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3516A - 보안용필름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보안용필름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3516A
KR20030073516A KR1020020013129A KR20020013129A KR20030073516A KR 20030073516 A KR20030073516 A KR 20030073516A KR 1020020013129 A KR1020020013129 A KR 1020020013129A KR 20020013129 A KR20020013129 A KR 20020013129A KR 20030073516 A KR20030073516 A KR 20030073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security
film
adhesive
pi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3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복
이승면
Original Assignee
박창복
이승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창복, 이승면 filed Critical 박창복
Priority to KR1020020013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73516A/ko
Publication of KR20030073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351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12Mechanical treatment, e.g. roughening, deforming, stretching
    • B32B2038/0028Stretching, elong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4Punching, slitting or perforating
    • B32B2038/045Slitting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향에 따라 빛을 차단하므로서 타인이 알아볼 수 없도록 보안을 유지하고자 하는 부분에 사용되는 보안용필름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안용필름(100)의 상하 양측면에 형성되는 통상의 투명한 P.C재질인 복수개의 투명필름부재(110)와, 상기 복수개의 투명필름부재(110)의 내측에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투명관통부재(130)와, 상기 투명관통부재(130)와 상기 투명필름부재(110)가 일체로 접착하는 접착부재(150)로 구성되어 있는 보안용필름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투명관통부재(130)에는 일정한 각도로 형성된 홈(132)과, 상기 홈(132)에 접착재와 안료가 혼합된 접착안료(141)가 도포되어 보안기능을 가지는 보안용접착안료(14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안용필름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security film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본 발명은 보안용필름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방향에 따라 빛을 차단하므로서 타인이 알아볼 수 없도록 보안을 유지하고자 하는 부분에 사용되는 보안용필름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보안은 외부인이 출입을 하지 못하도록 하므로서 서류 및 관련 내용에 대한 보안을 유지하여 왔으나, 이러한 보안 방법은 현대와 같이 복잡한 시대에 있어서는 적합하지 못하며, 특히 타인과 자연스럽게 관계를 유지하면서도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만 집중적으로 보안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목적은, 타인과 접촉이 빈번하면서도 일정한 수준의 보안을 유지하여야 하는 경우 보안을 유지할 수 있는 보안용필름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은행의 단말기 등과 같이, 주위의 많은 사람과 함께 업무처리를 하는 경우, 자신에 필요한 관련 데이터에 대해 보안을 유지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작업하게 되는 위치에 대해 일정한 각도에 대해서만 관련 데이터를 볼 수 있도록 조작하므로서 편리하게 작업을 할 수 있는 보안용필름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보안용필름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을 형성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하므로서 비용 및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보안용필름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보안용필름은, 보안용필름(100)의 상하 양측면에 형성되는 통상의 투명한 P.C재질인 복수개의 투명필름부재(110)와, 상기 복수개의 투명필름부재(110)의 내측에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투명관통부재(130)와, 상기 투명관통부재(130)와 상기 투명필름부재(110)가 일체로 접착하는 접착부재(150)로 구성되어 있는 보안용필름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투명관통부재(130)에는 일정한 각도로 형성된 홈(132)과, 상기 홈(132)에 접착재와 안료가 혼합된 접착안료(141)가 도포되어 보안기능을 가지는 보안용접착안료(14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투명관통부재(130)를 제작하는 과정에 있어서, 먼저 상기 투명관통부재(130)에 커팅부재(102)를 이용하여 일정한 깊이로 절개되는 절개부(131)를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절개부(131)을 형성한 후 상기 투명관통부재(130)를 좌우로 균일한 힘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커팅부재(102)에 의해서 일정한 깊이로 절개되어 있는 절개부(131)이 벌어지면서 홈(132)이 형성되는 과정과, 그리고 접착안료(141)를 스프레이 또는 붓을 이용하여 일정하게 도포하여 상기 복수개의 홈(132)에 접착안료(141)가 도포되도록 하는 과정과, 그리고 상기 홈(132)에 삽입된 접착안료(141)를 제외하고 표면에 있는 접착안료(141)를 제거하여 보안용접착안료(140)가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투명관통부재(130)의 상하측면에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투명필름부재(110)를 상하에 부착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투명관통부재를 제조하는 과정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투명관통부재를 다양한 형태로 구성한 경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이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보안용필름102 : 커팅부재
110 : 투명필름부재130 : 투명관통부재
132 : 홈141 : 접착안료
140, 142, 144 : 보안용접착안료
150 : 접착부재
본 발명의 보안용필름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100은 본 발명의 보안용필름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에 대한 필름으로서, 상기 보안용필름(100)의 상하 양측면에 형성되는 통상의 투명한 P.C재질인 복수개의 투명필름부재(110)와, 상기 복수개의 투명필름부재(110)의 내측에 일체로 복수개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으며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투명관통부재(130)와, 상기 투명관통부재(130)와 상기 투명필름부재(110)가 일체로 접착되도록 하는 접착부재(15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투명필름부재(110)는 상하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재질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P.C재질을 사용하나, 그외에 다른 투명한 비닐계열 또는 플라스틱 계열의 재질을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투명관통부재(13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투명관통부재(130)에는 복수개의 보안용접착안료(140)가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 또는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안용접착안료(140)는 접착재가 함유된 안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1에는 좌우방향에서 관측할 경우에만 상기 보안용접착안료(140)에 의해서 일정한 각도에서는 보이지 않는 보안효과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사용상태에 따라서, 즉 보안의 상태에 따라서 상기 투명관통부재(130)의 두께 및 상기 투명관통부재(130)의 각도를 다양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상기 투명관통부재(130)를 제작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로서, 먼저 상기 투명관통부재(130)에 커팅부재(102)를 이용하여 상기 보안용접착안료(140)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보안을 유지하고자 하는 상태에 따라서 간격(ℓ) 및 깊이(h)를 조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커팅부재(102)는 컴퓨터용 커팅기를 이용하여 정밀하게 작업하게 되며, 필요한 경우에는 칼금형을 이용하여 작업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투명관통부재(130)를 좌우로 균일한 힘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커팅부재(102)에 의해서 일정한 깊이로 절개되어 있는 보안용접착안료(140)가 벌어지면서 홈(132)가 형성되며, 이때 상기 홈(132)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잡아당기는 힘을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투명관통부재(130)를 좌우에서 잡아당겨 일정한 홈(132)를 형성한 후에는 접착재가 함유된 투명안료인 접착안료(141)를 스프레이 또는 붓을 이용하여 일정하게 도포하여 상기 복수개의 홈(132)에 접착안료(141)가 도포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접착안료(141)가 도포된 후, 상기 홈(132)에 삽입된 접착안료(141)를 제외하고 표면에 있는 접착안료(141)를 제거하게 되면, 상기 투명관통부재(130)에 보안용접착안료(140)가 형성된 제품이 완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2에서 예를 들어, (가)라는 글자를 보기 위해서는 ??의 범위에 있는 사람만이 볼수 있는 것이며, (나)라는 글자를 보기 위해서는 ??의 범위에 있는 사람만이 글자를 볼수 있는 것이므로 일정한 각도에 있는 사람만이 볼수 있기 때문에 결국 각도를 조절하게 되면 보안기능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에 기술한 실시예와 차이점은 상하좌우에서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이며, 도 1의 실시예는 좌우에서만 보안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고 상하에서는 어떠한 각도로 변경하더라도 보안을 유지할 수 없는 단점이 있는 것이나, 도 4의 실시예에서는 상하좌우에서 어떠한 각도로 변경하더라도 보안을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보안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투명관통부재(130)의 좌우측에 형성된 복수개의 보안용접착안료(142)의 깊이 및 간격과 상기 투명관통부재(130)의 상하측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보안용접착안료(144)에 형성된 깊이 및 간격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달리하여 제작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상기 투명관통부재(130)에 형성된 보안용접착안료(142)를 중앙으로 갈수로 많이 형성하고 외측으로 갈수로 적게 형성할 수도 있으며, 그 반대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게다가 상기 보안용접착안료(142)를 많이 형성하였다가 일정한 길에에는 조금형성하였다가 반복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방식은 상기 투명관통부재(130)의 보안용접착안료(142)에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보안용접착안료(144)에도 적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보안용필름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은, 타인과접촉이 빈번하면서도 일정한 수준의 보안을 유지하여야 하는 경우 필요하며, 특히 은행의 단말기 등과 같이, 주위의 많은 사람과 함께 업무처리를 하는 경우, 자신에 필요한 관련 데이터에 대해 보안을 유지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작업하게 되는 위치에 대해 일정한 각도에 대해서만 관련 데이터를 볼 수 있도록 조작하므로서 편리하게 작업을 할 수 있는 발명이다.

Claims (4)

  1. 보안용필름(100)의 상하 양측면에 형성되는 통상의 투명한 P.C재질인 복수개의 투명필름부재(110)와, 상기 복수개의 투명필름부재(110)의 내측에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투명관통부재(130)와, 상기 투명관통부재(130)와 상기 투명필름부재(110)가 일체로 접착하는 접착부재(150)로 구성되어 있는 보안용필름에 있어서,
    상기 투명관통부재(130)에는 일정한 각도로 형성된 홈(132)과, 상기 홈(132)에 접착재와 안료가 혼합된 접착안료(141)가 도포되어 보안기능을 가지는 보안용접착안료(14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용필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132)은 상기 투명관통부재(130)를 당기는 힘을 조정하여 사용상태에 따라서 각도 및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용필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관통부재(130)에 형성된 보안용접착안료(140)는 일정한 방향으로 규칙적으로 형성되거나 비규칙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용필름.
  4. 투명관통부재(130)를 제작하는 과정에 있어서, 먼저 상기 투명관통부재(130)에 커팅부재(102)를 이용하여 일정한 깊이로 절개되는 절개부(131)를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절개부(131)을 형성한 후 상기 투명관통부재(130)를 좌우로 균일한 힘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커팅부재(102)에 의해서 일정한 깊이로 절개되어 있는 절개부(131)이 벌어지면서 홈(132)이 형성되는 과정과, 그리고 접착안료(141)를 스프레이 또는 붓을 이용하여 일정하게 도포하여 상기 복수개의 홈(132)에 접착안료(141)가 도포되도록 하는 과정과, 그리고 상기 홈(132)에 삽입된 접착안료(141)를 제외하고 표면에 있는 접착안료(141)를 제거하여 보안용접착안료(140)가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투명관통부재(130)의 상하측면에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투명필름부재(110)를 상하에 부착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용필름을 제작하는 방법.
KR1020020013129A 2002-03-12 2002-03-12 보안용필름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KR200300735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3129A KR20030073516A (ko) 2002-03-12 2002-03-12 보안용필름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3129A KR20030073516A (ko) 2002-03-12 2002-03-12 보안용필름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3516A true KR20030073516A (ko) 2003-09-19

Family

ID=32224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3129A KR20030073516A (ko) 2002-03-12 2002-03-12 보안용필름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7351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26347A3 (ko) * 2010-04-09 2012-02-02 한국기계연구원 열형 롤 임프린팅과 블레이드 코팅을 이용하는 필름제품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보안 필름 및 필름 일체형 전기 소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26347A3 (ko) * 2010-04-09 2012-02-02 한국기계연구원 열형 롤 임프린팅과 블레이드 코팅을 이용하는 필름제품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보안 필름 및 필름 일체형 전기 소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41563B2 (en) Legend highlighting
DE69730318T2 (de) Griff mit marke
CN104822599A (zh) 具有使保藏袋有不对称外观的视觉区别特征的保藏袋
DE102018119967A1 (de) Harzkomponente und dieselbe verwendende anzeigevorrichtung
US20180307278A1 (en) Gilded glass screen protector
EP0587263A2 (de) Gebrauchs- oder Sammelgegenstand mit Identifikationskennzeichen
MX2014009977A (es) Sustrato que comprende areas de brillo alto y bajo con una microestructura fisica superpuesta sobre estas.
DE50301127D1 (de) Verfahren zum Einbringen einer Schwächelinie geringer Reissfestigkeit in eine Airbagabdeckung und damit hergestellte Airbagabdeckung
US4842921A (en) Patterned mirror
US3570435A (en) Method of making decorative articles employing yarn or the like
JP5189854B2 (ja) 加飾シート及び加飾成形体
DE102020106214A1 (de) Toilettenfernsteuerung
KR20030073516A (ko) 보안용필름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JP6748403B2 (ja) 加飾成形体およびその製法
US6082008A (en) Knife for moving along a channel in a template to form a puzzle piece from an underlying workpiece
EP1304712B1 (de) Taste mit angespritzter Kappe
DE102007041948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olienteilen
KR102084790B1 (ko) 접착 테이프
DE60131950T2 (de) Behälteröffnungsvorrichtung mit lasergeaetzter zuglasch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JP2002172018A (ja) 付け爪製造装置
KR102005884B1 (ko) 로고 라벨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로고 라벨
DE102020120754A1 (de) Transferfolie, Kunststoffspritzgussteil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JP4762573B2 (ja) 立体効果図形の形成方法及び図形立体表示体
DE102011053112A1 (de) Schutzfolie
KR101644089B1 (ko) 레이저 가공을 이용한 금속버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