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6805B1 - 평면 배열 기반 중국어 사전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평면 배열 기반 중국어 사전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6805B1
KR102016805B1 KR1020170142487A KR20170142487A KR102016805B1 KR 102016805 B1 KR102016805 B1 KR 102016805B1 KR 1020170142487 A KR1020170142487 A KR 1020170142487A KR 20170142487 A KR20170142487 A KR 20170142487A KR 102016805 B1 KR102016805 B1 KR 102016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nese
dictionary
information
pronunciation
kanj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2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8021A (ko
Inventor
신부용
Original Assignee
신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부용 filed Critical 신부용
Priority to KR1020170142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6805B1/ko
Publication of KR20190048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8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6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6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273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7Query processing with adaptation to user needs
    • G06F16/24578Query processing with adaptation to user needs using ra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31Query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평면 배열 기반 중국어 한자 사전 제공 방법 및 그 장치가 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 배열 기반 중국어 사전 제공 방법은 중국어 한자의 발음에 대한 입력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단계; 상기 입력 정보를 상기 중국어의 음절에 대한 정보가 모음과 자음의 평면배열 구조로 기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검색단계;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수록된 정보를 바탕으로 중국어 음절표를 출력하는 출력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평면 배열 기반 중국어 사전 제공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HINESE DICTIONARY BASED ON PLANE DEPLOYMENT}
아래의 실시예들은 평면 배열 기반 중국어 사전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중국어 사전은 글자를 부수(部首)와 획수(劃數)로 정렬해 놓은 '옥편'을 사용했지만 로마자 병음이 공식화 된 이후에는 통상 어휘의 발음을 병음으로 표기하게 되었고 병음 표기의 알파벳 순으로 배열하여 만든 사전이 통용되고 있다.
하지만, 중국어 사전에서는 영어사전에서 처럼 모든 어휘가 알파벳 순으로 배열되는 것이 아니라 먼저 한자(漢字)를 발음순으로 배치하고 각 한자별로 그 글자로 시작되는 어휘를 다시 발음순으로 배열하는 2단식 배열(Lexicographic)을 보인다. 따라서, 사전에서 어떤 어휘를 찾으려면 우선 그 어휘의 첫 글자를 찾고 그 글자 영역 내에서 원하는 어휘를 찾아야 한다. 이는 마치 집을 찾아갈 때 단독주택이라면 주소만을 갖고 찾지만 아파트 촌에서는 우선 아파트 동수를 먼저 찾고 그 동 안에서 호수를 찾아내는 것에 비유할 수 있다.
여기서 아파트 동수는 어휘의 첫글자이고 호수는 이 첫글자로 시작되는 어휘들이다. 그런데 보통 사전에 실어야 할 한자의 수는 10만자 정도이고 이들은 전부 417개의 음절로 표기되므로 같은 음절의 글자가 평균 240개 이며 이보다 훨씬 많은 경우도 많다. 아파트촌의 사례로 설명하면 같은 번호를 갖는 동이 200채가 넘는 것이다. 이 중 하나를 찾아 그 안으로 들어가서 호수를 찾아내야 한다. 중국어 한자는 4가지 성조와 성조가 없는 무성어가 있어 모두 5개의 성조로 나뉘는데 이들 200채의 아파트가 5열로 정렬되어 있는 셈이다. 요약하면 사전에서 어휘 愛人(
Figure 112017107311892-pat00001
ren) 을 찾아 내려면
1) 음절 ai 를 찾음. Ai는 417개 음절 중 2번째 음절임.
2) 愛는 4성이므로 음절 ai 로 발음되는 글자 중 4성의 위치를 찾아 감
3)
Figure 112017107311892-pat00002
(4성) 발음의 글자 중 획수로 정렬 된 愛를 찾고
4) 愛로 시작 되는 어휘 愛人을 찾아 냄. 이들은 모두 알파벳, 성조, 획수 등에 따라 일렬로 선형식(線形式)으로 정렬되어 있으므로 하나씩 순서대로 살펴나가야 하며 만일 놓쳐서 찾아내지 못하면 처음자리로 돌아가 다시 하나씩 살펴봐야 한다.
본 발명은 먼저 417개 음절 중 원하는 음절로 직접 접근하여 찾고, 음절을 찾으면 그 안에서 원하는 글자를 빠르게 찾아 내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중국어의 한자를 417개의 음절로 분류하고 같은 음절의 한자를 하나의 표에 배열하되 이 표를 4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각 영역 안에 동일한 성조의 한자를 배열하여 '음절표'를 형성하고 이와 병행하여 모음과 자음의 평면배열 구조의 소리지도를 제공하여 상기한 음절표를 소리지도에 배열함으로써,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중국어 음절표를 빠르게 검색하고 나서 다시 이 음절표에서 원하는 한자를 한눈으로 찾아내어 제공할 수 있는 평면 배열 기반 중국어 사전 제공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중국어의 발음을 표기하거나 말하여 그 음성을 인식하여 쉽게 찾는새로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배열 기반 중국어 사전 제공 방법은 중국어한자의 발음에 대한 입력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단계; 상기 입력 정보를 상기 중국어의 음절에 대한 정보가 모음과 자음의 평면배열 구조로 기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검색단계;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수록된 정보를 바탕으로 중국어 음절표를 출력하는 출력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중국어의 음절에 대한 정보는 음가에 의해 모음과 자음이 배치된 평면배열 구조의 소리지도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중국어의 음절에 대한 정보는 훈민정음의 제자원리(制字原理)가 적용된 평면배열 구조의 소리지도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입력단계는 상기 중국어 한자의 중국어 발음 또는 한국어 한자 발음을 문자로 입력 받아 한글로 표기하거나 로마자 병음으로 표기할 수 있다.
상기 입력단계는 상기 중국어 한자의 발음 또는 한국어 한자 발음을 음성으로 입력 받고, 상기 음성을 인식하여 한글로 표기하거나 로마자 병음으로 표기할 수 있다.
상기 입력단계는 음절을 각 18개의 자음(ㄱ, ㅋ, ㄴ, ㄷ, ㅌ, ㄹ, ㄹㄹ(l), ㅁ, ㅂ, ㅇㅍ(f), ㅍ, ㅇ, ㅅ, ㅅㄹ(sh), ㅈ, ㅈㄹ(zh), ㅊ, ㅊㄹ(ch), ㅎ)과 6개의 모음(ㅏ, ㅓ, ㅗ, ㅜ, ㅟ, ㅣ)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한글로 표기할 수 있다. 이들 24개 자모는 훈민정음의 병서 원리로 조합함으로서 중국어 병음의 22개 성모와 34개의 운모를 완벽하게 1:1로 대응시켜 한글표기와 병음표기간의 상호 전사(轉寫)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검색단계는 상기 입력 정보를 이전 검색 기록 및 사용자가 저장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나의 사전에서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정보를 상기 중국어의 음절에 대한 정보가 상기 평면배열 구조로 기 저장된 종합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단계는 상기 입력 정보가 상기 나의 사전에서 검색되는 경우, 검색된 상기 중국어 음절표를 출력하며, 상기 입력 정보가 상기 나의 사전에서 검색되지 않는 경우 상기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종합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된 상기 중국어 음절표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나의 사전은 상기 입력 정보가 우선적으로 검색되는 적어도 한번 이상 검색된 정보를 별도로 보관하는 장소이며, 상기 입력 정보가 검색될 때마다 검색 빈도수를 갱신(update)하여 빈도수가 높은 정보가 먼저 접근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중국어 음절표는 동일 음절의 중국어 한자를 성조에 따라 분류하여 제시하고, 상기 중국어 한자를 한국어 발음과 중국어 성조에 따라 재분류하여 제시하며, 상기 중국어의 번체자와 한국어 뜻 및 영어 뜻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배열 기반 중국어 사전 제공 장치는 중국어한자의 발음에 대한 입력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 정보를 상기 중국어의 음절에 대한 정보가 모음과 자음의 평면배열 구조로 기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검색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수록된 정보를 바탕으로 중국어 음절표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중국어의 음절에 대한 정보는 음가에 의해 모음과 자음이 배치된 평면배열 구조의 소리지도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중국어의 음절에 대한 정보는 훈민정음의 제자원리(制字原理)가 적용된 평면배열 구조의 소리지도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상기 중국어 한자의 중국어 발음 또는 한국어 한자 발음을 문자로 입력 받아 한글로 표기하거나 로마자 병음으로 표기할 수 있으며, 상기 중국어한자의 발음 또는 한국어 한자 발음을 음성으로 입력 받고, 상기 음성을 인식하여 한글로 표기하거나 로마자 병음으로 표기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음절을 각 18개의 자음(ㄱ, ㅋ, ㄴ, ㄷ, ㅌ, ㄹ, ㄹㄹ(l), ㅁ, ㅂ, ㅇㅍ(f), ㅍ, ㅇ, ㅅ, ㅅㄹ(sh), ㅈ, ㅈㄹ(zh), ㅊ, ㅊㄹ(ch), ㅎ)과 6개의 모음(ㅏ, ㅓ, ㅗ, ㅜ, ㅟ, ㅣ)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한글로 표기할 수 있다.
상기 검색부는 상기 입력 정보를 이전 검색 기록 및 사용자가 저장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나의 사전; 및 상기 입력 정보를 상기 중국어의 음절에 대한 정보가 상기 평면배열 구조로 기 저장된 종합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입력 정보가 상기 나의 사전에서 검색되는 경우 검색된 상기 중국어 음절표를 출력하며, 상기 입력 정보가 상기 나의 사전에서 검색되지 않는 경우 상기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종합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된 상기 중국어 음절표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나의 사전은 상기 입력 정보가 우선적으로 검색되는 적어도 한번 이상 검색된 정보를 별도로 보관하는 장소이며, 상기 입력 정보가 검색될 때마다 검색 빈도수를 갱신(update)하여 빈도수가 높은 정보가 먼저 접근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중국어 음절표는 동일 발음의 중국어 한자를 성조에 따라 분류하여 제시하고, 상기 중국어를 한국어 발음과 성조에 따라 재분류하여 제시하며, 상기 중국어 한자의 번체자와 한국어 뜻 및 영어 뜻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중국어의 한자를 417개의 음절로 분류하고 같은 음절의 한자를 하나의 표에 배열하되 이 표를 4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각 영역 안에 동일한 성조의 한자를 배열하여 '음절표'를 형성하고 이와 병행하여 모음과 자음의 평면배열 구조의 소리지도를 제공하여 상기한 음절표를 소리지도에 배열함으로써,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중국어 음절표를 빠르게 검색하고 나서 다시 이 음절표에서 원하는 한자를 한눈으로 찾아내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중국어 음절표를 빠르게 검색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음절표에 평면 배치된 한자를 한눈에 찾아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평면배열 구조의 소리지도에 대한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배열 기반 중국어 사전 제공 장치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배열 기반 중국어 사전 제공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된 중국어 음절표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기술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사전은 어휘를 일렬(一列)로 나열하여 놓고 사용자가 차례로 훑어보도록 한다. 이는 마치 군중 속에서 특정 인사를 찾으려 할 때 그 군중을 일렬로 세워놓고 한 사람씩 살펴 찾아내는 것에 비할 수 있다. 살펴보아야 할 대상이 클 경우 이러한 방법으로는 많은 시간을 요할 것이므로 그 군중을 일정수의 반(班)으로 나누어 적당 수의 열을 만들면, 즉 선형배열(線型配列) 대신에 평면배열(平面配列) 시켜 놓으면 한 눈에 여러 명을 살펴 볼 수 있어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처럼 중국어의 음절에 대한 정보를 모음과 자음의 평면배열 구조로 미리 저장함으로써, 사용자의 음성 또는 문자 입력에 의해 정보에 대응하는 중국어 음절표를 빠르게 검색하여 검색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기존의 중국어 사전은 한자나 어휘를 병음의 알파벳 순으로 배열한다. 중국어 병음은 발음표기로서 문제점이 있어 알파벳 순으로 배열할 경우 실제로는 비슷한 소리의 글자가 서로 떨어져 배열되어 발음이 아니라 글자에 의해 찾게 된다. 예를 들어, ji와 zi의 음가는 비슷한데 알파벳 순으로 배열 해 놓으면 멀리 떨어져 있게 되어 검색할 때 옆에 놓고 비교해 볼 수가 없다. ci와 qi, si와 xi 도 마찬가지이며 모음에 있어서도 ang yang 은 음가로 보면 가까운데 알파벳 순으로는 멀리 떨어지게 된다. 이렇게 음가에 의해 글자를 배치한다면 '소리지도'를 그릴 수 있게 되며 이 소리지도에서는 가까운 음가의 글자를 바로 옆에서 찾아 비교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는 훈민정음의 자음이 발음 부위에 따라 아설순치후로 구분되는 원리를 적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평면배열 구조의 소리지도를 이용함으로써, 검색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 때, 소리지도는 병음 보다는 IPA 표기에 의해 만들 수 있을 것이나 IPA는 140개가 넘는 글자를 사용하기 때문에 오히려 난해해 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훈민정음의 조어원리에 입각하여 소리지도를 만들어서 사용할 수 있다.
물론, 한글로는 발음을 정확히 표기하지 못하는 중국어 발음이 있어 이를 표기하는 방법이 함께 제시되어야 하며, 본 발명은 이를 위해 훈민정음의 제자원리(制字原理)를 적용하여 아래 새로운 한글표기를 도입한다.
ji qi xi = 지치씨 ; zi ci si = 즈츠쓰 ; zh ch sh = 즈르 츠르 스르
a = 아 ; wa = 와 ; yu = 위
ga = 가, ka = 카 ; da = 다, ta = 타 ; ra = 라, la = ㅏ
ba = 바, fa = ㅏ, pa = 파
이런 원리로 소리지도를 만들면 종축과 횡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8개의 자음(ㄱ, ㅋ, ㄴ, ㄷ, ㅌ, ㄹ, ㄹㄹ(l), ㅁ, ㅂ, ㅇㅍ(f), ㅍ, ㅇ, ㅅ, ㅅㄹ(sh), ㅈ, ㅈㄹ(zh), ㅊ, ㅊㄹ(ch), ㅎ)과 6개의 모음(ㅏ, ㅓ, ㅗ, ㅜ, ㅟ, ㅣ)을 가지는 평면배열 구조의 소리지도를 만들 수 있다. 이들 24개 자모는 훈민정음의 병서 원리로 조합함으로서 중국어 병음의 22개 성모와 34개의 운모를 완벽하게 1:1로 대응시켜 한글표기와 병음표기간의 상호 전사(轉寫)를 가능하게 한다
이렇게 평면배열 구조의 소리지도를 이용하게 되면 등급별 글자 수록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등급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전에 많은 글자를 수록할 경우 사전이 비대해져 사용이 거추장스러워지며 반대로 너무 적은 수의 글자를 수록하면 찾으려는 글자를 찾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사용목적과 사용자의 한자실력을 감안하여 다음과 같은 등급으로 나누어 데이터베이스(DB)를 정리하여 놓고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1. 학습 초보자용: HSK 1,2,3 급 한자만을 수록.
2. 학습 중급자용: HSK 1-6 급과 상용한자 등을 포함하여 5,000글자 수록.
3. 일반 생활인용: 신문, 잡지에 사용되는 시사용어, 신조어 등 추가수록
4. 전문가 및 한학자용: 전문용어 및 고전에 사용되는 어휘 등 추가수록
물론, 등급은 상황에 따라 다르게 나눠질 수도 있으며, 각 등급에 따라 제공되는 데이터베이스 또한 다르게 정리될 수도 있으며 어떤 경우에도 나의사전이 포함되어 개개인을 위한 사전이 제공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평면배열 구조의 소리지도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중국어 발음에 대한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중국어 음절표를 빠르게 검색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중국어 발음에 대한 입력 정보가 입력되면 평면배열 구조의 소리지도에서 찾고자 하는 어휘의 첫 글자의 음절을 찾는다. 현재 쓰고 있는 방법은 병음을 입력하거나 글자의 모양을 그려서 찾는다. 이러한 방법은 물론 유효하지만, 이보다는 음성이나 한글에 의한 발음표기로 찾을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발음에 의한 방법을 쓸 경우 일반 전자지도에서처럼 지도상에 위치가 지정되며 그 위치의 음절이 찾고 있는 음절이라면 이를 클릭하여 확정하고 확신이 서지 않으면 그 주변을 탐색하여 유사한 음가의 음절 중에서 찾아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우' 라고 말하거나 한글로 '조우'라고 글자로 써서 입력하면 소리지도에서 커저(cursor)가 도 1에 도시된 소리지도의 좌표 [15.자 + c.오] 가 만나는 '조우(zou)'를 가르킬 것이며 이것이 찾는 음절이라면 클릭하고 아니면 부근에 있는 ㅈ로우(zhou) ㅊ로우(chou) 혹은 '즈(zi)'나 종(jong) 등을 둘러보며 선택한 후 클릭함으로써, 찾는 음절을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음절이 결정되면, 자동적으로 성조별로 정리해 놓은 십자(十字) 음절표가 뜨고 음절표에서 한자를 찾아 주어진 정보(성조, 한국어 뜻, 영어 뜻, HSK 등급, 번체자가 있을 경우 번체자)를 알아볼 수 있게 되며 더 많은 정보가 필요하면 그 글자를 클릭하여 활용 단어, 문장 등을 찾아 볼 수 있게 된다. 글자를 결정 한 다음에는 이미 온라인으로 준비되어 있는 사전과 연결시켜 줌으로써, 더욱 많은 정보를 찾을 수 있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출력된 중국어 음절표의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중국어는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인구가 사용하고 있고 국제적인 사용에 있어서도 영어에 버금가는 중요한 언어로 대두되고 있지만 중국어 학습에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중국어는 다른 언어에 비해 몇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어 이를 이해하면 보다 쉽게 중국어를 습득할 수 있다.
첫째, 중국어에서 사용되는 중국어 한자의 수는 매우 많다는 것이다. 다행히 중국어 한자의 수는 많지만 발음은 417개의 음절로 나뉘어 있으므로, 이를 활용하면 초보자들도 보다 쉽게 찾아내 그 뜻과 발음, 그리고 성조까지 알아낼 수 있도록 평면배열 구조의 소리지도를 이용함으로써, 중국어를 빠르고 쉽게 찾아낼 수 있는 방법을 만들 수 있다. 이에 따라 평면배열 구조의 소리지도로 발음의 글자를 배열하여 뜻과 성조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 彩의 발음인 '차이(cai)'의 글자에 대한 각종 정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국어 음절표 'cai'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중국어 음절표는 글자에 대한 각종 정보를 나타내는 하나의 예시로, 글자에 대한 각종 정보를 제시하는 형태 및 구성은 변경될 수 있다.
둘째, 중국어에서 중국어 한자는 각기 뜻을 가지고 있으며, 그 뜻을 활용하여 모든 어휘가 형성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글자의 뜻을 알고 나면 중국어를 습득하기 쉬워진다. 한국사람들은 글자의 음과 뜻이 별도로 있어 글자를 배울 때 뜻까지 배우는 것이 일반적인 반면, 미국 등 제3 국에서는 물론 중국에서조차 이러한 습득 방법은 볼 수 없다. 따라서 이들에게도 글자의 뜻을 배우도록 하는 기회를 부여해 주면 중국어를 보다 쉽게 배울 수 있게 될 것이다.
셋째, 중국어에서 글자들은 5개의 성조 중 하나를 선택하여 발음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중국어를 배우려면 글자의 성조를 습득해야 하는데 성조 습득은 많이 듣거나 혹은 글자를 적으면서 익숙해지는 것 외에 별다른 방법이 없다. 따라서 이렇게 쉽지 않은 성조 습득 방법 이외에 시각적 효과를 이용하여 보다 쉽게 친숙해지는 방법을 제공한다면 중국어 학습이 한층 쉬워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음절표는 상기의 세 가지 특징을 이용하여 (1)중국어 한자를 쉽게 찾아, (2)뜻과 (3)성조를 보다 쉽게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중국어 음절표를 활용하여 글자의 발음이나 뜻 중 하나만 아는 경우, 이를 병음은 물론 한글로 입력하거나 음성으로 입력하여 검색할 수 있으며, 글자의 뜻도 한국어뿐 아니라 영어의 뜻을 이용하여 검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중국어 음절표는 중국어를 4개 상한(2x2)으로 구성된 표에 성조 순으로 배열하여 시각적으로 성조를 보고 익힐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다.
예를 들어, 중국어 음절표에 제시된 정보는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1) 차이(Cai) 발음의 모든 중국어 한자를 성조별로 제시
2) 이들 글자의 번체자
3) 한국어 뜻(彩: 무늬)
4) 영어 뜻(彩: color)
5) 차이(Cai) 발음을 가진 다른 漢字들의 한국어 발음
예컨대, 중국어 자를 검색하고자 할 경우 발음 'cai'를 로마자나 혹은 한글로 '차이'라고 입력하거나, 한국어 뜻인 '재물'이나 영어 뜻인 wealth를 로마자로 입력, 또는 한글로 '웰뜨(또는 웰ㄸ, 웰쓰, 웰ㅆ, 웰스도 무방, 아래에서는 '웰뜨'라 하기로 함)'라고 입력함으로써, 중국어 음절표가 출력되어 2 상한에서 자를 찾게 되며, 글자를 지정(click)하여 활용어휘를 찾아 본다든지 혹은 온라인 사전에 직접 접속시킬 수 있다. 한편, 자의 한국어 발음인 '재'를 한글로 입력하거나 음성으로 입력해도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중국어 음절표를 활용하여 자가 2 상한에 있으므로 2성임을 알게 되고, 글자의 뜻은 '재물', 영어로는 wealth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동시에, cai의 발음을 갖는 다른 글자들을 성조별로 보게 되어 다른 글자와 이들의 성조를 익힐 수 있다. 는 한국어로는 ‘재’라는 것과 다른 재자들(載 材 才)도 중국어로 cai라는 사실과, 한국어로 채(菜 彩 菜 蔡)자들도 중국어로 cai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한국어로 ‘채’나 ‘재’자는 중국어로 '차이'로 읽는다는 것을 알게 되며 그들의 성조를 알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와 방법에 대해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배열 기반 중국어 사전 제공 장치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평면배열 기반 중국어 사전 제공 장치(200)는 입력부(210), 검색부(220), 수정 보완부(230), 그리고 출력부(240)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210)는 중국어 사전에서 해당 중국어 한자의 정보를 찾기 위해 중국어 음절표에 수록 된 정보, 즉, 중국어의 발음에 대한 입력 정보가 입력될 수 있으며, 상기의 입력 정보는 문자 또는 음성으로 입력될 수 있다. 입력부(210)는 문자 입력부(211)와 음성 입력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문자 입력부(211)는 한글 등을 문자로 입력하는 장치가 될 수 있고, 음성 입력부(21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언어의 음성을 인식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문자 입력부(211)는 중국어 한자의 중국어 발음 또는 한국어 한자 발음을 문자로 입력 받아 한글로 표기할 수 있다. 또한, 음성 입력부(212)는 중국어 한자의 발음 또는 한국어 한자(漢字) 발음을 음성으로 입력 받고, 입력 받은 음성을 인식하여 한글로 표기할 수 있다.
문자 입력부(211)는 한글 자모 입력이 가능하며, 음성 입력부(212)는 한국어나 영어, 혹은 다른 지정된 언어로 음성이 입력되면 이를 '소리 나는 대로' 인식하여 한글로 표기하거나 인식된 음성을 분석하여 대응하는 한글로 표기할 수 있다. 이 때, 인식된 음성을 분석하는 경우에는 검색부(220)에 있는 종합 데이터베이스(DB)에 해당 분석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해야 한다.
여기서,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은 음절을 각 18개씩의 자음(ㄱ, ㅋ, ㄴ, ㄷ, ㅌ, ㄹ, ㄹㄹ(l), ㅁ, ㅂ, ㅇㅍ(f), ㅍ, ㅇ, ㅅ, ㅅㄹ(sh), ㅈ, ㅈㄹ(zh), ㅊ, ㅊㄹ(ch), ㅎ)과 6개의 모음(ㅏ, ㅓ, ㅗ, ㅜ, ㅟ, ㅣ)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한글로 표기되며 코드화될 수 있다.
검색부(220)는 입력 정보를 중국어 한자의 음절에 대한 정보가 모음과 자음의 평면배열 구조의 소리지도로 기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는 종합 데이터베이스 및 나의 사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검색부(220)는 입력 정보를 검색하는 이전 검색 기록 및 사용자가 저장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나의 사전 및 입력 정보를 검색하는 중국어의 음절에 대한 정보가 평면배열 구조의 소리지도로 기 저장된 종합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정보가 나의 사전에서 검색되는 경우, 나의 사전의 검색 정보를 바탕으로 중국어 음절표가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입력 정보가 나의 사전에서 검색되지 않는 경우, 입력 정보에 따라 종합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종합 데이터베이스의 검색 정보를 바탕으로 중국어 음절표가 출력될 수 있다.
나의 사전은 입력 정보가 우선적으로 검색되는 적어도 한번 이상 검색된 정보를 별도로 보관하는 장소이며, 수정 보완부(230)에서 입력 정보가 검색될 때마다 검색 빈도수를 갱신(update)하여 빈도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빈도수보다 높은 정보가 먼저 접근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수정 보완부(230)는 입력 정보가 종합 데이터베이스에 검색되지 않는 경우, 나의 사전에 사용자가 직접 정보를 추가함으로써 다음 검색부터는 추가된 정보가 검색되도록 할 수 있다.
출력부(240)는 데이터베이스의 수록된 정보를 바탕으로 중국어 음절표가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중국어 음절표는 중국어의 중국어 표기, 성조, 발음,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언어로 풀이된 뜻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언어로 풀이된 뜻은 한국어로 풀이된 뜻, 영어로 풀이된 뜻, 또는 제3 언어로 풀이된 뜻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중국어 음절표는 동일 발음의 중국어를 성조에 따라 분류하여 제시하고, 중국어를 한국어 발음과 성조에 따라 재분류하여 제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중국어의 번체자와 한국어 뜻 및 영어 뜻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종합 데이터베이스는 중국어를 활용하는 어휘군 및 용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기 저장되며, 중국어 음절표에 제시된 중국어를 지정하여 클릭(Click)하는 경우, 종합 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된 중국어를 활용하는 어휘군 및 용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검색되어 제시될 수 있다.
또한, 중국어 음절표에 제시된 중국어를 지정하여 클릭(Click)하는 경우, 공개된 온라인 사전에 접속되어 검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평면배열 구조의 소리지도를 이용하여 중국어 한자의 발음에 대응하는 음절표를 빠르게 검색하고 출력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중국어 한자를 빠르고 용이하게 찾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한글 기반의 만국어 발음표기 시스템(Hangul-base Universal Phonetic System; HUPS)을 사용하여 한글을 표기함으로써, 한글을 기존 24자에 국한하지 않고 훈민정음 원리인 병서(음소를 병립시켜 합성음을 표기하는 것으로 ㄲ, ㅉ, ㅄ ㄳ 등이 사례)를 사용하여 현행 한글에서 쓰지 않는 발음도 표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배열 기반 중국어 사전 제공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2에서 설명한 평면배열 기반 중국어 사전 제공 장치를 이용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여기서, 평면배열 기반 중국어 사전 제공 장치(200)는 입력부(210), 검색부(220), 수정 보완부(230), 그리고 출력부(240)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단계(S310)에서 입력부(210)를 통해 검색할 문자(또는 글자)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입력부(210)는 중국어 사전에서 중국어를 찾기 위해 중국어 한자의 발음에 대한 입력 정보가 입력될 수 있으며, 상기의 입력 정보는 문자 또는 음성으로 입력될 수 있다. 입력부(210)는 문자 입력부(211)와 음성 입력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문자 입력부(211)는 한글과 로마자를 입력하는 장치가 될 수 있고, 음성 입력부(212)는 음성을 인식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문자 입력부(211)를 통해 중국어 한자의 중국어 발음 또는 한국어 한자 발음을 문자로 입력 받아 한글 또는 로마자 병음으로 표기(S340)하거나, 음성 입력부(212)를 통해 검색할 글자의 음성을 입력 받을 수도 있다.
단계(S320)에서, 음성 입력부(212)를 통해 중국어의 발음 또는 한국어 한자 발음을 음성으로 입력 받을 수 있다. 이에, 입력 받은 음성을 인식(S330)하고, 인식된 음성을 한글로 표기(S340)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 입력부(212)는 한국어나 영어, 혹은 다른 지정된 언어로 음성이 입력되면 이를 '소리 나는 대로' 인식하여 한글로 표기하거나 인식된 음성을 분석하여 대응하는 한글로 표기할 수 있다. 이 때, 인식된 음성을 분석하는 경우에는 검색부(220)에 있는 종합 데이터베이스(DB)에 해당 분석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해야 한다.
한글은 현재의 표준 한글을 확장하여 만든 한글 기반의 만국어 발음표기 시스템(Hangul-base Universal Phonetic System; HUPS)이 될 수 있다. 한글 기반의 만국어 발음표기 시스템(HUPS)은 각 10개씩의 자음(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ㅈ, ㅊ, ㅎ, ㅇ)과 10개의 모음(ㅣ, ㅏ, ㅓ, ㅡ, ㅗ, ㅜ, ㅐ, ㅔ, ㅚ, ㆍ)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면 어떤 발음이라도 10진법으로 수치화 하여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ㅋ = ㄱ + ㅎ', 'ㅌ = ㄷ + ㅎ'으로 표기할 수 있으며, 우리말에는 없는 발음 'f = ㅎㅂ', 'r = ㅇㄹ'로 표현 가능하며, 다른 조합도 가능하다. 모음의 경우, 'ㅑ = ㅣ + ㅏ', 그리고 'ㅞ = ㅜ + ㅔ'로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어떠한 음절도 음소를 분석하여 표기할 수 있다.
단계 S340에서 한글이 표기되면, 단계 S350과 S370에서 검색부(220)는 나의 사전 또는 평면배열 구조의 소리지도가 기 저장된 DB 검색을 통해 입력된 글자 또는 음성과 매칭되는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여기서, 검색부(220)는 음절에 대한 정보가 수록되는 종합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360)에서, 출력부(240)는 데이터베이스의 수록된 정보를 바탕으로 중국어 음절표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중국어 음절표는 중국어의 중국어 표기, 성조, 발음, 및 뜻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중국어 음절표는 동일 발음의 중국어를 성조에 따라 분류하여 제시되고, 중국어를 한국어 발음과 성조에 따라 재분류하여 제시될 수 있으며, 중국어의 번체자와 한국어 뜻 및 영어 뜻도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210)로부터 입력 받은 정보를 종합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기 이전에, 단계(S350)에서 검색부(220)는 나의 사전에서 입력 정보와 매칭되는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입력 정보가 나의 사전에서 검색되는 경우, 나의 사전의 검색 정보를 바탕으로 중국어 음절표가 출력될 수 있다.
입력 정보를 나의 사전에서 찾지 못하는 경우, 입력 정보를 중국어의 음절에 대한 정보가 기 저장된 종합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할 수 있으며(S370), 종합 데이터베이스의 검색 정보를 바탕으로 중국어 음절표가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나의 사전은 입력 정보가 우선적으로 검색되는 적어도 한번 이상 검색된 정보를 별도로 보관하는 장소이다.
수정 보완부(230)는 나의 사전과 이를 수정 보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종합 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되어 있지 않아 검색이 안되는 정보일 경우 사용자가 직접 나의 사전에 들어가 수록해 둘 수 있다.
나의 사전은 한번 이상 찾아본 정보를 별도로 보관하는 곳으로, 입력부(210)에서 정보가 입력될 때 우선적으로 나의 사전에 접근함으로써 검색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나의 사전은 정보가 검색될 때마다 검색 빈도수를 갱신(update)하여 가장 빈도수가 높은 정보가 가장 먼저 접근되도록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측한다'는 뜻의 '시 猜'자 (중국어 발음은 '차이')가 종합 데이터베이스에 없어 검색할 수 없다면, 나의 사전에서 중국어 음절표 cai를 검색하고 1상한(上右칸, 1성)에 '추측할 시, guess 게쓰'라고 입력해 둘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음 검색부터 나의 사전에 입력된 설명이 검색되어 나타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에 의한 정보는 종합 데이터베이스에는 수록되지 않고, 별도의 공간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단계(S360)에서 중국어 음절표가 출력된 후, 나의 사전을 자동으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즉, 정보가 검색될 때마다 검색 빈도수를 갱신(update)하여 빈도수가 높은 정보가 먼저 접근되도록 배치됨으로써, 검색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종합 데이터베이스는 중국어를 활용하는 어휘군 및 용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기 저장되며, 중국어 음절표에 제시된 중국어를 지정하여 클릭(Click)하는 경우, 종합 데이터베이스에 수록 된 중국어를 활용하는 어휘군 및 용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검색되어 제시될 수 있다.
또한, 중국어 음절표에 제시된 중국어를 지정하여 클릭(Click)하는 경우, 공개 된 온라인 사전에 접속되어 검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와 방법은 중국어의 음절에 대한 정보를 모음과 자음의 평면배열 구조를 가지는 소리지도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이렇게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의 소리지도를 이용하여 중국어 발음에 대한 중국어 음절표를 빠르게 검색하여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검색한 내용을 나의 사전 등 별도의 나의 사전으로 저장하여 동일 내용이 재검색될 경우에 우선 선택되도록 검색내용을 별도로 저장해 둘 수 있다.
나의 사전에 수록된 내용은 다시 검색 될 때마다 누적 빈도수에 의해 우선순위가 갱신(update) 되도록 함으로써, 검색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나의 사전에 종합 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되어 있지 않아 찾을 수 없는 글자를 사용자가 임의로 추가함으로써, 다음 검색부터 추가된 내용을 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와 방법은 서로 기재된 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십자 음절표를 출력하는 정보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와 방법은 한글 표기 위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로마자 병음으로 표기하여도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와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중국어의 발음 또는 한국어 한자 발음을 문자 또는 음성으로 입력받고 이렇게 입력 받은 문자 또는 음성을 한글로 표기할 뿐만 아니라 로마자 병음으로 표기할 수도 있다. 또한 이 한글표기는 병음표기와 1:1로 대응하여 상호 전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와 방법은 중국어의 한자를 417개의 음절로 분류하고 같은 음절의 한자를 하나의 표에 배열하되 이 표를 4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각 영역 안에 동일한 성조의 한자를 배열하여 '음절표'를 형성하고 이와 병행하여 모음과 자음의 평면배열 구조의 소리지도를 제공하여 상기한 음절표를 소리지도에 배열함으로써,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중국어 음절표를 빠르게 검색하고 나서 다시 이 음절표에서 원하는 한자를 한눈으로 찾아내어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컨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중국어 한자의 발음에 대한 입력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단계;
    상기 입력 정보를 상기 중국어의 음절에 대한 정보가 모음과 자음의 평면배열 구조로 기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검색단계;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수록된 정보를 바탕으로 중국어 음절표를 출력하는 출력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중국어의 발음에 대하여 훈민정음의 제자원리(制字原理)를 적용하여 상기 중국어의 음절에 대한 정보를 ㄱ, ㅋ, ㄴ, ㄷ, ㅌ, ㄹ, ㄹㄹ(l), ㅁ, ㅂ, ㅇㅍ(f), ㅍ, ㅇ, ㅅ, ㅅㄹ(sh), ㅈ, ㅈㄹ(zh), ㅊ, ㅊㄹ(ch), ㅎ의 18개의 자음을 순서적으로 종축으로 배치하고 ㅏ, ㅓ, ㅗ, ㅜ, ㅟ, ㅣ의 6개의 모음을 순서적으로 횡축으로 배치하여 평면배열 구조의 소리지도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평면배열 구조의 소리지도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18개의 자음과 상기 6개의 모음은
    상기 훈민정음의 병서 원리로 조합하여 상기 중국어의 병음의 22개 성모와 34개 운모를 1:1 대응시켜 한글 표기와 병음 표기 간의 상호 전사를 가능하게 하는 평면배열 기반 중국어 사전 제공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계는
    상기 중국어 한자의 중국어 발음 또는 한국어 한자 발음을 문자로 입력 받아 한글로 표기하거나 로마자 병음으로 표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배열 기반 중국어 사전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계는
    상기 중국어 한자의 발음 또는 한국어 한자 발음을 음성으로 입력 받고, 상기 음성을 인식하여 한글로 표기하거나 로마자 병음으로 표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배열 기반 중국어 사전 제공 방법.
  6. 삭제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 표기는
    로마자 병음과 1:1 대응하여 상호 전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배열 기반 중국어 사전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단계는
    상기 입력 정보를 이전 검색 기록 및 사용자가 저장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나의 사전에서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정보를 상기 중국어의 음절에 대한 정보가 상기 평면배열 구조로 기 저장된 종합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단계는
    상기 입력 정보가 상기 나의 사전에서 검색되는 경우, 검색된 상기 중국어 음절표를 출력하며, 상기 입력 정보가 상기 나의 사전에서 검색되지 않는 경우 상기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종합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된 상기 중국어 음절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배열 기반 중국어 사전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나의 사전은
    상기 입력 정보가 우선적으로 검색되는 적어도 한번 이상 검색된 정보를 별도로 보관하는 장소이며, 상기 입력 정보가 검색될 때마다 검색 빈도수를 갱신(update)하여 빈도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빈도수보다 높은 정보가 먼저 접근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배열 기반 중국어 사전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국어 음절표는
    동일 발음의 중국어 한자를 성조에 따라 분류하여 제시하고, 상기 중국어를 한국어 발음과 성조에 따라 재분류하여 제시하며, 상기 중국어 한자의 번체자와 한국어 뜻 및 영어 뜻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배열 기반 중국어 사전 제공 방법.
  11. 중국어 한자의 발음에 대한 입력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 정보를 상기 중국어의 음절에 대한 정보가 모음과 자음의 평면배열 구조로 기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검색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수록된 정보를 바탕으로 중국어 음절표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중국어의 발음에 대하여 훈민정음의 제자원리(制字原理)를 적용하여 상기 중국어의 음절에 대한 정보를 ㄱ, ㅋ, ㄴ, ㄷ, ㅌ, ㄹ, ㄹㄹ(l), ㅁ, ㅂ, ㅇㅍ(f), ㅍ, ㅇ, ㅅ, ㅅㄹ(sh), ㅈ, ㅈㄹ(zh), ㅊ, ㅊㄹ(ch), ㅎ의 18개의 자음을 순서적으로 종축으로 배치하고 ㅏ, ㅓ, ㅗ, ㅜ, ㅟ, ㅣ의 6개의 모음을 순서적으로 횡축으로 배치하여 생성된 평면배열 구조의 소리지도를 저장하며,
    상기 18개의 자음과 상기 6개의 모음은
    상기 훈민정음의 병서 원리로 조합하여 상기 중국어의 병음의 22개 성모와 34개 운모를 1:1 대응시켜 한글 표기와 병음 표기 간의 상호 전사를 가능하게 하는 평면배열 기반 중국어 사전 제공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중국어 한자의 중국어 발음 또는 한국어 한자 발음을 문자로 입력 받아 한글로 표기하거나 로마자 병음으로 표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배열 기반 중국어 사전 제공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중국어 한자의 발음 또는 한국어 한자 발음을 음성으로 입력 받고, 상기 음성을 인식하여 한글로 표기하거나 로마자 병음으로 표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배열 기반 중국어 사전 제공 장치.
  16. 삭제
  17.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 표기는
    로마자 병음과 1:1 대응하여 상호 전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배열 기반 중국어 사전 제공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부는
    상기 입력 정보를 이전 검색 기록 및 사용자가 저장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나의 사전; 및
    상기 입력 정보를 상기 중국어의 음절에 대한 정보가 상기 평면배열 구조로 기 저장된 종합 데이터베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입력 정보가 상기 나의 사전에서 검색되는 경우 검색된 상기 중국어 음절표를 출력하며, 상기 입력 정보가 상기 나의 사전에서 검색되지 않는 경우 상기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종합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된 상기 중국어 음절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배열 기반 중국어 사전 제공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나의 사전은
    상기 입력 정보가 우선적으로 검색되는 적어도 한번 이상 검색된 정보를 별도로 보관하는 장소이며, 상기 입력 정보가 검색될 때마다 검색 빈도수를 갱신(update)하여 빈도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빈도수보다 높은 정보가 먼저 접근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배열 기반 중국어 사전 제공 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국어 음절표는
    동일 발음의 중국어 한자를 성조에 따라 분류하여 제시하고, 상기 중국어를 한국어 발음과 성조에 따라 재분류하여 제시하며, 상기 중국어 한자의 번체자와 한국어 뜻 및 영어 뜻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배열 기반 중국어 사전 제공 장치.
KR1020170142487A 2017-10-30 2017-10-30 평면 배열 기반 중국어 사전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2016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487A KR102016805B1 (ko) 2017-10-30 2017-10-30 평면 배열 기반 중국어 사전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487A KR102016805B1 (ko) 2017-10-30 2017-10-30 평면 배열 기반 중국어 사전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021A KR20190048021A (ko) 2019-05-09
KR102016805B1 true KR102016805B1 (ko) 2019-08-30

Family

ID=66545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2487A KR102016805B1 (ko) 2017-10-30 2017-10-30 평면 배열 기반 중국어 사전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680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9276A (ja) 2007-09-11 2009-04-02 National Institute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音声認識装置、自動翻訳装置、音声認識方法、プログラム、及びデータ構造
JP2014081597A (ja) * 2012-10-18 2014-05-08 Chojo Gakuin Co Ltd 日本人向け中国語学習のための漢字配列表、日本人向け中国語学習のための漢字配列方法、日本人向け中国語学習用教材及び日本人向け中国語学習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7738A (ko) * 2011-09-08 2013-03-18 박종칠 한글 지점 주소를 활용한 위치찾기 장치
KR20150076587A (ko) * 2013-12-27 2015-07-07 신부용 다언어로 찾는 중국어 사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9276A (ja) 2007-09-11 2009-04-02 National Institute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音声認識装置、自動翻訳装置、音声認識方法、プログラム、及びデータ構造
JP2014081597A (ja) * 2012-10-18 2014-05-08 Chojo Gakuin Co Ltd 日本人向け中国語学習のための漢字配列表、日本人向け中国語学習のための漢字配列方法、日本人向け中国語学習用教材及び日本人向け中国語学習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021A (ko)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ndel Sinography: The borrowing and adaptation of the Chinese script
WO2012071630A1 (en) Text conversion and representation system
US2013019111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Transcribing or Transliterating to an Iconphonological Orthography
KR101936208B1 (ko) 현대 한국어에서 대표할 수 있는 발음으로 중국 전통 음운학 사호이론에 부합하는 중성자모체계와 한글 합자법을 활용한 중문표기 제공방법 및 시스템
Třísková The structure of the mandarin syllable: why, when and how to teach it
KR101102520B1 (ko) 한글 자모의 메트릭스 결합 관계를 기반으로 하는 시청각 한글학습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20170057623A (ko) 언어장애인을 위한 다언어 어휘의 발음 합성 및 문자화 장치
US20070061143A1 (en) Method for collating words based on the words' syllables, and phonetic symbols
KR102016805B1 (ko) 평면 배열 기반 중국어 사전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Hlaing et al. Automatic syllable segmentation of Myanmar texts using finite state transducer
KR101554619B1 (ko) 터치 스크린을 활용한 어학 학습 시스템 및 어학 학습 방법
US2016026781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eaching foreign languages
CN105683873A (zh) 容错输入法编辑器
TW201104643A (en) Language teaching system
Jansche et al. Named entity transcription with pair n-gram models
KR101777141B1 (ko) 한글 입력 키보드를 이용한 훈민정음 기반 중국어 및 외국어 입력 장치 및 방법
CN110502128B (zh) 一种汉字多元输入方法及系统
KR20190023042A (ko) 외국어 발음 한글 표기 방법 및 시스템
JPH0969109A (ja) 文書検索方法及び文書検索装置
US8408914B2 (en) System and method for learning Chinese character script and Chinese character-based scripts of other languages
TWI621105B (zh) 英文發音提示系統及其方法
KR20150076587A (ko) 다언어로 찾는 중국어 사전
CN115586839A (zh) 用于输入全球文字的方法、系统及非暂时性计算机可读记录介质
JP2005215597A (ja) 発音表記出力システム
KR20060021721A (ko) 외국어 단어의 한글 표기와 이를 통한 사전 검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