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2783A - 공기조화기의 방열판 절연구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방열판 절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2783A
KR20030072783A KR1020020011979A KR20020011979A KR20030072783A KR 20030072783 A KR20030072783 A KR 20030072783A KR 1020020011979 A KR1020020011979 A KR 1020020011979A KR 20020011979 A KR20020011979 A KR 20020011979A KR 20030072783 A KR20030072783 A KR 20030072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ink
insulating
heat
barrie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1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돈수
김형재
이인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20020011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72783A/ko
Publication of KR20030072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2783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0Electric components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24Cooling of electric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방열판 절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전기적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부(80)에 장착되는 전자부품(82)에 공급되는 전류가 베리어(40)나 공기조화기의 외부케이스로 유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전자부품(82)에 밀착, 체결되어 상기 전자부품(82)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는 금속재질의 방열판(50)에 형성된 다수개의 삽입공(54)에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절연구(70)를 장착한 다음, 상기 방열판(50)을 베리어(40)에 체결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방열판 절연구조는 상기 전자부품(82)과 방열판(50)의 체결과정에서, 상기 부품사이를 절연하는 절연지(86)가 찢어져 파손되더라도, 상기 방열판(50)의 삽입공(54)에 장착된 절연구(70)에 의해 상기 방열판(50)과 베리어(40)가 절연되므로써, 상기 전자부품(82)에서 유기된 전류가 베리어(40)나 공기조화기의 외부케이스로 누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방열판 절연구조{Isolation-structure of heat-sink for air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어부에 장착되는 전자부품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해 상기 전자부품에 밀착되어 체결되는 금속재질의 방열판에서 전기의 누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공기조화기의 방열판 절연구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용도, 목적에 따라 가장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를테면, 여름에는 실내를 시원한 냉방상태로 조절하고, 겨울에는 실내를 따뜻한 난방상태로 조절한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며, 실내의 공기를 쾌적한 청정상태로 조절한다.
일반적인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건물 내부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작동유체와 열교환시키고, 열교환된 공기를 다시 실내로 토출시키는 실내기와, 상기 실내기로부터 유입된 작동유체를 외부공기와 열교환시켜 다시 실내기에서 열교환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어 실내기로 공급하는 실외기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공기조화기의 내부에는 전기적 신호의 처리를 위한 제어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에는 각종 전자부품이 설치된다. 상기 전자부품은 부품의 동작 중에 많은 열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전자부품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은 열이 발생하는 부품 자체뿐만 아니라 주변부품에도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전자부품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한 구성이 필요하게 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공기조화기의 외관은 베이스팬(1), 전면커버(2), 백플레이트(3) 및 탑거버(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의 내부에는 냉매를 고온고압의 냉매로 전환시키는 압축기(6)와, 상기 고온고압의 냉매를 저온고압의 냉매로 전환시키기 위한 열교환기(7)와,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열교환기(7)에서 열교환이 일어나도록 하는 송풍팬(8) 등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전면커버(2)에는 토출그릴(2a)이 구비되어 상기 송풍팬(8)을 통과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게 한다.
상기 송풍팬(8)은 모터(9)에 의해 회전되는데, 상기 모터(9)는 베이스팬(1) 상에 설치된 모터브라켓(9')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팬(1) 상에 베리어(11)가 설치된다. 상기 베리어(11)는 상기 송풍팬(8)에 의해 형성된 공기의 유로를 효율적으로 만들고, 압축기(6) 등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팬(1)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열교환기(7)측과 압축기(6)측을 구획한다. 그리고, 상기 베리어(11)에는 상기 압축기(6) 등의 구동을 위한 부품이 안착되는 콘트롤패널(12)이 설치된다.
상기 콘트롤패널(12)에는 전기적 신호의 처리를 위한 제어부(13)가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13)는 제1 및 제2 기판(13a, 13b)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기판(13a, 13b)에는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각종 전자부품(14)이 설치된다. 이외에도 상기 콘트롤패널(12)에는 다수개의 부품들이 설치되나 도시의 편의를 위해 생략하였다.
그리고, 상기 제1 기판(13a)에 설치된 전자부품(14)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해 방열판(15)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나사(16)에 의해 상기 베리어(11)에 장착된다. 상기 방열판(15)은 금속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크게 판상의 방열몸체(15')와 상기 방열몸체(15')의 일면에 다수개 형성된 방열핀(15p)으로 구성된다.
상기 방열판(15) 중 상기 방열핀(15p)이 형성된 면과 반대되는 면에는 상기 제1 기판(13a)이 밀착되어 설치된다. 상기 방열판(15)은 제1 기판(13a)에 설치된 전자부품(14)과 방열몸체(15')가 체결나사(17)에 의해 체결되므로써, 상기 제1 기판(13a)에 밀착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제1 기판(13a)이 방열몸체(15')에 밀착됨에 의해 제1 기판(13a)에 설치된 전자부품(14)에서 발생하는 열을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기판(13a)에 장착된 전자부품(14)에는 전류가 흐르며, 상기 전류가 전자부품(14)에 밀착되게 장착된 상기 방열판(15)을 통해 공기조화기의 외부 케이스로 유기되어 누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전자부품(14)과 방열판(15)의 방열몸체(15') 사이를 절연지(18)로 절연하게 된다. 상기 절연지(18)는 고무재질로 상대적으로 얇은 판상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방열판 절연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방열판(15)의 방열몸체(15')와 전자부품(14)의 체결과정에서, 상기 절연지(18)가 체결나사(17)에 의해 찢어져 파손되거나 하는 등의 이유로 인해, 상기 방열몸체(15')와 전자부품(14) 사이의 절연이 파괴되면, 상기 전자부품(14)에 흐르던 전류가 방열판(15)으로 유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방열판(15)으로 유기된 전류는 상기 방열판(15)과 베리어(11) 사이가 절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 방열판(15)을 통해 베리어(11)로 다시 유기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방열판 절연구조는 절연지(18)가 파손되어 상기 전자부품(14)과 방열판(15) 사이가 더 이상 절연되지 않으면, 상기 전자부품(14)에서 유기된 전류가 상기 방열판(15)을 통해 그대로 베리어(11)와 외부케이스로 누전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절연기능을 보다 향상시킨 공기조화기의 방열판 절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방열판 절연구조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방열판 절연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절연구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방열판 절연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부분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절연구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0,140 : 베리어46 : 체결나사
50, 150 : 방열판52, 152 : 방열몸체
70, 170 : 절연구72, 172: 절연몸체
80 : 제어부82 : 전자부품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열교환을 위한 기류가 통과되는 영역과 열교환사이클의 부품들이 설치되는 영역을 구획하는 구획부재와, 상기 구획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열교환을 위한 기류가 통과되는 영역으로 방열핀이 노출되어 상기 기류로 전자부품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는 방열판과, 상기 방열판을 구획부재에 체결하는 체결구를 둘러싸고 상기 방열판과 구획부재의 사이를 절연하는 절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절연구는 중공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절연몸체와, 상기 절연몸체의 양단 외주면에 각각 돌출되어 탈거를 방지하고 상기 케이스와 방열판을 절연하는 절연리브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열교환을 위한 기류가 통과되는 영역과 열교환사이클의 부품들이 설치되는 영역을 구획하는 구획부재와, 상기 구획부재에 체결되고 일측에 다수개의 삽입공이 형성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장착되어 상기 열교환을 위한 기류가 통과되는 영역으로 방열핀이 노출되어 상기 기류로 전자부품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는 방열판과, 상기 브라켓의 삽입공에 각각 끼워져 상기 방열판과 브라켓 사이를 절연하는 절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절연구는 절연성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중공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절연몸체와, 상기 절연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의 삽입공에 끼워지는 삽입채널과, 상기 절연몸체의 하부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의 일면에 밀착되어 탈거를 방지하고 상기 브라켓과 방열판을 절연하는 절연리브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방열판과 전자부품의 체결과정에서 체결나사에 의해 절연지가 파손되더라도 절연구에 의해 2차적으로 방열판과 베리어 사이의 절연이 이루어짐에 의해 전자부품에서 유기된 전류가 베리어와 공기조화기의 외부케이스로 누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방열판 절연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 제어부의 방열판 장착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베리어(40)가 실외기의 내부공간을 두 구역으로 구획한다. 상기 베리어(40)는 실외기의 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팬(미도시)의 상면에 직립되게 설치된다. 상기 베리어(40)의 상부 일측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에서 설명될 방열판(50)이 안착되는 방열판안착공(4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방열판안착공(42)에 인접한 상기 베리어(40)에는 다수개의 체결공(44)이 관통형성된다. 상기 체결공(44)은 체결나사(46)로 아래에서 설명될 방열판(50)과 베리어(40)를 체결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도 3으로 돌아가서, 상기 방열판안착공(42)에는 방열판(50)이 안착된다. 상기 방열판(50)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어부(80)에 장착되는 전자부품(82)에서 발생되는 열을 전달받아 외부공기로 방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방열판(50)의 방열몸체(52)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일반적으로 전자부품(82)에 밀착되어 설치된다.
상기 방열몸체(52)의 가장자리 둘레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삽입공(54)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5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절연구(70)가 삽입되고, 체결나사(46)에 의해 상기 방열판(50)을 베리어(40)에 체결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방열몸체(52)의 일면, 즉 상기 전자부품(82)이 밀착되게 설치되는 반대면에는 다수개의 방열핀(58)이 형성되며, 상기 방열핀(58)은 실외기의 내부에 형성되는 기류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기류와의 접촉면적이 최대가 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자부품(82)에서 발생되는 열을 전달받아 외부공기로 방출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방열몸체(52)에 형성된 삽입공(54)에는 절연구(70)가 삽입된다. 상기 절연구(70)는 베리어(40)와 방열판(50) 사이를 절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절연지(86)가 파손되어 전자부품(82)에서 유기된 전류가 방열판(50)을 통해 상기 베리어(40)와 공기조화기의 외부케이스로 유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절연구(70)의 절연몸체(72)는 단열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고무가 있다. 상기 절연몸체(72)는,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절연몸체(72)의 양단 외주면에는 절연리브(74, 74')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절연리브(74, 74')는 절연구(70)가 상기 방열몸체(52)의 삽입공(54)에 끼워진 후에 쉽게 탈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절연구(70)의 일단에 형성된 절연리브(74)는 상기 베리어(40)에 방열판(50)이 체결될 때, 두 부품의 사이에 위치되어 절연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도 3으로 돌아가서, 상기 방열판(50)에는 전기적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부(80)가 체결되는데, 상기 제어부(80)에 장착된 전자부품(82)이,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열몸체(52)에 체결나사(84)로 체결됨에 의해 상기 제어부(80)가 방열판(50)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전자부품(82)에서 유기된 전류가 상기 방열판(5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전자부품(82)과 방열판(50)사이에는 절연지(86)가 끼워진다. 상기 절연지(86)는 전자부품(82)과 방열판(50) 사이를 절연하며, 고무로 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방열판 절연구조의 작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의 방열판이 체결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상기 방열몸체(52)의 가장자리 둘레에 걸쳐서 형성된 삽입공(54)에 상기 절연구(70)를 끼운다. 상기 절연구(70)는 탄성을 가지는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54)에 삽입된 후 자체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원형을 유지하며, 상기 절연구(70)의 하단에 형성되는 상기 절연리브(74)는 방열몸체(52)의 삽입공(54)을 관통하여 돌출된다.
다음으로는, 상기 방열몸체(52)의 삽입공(54)에 절연구(70)가 장착된 상기 방열판(50)을 체결나사(56)로 베리어(40)에 체결한다. 이 때, 상기 절연구(70)에 형성된 절연리브(74)는 상기 방열판(50)과 베리어(60)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두 부품을 절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방열몸체(52)와 제어부(80)에 장착된 전자부품(82)의 사이에 절연지(86)를 끼우고, 체결나사(84)로 상기 절연지(86)와 전자부품(82)을 상기 방열판(50)에 체결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방열판 절연구조는 방열판(50)과 전자부품(82)의 체결과정에서 체결나사(84)에 의해 절연지(86)가 찢어져 파손되더라도 상기 방열몸체(52)에 형성된 삽입공(54)에 절연구(70)를 더 장착하므로써, 상기 방열판(50)과 베리어(40) 사이를 절연시켜, 전자부품(82)에 흐르는 전류가 베리어(40)나 공기조화기의 외부케이스로 유기되어 누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에서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베리어(140)의 상부 일측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방열판(150)이 안착되는 방열판안착공(142)이 형성된다. 상기 방열판안착공(142)이 형성된 상기 베리어(140)의 상하방향 가장자리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체결공(144)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144)은 체결나사(146)로 아래에서 설명될 브라켓(160, 160')과 베리어(140)를 체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방열판안착공(142)에는 방열판(150)이 안착된다. 상기 방열판(150)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어부(180)에 장착되는 전자부품(182)에서 발생되는 열을 전달받아 외부공기로 방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방열판(150)의 방열몸체(152)는 사각판재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반적으로 전자부품(182)에 밀착되어 설치된다.
상기 방열몸체(152)의 길이방향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체결공(154)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154)은 체결나사(156)로 브라켓(160, 160')과 상기 방열판(150)을 체결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방열몸체(152)에는 다수개의 방열핀(158)이 형성되고, 상기 방열핀(158)은 전자부품(182)에서 발생되는 열을 전달받아 외부공기로 방출하는 역할을 하며, 열교환을 위해 실외기의 내부에 형성되는 기류와의 접촉면적이 최대가 되는 형상으로된다.
상기 방열판(150)을 지지하여 상기 베리어(140)에 형성된 방열판안착공(142)에 안착시킨 후, 상기 베리어(140)에 고정시키기 위해 브라켓(160, 160')이 구비된다. 상기 브라켓(160, 160')은 판재가 두 번 절곡된 'z'자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브라켓(160,160')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브라켓(160, 160')의 길이방향 일측 가장자리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삽입공(162)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162)은 상기 방열판(150)과 브라켓(160, 160')을 체결나사(156)로 체결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삽입공(16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절연구(170)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160, 160')의 길이방향 타측 가장자리에는 다수개의 체결공(164)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164)은 상기 방열판(150)과 체결된 브라켓(160, 160')을 체결나사(146)로 베리어(140)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브라켓(160, 160')에 형성된 각각의 삽입공(162)에는 절연구(170)가 삽입된다. 상기 절연구(170)는 브라켓(160, 160')과 방열판(150)의 사이를 절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절연지(186)가 파손되어 전자부품(82)에 흐르는 전류가 방열판(50)을 통해 상기 베리어(40)와 외부 케이스로 유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절연구(170)의 절연몸체(172)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연몸체(172)에는 일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경사부(173)가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173)는 브라켓(160, 160')에 형성된 삽입공(162)에 상기 절연구(170)가 보다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절연몸체(172)의 외주면에는 삽입채널(174)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채널(174)의 내면은 상기 절연구(170)가 삽입공(162)에 끼워질 때, 상기 브라켓(160, 160')에 형성된 삽입공(162)의 내주면이 밀착된다.
또한, 상기 절연몸체(172)의 타단 외주면 둘레에는 절연리브(176)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절연리브(176)는 절연구(170)가 상기 브라켓(160, 160')의 삽입공(162)에 끼워진 후 쉽게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브라켓(160, 160')과 방열판(150)을 체결할 때, 두 부품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절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방열판(150)에는 전기적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부(180)가 체결되는데, 상기 제어부(180)에 장착된 전자부품(182)이, 도 7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열몸체(152)에 체결나사(184)로 체결됨에 의해 상기 제어부(180)가 방열판(150)에 지지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전자부품(182)에 흐르는 전류가 상기 방열판(150)으로 유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전자부품(182)과 방열판(150)사이에는 절연지(186)가 끼워진다. 상기 절연지(186)는 단열성을 가지는 것으로 고무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 제어부의 방열판 절연구조의 작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체결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브라켓(160, 160')의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된 각각의 삽입공(162)에 상기 절연구(170)에 형성된 경사부(173)의 일단을 대응시켜 상기 절연구(170)를 밀어서 브라켓(160, 160')의 삽입공(162)에 끼운다.
이 때, 상기 절연구(170)의 절연몸체(172)는 상기 삽입공(162)을 관통하여 돌출되고, 삽입채널(174)의 내면은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절연구(170)의 자체 복원력에 의해, 상기 브라켓(160, 160')에 형성된 삽입공(162)의 내주면에 밀착되며, 상기 절연리브(176)는 브라켓(160, 160')의 하면에 밀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160, 160)을 상기 방열판(150)의 길이방향 양측에 체결나사(156, 156')로 각각 체결한다. 이 때, 상기 절연구(170)의 절연리브(176)는 상기 방열판(150)과 브라켓(160, 160')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두 부품을 절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방열판(150)과 상기 제어부(180)에 장착된 전자부품(182)의 사이에 절연지(186)를 끼운 다음, 체결나사(184)로 상기 절연지(186)와 전자부품(182)을 상기 방열몸체(152)에 체결한다.
다음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결합된 방열판(150)을 상기 방열판안착공(142)에 안착시킨 후 상기 브라켓(160, 160')을 체결나사(146)로 베리어(140)에 체결하면 방열판(150)이 베리어(14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방열판(150)이 장착되면, 상기 전자부품(182)과 방열판(150) 사이는 절연지(186)가 절연하고, 상기 브라켓(160, 160')과 방열판(150) 사이는 절연구(170)가 절연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제어부의 방열판 절연구조에서는 방열판(150)과 전자부품(180)의 체결과정에서 체결나사(184)에 의해 절연지(186)가 찢어져 파손되더라도, 상기 브라켓(160, 160')의 삽입공(162)에 장착된 절연구(170)가 상기 브라켓(160, 160')과 방열판(150) 사이를 절연시킨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절연구를 상기 방열몸체의 삽입공에 삽입한 후 체결나사로 상기 방열판과 베리어를 체결하여 상기 방열판과 베리어 사이를 절연하거나 절연구를 브라켓의 삽입공에 삽입한 후 체결나사로 방열판과 브라켓을 체결하여 방열판과 브라켓, 실질적으로는 베리어 사이를 절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방열판과 전자부품의 체결과정에서 체결나사에 의해 절연지가 찢어져 파손되더라도 상기 방열몸체의 삽입공에 장착된 절연구에 의해 상기 방열판과 베리어가 절연되므로써, 전자부품에 흐르는 전류가 베리어나 공기조화기의 외부케이스로 유기되어 누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열교환을 위한 기류가 통과되는 영역과 열교환사이클의 부품들이 설치되는 영역을 구획하는 구획부재와,
    상기 구획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열교환을 위한 기류가 통과되는 영역으로 방열핀이 노출되어 상기 기류로 전자부품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는 방열판과,
    상기 방열판을 구획부재에 체결하는 체결구를 둘러싸고 상기 방열판과 구획부재의 사이를 절연하는 절연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방열판 절연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구는 중공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절연몸체와, 상기 절연몸체의 양단 외주면에 각각 돌출되어 탈거를 방지하고 상기 케이스와 방열판을 절연하는 절연리브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방열판 절연구조.
  3. 열교환을 위한 기류가 통과되는 영역과 열교환사이클의 부품들이 설치되는 영역을 구획하는 구획부재와,
    상기 구획부재에 체결되고 일측에 다수개의 삽입공이 형성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장착되어 상기 열교환을 위한 기류가 통과되는 영역으로 방열핀이 노출되어 상기 기류로 전자부품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는 방열판과,
    상기 브라켓의 삽입공에 각각 끼워져 상기 방열판과 브라켓 사이를 절연하는 절연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방열판 절연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구는 절연성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중공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절연몸체와,
    상기 절연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의 삽입공에 끼워지는 삽입채널과,
    상기 절연몸체의 하부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의 일면에 밀착되어 탈거를 방지하고 상기 브라켓과 방열판을 절연하는 절연리브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부의 방열판 절연구조.
KR1020020011979A 2002-03-06 2002-03-06 공기조화기의 방열판 절연구조 KR200300727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979A KR20030072783A (ko) 2002-03-06 2002-03-06 공기조화기의 방열판 절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979A KR20030072783A (ko) 2002-03-06 2002-03-06 공기조화기의 방열판 절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2783A true KR20030072783A (ko) 2003-09-19

Family

ID=32223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1979A KR20030072783A (ko) 2002-03-06 2002-03-06 공기조화기의 방열판 절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7278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9578A (ko) * 2010-02-01 2011-08-09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9578A (ko) * 2010-02-01 2011-08-09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8452B2 (en) Heat sink for printed circuit board components
KR100384508B1 (ko) 공기조화기
KR200233555Y1 (ko) 열전소자를사용한제습장치_
KR20030072783A (ko) 공기조화기의 방열판 절연구조
JP2771620B2 (ja) 熱交換ユニット
CN209930817U (zh) 电器盒结构及具有其的空调器
JP2973864B2 (ja) スイッチボックスのパワーデバイス支持構造
US20050254213A1 (en) Air conditioning heat dissipation system
CN114206079A (zh) 散热器安装结构及窗式空调器
JP2895388B2 (ja) プリント基板の冷却構造
JPH09229427A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JPH03190510A (ja) 屋外形制御盤
JP4555057B2 (ja) 冷却貯蔵庫の運転制御装置
KR100640067B1 (ko) 컨트롤 박스의 스위칭 회로 냉각장치
CN217031413U (zh) 空调室外机
CN216953295U (zh) 空调室外机
KR20030000420A (ko)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분할식 인쇄회로기판의 장착구조
JP2006162193A (ja) 冷却貯蔵庫
KR100382421B1 (ko) 증발기 케이스의 결로현상 방지장치
CN216953294U (zh) 空调室外机
CN217057758U (zh) 空调室外机
CN217082741U (zh) 空调室外机
CN220507045U (zh) 电器箱散热组件及空调器
JPH0635835U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H0668398B2 (ja) 空気調和機の電装品放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