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0643A - 선반의 이동이 용이한 선반케이스 - Google Patents

선반의 이동이 용이한 선반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0643A
KR20030070643A KR1020020010103A KR20020010103A KR20030070643A KR 20030070643 A KR20030070643 A KR 20030070643A KR 1020020010103 A KR1020020010103 A KR 1020020010103A KR 20020010103 A KR20020010103 A KR 20020010103A KR 20030070643 A KR20030070643 A KR 20030070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pinion
gears
frame body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0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3881B1 (ko
Inventor
조신형
Original Assignee
바이오메디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오메디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바이오메디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0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3881B1/ko
Publication of KR20030070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0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3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38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4Flower tables; Stands or hangers, e.g. baskets, for flowers
    • A47G7/041Flower tables or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5Trays for receiving multiple po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4Flower tables; Stands or hangers, e.g. baskets, for flowers
    • A47G2007/048Flower tables, stands or hangers with means for automatically rotating the plant po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에서 각종 식물을 키울 때 수시로 간편하게 식물의 배치 위치나 일조 방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선반의 이동이 용이한 선반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선반의 이동이 용이한 선반케이스는 기대(2)에 부착된 프레임체(3)에 지지용 선반(5)을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여 상기 선반(3)을 통해 각종 중량물(7)을 설치하도록 되어 있는 선반케이스(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체(3)의 양측면에 가공된 한 쌍의 래크기어(9,9'), 상기 래크기어(9,9')에 맞물림되도록 상기 프레임체(3)의 좌우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피니언 기어(11,11'), 상기 한 쌍의 피니언기어(11,11') 중 적어도 한 쪽 피니언기어(11')의 회전축(12') 상에 장착된 피니언 멈춤수단(13) 및, 상기 회전축(12,12')의 양단이 내벽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피니언기어(11,11')를 감싸도록 상기 프레임체(3)의 둘레에 끼워져 있는 이동 함체(15)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선반의 이동이 용이한 선반케이스에 의하면, 레일 형태의 래크기어를 따라 직선 또는 나선방향으로 상하 이동하는 선반에 의해 선반에 놓여진 중량의 화분을 손쉽게 들어올리거나 돌려올릴 수 있게 되므로 선반의 높이나 각도위치를 보다 손쉽게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식물의 생장율이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선반의 이동이 용이한 선반케이스{A shelf case easy to move its shelf}
본 발명은 선반의 이동이 용이한 선반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 등 실내의 좁은 공간에서 관상용 또는 재배용으로 각종 식물을 키울 때 식물이 심어져 있는 각종 화분이나 분재 등의 배열 위치 및 방향을 일조량이나 온도 등을 고려하여 자유롭게 바꿀 수 있도록 해주는 선반의 상하 및 회전 운동이 용이한 선반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건물 안에서 관상용으로 또는 드물게 식용으로 식물을 키우기 위해서는 좁은 공간에서 가능하면 많은 식물을 키울 수 있도록 공간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각종 선반케이스가 사용된다.
따라서 이들 선반케이스는 대부분 도 1에 도면번호 501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으로 적층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역시 주거공간을 침범하지 않도록 가능하면 옥상이나 베란다 등에 많이 설치되는데, 도시된 것처럼 각각의 선반(505)이 프레임체(503)에 상하로 배열되어 고정되어 있으므로, 최초 선반(505)에 화분(507)을 설치할 때 일단 화분(507)의 설치위치나 방향이 정해지면 화분(507)의 중량 등으로 인한 취급 상의 번거로움 때문에 배치를 쉽게 바꾸지 못하게 되는 불편이 있었다.
이에 따라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405,505)의 위치를 상하로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선반케이스(401,501)가 개발된 바 있다. 이들 선반케이스 중 도 2에 도시된 선반 케이스(401)는 화분(407) 등을 지지하고 있는 선반(405)이 고정측에 부착된 고정링(409)을 통해 선반 케이스의 봉형상 프레임체(403)에 결합되어 고정링(409)을 관통해 프레임체의 볼트구멍(411)에 결합되는 고정볼트(413)에 의해 프레임체(403) 상에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결합된다. 또한, 선반케이스(50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507)을 지지하고 있는 선반(505)이 평판 형태의 프레임체(503)에 관통 형성된 조립공(511)에 삽입되어 쐐기(513)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이들 선반 케이스(401,501)는 각 선반(405,505)이 나사식으로 또는 쐐기식으로 프레임체(403,503)에 착탈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므로 선반(405,505)의 설치높이를 볼트구멍(411) 또는 조립공(511)의 위치를 따라 자유롭게 상하로 조정할 수 있기는 하지만, 높이 조정 시마다 볼트(413) 또는 쐐기(513)를 풀고 죄야하는 작업이 번거로울 뿐 아니라, 화분(407,507)을 일일이 선반(405,505)에서 내려놓아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각 선반(405,505)들마다 프레임체(403)를 중심으로 하는 설치각도가 동일하며 각도 변경이 불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위쪽에 위치하는 선반에 의해 아래쪽에 위치하는 화분의 채광이 방해를 받으므로 선반 케이스(401,501)에 설치된 화분들의 일조량을 균일하면서도 충분하게 유지시킬 수 없을 뿐 아니라 관상용 화분을 설치한 경우 조경에 변화를 주기 위한 설치각도 변경도 곤란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선반케이스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중량의 화분을 올려놓은 상태에서도 손쉽게 선반의 설치높이를 상하로 조정할 수 있으며, 아울러 각 선반 마다 선반 케이스의 프레임체를 중심으로 한 설치각도를 자유롭게 변경시켜 일조 방향에 맞추어 화분의 위치를수시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식물 재배용 선반 케이스의 개략 측단면도.
도 2는 다른 형태의 종래 식물 재배용 선반 케이스의 개략 측단면도.
도 3은 또 다른 형태의 종래 식물 재배용 선반 케이스의 개략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반케이스의 사시도.
도 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반 케이스의 정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선반 케이스의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01 : 선반케이스3,203 : 프레임체
5,205 : 선반7 : 화분
9,209,9',209' : 래크기어11,211,11',211' : 피니언 기어
13,213 : 피니언 멈춤수단15,215 : 이동 함체
21,221 : 래칫휠23,223 : 래칫
25,225 : 조절 손잡이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대에 부착된 프레임체에 지지용 선반을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여 선반을 통해 화분과 같은 각종 중량물을 설치하도록 되어 있는 선반케이스에 있어서, 프레임체의 양측면에 가공된 한 쌍의 래크기어, 이 래크기어에 맞물림되도록 프레임체의 좌우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피니언 기어, 이 한 쌍의 피니언기어 중 적어도 한 쪽 피니언기어의 회전축 상에 장착된 피니언 멈춤수단 및, 회전축의 양단이 내벽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피니언기어를 감싸도록 프레임체의 둘레에 끼워져 있는 이동 함체로 구성되어 있는 선반의 이동이 용이한 선반케이스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선반의 이동이 용이한 선반케이스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선반케이스는 도 4에 도면번호 1로 도시된 제1 실시예의 경우, 종래의 선반케이스와 마찬가지로 기초부를 형성하는 기대(2), 이 기대(2) 상면에 부착되어 선반케이스(1)의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체(3) 그리고,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프레임체(3)의 둘레에 착탈식으로 삽입 장착되어 있는 선반(5)으로 이루져 선반(5) 위에 다양한 종류의 중량물 예컨대, 관상용 또는 재배용 실내 화분 등을 올려 놓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프레임체(3)는 도시된 것처럼 판 또는 막대 형태로 기대(2)의 상면 일측에 부착되어 내력부재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으며, 양측면에 한 쌍의래크기어(9,9')가 가공되어 있고, 이 래크기어(9,9')를 통해 프레임체(3)의 좌우측면에는 한 쌍의 피니언 기어(11,11')가 맞물림되어 있다. 또한, 이들 한 쌍의 피니언 기어(11,11')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의 회전축(12,12')이 이동 함체(15)의 내측 벽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회전축(12,12')을 축지지하고 있는 이동 함체(15)는 장방형의 사각 케이스로서 피니언 기어(11,11') 쌍을 감싸고 있으며, 프레임체(3)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상하면 상에 한 쌍의 관통공(1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피니언 기어(11,11')에는 은선으로 표시된 화살표(B) 방향으로 피니언기어(11,11')가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피니언 멈춤수단(13)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피니언 멈춤수단(1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피니언 기어(11,11') 모두에 또는 적어도 어느 한 쪽에 설치되면 되며, 사용자가 수시로 필요에 따라 피니언 기어(11,11')의 회전을 구속하거나 또는 구속을 해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면 충분하다.
따라서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멈춤수단(13)이 사용될 수 있는 바, 이 멈춤수단(13)은 다시 어느 한 쪽 피니언 기어(11')의 회전축(12')에 동축상으로 부착된 래칫휠(21), 이 래칫휠(21)과 착탈되는 래칫(23) 및 래칫(23)의 착탈을 조정하는 조절 손잡이(25)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래칫휠(21)은 일반적인 래칫휠과 마찬가지로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의 걸림톱니(29)가 가공되어 있고, 이 걸림톱니(29)에 착탈되는 래칫(23)은 래칫휠(21)과의 밀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배면에 가압스프링(27)이 부착되어 있으며, 조절 손잡이(25)는 이동 함체(15)외부에서 래칫(23)을 착탈할 수 있도록 함체(15) 벽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이동이 용이한 선반케이스(201)도 위에서 설명한 두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부분적으로 도시되어 있기는 하나 기본적으로는 기초부를 이루는 기대(202)와 이 기대(202)의 상면 일측에 수직하게 부착된 프레임체(203) 그리고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프레임체(203)에 장착되어 있는 선반(205)을 구비하고 있으나, 선반(205)이 상승하면서 프레임체(203)를 중심으로 조금씩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 구조 상의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이동이 용이한 선반케이스(201)는 프레임체(203)가 원통형 막대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프레임체(203)의 외주면을 따라 양날 래크기어(209)가 부착되어 있는데, 래크기어(209)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좌우 양측면에 기어이가 형성되어 있으며, 나선각(θ) 만큼 경사진 상태로 나선을 그리며 프레임체(203)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위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래크기어(209)의 좌우 양측에는 한 쌍의 피니언 기어(211,211')가 맞물림되어져 있다.
또한, 적어도 한 쪽 피니언 기어(211')의 회전축(212') 상에 제1 실시예의 멈춤수단(13)과 동일한 멈춤수단(213)이 설치되어 피니언 기어(211')가 화살표(C)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 멈춤수단(213)도 멈춤수단(13)과 마찬가지로 피니언기어(211')의 회전축(212')에 동축상으로 부착된 래칫휠(221), 이 래칫휠(221)의 한 쪽 방향 회전을 억제하는 래칫(223) 및,래칫(223)의 물림 및 해제를 조절하는 조절 손잡이(225)로 이루어진다. 이 때 각각의 피니언 기어(211,211')도 피니언 기어(11,11')와 마찬가지로 이동 함체(215)에 의해 감싸져 있는데, 이 실시예의 이동 함체(215)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원통형의 프레임체(203)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밴드 형태로 프레임체(203) 외주면에 감겨 있는 단면 반원형 부분과 박스 형태로 피니언 기어(211,211') 쌍을 감싸고 있는 단면 장방형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동함체(215)의 반원형 부분 내측면에는 이동함체(215)가 프레임체(203)와 밀착된 상태로 상하로 활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밀착패드(227)가 부착되어 있다.
이하,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선반의 이동이 용이한 선반케이스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반 케이스(1)를 이용하면 화분과 같은 중량물(7)을 상대적으로 장소가 협소한 실내에 공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체(3)에 상하로 중첩하여 설치된 선반(5) 위에 원하는 데로 화분(7) 등을 올려 놓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화분(7) 등을 선반(5) 위에 배치한 상태에서 많은 하중을 받고 있는 선반(5)을 들어오리게 되면 선반(5)의 후면에 부착된 이동 함체(15)도 프레임체(3)를 따라 함께 위로 상승하게 되며, 이에 따라 이동 함체(15) 내측에 부착되어 있는 피니언 기어(11,11')도 당연히 함께 위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양 피니언 기어(11,11')는 모두 프레임체(3) 양측면의 래크기어(9,9')에 맞물려져있기 때문에 상승과 동시에 래크 기어(9,9') 위를 물려 올라가게 된다.
그러나, 반대로 선반(5)을 방치하거나 밀어내릴 경우 선반(5)에는 화분(7) 등으로 인해 큰 하중이 걸리며 이에 따라 선반(5)이 부착된 이동 함체(15)를 통해 피니언 기어(11,11')에도 아래쪽으로 밀어내리는 하강 하중이 걸리지만, 피니언 기어(11,11')는 하강을 위해 필요한 화살표(B) 방향의 회전 운동이 래칫(23)과 래칫휠(21)로 이루어진 피니언 멈춤수단(13)에 의해 억제되고 있으므로 하강하지 못하고 처음의 높이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선반(5)을 원하는 높이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되며, 결과적으로 원하는 높이에 화분(7) 등을 배치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서는 선반(5)을 프레임체(3)를 따라 하강시킬 수도 있어야 하므로 피니언 멈춤수단(13)에는 멈춤 해제수단도 함께 구성되어야 하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래칫(23)에 조절 손잡이(25)가 부착되어 사용자가 이동 함체(15) 바깥쪽에서 조절 손잡이(25)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래칫(23)과 래칫휠(21)에 의한 피니언 기어(11')의 구속을 해제함으로써 이동 함체(15)를 비롯하여 선반(5)과 화분(7) 등을 아래쪽으로 원하는 위치까지 흘러내리게 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반케이스(201)의 경우에는 위 실시예들과 같이 선반을 상하로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이와 동시에 나선 형태로 되어 있는 양날 래크기어(209)를 따라 원통형 프레임체(203)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제1 실시예의 메카니즘과 동일하게 래크기어(209)와 피니언 기어(211,211')의 결합을 이용해 하중이 걸린 이동 함체(215)를 프레임체(203)를 따라 손쉽게 위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데, 이 때, 함체(215)의 안내레일 역할을 하는 래크기어(209)가 나선각(θ)만큼 경사져 있으므로 함체(215)는 상승과 동시에 도 5의 오른쪽으로 자연스럽게 회전하게 된다. 또한 당연히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피니언 멈춤수단(213)에 의해 피니언 기어(211,211')의 화살표(C) 방향 회전을 억제하여 선반(205)을 소정의 높이에 유지시킬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조절 손잡이(225)를 돌려 래칫(223)과 래칫휠(221)의 결합을 해제함으로써 손쉽게 선반(205)의 하강을 유도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선반 케이스에 의하면, 중량의 화분이 놓여진 선반을 선반케이스 상하로 이동시키거나 선반케이스 축선을 중심으로 360도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선반에 놓여진 화분 등의 위치를 배치간격이나 일사 방향 등에 맞추어 자유롭고 손쉽게 변경할 수 있게 되므로 조경이나 재배 목적에 부합되도록 화분이나 분재 등과 같은 중량의 물품을 좁은 공간에서도 편리하게 유지 관리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기대(2)에 부착된 프레임체(3)에 지지용 선반(5)을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여 상기 선반(3)을 통해 각종 중량물(7)을 설치하도록 되어 있는 선반케이스(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체(3)의 양측면에 가공된 한 쌍의 래크기어(9,9'), 상기 래크기어(9,9')에 맞물림되도록 상기 프레임체(3)의 좌우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피니언 기어(11,11'), 상기 한 쌍의 피니언기어(11,11') 중 적어도 한 쪽 피니언기어(11')의 회전축(12') 상에 장착된 피니언 멈춤수단(13) 및, 상기 회전축(12,12')의 양단이 내벽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피니언기어(11,11')를 감싸도록 상기 프레임체(3)의 둘레에 끼워져 있는 이동 함체(15)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의 이동이 용이한 선반케이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대(202)에 부착된 원통형 프레임체(203)의 원주면에 나선각(θ)을 이루며 나선형으로 부착되어 있는 양날 래크기어(209), 상기 양날 래크기어(209)에 맞물림된 한 쌍의 피니언기어(211,211'), 상기 한 쌍의 피니언기어(211,211') 중 적어도 한 쪽 피니언기어(211')의 회전축(212') 상에 장착된 피니언 멈춤수단(213) 및, 내벽면에 상기 회전축(212,212')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피니언기어(211,211')를 감싼 상태로 상기 프레임체(203)의 원주면 상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감겨져 있는 이동함체(215)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의 이동이 용이한 선반케이스.
  3. 제1 항 또는 제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 멈춤수단(13,213)은 상기 피니언기어(11,11')(211,211')의 상기 회전축(12,12')(212,212')에 상기 피니언 기어(11,11')(211,211')와 동축상으로 부착된 래칫휠(21)(221), 상기 래칫휠(21)(221)에 걸리도록 인접 설치되어 상기 래칫휠(21)(221)의 일방향 회전을 구속하는 래칫(23)(223) 및, 상기 래칫(23)(223) 회전축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래칫(23)(223)과 상기 래칫휠(21)(221)의 물림을 해제하도록 되어 있는 조절 손잡이(25)(225)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의 이동이 용이한 선반케이스.
KR10-2002-0010103A 2002-02-26 2002-02-26 선반의 이동이 용이한 선반케이스 KR100463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0103A KR100463881B1 (ko) 2002-02-26 2002-02-26 선반의 이동이 용이한 선반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0103A KR100463881B1 (ko) 2002-02-26 2002-02-26 선반의 이동이 용이한 선반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0643A true KR20030070643A (ko) 2003-09-02
KR100463881B1 KR100463881B1 (ko) 2005-01-03

Family

ID=32222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0103A KR100463881B1 (ko) 2002-02-26 2002-02-26 선반의 이동이 용이한 선반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388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256B1 (ko) * 2010-03-15 2013-04-16 (주)유스텍 식물재배용 엘이디 패널 상하 이동장치
JP2021019979A (ja) * 2019-07-30 2021-02-18 中野冷機株式会社 商品陳列装置
CN113475864A (zh) * 2021-08-05 2021-10-08 江西万橡家具集团有限公司 一种根据文件高度进行调节的文件柜
KR20230073667A (ko) 2021-11-19 2023-05-26 김상한 선반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수납장
JP7451987B2 (ja) 2019-12-17 2024-03-19 富士電機株式会社 商品収納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6956B1 (ko) * 2015-05-08 2016-12-19 주식회사 모텍스 높낮이 조절 베개
KR101686955B1 (ko) * 2015-05-08 2016-12-19 주식회사 모텍스 높낮이 조절 베개
KR101723636B1 (ko) * 2015-05-08 2017-04-19 주식회사 모텍스 높낮이 조절 베개
KR101686953B1 (ko) * 2015-05-08 2016-12-19 주식회사 모텍스 높낮이 조절 베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027495B (it) * 1975-02-07 1978-11-20 Carrara & Matta Spa Carrello a ripiani del tipo pieghe vole
US5913584A (en) * 1997-09-23 1999-06-22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Adjustable refrigerator shelf
US6065821A (en) * 1998-05-15 2000-05-23 Maytag Corporation Vertically adjustable shelf and support rail arrangement for use in a cabinet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256B1 (ko) * 2010-03-15 2013-04-16 (주)유스텍 식물재배용 엘이디 패널 상하 이동장치
JP2021019979A (ja) * 2019-07-30 2021-02-18 中野冷機株式会社 商品陳列装置
JP7337448B2 (ja) 2019-07-30 2023-09-04 中野冷機株式会社 商品陳列装置
JP7451987B2 (ja) 2019-12-17 2024-03-19 富士電機株式会社 商品収納装置
CN113475864A (zh) * 2021-08-05 2021-10-08 江西万橡家具集团有限公司 一种根据文件高度进行调节的文件柜
CN113475864B (zh) * 2021-08-05 2022-11-15 江西万橡家具集团有限公司 一种根据文件高度进行调节的文件柜
KR20230073667A (ko) 2021-11-19 2023-05-26 김상한 선반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수납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3881B1 (ko) 2005-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3881B1 (ko) 선반의 이동이 용이한 선반케이스
KR101035022B1 (ko) 조립식 화분장치
KR101653600B1 (ko) 회전식 식물재배장치
JP2010035521A (ja) 栽培用プランター
KR100843322B1 (ko) 다단식 화분대
JP3997490B2 (ja) 植物栽培展示装置
KR102257954B1 (ko) 수직 및 수평 전환이 가능한 다단 식물 재배대차
JP2004254688A (ja) 植物栽培装置、植物栽培設備及び栽培容器
CN210808415U (zh) 一种旋转式花盆
KR200356734Y1 (ko) 각도 조정이 가능한 화분대
JP2006204205A5 (ko)
CN209750600U (zh) 一种便于调节的花盆支架
CN210202608U (zh) 一种可拆卸式长效保湿花盆
JP3017043U (ja) フラワースタンド
KR101447331B1 (ko) 다층형 화분받침대
CN201938140U (zh) 旋转防渗花盆托盘
JP2019198246A (ja) 回転式植木鉢載置装置
CN211240977U (zh) 植物栽培架
JP2016096815A (ja) 植木鉢保持装置
CN220458115U (zh) 一种紫薇培育用支撑结构
CN219514763U (zh) 一种园林用种植花架
KR200463030Y1 (ko) 다기능 화분 받침대
KR200257496Y1 (ko) 식물재배용 다단식 선반
KR880002424Y1 (ko) 종축 회전식 다층 화분선반
CN212035201U (zh) 一种能调节光照的食用菌种植大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