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6587A - 다언어로 찾는 중국어 사전 - Google Patents

다언어로 찾는 중국어 사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6587A
KR20150076587A KR1020130164971A KR20130164971A KR20150076587A KR 20150076587 A KR20150076587 A KR 20150076587A KR 1020130164971 A KR1020130164971 A KR 1020130164971A KR 20130164971 A KR20130164971 A KR 20130164971A KR 20150076587 A KR20150076587 A KR 20150076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nese
korean
syllable
pronunciation
hangu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4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부용
Original Assignee
신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부용 filed Critical 신부용
Priority to KR1020130164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6587A/ko
Publication of KR20150076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65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06F40/58Use of machine translation, e.g. for multi-lingual retrieval, for server-side translation for client devices or for real-time trans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다언어를 이용한 중국어 사전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다언어로 찾는 중국어 사전{CHINESE DICTIONARY USING MULTILINGUALISM}
본 발명은 중국어 사전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 중국어 어휘를 찾아내는 방법은 크게 옥편과 사전으로 구별할 수 있다. 옥편은 기본적으로 한자를 부수(部首)로 분류하고 이를 다시 부수별로 글자의 획수에 따라 배열해 놓았기 때문에 사용하려면 글자의 부수와 획수를 알아야 한다. 일단 글자를 찾고 나면 그 글자를 첫 글자로 하는 단어들이 역시 획수순으로 나열되어 있어 원하는 단어를 찾아 낼 수 있다. 사전은 글자를 획수 대신 발음순으로 배열해 놓은 것으로 책으로 된 것과 온라인 사전으로 구별할 수 있다. 외국인의 경우 사용자의 언어를 통해 같은 뜻의 중국어 단어를 찾는 방법이 있는데 한국 사람을 위해서는 한중(韓中)사전, 영어권을 위해서는 영중사전(English-Chinese Dictionary)이 그 예이다. 이러한 사전의 언어를 바꾸어 배열한 중한(中韓)사전과 중영사전도 있는데 이 경우 옥편과 마찬가지로 한자를 먼저 찾아내고 그 한자로 시작 되는 단어를 찾아내야 한다.
온라인 사전은 병음을 이용해 글자를 검색하는 것인데 먼저 첫 글자를 찾고 다음에 이 글자로 시작되는 단어를 검색하는 방식은 옥편이나 중한,중영 사전이 다 마찬가지이다. 또한 컴퓨터에서 음성으로 중국어 단어를 직접 찾는 방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 폰의 보급으로 이 방법의 사용자가 늘고 있다. 이 경우 중국어의 글자나 단어를 중국어로 발음하여 입력하면 해당하는 글자를 찾아 준다.
종래 기술의 첫째 문제는 중국어의 단어를 컴퓨터에서 검색할 때 그 글자를 쓸 줄 알거나 병음표기를 확실하게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한국어나 영어 사전은 발음순으로 배열되어 있어서 언저리를 둘러보면 찾을 수 있지만 중국어는 발음순이 아니고 첫 글자를 기본으로 단어가 배열되어 있기 때문이다. 음성검색의 경우에도 중국어 초보자는 정확하게 발음할 수 없어 어려움을 겪는다. 또한 검색이 되더라도 같은 음의 글자가 많아 원하는 글자의 모양을 대강이라도 알아야 식별해 낼 수 있다. 다시 말해 중국어 실력이 상당 수준에 이르기 전에는 글자를 찾아 쓰기 어렵다는 것이다.
둘째 글자를 몰라도 한중, 영중사전을 통해 같은 뜻의 중국단어를 찾을 수 있는데 이때의 문제는 한 개의 특정 언어를 사용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즉 영어를 사용하는 사람은 영중사전을 써야 하며 한국어를 사용하는 사람에게는 한중사전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영어나 한국어, 혹은 제3의 언어를 쓰는 사람이 사용언어에 구애됨이 없이 글자를 찾고 뜻을 알 수 있도록 하는 다언어 사전기능을 제공해 줄 것이다.
셋째, 현재 중국인들이 보편적으로 쓰고 있는 문자입력 기술은 병음으로 한자를 찾는 것인데 이 과정에서 성조는 개입되지 않아 올바른 성조를 습득할 수 없다.
결론적으로 중국어는 배우기 어려울 뿐 아니라 접근조차 어려운 언어이다.
중국어를 잘 몰라도 다언어로 접근할 수 있는 보다 친절한 방법이 필요하다.
중국어는 영어에 버금가는 중요한 국제 언어이지만 배우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러나 다른 언어에 비해 특이한 점이 있어 이를 이해하고 공략하면 보다 쉽게 배울 수 있다. 그 특징 중 하나가 중국어의 글자, 한자(漢字)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사실상 이 글자의 뜻을 활용하여 모든 어휘가 형성된다는 점이다. 이는 중국어 사전이 다른 언어의 사전과 다르게 단어의 첫 글자를 찾아내고 그 글자를 사용하는 어휘로 구성되어 있음을 보면 알 수 있다. 둘째 특징은 글자의 수는 많지만 발음은 415개의 음절로 한정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들 음절은 5개의 성조로 구분되어 있어 어렵지만 이 또한 잘 알아야 한다. 따라서 글자를 찾아 내 그 뜻을 알아내야 하며 다음에 성조를 습득하도록 해야 한다.
본 발명은 한국어나 영어를 사용하여 중국어의 글자를 좀 더 쉽게 찾아내고 그 뜻과 성조를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으로 중국어를 배우지 못한 상태에서도 자기의 언어로 접근하여 최소한의 의사소통을 기할 수 있게 되며 또 보다 빨리 중국어에 친숙해 질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하늘’ 이나 ‘sky' 혹은 ’티엔‘ 이라고 말로 하거나 문자로 입력하면 이에 해당하는 중국어 글자 ‘天’자를 찾아주고 그 발음과 성조를 보여주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天’자를 찾아내면 다른 중국어 사전에서와 마찬가지로 이를 교량으로 삼아 ‘天’ 자로 시작 되는 어휘를 검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도.
도 2는 출력된 음절표의 사례
* 관련 특허
1) 10개 한글 기본자음을 이용한 만국 발음 입력장치
특허번호 : 10-0927167
등록일자 2009년11월10일(21) 출원번호 10-2007-0107079
2) 개인 어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외국어 검색방법
출원번호 : 10-2011-0048561
3) 한글기반만국발음기호를 이용한 다언어 혼합사전
특허 번호 10-1340511호 2013.12.5 등록
4) 언어의 발음표기를 기반으로 하는 만국어 음성 출력장치
출원번호: 10-2012-0126160
5) 한글기반의 다언어 어휘 음성 인식장치
출원번호 10-2013-0094220 출원 2013 8 08
본 발명의 구성은 1)입력부, 2)검색부, 3)수정보완부, 4)출력부로 구성 된다. (그림 1)
입력부는 문자입력부와 음성입력부로 구성되며 문자입력부는 한글과 로마자를 입력하는 장치이고 음성입력부는 음성을 인식하는 장치이다.
문자입력부는 한글과 로마자 입력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한국어 혹은 영어 로 음성이 입력되면 이를 ‘소리 나는 대로’ 인식하여 한글로 출력시켜준다. 미리 DB에 반영해 두면 어떤 언어라도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한글은 현재의 표준 한글을 확장하여 만든 ‘한글기반의 만국어 발음표기 시스템 (Hangul-base Universal Phonetic System(HUPS))' 이다.
HUPS 는 아래 각 10개씩의 자모로 구성되며 어떤 발음이라도 조합으로 표현 할 수 있다.
표1. HUPS 자모
수치부호 1 2 3 4 5 6 7 8 9 0
자음
모음
예를 들면 ㅋ=ㄱ+ㅎ, ㅌ=ㄷ+ㅎ 으로 표기 할 수 있으며 우리말에 없는 f 발음은 =ㅎㅂ, r= ㅇㄹ 로 표현한다. 모음의 경우ㅑ 는 l + ㅏ; ㅞ 는 ㅜ + ㅔ 로 표현 된다. 음절 표기의 예로 영어의 fact 는 ㅎㅂㅐㄱㅌ 로 표현 될 것이다.
검색부는 종합DB와 '나의 사전' 으로 구성된다. 종합DB에는 415개의 음절별로 표1에 보인 각종 정보가 수록 된다. 예를 들어 재물(wealth)을 뜻하는 財 자는 간자체로 로 쓰며 병음표기는 cai 이고 성조는 2성이다. cai 는 415개 음절 중 가나다 순으로 282번 째인데 이 음절로 발음되는 글자 는 采를 포함하여 여러 개다. 采 는 우리말로 '캘 채' 자이며 성조는 4성이다. 이러한 정보들이 아래 표1에서처럼 DB로 저장되고 이 표에 실려 있는 정보의 일부가 검색 될 경우 그림 2처럼 출력된다. 예를 들어 영어 사용자가 ‘wealth' 라고 문자를 입력하든지 혹은 말(음성)을 하여 입력하면 전체 음절표 282 가 그림 2처럼 제시된다.
이렇게 문자로 입력하거나 혹은 같은 발음의 음성으로 입력해도 검색되는 기능은 상기 음절표에 수록 된 각 문자 정보(예를 들어 wealth)는 이와 함께 한글로 표기한 발음표기(웰뜨 혹은 웰ㄸ)가 쌍으로 묶여 있어 이 음성이 입력 될 때 이를 일단 한글로 인식하고 (받아쓰고) 이 한글 정보를 표에서 검색해 주는 ‘한글 기반의 다언어 사전’ 이 장착 되었기 때문에 가능하다.
종합 DB에 수록 된 정보
음절번호 음절명 (1) 포함되는 한자 (2) 뜻
성조 간체자 번체자 한국발음 한국어 영어 제3어
281 cao 차오
282 cai 차이 2성 재물 wealth 웰ㄸ
4성 캐다 pick ?
외 다른 글자들
283 can 찬
수정 보완부는 나의 사전과 이를 수정 보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나의 사전은 한 번 이상 찾아 본 정보를 별도로 보관하였다가 우선 검색해내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정보가 검색될 때마다 빈도수를 수정하여 정렬된다.
검색과정에서 DB에 수록되어 있지 않은 정보일 경우 사용자가 나의 사전에 수록해 둘 수 있다. 그러나 이 정보는 종합DB에는 수록 되지 않는다.
출력부는 검색된 음절표를 그림2 와 같은 형식으로 출력해 준다. 출력부에 보인 한자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자를 찾는 방법은 아래 와 같이 다양하다.
1) cai나 '차이' 라고 음절 이름을 한글 혹은 로마자로 입력하면 위 음절표가 나오고 그 안에서 자를 찾음.
2) '재물', 'wealth' 혹은 미리 정한 다른 외국어로 뜻을 입력하면 위 음절표가 나옴.
3) 중국어로 (cai), 한국어로 '재' 혹은 '재물', 영어로 'wealth' 라고 말하면 위 음절표가 나옴.('재' 는 의 한국어 발음임)
위 음절표에서 다음과 같은 사항을 알 수 있어 중국어 습득에 도움이 된다.
1) 의 발음은 '차이' 병음으로 'cai' 로 표기 됨
2) 의 한국한자(번체자)는 財 이고 한국어로는 '재' 자임.
3) cai 로 발음되는 중국 한자 중에 采 자가 있고 성조는 4성, 뜻은 캐다(pick) 임
4) 采자는 한국어로는 '채' 로 읽음.
본 발명은 중국어 한자의 발음을 말하거나 글자로 입력하면 같은 음절의 한자가 성조별로 정리 되어 있는 음절표를 검색해 주고 그 음절표에서 원하는 글자를 찾도록 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종전에 검색후보 글자들이 일렬로 병음표기만을 보여 주던 것에 비해 검색 후보글자들의 한자와 성조, 한.영어로 뜻을 보이고, 또한 한국사람에게는 한국어 한자 정보 등 많은 내용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하여 중국어 학습효과를 줄 것이다.
이와 같은 내용의 음절표를 종전에 쓰는 방식인 병음 뿐 아니라 한글로 발음을 입력할 수 있으며 중국어를 모르더라도 영어나 한국어 등 외국어로 그 뜻의 단어를 입력하여도 검색이 된다는 점이 다르다.
이를 사용자 그룹별로 분류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사용자 그룹 검색방법(예: 찾는 글자 ) 본발명이 새로 제공하는 정보
공통
종전기술
찾는 글자의 병음을 입력 (cai): 의 성조
의 한국어 뜻, 재물
의 한국어 음, 재
의 영어 뜻, wealth
의 제3국어 뜻
cai 음을 내는 다른 글자와 한글음
cai 음의 다른 글자와 성조
찾는 글자()의 발음을 말로 입력('차이')
한국인 의 발음을 한글로 입력(차이)
의 한국어 발음을 입력(재)
의 한국어 발음을 말로 입력('재')
의 뜻을 입력 (캐다)
영어사용자 의 뜻을 입력 (wealth)
의 뜻을 말로 입력('wealth') 기타 정보
DB에 없는 정보를 나의 사전에 등록후 검색해 쓸 수 있음
제3언어
의 자국어 뜻을 로마자로 입력
의 자국어 뜻을 말로 입력
언어권 별로 받는 혜택을 다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중국인:
- 종래 병음으로만 검색할 수 있었으나 영어나 한국어 등 외국어 뜻을 통하여 검색할 수 있게 되었으며 검색 후 이들을 볼 수 있어 외국어 습득에 도움이 됨.
- 종래 방법의 검색에서는 같은 음의 글자가 일렬로 나열되어 제시 되었으며 성조를 알 수 없었으나 본 발명은 글자를 성조별로 분류하여 Matrix로 제시하여 줌
한국어와 영어 등 외국어 사용자:
- 위 중국인이 받는 혜택 외에 자국어의 뜻을 글자로 혹은 음성으로 입력하여 한자를 검색할 수 있게 됨
- 한국인은 한국 한자의 음으로 중국 한자를 찾을 수 있게 되었으며
- 중국 한자의 음을 갖는 모든 한국어 한자를 정리하여 보여 줌으로서 중국어 습득에 도움을 받음

Claims (7)

1. 같은 발음(음절)의 중국어 한자들을 성조에 따라 분류하고 이를 표로 정리하여 보인 ‘중국어 음절표’
2. 상기 ‘중국어 음절표’ 에 보인 한자에 한글, 영어 등 제3 언어에서의 뜻을 각기 자국어 철자법으로 병기 해 놓은 ‘중국어 음절표’
3. 상기 ‘중국어 음절표’의 내용 중 한글이 아닌 것 (예 cai, wealth)의 발음을 한글로 병기해 놓고 이들 정보가 음성으로 입력 될 경우 이를 인식하여 한글로 받아씀으로서 검색될 수 있도록 DB로 정리 해 놓은 ‘한글기반의 다언어 사전’
4. 상기 ‘중국어 음절표’ 를 그 음절의 발음을 한어 병음(알파벳 표기)으로 입력하거나 혹은 같은 발음의 ‘한글’로 입력하면 ‘한글기반의 다언어 사전’ 에 의해 검색되어 출력시켜주는 장치
5. 상기 ‘중국어 음절표’ 를 그 음절의 발음을 음성으로(말로 하여)입력할 경우 이를 인식하여 ‘한글기반의 다언어 사전’ 에 의해 검색되어 출력시켜주는 장치
6. 상기 ‘중국어 음절표’ 검색장치에서 한 번 이상 검색한 음절표를 별도로 저장하고 또 다 시 검색 될 때마다 검색 누적 빈도수 순위로 재 정렬해 주는 ‘나의 사전’
7. 상기 나의 사전에 사용자가 ‘중국어 음절표’를 수정하거나 혹은 새로운 음절표를 작성하여 저장하는 장치.
KR1020130164971A 2013-12-27 2013-12-27 다언어로 찾는 중국어 사전 KR201500765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971A KR20150076587A (ko) 2013-12-27 2013-12-27 다언어로 찾는 중국어 사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971A KR20150076587A (ko) 2013-12-27 2013-12-27 다언어로 찾는 중국어 사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6587A true KR20150076587A (ko) 2015-07-07

Family

ID=53789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4971A KR20150076587A (ko) 2013-12-27 2013-12-27 다언어로 찾는 중국어 사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65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8021A (ko) * 2017-10-30 2019-05-09 신부용 평면 배열 기반 중국어 사전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8021A (ko) * 2017-10-30 2019-05-09 신부용 평면 배열 기반 중국어 사전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64041A (ko) 현대 한국어에서 대표할 수 있는 발음으로 중국 전통 음운학 사호이론에 부합하는 중성자모체계와 한글 합자법을 활용한 중문표기 제공방법 및 시스템
Constantino Tagalog and other major languages of the Philippines
KR102517025B1 (ko)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음성출력장치 및 그 출력방법
KR102517021B1 (ko)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한글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US20070061143A1 (en) Method for collating words based on the words' syllables, and phonetic symbols
JP2007317163A (ja) 電子辞書及び検索方法
KR20150076587A (ko) 다언어로 찾는 중국어 사전
KR101831717B1 (ko) 중국어 학습방법 및 그 기록매체
CN107066080B (zh) 汉字字音汉字与符号编码输入方法
KR20130122437A (ko) 영어의 한글 표기 방법 및 시스템
KR102517024B1 (ko)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운율표시장치 및 그 표시방법
CN111381687A (zh) 汉字形、音形两用码及音、形和音形码同台交叉输入汉字的平台
KR102016805B1 (ko) 평면 배열 기반 중국어 사전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CN108459735A (zh) 声韵双击触摸屏汉语拼音输入方法
KR20190023042A (ko) 외국어 발음 한글 표기 방법 및 시스템
CN104615269A (zh) 一种藏文拉丁全简双拼编码方案及其智能输入系统
JP2008139835A (ja) 発音学習法
Kilani Group writing
CN106325540A (zh) 一种滇东北次方言苗文的简笔输入法及其应用
KR101857111B1 (ko) 중국어 발음을 표현하기 위한 한글병기 한어병음자모 표기방법에 의해 표기되는 기록매체
Matnazarov RAGMATIC COORDINATION BETWEEN TO PURITY AND TRANSLATION
JP2023097453A (ja) 象形文字民族の日本人中国人が目から本能的に記憶される英語の全て
KR101340511B1 (ko) 한글기반만국발음기호를 이용한 다언어 검색시스템
KR20000053095A (ko) 비음성문자를 컴퓨터에 입력하기 위한 대용 워드로 전환하는 방법
Sarathi Kar et al. An Improved Unicode Based Sorting Algorithm for Bengali Wor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