Absorbent article having a body-accommodating absorbent core
US5776122A (en) * 1994-12-21 1998-07-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providing improved fecal containment
JP3208289B2 (ja) * 1995-08-15 2001-09-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吸収性アンダーガーメント
JPH105274A (ja) * 1996-06-25 1998-01-13 Oji Paper Co Ltd 吸収性物品
JP3184104B2 (ja) * 1996-11-06 2001-07-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おむつ
JP3724963B2 (ja) * 1998-11-17 2005-12-07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吸収性物品
US6563013B1 (en) * 1998-11-30 2003-05-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channel
JP4198849B2 (ja) * 1998-12-01 2008-12-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6700034B1 (en) * 1999-10-01 2004-03-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unitary absorbent layer for center fill performance
JP3916852B2 (ja) 2000-06-27 2007-05-2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US6878139B2 (en) * 2000-10-05 2005-04-12 Kao Corporation Disposable diaper including lateral side cores
JP3717397B2 (ja) * 2000-11-30 2005-11-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TW595464U (en) 2000-12-28 2004-06-21 Kao Corp Disposable diaper
JP4229309B2 (ja) * 2001-09-07 2009-02-25 株式会社日本吸収体技術研究所 吸水により中央部で立体化する吸収体及びそれを用いた吸収体製品
JP3975176B2 (ja) * 2003-04-18 2007-09-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着用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46713A2 (en) 2003-09-24
US20040006325A1 (en) 2004-01-08
KR100971194B1 (ko) 2010-07-20
CN1287756C (zh) 2006-12-06
CN1444915A (zh) 2003-10-01
EP1346713A3 (en) 2006-05-24
TWI247598B (en) 2006-01-21
JP4050920B2 (ja) 2008-02-20
US7264614B2 (en) 2007-09-04
TW200304365A (en) 2003-10-01
JP2003275236A (ja) 2003-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1194B1 (ko) 일회용 기저귀
KR100779048B1 (ko) 팬츠형 일회용 착용 물품
KR100636729B1 (ko) 팬츠형의 일회용 착용 물품
KR100593270B1 (ko) 일회용 기저귀
KR100779046B1 (ko) 일회용 착용 물품
KR100808073B1 (ko) 일회용 기저귀
KR100821816B1 (ko) 일회용 기저귀
JP2004350864A (ja) 使い捨て着用物品
JP2002172135A (ja) 使い捨て着用物品
JP2003153955A (ja) 開放型の使い捨ておむつ
KR20090091318A (ko) 흡수성 물품
KR20030033993A (ko) 일회용 기저귀
JP4205385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
JP5767783B2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KR100872387B1 (ko) 일회용 착용 물품
JP2003275236A5 (ko)
JP2002177331A (ja) 使い捨て着用物品
MX2012011578A (es) Producto absorbente.
JP4024467B2 (ja) 使い捨ておむつ
KR100706053B1 (ko) 일회용 기저귀
KR20030019216A (ko) 개방형 일회용 착용 물품
JP3851835B2 (ja) 使い捨ておむつ
KR100789792B1 (ko) 일회용 기저귀
CN110035730B (zh) 一次性尿布
JP2015008930A (ja) 使い捨ておむ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