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0161A - 주조된 Fe-Cr-X계 분체이송곡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주조된 Fe-Cr-X계 분체이송곡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0161A
KR20030070161A KR1020020009173A KR20020009173A KR20030070161A KR 20030070161 A KR20030070161 A KR 20030070161A KR 1020020009173 A KR1020020009173 A KR 1020020009173A KR 20020009173 A KR20020009173 A KR 20020009173A KR 20030070161 A KR20030070161 A KR 20030070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ast
manufacturing
curved pipe
body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9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9922B1 (ko
Inventor
최백남
Original Assignee
최백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백남 filed Critical 최백남
Priority to KR10-2002-0009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9922B1/ko
Publication of KR20030070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0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9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99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8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tubular bodies or pipes
    • C21D9/14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tubular bodies or pipes wear-resistant or pressure-resistant pip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18Hardening; Quenching with or without subsequent temp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56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characterised by the quenching agents
    • C21D1/58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62Quenching devices
    • C21D1/63Quenching devices for bath quenc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5/00Heat treatments of cast-ir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4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Cr and Ni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5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M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8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tubular bodies or pipes
    • C21D9/085Cooling or quenc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8Martens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주조된 Fe-Cr-X계 분체이송곡관 및 그 제조방법은 Fe-Cr-X계 재질의 원재료를 용해하여 몸체부(101)와 플랜지부(102)를 동시에 주조하되 몸체부(101)의 내측단면두께(t) 보다 외측단면두께(T)가 두껍게 주조하고, 그와 같이 주조된 주조품을 열처리하여 인장강도와 경도를 증대시킴으로써, 내마모성이 증대되어 사용수명이 3배이상 획기적으로 증대되고, 공정지연의 감소에 따른 생산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주조된 Fe-Cr-X계 분체이송곡관 및 그 제조방법{CASTED Fe-Cr-X ELBOW PIP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주조된 Fe-Cr-X계 분체이송곡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체이송곡관의 내측단면의 두께 보다 외측단면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도록 일체로 주조하여 분체의 이송시 입자들의 충돌에 의하여 외측단면이 먼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분체이송곡관의 수명을 향상시키도록 한 주조된 Fe-Cr-X계 분체이송곡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철제강설비, 시멘트설비, 광산설비, 공해방지장치의 집진설비 등에는 에어를 이용하여 분체를 최종 사용장소까지 이송하는 이송라인이 설치되어 있는데, 그와 같은 이송라인은 방향전환부위에 일정각도로 절곡된 곡관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이송라인에 설치된 곡관은 분체가 이송되며 원심력에 의하여 발생되는 충돌로 내주면의 외측이 내측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마모가 발생되며, 이와 같이 발생되는 마모는 곡관을 자주 교체하여야 하는 결과를 초래하여 공정지연 및 보수비용상승으로 인한 산업현장에서의 심각한 문제점으로 대두되는 실정이다.
도 1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코자 창안된 종래의 일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곡관의 몸체부(1) 외측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케이스(2)를 결합하고, 그 케이스(2)의 내측공간에 시멘트(3)를 채워서 강도를 보강한 형태로서, 이와같은 형태는 몸체부(1)의 외측으로 설치되는 케이스(2)에 의하여 상당부분 돌출되어야 하므로 주변의 타부품을 설치하는데 많은 제약이 있었으며, 실제적으로 몸체부(1)가 마모된 후에 시멘트(3) 부분은 강도가 약하여 급속히 마모되어 효과가 매우 미미한 것이었다.
도 2는 종래에 소개되고 있는 다른 형태의 보강방법으로, 일반구조용압연강재(SS계)나 압력배관용탄소강관(STPG)으로된 몸체부(10)의 외측에 하드 페이스(표면용접육성)나 세라믹(CERAMIC)으로 덛붙입부(11)를 형성하여 마모부위를 보강하는 형태로서, 하드 페이스는 재질이 고가일뿐 아니라, 용접육성하는 과정에서 미세한 크랙이 발생되고 그 크랙 부위에서 집중마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고, 세라믹을 덛붙이는 방법은 접합부위에서 잔여진동이 계속발생되므로 접합부위가 쉽게 떨어져 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분체의 충돌이 집중적으로 발생되는 부위의 두께가 두껍게 고강도 재질로 주조를 하여 곡관의 사용수명을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적합한 주조된 Fe-Cr-X계 분체이송곡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시멘트로 보강된 분체이송곡관의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및 측면도.
도 2는 종래 강재의 외측에 덛붙인 분체이송곡관을 보인 종단면도 및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주조된 Fe-Cr-X계 분체이송곡관을 보인 종단면도 및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의 열처리곡선을 보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에서 열처리 홀딩시간에 따른 경도변화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에서 열처리 온도에 따른 경도변화 그래프.
도 7 내지 도 12는 열처리전과 열처리후의 탄화물 석출 량을 보인 X선 회절시험그래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몸체부 102 : 플랜지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소정각도로 절곡된 관체상의 몸체부와 그 몸체부의 양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그 몸체부는 내측단면의 두께 보다 외측단면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도록 Fe-Cr-X계의 재질로 주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된 Fe-Cr-X계 분체이송곡관이제공된다.
또한, 선철과 회주철을 포함하는 원재료를 용해하여 C:2.0-3.2중량%, Si:0.5-1.0중량%, Mn:0.5-1.5중량%, P:0.040중량%이하, S:0.030중량%이하, Cr:15-30중량%, Mo:0.5-2.0중량%, Ni:0.2-2.0중량%, B:0.01-0.5중량%, W:0.2-1.0중량%, V:0.1-2.0중량%, 나머지 Fe로된 용탕을 제조하는 공정과,
그 용탕을 몸체부와 플랜지부가 일체로된 분체이송곡관의 형태로 제작된 주형에 주입한 후 냉각하여 주물을 제조하는 공정과,
그 주물을 열처리하여 강도와 경도를 향상시키는 공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된 Fe-Cr-X계 분체이송곡관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의 실시예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주조된 Fe-Cr-X계 분체이송곡관을 보인 종단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주조된 Fe-Cr-X계 분체이송곡관은 소정각도로 절곡된 관체상의 몸체부(101)와, 그 몸체부(101)의 양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부(10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몸체부(101)는 내측단면의 두께(t) 보다 외측단면의 두께(T)가 두껍게 형성되어, 분체가 몸체부(101)의 내측으로 이송시 외측단면의 내주면에 집중적인 충돌이 발생되어도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101)와 플랜지부(102)는 C:2.0-3.2중량%,Si:0.5-1.0중량%, Mn:0.5-1.5중량%, P:0.040중량%이하, S:0.030중량%이하, Cr:15-30중량%, Mo:0.5-2.0중량%, Ni:0.2-2.0중량%, B:0.01-0.5중량%, W:0.2-1.0중량%, V:0.1-2.0중량%, 나머지 Fe로된 Fe-Cr-X계의 하이 크롬강 재질로 주조되며, 그 주조된 주조물을 열처리하여 마르텐사이트(MARTEN SITE) 조직이 되도록 함으로써, 강도와 경도 및 내마모성이 현격이 향상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주조된 Fe-Cr-X계 분체이송곡관을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고주파 유도 용해설비를 이용하여 선철과 회주철을 포함하는 원재료를 용해하여 C:2.0-3.2중량%, Si:0.5-1.0중량%, Mn:0.5-1.5중량%, P:0.040중량%이하, S:0.030중량%이하, Cr:15-30중량%, Mo:0.5-2.0중량%, Ni:0.2-2.0중량%, B:0.01-0.5중량%, W:0.2-1.0중량%, V:0.1-2.0중량%, 나머지 Fe로된 용탕을 제조한다.
그런후, 그 용탕을 몸체부(101)와 플랜지부(102)가 일체로된 분체이송곡관(103)의 형태로 제작된 주형에 주입한 후 냉각하여 분체이송곡관(103)과 동일한 형상의 주물을 제작한다.
그런후, 그와 같이 제작된 주물의 강도와 경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최종적인 열처리를 실시하는데, 열처리하는 방법을 도 4의 그래프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조된 주조품을 열처리노에 넣고 시간당 80℃로 승온시킨 후 약850-1000℃에서 1-4시간 동안 유지시킨 후, 오일(OIL)에 담그거나 에어(AIR)로 강제송풍을 하여 급냉을 시킨다.
그런후, 탬퍼링노에 넣고 다시 시간당 90℃로 승온시킨 후, 약200-230℃에서 12시간 이상 지체시킨 다음, 자연상태에서 냉각을 시켜서 내마모성과 인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열처리를 하고난 후의 인장강도는 40kgf/mm2이상, 경도는 HRC로 55이상이 되어, 통상적인 종래 일반구조압연강재나 압력배관용탄소강관에 비하여 월등한 기계적성질을 나타내었다.
도 5는 열처리노에서 열처리한 시간에 따른 경도변화를 조사한 그래프로서, 그래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열처리를 하지 않은 경우에 경도가 HRC 53 정도이나, 열처리를 하고, 오일켄칭이나 강제송풍으로 냉각을 한 경우에 경도가 HRC 65 이상을 나타내고 있어서, 열처리를 하는 경우에 현격한 경도증가를 보이고 있다.
도 6은 열처리 온도와 시간에 따른 경도변화를 조사한 그래프로서, 그래프에 나타난 것과 같이, 850℃이상에서 1시간이상 열처리를 하는 것이 높은 경도값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7 내지 도 12의 그래프에서는 열처리를 하지 않은 상태와 열처리를 한 상태의 각 조건별 X선 회절그래프를 보인 것으로, 그래프에 나타난 것과 같이, 열처리를 하지 않는 경우보다 열처리를 한 경우에 탄화물의 석출 량이 급격히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금속조직은 종래의 일반구조압연강재나 압력배관용탄소강관은 퍼얼라이트(PEARLITE), 페라이트(FERRITE), 오스테나이트(AUSTENITE), 마르텐사이트(MARTENSITE) 등이 혼재되어 있는 상태이나, 본 발명에서는 거의 마르텐사이트(MARTENSITE)조직을 보이고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조된 Fe-Cr-X계 분체이송곡관 및 그 제조방법은 Fe-Cr-X계 재질의 원재료를 용해하여 몸체부와 플랜지부를 동시에 주조하되 몸체부의 내측단면두께 보다 외측단면두께가 두껍게 주조하고, 그와 같이 주조된 주조품을 열처리하여 인장강도와 경도를 증대시킴으로써, 내마모성이 증대되어 사용수명이 3배이상 획기적으로 증대되고, 공정지연의 감소에 따른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수명이 증대됨에 따라 수리비용이 감소되어 장비의 유지비용 및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소정각도로 절곡된 관체상의 몸체부와 그 몸체부의 양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그 몸체부는 내측단면의 두께 보다 외측단면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도록 Fe-Cr-X계의 재질로 주조되며,
    그 주조된 주조품이 열처리되어 금속조직이 마르텐사이트 조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된 Fe-Cr-X계 분체이송곡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Fe-Cr-X계의 재질은 C:2.0-3.2중량%, Si:0.5-1.0중량%, Mn:0.5-1.5중량%, P:0.040중량%이하, S:0.030중량%이하, Cr:15-30중량%, Mo:0.5-2.0중량%, Ni:0.2-2.0중량%, B:0.01-0.5중량%, W:0.2-1.0중량%, V:0.1-2.0중량%, 나머지 Fe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된 Fe-Cr-X계 분체이송곡관.
  3. 선철과 회주철을 포함하는 원재료를 용해하여 C:2.0-3.2중량%, Si:0.5-1.0중량%, Mn:0.5-1.5중량%, P:0.040중량%이하, S:0.030중량%이하, Cr:15-30중량%, Mo:0.5-2.0중량%, Ni:0.2-2.0중량%, B:0.01-0.5중량%, W:0.2-1.0중량%, V:0.1-2.0중량%, 나머지 Fe로된 용탕을 제조하는 공정과,
    그 용탕을 몸체부와 플랜지부가 일체로된 분체이송곡관의 형태로 제작된 주형에 주입한 후 냉각하여 주물을 제조하는 공정과,
    그 주물을 열처리하여 강도와 경도를 향상시키는 공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된 Fe-Cr-X계 분체이송곡관의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하는 공정은 주조품을 열처리노에 넣고 시간당 80℃로 승온시킨 후 약850-1000℃에서 1-4시간 동안 유지시킨 후, 오일에 담그거나 강제송풍하여 급냉을 시키고, 탬퍼링노에 넣고 다시 시간당 90℃로 승온시킨 후, 약200-230℃에서 12시간 이상 지체시킨 다음, 자연상태에서 냉각하는 순서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된 Fe-Cr-X계 분체이송곡관의 제조방법.
KR10-2002-0009173A 2002-02-21 2002-02-21 주조된 Fe-Cr-X계 분체이송곡관 및 그 제조방법 KR100479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9173A KR100479922B1 (ko) 2002-02-21 2002-02-21 주조된 Fe-Cr-X계 분체이송곡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9173A KR100479922B1 (ko) 2002-02-21 2002-02-21 주조된 Fe-Cr-X계 분체이송곡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0161A true KR20030070161A (ko) 2003-08-29
KR100479922B1 KR100479922B1 (ko) 2005-03-30

Family

ID=32222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9173A KR100479922B1 (ko) 2002-02-21 2002-02-21 주조된 Fe-Cr-X계 분체이송곡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99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36774A (zh) * 2013-08-21 2013-12-11 中联重科股份有限公司 高铬铸铁的制备方法、薄壁管件及薄壁管件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88963A (en) * 1978-12-26 1980-07-05 Kubota Ltd Production of bend pipe
JPS59173245A (ja) * 1983-03-24 1984-10-01 Sumitomo Metal Ind Ltd 耐食性のすぐれた油井管用鋼
JPS63256226A (ja) * 1987-04-14 1988-10-24 Kubota Ltd 偏肉曲管の製造方法
JPH02163585A (ja) * 1988-12-15 1990-06-22 Kubota Ltd 耐摩耗鋳鉄製部材
JP3226322B2 (ja) * 1992-04-24 2001-11-0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管継手
JPH0639146A (ja) * 1992-07-22 1994-02-15 Sekisui Chem Co Ltd テレビゲーム用コントローラ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36774A (zh) * 2013-08-21 2013-12-11 中联重科股份有限公司 高铬铸铁的制备方法、薄壁管件及薄壁管件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9922B1 (ko) 2005-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393178B2 (en) Method for fabricating low-cost, short-production-cycle wear-resistant steel
CN103194688B (zh) 一种耐磨钢管及其制造方法
CN104451405B (zh) 一种具有耐冲击磨损性能的奥氏体耐磨钢及其热轧板制造方法
CN104087820B (zh) 高强度球墨铸铁电杆及其制备工艺
KR20130135354A (ko) 강관의 담금질 방법
CN102747290B (zh) 一种经济型耐磨钢管及其制造方法
CN105088081B (zh) 稳定杆的制造工艺
CN110257706A (zh) 带槽铸造模具钢焊接钢管用冷轧辊及其加工工艺
CN104894492B (zh) 一种超低温大口径wphy80级三通管件专用钢板及其制备方法
CN106191650A (zh) 高耐磨表面硬化型热轧盘条及其生产方法
JPH08246100A (ja) 耐摩耗性に優れたパーライト系レールおよびその製造法
US20200165693A1 (en) Method for Producing a Wear-Resistant Steel Pipe, Wear-Resistant Steel Pipe, and Use of Such a Steel Pipe
CN103993233A (zh) 一种新型高寿命压铸模具钢及制造铝镁压铸模的工艺方法
CN104561817A (zh) 一种高铬钢支承辊及制备方法
KR100479922B1 (ko) 주조된 Fe-Cr-X계 분체이송곡관 및 그 제조방법
JP3257339B2 (ja) 耐磨耗性の優れた高炭素電縫鋼管の製造方法
CN110257710A (zh) 一种扎制高速钢轨用模具钢轧辊及其加工工艺
CN110106451A (zh) 一种高硅中碳耐磨铸钢及其热处理方法
CN107385317A (zh) 奥氏体球磨铸铁及其加工工艺
CN204611151U (zh) 一种s31803双相不锈钢法兰
KR101116429B1 (ko) 크레인 활차의 제조방법
KR100431849B1 (ko) 저온조직이 없는 고실리콘 첨가 중탄소강 선재의 제조방법
CN106222547B (zh) 一种1200MPa级高强塑性钢筋及热处理方法
JPH07179945A (ja) 圧延用カリバーロール
CN111074169A (zh) 一种贝氏体超高强耐磨钢板及其生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