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0273A - 역률보상 단일단 컨버터 - Google Patents

역률보상 단일단 컨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0273A
KR20030070273A KR1020020009740A KR20020009740A KR20030070273A KR 20030070273 A KR20030070273 A KR 20030070273A KR 1020020009740 A KR1020020009740 A KR 1020020009740A KR 20020009740 A KR20020009740 A KR 20020009740A KR 20030070273 A KR20030070273 A KR 20030070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factor
unit
bridge diode
voltage
transfor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9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0964B1 (ko
Inventor
권봉환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Priority to KR10-2002-0009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0964B1/ko
Priority to US10/244,019 priority patent/US6697269B2/en
Publication of KR20030070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0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0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09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02M1/4208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 H02M1/4258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using a single converter stage both for correction of AC input power factor and generation of a regulated and galvanically isolated DC output volt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Abstract

본 발명은 역률을 개선한 단일단 컨버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일단 컨버터는, 브리지 다이오드부(bridge diodes), 전압평활 콘덴서, 변압기 회로부, 메인스위치 및 역률 개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브리지 다이오드부는 역률 개선부에 전류 통로를 제공하고 전기 에너지를 전압평활 콘덴서로 전달하며, 전압평활 콘덴서는 브리지 다이오드부에서 전달되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한다. 메인스위치는 변압기 회로부와 함께 플라이백형, 포워드형 또는 하프브리지형 컨버터로 응용 가능하게 구성된다. 역률 개선부는 LC필터를 포함하며 입력전원에 연결된 두 개의 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이 다이오드들의 공통연결점이 궤환인덕터와 다이오드를 통해 변압기 회로부의 변압기 일차권선의 소정 위치에 연결되어 입력전류를 입력전압의 변화에 따라 증감시킨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단일단 컨버터는 입력단의 역률을 개선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역률보상 단일단 컨버터{Single-stage converter compensating power factor}
본 발명은 역률보상 단일단 컨버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입력전압을 다이오드와 궤환인덕터를 거쳐서 변압기 일차권선의 소정 위치에 연결하여 역률을 향상시킨 단일단 컨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류기는 교류를 입력받아 직류를 출력한다. 또한, DC-DC 컨버터는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여 승압 또는 강압시킨 후 정류한다. 이와 같은 컨버터는 펄스폭 변조(PWM; Pulse-Width Modulation) 방식을 이용한다. 컨버터 종류로는 플라이백 컨버터(flyback converter), 포워드 컨버터(forward converter), 하프브리지 컨버터(half-bridge converter), 풀브리지 컨버터(full-bridge converter) 등이 있다.
최근의 전자장치는 직류전압의 리플(ripple)에 특성이 매우 민감하게 변화되므로, 출력 직류전압의 리플을 줄이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출력 직류전압의 리플을 줄이기 위한 종래기술의 일실시예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할 때 콘덴서 입력형 정류방식을 사용한다. 콘덴서 입력형 정류방식은 입력단에 4개의 다이오드로 구성된 풀브리지 정류기 및 큰 정전용량(capacitance)을 가지는 콘덴서를 포함한다. 그런데, 정전용량이 큰 콘덴서를 이용하면 펄스형 충전전류 때문에 교류 입력단의 역률이 0.5~0.6 정도로 저하된다. 역률은 점차 더욱 규제에 들어가고 있는 실정이므로 역률의 저하는 바람직하지 않다.
종래기술에 의한 컨버터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 1a에 나타내 보였고, 종래기술에 의한 컨버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를 도 1b에 나타내 보였다.
도 1a를 참조하면, 반사이클 동안에는 다이오드(,)가 도통되고, 대응되는 반사이클 동안에는 다이오드(,)가 도통되기 때문에 출력파형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된다.
도 1b에 있어서, 출력전압이 상승되는 구간[0,]에서는 콘덴서()에 충전되는 전압()보다 공급되는 전압이 높기 때문에 충전전류가 흐른다. 반면에 출력전압이 하강되는 구간[,]에서는 콘덴서()는 방전되고, 전압 강하되는 구간의 시정수(time constant)는 부하() 및 콘덴서의 정전용량()의 곱에 해당된다.
상기와 같이 충전전류를 얻기 위한 구간[0,]은 방전구간[,] 보다 훨씬 짧다. 따라서, 도 1a에 도시된 컨버터는 출력전압의 리플을 줄이기 위하여 사용된 콘덴서의 충전전류 때문에 역률이 저하된다. 또한, 입력전압()이 콘덴서 양단의 전압보다 클 경우에만 입력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입력전류는 입력전압의 최대값 부근에서 펄스형으로 흐르게 되어 정현파 전류에 비해 많은 고조파 성분을 포함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입력부분에 역률 개선부를 도입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불연속 전류 모드 승압형(boost) 컨버터의 경우에는 전원전류가 전원전압의 정현파 모양을 자연히 따르게 된다. 하지만, 역률 개선부의 출력전압이 입력전압의 최대치보다 훨씬 커야 역률이 개선된다. 그런데, 역률 개선부의 출력전압이 커지면 반도체 소자들에 인가되는 전압들도 커지므로 이러한 전압 스트레스(stress)를 견디기 위하여 정격 전압이 큰 반도체 스위치를 사용해야 한다. 반면에, 정격전압이 큰 반도체 스위치는 도통저항 역시 커지므로 도통손실이커지며 이에 따라 전체 시스템의 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반도체 소자의 도통손실을 줄이면서 입력단의 역률을 개선하여 시스템 전체의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컨버터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입력전압을 다이오드와 궤환인덕터를 거쳐서 변압기 일차권선의 소정 위치에 연결하여, 역률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역률보상 컨버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의한 컨버터의 일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컨버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역률보상 단일단 컨버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역률보상 단일단 컨버터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단일단 컨버터의 각 부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단일단 컨버터의 실험 파형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단일단 컨버터
210...역률 개선부
220...브리지 다이오드부
230...변압기 회로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역률보상 단일단 컨버터는, 소정의 입력전원에 연결되는 역률개선부와; 상기 역률개선부의 후단에 배치되어 상기 역률개선부의 전류통로를 제공하는 브리지 다이오드부와; 상기 브리지 다이오드부를 경유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전압평활 콘덴서와; 상기 브리지 다이오드부와 전압평활 콘덴서 사이에 개재되는 변압기 회로부; 및 상기 브리지 다이오드부와 전압평활 콘덴서 및 변압기 회로부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변압기 회로부에의 전압 인가를 제어하는 메인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역률개선부는 상기 입력전원에 연결된 두개의 다이오드와, 그 일단은 상기 두 다이오드의 공통접점에 연결되고 그 타단은 소정의 궤환 다이오드를 통해 상기 변압기 회로부의 변압기 일차권선의 소정 부위에 연결되는 궤환인덕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역률개선부는 LC필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 다이오드부는 풀브리지 형태로 연결된 네 개의 다이오드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인스위치와 변압기 회로부는 플라이백 컨버터 또는 포워드 컨버터 또는 하프브리지형 컨버터로 이용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역률보상 단일단 컨버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역률보상 단일단 컨버터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역률보상 단일단 컨버터의 상세 회로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단일단 컨버터의 각 부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단일단 컨버터의 실험 파형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역률보상 단일단 컨버터(200)는 입력전압(전원)(), 역률 개선부(210), 브리지 다이오드부(220), 변압기 회로부(230), 메인스위치() 및 전압평활 콘덴서()를 포함한다.
브리지 다이오드부(220)는 역률 개선부(210) 후단에 배치되어 역률 개선부(210)에 전류 통로를 제공하며, 통과되는 전기 에너지를 전압평활 콘덴서()로 전달한다. 전압평활 콘덴서()는 브리지 다이오드부(220)에서 전달되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한다.
메인스위치()는 변압기 회로부(230)와 함께 플라이백형, 포워드형 및 하프브리지형 컨버터로 응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메인스위치()와 변압기 회로부(230)는 플라이백형, 포워드형 및 하프브리지형 컨버터로 이용될 수 있다.
역률 개선부(210)는 도시한 바와 같이 LC필터()를 포함하며 입력전압에 연결된 두 개의 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이 다이오드()()들의 공통연결점이 궤환인덕터()와 다이오드()를 통해 변압기 회로부(230)의 변압기() 일차권선의 소정 부위에 연결되어 입력전원()에서 공급되는 입력전류를 입력전압의 변화에 따라 증감시킨다.
메인스위치()의 듀티(duty)에 의하여 도 2에 도시된 단일단 컨버터(200)의 출력전압이 조절된다. 뿐만 아니라, 메인스위치()는 출력전압을 제어하며 동시에 입력단의 역률을 향상시키는 단일단(single-stage) 전압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단일단 컨버터(20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일단 컨버터(200)는 입력전압(), 역률 개선부(210), 브리지 다이오드부(220), 변압기회로부(230), 메인스위치() 및 전압평활 콘덴서()를 포함하여 구성됨은 전술한 바와 같다.
브리지 다이오드부(220)는 도시한 바와 같이 풀브리지 형태로 연결된 네 개의 다이오드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메인스위치()는 도시한 바와 같이 전압평활 콘덴서()의 일단과 변압기 회로부(230)의 일단에 각각 연결된다.
역률 개선부(210)는 LC필터()를 포함하고, 입력전압에 연결된 두 개의 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이 다이오드들의 공통연결점은 궤환인덕터()와 다이오드()를 통해 변압기()의 일차권선의 소정부분(CTRL; 도 2)에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역률보상 단일단 컨버터(200)의 작용 및 동작을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변압기()의 자화 인덕턴스()를 고려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은 소자의 동작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메인스위치()가 온(ON)되었다고 가정한다. 궤환인덕터()에 흐르는 전류()는 입력전압의 크기가 변압기의 일차권선의 일부()에 걸리는 전압보다 클 때만 흐르게 되며 작을 때에는 0이 된다. 입력전압의 크기가 변압기()의일차권선의 일부()에 걸리는 전압보다 클 때를 가정하면, 궤환인덕터()에 일정한 전압이 인가되어 전류는 선형적으로 증가하게 되며 변압기()의 자화인덕턴스()에도 일정한 전압()이 인가되어 선형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이때, 변압기() 출력부의 다이오드()는 역방향 상태이므로 변압기()의 이차권선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스위치()가 오프(OFF)되면, 변압기() 출력부의 다이오드()는 순방향 상태가 되고 궤환인덕터()에 일정한 역전압이 인가되어 궤환인덕터()에 흐르는 전류는 선형적으로 감소하게 되며 자화인덕턴스에 흐르는 전류도 이와 같이 선형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이때, 궤환인덕터()와 자화인덕턴스에 저장되었던 에너지가 변압기()의 출력부로 전달된다. 궤환인덕터()에 흐르는 전류가 계속 감소하여 0이 되면 역률개선부(210)의 다이오드는 역방향 상태가 되어 궤환인덕터()에 흐르는 전류는 계속 0에 머물러 있게 된다. 이때부터는 자화인덕턴스()에 저장된 에너지만 계속해서 변압기() 출력부로 전달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역률보상 단일단 컨버터(200)의 각 부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시각 이전에는 스위치()는 오프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따라서,시각 이전에는 궤환인덕터()를 흐르는 전류()는 그 최소값인 0이었다가시각부터시각까지 선형적으로 증가되어 결국 최대값인의 값을 갖는다.시각 이후로는, 출력부 다이오드()가 도통되면서 궤환인덕터()에 저장되었던 에너지가 변압기() 출력부로 전달되고 궤환인덕터()에 일정한 전압이 인가되므로 전류는 선형적으로 감소하게 된다.시각에 이르러 궤환인덕터()에 저장되었던 에너지는 모두 변압기() 출력부로 전달되고 궤환인덕터()에 흐르는 전류는 다음에 스위치()가 도통되기 전까지 0에 머물러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시각에 스위치()가 온되면 자화인덕턴스()에 인가되는 전압()은로 일정하게 되어 자화인덕턴스()에 흐르는 전류는 초기값()에서부터시각까지 선형적으로 증가하게 되어 최대값인에 이르게 된다.시각에 스위치()가 오프된 후에는, 출력부 다이오드()가 역방향 상태가 되면서 자화인덕터에 저장되었던 에너지가 변압기() 출력부로 전달되고 자화인덕턴스()에 일정한 역전압이 인가되므로 전류는 선형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이 과정은 다음에 스위치()가 온되기 전까지 계속된다.
[,]에서의 변압기() 1차측 권선에 흐르는 전류들(,)은 각각 궤환인덕터()에 흐르는 전류를 나누어 가지며 스위치()에 흐르는 전류는 자화인덕턴스()에 흐르는 전류와 전류의 합이 흐르게 된다. 이때 변압기() 이차권선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에서, 변압기 일차권선에 흐르는 전류은 자화인덕턴스에 흐르는전류가 그대로 흐르고, 전류는 궤환인덕터에 흐르는 전류와 자화인덕턴스에 흐르는 전류의 합이 흐르게 된다. 이때 변압기의 이차권선에는 자화인덕턴스에 흐르는 전류와 궤환인덕터에 흐르는 전류가 변압기의 권선비에 의해 흐르게 된다.
[,]에서, 변압기 일차권선에 흐르는 전류들는 자화인덕턴스에 흐르는 전류가 그대로 흐르고 변압기의 이차권선에 흐르는 전류는 자화인덕턴스에 흐르는 전류가 변압기의 권선비에 의해 흐르게 된다. 여기서, 궤환인덕터()에 흐르는 전류가 입력전류가 되는데, 이 평균 입력전류의 크기가 입력전압의 크기에 비례하므로 역률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역률의 향상 정도는 궤환인덕터()의 인덕턴스()의 크기와 변압기() 일차권선의 일부()에 따라 결정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역률보상 단일단 컨버터의 실험 파형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전류가 입력전압의 파형을 충실히 따르므로, 실험에 의하여 측정된 역률은 0.88로서 역률이 향상됨을 보인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역률보상 단일단 컨버터는, 입력전원에 연결된 두 개의 다이오드의 공통연결점을 궤환인덕터와 다이오드를 통해 변압기의 일차권선의 소정 부분에 연결하여 입력단의 역률을 개선시키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Claims (4)

  1. 소정의 입력전원에 연결되는 역률개선부;
    상기 역률개선부의 후단에 배치되어 이 역률개선부의 전류통로를 제공하는 브리지 다이오드부;
    상기 브리지 다이오드부를 경유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전압평활 콘덴서;
    상기 브리지 다이오드부와 전압평활 콘덴서 사이에 개재되는 변압기 회로부; 및
    상기 브리지 다이오드부와 전압평활 콘덴서 및 변압기 회로부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변압기 회로부에의 전압 인가를 제어하는 메인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역률개선부는 상기 입력전원에 연결된 두개의 다이오드와, 그 일단은 상기 두 다이오드의 공통접점에 연결되고 그 타단은 소정의 다이오드를 통해 상기 변압기 회로부의 변압기 일차권선의 소정 부위에 연결되는 궤환인덕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률보상 단일단 컨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률개선부는 LC필터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률보상 단일단 컨버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 다이오드부는 풀브리지 형태로 연결된 네 개의 다이오드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률보상 단일단 컨버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스위치와 변압기 회로부는 플라이백 컨버터 또는 포워드 컨버터 또는 하프브리지형 컨버터로 이용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률보상 단일단 컨버터.
KR10-2002-0009740A 2002-02-23 2002-02-23 역률보상 단일단 컨버터 KR100420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9740A KR100420964B1 (ko) 2002-02-23 2002-02-23 역률보상 단일단 컨버터
US10/244,019 US6697269B2 (en) 2002-02-23 2002-09-16 Single-stage converter compensating power fa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9740A KR100420964B1 (ko) 2002-02-23 2002-02-23 역률보상 단일단 컨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0273A true KR20030070273A (ko) 2003-08-30
KR100420964B1 KR100420964B1 (ko) 2004-03-02

Family

ID=27751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9740A KR100420964B1 (ko) 2002-02-23 2002-02-23 역률보상 단일단 컨버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697269B2 (ko)
KR (1) KR1004209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4177A (ko) * 2009-04-15 2010-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 공급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300007B1 (ko) * 2006-02-10 2013-08-27 필립스 솔리드-스테이트 라이팅 솔루션스, 인크. 부하마다 단일 스위칭 스테이지를 사용하는 고역률 제어 전력 전달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67575B2 (en) * 2002-12-06 2005-03-15 Delta Electronics, Inc. Switching mode power supply incorporating power line filter
US20050036245A1 (en) * 2003-08-15 2005-02-17 Intersil Americas Inc. Bridge power converter overload protection
KR101182674B1 (ko) * 2004-03-15 2012-09-14 필립스 솔리드-스테이트 라이팅 솔루션스, 인크.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EP2592904A1 (en) * 2007-05-07 2013-05-1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High power factor LED-based lighting apparatus and methods
EP2375553A1 (en) * 2009-12-31 2011-10-12 Nxp B.V. PFC circuit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8724A (ja) * 1992-05-21 1993-12-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885610B2 (ja) * 1993-06-22 1999-04-26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モード整流回路
JP3578874B2 (ja) * 1996-08-30 2004-10-20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電源装置及び空気調和装置の電源装置
US6069801A (en) * 1998-07-16 2000-05-30 Vlt Corporation Power factor correction in switching power conversion
US6191564B1 (en) * 1999-11-24 2001-02-20 Lucent Technologies Inc. Power factor correcting electrical converter apparatus
US6366474B1 (en) * 2000-09-29 2002-04-02 Jeff Gucyski Switching power supplies incorporating power factor correction and/or switching at resonant transition
US6473318B1 (en) * 2000-11-20 2002-10-2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eakage energy recovering system and method for flyback converter
US6519164B1 (en) * 2001-06-18 2003-02-1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ingle power stage AC/DC forward converter with power switch voltage clamping func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007B1 (ko) * 2006-02-10 2013-08-27 필립스 솔리드-스테이트 라이팅 솔루션스, 인크. 부하마다 단일 스위칭 스테이지를 사용하는 고역률 제어 전력 전달 방법 및 장치
KR20100114177A (ko) * 2009-04-15 2010-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 공급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161169A1 (en) 2003-08-28
US6697269B2 (en) 2004-02-24
KR100420964B1 (ko) 2004-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4986B1 (en) Topology and control method for power factor correction
Cheng et al. A novel single-stage high-power-factor AC/DC converter featuring high circuit efficiency
TWI472139B (zh) The control circuit of the flyback converter, the control method and the AC-DC power conversion circuit
CA2056010C (en) Inverter device for stable, high power-factor input current supply
EP1735901B1 (en) Ac/dc converter comprising plural converters in cascade
US7023186B2 (en) Two stage boost converter topology
US7432661B2 (en) Electronic ballast having a flyback cat-ear power supply
US7005759B2 (en) Integrated converter having three-phase power factor correction
TWI393337B (zh) 雙級交換式電源轉換電路
US5734562A (en)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US20100259240A1 (en) Bridgeless PFC converter
CN108539984B (zh) 开关电源电路的pfwm控制系统
KR100420964B1 (ko) 역률보상 단일단 컨버터
CN210093612U (zh) Led双色调光内置电源
KR20040001644A (ko) 절연형 디씨/디씨 전력변환기 및 이를 이용한 무정전전원공급 장치
Choi et al. Single-stage half-bridge converter with high power factor
US6798674B2 (en) Half-bridge converter with high power factor
CN109075710A (zh) 开关电源控制电路及开关电源装置
KR20100055233A (ko) 전력변환장치용 3상 전류형 하프-브리지 dc-dc 컨버터
JP2002078323A (ja) 電源装置
JP2000125548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100268563B1 (ko) 단상/3상 겸용 소프트 스위칭 방식 정류 장치
JPH04368471A (ja) 電源装置
JP3400132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
JP2003092881A (ja) 電源装置の制御回路用電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