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0798A - 다당류 및 단백질 물질로 미세캡슐화된 지용성 항산화제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다당류 및 단백질 물질로 미세캡슐화된 지용성 항산화제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0798A
KR20030070798A KR1020020010340A KR20020010340A KR20030070798A KR 20030070798 A KR20030070798 A KR 20030070798A KR 1020020010340 A KR1020020010340 A KR 1020020010340A KR 20020010340 A KR20020010340 A KR 20020010340A KR 20030070798 A KR20030070798 A KR 20030070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t
soluble antioxidant
microencapsulated
prepared
aqueous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0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계원
장판식
조계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국순당
장판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국순당, 장판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국순당
Priority to KR1020020010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70798A/ko
Publication of KR20030070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079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89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05Wall or coating material
    • A61K9/502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5036Polysaccharides, e.g. gums, alginate; Cyclo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05Wall or coating material
    • A61K9/502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5052Proteins, e.g. album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osmetic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당류 및 단백질 물질로 미세캡슐화된 지용성 항산화제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분물질 및 젤라틴 등의 다당류와 단백질 물질로 구성된 피복물질에 포획된 지용성 항산화제 함유 미세캡슐 현탁용액을 제조한 결과, 저장유통기간 중에는 5∼15℃에서도 파괴되지 않고 체내 소장부위에서 미세캡슐만이 분해되어 신선한 지용성 항산화제가 방출되도록 조절되었으며, 관능평가 및 저장안정성 시험에서도 이미·이취가 없을 뿐만 아니라 45℃까지도 매우 안정하였다.

Description

다당류 및 단백질 물질로 미세캡슐화된 지용성 항산화제 및 그의 제조방법 {Method for preparation of micoencapsulated lipid soluble antioxidant coated by polysaccharides and proteins}
본 발명은 다당류 및 단백질 물질로 미세캡슐화된 지용성 항산화제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생체 내에서 영양학적 또는 생리적 기능을 나타내는 지용성 항산화제를 용해시킨 지방질 용액을 식품유화제 및 다당류와 단백질 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호화된 수용액에 첨가시켜 지용성 항산화제가 다당류 및 단백질 물질에 의하여 둘러쌓인 형태인 수중 유적형 유화액(oil in water (O/W) emulsion)을 제조한 후,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수중 유적형 유화용액을 찬물에 분사시킴으로써 다당류 및 단백질 물질로 미세캡슐화되어 산화안정성 및 저장안정성이 뛰어난 지용성 항산화제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체에 대한 노화방지 및 발암억제작용 등의 유익한 기능을 갖는 지용성 항산화제의 종래 음용방법은 체내에 지용성 항산화제를 직접적으로 투입하는 것이었으나, 위장을 경유할 때의 낮은 수소이온 농도(pH 1.8∼2.0)에 의하여 변질되어 소실되는 지용성 항산화제의 함량이 너무 많기 때문에 경제적인 측면에서 고려해 볼때에도 비효율적이어서 그 사용이 제한되어 왔다.
따라서, 근래에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각종 피복제(wall material, coating material)를 이용하여 지용성 항산화제를 코팅하는 방법에 의한 거대캡슐화 기술을 도입함으로써 신선한 지용성 항산화제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일정 수준까지 체내에 신선한 지용성 항산화제의 농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음용상의 간편성", "피복물질(캡슐)의 가공적성" 및 "피복물질의 용해성"이라는 측면에서 아직도 개선되어야 할 점이 많이 남아있다. 즉, 거대캡슐(폭 0.5∼1㎝, 길이 1∼3cm, 캡슐두께 0.5∼1mm)에 의하여 코팅된 지용성 항산화제 정(錠)은 유아, 어린이 및 노인과 같은 노약자들이 복용하기에 매우 어려우며 상기 거대캡슐을 가공하기 위한 부대시설 및 기술이 투여됨으로써 경제적인 측면에서 매우 불리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거대캡슐에 의해 코팅되어 안전하게 위장을 통과한 지용성 항산화제 캡슐의 피복제는 췌장 및 소장에서 분비되는 효소에 의하여 분해되어야 하는데 거대캡슐의 피복제 두께는 0.5∼1.0mm로 매우 단단하며 두꺼운 조직이므로 잘 분해되지 않아 체내에서 유익한 기능을 띄고 있는 지용성 항산화제의 장점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는 큰 결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한가지 방법으로 본 발명자들은 전분물질로 미세캡슐화된 음료 첨가용 고도 불포화지방산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제품을 개발하고 특허출원한 바 있었다(등록특허 제1996-0007170호). 상기 제조방법은 고도불포화 지방산을 용해시킨 유지용액을 식품유화제 및 전분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수용액에첨가시켜 고도불포화지방산이 전분물질에 의하여 피복된 형태인 수중유적형 미세캡슐 현탁액으로 제조하는 방법으로, 상기 방법에 의해 전분물질로 미세캡슐화된 고도불포화지방산을 음료속에 첨가하여 섭취한 결과 저장중 발생될 수 있는 변패의 예방 및 체내에서의 콜레스테롤 함량 저하작용이 확인되었으나 상기 특허에서는 중심물질이 고도 불포화지방산으로 한정하였으므로 항산화제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지 않고 있으며 저장성과 안정성이 충분하지 못하여 보완해야할 필요성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을 연구 시험한 결과, 피복물질로 일정 비율의 다당류와 단백질을 함께 조합하여 지용성 항산화제를 미세캡슐화(microencapsulation)시킬 경우 전기 특허인 피복물질로 다당류만을 사용하는 경우보다도 미세캡슐의 유화안정성 및 산화안정성이 매우 뛰어나 5∼25℃에서 1주일동안 파괴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캡슐 내에 포획된 지용성 항산화제가 변패없이 소장에 도달하고 흡수되며, 관능평가 및 저장안정성 시험에서도 이미·이취가 없는 매우 놀라운 효과를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당류 및 단백질 물질로 미세캡슐화된 지용성 항산화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지용성 항산화제 함유 미세캡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저장안정성과 체내에서의 기능성이 향상된 미세캡슐화된 지용성 항산화제를 함유한 의학적, 영양학적 또는 식품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및 장점들은 하기 실시예를 통해 보다 명백히 이해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다당류와 단백질 물질이 소정의 농도로 분산·함유된 수용액에 식품유화제를 소정의 농도로 혼합하고, 가열·살균한 후 40∼60℃로 유지시켜 투명한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수용액에 지용성 항산화제를 용해시킨 지방질 용액을 첨가시켜 균질기로 혼합시켜 유화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단계의 유화액을 5∼25℃의 물에 고압분무시켜 미세캡슐이 함유된 현탁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제조된 지용성 항산화제 미세캡슐용액을 10℃ 이하의 온도범위에서 저장하여 피복물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지용성 항산화제란 항산화력 혹은 항산화 상승작용이 있는 물질 중 지방질에 용해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레티놀, α-토코페롤, β-토코페롤, γ-토코페롤 등이 대표적인 지용성 항산화제에 해당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레티놀 같은 항산화제는 피부노화의 예방이나 치료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들을 경구 투여할 경우 상기 유용한 지용성 항산화제는 불쾌한 냄새가 있으며, 느끼한 물성으로 인하여 직접적으로 복용하는 것이 곤란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 발명 방법에 의해 제조된 레티놀 함유 미세캡슐을 제공한다. 상기 레티놀은 탄소수가 20 이상이면서 이중결합이 3개 이상인 레티닐아세트산, 레티닐팔미트산, 레티날, 레티노익산 등을 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고구마 전분과 젤라틴이 각각 0.25%(w/v)의 농도로 분산·용해되어 있는 수용액 내에 친수성 유화제인 솔비탄 모노라우르산을 2%(w/v)되게 첨가시켜 전체 수용액을 가열살균시킨 후, 40∼60℃로 유지되는 항온실에서 보관한 다음 상기 수용액 500mL에 레티놀 500g을 첨가시킨 후, 혼합기를 사용하여 균질의 유화액을 제조한 다음, 상기 유화액을 5∼25℃의 멸균수 10L에 직접 고압분무시켜 다당류 및 단백질 물질로 미세캡슐화된 레티놀을 함유한 현탁액을 제조하고, 상기 미세캡슐 용액을 6,000 xg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수분을 제거하되 미세캡슐화된 레티놀이 4.3∼34.4%(w/v)의 농도가 되도록 조절하여 최종 제품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지용성 항산화제 미세캡슐화 방법을 공정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공정(지용성 항산화제 미세캡슐화를 위한 피복물질의 제조)
다당류(단독적 혹은 2종류 이상 혼합)이 0.2∼4.0%(w/v)의 농도, 단백질 물질이 0.2∼12.0%(w/v)로 용해·분산되어 있는 수용액 내에 HLB (hydrophilic lipophilic balance)가 7.2∼21.0의 값을 갖는 식품유화제를 0.5∼3.0%(w/v)의 농도로 첨가시킨 전체수용액을 가열·살균한 후, 40∼60℃로 유지시킴으로써 투명한 수용액을 제조한다.
여기서, 본 발명 방법에 사용가능한 다당류 물질의 예로는 고구마전분, 감자전분, 찹쌀전분, 찰옥수수전분, 한천(agar)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 방법에 사용가능한 단백질 물질은 40∼60℃에서 액화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인 예로는 젤라틴(gelatin), 카제인(casein), 글루텐(gluten), 대두단백 등이 있으며 이들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 방법에 사용가능한 식품유화제로는 젖산 지방산 에스테르(stearoyl lactylate), 트윈 20, 60, 80(tween 20, 60, 80), 폴리솔베이트 60, 65, 80(polysorbate 60, 65, 80),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sucrose monostearate, sucrose monolaurate, sucrose monopalmitate) 등이 바람직하며 이들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들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제2공정(지용성 항산화제의 미세캡슐화를 위한 유화액의 제조)
제1공정에서 제조된 40∼60℃의 코팅제 용액 내에서 미세캡슐화시킬 지용성 항산화제 용액을 20∼70%(w/w)의 농도로 첨가시킨 후, 강력한 혼합기를 사용하여 균질의 유화액을 제조한다.
본 발명의 미세캡슐에 포획시키는데 적당한 지용성 항산화제는 레티놀 등이나 이들의 유도체, 예컨대 이들 지용성 항산화제의 에스테르, 염, 아미드 등,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미세캡슐에 포획되는 내용물은 상기한 지용성 항산화제 또는 이들의 유도체 등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β-카로틴, 소맥 배아유, 대두유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3공정(지용성 항산화제의 미세캡슐화)
고압분무기를 이용하여 제2공정에서 제조한 유화액을 5∼25℃의 물에 직접 분무시켜 다당류 및 단백질물질로 미세캡슐화된 지용성 항산화제를 함유하고 있는 현탁액을 제조한다. 고압 분무된 현탁액은 원심분리기로 수분을 제거하여 일정 농도로 농축된 미세캡슐화된 지용성 항산화제를 수득할 수도 있다.
제4공정(지용성 항산화제 함유 미세캡슐의 안정화)
제3공정에서 제조한 지용성 항산화제 미세캡슐 함유 현탁액을 0∼4℃로 유지되는 곳에서 1∼3일 동안 저장하여 피복물질을 노화(retrogradation)시킴으로써 안정성이 증가된 미세캡슐 제품을 완성한다.
상기한 공정에 의한 한 바람직한 구현예로, 다당류 및 단백질로 미세캡슐화 된 레티놀 함유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은 먼저, 항암 및 면역기능이 뛰어난 레티놀을 용해시킨 지방질 용액을 식품유화제, 다당류 및 단백질 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수용액 속에서 레티놀이 다당류와 단백질 물질에 의하여 둘러쌓여 있는 형태인 수 중유적형 유화액을 제조한 후, 5∼25℃ 물에 수중유적형 형태의 유화액을 고압·분무시켜 다당류 및 단백질 물질로 미세캡슐화된 레티놀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공정에 의한 현탁액을 분무건조기로 건조시켜 분말화시켜, 전분 물질 및 단백질로 미세캡슐화된 지용성 항산화제 함유 분말제품을 제조할 수도 있다. 특히 분무건조기를 이용하여 분말화시킬 경우 유화액의 점도가 너무 높거나 낮을 경우 분무 건조기 주입이나 균일한 혼합액 제조가 어렵고 유화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유화액을 제조하기 전에 각 피복물질의 점도와 최적 고형분 함량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한테, 이는 당업자에게 충분히 이해되는 것이다. 본 발명 미세캡슐화된 지용성 항산화제는 분말제품 상태로 저장시에도 산소나 빛에 매우 안정하며 찬물에서도 잘 분산되어 여러 식품에 이용가능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다당류 및 단백질물질로 미세캡슐화된 지용성 항산화제 함유 제품은 미세캡슐화되지 않은 일반 지용성 항산화제 제품보다 우수한 성상 및 특성을 지니면서 저장 안정성이 향상된 것이다. 이러한 미세캡슐화된 지용성 항산화제는 특히 산화안정성 및 저장안정성이 매우 뛰어나기때문에 식품에 응용시 가공조건, 유통과 저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지용성 항산화제 함유 본 발명 미세캡슐 제품은 체내의 소화과정 중 극단적인 외부환경(위액의 pH 1.8∼2.0)과 격리시키고 동시에 캡슐 내부에서는 체내에서의 항암 및 면역작용에 유익한 지용성 항산화제가 변질되지 않고 신선한 상태로 유지된 후, 췌장 및 소장을 경유하면서 체내분비 효소에 의하여 피복물질인 다당류 및 단백질이 분해되어 미세캡슐 내부의 신선한 지용성 항산화제가 유출되게 함으로써 체내에서의 항암 및 면역작용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 미세캡슐화 방법은 지용성 항산화제뿐만 아니라, 향료, 영양 성분 등의 불안정한 물질을 외부환경, 즉 산소, 빛, 자외선, 증발, 분자간의 상호작용 등으로부터 보호하여 손실을 줄이고, 반응성이 큰 물질을 격리시킬 수도 있으며, 냄새나 맛 등을 은폐시킬 뿐만 아니라 고형화시켜 취급을 간편하게 하는 등 그 응용성이 다양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본 발명 방법에 의해 제조된 지용성 항산화제 함유 미세캡슐을 제공한다. 미세캡슐은 사용 목적이나 이용분야에 따라 현탁액 또는 분말상태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본 발명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저장안정성과 체내에서의 기능성이 향상된 미세캡슐화된 지용성 항산화제를 함유한 의학적, 영양학적 또는 식품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예컨대, 본 발명 미세캡슐화된 지용성 항산화제는 우유나 요쿠르트와 같은 음료, 식품 등에 대하여 일정 농도로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 방법에 의해 제조된 미세캡슐화 레티놀을 10%(w/v)의 농도로 우유에 첨가하여 균질화시킨 우유제품을 제조한 후 일반인을 기준으로 관능평가를 행한 결과 미세캡슐화된 레티놀 제품에서 이미·이취를 부여하지 않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당류 및 단백질 물질로 미세캡슐화된 지용성 항산화제 제품의 제조방법을 하기 실시예와 같이 레티놀을 예로 들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레티놀의 미세캡슐화
실험예 1 : 고구마 전분과 젤라틴이 각각 0.25%(w/v)의 농도로 분산·용해되어 있는 수용액 내에 친수성 유화제인 솔비탄 모노라우르산(sorbitan monolaurate, 미국, 시그마(Sisma)社)을 2%(w/v)되게 첨가시켜 전체 수용액을 가열살균시킨 후, 50℃로 유지되는 항온실에서 보관한 다음 상기 수용액 500mL에 레티놀 500g을 첨가시킨 후, 강력한 혼합기를 사용하여 균질의 유화액을 제조한 다음, 상기 유화액을 15℃의 멸균수 10L에 직접 고압분무시켜 다당류 및 단백질 물질로 미세캡슐화된 레티놀을 함유한 현탁액을 제조하고, 상기 미세캡슐 용액을 6,000 xg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수분을 제거하되 미세캡슐화된 레티놀이 10%(w/v)의 농도가 되도록 조절하여 최종 제품을 완성하였다.
실험예 2 : 상기 실험예 1에서 멸균수를 0.05%(w/v) 글리세롤모노리신올레산(glycerol monoricinoleate) 수용액으로 대체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여 다당류 및 단백질물질로 미세캡슐화된 레티놀 제품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3 : 찰옥수수 전분 및 젤라틴이 0.5%(w/v)의 농도로 분산되어 있는 수용액 내에 친수성 유화제인 트윈 30(tween 30)을 2%(w/v)되게 첨가하여 전체 수용액을 가열살균한 후, 40℃로 유지되는 항온실에서 보관한 다음, 상기 수용액 500mL에 대두유로 10배 희석한 레티놀 500g을 첨가시킨 후, 혼합기를 사용하여 균질의 유화액을 제조한 다음, 상기 유화액을 25℃의 멸균수 10L에 직접 고압분무시켜 다당류 및 단백질물질로 미세캡슐화된 레티놀 및 대두유를 함유한 현탁액을 제조하고, 상기 미세캡슐 용액을 6,000 xg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수분을 제거하되 미세캡술화된 레티놀 및 대두유가 33.3%(w/v)의 농도가 되도록 조절하여 최종제품을 완성하였다.
실험예 4 : 찰옥수수전분 및 젤라틴이 0.5%(w/v)의 농도로 분산 용해되어 있는 수용액내에 친수성 유화제인 트윈 20(미국, 시그마(Sigma)社)을 2%(w/v)되게 첨가시켜 전체 수용액을 가열살균시킨 후, 40∼50℃로 유지되는 향온실에서 보관한 다음, 상기 수용액 800g에 레티노익산 200g을 첨가시킨 후, 혼합기를 사용하여 균일한 유화액을 제조한 다음, 상기 유화액을 10℃의 멸균수 30L에 직접 고압분무시켜 다당류 및 단백질물질로 미세캡슐화된 레티노익산을 함유하고 있는 현탁액을 제조하고, 상기 미세캡슐 용액을 4℃로 유지되는 냉장고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분무건조기를 사용하여 분말형태의 전분물질로 미세캡슐화된 레티노익산 제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다당류 및 단백질 물질로 미세캡술화된 레티놀이 10%(w/v)의 농도로 농축된 미세캡슐 제품을 일반인 30명(20대 남자 5명, 20대 여자 5명, 30대 남자 5명, 30대 여자 5명, 40대 남자 5명, 40대 여자 5명; 1주일간 관능평가교육을 미리 실시하였음)에게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 하기 표 1에서와 같이미세캡슐화된 레티놀 제품에서 이미·이취를 부여하지 않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실시예 3 : 저장안정성 조사
또한, 상기한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제조한 미세캡슐화된 레티놀 제품을 5℃, 15℃, 25℃, 35℃, 45℃, 55℃, 65℃, 75℃에서 1주일간 저장하면서 파괴된 미세캡슐을 정량분석한 결과, 하기 표 2에서와 같이 5∼25℃에서 1주일동안 미세캡슐이 매우 안정하여 전혀 파괴되지 않았으며, 35℃에서 레티놀 미세캡슐제품을 저장할 경우 약 2%의 미세캡슐이 파괴되었고, 45∼65℃에서는 10∼20%의 미세캡슐이 파괴됨을 알 수 있었다. 75℃ 이상에서는 미세캡슐의 파괴율이 급격하게 증가하여54% 수준으로 파괴되어 나머지 46%만이 안정한 상태로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즉, 상기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레티놀 미세캡슐 제품은 45℃까지는 매우 안정하며 약 70℃ 이후에서부터 미세캡슐제품의 파괴되는 정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런데, 기존의 미세캡슐화하지 않은 레티놀의 경우에는 25℃에서 1시간이 경과하면서 신선한 상태가 빛에 의하여 99% 이상 파괴된다는 사실이 이미 보고되었다(Blomhoff R, Green M H, Berg T and Norm K R : Transport and storage of vitamin A : Science 250 : 399-404(1990)).
이러한 사실로 미루어 볼 때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미세캡슐화된 레티놀의 안정성이 매우 증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다당류와 단백질 물질로 미세캡슐화된 지용성 항산화제 함유 미세캡슐 제품은 저장 유통기간 중에는 5∼15℃에서도 파괴되지 않으며 관능평가 및 저장안정성 시험에서도 이미·이취가없을 뿐만 아니라 45℃까지도 매우 안정하게 유지되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8)

  1. (a) 다당류 및 단백질물질이 소정의 농도로 분산 함유된 수용액에 식품유화제를 소정의 농도로 혼합하고 가열살균한 후, 40∼60℃로 유지시켜 호화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제조된 호화 수용액에 지용성 항산화제를 용해시킨 지방질 용액을 첨가시켜 균질기로 혼합하여 유화액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제조된 유화액을 5∼25℃의 물에 고압분무시켜 현탁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조된 현탁액을 0∼4℃의 저온에서 안정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당류 및 단백질 물질로 미세캡슐화된 지용성 항산화제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용성 항산화제가 레티놀이나 이들의 유도체, 레티놀, α-토코페롤, β-토코페롤, γ-토코페롤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당류 및 단백질 물질로 미세캡슐화된 지용성 항산화제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당류 물질이 고구마전분, 감자전분, 찹쌀전분, 찰옥수 전분, 한천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이고, 상기 단백질물질이 젤라틴, 카제인, 글루텐, 대두단백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으로 40∼60℃에서 액화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단독적으로 또는 2종류 이상이 혼합하여 첨가될 때 상기 물에 대하여 0.2∼12%(w/v)의 농도범위로 첨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당류 및 단백질 물질로 미세캡슐화된 지용성 항산화제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유화제가 친수성 유화제인 젖산 지방산 에스테르, 트윈 20, 60, 80, 폴리솔베이트 60, 65, 80,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으로 HLB값이 7∼21이고 상기 물에 대하여 0.5∼3.0%(w/v)의 농도로 첨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당류 및 단백질 물질로 미세캡슐화된 지용성 항산화제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당류 및 단백질 물질로 미세캡슐화된 지용성 항산화제를 농축하되 미세캡슐화된 지용성 항산화제가 4.3%∼34.4%(w/v)의 농도로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당류 및 단백질 물질로 미세캡슐화된 지용성 항산화제의 제조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티놀이 탄소수가 20 이상이면서 이중결합이 3개 이상인 레티닐아세트산, 레티닐팔미트산, 레티날, 레티노익산 등으로서, 상기 수용액에 대하여 30∼70%(w/w)의 농도로 첨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의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지용성 항산화제 함유 미세캡슐.
  8. 제1항 내지 제6항의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지용성 항산화제 미세캡슐을 함유하는 약리학적, 영양학적 또는 식품학적 조성물.
KR1020020010340A 2002-02-26 2002-02-26 다당류 및 단백질 물질로 미세캡슐화된 지용성 항산화제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300707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0340A KR20030070798A (ko) 2002-02-26 2002-02-26 다당류 및 단백질 물질로 미세캡슐화된 지용성 항산화제및 그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0340A KR20030070798A (ko) 2002-02-26 2002-02-26 다당류 및 단백질 물질로 미세캡슐화된 지용성 항산화제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0798A true KR20030070798A (ko) 2003-09-02

Family

ID=32222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0340A KR20030070798A (ko) 2002-02-26 2002-02-26 다당류 및 단백질 물질로 미세캡슐화된 지용성 항산화제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7079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810B1 (ko) * 2005-07-29 2007-04-17 서울향료(주) 난황, 난백 및 대두단백을 이용한 마이크로캡슐 및 그의제조방법
WO2012150839A2 (ko) * 2011-05-04 2012-11-08 주식회사 두산 포스파티딜세린의 마이크로캡슐화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2899A (ja) * 1991-06-24 1993-11-09 Ajinomoto Co Inc マイクロカプセルの製造方法
KR940000144A (ko) * 1992-06-17 1994-01-03 성우경 고형분의 함량이 높은 마이크로캡슐 용액의 제조방법
US5648091A (en) * 1994-08-03 1997-07-15 The Proctor & Gamble Company Stable vitamin A encapsulated
JP2000044465A (ja) * 1998-05-28 2000-02-15 Fuji Capsule Kk 軟カプセル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2899A (ja) * 1991-06-24 1993-11-09 Ajinomoto Co Inc マイクロカプセルの製造方法
KR940000144A (ko) * 1992-06-17 1994-01-03 성우경 고형분의 함량이 높은 마이크로캡슐 용액의 제조방법
US5648091A (en) * 1994-08-03 1997-07-15 The Proctor & Gamble Company Stable vitamin A encapsulated
JP2000044465A (ja) * 1998-05-28 2000-02-15 Fuji Capsule Kk 軟カプセル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810B1 (ko) * 2005-07-29 2007-04-17 서울향료(주) 난황, 난백 및 대두단백을 이용한 마이크로캡슐 및 그의제조방법
WO2012150839A2 (ko) * 2011-05-04 2012-11-08 주식회사 두산 포스파티딜세린의 마이크로캡슐화 방법
WO2012150839A3 (ko) * 2011-05-04 2013-01-03 주식회사 두산 포스파티딜세린의 마이크로캡슐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urgos-Díaz et al. Multilayer emulsions stabilized by vegetable proteins and polysaccharides
CN100374044C (zh) 含有生物活性亲脂化合物的初级组合物
CN106659230B (zh) 疏水性生物活性化合物的包封
JP6024384B2 (ja) ガレート型カテキン含有機能性飲料
JPH11514221A (ja) 新規プロセス
JP4298158B2 (ja) カプセル化した長鎖アルコールを含有する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Sarabandi et al. Encapsulation of food ingredients by nanoliposomes
CN114081096A (zh) 一种联合多酚与糖基化改性修饰的乳蛋白荷载虾青素乳液的制备方法
AU2018259160A1 (en) Encapsulated nutritional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JPWO2009048120A1 (ja) アスタキサンチン含有水溶性組成物
JPS60160840A (ja) 健康食品
JP5631941B2 (ja) 容器詰飲料
JP4060587B2 (ja) カプサイシノイド様物質含有製剤
JP5878590B2 (ja) 容器詰飲料
JP2001316259A (ja) ポリフェノール類製剤
JP2005097222A (ja) タマネギ発酵物
JP2004261005A (ja) ユビデカレノン製剤
WO2023162608A1 (ja) 水中油型乳化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hnad et al. Nano-vesicular carriers for bioactive compounds and their applications in food formulations
KR20030070798A (ko) 다당류 및 단백질 물질로 미세캡슐화된 지용성 항산화제및 그의 제조 방법
US20050106219A1 (en) Primary composition comprising a lipophilic bioactive compound
Kailasapathy Bioencapsulation technologies for incorporating bioactive components into functional foods
EP0948907B1 (en) Product for incorporating dietetic and alimentary ingredients into beverages; dietetic products and food
WO2019151010A1 (ja) 中華麺用フレーバー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中華麺用フレーバーを含有する中華麺及びその製造方法
JP6446200B2 (ja) 紙容器入り水中油型乳化ゼリ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