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0802A - 영어의 정확한 한글음역표기방법 - Google Patents

영어의 정확한 한글음역표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0802A
KR20030070802A KR1020020010347A KR20020010347A KR20030070802A KR 20030070802 A KR20030070802 A KR 20030070802A KR 1020020010347 A KR1020020010347 A KR 1020020010347A KR 20020010347 A KR20020010347 A KR 20020010347A KR 20030070802 A KR20030070802 A KR 20030070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english
pronounce
tongue
kore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0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일성
Original Assignee
이일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일성 filed Critical 이일성
Priority to KR1020020010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70802A/ko
Publication of KR20030070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080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몇 개의 영어자음에 대한 한글표기와 발음들을 분석하고 이들을 보완해서 정확한 원어발음과 한글표기를 할 수 있도록 한 영어의 정확한 한글음역표기방법 즉, "외음표"를 이용한 새로운 한글표기법을 안출하고 이를 제공함으로써, 지금 우리 사회 전반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판타지아" 나 "씸퍼니" 같은 부적절한 한글 표기와 발음문제를 시정해 원어와 같은 정확한 발음을 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영어자음 "F","V","R","Z","TH"와 "PH"를 한글자음 "ㅍ","ㅂ","ㄹ","ㅈ","ㅅ"과 "ㄷ"을 활용하여 영어의 원음과 같은 발음으로 표현 할 수 있도록 "ㅍ","ㅂ","ㄹ","ㅈ","ㅅ","ㄷ"과 같이 문제가 되는 6개의 자음들의 오른편 위 끝에 시각적으로 한글과 가장 잘 조화를 이루는 작은 이응 " 。" (外音表)을 붙여서 한글 자음에 없는 영어의 원음을 표기 하도록 하되,
순치음(脣齒音)으로서 윗니와 아래 입술을 가볍게 대고 숨을 밖으로 내 뿜으면서 내는 무성음인 ""은 "읖"(fieup)이라 부르고 영어의 "f"음으로 발음하도록 하며,
순치음(脣齒音)으로서 윗니와 아래 입술을 가볍게 대고 숨을 약하게 내 불면서 내는 유성음인 ""은 "읍"(vieub)이라 부르고 "V"음으로 발음하도록 하며,
설전음(舌顫音)으로서 혀끝을 말아 목젖 가까이 넣은 다음 입 천정에 닫지않게 혀 끝을 앞으로 풀면서 내는 음인 ""은 "을"(rieur)이라 부르고 "r"음으로 발음하도록 하며,
치경음(齒莖音)으로서 경구개음(硬口蓋音)인 한글의 "ㅈ"과 구별해 발음하여 혀를 입천장 앞쪽에 닫지 않을 만큼 가깝게 해서 "ㅈ"을 내는 방식으로 숨을 밖으로 내불면서 입천정 앞쪽과 혀 사이로 내는 유성음인 ""은 "읒"(zieuj)이라 부르고 "z" 음으로 발음하도록 하며,
설치음(舌齒音)으로서 아래 윗니로 혀끝을 가볍게 문체 혀를 입안으로 당기면서 숨을 밖을 내쉴 때 혀와 이가 때어 지면서 내는 유성음인 "ㄷ"은 "귿"(digeut)이라 부르고 ""음으로 발음하도록 하며,
"ㅅ" 에 가까운 설치음(舌齒音)으로서 아래 윗니로 혀끝을 가볍게 문체 숨을 밖으로 내 쉬면서 윗니와 혀끝 사이에서 내는 무성음인 ""은 "옷"(ios)이라 부르고 "" 으로 발음하도록 함으로써,
각각 영어자음인 "F" 는 ""(읖)으로 표기하고 "f" 발음하며,
"V" 는 ""(읍)으로 표기하고 "v" 발음하며,
"R" 은 ""(을) 를 표기하고 "r" 발음하며,
"Z" 는 ""(읒) 으로 표기하고 "z" 발음하며,
"TH"는 용도에 따라 ""(귿) 과 ""(옷) 으로 표기하고 각각 "" 과 ""으로 발음하며,
"PH" 는 ""(

Description

영어의 정확한 한글음역표기방법{English correct Hangul use method}
본 발명은 한글음역표기가 어려운 몇 개의 영어자음에 대한 한글표기와 발음들을 분석하고 이들을 보완해서 정확한 원어발음과 한글표기를 할 수 있도록 한 영어의 정확한 한글음역표기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종대왕께서 1443년에 창제하신 한글은 세계 언어학의 대가들로부터 대단히 과학적이고 배우기 쉬운 독창적인 글이라 극찬을 받고 있다.
더욱이 그 음의 표현의 우수성은 어느 나라 글과도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매우 뛰어나 한글을 아는 다른 나라 사람들로부터 부러움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런데 표의 문자인 중국의 한자는 그 방대한 글자의 수에 비해 음의 정확한 표기가 거의 불가능하다. 중국인들은 "McDONALD'S"를 "麥堂勞"으로 쓰고 " 마이당라우"로 "POPEYE'S"를 "派派思"로 쓰고 "파이파이쓰"로 발음하고 있다. 원래 단어와는 거리가 있는 발음이다. 이렇게 밖에는 표기하고 발음 할 수 없는 것이 그들이 한자로 음을 표현할 수 있는 한계이다.
또한, 일본의 가다가나 와 히라가나 역시 한자의 획들을 모방해서 만든 음절문자로 음의 표현과 사용범위가 너무 협소해 일본어에서 한문의 보조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한되어 있다.
한자 없이는 일본어는 존재할 수가 없다.
여러분이 잘 아시다시피 우리의 "김치"를 "기무치"로 ,"McDONALD'S"를 "메구도나루도"로 발음하듯이 그들의 문자로 외래어 음을 표현하는 것 역시 매우 어색하고 부적절하다는 것을 일본인들 조차 인정하고 있다.
이에 배해 우리 한글은 거의 모든 음의 정확한 표현이 가능해 우리나라 사람들이 500년 이상 큰 불편 없이 사용해 왔다.
그러나 2차대전후 영어가 세계의 공용어로 굳어져 가는 추세에 표음 문자인 우리 한글도 외래어 표기에는 완벽하지 못하다는 것이 드러나게 되었고 특히 영어의 몇 개 자음의 한글 표기와 발음은 일본식 영어 못지않은 문제점들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버전","파이넌스","인포메이션","인프라","레프팅"등 우리사회 전반에서 여과없이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한글로 옮겨진 단편적이인 영어 단어들은 한글표기의 한계성으로 영어에 자신 있는 사람들조차 이들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이해하지 못하는 때가 있을뿐만 아니라 어리때부터 익숙해지고 혀에 굳어서 무의식적으로 튀어나오는 한글식 영어 발음들은 우리의 영어 교육에 매우 심각한 장애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우리 한글은 영어의 "F","V","R","Z","PH" 와 "TH"음을 바르게 표현할 자음을 가지고 있지 않다. "팬"(FAN), "보트"(VOTE), "라이트"(RIGHT), "주"(ZOO), "폰"(PHONE),"노스"(NORTH)로 밖에는 다른 표기 방법이 없는 것이 이들 자음에 대한한글표기의 취약점으로 드러나고 있다.
이들은 1986년 1월 7일에 문교부에서 제정 발표한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한글로 쓴 단어 들이다.
"하우징페어"(HOUSEING FAIR), "벤쳐"(VENTURE),"페스트푸드"(FAST FOOD). 누구에게나 어딘가 좀 이상하다는 느낌이 가게 하는 이 부적절한 한글 표기들은 원어를 정확하게 발음 할 수 없는 중대한 결함을 지니고 있다.
이로 인해 원어가 표현하고자 하는 그 단어만이 가지고 있는 뜻과 색깔이 제대로 전해지지 못하고 때에 따라서는 원래의 뜻마저 왜곡되어 사용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만일 세종대왕께서 그때 영어를 아셨다면 분명히 이 문제를 우리 후세에게 떠넘기지 않고 집고 넘어 가셨을 것이다.
지금 우리가 쓰고 있는 한글의 영어 표기 문제점들을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흔히 대하는 단어들을 중심으로 검토해 보기로 한다.
"F"를 우리는 모두 한글의 "ㅍ"으로 표기하고 있다.
이 표기법에 따라 "F"로 시작되거나 "F"가 끼어 있는 영어 단어들은 이 "F"가 "P"와 구별없이 다같이 "ㅍ"으로 발음되고 있다.
따라서 "파운데이션","부페","팻션"등과 같이 "F"를 매우 부적절하게 발음을 할 수 밖에 없는 것이 지금 우리가 쓰고있는 표기법이 안고 있는 문제이다.
우리는 "FORK","FOLK"와 "와 "PORK"를 같은 "포크"로, "FAN","PAN"과 "PEN"역시 같은 "팬"으로 쓰기 때문에 우리가 이들을 일상 생활에서 늘 사용하면서도 많은 사람들이 이들의 원 뜻을 제대로 구별하지 못하고 혼동하고 있을 정도이다.
수입 영화 제명인 "로 펌"과 "쎄크리파이스"를 원어를 보지않고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이 과연 몇분 이나 되는지 대단히 흥미 있는 관심사가 아닐수 없다.
요즈음 고속도로"TOLL GATE"의 전광판들에는 "한국팀 파이팅 월드컵 D000일" 또는 "한국팀 화이팅 월드컵 D000일"등을 비추어주면서 월드컵에 대한 우리의 관심을 고조시키고 있다.
공용 TV에서는 "시사포커스" 니 "경제포럼"이니 하는 프로그램을 방영하고 있다. "FIGHTING", "FOCUS"와 "FORUM"을 우리는 이렇게 한글로 표기하고 있다.
"V"는 "ㅂ"으로 표기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는 "VEER"를 "비어"로, "VERY"를 "베리"로 "VEST"를 "베스트"로 "VOTE"를 "보트"로 표기하게 된다.
이 표기대로는 "BEER", "BERRY", "BEST", "BOAT"와 전혀 구별이 되지 않는다.
우리가 흔히 쓰는 "VERSION"을 "버전"으로 "VISA"를 "비자"로 "VOLLEY BALL"을 "발리볼"로 표기한대로 발음하면 영어권 사람들의 10명중 9명은 우리가 무엇을 말하는지 알아 듣지 못한다.
"R"의 경우는 매우 심각해서 "LAMP" 와 "RAMP"를 같은 "램프"로 "LICE" 와 "RICE" 를 "라이스"로 "LIGHT" 와 "RIGHT" 를 같은 "라이트"로 "LIVER"와 "RIVER"도 "리버"로 "ROYA"L 과 "LOYAL"을 "R" 과 "L"의 구별없이 설측음인 "ㄹ"로 표기하기 때문에 이들을 영어로 다시 옮길 때는 원뜻과는 거리가 먼표현의 오류를 피할수 없는 실정이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영어로 의사소통을 할때 가장 많이 하는 실수중의 하나가 무의식적으로 튀어나오는 "L" 과 "R"의 구별없는 발음이다.
"Z"음은 앞의 자음들 같이 한글식 발음으로 인하여 엉뚱한 뜻으로 바뀌는 경우는 드물지만 우리는 흔히 경구개음(硬口蓋音)인 "ㅈ"음으로 발음을 해서 상대방이 잘 알아듣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ZERO"를 "지로" 또는 우리가 흔히 쓰는 "제로" 로 "ZEBRA"를 "지브라" 로 "ZEUS"를 "제우스" 로 발음 한다면 상대방은 대부분 고개를 갸웃거리면서 우리를 쳐다 볼 것이다.
"PH"는 일반적으로 "F" 와 같이 "ㅍ"으로 표기해 "PHILHARMONIC"을 "필하모닉"으로 "PHOBIA"를 "포비아" 로 "PHILADELPHIA" 를 "필라델피아" 로 쓰고 발음하고 있다. 긴 설명이 필요없는 원어와는 대단히 거리가 있는 그릇된 한국식 발음이다.
"TH"의 경우 쓰는 사람에 따라서 "ㄷ"과 "ㅅ"을 혼용해서 사용하고 있지만 한글로 원 발음을 완벽하게 표기하고 발음 할 수 있는 자음이 없어 위에 열거한 자음들처럼 많은 문제들을 야기하고 있다.
우리는 "NORTH" 를 "노스"로 "THEME"를 "딤" 으로 "THERAPY"을 "데라피"로 쓰고 발음 하고 있다. 문제가 많은 발음들이다.
일본사람들은 "가다가나"의 영어 표기와 발음의 어려움 때문에 영어의 "THEME" 대신 독일어인 "테마"(THEMA)를 즐겨 사용하고 있다.
언제부터인가 우리나라 사람들도 일본 지식인들이 이 단어가 없으면 글을 쓸수 없으리만큼 자주 사용하는 이 "테마" 라는 단어를 그들 못지않게 각개각층에서 다방면으로 애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테마기획", "테마공원", "테마여행", "테마음식", "테마특강" 등.
영어에 자신 있는 분들은 지금 L.A.의 한국계 신문이나 전파 매체들이 쓰고 있는 "호손" 이라는 고유명사를 영어로 옮겨 쓰고 다음 원어와 비교해 보시기 바란다.
참고로 이 단어는 식물과에 속하는 나무의 명칭이다. 미국에서는 이 명사가 인명이나 거리의 명칭으로 흔히 쓰이고 있다.
필자는 "호손" 이 어느 도시명이라는 것을 짐자 했지만 "LOS ANGELES TIMES"와 한국계 신문들이 같은 날에 실은 한 사건의 기사를 보고 이것이 L.A.근교에 있는 한 도시의 명칭이라는 것을 비로서 알게 되었다.
L.A.의 한국언론 매체들은 "HAWTHORN" 을 "호손" 이라 표기하고 쓰고 있다. 여러분은 이한글로 표기한 지명을 영어로 어떻게 옮겨 쓰셨는지 매우 궁금하다.
지금까지의 영어의 "F","V","R","Z","PH" 와 "TH" 발음의 한글 표기 문제점들을 간단히 예를 들어 제시했다.
우리는 이제 영어가 쓰고, 읽고, 듣는 우리 언어생활에서 떼어 놓을 수 없는 하나의 중요한 의사전달의 매체로 자리잡아 가는 시대에 살고 있다.
이러한 흐름을 거스를 수 없는 것이 대세라면 우리는 상대방이 이해하기 힘들고 알아듣지 못하는 우리식 한글 표기와 발음 문제를 과감히 개선해서 원음과 같이 정확하게 발음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 우리 한글표기법을 시대의 변화에 맞도록 발전시켜야한다.
본 발명은 원어와는 거리가 있는 어색한 영어 표기와 발음의 문제점들은 우수한 우리한글의 표현력의 한계성을 나타내는 취약점으로 알려져 있고 이는 또한 우리나라 사람들이 품위 있는 영어를 구사하는데 부정적인 원인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영어의 "F","V","R","Z","PH" 나 "TH"와 같이 이제까지 문제가 되고 있는 영어자음의 한글표기와 발음들을 분석하고 이들을 보완해서 정확한 원어발음을 할 수 있는 한글 표기법 즉, "외음표"를 이용한 새로운 한글표기법을 안출하고 이를 제공함으로써, 지금 우리 사회 전반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판타지아" 나 "씸퍼니" 같은 부적절한 한글 표기와 발음문제를 시정해 원어와 같은 정확한 발음을 구사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지금부터 이 문제가 되는 영어자음 "F","V","R","Z", "TH", 와 "PH" 를 한글 자음 "ㅍ","ㅂ","ㄹ","ㅈ","ㅅ",과 "ㄷ" 을 활용하여 영어의 원음과 같은 발음으로 표현 할 수 있는 표기법을 소개하고자 하는 것으로,
"ㅍ","ㅂ","ㄹ","ㅈ","ㅅ","ㄷ" 과 같이 문제가 되는 6개의 자음들의 오른편 위 끝에 작은 이응 " 。" (이하 外音表라 칭함)을 붙여서 한글 자음에 없는 영어의 원음을 표기 하는 방법이다.
예를들면 "",","","","",""과 같다.
" 。" 을 외음표로 사용한 것은 시각적으로 한글과 가장 잘 조화를 이루기 때문이나 , 이 밖에 어떠한 형태의 외음표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에 각자의 경우에 해당하는 자음들의 표기법에 대하여 예를 근거로 하여 설명한다.
""은 "읖" (fieup)이라 부르고 영어의 "f" 음으로 발음한다. 순치음(脣齒音)인 "" 은 윗니와 아래 입술을 가볍게 대고 숨을 밖으로 내 품으면서 내는 무성음이다.
예를들면 "FOUNDATION"를 "운데이션"으로 표기해으로 "REFERENCE"는 "리런스" 로 표기해로 "FELLOWSHIP" 은 "로우쉽" 으로 표기하고으로 발음한다. "PH" 발음도 "" 음가에 준한다.
"" 은 "읍"(vieub)이라 부르고 "V" 음으로 발음한다. "" 은 역시 순치음(脣齒音)으로 윗니와 아래 입술을 가볍게 대고 숨을 약하게 내 불면서 내는 유성음이다.
예를들면 "VOICE" 는 "이스" 로 표기하고로 "VENICE" 는 "베니스" 로 표기하고 "venis" 로 "VICTORY" 는 "토리" 로 표기하고로 발음한다.
""은 "을" (rieur)이라 부르고 "r"음으로 발음한다. 설전음(舌顫音)인 "" 은 혀끝을 말아 목젖 가까이 넣은 다음 입 천정에 닫지않게 혀 끝을 앞으로 풀면서 내는 음이다.
예를들면 "RESERCH" 는 "서치" 로 표기하고로 "ROME"은 ""으로 표기해서 "roum" 으로 "RESUME" 는 "주메이" 로 표기하고 "resumei" 로 발음한다.
"" 은 "읒" (zieuj)이라 부르고 "z" 음으로 발음한다. 치경음(齒莖音)인 "z"는 경구개음(硬口蓋音)인 한글의 "ㅈ" 과 구별해 발음한다. 혀를 입천장 앞쪽에 닫지 않을 만큼 가깝게 해서 "ㅈ" 을 내는 방식으로 숨을 밖으로 내불면서 입천정앞쪽과 혀 사이로 내는 유성음이다.
예를들면 "ZERO" 는 "로우"로 표기하고 "zi:rou" 로 "ZOO" 는 "" 로 표기하고 "zu:" 로 발음한다.
""은 "(귿)"(digeut)이라 부르고 "" 음으로 발음한다. "ㄷ" 에 가까운 설치음(舌齒音)이다. 아래 윗니로 혀끝을 가볍게 문체 혀를 입안으로 당기면서 숨을 밖을 내쉴 때 혀와 이가 때어 지면서 내는 유성음이다.
예를들면 "THIS" 는 "스" 로 표기하고 "is", "BATHE" 는 "베이" 로 표기하고 "bei:"로 "NETHERLAND" 는 "네랜드" 로 표기하고로 발음한다.
""은 "옷"( ios)이라 부르고 "" 으로 발음한다. 이음은 "ㅅ" 에 가까운 설치음(舌齒音)이다. 아래 윗니로 혀끝을 가볍게 문체 숨을 밖으로 내 쉬면서 윗니와 혀끝 사이에서 내는 무성음이다.
예를들면 "THEORY" 는 "어리" 로 표기하고로 "THINK" 는 "크"로 표기하고 "ink"로 "SOUTH" 는 "사우스"로 표기하고 "sou"로 발음한다.
위에 열거한 영어발음 표기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F" 는 ""(읖) 으로 표기하고 "f" 발음을 한다.
예를들면 "PERFUME" 퍼 , "FRANCE"렌스등이 있다.
"V" 는 ""(읍)으로 표기하고 "v" 발음을 한다.
예를들면 "VALENTINE"런타인, "VALUE", "VISION"등이 있다.
"R" 은 ""(을)를 표기하고 "r" 발음을 한다.
예를들면 "ROSE"스 (rouz), "RECALL", "REMODELING"마드링등이 있다.
"Z" 는 ""(읒)으로 표기하고 "z" 발음을 한다.
예를들면 "ZENITH"니스 (zini), "ZIBRA"브러 (zi:br ), "ZONE"운(zoun)등이 있다.
"TH"는 용도에 따라 ""(귿)과 ""(옷) 으로 표기하고 각각 "" 과 ""으로 발음한다.
예를들면 "FATHER" 파 , "RHYTHM" 리(rim), "WEATHER" 웨더, "THEATER"어터, "THRILL"릴(ri:l), "THANKSGIVING"스기빙등이 있다.
"PH" 는 ""(읖) 음에 준한다. "PHARMACY"머시, "PHASE"이스(feiz)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이제까지 문제가 되고 있는 몇 개 영어자음의 한글표기와 발음들을 분석하고 이들을 보완해서 정확한 원어발음을 할 수 있도록 "외음표"를 이용한 이 새로운 한글표기법을 제공함으로써, 이를 사용하면 지금 우리 사회 전반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판타지아" 나 "씸퍼니" 같은 부적절한 한글 표기와 발음문제를 시정해 원어와 같은 정확한 발음을 구사할 수 있다.
따라서, 원어와는 거리가 있는 이 어색한 영어 표기와 발음의 문제점들을 완벽하게 해결함으로써 우수한 우리한글의 우수성과 표현력의 무한성을 세계만방에 널리 알릴 수 있게 됨은 물론 우리나라 사람들이 품위 있는 영어를 구사할 수 있다.
한국인들은 세계의 비 영어권 국가들 중 가장 원어에 가까운 영어 발음을 구사하는 민족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우리가 세종대왕께서 물려주신 위대한 한글을 사용함으로서 얻어진 대단히 호의적인 찬사이다.
따라서, 이 새로운 영어표기법의 보완으로 우리들이 현재 사용하고 있는 한글식 영어 발음의 문제점들을 개선한다면 우리 한글은 세계에서 가장 완벽하게 영어를 표기 하고 발음할 수 있는 유일한 문자가 되리라 확신하는 매우 획기적인 발명이다.

Claims (1)

  1. 영어자음 "F","V","R","Z","TH"와 "PH"를 한글자음 "ㅍ","ㅂ","ㄹ","ㅈ","ㅅ"과 "ㄷ"을 활용하여 영어의 원음과 같은 발음으로 표현 할 수 있도록 "ㅍ","ㅂ","ㄹ","ㅈ","ㅅ","ㄷ" 과 같이 문제가 되는 6개의 자음들의 오른편 위 끝에 시각적으로 한글과 가장 잘 조화를 이루는 작은 이응 " 。" (外音表)을 붙여서 한글 자음에 없는 영어의 원음을 표기 하도록 하되,
    순치음(脣齒音)으로서 윗니와 아래 입술을 가볍게 대고 숨을 밖으로 내 뿜으면서 내는 무성음인 ""은 "(읖)" (fieup)이라 부르고 영어의 "f"음으로 발음하도록 하며,
    순치음(脣齒音)으로 윗니와 아래 입술을 가볍게 대고 숨을 약하게 내 불면서 내는 유성음인 "" 은 "(읍)"(vieub)이라 부르고 "V"음으로 발음하도륵 하며,
    설전음(舌顫音)으로서 혀끝을 말아 목젖 가까이 넣은 다음 입 천정에 닫지않게 혀 끝을 앞으로 불면서 내는 음인 "" 은 "(을)" (rieur)이라 부르고 "r"음으로 발음하도록 하며,
    치경음(齒莖音)으로서 경구개음(硬口蓋音)인 한글의 "ㅈ" 과 구별해 발음하여 혀를 입천장 앞쪽에 닫지 않을 만큼 가깝게 해서 "ㅈ" 을 내는 방식으로 숨을 밖으로 내불면서 입천정 앞쪽과 혀 사이로 내는 유성음인 "" 은 "(읒) (zieuj)이라 부르고 "z"음으로 발음하도록 하며,
    설치음(舌齒音)으로서 아래 윗니로 혀끝을 가볍게 문체 혀를 입안으로 당기면서 숨을 밖을 내쉴 때 혀와 이가 떼어 지면서 내는 유성음인 ""은 "(귿)"(digeut)이라 부르고 ""음으로 발음하도록 하며,
    "ㅅ" 에 가까운 설치음(舌齒音)으로서 아래 윗니로 혀끝을 가볍게 문체 숨을 밖으로 내 쉬면서 윗니와 혀끝 사이에서 내는 무성음인 ""은 "옷" (ios)이라 부르고 "" 으로 발음하도록 함으로써,
    각각 영어자음인 "F" 는 ""(읖) 으로 표기하고 "f" 발음하며,
    "V" 는 ""(읍) 으로 표기하고 "v" 발음하며,
    "R" 은 ""(을) 를 표기하고 "r" 발음하며,
    "Z" 는 ""(읒) 으로 표기하고 "z" 발음하며,
    "TH"는 용도에 따라 ""(귿) 과 ""(옷) 으로 표기하고 각각 "" 과 ""으로 발음하며,
    "PH" 는 ""(읖)음에 준하여 표기하고 발음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의 정확한 한글음역표기방법.
KR1020020010347A 2002-02-26 2002-02-26 영어의 정확한 한글음역표기방법 KR200300708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0347A KR20030070802A (ko) 2002-02-26 2002-02-26 영어의 정확한 한글음역표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0347A KR20030070802A (ko) 2002-02-26 2002-02-26 영어의 정확한 한글음역표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0802A true KR20030070802A (ko) 2003-09-02

Family

ID=32222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0347A KR20030070802A (ko) 2002-02-26 2002-02-26 영어의 정확한 한글음역표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7080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773Y1 (ko) * 2008-05-08 2010-08-09 주식회사 도요엔지니어링 외부에서 조정이 가능한 베이트 릴의 백래시 방지장치
KR101140767B1 (ko) * 2009-05-27 2012-05-03 정수현 확장된 한글 표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입력장치와 입력방법
KR101400934B1 (ko) * 2008-02-18 2014-06-02 이옥재 특수 기호를 이용하여 새한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3282637A1 (ko) * 2021-07-06 2023-01-12 이옥재 세계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7761A (ko) * 1995-07-04 1997-02-21 고제윤 영어발음의 한글표기 방법
KR200202181Y1 (ko) * 2000-05-17 2000-11-15 박태길 한글식 발음기호를 이용한 영어학습용 교재
KR20010106050A (ko) * 2000-05-17 2001-11-29 박태길 영어 발음기호의 표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7761A (ko) * 1995-07-04 1997-02-21 고제윤 영어발음의 한글표기 방법
KR200202181Y1 (ko) * 2000-05-17 2000-11-15 박태길 한글식 발음기호를 이용한 영어학습용 교재
KR20010106050A (ko) * 2000-05-17 2001-11-29 박태길 영어 발음기호의 표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934B1 (ko) * 2008-02-18 2014-06-02 이옥재 특수 기호를 이용하여 새한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449773Y1 (ko) * 2008-05-08 2010-08-09 주식회사 도요엔지니어링 외부에서 조정이 가능한 베이트 릴의 백래시 방지장치
KR101140767B1 (ko) * 2009-05-27 2012-05-03 정수현 확장된 한글 표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입력장치와 입력방법
WO2023282637A1 (ko) * 2021-07-06 2023-01-12 이옥재 세계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tchinson et al. Portuguese: an essential grammar
Horobin et al. An Introduction to Middle English
Yip et al. Intermediate Cantonese: A grammar and workbook
Bashir et al. A descriptive grammar of Hindko, Panjabi, and Saraiki
Robinson et al. Robinson's Paradigms and Exercises in Syriac Grammar
Llombart-Huesca Understanding the spelling errors of Spanish heritage language learners
Bondarev Old Kanembu and Kanuri in Arabic script: phonology through the graphic system
Protopapas From diacritics to the mental lexicon
House Introductory phonetics and phonology: A workbook approach
KR20030070802A (ko) 영어의 정확한 한글음역표기방법
Bhuvaneshwari et al. 18 Reading in Tamil: a more alphabetic and less syllabic akshara-based orthography
Zuckerman et al. Heavy sound light sound: A Nam Noi metalinguistic trope
Winskel 15 Learning to read and write in Thai
Hevia-Tuero et al. Spelling errors by Spanish children when writing in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Joshi 17 Literacy in Kannada, an alphasyllabic orthography
加藤 et al. Pwo Karen writing systems
Lee A study of Korean diction for choral conductors using the principles of the Korean writing system
Barker et al. A course in Urdu
Cahill Discovering Phonetics and Phonology
Obolensky Persian basic course units 1-12
CN103903492A (zh) 英语五配音标
Slówik et al. The Lexical Tones of Vietnamese Metropoles
Schroeder Popularizing a Practical Sinama Orthography Based on its Unique Language Features
Gînsac et al. The formal adaptation of toponyms in Romanian translations from German between 1780 and 1830.
Weiser The Orthodox Orthography of Solomon Birnba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