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3640A - 톤 신호 발생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톤 신호 발생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3640A
KR20030073640A KR1020020013299A KR20020013299A KR20030073640A KR 20030073640 A KR20030073640 A KR 20030073640A KR 1020020013299 A KR1020020013299 A KR 1020020013299A KR 20020013299 A KR20020013299 A KR 20020013299A KR 20030073640 A KR20030073640 A KR 20030073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one
generating
data
tone bur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3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지털앤디지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지털앤디지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지털앤디지털
Priority to KR1020020013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73640A/ko
Publication of KR20030073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364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H04B7/1851Systems using a satellite or space-based relay
    • H04B7/18519Operations control, administration or mainten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성신호 수신 시스템에서 다수의 위성 안테나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위성 안테나를 제어하기 위한 톤(Tone) 신호의 발생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다이젝(DiSEqC) 규격에 따른 톤 버스트 신호와 다이젝 메시지의 발생 명령을 검출하여 카운터 구동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스타트 검출부와; 상기 카운터 구동신호 입력에 따라 소정의 타임들을 각각 카운트 출력하기 위한 카운터들과; 다수의 타임 카운트값들을 조합하여 다이젝 규정에 따르는 "0"데이터 비트와 "1"데이터 비트를 생성 출력하기 위한 다이젝 데이터 비트 발생부와; 상기 카운터 구동후 t1시점으로부터 12.5ms 동안 인에이블되는 톤 버스트 A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톤 버스트 A신호 발생부와; 인에이블된 상기 톤 버스트 A신호와 "1"데이터 비트를 논리곱하여 톤 버스트 B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톤 버스트 B신호 발생부와; 로딩된 n바이트 크기의 다이젝 메시지에 대응하는 다이젝 데이터 비트를 순차 출력하기 위한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선택신호 발생부와; 상기 선택신호에 따라 "0"데이터 비트와 "1"데이터 비트중 어느 하나를 선택 출력하여 다이젝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다이젝 메시지 발생부와; 상기 톤 버스트 A, B신호와 다이젝 메시지중 하나를 톤 발생기 구동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톤 발생기 구동신호 발생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톤 신호 발생 제어장치{APPARATUS FOR CONTROL TONE GENERATOR}
본 발명은 위성신호 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위성 안테나에서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위성 안테나를 제어하기 위한 톤(Tone) 신호의 발생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제적 표준인 DiSEqC(Digital Satellite Equipment Control) 규격은 여러 개의 위성 안테나를 하나의 수신기에서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는 방법 및 안테나 앙각 및 방위각을 조정할 수 있는 포지션(position)방법을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DiSEqC 스위치 박스(20)를 일반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도 1은 여러 개의 위성 안테나에서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일반적인 시스템 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 위성방송 수신기(300)는 커맨드 신호로서 위성안테나 선택신호와 위치조정신호를 스위치 박스(200)로 전송하고, 스위치 박스(200)에서는 상기 위성 방송 수신기(300)로부터 출력된 커맨드신호에 따라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위성 안테나(100)들을 제어한다.
상술한 구성에서 스위치 박스(200)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DiSEqC에서 규정한 일정한 명령을 사용하여야 한다. 이러한 명령은 디지털 방식으로 규정이 되어 있는데, 디지털 신호에 해당하는 "0"과 "1"을 아날로그 신호인 22KHz 톤(Tone)신호를 이용하여 만들었다. 22KHz 톤신호를 이용한 DiSEqC 신호의 정의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즉, 위성 방송 수신기(300)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0" 데이터 비트 혹은 "1"데이터 비트를 나타내도록 톤 신호를 생성하고 이들의 조합에 의한 DiSEqC 명령을 만듬으로서 스위치 박스(200)를 제어하였다.
그러나 일반적인 위성 방송 수신기(300)에서는 소프트웨어적으로 22KHz 톤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다 보니 msec 단위를 카운트하기 위한 여러 개의 코드가 독립적으로 수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어부인 CPU의 부하부담이 가중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존재하게 된다. 또한 소프트웨어적으로 톤 신호를 발생하다 보니 톤 신호 발생 타이밍에 오차가 발생하여 정확한 커맨드 해석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위성신호 수신기의 제어부 부담을 경감시킴은 물론 정확한 커맨드 신호의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드웨어적으로 톤 신호 발생을 제어할 수 있는 톤 신호 발생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여러 개의 위성 안테나에서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일반적인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22KHz 톤(TONE)신호를 이용한 다이젝(DiSEqC) 신호의 정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위성 방송 수신기내에 구비되는 톤 신호 발생 제어장치(400)의 주변 블록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톤 신호 발생 제어장치(400)의 블록구성 예시도.
도 5는 도 4중 스타트(start) 검출부(405)의 상세 구성도.
도 6 내지 도 11은 도 4에 도시된 카운터(410)를 구성하는 카운터들의 상세 구성도.
도 12는 도 4중 다이젝 데이터 비트 발생부(415)의 상세 구성도.
도 13은 도 4중 데이터 출력 개시신호 발생부(420)의 상세 구성도.
도 14는 도 4중 톤 버스트 출력 종료신호 발생부(425)의 상세 구성도.
도 15는 도 4중 다이젝 메시지 출력 종료신호 발생부(430)의 상세 구성도.
도 16은 도 4중 리셋신호 발생부(470)의 상세 구성 예시도.
도 17은 도 4중 톤 버스트 A, B신호 발생부(440,445) 및 다이젝 메시지 발생부(455)의 상세 구성 예시도.
도 18a 내지 도 18d는 도 4중 선택신호 발생부(450)의 상세 구성 예시도.
도 19는 도 4중 톤 발생기 구동신호 발생부(460)의 상세 구성 예시도.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예시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톤 신호 발생 제어장치는;
다이젝(DiSEqC) 규격에 따른 톤 버스트 신호와 다이젝 메시지의 발생을 명령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명령을 검출하여 카운터 구동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스타트 검출부와;
상기 카운터 구동신호 입력에 따라 소정의 타임들을 각각 카운트 출력하기 위한 카운터들과;
다수의 타임 카운트값들을 조합하여 다이젝 규정에 따르는 "0"데이터 비트와 "1"데이터 비트를 생성 출력하기 위한 다이젝 데이터 비트 발생부와;
상기 카운터 구동후 t1시점으로부터 12.5ms 동안 인에이블되는 톤 버스트 A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톤 버스트 A신호 발생부와;
인에이블된 상기 톤 버스트 A신호와 "1"데이터 비트를 논리곱하여 톤 버스트 B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톤 버스트 B신호 발생부와;
로딩된 n바이트 크기의 다이젝 메시지에 대응하는 다이젝 데이터 비트를 순차 출력하기 위한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선택신호 발생부와;
상기 선택신호에 따라 "0"데이터 비트와 "1"데이터 비트중 어느 하나를 선택 출력하여 다이젝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다이젝 메시지 발생부와;
상기 톤 버스트 A, B신호와 다이젝 메시지중 하나를 톤 발생기 구동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톤 발생기 구동신호 발생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톤 신호 발생 제어장치는,
다이젝(DiSEqC) 규격에 따른 톤 신호 발생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톤 버스트 신호와 다이젝 메시지의 발생을 명령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명령을 검출하여 카운터 구동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스타트 검출부와;
상기 카운터 구동신호 입력에 따라 소정의 타임들을 각각 카운트 출력하기 위한 카운터들과;
다수의 타임 카운트값들을 조합하여 다이젝 규정에 따르는 "0"데이터 비트와 "1"데이터 비트를 생성 출력하기 위한 다이젝 데이터 비트 발생부와;
데이터 출력 개시시점을 지시하는 데이터 출력 개시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데이터 출력 개시신호 발생부와;
상기 데이터 출력 개시신호 입력으로 부터 12.5ms 지연된 시점에서 톤 버스트 출력 종료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톤 버스트 출력 종료신호 발생부와;
상기 데이터 출력 개시신호 입력으로부터 다이젝 메시지의 사이즈에 비례하는 시간만큼 지연된 시점에서 다이젝 메시지 출력 종료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다이젝 메시지 출력 종료신호 발생부와;
적어도 상기 데이터 출력 개시신호와 톤 버스트 출력 종료신호를 조합하여 12.5ms 동안 인에이블상태를 유지하는 톤 버스트 A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톤 버스트 A 신호 발생부와;
상기 12.5ms 동안 인에이블상태를 유지하는 톤 버스트 A신호와 "1"데이터 비트를 논리곱하여 톤 버스트 B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톤 버스트 B신호 발생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레지스터에 로딩된 n바이트 크기의 다이젝 메시지에 대응하는 데이터 비트를 순차 출력하기 위한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선택신호 발생부와;
상기 선택신호에 따라 "0"데이터 비트와 "1"데이터 비트중 어느 하나를 선택 출력하여 다이젝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다이젝 메시지 발생부와;
상기 톤 버스트 A, B신호와 다이젝 메시지중 하나를 톤 발생기 구동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톤 발생기 구동신호 발생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위성 방송 수신기내에 구비되는 톤 신호 발생 제어장치(400)의 주변 블록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톤 신호 발생 제어장치(400)는 위성 방송 수신기(300)의 제어부로부터 톤 버스트(ToneBurst) 신호와 다이젝 메시지의 발생 명령이 있으면 그에 응답하여 톤 버스트 신호 A 혹은 B 및 다이젝 메시지가 발생되도록 22KHz 톤 발생기(500)를 제어한다. 이러한 톤 신호 발생 제어에 의해 스위치 박스(200)에서는 상기 위성 방송 수신기(300)로부터 출력되는 커맨드신호에 따라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위성 안테나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톤 버스트 신호 및 다이젝 메시지의 발생을 제어하는 톤 신호 발생 제어장치(400)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면,
우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톤 신호 발생 제어장치(400)의 블록구성을 예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타트 검출부(405)는 제어부로부터 톤 버스트 신호와 다이젝 메시지의 발생명령이 있으면 그에 응답하여 카운터 구동신호(CNT_START)를 발생하여 출력한다. 이러한 스타트 검출부(405)의 상세 구성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타트 검출부(405)는 톤 버스트 A와 B, 그리고 다이젝 메시지의 발생명령을 검출하기 위한 세 개의 D플립플롭을 구비하며, 각 플립플롭에서 발생되는 인에이블신호(TB_A_N, TB_B_N, DISEQC_N)를 논리합하기 위한 2개의 논리합 소자를 구비한다. 즉, 스타트 검출부(405)는 톤 버스트 A 혹은 B 및 다이젝 메시지의 발생 명령이 검출되면 그에 따른 인에이블신호를 발생함은 물론, 각 인에이블신호들을 논리합하여 카운터 구동신호를 발생시킨다.
한편 다수의 카운터들로 구성되는 카운터(410) 모듈은 상기 카운터 구동신호 입력에 따라 소정의 타임들을 각각 카운트 출력한다. 카운터(410)모듈을 구성하는 다수 카운터의 상세 구성이 도 6 내지 도 11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카운터는 0.5ms 타임값을 카운트하는 카운터이며, 도 7에 도시한 카운터는 1ms 타임값을 카운트하는 카운터이며, 도 8에 도시한 카운터는 1.5ms 타임값을 카운트하는 카운터이며, 도 9는 25ms 타임값을 카운트하는 카운터이다. 그리고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카운터는 각각 12.5ms와 3ms 타임값을 카운트하는 카운터이다. 예시한 카운터들은 기준클럭(421.875KHz)을 분주하여 소정의 타임값을 카운트할 수 있으며, 구비된 다른 카운터의 출력을 카운트하여 소정의 타임값을 카운트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참고적으로 도 21에는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해 구비되는 상기 카운터들에서 출력되는 타임 카운트 펄스들의 타이밍도와 그 펄스들의 지연 펄스및 반전(반전은 #으로 표시되어 있음)펄스들의 타이밍도가 도시되어 있다.
다이젝(DiSEqC) 데이터 비트 발생부(415)는 상기 카운터(410)에서 출력되는 다수의 타임 카운트값들을 조합하여 다이젝 규정에 따르는 "0"데이터 비트와 "1"데이터 비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다이젝 규정에 따른 "0"데이터 비트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1.0ms 구간에서 톤 신호가 발생하고 이어지는 0.5ms 구간에서는 톤 신호가 발생하지 않는 신호로 정의되며, "1"데이터 비트는 0.5ms 구간에서 톤신호가 발생하고 이어지는 1.0ms 구간에서는 톤 신호가 발생하지 않는 신호로 정의되어 있다. 상기 다이젝 데이터 비트 발생부(415)의 상세 구성이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이젝 데이터 비트 발생부(415)는 3.0ms 타임 카운터의 출력과 1.5ms 타임 카운터의 출력, 1ms 타임 카운터의 출력 및 그 지연 출력들을 조합하여 "0"데이터 비트인 STREAM0와 "1"데이터 비트인 STREAM1을 출력하고 있다. 이러한 "0"데이터 비트와 "1"데이터 비트 출력이 도 21에서 "0"_OUT과 "1"_OUT의 타이밍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다이젝 데이터 비트는 12.5ms 구간에서 반복성을 가지도록 발생되어져야 한다.
데이터 출력 개시신호 발생부(420)는 데이터 출력 개시시점을 지시하는 데이터 출력 개시신호(DATA_OUTPUT_START)를 발생하기 위한 것으로, 카운터(410) 구동후 t1 시점 이후에 데이터의 출력 개시를 지시하여 준다. 이러한 데이터 출력 개시신호 발생부(420)의 상세 구성이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출력 개시신호 발생부(420)는 3개의 D플립플롭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3ms, 25ms, 1.5ms 타임 카운터의 출력을 이용하여 데이터 출력 개시신호를 발생시킨다. 참고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 개시신호 발생부(420)는 출력신호의 동기(sync)를 맞추고 메시지간의 갭을 주기 위해 카운터 구동후 3 + 25 + 1.5ms 지연된 시점에서 데이터 출력의 개시를 알려 주도록 설계하였다. 데이터 출력 개시신호(DATA_OUTPUT_START)의 발생 타이밍도가 도 20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톤 버스트 출력 종료신호 발생부(425)는 상기 데이터 출력 개시신호(DATA_OUTPUT_START) 입력으로부터 12.5ms 지연된 시점에서 톤 버스트 출력 종료신호(TB_BIT_END)를 발생하여 출력하여 준다. 이러한 톤 버스트 출력 종료(TB_BIT_END)신호의 발생에 의해 후단에서는 데이터 출력 개시시부터 톤 버스트 출력 종료시까지 톤 버트스 신호 A를 발생하면 되고, 이 구간동안 "1"데이터 비트를 논리합하면 톤 버스트 B 신호를 용이하게 발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참고적으로 톤 버스트 출력 종료신호 발생부(425)의 구성이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톤 버스트 출력 종료신호 발생부(425)는 데이터 출력 개시신호(DATA_OUTPUT_START)신호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0.5ms 타임 카운터 출력펄스를 클럭입력으로 하는 2개의 카운터(CU4P3DX)와, 각 카운터 출력을 조합하여 발생된 신호를 클럭 입력으로 하는 플립플롭과, 이 플립플롭의 출력을 톤 버스트 인에이블(TB_AB_N)신호와 논리곱하여 톤 버스트 출력 종료신호(TB_BIT_END)를 발생하는 논리곱소자로 이루어진다. 도 14에서 TB_AB_N은 톤 버스트 A 인에이블신호와 톤 버스트 B 인에이블신호를 논리합하여 발생된 신호이며, DISEQC_TB_BIT_END는 다이젝 메시지 출력 종료신호(DISEQC_BIT_END)와 톤 버스트 출력 종료신호(TB_BIT_END)를 논리합한 신호로서, 카운터 리셋신호로 사용된다. 상기 톤 버스트 출력 종료신호(TB_BIT_END)의 타이밍도 역시 도 20에서 TB_END로 도시되어 있다.
다이젝 메시지 출력 종료신호 발생부(430)는 상기 데이터 출력 개시신호(DATA_OUTPUT_START) 입력으로부터 다이젝 메시지의 사이즈(바이트 단위)에 비례하는 시간만큼 지연된 시점에서 다이젝 메시지 출력 종료신호(DISEQC_BIT_END)를 발생하여 출력한다. 이러한 다이젝 메시지 출력 종료신호 발생부(430)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출력 개시신호(DATA_OUTPUT_START)신호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1.5ms 타임 카운터 출력펄스를 클럭입력으로 하는 2개의 카운터(CU4P3DX)와, 각 카운터 출력을 조합하여 발생된 신호를 클럭 입력으로 하는 플립플롭과, 이 플립플롭의 출력을 다이젝 인에이블(DISEQC_N)신호와 논리곱하여 다이젝 메시지 출력 종료신호(DISEQC_BIT_END)를 발생하는 논리곱소자로 이루어진다. 도 15에서는 다이젝 메시지의 사이즈가 4바이트인 경우를 가정하였다. 이러한 경우 패러티 비트를 포함하기 때문에 데이터 출력 개시신호(DATA_OUTPUT_START) 입력후 36비트 × 1.5ms 경과시점에서 다이젝 메시지 출력 종료신호(DISEQC_BIT_END)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다이젝 메시지 출력 종료신호(DISEQC_BIT_END)의 타이밍가 도 20에서 Diseqc_END로 표기되어 도시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데이터 출력 개시신호 입력시에 12.5ms 카운트하여 톤 버스트 출력 종료를 지시하는 신호를 발생하고, 데이터 출력 개시신호 입력시에 다이젝 메시지의 사이즈에 대응하는 시간을 카운트하여 다이젝 메시지의 출력 종료를 지시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것이다.
한편 톤 버스트 A신호 발생부(440)는 적어도 상기 데이터 출력개시신호(DATA_OUTPUT_START)와 톤 버스트 출력 종료신호(TB_BIT_END)를 조합하여 12.5ms 동안 인에이블상태를 유지하는 톤 버스트 A신호(TB_A_OUT)를 발생한다. 이를 위해 톤 버스트 A신호 발생부(440)는 도 1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이젝 메시지 출력 종료신호(DISEQC_BIT_END)와 톤 버스트 출력 종료신호(TB_BIT_END)를 논리합하기 위한 논리합 소자와, 상기 논리합 소자의 출력인 다이젝 톤 버스트 출력 종료 신호(DISEQC_TB_BIT_END)의 반전신호와 데이터 출력 개시신호(DATA_OUTPUT_START)를 논리곱하기 위한 논리곱 소자 및; 상기 논리곱 소자의 출력을 지연하기 위한 인버터들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톤 버스트 A신호 발생부(440)는 상술한 구성에 의해 데이터 출력 개시시부터 톤 버스트 출력 종료 혹은 다이젝 메시지 출력 종료시까지 인에이블상태를 유지하는 톤 버스트 A신호(TB_A_OUT)를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톤 버스트 B신호 발생부(445)는 12.5ms 동안 인에이블상태를 유지하는 톤 버스트 A신호(TB_A_OUT)와 "1"데이터 비트(STREAM1)를 논리곱하여 톤 버스트 B신호(TB_B_OUT)를 발생하여 출력한다. 이러한 톤 버스트 B신호(TB_B_OUT)는 12.5ms 동안 "1"데이터 비트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신호 패턴을 가지기 때문에 단순히 12.5ms 인에이블구간에서 "1"데이터 비트를 만들어 내기만 하면 된다. 이러한 톤 버스트 B신호 발생부(445)의 구성 역시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논리곱 소자로 구현할 수 있다.
선택신호 발생부(450)는 제어부에 의해 레지스터에 로딩된 n바이트 크기의 다이젝 메시지에 대응하는 데이터 비트를 순차 출력하기 위한 선택신호(SEL)를 발생하여 출력한다. 다이젝 메시지는 보통 3∼6바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각 메시지에 대한 정의는 다이젝(DiSEqC)규격을 참고하길 바란다. 다이젝 메시지에 해당하는 톤을 발생하기 위해서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즈에 대응하는 레지스터들에 값을 써 놓으면 된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8바이트 크기의 레지스터가 구비되어 있다. 그중 6개의 레지스터 출력은 대응하는 6개의 멀티플렉서에 입력되어 비트 쉬프트 명령에 따라 n바이트 선택신호(1∼6_BYTE_SEL)로서 출력되고, 이러한 선택신호들은 논리합 소자에 의해 최종적인 선택신호(SELECT_BIT)로 출력되어 다이젝 메시지 발생부(455)로 입력된다.
다이젝 메시지 발생부(455)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0"데이터 비트와 "1"데이터 비트를 2입력으로 하여 그중 하나를 상기 선택신호(SEL:SELECT_BIT) 입력에 따라 출력하는 멀티플렉서로 구성할 수 있다. 즉, 다이젝 메시지 발생부(455)는 다이젝 메시지에 대응하는 데이터 비트가 선택 출력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톤 버스트 A,B신호 발생부(440,445)와 다이젝 메시지 발생부(455)에서 각각 출력되는 신호들(TB_A_OUT, TB_B_OUT, DISEQC_OUT)은 톤 발생기 구동신호 발생부(460)로 입력된다. 그러면 톤 발생기 구동신호 발생부(460)에서는 상기 톤 버스트 A, B신호와 다이젝 메시지중 하나를 톤 발생기 구동을 위한 신호(EN/DIS)로 출력하여 톤 신호의 발생을 제어하게 되는데, 이러한 톤 발생기 구동신호 발생부(460)는 도 1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톤 버스트 A 신호(TB_A_OUT)와 톤 버스트 A 인에이블신호(TB_A_N)를 논리곱하기 위한 소자와, 톤 버스트 B신호(TB_B_OUT)와 톤 버스트 B 인에이블신호(TB_B_N)를 논리곱하기 위한 소자 및; 다이젝 메시지(DISEQC_OUT)와 다이젝 메시지 인에이블신호(DISEQC_N)를 논리곱하기 위한 소자를 구비하며, 각 논리곱 소자의 출력을 논리합하여 22KHz 톤을 구동 제어하기 위한 구동신호(EN/DIS)를 발생하는 논리합 소자를 구비한다.
즉, 톤 발생기 구동신호 발생부(460)는 스타트 검출부(405)에서 발생되는 톤 버스트 신호 혹은 다이젝 메시지의 인에이블신호와 그에 따라 발생되는 톤 버스트 신호 혹은 다이젝 메시지 발생부(440,445,455)에서 발생된 신호를 조합하여 톤 신호 발생을 제어하는 구동신호를 생성해 낸다.
이에 따라 톤 발생기(500)에서는 상기 톤 발생기 구동 신호 발생부(460)에서 출력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12.5ms 동안 톤 신호를 발생하여 스위치 박스(200)로 전송하거나, 12.5ms 동안 "1"데이터 비트에 해당하는 톤 신호를 발생하여 스위치 박스(200)로 전송하거나, 다이젝 메시지 비트에 해당하는 톤 신호를 발생하여 스위치박스(200)로 전송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드웨어적으로 톤 신호 발생을 제어하기 때문에, 위성신호 수신기의 소프트웨어 코드를 대폭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는 동시에 CPU의 부하처리 부담을 경감시켜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위성 신호 수신기를 구성하는 디멀티플렉서나 QPSK 복조기 등의 칩셋에 부가(add)하여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으며, 소프트웨어적으로 톤 신호를 발생하는 것에 비해 보다 정확하게 톤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다이젝(DiSEqC) 규격에 따른 톤 신호 발생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다이젝(DiSEqC) 규격에 따른 톤 버스트 신호와 다이젝 메시지의 발생 명령을 검출하여 카운터 구동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스타트 검출부와;
    상기 카운터 구동신호 입력에 따라 소정의 타임들을 각각 카운트 출력하기 위한 카운터들과;
    다수의 타임 카운트값들을 조합하여 다이젝 규정에 따르는 "0"데이터 비트와 "1"데이터 비트를 생성 출력하기 위한 다이젝 데이터 비트 발생부와;
    상기 카운터 구동후 t1시점으로부터 12.5ms 동안 인에이블되는 톤 버스트 A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톤 버스트 A신호 발생부와;
    인에이블된 상기 톤 버스트 A신호와 "1"데이터 비트를 논리곱하여 톤 버스트 B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톤 버스트 B신호 발생부와;
    로딩된 n바이트 크기의 다이젝 메시지에 대응하는 다이젝 데이터 비트를 순차 출력하기 위한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선택신호 발생부와;
    상기 선택신호에 따라 "0"데이터 비트와 "1"데이터 비트중 어느 하나를 선택 출력하여 다이젝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다이젝 메시지 발생부와;
    상기 톤 버스트 A, B신호와 다이젝 메시지중 하나를 톤 발생기 구동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톤 발생기 구동신호 발생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톤 신호 발생 제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톤 버스트 A,B신호와 다이젝 메시지중 어느 하나의 출력완료시 전 로직을 리셋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리셋신호 발생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톤 신호 발생 제어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들은 적어도 0.5ms, 1ms, 1.5ms, 3ms, 12.5ms, 25ms를 카운트하기 위한 카운터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톤 신호 발생 제어장치.
  4. 다이젝(DiSEqC) 규격에 따른 톤 신호 발생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다이젝(DiSEqC) 규격에 따른 톤 버스트 신호와 다이젝 메시지의 발생 명령을 검출하여 카운터 구동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스타트 검출부와;
    상기 카운터 구동신호 입력에 따라 소정의 타임들을 각각 카운트 출력하기 위한 카운터들과;
    다수의 타임 카운트값들을 조합하여 다이젝 규정에 따르는 "0"데이터 비트와 "1"데이터 비트를 생성 출력하기 위한 다이젝 데이터 비트 발생부와;
    데이터 출력 개시시점을 지시하는 데이터 출력 개시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데이터 출력 개시신호 발생부와;
    상기 데이터 출력 개시신호 입력으로 부터 12.5ms 지연된 시점에서 톤 버스트 출력 종료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톤 버스트 출력 종료신호 발생부와;
    상기 데이터 출력 개시신호 입력으로부터 다이젝 메시지의 사이즈에 비례하는 시간만큼 지연된 시점에서 다이젝 메시지 출력 종료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다이젝 메시지 출력 종료신호 발생부와;
    적어도 상기 데이터 출력 개시신호와 톤 버스트 출력 종료신호를 조합하여 12.5ms 동안 인에이블상태를 유지하는 톤 버스트 A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톤 버스트 A 신호 발생부와;
    상기 12.5ms 동안 인에이블상태를 유지하는 톤 버스트 A신호와 "1"데이터 비트를 논리곱하여 톤 버스트 B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톤 버스트 B신호 발생부와;
    레지스터에 로딩된 n바이트 크기의 다이젝 메시지에 대응하는 데이터 비트를 순차 출력하기 위한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선택신호 발생부와;
    상기 선택신호에 따라 "0"데이터 비트와 "1"데이터 비트중 어느 하나를 선택 출력하여 다이젝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다이젝 메시지 발생부와;
    상기 톤 버스트 A, B신호와 다이젝 메시지중 하나를 톤 발생기 구동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톤 발생기 구동신호 발생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톤 신호 발생 제어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톤 버스트 출력 종료신호와 다이젝 메시지 출력 종료신호중 어느 하나의 펄스 입력시 해당 데이터 출력완료후 전 로직을 리셋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리셋신호 발생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톤 신호 발생 제어장치.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들은 적어도 0.5ms, 1ms, 1.5ms, 3ms, 12.5ms, 25ms를 카운트하기 위한 카운터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톤 신호 발생 제어장치.
  7.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선택신호 발생부는,
    n바이트 크기의 다이젝 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한 레지스터와;
    저장된 n바이트 크기의 다이젝 메시지를 비트 쉬프트 명령에 따라 순차출력하기 위한 멀티플렉서들과;
    상기 멀티플렉서들의 출력을 논리합하여 선택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논리게이트 소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톤 신호 발생 제어장치.
KR1020020013299A 2002-03-12 2002-03-12 톤 신호 발생 제어장치 KR200300736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3299A KR20030073640A (ko) 2002-03-12 2002-03-12 톤 신호 발생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3299A KR20030073640A (ko) 2002-03-12 2002-03-12 톤 신호 발생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3640A true KR20030073640A (ko) 2003-09-19

Family

ID=32224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3299A KR20030073640A (ko) 2002-03-12 2002-03-12 톤 신호 발생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7364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665B1 (ko) * 2005-06-30 2007-04-1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위성 방송 수신기에서 다이젝을 이용한 lnb의 능동적h/v 선택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9717A (ko) * 1997-12-15 1999-07-05 김영환 다이섹을 이용한 lnb 제어장치 및 방법
WO2001006379A1 (en) * 1999-07-16 2001-01-25 Thomson Licensing S.A.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bitstream
US6240281B1 (en) * 1997-06-17 2001-05-29 Thomson Licensing S.A. Command protocol for circuits used for receiving microwave signals and device implementing the protoco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0281B1 (en) * 1997-06-17 2001-05-29 Thomson Licensing S.A. Command protocol for circuits used for receiving microwave signals and device implementing the protocol
KR19990049717A (ko) * 1997-12-15 1999-07-05 김영환 다이섹을 이용한 lnb 제어장치 및 방법
WO2001006379A1 (en) * 1999-07-16 2001-01-25 Thomson Licensing S.A.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bitstream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atalog 1998.02.25 *
Standard 1998.12.22.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665B1 (ko) * 2005-06-30 2007-04-1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위성 방송 수신기에서 다이젝을 이용한 lnb의 능동적h/v 선택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15110A (en) Method and a system for synchronizing clocks in a bus type local network
US4023144A (en) Parallel to serial digital converter
US4013959A (en) Transmitter control apparatus
US3491360A (en) Staggered pulse repetition frequency radar providing discrimination between first and second returns
US4651298A (en) Selection of data from busses for test
KR20030073640A (ko) 톤 신호 발생 제어장치
US4270125A (en) Display system
CN110034768B (zh) 具有适应性时移的延时缓冲电路
US3962535A (en) Conditional replenishment video encoder with sample grouping and more efficient line synchronization
US4744024A (en) Method of operating a bus in a data processing system via a repetitive three stage signal sequence
EP0616279B1 (en) Clock generator with selectable source and glitch-free reset function
US5764642A (en) System for combining data packets from multiple serial data streams to provide a single serial data output and method therefor
EP0472098B1 (en) Time-division multiplexing apparatus
US4801813A (en) Event distribution and combination system
SU90027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опр жени процессора с устройством отображени информации
US3925764A (en) Memory device
KR101103252B1 (ko) 2개의 신호선을 사용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EP0075625A1 (en) Conversation bus for a data processing system
RU2066936C1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телевизионным приемником
SU47158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ередачи информации из цифровой вычислительной машины в линию св зи
JP2570183B2 (ja) シリアル通信回路
GB2054226A (en) Transmitters and receivers for the transmission of parallel data in serial form
SU93073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ередачи и приема дискретной информации
JPH0595566A (ja) デイジタル信号伝送装置
Shubaly et al. A multi-channel fibre-optic link for analog telemet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