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0934B1 - 특수 기호를 이용하여 새한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특수 기호를 이용하여 새한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0934B1
KR101400934B1 KR1020090013537A KR20090013537A KR101400934B1 KR 101400934 B1 KR101400934 B1 KR 101400934B1 KR 1020090013537 A KR1020090013537 A KR 1020090013537A KR 20090013537 A KR20090013537 A KR 20090013537A KR 101400934 B1 KR101400934 B1 KR 101400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consonant
point
character
symb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3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9272A (ko
Inventor
이옥재
Original Assignee
이옥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옥재 filed Critical 이옥재
Publication of KR20090089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9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0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0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수 기호를 이용하여 새한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다수의 자음 키와 다수의 모음 키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장치에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자음 키 및 적어도 하나의 모음 키를 선택한 것에 관한 입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음 키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음 키와 연관하여 특수 기호를 입력한 것에 관한 입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음 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음 키 및 상기 특수 기호의 선택 또는 입력에 따라 문자를 조합하여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음 키가 한글 자음 'ㄷ', 'ㄸ', 'ㄹ', 'ㅂ', 'ㅅ', 'ㅈ', 'ㅍ' 중 하나에 대응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음 키가 한글 모음 'ㅏ', 'ㅓ', 'ㅗ' 중 하나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이 제공된다.
문자 입력 장치, 새한글, 특수 기호

Description

특수 기호를 이용하여 새한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NEW HANGEUL LETTERS BY USING SPECIAL SYMBOL}
본 발명은 특수 기호를 이용하여 새한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특수 기호(예를 들면, '·'(이하, 발음점이라고도 함))를 이용하여 새한글의 기초 자모 10 자(예를 들면,
Figure 112009500682723-pat00006
,
Figure 112009500682723-pat00007
,
Figure 112009500682723-pat00008
,
Figure 112009500682723-pat00009
,
Figure 112009500682723-pat00010
,
Figure 112009500682723-pat00011
,
Figure 112009500682723-pat00012
,
Figure 112009500682723-pat00013
,
Figure 112009500682723-pat00014
,
Figure 112009500682723-pat00015
)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과 교통의 발달로 인한 세계화가 진행됨에 따라 영어 습득의 필요성은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영어를 우리말(한글)로 표기해야 하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는데, 한글로 표기된 영어의 발음은 실제 영어의 발음과는 큰 차이가 있는 것이 현실이다(물론, 영어 외의 외국어를 표기하는 경우에도 기본적으로는 마찬가지이다).
이는 영어를 한글의 24 자모만으로 표기하여 나타내고자 하는 표기법의 한계 때문이다. 이에 따라, 종래의 한글 표기법으로 영어를 표기하면, 본래의 영어의 발음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하는 이상한 외래어가 생기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세계적으로 공용어로서 사용되고 있는 영어의 알파벳 내지는 발음 기호 중에서 f, v, th(ð, θ), r, ∫,
Figure 112009500682723-pat00016
, ar,
Figure 112009500682723-pat00017
r,
Figure 112009500682723-pat00018
r에 해당하는 발음을 기존의 한글의 자모로 표기하고 발음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예를 들면, 기존의 외래어 표기법에 의해 base를 [베이스]라고 표기하면, 해당 단어가 base와 vase 중 어느 것을 나타내는 것인지 구별할 수 없으며, 실제 base의 발음은 [베이스]보다는 [베이ㅅ]에 가까움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점을 한국인은 제대로 알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외래어 표기법에 의해 fish를 [피시]나 [피쉬]로 표기하면, 해당 단어가 fish인지 pish인지 pisi인지 등을 구별할 수 없었으며, 실제 fish의 발음을 알기 어려웠다.
또한, 기존의 외래어 표기법 제2항에는 '외래어의 1 음운은 원칙적으로 1 기호로 적는다'라고 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어말이나 자음 앞의 자음에는 'ㅡ'나 'ㅣ'를 덧붙여 표기하고 있기 때문에, 영어의 발음을 나타내는 데에 있어서 불필요한 'ㅡ'나 'ㅣ'를 더 사용하게 되기도 하였다.
이상과 같은, 종래의 외래어 표기와 이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 등은 결국 영어를 학습하는 한국인들에게 혼란을 주고 때로는 한국인들이 올바른 영어 발음을 습득하는 데에 방해가 되기도 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새한글과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 다.
또한, 본 발명은 특수 기호를 이용하여 새한글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국제 음성 기호에 따른 발음을 한글로 명확하고 알기 쉽게 표기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음만으로도 소정의 발음 표기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다수의 자음 키와 다수의 모음 키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장치에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자음 키 및 적어도 하나의 모음 키를 선택한 것에 관한 입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음 키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음 키와 연관하여 특수 기호를 입력한 것에 관한 입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음 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음 키 및 상기 특수 기호의 선택 또는 입력에 따라 문자를 조합하여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음 키가 한글 자음 'ㄷ', 'ㄸ', 'ㄹ', 'ㅂ', 'ㅅ', 'ㅈ', 'ㅍ' 중 하나에 대응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음 키가 한글 모음 'ㅏ', 'ㅓ', 'ㅗ' 중 하나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이 제공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및 장치가 더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특수 기호를 이용하여 새한글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국제 음성 기호에 따른 발음을 한글로 명확하고 알기 쉽게 표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자음만으로도 소정의 발음 표기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특히 한국인의 영어 습득에 유리한 도구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 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문자 입력 장치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특수 기호를 이용하여 새한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는 입력부(100), 문자 편집부(200), 메모리부(300), 표시부(4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100)는 다수의 키(또는, 버튼)가 배열된 키보드 또는 키패드를 포함하는 구조로서, 사용자에 의해 소정의 키가 선택되면 키마다 할당된 입력 정보(예를 들면, 한글의 자모에 관한 정보)를 문자 편집부(20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편집부(200)는 입력부(100)로부터의 입력 정보 중 문자 정보와 본 발명에 따른 특수 기호에 관한 정보를 판별하여 문자를 입력, 편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편집부(200)는 자음만으로도 발음이 표기되도록 하는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문자 편집부(200)에 대하여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부(300)는 입력부(100)로부터의 입력 정보를 저장하거나, 문자 편집부(200)에서 입력, 편집되는 문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구성요소로서, 버퍼나 문자 데이터 레지스터와 같은, 하나 이상의 공지의 기록 매체를 수반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400)는 디지털 연산 처리 결과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400)는, 바람직하게는 광을 방출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수단으로서, 문자 편집부(200)를 통한 문자의 입력, 편집 과정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표시부(400)는, 예를 들면,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OLED) 및 플라즈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지털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공지된 구성요소라면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400)로서 제한 없이 채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500)는 입력부(100), 문자 편집부(200), 메모리부(300) 및 표시부(400)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입력부(100), 문자 편집부(200), 메모리부(300) 및 표시부(400)에서 각각 고유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별도의 통신 수단(미도시됨)을 이용하여 문자 입력 장치의 구성요소와 외부의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새한글 문자
이하에서는, 특수 기호의 일 예인 '·'(발음점)을 한글 자모인 'ㄷ', 'ㄸ', 'ㄹ', 'ㅂ', 'ㅅ', 'ㅈ', 'ㅍ', 'ㅏ', 'ㅓ', 'ㅗ'에 조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새한글 문자를 입력, 편집하는 것에 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특수 기호가 '·'(발음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 '^'과 같이 발음점을 대신할 수 있는 다른 기호도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특수 기호로서 이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편집부(200)에 의해 입력, 편집될 수 있는 새한글 문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편집부(200)에 의해 입력, 편집될 수 있는 새한글 문자의 발음과 활용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수 기호인 '·'(발음점)을 이용한 새한글 문자는 자음 7자(
Figure 112009500682723-pat00019
,
Figure 112009500682723-pat00020
,
Figure 112009500682723-pat00021
,
Figure 112009500682723-pat00022
,
Figure 112009500682723-pat00023
,
Figure 112009500682723-pat00024
,
Figure 112009500682723-pat00025
)와 모음 3자(
Figure 112009500682723-pat00026
,
Figure 112009500682723-pat00027
,
Figure 112009500682723-pat00028
)를 포함하는 총 10자로 구성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아래와 같다. 이하에서 순서대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igure 112009500682723-pat00029
(점디귿)은 국제 음성 기호 [ð]와 동일한 음가를 나타내는 새한글의 자음이다. 이것은 윗니와 혀끝 사이에서 발음되는 유성 마찰음으로서 혀끝이 놓이는 위치는 윗니와 아랫니 사이이다. 이러한
Figure 112009500682723-pat00030
(점디귿)은 현용되고 있는 한글 자음 'ㄷ'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수 기호인 '·'(발음점)을 조합하여 표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어 단어 the[ð
Figure 112009500682723-pat00031
]를 종래의 한글로 표기하면 '더'가 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새한글로 표기하면 '·'(발음점)을 추가하여 '
Figure 112009500682723-pat00032
'로 표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리로, then[ðen]을 '
Figure 112009500682723-pat00033
'으로, that[ðæt]을 '
Figure 112009500682723-pat00034
'으로, they[ðei]를 '
Figure 112009500682723-pat00035
'로, this[ðis]를 '
Figure 112009500682723-pat00036
'로 표기할 수 있다. 이로써, 국제 음성 기호 [d]에 해당하는 'ㄷ'과 국제 음성 기호 [ð]에 해당하는
Figure 112009500682723-pat00037
(점디귿)을 명확하게 구별함으로써, 영어 단어의 발음을 더 정확하게 반영하면서도 한국인이 이해하기 쉬운 표기를 할 수 있다. 이때,
Figure 112009500682723-pat00038
나,
Figure 112009500682723-pat00039
에서 볼 수 있듯이, 한글 자음만으로도 하나의 발음을 나타낼 수 있다는 점이 특히 이해되어야 한다(다른 자음도 마찬가지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igure 112009500682723-pat00040
(점쌍디귿)은 국제 음성 기호 [θ]와 동일한 음가를 나타내는 새한글의 자음이다. 이것은 윗니와 혀끝 사이에서 발음되는 무성 마찰음으로서 혀끝이 놓이는 위치와 입 모양은
Figure 112009500682723-pat00041
(점디귿)과 동일하다. 이러한
Figure 112009500682723-pat00042
(점쌍디귿)은 현용되고 있는 한글 자음 '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수 기호인 '·'(발음점)을 조합하여 표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어 단어 thin[θin]을 종래의 한글로 표기하면 '신'이 된다. 하지만, [θ]의 실제 발음은 'ㅅ'과는 상이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새한글에서는 '·'(발음점)을 추가하여 '
Figure 112009500682723-pat00043
'으로 표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리로, thumb[θ
Figure 112009500682723-pat00044
m]을 '
Figure 112009500682723-pat00045
'으로, thank[θæηtk]를 '
Figure 112009500682723-pat00046
'로, thing[θiŋ]을 '
Figure 112009500682723-pat00047
'으로, thumping[θ
Figure 112009500682723-pat00048
mpiŋ]을 '
Figure 112009500682723-pat00049
'으로 표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igure 112009500682723-pat00050
(점리을)은 국제 음성 기호 [r]과 동일한 음가를 나타내는 새한글의 자음이다. 이것은 혀끝을 위로 약간 마는 것처럼 구부린 입 안 공간에서 발음되는 유음(liquid sound)으로서 혀끝은 입 안의 어느 부위에도 닿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Figure 112009500682723-pat00051
(점리을)은 현용되고 있는 한글 자음 'ㄹ'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수 기호인 '·'(발음점)을 조합하여 표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어 단어 real[ri
Figure 112009500682723-pat00052
l]을 종래의 한글로 표기하면 '리얼'이 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새한글에서는 '·'(발음점)을 추가하여 '
Figure 112009500682723-pat00053
'로 표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리로, ready[redi]를 '
Figure 112009500682723-pat00054
'로, rabbit[ræbit]을 '
Figure 112009500682723-pat00055
'으로, rail[reil]을 '
Figure 112009500682723-pat00056
'로, theory[θiː
Figure 112009500682723-pat00057
ri]를 '
Figure 112009500682723-pat00058
'로 표기할 수 있다. 이로써, 국제 음성 기호 [l]에 해당하는 'ㄹ'과 국제 음성 기호 [r]에 해당하는
Figure 112009500682723-pat00059
(점리을)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igure 112009500682723-pat00060
(점비읍)은 국제 음성 기호 [v]와 동일한 음가를 나타내는 새한글의 자음이다. 이것은 윗니와 아랫입술 사이에서 발음되는 유성 마찰음으로서 혀끝이 놓이는 위치는 아랫니와 아랫잇몸 사이이다. 이 러한
Figure 112009500682723-pat00061
(점비읍)은 현용되고 있는 한글 자음 'ㅂ'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수 기호인 '·'(발음점)을 조합하여 표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어 단어 van[væn]을 종래의 한글로 표기하면 '밴'이 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새한글에서는 '·'(발음점)을 추가하여 '
Figure 112009500682723-pat00062
'으로 표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리로, vine[vain]을 '
Figure 112009500682723-pat00063
'으로, venus[viːn
Figure 112009500682723-pat00064
s]를 '
Figure 112009500682723-pat00065
'로, veil[veil]을 '
Figure 112009500682723-pat00066
'로, violin[vai
Figure 112009500682723-pat00067
lin]을 '
Figure 112009500682723-pat00068
'으로 표기할 수 있다. 이로써, 국제 음성 기호 [b]에 해당하는 'ㅂ'과 국제 음성 기호 [v]에 해당하는
Figure 112009500682723-pat00069
(점비읍)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igure 112009500682723-pat00070
(점시옷)은 국제 음성 기호 [∫]와 동일한 음가를 나타내는 새한글의 자음이다. 이것은 혀끝을 위로 약간 마는 것처럼 구부린 입 안 공간에서 발음되는 무성 마찰음으로서 혀끝은 입 안의 어느 부위에도 닿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Figure 112009500682723-pat00071
(점시옷)은 현용되고 있는 한글 자음 'ㅅ'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수 기호인 '·'(발음점)을 조합하여 표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어 단어 she[∫iː]를 종래의 한글로 표기하면 '시'가 된다. 하지만 [∫]의 실제 발음은 'ㅅ'와는 상이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새한글에서는 '·'(발음점)을 추가하여 '
Figure 112009500682723-pat00072
'로 표기하여 한글 자음 'ㅅ'과 명확하게 구별하면서도 국제 음성 기호 [∫]의 음가를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은 원리로, shine[∫ain]을 '
Figure 112009500682723-pat00073
'으로, shade[∫eid]를 '
Figure 112009500682723-pat00074
' 로, shell[∫el]을 '
Figure 112009500682723-pat00075
'로, vacation[veikei∫
Figure 112009500682723-pat00076
n]을 '
Figure 112009500682723-pat00077
'으로 표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igure 112009500682723-pat00078
(점지읒)은 국제 음성 기호 [
Figure 112009500682723-pat00079
]와 동일한 음가를 나타내는 새한글의 자음이다. 이것은 혀끝을 위로 약간 마는 것처럼 구부린 입 안 공간에서 발음되는 유성 마찰음으로서 혀끝이 놓이는 위치와 입 모양은
Figure 112009500682723-pat00080
(점시옷)과 동일하다. 이러한
Figure 112009500682723-pat00081
(점지읒)은 현용되고 있는 한글 자음 'ㅈ'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수 기호인 '·'(발음점)을 조합하여 표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어 단어 usual[juː
Figure 112009500682723-pat00082
u
Figure 112009500682723-pat00083
l]을 종래의 한글로 기재하면 '유주얼'이 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새한글에서는 '·'(발음점)을 추가하여 '
Figure 112009500682723-pat00084
'로 표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리로, vision[vi
Figure 112009500682723-pat00085
n]을 '
Figure 112009500682723-pat00086
'으로, decision[disi
Figure 112009500682723-pat00087
n]을 '
Figure 112009500682723-pat00088
'으로, occasionl[
Figure 112009500682723-pat00089
kei
Figure 112009500682723-pat00090
n]을 '
Figure 112009500682723-pat00091
'으로, television[tel
Figure 112009500682723-pat00092
vi
Figure 112009500682723-pat00093
n]을 '
Figure 112009500682723-pat00094
'으로 표기할 수 있다. 이로써, 국제 음성 기호 [
Figure 112009500682723-pat00186
]에 해당하는 'ㅈ'와 국제 음성 기호 [
Figure 112009500682723-pat00096
]에 해당하는
Figure 112009500682723-pat00097
(점지읒)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igure 112009500682723-pat00098
(점피읖)은 국제 음성 기호 [f]와 동일한 음가를 나타내는 새한글의 자음이다. 이것은 윗니와 아랫입술 사이에서 발 음되는 무성 마찰음으로서 혀끝이 놓이는 위치와 입 모양은
Figure 112009500682723-pat00099
(점비읍)과 동일하다. 이러한
Figure 112009500682723-pat00100
(점피읖)은 현용되고 있는 한글 자음 'ㅍ'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특수 기호인 '·'(발음점)을 조합하여 표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어 단어 fan[fæn]을 종래의 한글로 기재하면 '팬'이 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새한글에서는 '·'(발음점)을 추가하여 '
Figure 112009500682723-pat00101
'으로 표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리로, fall[f
Figure 112009500682723-pat00102
ːl]을 '
Figure 112009500682723-pat00103
'로, fat[fæt]를 '
Figure 112009500682723-pat00104
'로, fail[feil]을 '
Figure 112009500682723-pat00105
'로, family [fæm
Figure 112009500682723-pat00106
li]를 '
Figure 112009500682723-pat00107
'로 표기할 수 있다. 이로써, 국제 음성 기호 [p]에 해당하는 'ㅍ'과 국제 음성 기호 [f]에 해당하는
Figure 112009500682723-pat00108
(점피읖)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igure 112009500682723-pat00109
(점아)는 국제 음성 기호 [ar]와 동일한 음가를 나타내는 새한글의 모음이다. 이것은 혀끝을 위로 약간 마는 것처럼 구부리고 입 모양은 크게 만들고 턱도 많이 내려온 상태로 발음된다. 이때, 혀끝이 입 안의 어느 부위에도 닿지 않은 상태에서 '아∼'처럼 발음하게 된다. 이러한
Figure 112009500682723-pat00110
(점아)는 현용되고 있는 한글 모음 'ㅏ'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수 기호인 '·'(발음점)을 조합하여 표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어 단어 are[aːr]를 종래의 한글로 표기하면 '아'가 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새한글에서는 '·'(발음점)을 추가하여 '
Figure 112009500682723-pat00111
'로 표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리로, arm[aːrm]을 '
Figure 112009500682723-pat00112
'으로, art[aːrt]를 '
Figure 112009500682723-pat00113
'로, article[aːrtikl]을 '
Figure 112009500682723-pat00114
'로, far[faːr]를 '
Figure 112009500682723-pat00115
'로 표기할 수 있다. 이로써, 국제 음성 기호 [a]에 해당하는 'ㅏ'와 국제 음성 기호 [ar]에 해당하는
Figure 112009500682723-pat00116
(점아)를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igure 112009500682723-pat00117
(점어)은 국제 음성 기호 [
Figure 112009500682723-pat00118
r]와 동일한 음가를 나타내는 새한글의 모음이다. 이것은 혀끝을 위로 약간 마는 것처럼 구부리고 입 모양은
Figure 112009500682723-pat00119
(점아)보다 약간 오므린 상태로 발음된다. 이때, 혀끝이 입 안의 어느 부위에도 닿지 않은 상태에서 우리말의 '어∼'처럼 발음하게 된다. 이러한
Figure 112009500682723-pat00120
(점어)는 현용되고 있는 한글 모음 'ㅓ'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수 기호인 '·'(발음점)을 조합하여 표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어 단어 here[hi
Figure 112009500682723-pat00121
r]를 종래의 한글로 기재하면 '히어'가 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새한글에서는 '·'(발음점)을 추가하여 '
Figure 112009500682723-pat00122
'로 표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리로, dear[di
Figure 112009500682723-pat00123
r]를 '
Figure 112009500682723-pat00124
'로, beggar[beg
Figure 112009500682723-pat00125
r]를 '
Figure 112009500682723-pat00126
'로, number[n
Figure 112009500682723-pat00127
mb
Figure 112009500682723-pat00128
r]를 '
Figure 112009500682723-pat00129
'로, farmer[faːrm
Figure 112009500682723-pat00130
r]를 '
Figure 112009500682723-pat00131
'로 표기할 수 있다. 이로써, 국제 음성 기호 [
Figure 112009500682723-pat00132
]에 해당하는 'ㅓ'와 국제 음성 기호 [
Figure 112009500682723-pat00133
r]에 해당하는
Figure 112009500682723-pat00134
(점어)를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igure 112009500682723-pat00135
(점오)은 국제 음성 기호 [
Figure 112009500682723-pat00136
r]와 동일한 음가를 나타내는 새한글의 모음이다. 이것은 혀끝을 위로 약간 마는 것 처럼 구부리고 입 모양은 오므린 상태에서 발음된다. 이때, 혀끝이 입안의 어느 부위에도 닿지 않은 상태에서 우리말의 '오∼'처럼 발음하게 된다. 이러한
Figure 112009500682723-pat00137
(점오)는 현용되고 있는 한글 모음 'ㅗ'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수 기호인 '·'(발음점)을 조합하여 표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어 단어 more[m
Figure 112009500682723-pat00138
ːr]를 종래의 한글로 표기하면 '모'가 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새한글에서는 '·'(발음점)을 추가하여 '
Figure 112009500682723-pat00139
'로 표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리로, born[b
Figure 112009500682723-pat00140
ːrn]을 '
Figure 112009500682723-pat00141
'으로, lord[l
Figure 112009500682723-pat00142
ːrd]를 '
Figure 112009500682723-pat00143
ㄷ(
Figure 112009500682723-pat00144
)'로, morning[m
Figure 112009500682723-pat00145
ːrniŋ]을 '
Figure 112009500682723-pat00146
닝'으로, corner[k
Figure 112009500682723-pat00147
ːrn
Figure 112009500682723-pat00148
r]를 '
Figure 112009500682723-pat00149
'로 표기할 수 있다. 이로써, 국제 음성 기호 [o]에 해당하는 'ㅗ'와 국제 음성 기호 [
Figure 112009500682723-pat00150
r]에 해당하는
Figure 112009500682723-pat00151
(점오)를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새한글 문자의 입력은 아래와 같은 과정에 따라 실제로 수행될 수 있다.
새한글 문자의 입력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입력부(100)의 자판 배열이 이미 공지된 배열 구조 중 하나인 것으로 상정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100)에서 입력되는 새한글 문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입력부(100)의 다수의 자음 키 및 다수의 모음 키 중 'ㄷ', 'ㄸ', 'ㄹ', 'ㅂ', 'ㅅ', 'ㅈ', 'ㅍ', 'ㅏ', 'ㅓ', 'ㅗ'가 할당된 키를 사용자가 연속적으로 선택하는 횟수나 지속적으로 선택한 시간을 기초로 하여, 특수 기호를 각 문자에 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자음이나 상기 모음에 해당하는 키의 선택 횟수나 선택 시간이 일정한 설정치 이상이면, 특수 기호를 조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새한글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일례로, 키의 선택 횟수를 기초로 하여 입력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새한글 자음 7자를 살펴본다. 먼저, 컴퓨터 키보드(100)에서 'ㄷ' 자음 키를 한 번 선택함으로써, 'ㄷ'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ㄷ' 자음 키를 연속으로 선택함으로써 '·'(발음점)이 조합된
Figure 112009500682723-pat00152
(점디귿)을 입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ㄷ' 자음 키를 'Shift' 키를 누른 상태에서 한 번 선택함으로써, 'ㄸ'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Shift' 키를 누른 상태에서 'ㄷ' 자음 키를 연속으로 선택함으로써 '·'(발음점)이 조합된
Figure 112009500682723-pat00153
(점쌍디귿)을 입력할 수 있다.
이 외의 다른 자음인 'ㄹ', 'ㅂ', 'ㅅ', 'ㅈ', 'ㅍ'에 관하여도, 해당되는 자음 키를 위에서와 마찬가지의 요령으로 선택함으로써, '·'(발음점)이 조합된 새한글 자음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키의 선택 횟수를 기초로 하여 입력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새한글 모음 3자를 살펴본다. 모음의 경우에도 위에서와 마찬가지로, 'ㅏ' 모음 키를 한 번 선택함으로써, 'ㅏ'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ㅏ' 모음 키를 연속으로 선택함으로써 '·'(발음점)이 조합된
Figure 112009500682723-pat00154
(점아)를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요령은
Figure 112009500682723-pat00155
(점어)나
Figure 112009500682723-pat00156
(점오)를 입력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상술된 자음 키 및 모음 키의 연속 선택은 n회 이상의 선택일 수 있는데, 여기서, n은 2 이상의 자연수일 수 있다.
또한, 키의 선택 횟수와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키의 선택 지속 시간이 m초 이상인 경우에 새한글 문자가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m은 양의 실수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음만으로 발음을 표기하는 기능을 더 구현할 수 있는데, 입력부(100)의 키 중 보조 키인 'Shift' 키와 띄움 기능 키인 스페이스 바(space bar)를 함께 선택하고, 다수의 자음 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자음을 입력하면, 문자 편집부(200)에서는 상기 자음만으로 발음이 표기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상술된 바와 같이 this[ðis]를 표기하는 경우, '
Figure 112009500682723-pat00157
'가 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ㄷ' 자음 키를 2회 연속 선택함으로써 '·'(발음점)이 조합된
Figure 112009500682723-pat00158
(점디귿)을 입력하고, 모음 'ㅣ'를 입력하여 '
Figure 112009500682723-pat00159
'를 조합할 수 있다.
이어서, 'Shift' 키와 함께 스페이스 바를 선택한 후 'ㅅ'을 선택함으로써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하면서 '
Figure 112009500682723-pat00160
'가 표기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입력부(100)에서 입력되는 새한글 문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표시부(400)에 디스플레이되는 특수 기호 버튼(11)의 입력에 의해 새한글 문자를 표기할 수도 있다. 즉, 한글의 모음 또는 자음을 선택한 후 특수 기호 버튼(11)을 선택함으로써 특수 기호가 조합된 새한글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하나의 예를 들면, 우선, 입력부(100)에서 'ㄷ' 자음 키를 한 번 선택함으로써 'ㄷ'을 입력하고 나서, '·'(발음점)이 할당된 특수 기호 버튼(11)을 선택 키(21)로 선택하여 입력함으로써, 새한글 문자
Figure 112009500682723-pat00161
(점디귿)을 조합할 수 있다.
Figure 112009500682723-pat00162
(점디귿) 외의 다른 새한글 문자도 이상에서와 동일한 원리로 조합할 수 있음은 자명하기 때문에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자음만으로 발음을 표기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기 위해서는, 표시부(400)에 디스플레이되는 키인 초성 띄움 키(12)를 선택 키(22)로 선택하여 입력하고, 다수의 자음 키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하면, 문자 편집부(200)에서는 상기 자음만으로 발음 표기를 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 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특수 기호를 이용하여 새한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편집부(200)에 의해 입력, 편집될 수 있는 새한글 문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편집부(200)에 의해 입력, 편집될 수 있는 새한글 문자의 발음과 활용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100)에서 입력되는 새한글 문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입력부(100)에서 입력되는 새한글 문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주요 도면부호에 관한 간단한 설명>
100: 입력부
200: 문자 편집부
300: 메모리부
400: 표시부
500: 제어부

Claims (8)

  1. 다수의 자음 키와 다수의 모음 키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장치에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자음 키 및 적어도 하나의 모음 키를 선택한 것에 관한 입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음 키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음 키와 연관하여 특수 기호를 입력한 것에 관한 입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음 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음 키 및 상기 특수 기호의 선택 또는 입력에 따라 문자를 조합하여 입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음 키가 한글 자음 'ㄷ', 'ㄸ', 'ㄹ', 'ㅂ', 'ㅅ', 'ㅈ', 'ㅍ' 중 하나에 대응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음 키가 한글 모음 'ㅏ', 'ㅓ', 'ㅗ' 중 하나에 대응되며,
    상기 문자 입력 장치는 초성 띄움 키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초성 띄움 키가 선택된 후 상기 다수의 자음 키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하나의 자음 키에 대응되는 자음만으로 구성된 문자를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기호는 사용자가 소정의 키를 연속적으로 선택한 횟수 또는 소정의 키를 지속적으로 선택한 시간에 기초하여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기호는 '·'(발음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된 문자는
    Figure 112009500682723-pat00163
    (점디귿),
    Figure 112009500682723-pat00164
    (점쌍디귿),
    Figure 112009500682723-pat00165
    (점리을),
    Figure 112009500682723-pat00166
    (점비읍),
    Figure 112009500682723-pat00167
    (점시옷),
    Figure 112009500682723-pat00168
    (점지읒),
    Figure 112009500682723-pat00169
    (점피읖),
    Figure 112009500682723-pat00170
    (점아),
    Figure 112009500682723-pat00171
    (점어),
    Figure 112009500682723-pat00172
    (점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Figure 112009500682723-pat00173
    (점디귿)은 국제 음성 기호 [ð]와 동일한 음가를 나타내고,
    상기
    Figure 112009500682723-pat00174
    (점쌍디귿)은 국제 음성 기호 [θ]와 동일한 음가를 나타내며,
    상기
    Figure 112009500682723-pat00175
    (점리을)은 국제 음성 기호 [r]과 동일한 음가를 나타내고,
    상기
    Figure 112009500682723-pat00176
    (점비읍)은 국제 음성 기호 [v]와 동일한 음가를 나타내며,
    상기
    Figure 112009500682723-pat00177
    (점시옷)은 국제 음성 기호 [∫]와 동일한 음가를 나타내고,
    상기
    Figure 112009500682723-pat00178
    (점지읒)은 국제 음성 기호 [
    Figure 112009500682723-pat00179
    ]와 동일한 음가를 나타내며,
    상기
    Figure 112009500682723-pat00180
    (점피읖)은 국제 음성 기호 [f]와 동일한 음가를 나타내고,
    상기
    Figure 112009500682723-pat00181
    (점아)는 국제 음성 기호 [ar]와 동일한 음가를 나타내며,
    상기
    Figure 112009500682723-pat00182
    (점어)는 국제 음성 기호 [
    Figure 112009500682723-pat00183
    r]와 동일한 음가를 나타내고,
    상기
    Figure 112009500682723-pat00184
    (점오)는 국제 음성 기호 [
    Figure 112009500682723-pat00185
    r]와 동일한 음가를 나타내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 장치는 보조 키와 띄움 기능 키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보조 키와 상기 띄움 기능 키가 동시에 선택된 후 상기 다수의 자음 키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하나의 자음 키에 대응되는 자음만으로 구성된 문자를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7. 삭제
  8. 문자 입력 장치로서,
    다수의 자음 키와 다수의 모음 키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자음 키 및 적어도 하나의 모음 키를 선택한 것에 관한 입력 정보를 획득하며, 사용자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음 키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음 키와 연관하여 특수 기호를 입력한 것에 관한 입력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입력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음 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음 키 및 상기 특수 기호의 선택 또는 입력에 따라 문자를 조합하여 입력하기 위한 문자 편집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음 키가 한글 자음 'ㄷ', 'ㄸ', 'ㄹ', 'ㅂ', 'ㅅ', 'ㅈ', 'ㅍ' 중 하나에 대응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음 키가 한글 모음 'ㅏ', 'ㅓ', 'ㅗ' 중 하나에 대응되며,
    초성 띄움 키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초성 띄움 키가 선택된 후 상기 다수의 자음 키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하나의 자음 키에 대응되는 자음만으로 구성된 문자를 입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KR1020090013537A 2008-02-18 2009-02-18 특수 기호를 이용하여 새한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4009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4540 2008-02-18
KR20080014540 2008-0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9272A KR20090089272A (ko) 2009-08-21
KR101400934B1 true KR101400934B1 (ko) 2014-06-02

Family

ID=41207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3537A KR101400934B1 (ko) 2008-02-18 2009-02-18 특수 기호를 이용하여 새한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09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7897A (ko) * 2021-07-06 2023-01-13 이옥재 세계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0112A (ko) * 2001-10-04 2001-11-14 서정수 국제 한글 음성 기호 입/출력법
KR20020051651A (ko) * 2000-12-23 2002-06-29 정창 자동자모음구별 한글입력 방법 및 장치
KR20030070802A (ko) * 2002-02-26 2003-09-02 이일성 영어의 정확한 한글음역표기방법
KR20060079291A (ko) * 2004-12-30 2006-07-06 황경부 문자 입력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1651A (ko) * 2000-12-23 2002-06-29 정창 자동자모음구별 한글입력 방법 및 장치
KR20010100112A (ko) * 2001-10-04 2001-11-14 서정수 국제 한글 음성 기호 입/출력법
KR20030070802A (ko) * 2002-02-26 2003-09-02 이일성 영어의 정확한 한글음역표기방법
KR20060079291A (ko) * 2004-12-30 2006-07-06 황경부 문자 입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9272A (ko) 2009-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33313B2 (ja) 中国語方言判断プログラム
ES2375283T3 (es) Procedimiento para deletreo nemotécnico genérico.
EP1096472A2 (en) Audio playback of a multi-source written document
US2013019111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Transcribing or Transliterating to an Iconphonological Orthography
KR101936208B1 (ko) 현대 한국어에서 대표할 수 있는 발음으로 중국 전통 음운학 사호이론에 부합하는 중성자모체계와 한글 합자법을 활용한 중문표기 제공방법 및 시스템
Třísková The structure of the mandarin syllable: why, when and how to teach it
JP2015036788A (ja) 外国語の発音学習装置
KR101400934B1 (ko) 특수 기호를 이용하여 새한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10094422A (ko) 스피치 애니메이션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50127352A1 (en) Methods, Systems, and Tools for Promoting Literacy
JP2008009507A (ja) 外国語の発音のカタカナ表記方法
KR20190023042A (ko) 외국어 발음 한글 표기 방법 및 시스템
KR101554619B1 (ko) 터치 스크린을 활용한 어학 학습 시스템 및 어학 학습 방법
JP3762300B2 (ja) テキスト入力処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220030664A (ko)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한글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KR102236440B1 (ko) 1음절 한글 학습 방법 및 그 장치
Williams Welsh letter-to-sound rules: rewrite rules and two-level rules compared
KR102016805B1 (ko) 평면 배열 기반 중국어 사전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JP6340839B2 (ja) 音声合成装置、合成音声編集方法及び合成音声編集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2307712B (zh) 文本评价装置和方法以及存储介质和计算机装置
KR20190000338U (ko) 한글 음소 학습용 교재
KR20230007897A (ko) 세계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40071045A (ko) 알파벳 음소 인지 훈련 시스템 및 방법
Templin The Devanagari Script
KR101645420B1 (ko) 터치 기반의 옛 한글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 장치 및 상기 터치스크린 장치의 터치 기반의 옛 한글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