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3926A - 냉, 온수 혼합 공급식 이온자화 연수기 - Google Patents

냉, 온수 혼합 공급식 이온자화 연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3926A
KR20030073926A KR1020020013705A KR20020013705A KR20030073926A KR 20030073926 A KR20030073926 A KR 20030073926A KR 1020020013705 A KR1020020013705 A KR 1020020013705A KR 20020013705 A KR20020013705 A KR 20020013705A KR 20030073926 A KR20030073926 A KR 200300739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ld
pipe
softener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3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재
반진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좋은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좋은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좋은기술
Priority to KR1020020013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73926A/ko
Publication of KR20030073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3926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온자화 연수기 내부로 공급되는 물을 냉, 온수가 혼합된 상태로 공급되게 함과 동시에 연수기 사용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일정시간 동안 소정 농도의 염수(鹽水)가 공급 순환되게 하는 것에 의해 연수기 내부에 담겨진 이온수지를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이온수지의 오염을 막아 보다 위생적인 동시에 연수처리 효율을 높여 연수기의 성능을 일관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내부에 이온수지(11a)가 담겨진 내통(11)과 뚜껑(14)이 설치되는 본체(1)로 되어 인입관(12)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연수처리되어 본체(1) 하부의 배수통로(13)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이온자화 연수기(A)에 있어서, 본체(1)의 하측에는, 일측의 냉, 온수 유입구(15)(16)와, 인입관(12)과, 배수통로(13) 및 배출구(17)과 각각 연통되는 유로(23a)(23b)(23c)(23d)를 각각 형성한 케이싱(23)을 설치하고, 상기 케이싱(23) 내에는 상기 각 유로(23a)(23b)(23c)(23d)와 연통되어 조작레버(5)의 조작에 의해 냉, 온수의 혼합 공급 및 연수의 배출을 제어하는 조절변(2)을 설치하고, 상기 본체(1)의 일측에는, 도중에 순환모터(32a)가 설치되어 일단이 상기 내통(11)과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유로(23c)와 연통되는 순환관(32)을 설치하며, 역세척수단(3)의 역세척관(31)과 연결되게 하고, 상기 역세척관(31)과 순환관(32)은 각각 절환밸브(4)에 의해 드레인관(41)과 세척수 공급구(33)에 대해 선택적으로 연결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 온수 혼합 공급식 이온자화 연수기이다.

Description

냉, 온수 혼합 공급식 이온자화 연수기{hot and cool water mixing supply type water softener}
본 발명은 냉, 온수 혼합 공급식 이온자화 연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는 이온자화 연수기 내부로 공급되는 물을 냉, 온수가 혼합된 상태로 공급되게 함과 동시에 연수기 사용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일정시간 동안 소정 농도의 염수(鹽水)가 공급 순환되게 하는 것에 의해 연수기 내부에 담겨진 이온수지를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이온수지의 오염을 막아 보다 위생적인 동시에 연수처리 효율을 높여 연수기의 성능을 일관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돗물 등의 경수(hard water)를 피부에 좋게 작용하도록 하기 위해 연수(soft water)로 바꾸어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이온자화 연수기(이하 '연수기'라 함)가 사용되고 있는 실정으로, 이들 사용되고 있는연수기는 내부에 다수의 이온수지를 담아 보관하는 상태에서 경수가 연수기 내부로 유입되어 이온수지와 이온 교환작용을 거치면서 연수로서 처리, 배출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연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연수기들은, 연수기 내부로 공급되는 물(경수)을 더운물이나 찬물 어느 한가지로 구분하여 공급되게 하고 있는 것이므로 가정에서 더운물과 찬물을 적당히 혼합하여 연수처리 하기 위해서는 더운물용 연수기와 찬물용 연수기로 구분 구성하여 두개의 연수기를 각각 설치하여 연수처리 되게한 후 연수처리 된 냉수와 온수를 별도의 밸브를 이용하여 혼합되게 한 상태로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어서 연수기 사용에 많은 경비가 소요되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었으며, 또한 종래 연수기는 그 내부에 담겨진 이온수지에 대한 주기적인 자동세척이 불가능 할 뿐만 아니라 수동으로 그때그때 이온수지를 세척 재생하기 위해서는 연수기 내부에 담겨진 이온수지를 연수기 외부로 모두 배출시킨 상태에서 배출된 이온수지를 세척한 후 세척된 이온수지를 다시 연수기 내에 담겨지게 하여 연수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는 것이므로 연수기의 핵심 구성 요소인 이온수지에 대한 세척 재생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까다롭게 되어 대부분의 연수기 사용자는 이온수지에 대한 세척을 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또한 종래의 연수기는 더운물과 찬물을 따로따로 공급받아 연수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는 구성 특성상 연수기 내부로 공급되어 이온수지를 통과하며 연수처리되는 과정에서 물의 온도가 너무 차거나 뜨거운 상태로 이온수지와 접촉되게되므로 이온수지의 특성이 떨어져 연수처리 효율이 현저히 낮아지게 되어 실제로 공급되는 연수의 질이 저하될 수 밖에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더운물과 찬물에 대해 각각 연수기가 설치되게 하여 연수처리 된 연수가 연수기 외부에서 서로 혼합되어 수온 조절이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자동 이온수지 세척장치가 설치되지 않아 연수처리 효율이 낮아질 수 밖에 없었던 종래의 연수기가 지닌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수기 내로 공급되는 물이 더운물과 찬물 상태에서 혼합되어 적정온도의 혼합수 상태로 연수기로 공급되어 이온수지에 의해 처리되게 하여 일정온도의 연수를 얻을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이온수지의 세척을 위해 일정농도의 염수로 되는 세척수가 공급되게하되 공급된 세척수가 순환펌프에 의해 역순환되면서 이온수지에 대한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별도의 자동 세척장치를 연결하여 일정주기 단위로 연수기 내부의 이온수지에 대한 염수 세척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써 이온수지의 사용수명을 연장하여 연수처리 효율을 높이는 것에 의해 보다 질 좋은 연수를 장기간에 걸쳐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 냉, 온수 혼합 공급식 이온자화 연수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온자화 연수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온자화 연수기의 조절변을 이루는 고정판과 가동판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온자화 연수기의 조절변을 이루는 가동판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온자화 연수기의 구성 요부인 와류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이온자화 연수기의 작동상태 단면도.
도 6a 내지 6b는 본 발명에 의한 이온자화 연수기의 구성 요부인 조절변의 작동상태도.
도 7a 내지 7b는 본 발명에 의한 이온자화 연수기의 냉, 온수 공급/차단 및 냉, 온수 혼합 상태도.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이온자화 연수기에 대한 역세척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체2 : 조절변
3 : 역세척 수단4 : 절환밸브
11 : 내통12 : 인입관
13 : 배수통로13a : 자석
13b : 와류구15 : 냉수 유입구
16 : 온수 유입구17 : 배출구
21 : 고정판22 : 가동판
23 : 케이싱31 : 역세척관
32 : 순환관32a : 순환모터
41 : 드레인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냉, 온수 혼합형 이온자화 연수기는, 내부에 이온수지(11a)가 담겨진 내통(11)과 뚜껑(14)이 설치되는 본체(1)로 되어 인입관(12)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연수처리되어 본체(1) 하부의 배수통로(13)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이온자화 연수기(A)에 있어서, 본체(1)의 하측에는, 일측의 냉, 온수 유입구(15)(16)와, 인입관(12)과, 배수통로(13) 및 배출구(17)과 각각 연통되는 유로(23a)(23b)(23c)(23d)를 각각 형성한 케이싱(23)을 설치하고, 상기 케이싱(23) 내에는 상기 각 유로(23a)(23b)(23c)(23d)와 연통되어 조작레버(5)의 조작에 의해 냉, 온수의 혼합 공급 및 연수의 배출을 제어하는 조절변(2)을 설치하고, 상기 본체(1)의 일측에는, 도중에 순환모터(32a)가 설치되어 일단이 상기 내통(11)과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유로(23c)와 연통되는 순환관(32)을 설치하여 역세척수단(3)의 역세척관(31)과 연결되게 하고, 상기 역세척관(31)과 순환관(32)은 각각 절환밸브(4)에 의해 드레인관(41)과 세척수 공급구(33)에 대해 선택적으로 연결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냉, 온수 혼합형 이온자화 연수기(A)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조절변(2)은, 고정판(21)과 그 하면에 밀접된 상태에서 조작레버(5)에 의해 전후 좌우로 이동되는 가동판(22)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판(21)에는 상기 케이싱(23)의 유로(23a)(23b)(23c)(23d)와 각각 연결되는 냉, 온수 유입통로(211)(212) 와, 혼합수 유출통로(213)와, 배수공(214) 및 배출공(215)을 형성하고, 상기 가동판(22)에는, 상기 고정판(21)의 냉, 온수 유입통로(211)(212) 및 혼합수 유출통로(213)와 각각 연통 또는 차단되며 하부의 혼합부(222)에 의해 서로 연통되는 혼합수 조절공(221)과 혼합수 유출공(223)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혼합수 유출공(223) 일측에는 상기 고정판(21)의 배수공(214) 및 배출공(215)과 연통되는 장홈 형태의 배출홈(224)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온자화 연수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온자화 연수기의 조절변을 이루는 고정판과 가동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동판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냉, 온수 혼합 공급식 이온자화 연수기의 구성 요부인 와류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냉, 온수 혼합 공급식 이온자화 연수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6a 및 6b는 본 발명에 의한 이온자화 연수기의 구성 요부인 조절변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7a 내지 7d는 본 발명에 의한 이온자화 연수기의 냉, 온수 공급/차단 및 혼합상태도이며, 도 8a 및 8b는 본 발명에 의한 이온자화 연수기에 대한 역세척 상태도로서, 그 구성은 본체(1)과 조절변(2) 및 역세척 수단(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본체(1)는 대략 중공의 원통형으로 되어 그 상부에는 뚜껑(14)이 설치되며, 하부에는 상측에 자화구(13a), 하측에 와류구(13b)가 각각 설치되는 배수통로(13)를 형성하여 이 배수통로(13)가 본체(1) 하측에 설치되는 케이싱(23)의 유로(23c)와 연통되도록 하고, 상기 배수통로(13) 상부의 본체(1) 내에는, 내부에 다수의 이온수지(11a)가 채워진 채 그 양단을 각각 스크린망(11b)으로 차단한 내통(11)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본체(1)의 내측으로는 케이싱(23)의 유로(23b)와 연결되어 혼합수를 본체(1)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인입관(12)이 설치되며, 본체(1) 하부 일측에는 역세척 수단(3)의 순환관(32)의 일단을 내통(11)과 연통되게 연결하고, 배수통로(13)와 연결되는 유로(23c)에는 상기 순환관(32)의 타단이 연결되게 하여 역세척시 본체(1) 내부로 공급된 염수의 세척수가 순환모터(32a)에 의해 본체(1) 내부를 순환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조절변(2)은 상기 본체(1) 하부의 케이싱(23) 내부에 설치되어 조작레버(5) 작동에 의해 본체 내부로 공급되는 냉, 온수를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공급되게 하고 그 공급되는 혼합수의 양을 적절하게 조절함과 동시에 내통(11)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연수를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한것으로, 고정판(21)의 하면에 그 상면이 밀접된 채 조작레버(5)와 연결되어 전,후,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가동판(22)에는, 선택적으로 소정부분만큼 고정판(21)의 냉, 온수 유입통로(211)(212)와 연통 또는 완전 차단되도록 한 대략 원호형의 혼합수 조절공(221)과, 그 바닥부에 일정부분 요입 형성된 혼합부(222)에서 혼합된 혼합수를 고정판(21)의 혼합수 유출통로(213)를 통해 케이싱(23)의 유로(23b)를 거쳐 본체(1) 내부로 유출시키도록 하는 혼합수 유출공(223)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고정판(21)에는 인입관(12)을 통해 본체(1)의 내통(11)으로 공급되어 이온수지(11a)을 거쳐 처리된 연수가 배출되는 배수통로(13)와 연결되는 유로(23c)와 연통되게 배수공(214)를 형성하고 그 일측에는 배출공(215)을 형성하여 이 배출공(215)이 가동판(22)의 전후 이동에 따라 가동판(22)에 장홈 형태로 형성된 배출홈(224)과 선택적으로 연통되게 하여 배수공(214)을 통해 배수되는본체(1) 내부의 연수가 배출홈(224)과 배출공(215)을 거쳐 케이싱(23)의 유로(23d)와 배출구(17)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거나 또는 배출공(215)과 배출홈(224)의 연통 상태를 차단하여 배출홈(224)에 도달된 연수의 배출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역세척수단(3)은, 도중에 순환모터(32a)가 설치되는 상태로 일단이 본체(1) 내부의 내통(11) 일측과 연통되고 타단은 본체(1) 하측에 설치되어 배수통로(13)와 연결된 유로(23c)와 연통되게 한 순환관(32)과, 이 순환관(32) 일측에 연통 상태로 설치되어 세척수 공급구(33)와 연결되는 역세척관(31)과, 상기 역세척관(31)에 절환밸브(4)의 작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세척된 세척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드레인관(41)으로 이루어져 필요에 따라 본체(1) 내부의 이온수지(11a)에 대한 세척작업이 배수통로(13)를 통해 유입되는 일정농도의 염수로 되는 세척수에 의해 역세척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세척된 세척수는 드레인관(4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의한 냉, 온수 혼합 공급식 이온자화 연수기(A)의 실시작동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온자화 연수기(A)를 이루는 본체(1) 하단의 케이싱(23)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냉, 온수 유입구(15)(16)에 각각 냉, 온수 라인이 연결되게 하고 역시 케이싱(23) 일측의 배출구(17)에는 샤워헤드 등의 배수라인을 연결한 상태에서 본체(1) 하측에 설치된 조절변(2)의 조작레버(5)를 작동시켜 조절변(2)을 개방 상태로 둠과 동시에 유입되는 냉, 온수의 비율을 적당히 조절하여 일정온도의 혼합수가 일정한 양으로 균일하게 본체(1) 내부로 공급되게 하면, 각각 공급되는 냉, 온수는 조절변(2)을 이루는 고정판(21)의 냉, 온수 유입통로(211)(212)를 거쳐 그 하면에 요입 형성된 혼합부(222)에서 냉, 온수가 혼합된 상태로 그 일측의 혼합수 유출공(223)을 통해 유출되어 이 혼합수 유출공(223)에 연결된 유로(23b)을 거쳐 인입관(12)을 통해 본체(1) 내의 내통(11)으로 공급되게 된다.
이렇게 내통(11)으로 공급된 냉, 온수 혼합수는 내통(11) 내에 담겨진 이온수지(11a)와 접촉하는 상태로 하강하면서 혼합수에 포함된 마그네슘염, 황산염, 탄산염과 같은 각종 유해 불순물이 제거되면서 연수 상태로 되어 그 하부의 배수통로(13)를 통해 배수되게 된다.
이때 배수되는 연수는 배수통로(13) 상단에 설치된 자석 등의 자화구(13a)를 먼저 통과하면서 자화되게 되고 계속해서 배수통로(13) 하단에 설치된 와류구(13b)의 외면에 나선(spiral) 형태로 형성된 다수의 와류홈(13c)을 통과하면서 강한 와류를 형성한 채 급속하게 배수되게 된다.
이렇게 강한 와류 형태로 급속하게 배수되는 연수는 케이싱(23)의 유로(23c)와, 고정판(21)의 배수공(214) 및 배출홈(224)을 순차적으로 거쳐 최종적으로 배출공(215)으로 보내지게 되고 이후 이 배출공(215)에 연결된 케이싱(23)의 유로(23d)와 배출구(17)를 통해 배출되게 되어 연수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냉, 온수의 혼합과 혼합된 혼합수의 본체(1)에 대한 공급 및 차단동작은 조절변(2)의 가동판(22)이 고정판(21)에 대해 일정부분 회전 이동되거나 전후 진퇴 이동되는 것에 의해 고정판(21)의 냉, 온수유입통로(211)(212)와 가동판(22)의 혼합수 조절공(221)과의 일치정도 및 일치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며, 또한 처리된 연수에 대한 배수 및 그 차단동작 역시 조절변(2)의 가동판(22)이 고정판(21)에 대해 일정부분 전후 진퇴 이동되는 것에 의해 고정판(21)의 배출공(215)과 가동판(22)의 배출홈(224)과 연통 여부에 따라 결정되게 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가동판(22)의 고정판(21)에 대한 이동동작은 가동판(22)과 연결된 조작레버(5)에 의해 원할하고 확실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일정기간(시간)동안 연수처리가 이루어지게되면 내통(11) 내에 담겨진 이온수지(11a)는 흡수된 각종 불순물에 의해 연수처리 효율이 저하되게 되므로, 연수처리 효율을 높이기 위해 이온수지(11a)에 대한 살균세척이 요구 된다.
이 경우 조절변(2)을 이용하여 외부로부터의 냉, 온수 유입통로(211)(212)와 배수공(214)을 차단 상태로 유지하는 상태에서, 별도의 제어수단(도시생략)과 연결되어 동작하는 절환밸브(4)의 작동에 의해 순환관(32)과 드레인관(41)을 연통되게 하여 본체(1) 내에 잔존하는 연수를 먼저 배출되게 한 후 절환밸브(4)가 다시 작동하여 드레인관(41)을 차단 상태로하고 순환관(32)과 역세척관(31)을 연통 상태로 되게 한다.
이 상태에서 대략 10% 농도의 염수로 되는 세척수가 세척수 공급구(33)에 의해 순환관(32)을 통해 유로(23c)와 배수통로(13)를 거쳐 본체(1)의 내통(11) 내로 강한 압력으로 공급되게 된다.
이렇게 공급되는 세척수는 하부에서 상부측으로 분출되면서 이온수지(11a)를 세척하게 되고 이렇게 이온수지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가 본체(1) 내로 일정량 공급되게되면 더이상의 공급은 차단된 상태에서 본체(1) 내에 담긴 세척수는 순환관(32) 도중에 설치된 순환모터(32a)의 작동에 의해 일정시간동안 내통(11)의 하부에서 상부측으로 반복하여 순환되게 됨으로써 이온수지(11a)에 대한 보다 확실한 세척이 이루어 질 수 있게 된다.
이후 순환모터(32a)의 작동이 정지하고 세척순환이 종료하게 되면 다시 절환밸브(4)가 작동하여 순환관(32)과 드레인관(41)을 연통 상태로 두어 본체(1) 내의 세척수는 배수통로(13)와 연결된 유로(23c) 일측을 통해 순환관(32)과 드레인관(41)을 거쳐 배출되게 되어 오염된 이온수지(11a)에 대한 세척작업은 완료되게 된다.
상기한 일련의 세척작업은 별도의 제어수단에 의해 순환모터(32a)와 세척수 공급구(33) 및 절환밸브(4)가 그때그때 설정된 시간동안 설정된 주기 단위로 작동하는 것에 의해 원활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이온수지(11a)에 대한 세척작업이 완료되게 되면, 다시 조작레버(5)를 이용하여 조절변(2)의 가동판(22)을 작동시켜 본체(1)에 대한 냉, 온수 혼합수의 공급이 재개되게 함과 동시에 공급된 혼합수가 이온수지(11a)를 통과하면서 각종 오염 불순물이 제거되어 양질의 연수로서 배출되도록 하여 효율적인 연수처리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상기의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냉, 온수 혼합 공급식 이온자화 연수기에 의하면, 연수기의 본체 내부로 공급되는 냉, 온수(경수)를 임의 비율로 혼합된 혼합수 형태로 공급되게 하여 하나의 연수기로 냉, 온수를 동시에 연수처리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연수기의 제작원가를 낮출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이온수지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되어 보다 경제적으로 이온자화 연수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아울러 역세척수단을 본체 일측에 설치하여 일정주기 단위로 자동적으로 세척수가 공급 순환되게 하는 것에 의해 본체 내의 이온수지에 대한 보다 확실하고 원할한 세척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이온자화 연수기의 사용수명 연장과 함께 연수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2)

  1. 내부에 이온수지(11a)가 담겨진 내통(11)과 뚜껑(14)이 설치되는 본체(1)로 되어 인입관(12)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연수처리되어 본체(1) 하부의 배수통로(13)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이온자화 연수기(A)에 있어서,
    본체(1)의 하측에는, 일측의 냉, 온수 유입구(15)(16)와, 인입관(12)과, 배수통로(13) 및 배출구(17)과 각각 연통되는 유로(23a)(23b)(23c)(23d)를 각각 형성한 케이싱(23)을 설치하고, 상기 케이싱(23) 내에는 상기 각 유로(23a)(23b)(23c)(23d)와 연통되어 조작레버(5)의 조작에 의해 냉, 온수의 혼합 공급 및 연수의 배출을 제어하는 조절변(2)을 설치하고, 상기 본체(1)의 일측에는, 도중에 순환모터(32a)가 설치되어 일단이 상기 내통(11)과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유로(23c)와 연통되는 순환관(32)을 설치하며, 역세척수단(3)의 역세척관(31)과 연결되게 하고, 상기 역세척관(31)과 순환관(32)은 각각 절환밸브(4)에 의해 드레인관(41)과 세척수 공급구(33)에 대해 선택적으로 연결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 온수 혼합 공급식 이온자화 연수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변(2)은, 고정판(21)과 그 하면에 밀접된 상태에서 조작레버(5)에 의해 전후 좌우로 이동되는 가동판(22)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판(21)에는 상기 케이싱(23)의 유로(23a)(23b)(23c)(23d)와 각각 연결되는 냉, 온수유입통로(211)(212) 와, 혼합수 유출통로(213)와, 배수공(214) 및 배출공(215)을 형성하고, 상기 가동판(22)에는, 상기 고정판(21)의 냉, 온수 유입통로(211)(212) 및 혼합수 유출통로(213)와 각각 연통 또는 차단되며 하부의 혼합부(222)에 의해 서로 연통되는 혼합수 조절공(221)과 혼합수 유출공(223)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혼합수 유출공(223) 일측에는 상기 고정판(21)의 배수공(214) 및 배출공(215)과 연통되는 장홈 형태의 배출홈(224)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 온수 혼합 공급식 이온자화 연수기.
KR1020020013705A 2002-03-14 2002-03-14 냉, 온수 혼합 공급식 이온자화 연수기 KR200300739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3705A KR20030073926A (ko) 2002-03-14 2002-03-14 냉, 온수 혼합 공급식 이온자화 연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3705A KR20030073926A (ko) 2002-03-14 2002-03-14 냉, 온수 혼합 공급식 이온자화 연수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7483U Division KR200277034Y1 (ko) 2002-03-14 2002-03-14 냉, 온수 혼합 공급식 이온자화 연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3926A true KR20030073926A (ko) 2003-09-19

Family

ID=32224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3705A KR20030073926A (ko) 2002-03-14 2002-03-14 냉, 온수 혼합 공급식 이온자화 연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7392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4468A (ko) * 2002-04-27 2003-11-01 주식회사 후레쉬워터 연수기의 분리판식 세척 및 연수 장치
WO2017026654A1 (ko) * 2015-08-13 2017-02-16 코웨이 주식회사 반자동 수압식 연수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3046B1 (ko) * 1997-04-16 1999-06-15 전주범 연수기의 연수 및 재생 시스템
KR100193048B1 (ko) * 1997-04-16 1999-06-15 전주범 연수기의 연수 및 재생 시스템
KR200177212Y1 (ko) * 1999-10-29 2000-04-15 이형순 온냉수용 연수기
JP2000140840A (ja) * 1998-11-06 2000-05-23 Minoura Yoshimi イオン交換樹脂軟水器の食塩再生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3046B1 (ko) * 1997-04-16 1999-06-15 전주범 연수기의 연수 및 재생 시스템
KR100193048B1 (ko) * 1997-04-16 1999-06-15 전주범 연수기의 연수 및 재생 시스템
JP2000140840A (ja) * 1998-11-06 2000-05-23 Minoura Yoshimi イオン交換樹脂軟水器の食塩再生器
KR200177212Y1 (ko) * 1999-10-29 2000-04-15 이형순 온냉수용 연수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4468A (ko) * 2002-04-27 2003-11-01 주식회사 후레쉬워터 연수기의 분리판식 세척 및 연수 장치
WO2017026654A1 (ko) * 2015-08-13 2017-02-16 코웨이 주식회사 반자동 수압식 연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17511A (ko) 비데의 유로 시스템
WO2023240981A1 (zh) 软水机
CN217708958U (zh) 软水机
WO2023240974A1 (zh) 软水机
CN217815127U (zh) 多路阀及软水机
KR20230145972A (ko) 수처리장치
CN114962713A (zh) 多路阀及软水机
KR200277034Y1 (ko) 냉, 온수 혼합 공급식 이온자화 연수기
KR20030073926A (ko) 냉, 온수 혼합 공급식 이온자화 연수기
KR20150062887A (ko) 전환 밸브 모듈을 포함하는 연수기
KR100396903B1 (ko) 연수기
KR101595571B1 (ko) 중력식 자동 재생 연수기 및 중력식 자동 재생 연수기의 자동 재생 방법
JP4061716B2 (ja) 軟水器の制御方法
CN215462533U (zh) 龙头净水器及用于龙头净水器的控制阀
JP2867906B2 (ja) 軟水器
JP2001238845A (ja) 食器洗浄機
KR100232117B1 (ko)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용한 자동세척식 연수기
JP3146968B2 (ja) 軟水器
CN217713750U (zh) 多路阀、定阀片及软水机
JPH07232167A (ja) 軟水化装置
JP2001246376A (ja) 家庭用軟水装置の制御方法
CN217713748U (zh) 多路阀及软水机
KR200143166Y1 (ko) 연수기의 이온교환수지 재생시스템
KR200310725Y1 (ko) 연수기용 전환밸브장치
KR200330041Y1 (ko) 연수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