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9783A - 디지털 인터페이스 송수신 회로를 갖는 평판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인터페이스 송수신 회로를 갖는 평판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9783A
KR20030069783A KR1020020074687A KR20020074687A KR20030069783A KR 20030069783 A KR20030069783 A KR 20030069783A KR 1020020074687 A KR1020020074687 A KR 1020020074687A KR 20020074687 A KR20020074687 A KR 20020074687A KR 20030069783 A KR20030069783 A KR 20030069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circuit
transistors
data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4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0545B1 (ko
Inventor
석준형
이승우
김종선
최명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0/372,042 priority Critical patent/US20030164811A1/en
Priority to JP2003043925A priority patent/JP2003316338A/ja
Priority to TW092103643A priority patent/TWI287780B/zh
Publication of KR20030069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9783A/ko
Priority to US11/450,771 priority patent/US802689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0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0545B1/ko
Priority to JP2010211740A priority patent/JP2011048378A/ja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 등과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그래픽 신호 생성 모듈과 액정 표시 모듈 사이 또는 액정 표시 모듈 내의 타이밍 제어 IC와 데이터 드라이버 IC 사이 등에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회로에는 제1전류원과 제2전류원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2전류원은 입력 데이터의 하위 비트 상태에 따라 공급 여부가 제어된다. 상기 제1 및 제2전류원이 합해지는 노드에는 송신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입력 데이터의 상위 비트 상태에 따라 상기 두 전류원에 의한 전류의 전송 경로가 결정된다. 상기 송신단의 신호는 전송선을 통해 전달되며, 상기 전송선에는 종단 저항이 연결되어 있다. 수신단은 상기 종단 저항에 걸리는 전압에 따라 출력 데이터를 검출한다. 본 발명의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회로는 하나의 클럭 주기동안 2비트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전압을 전송하는 방식에 비해 노이즈(noise)에 강하며, 장거리 전송에 효과적이다.

Description

디지털 인터페이스 송수신 회로를 갖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FLAT PANEL DISPLAY HAVING TRANSMITTING AND RECEIVING CIRCUIT FOR DIGITAL INTERFACE}
본 발명은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액정 표시 장치 등과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그래픽 신호 생성 모듈과 액정표시 모듈 사이 또는 액정 표시 모듈 내의 타이밍 제어 IC와 데이터 드라이버 IC 사이 등에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위한 송수신 회로를 갖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 분야에서 음극선관(CRT : Cathode-Ray tube)은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전력 소비가 크기 때문에 점차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로 대체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액정 표시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는 대형화, 고화질, 경박화, 저소비 전력화의 진행에 따라, 이러한 평판 디스플레이 분야에서도 특히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하는 모듈과 액정 표시 모듈 사이, 또는 액정 표시 모듈 내에서 타이밍 제어 IC와 데이터 드라이버 IC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디지털 인터페이스(digital interface)가 요구된다. 이러한 디지털 인터페이스는 디지털 처리된 화상 데이터를 부가적인 데이터 처리회로 없이 직접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므로, 저비용, 저소비전력 및 고품질의 표시장치를 구현시킨다.
일반적으로, SVGA급 해상도까지는 TTL/CMOS 인터페이스를 사용한 데이터 전송이 주로 사용되지만, XGA급 이상에서는 타이밍 마진, EMI, EMC 등의 기술적 난관을 극복하기 위하여 LVDS, TMDS, RSDS 방식과 같은 디지털 인터페이스가 사용된다.
한편, 액정 표시 장치가 대화면화할수록 이러한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대해서도 데이터 전송율의 향상, 데이터 전송시의 전력소비 감소, EMI 향상 및 노이즈에 대한 적응성의 관점에서 많은 개량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 하에 이루어진 것으로서, LVDS 방식을 변형하여 하나의 클럭 주기 동안에 2비트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위한 송수신 회로를 제공하는 데에 제1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TMDS 방식을 변형하여 하나의 클럭 주기 동안에 2비트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위한 송수신 회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전류 전달 방식을 이용하여 하나의 클럭 주기 동안에 2비트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위한 송수신 회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제4목적은 전류 전달 방식을 이용하여 하나의 클럭 주기 동안에 3비트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위한 송수신 회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회로.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표.
도 3a 내지 도 3d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회로의 수신단에서 출력을 결정하는 원리는 설명하는 회로.
도 4a 및 도 4b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회로의 출력전압 파형.
도 5a 내지 도 5e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회로의 시뮬레이션 파형.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회로.
도 7은 상기 도 6에 도시된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표.
도 8a 내지 도 8d는 상기 도 6에 도시된 회로의 수신단에서 출력을 결정하는 원리를 설명하는 회로.
도 9는 상기 도 6의 회로에 도시된 비교기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회로.
도 10a 및 도 10b는 상기 도 6에 도시된 회로의 시뮬레이션 파형.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회로.
도 12는 상기 도 11에 도시된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표.
도 13은 상기 도 11에 도시된 회로의 시뮬레이션 파형.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회로.
도 15는 상기 도 14에 도시된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표.
도 16 내지 도 18은 상기 도 14에 도시된 회로의 시뮬레이션 파형.
도 1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회로의 송신단 회로.
도 2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회로의 수신단 회로.
도 2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회로의 송신단 회로에서의 신호 파형.
도 2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회로의 수신단 회로에서의 신호 파형.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NM1∼NM5 : NMOS 트랜지스터 11 : 전송선
12 : 출력 검출회로 13, 14, 15 : 비교기
16 : 논리합 소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위한 송수신 회로는
제1전류원, 입력 데이터의 하위 비트 상태에 따라 공급 여부가 제어되는 제2전류원, 상기 제1 및 제2전류원이 합해지는 노드에 연결되어 입력 데이터의 상위 비트 상태에 따라 상기 두 전류원에 의한 전류의 전송 경로를 결정하는 트랜지스터 회로로 구성된 송신단;
상기 송신단의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전송선; 및,
상기 전송선에 연결된 종단 저항과, 상기 종단 저항에 걸리는 전압에 따라 출력 데이터를 검출하는 출력 검출회로로 구성된 수신단을 포함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서, 상기 제2전류원은 게이트에 상기 입력 데이터의 하위 비트가 인가된 트랜지스터를 경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트랜지스터 회로는 상기 두 전류원이 합해지는 노드에, 드레인과 소스가 순차적으로 연결된 한 쌍의 트랜지스터와, 상기 한 쌍의 트랜지스터에 병렬로 형성된 또 한 쌍의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며, 상기 각 쌍의 트랜지스터 사이의 접점은 상기 전송선과 연결되며, 상기 각 트랜지스터 중 대칭인 위치에 있는 트랜지스터에 입력 데이터의 상위 비트와 그 반전 비트가 각각 인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클럭 주기동안 2비트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또한, 전류 전달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전압을 전송하는 방식에 비해 노이즈(noise)에 강하며, 장거리 전송에 효과적이다.
상기 설명된 본 발명의 목적, 기술적 구성 및 그 효과는 아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회로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회로는 기존의 LVDS방식을 개량한 것으로서, 하나의 클럭 주기 동안에 2비트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회로이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회로는 크게 송신단, 수신단 및 이들 송신단과 수신단을 연결시키는 전송선(11)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송신단은 항상 공급되는 하나의 전류원, 입력 데이터의 하위 비트 상태에 따라 공급여부가 제어되도록 NMOS 트랜지스터(NM1)를 경유하여 상기 전류원에 합해지는 또다른 전류원, 상기 두 전류원이 합해지는 노드에 연결되어 입력 데이터의 상위 비트 상태에 따라 상기 전류원의 전송 경로를 결정하는 4개의 N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두 전류원이 합해지는 노드에, 드레인과 소스가 순차적으로 연결된 한 쌍의 NMOS 트랜지스터(NM2, NM4), 상기 노드에 드레인과 소스가 순차적으로 연결된 한 쌍의 NMOS 트랜지스터(NM3, NM5)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각 NMOS 트랜지스터 사이의 접점은 전송선(11)과 연결되고, 이 전송선의 양단에는 종단 저항으로서 저항(R)이 연결된다.
입력 데이터(D1, D2)는 하나의 클럭 주기 동안에 2비트씩 입력되며, 입력 데이터(D1, D2)의 상위 비트(D1)는 NMOS 트랜지스터(NM3, NM4)의 게이트에 각각 인가되고, 상기 상위 비트의 반전 비트(/D1)는 NMOS 트랜지스터(NM2, NM5)에 각각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상위 비트(D1)의 상태에 따라, NMOS 트랜지스터(NM2, NM5) 또는 NMOS 트랜지스터(NM3, NM4)가 동시에 턴온된다. 여기서, 상기 상위 비트(D1)는송신단 전류의 방향 정보를 나타내며, 상기 하위 비트는 전류량 정보를 나타낸다고 말할 수도 있다.
한편, 입력 데이터의 하위 비트(D2)의 상태에 따라, NMOS 트랜지스터(NM1)가 턴온 또는 턴오프됨으로써 또다른 전류원(ID)의 공급여부가 결정된다.
상기 수신단은 전송선(11)의 양단에 연결된 종단 저항(R)과, 이 저항(R)의 양단에 연결된 출력 검출회로(1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출력 검출회로(12)는 3개의 비교기(13, 14, 15)와 논리합 소자(16)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비교기(13)의 양의 입력단에는 a 노드가 연결되고 음의 입력단에는 b 노드가 연결되며, 상기 비교기(14)의 양의 입력단에는 a 노드가 연결되고 음의 입력단에는 레퍼런스 전압(Vref)이 인가되며, 상기 비교기(15)의 양의 입력단에는 b 노드가 연결되고 음의 입력단에는 레퍼런스 전압(Vref)이 인가된다. 상기 비교기(13)의 출력은 수신단의 출력(out1)으로 제공되고, 상기 두 비교기(14, 15)의 출력은 논리합 소자(16)에 의해 논리합된 후, 수신단의 출력(out2)으로 제공된다. 상기 비교기의 레퍼런스 전압(Vref)은 전원전압-1.5IR으로 설정된다.
도 2에 도시된 도표에는 입력 데이터(D1, D2)의 상태에 따라 종단 저항(R)에 흐르는 전류(IR)와 그 양단 전압(Va-Vb)이 나타내어져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데이터 (D1, D2)가 (0, 1)이라면, 종단 저항(R)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b 노드에서 a 노드를 향하는 방향이며, 그 양은 2ID가 된다. 반대로, 입력 데이터 (D1, D2)가 (1, 0)이라면, 종단 저항(R)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a 노드에서 b 노드를 향하는 방향이며, 그 양은 ID가 된다.
도 3a 내지 도 3d에는 수신단에서 전송된 신호에 대한 출력값을 결정하는 원리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입력 데이터 (D1, D2)가 (0, 0)일 때, 종단 저항(R)에는 b 노드에서 a 노드를 향해 ID의 크기를 갖는 전류가 흘러서, 출력(out1) 값은 '0'이 되고, 출력(out2) 값은 '0'이 된다. 도 3b에서, 입력 데이터(D1, D2)가 (0, 1)일 때에는, 종단 저항(R)에 b 노드에서 a 노드를 향해 2ID의 크기를 갖는 전류가 흘러서, 출력(out1) 값은 '0'이 되고, 출력(out2) 값은 '1'이 된다. 도 3c에서는, 입력 데이터 (D1, D2)가 (1, 0)일 때, 종단 저항(R)에 a 노드에서 b 노드를 향해 ID의 크기를 갖는 전류가 흘러서, 출력(out1) 값은 '1'이 되고, 출력(out2) 값은 '0'이 된다. 도 3d에서는, 입력 데이터 (D1, D2)가 (1, 1)일 때, 종단 저항(R)에 a 노드에서 b 노드를 향해 2ID의 크기를 갖는 전류가 흘러서, 출력(out1) 값은 '1'이 되고, 출력(out2) 값은 '1'이 된다.
따라서, 상기 출력 검출회로(12)의 출력(out1)은 입력 데이터의 상위 비트(D1)에 대한 수신 결과가 되며, 출력(out2)은 입력 데이터의 하위 비트(D2)에 대한 수신 결과가 된다. 한편, 상기 각 비교기(14, 15)에 설정되는 레퍼런스 전압은 전원전압-1.5IR이다.
도 4a 및 도 4b에는 종단 저항(R)에 걸리는 전압의 파형이 도시되어 있다.즉, 입력 데이터에 따라 전압 스윙(voltage swing)은 최대 4IDR이 된다. 입력 데이터 (D1, D2)가 (0, 1)에서 (1, 1)로 변할 때, 최대 전압 스윙이 발생하며, 이 때 전력 소비도 가장 많다.
도 5a 내지 도 5e에는 도 1에 도시된 회로의 각 신호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가 나타내어져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에는 HSPICE 프로그램이 사용되었다.
도 5a에는 입력데이터의 상위 비트(D1)의 파형이 도시되어 있고, 도 5b에는 입력데이터의 하위 비트(D2)의 파형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5c에는 종단 저항 양단 전압(Va-Vb, Vb-Va)의 파형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5d에는 수신단의 출력(out1, out2)의 파형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5e에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디코더를 거쳐서 얻어진 파형으로서, 원래의 데이터가 복원된 값이다. 본 시뮬레이션에서는 3.5 mA의 두 개의 전류원이 사용되었고, 전송선은 무손실 전송선이며, 특성 임피던스는 100으로 모델링 하였으며, 로드 커패시턴스는 30pF로 하였다. 상기 도 5e에서는, 송신단의 입력 데이터 D1(0, 1, 1, 0)과 D2(0, 1, 0, 1)에 대하여, 수신단에서 디코더(decoder,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배타적 논리합(exclusive OR) 연산을 실행하여 얻어진 원래의 홀수 번째 데이터 (0, 0, 1, 1)과 짝수 번째 데이터 (0, 1, 0, 1)의 복원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송신단에서 전송하고자 한 원래의 데이터는 (0, 0, 0, 1, 1, 0, 1, 1)이다.
즉,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회로는 하나의 클럭 주기동안 2비트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회로를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회로는 기존의 TMDS 방식을 개량한 것으로서, 하나의 클럭 주기 동안에 2비트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회로이다.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회로는 크게 송신단, 수신단 및 이들 송신단과 수신단을 연결시키는 전송선(3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전송선(30)은 두 개의 전류 경로(I1, I2)를 가지고 있다.
상기 송신단은 기준전류(Iref)를 생성하기 위한 전류원과 NMOS 트랜지스터(NM1), 상기 전송선(30)의 두 전류 경로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NMOS 트랜지스터(NM1)에 대해 미러 관계인 두 개의 병렬 연결된 NMOS 트랜지스터(NM2, NM3; NM4, NM5), 상기 각 NMOS 트랜지스터(NM2, NM3, NM4, NM5)가 위치한 경로의 도통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트랜지스터(S1, S2, S3, S4), 입력 데이터(D1, D2)의 2비트를 이용하여 상기 각 스위칭 트랜지스터(S1, S2, S3, S4)의 입력 조건을 결정하기 위한 게이트 소자(21, 22, 23)로 구성된다.
상기 수신단은 전원전압과 상기 전송선(30)의 각 전류 경로 사이에서 두 개의 직렬 연결된 저항으로 구성된 부하 회로와, 상기 부하 회로의 소정 노드의 전압값을 토대로 출력을 결정하는 출력 검출회로(40)로 구성된다. 상기 출력 검출회로(40)는 3개의 비교기(41, 42, 43)와, 상기 두 비교기(42, 43)의 출력을 논리합 연산하는 게이트 소자(44)로 구성된다. 상기 비교기의 출력은 출력데이터(D1')로 제공되고, 상기 게이트 소자(44)의 출력은 출력 데이터(D2')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회로의 송신단(20)은 2비트의 입력 데이터(D1, D2)에 의해 전송선(30)의 두 전류 경로에 흐르는 전류(I1, I2)를 결정하여 이들 입력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한다. 수신단의 출력 데이터(D1')는 입력 데이터 (D1)이 전송된 결과이고, 출력 데이터(D2')는 입력 데이터 (D2)가 전송된 결과이다.
상기 수신단에서 출력 데이터 (D1')이 전송되는 원리는 전송선(30)의 전류 I1과 I2의 양을 상기 부하회로에 의해 전압으로 변환한 후 이를 비교해서, 만약 I1이 I2보다 크다면, 출력 데이터(D1')가 '0'이 되고, I1이 I2보다 작다면, 출력 데이터(D1')가 '1'이 된다. 또한, 출력 데이터(D2')는 전류 I1과 I2의 차이 정도에 따라서 값이 결정되는데, 만일 두 전류의 차이가 2Iref라면 '1'이 된다. 이것은 두 전류 중 하나가 3Iref일 경우를 의미한다. 상기 전류 I1, I2가 가질수 있는 값은 송신단(20)의 회로를 살펴보면, Iref, 2Iref, 3Iref 중 하나 임을 알 수 있다.
송신단(20)의 스위칭 트랜지스터(S1, S2, S3, S4)는 입력데이터(D1, D2)의 값에 따라 도통여부가 제어되며, 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전류 값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NMOS 트랜지스터(NM2, NM3, NM3, NM4)가 위치한 전류 경로의 도통 여부가 제어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NMOS 트랜지스터(NM2)는 전류원과 NMOS 트랜지스터(NM1)에 의해 기준 전류(Iref)와 동일한 값을 생성하며, NMOS 트랜지스터(NM3)는 기준 전류(Iref)의 두배의 값을 생성하며, NMOS 트랜지스터(NM4)는 기준전류(Iref)와 동일한 값을 생성하며, NMOS 트랜지스터(NM5)는 기준 전류(Iref)의 두배의 값을 생성하므로, 전송선(30)의 각 전류 경로의 전류 I1, I2가 가질수 있는 전류량은 1Iref, 2Iref, 3Iref이다.
도 7에는 입력데이터(D1, D2)에 따른 스위칭 트랜지스터(S1, S2, S3, S4)의 온/오프 상태와 전송선(30)의 각 전류 경로의 전류(I1, I2)가 도표로 정리되어 있다. 예를 들어, 입력데이터(D1, D2)가 (1, 0)일 때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S1, S4)만 턴온되어, 전류 I1은 Iref가 되고, 전류 I2는 2Iref가 된다.
도 8a 내지 도 8d에는 입력데이터(D1, D2)에 의해 전송되는 전류에 따라 수신단에서 신호를 복원하는 원리가 나타내어 있다. 상기 도 8a 내지 도 8d에서 각 비교기(41, 42, 43)는 양(+)의 입력단 전압이 음(-)의 입력단 전압보다 클 경우에는 하이(high) 레벨을 출력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로우(low) 레벨을 출력한다.
도 8a에서는, 입력데이터(D1, D2)가 (0, 0)일 때, 상기 도 7의 도표로부터 I1 = 2Iref, I2 = Iref로 되고, a 노드의 전압 Va = Vdd - 25*2Iref, b 노드의 전압 Vb = Vdd - 50*2Iref, c 노드의 전압 Vc = Vdd - 25*Iref, d 노드의 전압 Vd = Vdd - 50*Iref로 되어, 출력데이터(D1', D2')는 (0, 0)가 된다. 여기서, Vdd는 일반적인 전원전압이다.
도 8b에서는, 입력데이터(D1, D2)가 (1, 0)일 때, 상기 도 7의 도표로부터 I1 = Iref, I2 = 2Iref로 되고, a 노드의 전압 Va = Vdd - 25*Iref, b 노드의 전압 Vb = Vdd - 50*Iref, c 노드의 전압 Vc = Vdd - 25*2Iref, d 노드의 전압 Vd = Vdd- 50*2Iref로 되어, 출력데이터(D1', D2')는 (1, 0)가 된다.
도 8c에서는, 입력데이터(D1, D2)가 (0, 1)일 때, 상기 도 7의 도표로부터 I1 = 3Iref, I2 = Iref로 되고, a 노드의 전압 Va = Vdd - 25*3Iref, b 노드의 전압 Vb = Vdd - 50*3Iref, c 노드의 전압 Vc = Vdd - 25*Iref, d 노드의 전압 Vd = Vdd - 50*Iref로 되어, 출력데이터(D1', D2')는 (0, 1)가 된다.
도 8d에서는, 입력데이터(D1, D2)가 (1, 1)일 때, 상기 도 7의 도표로부터 I1 = Iref, I2 = 3Iref로 되고, a 노드의 전압 Va = Vdd - 25*Iref, b 노드의 전압 Vb = Vdd - 50*Iref, c 노드의 전압 Vc = Vdd - 25*3Iref, d 노드의 전압 Vd = Vdd - 50*3Iref로 되어, 출력데이터(D1', D2')는 (1, 1)가 된다.
도 9에는 상기 도 6의 회로에 사용된 비교기(41, 42, 43)의 세부 구조이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비교기는 선증폭(preamplification)부(411), 양의 입력단과 음의 입력단의 전압값에 따라 출력을 결정하는 비교부(412), 출력 버퍼(413)로 구성되어 있다.
도 10a 및 도 10b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회로의 HSPICE 시뮬레이션 결과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 10a에는 입력 데이터(Din1, Din2)에 따라 도 6의 스위칭 트랜지스터(S1, S2, S3, S4)의 게이트 전압과 전송선에 흐르는 전류(I1, I2)의 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b에는 수신단 부하회로의 각 노드 전압(Va, Vb, Vc, Vd)과 출력 데이터(Dout1, Dout2) 사이의 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b의 상단에서의 전압 스윙은 노드 a, b, c, d 사이의 저전압 스윙(low voltage swing)을 보여주고 있으며,도 10a에서와 같이, 입력데이터 Din1과 Din2가 각각 (0, 1, 0, 1), (0, 0, 1, 1)으로 차례로 입력될 때, 출력 데이터 Dout1과 Dout2가 각각 (0, 1, 0, 1), (0, 0, 1, 1)으로 출력되어 그 전송 결과가 올바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비교기의 양의 입력단과 음의 입력단에서의 전압차인 Vbc, Vbd 및 Vba는 전류의 양에 따라 25오옴의 종단 저항에서 최대 약 3Iref*25 V가 된다. 여기서, Iref는 7mA로 하였으며, 전송선의 특성 임피던스는 약 100오옴으로 하였다.
다음으로,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회로를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된 제3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회로는 CM-MVL(Current Mode Multi-Valued Logic)을 이용한 것으로서, 신호 전송시의 노이즈에 강하면서도 하나의 클럭 주기 동안에 2비트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회로이다.
상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회로는 크게 송신단, 수신단 및 이들 송신단과 수신단을 연결시키는 전송선(5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송신단은 두 개의 전류 경로를 가지며, 소정의 전류값(Iref, 2Iref)을 상기 각 전류 경로에 형성시키는 전류원과, 상기 각 전류 경로에 연결되어 입력데이터(D1, D2)에 따라 상기 각 전류 경로의 도통을 제어하며, 상기 두 전류 경로를 합쳐서 상기 전송선(50)에 연결시키는 NMOS 트랜지스터(NM2, NM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전류원은 전원전압과 접지 사이에서 직렬로 연결된 PMOS 트랜지스터(PM1) 및 NMOS 트랜지스터(NM1)와, 상기 PMOS 트랜지스터(PM1)에 대해 미러 관계로 동작하도록 연결되며 각각 소정의 전류값(Iref, 2Iref)을 갖는 전류 경로를 형성하는 두개의 PMOS 트랜지스터(PM2, PM3)로 구성된다.
상기 송신단의 전류원은 MOS 트랜지스터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보다 구체적으로, 전원전압과 접지 사이에서 각 게이트가 공통접속되고 서로 직렬로 연결된 PMOS 트랜지스터(PM1) 및 NMOS 트랜지스터(NM1)와, 상기 PMOS 트랜지스터(PM1)에 대해 미러(mirror) 관계로 연결되고 각각 Iref, 2Iref의 전류 값을 갖는 전류 경로를 형성하는 PMOS 트랜지스터(PM2, PM3)로 구성된다.
상기 수신단은 0.5Iref, 1.5Iref, 2Iref의 전류 값을 각각 갖는 전류 경로를 형성시키는 전류원과, 상기 전송선(50)을 통해 전달된 전류를 상기 3개의 전류 경로에 전달하기 위한 트랜지스터(NM4, NM5, NM6, NM7)와, 상기 3개의 전류 경로에서의 전류 차이에 따라 출력 데이터를 검출하는 게이트 소자(51, 52, 5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수신단에서 노드 B의 신호는 반전기(51)에 의해 반전된후, 출력 데이터(D2)로서 제공되고, 상기 반전기(51)의 출력과 노드 C의 신호는 논리곱 소자(52)에 의해 논리곱 연산된 후, 노드 A의 신호와 함께 NOR 게이트 소자(53)에 출력되고, NOR 게이트 소자(53)는 이들 신호를 NOR 연산하여 출력 데이타(D1)으로서 제공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회로는 별도의 전류원 없이 MOS 트랜지스터의 조합에 의해 전류가 발생되고, 입력 데이터에 의해 해당 MOS 트랜지스터(NM2, NM3)가 온/오프될 때에만 전력이 소비되므로, 저전력 구동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제3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회로에서는 전송선(50)을 통해 전달된 전류가 수신단의 3개의 전류 경로에서 발생하고, 각 전류 경로에 미리 설정해 놓은 전류값과의 차이를 게이트 소자들에 의해 검출함으로써 출력데이터가 생성된다. 즉, MOS 트랜지스터의 특성상 2.5V 이상이면, 하이 레벨로 인식하고 그 이하이면 로우(low) 레벨로 인식하므로, 회로의 전체적인 전송속도가 향상된다. 또한, 전류 전달 방식이 채택되었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시에 발생하는 노이즈에 강한 특성을 가지게 된다.
도 12에는 입력 데이터(D1, D2)에 대한 수신단의 각 노드의 신호 상태와, 게이트 소자들의 출력값이 도시되어 있다. 도 12에서, Inverter1은 반전기(51)의 출력을 가리키고, Inverter2는 NOR 게이트 소자(53)의 출력을 가리킨다.
도 13에는 입력 데이터(D1, D2)로서 00, 10, 01, 11을 순차적으로 입력했을 때, 각 노드 A, B, C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SPICE 프로그램으로 시뮬레이션한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회로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회로는 하나의 클럭 주기 동안에 3비트를 전송할 수 있는 회로이다.
상기 제4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회로는 상기 제3실시예의 회로를 확장함으로써 설계할 수 있다.
상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회로는 크게 송신단, 전송선, 수신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송신단은 3개의 전류 경로를 가지며, 소정의 전류값(I, 2I, 4I)를 상기 각 전류 경로에 형성시키는 전류원과, 상기 각 전류 경로에 연결되어 입력데이터(D1, D2, D3)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각 전류 경로의 도통을 제어하며, 상기 세개의 전류 경로를 합쳐서 전송선('Iin'이 표시된 곳)에 연결시키는 NMOS 트랜지스터(NM2, NM3, NM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전류원은 전원전압과 접지 사이에서 직렬로 연결된 PMOS 트랜지스터(PM1) 및 NMOS 트랜지스터(NM1)와, 상기 PMOS 트랜지스터(PM1)에 대해 미러 관계로 동작하도록 연결되며, 각각 소정의 전류값(I, 2I, 4I)을 갖는 전류 경로를 형성하는 3개의 PMOS 트랜지스터(PM2, PM3, PM4)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원전압과 접지 사이에서 각 게이트가 공통 접속되고 서로 직렬로 연결된 PMOS 트랜지스터(PM1) 및 NMOS 트랜지스터(NM1)와, 상기 PMOS 트랜지스터(PM1)에 대해 미러(mirror) 관계로 연결되고 각각 I, 2I, 4I의 전류 값을 갖는 전류 경로를 형성하는 PMOS 트랜지스터(PM2, PM3, PM4)로 구성된다. 상기 각 PMOS 트랜지스터(PM2, PM3, PM4)의 소스는 상기 각 NMOS 트랜지스터(NM2, NM3, NM4)의 드레인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각 NMOS 트랜지스터의 공통 연결된 소스는 전송선과 연결된다.
상기 수신단은 0.5I, 1.5I, 2.5I, 3.5I, 4.5I, 5.5I, 6.5I의 전류 값을 각각 갖는 전류 경로를 형성시키는 전류원과, 상기 전송선을 통해 전달된 전류를 상기 7개의 전류 경로에 전달하기 위한 NMOS 트랜지스터(NM6, NM7, NM8, NM9, NM10,NM11, NM12)와, 상기 7개의 전류 경로에서의 전류 차이에 따라 출력 데이터를 검출하는 출력 검출회로(6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7개의 PMOS 트랜지스터(PM6∼PM12)의 소스와 상기 7개의 NMOS 트랜지스터(NM6∼NM12)의 드레인은 서로 연결되며, 이 연결에 의해 생성되는 노드(A, B, C, D, E, F, G)의 신호들은 출력 검출회로(60)에 제공된다. 한편, 상기 각 PMOS 트랜지스터(PM6∼PM12)에는 미러 관계로 연결되는 한 쌍의 PMOS 트랜지스터(PM5)와 NMOS 트랜지스터(NM13)가 연결된다.
상기 출력 검출회로(60)는 7개의 노드(A, B, C, D, E, F, G)의 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논리 연산을 통해 3비트의 출력 데이터(D1, D2, D3)를 생성한다. 각 출력 데이터를 노드 신호로 표현하면, D1=/AB+/CD+/EF+/G 이고, D2=/BD+/F이고, D3=/D이다. 상기 출력 검출회로(60)의 각 게이트 소자는 위 수식을 만족시키도록 논리소자가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노드 A의 신호가 반전기(61)에 의해 반전된 후, 노드 B의 신호와 함께 논리곱 소자(67)에 제공되고, 노드 C의 신호가 반전기(62)에 의해 반전된 후, 노드 D의 신호와 함께 논리곱 소자(68)에 제공되고, 노드 E의 신호가 반전기(63)에 의해 반전된 후, 노드 F의 신호와 함께 논리곱 소자(69)에 제공된다. 노드 B의 신호가 반전기(65)에 의해 반전된 후 노드 D의 신호와 함께 논리곱 소자(70)에 제공된다. 노드 D의 신호가 반전기(71)에 의해 반전된 후, 출력데이터(D3)로서 제공된다. 노드 F의 신호가 반전기(66)에 의해 반전된 후, 상기 논리곱 소자(70)의 출력과 함께 논리합 소자(73)에 출력되며, 상기 논리합 소자(73)의 출력은 출력 데이터(D2)로서 제공된다. 상기 노드 G의 신호가 반전기(64)에 의해 반전된 후, 상기 논리곱 소자(67, 68, 69)의 출력과 함께 논리합 소자(72)에 입력되며, 상기 논리합 소자(72)의 출력은 출력 데이터(D1)로서 제공된다.
상기 제4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회로에서는, 송신단에서 전류 미러를 이용하여 특정한 전류원 없이 MOS 트랜지스터의 조합에 의해 I, 2I, 4I의 전류가 발생되고, 3비트의 입력데이터(D1, D2, D3)에 의해 상기 MOS 트랜지스터(NM2, NM3, NM4)가 스위칭됨으로써, 전송선에 I부터 7I까지의 전류가 공급된다. 만약, 기준 전류 I를 0.5mA로 설정하면, 전송선에는 0.5mA에서 3.5mA까지의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러한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회로에서는, MOS 트랜지스터가 온/오프 될 경우에만 전력이 소비되므로, 저전력 구동이 가능해진다.
상기 제4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회로의 수신단에서의 데이터 복원 원리는 다음과 같다. 즉, 전송선을 통해 전달된 I부터 7I까지의 전류는 전류 미러인 트랜지스터(NM5)를 통해 7개의 NMOS 트랜지스터(NM6∼NM12)에 동일하게 전달된다. 또한, 상기 각 PMOS 트랜지스터(PM6∼PM12)에는 전류 미러를 이용하여 0.5I, 1.5I, 2.5I, 3.5I, 4.5I, 5.5I, 6.5I의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 때, 출력 검출회로(60)에 의해 상기 PMOS 트랜지스터(PM6∼PM12)와 NMOS 트랜지스터(NM6∼NM12) 사이의 노드(A, B, C, D, E, F, G)에서의 신호를 통해, 위쪽과 아래쪽에 흐르는 전류를 비교하여 각 전류 경로에 흐르는 전류의 차에 의해 출력 데이터를 복원시킨다. 이렇게 발생된 신호는 MOS 소자의 특성상 2.5V 이상일 경우에는 하이(high) 레벨로 인식하고, 그 이하이면 로우(low) 레벨로 인식하므로, 빠른 전송속도가 구현될 수 있다.
도 15에는 입력 데이터(D1, D2, D3)와, 수신단의 각 노드(A, B, C, D, E, F, G)의 신호와, 출력 데이터(D1, D2, D3)의 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6 내지 도 18의 도면은 상기 제4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회로를 HSPICE 프로그램으로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은 20MHz 데이터 전송을 가정하여 수행되었으며, 전송선의 특성 임피던스는 100오옴으로 모델링되었다.
도 16은 3비트의 입력 데이터(D1, D2, D3)에 따른 전송선의 전류량을 나타내고 있다. 입력 데이터(D1, D2, D3)의 비트 상태에 따라 NMOS 트랜지스터(NM2, NM3, NM4)가 스위치로 동작하여 전송선에 0부터 7I까지의 전류가 흐르게 된다.
도 17은 전송선으로 들어오는 전류량과 수신단에서 전류 미러에 의해 생성된 전류량을 비교하여 생성된 전류가 더 큰 경우에는 5V, 작은 경우에는 0V 로 나타낸 노드 A, B, C, D, E, F, G에서의 전압을 나타내고 있다.
도 18은 제4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회로에서의 입력 데이터와 복원된 출력 데이터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4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회로에서는,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딜레이(delay)가 약 8ns로서, 이론적으로는 최대 100 MHz까지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그러나, 실제로는 MOS 소자의 특성상 그 정도의 속도는 나오지 않는다. 이러한 전송 속도 문제는 회로 구조를 최적화시킴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9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회로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회로는 하나의 클럭 주기 동안에 2비트를 전송할 수 있는 회로이다. 상기 제5실시예는 송신단에서 전류 싱크와 전류 소스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전송되는 전류의 안정성이 증가한다는 점과, 일정한 공통 전압에 의해 동작한다는 점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들과 구별된다.
도 19에는 제5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회로의 송신단 회로가 도시되어 있고, 도 20에는 제5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회로의 수신단 회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5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회로에서는 전송하고자 하는 디지털 데이터가 2비트(D0D1)이고, 전류 전달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디지털 데이터가 전류 형태로 송신단에서 수신단으로 전달된다. 이 때, 전류의 크기와 방향이 송신단에서 상기 디지털 데이터에 따라 결정되고, 수신단에서는 상기 전달된 전류의 크기와 방향을 검출함으로써 원래의 디지털 데이터가 복구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제5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회로의 송신단은 전류 소스(source)로 작용하도록 전류 미러(current mirror) 형태로 연결되는 트랜지스터(M1, M2)와, 전류 싱크(sink)로 작용하도록 전류 미러(current mirror) 형태로 연결되는 트랜지스터(M12, M14, M15)와, 전송하는 데이터의 하위 비트 상태에 따라 전류의 크기를 변경하기 위한 트랜지스터(M13)와, 전송하는 데이터의 상위 비트 상태에 따라 전류의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트랜지스터(M4, M5, M6, M7)와, 전송선으로 작용하는 부하 저항(R1)으로 구성된다.
상기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회로의 동작이 시작되면, 트랜지스터(M1, M2)에의해 소정의 전류가 생성되어 상기 트랜지스터(M2)의 드레인에 흐른다. 트랜지스터(M12, M14, M15)는 전류 싱크로 동작하며, 상기 트랜지스터(M2)의 드레인 전류를 흡수한다. 이 때, 전송하고자 하는 디지털 데이터의 하위 비트(D1) 상태에 따라 트랜지스터(M13)가 온/오프되며, 상기 트랜지스터(M13)의 온/오프에 따라 상기 트랜지스터(M2)의 드레인 전류가 증감된다. 한편, 상기 트랜지스터(M2)의 드레인 전류는 상위 비트(D0)의 상태에 따라 상기 트랜지스터(M4, M5, M6, M7)에 의해 결정되는 경로를 통과하여 부하 저항(R1)에 인가된다. 예를 들어, 상위 비트(D0)가 하이 레벨(high level)일 경우에는 트랜지스터(M4, M5)는 턴온되고 트랜지스터(M6, M7)은 턴오프된다. 따라서, 저항(R1)의 노드 a에서 노드 b방향으로 전류가 흐른다. 트랜지스터(M8, M10)와 트랜지스터(M9, M11)는 하위 비트(D1)의 상태에 관계없이 둘 중 하나가 반드시 턴온된다. 즉, 하위 비트(D1)가 하이 레벨일 경우에는 트랜지스터(M8, M9)가 각각 턴온되고, 하위 비트(D1)가 로우 레벨일 경우에는 트랜지스터(M10, M11)가 각각 턴온된다. 상위 비트(D0)가 로우 레벨(low level)일 경우에는 트랜지스터(M6, M7)가 턴온되고 트랜지스터(M4, M5)는 턴오프된다. 따라서, 저항(R1)의 노드 b에서 노드 a방향으로 전류가 흐른다.
도 21에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회로의 송신단의 신호 파형이 도시되어 있다. 도 21에서 첫번째 파형은 노드 a와 노드 b의 전압이고, 두번째 파형은 노드 a와 노드 b의 전압차이며, 세번째 파형은 공통 전압(common voltage)이며, 네번째 파형은 전송하고자 하는 디지털 데이터(D0D1)이다. 상기 도 2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전류 소스와 전류 싱크를 동시에 이용함으로써 공통 전압이 보다 안정됨을 알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회로의 수신단 회로는 셀프-바이어스 차동 증폭기(self-biased differential amplifier)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M16~M21)와, 비교기(COM)와, 버퍼 회로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M22~M25, M36~M39)로 구성된다.
상기 각 트랜지스터(M16~M21)는 저항(R1)의 양쪽 노드(a, b)의 전압을 증폭을 통해 검출하고, 그 극성에 따라 하이 또는 로우 레벨을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각 트랜지스터(M16~M21)는 셀프-바이어스를 이용함으로써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 전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상기 각 트랜지스터(M16~M21)에서 얻어진 데이터는 버퍼 회로를 거쳐 출력 데이터의 상위 비트(OUT0)로서 제공된다. 상기 버퍼 회로는 출력 데이터의 상위 비트(OUT0)와 하위 비트(OUT1) 사이의 신호 지연으로 인한 타이밍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비교기(COM)는 저항(R1)의 양 노드(a, b)의 전압을 입력받아, 그 크기를 비교하여 그 크기 차이에 따라 하이 또는 로우 레벨을 판단하며, 그 출력은 출력 데이터의 하위 비트(OUT1)로서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수신단 회로는 송신단에서 보내진 전류의 크기 및 방향에 따라 디지털 데이터를 판단함으로써 원래 송신단에서 전송하고자 한 디지털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다.
도 22에는 상기 도 20의 수신단 회로에서 사용된 신호의 파형이 도시되어 있다. 첫번째 파형은 상기 저항(R1)의 노드 a와 노드 b의 전압이고, 두번째 파형은상기 비교기의 출력 전압이며, 세번째 파형은 상기 버퍼 회로의 출력 전압이다.
상기 제5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회로에서는 송신단에 전류 소스와 전류 싱크를 동시에 구비함으로써 공통 전압(common voltage)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전달되는 전류의 안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수신단에 사용된 셀프 바이어스 차동 증폭기에 의해 외부로부터 전원 전압을 공급받지 않아도 되는 잇점을 제공한다.
이상으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LVDS 방식을 변형하여 하나의 클럭 주기 동안에 2비트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회로와, TMDS 방식을 변형하여 하나의 클럭 주기 동안에 2비트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회로와, 전류 전달 방식을 이용하여 하나의 클럭 주기 동안에 2비트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회로와, 전류 전달 방식을 이용하여 하나의 클럭 주기 동안에 3비트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회로는 하나의 클럭 주기 동안 2비트 혹은 3비트의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향후 QXGA(2048X1536) 급을 가진 고속 영상 전송시스템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전류 전달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전압을 전송하는 방식에 비해 노이즈(noise)에 강하며, 장거리 전송에 효과적이다.

Claims (17)

  1. 하나의 클럭 주기 동안에 적어도 2비트의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전송 데이터의 비트 상태에 따라 전류방향 및 전류크기를 각각 조절함으로써 상기 전송 데이터를 원래대로 복원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전류원, 입력 데이터의 하위 비트 상태에 따라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제1스위칭회로, 상기 제1스위칭회로의 일측에 연결된 제2전류원, 상기 제1스위칭회로의 다른 측에 연결되고 상기 입력데이터의 상위 비트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전류원에 따른 전류의 방향을 결정하는 제2스위칭회로로 구성된 송신단;
    상기 송신단의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전송선; 및,
    상기 전송선에 연결된 종단 저항과, 상기 종단 저항에 걸리는 전압에 따라 출력 데이터를 검출하는 출력 검출회로로 구성된 수신단을 포함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스위칭회로는 MOS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위칭회로는,
    상기 두 전류원의 접점 노드에 연결되고 상호 직렬 연결된 제1그룹의 트랜지스터들 및 상기 제1그룹의 트랜지스터들에 병렬 연결된 제2그룹의 트랜지스터들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그룹의 트랜지스터들은 전송선에 연결되며 서로 다른 비트 상태가 인가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검출회로는,
    상기 종단 저항 양단자의 전압을 비교하는 제1비교기;
    상기 종단 저항의 어느 한 단자와 소정의 기준 전압을 비교하는 제2비교기;
    상기 종단 저항의 다른 단자와 소정의 기준 전압을 비교하는 제3비교기; 및,
    상기 제2 및 제3비교기의 출력에 대해 논리합 연산을 수행하는 논리합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비교기의 출력과 상기 논리합 소자의 출력이 출력 데이터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6. 기준전류를 생성하기 위한 전류원과 제1트랜지스터; 상기 제1트랜지스터에 대해 전류 미러를 형성하며, 하나의 전류 경로를 형성하도록 연결된 제2 및 제3트랜지스터; 상기 제1트랜지스터에 대해 전류 미러를 형성하며, 또 다른 전류 경로를 형성하도록 연결된 제4 및 제5트랜지스터; 상기 제2 내지 제5트랜지스터가 각각 위치한 경로의 도통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4개의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입력 데이터에 따라 상기 각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입력 조건을 결정하는 게이트 논리 회로로 구성된 송신단;
    상기 제2 내지 제5트랜지스터에 의해 형성된 두 개의 전류 경로를 통해 상기 송신단의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전송선; 및,
    전원 전압과 상기 전송선의 각 전류 경로 사이에서 두 개의 직렬 연결된 저항으로 이루어진 부하 회로와, 상기 부하 회로의 소정 노드의 전압값을 토대로 출력을 결정하는 출력 검출회로로 구성된 수신단을 포함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회로는 상기 전송선의 두 전류 경로를 통해 전달된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며,
    상기 출력 검출회로는 상기 변환된 전압의 크기를 비교하여 1비트의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제1비교기와, 상기 부하 회로의 소정 노드의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변환된 전압의 차이를 검출하는 제2 및 제3비교기와, 상기 제2 및 제3비교기의 출력을 논리합 연산하는 논리합 소자로 구성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비교기는 양의 입력단과 음의 입력단을 각각 가지며,
    선증폭부(preamplifier), 상기 양의 입력단과 음의 입력단의 전압에 따라 출력을 결정하는 비교부 및 출력버퍼로 구성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9. 두 개의 전류 경로를 형성하며, 소정의 제1 및 제2 기준 전류값을 상기 각 전류 경로에 형성시키는 전류원; 상기 각 전류 경로에 연결되어 입력데이터에 따라 상기 각 전류 경로의 도통을 제어하며 상기 두 전류 경로를 결합시키는 제1 및 제2트랜지스터로 구성된 송신단;
    상기 송신단의 제1 및 제2트랜지스터에 의해 결합된 경로의 전류를 전달하기 위한 전송선; 및,
    소정의 제3 내지 제5 기준 전류값을 각각 갖는 3개의 전류 경로를 형성시키는 전류원과, 상기 전송선을 통해 전달된 전류를 상기 3개의 전류 경로에 전달하기 위한 제4 내지 제7트랜지스터와, 상기 3개의 전류 경로에서의 해당 기준 전류값과 상기 전송선에서 전달된 전류값의 차이에 따라 출력 데이터를 검출하는 게이트 논리 회로로 구성된 수신단을 포함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5 기준 전류값은 각각 1Iref, 2Iref, 0.5Iref, 1.5Iref, 2 Ire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의 전류원은,
    전원전압과 접지 사이에서 각 게이트가 공통으로 접속되고 서로 직렬로 연결된 제1PMOS 트랜지스터 및 N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PMOS 트랜지스터와 함께 전류 미러를 구성하며, 각각 제1 및 제2 기준 전류값을 갖는 전류 경로를 형성하는 제2 및 제3 P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12. 소정의 전류값을 각각 갖는 3개의 전류 경로를 형성시키는 전류원과, 상기 각 전류 경로에 연결되어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각 전류 경로의 도통을 제어하며 상기 세 개의 전류 경로를 결합시키는 제1 내지 제3 N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송신단;
    상기 송신단의 제1 내지 제3 NMOS 트랜지스터에 의해 결합된 경로의 전류를 전달하기 위한 전송선; 및,
    소정의 기준 전류값을 각각 갖는 7개의 전류 경로를 형성시키는 전류원과, 상기 전송선을 통해 전달된 전류를 상기 7개의 전류 경로에 각각 전달하기 위한 제4 내지 제10 NMOS 트랜지스터와, 상기 7개의 전류 경로에서의 전류 차이에 따라 출력 데이터를 검출하는 출력 검출회로로 구성된 수신단을 포함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의 전류원은,
    전원 전압과 접지 사이에서 직렬로 연결된 PMOS 트랜지스터 및 NMOS 트랜지스터와, 상기 PMOS 트랜지스터와 함께 전류 미러를 구성하도록 연결되며 각각 소정의 전류값을 갖는 전류 경로를 형성하는 3개의 P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14. 전류 소스와 전류 싱크에 의해 일정한 전류를 생성하며, 전송하고자 하는 디지털 데이터의 상위 비트와 하위 비트에 따라 상기 전류의 방향 및 크기를 각각 제어하며, 부하 저항을 통해 전류를 흐르게 하여 디지털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송신단 회로와,
    상기 송신단 회로의 부하 저항 양 노드의 전압을 검출하고, 그 전압차가 가리키는 극성으로부터 전류의 방향을 검출하고, 상기 전압차의 크기를 통해 전류의크기를 검출하여 원래의 디지털 데이터를 복구하는 수신단 회로를 포함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 회로는
    상기 전류 소스를 형성하기 위한 제1트랜지스터 회로;
    상기 전류 싱크를 형성하기 위한 제2트랜지스터 회로;
    부하 저항;
    상기 제1트랜지스터 회로에서 생성된 전류를 상기 부하 저항에 인가하며, 전송할 디지털 데이터의 상위 비트에 따라 상기 전류의 인가 방향을 결정하는 제3트랜지스터 회로; 및,
    상기 전류 싱크에 함께 연결되며, 전송할 디지털 데이터의 하위 비트에 따라 상기 전류의 크기를 증감시키는 제4트랜지스터 회로를 포함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 회로는
    셀프-바이어스 차동 증폭기를 구성하며, 상기 부하 저항 양 노드의 전압을 검출하여 그 극성에 따라 원래 데이터의 상위 비트를 복구하는 트랜지스터 회로; 및,
    상기 부하 저항 양 노드의 전압 차이를 검출하여 그 크기에 따라 원래 데이터의 하위 비트를 복구하는 비교기를 포함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지스터 회로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복구된 상위 비트와 하위 비트 데이터의 타이밍을 조절하기 위한 버퍼 회로를 더 포함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20074687A 2002-02-21 2002-11-28 디지털 인터페이스 송수신 회로를 갖는 평판 디스플레이장치 KR100900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372,042 US20030164811A1 (en) 2002-02-21 2003-02-21 Flat panel display including transceiver circuit for digital interface
JP2003043925A JP2003316338A (ja) 2002-02-21 2003-02-21 デジタルデータ送受信回路を備える平板ディスプレイ装置(flatpaneldisplayhavingtransmittingandreceivingcircuitfordigitalinterface)
TW092103643A TWI287780B (en) 2002-02-21 2003-02-21 Flat panel display including transceiver circuit for digital interface
US11/450,771 US8026891B2 (en) 2002-02-21 2006-06-09 Flat panel display including transceiver circuit for digital interface
JP2010211740A JP2011048378A (ja) 2002-02-21 2010-09-22 平板ディスプレイ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09354 2002-02-21
KR1020020009354 2002-0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9783A true KR20030069783A (ko) 2003-08-27
KR100900545B1 KR100900545B1 (ko) 2009-06-02

Family

ID=32222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4687A KR100900545B1 (ko) 2002-02-21 2002-11-28 디지털 인터페이스 송수신 회로를 갖는 평판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1048378A (ko)
KR (1) KR100900545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305B1 (ko) * 2004-01-21 2007-09-27 엔이씨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발광 소자 구동 회로
KR100859941B1 (ko) * 2007-04-10 2008-09-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평판 표시장치
KR100873077B1 (ko) * 2007-04-10 2008-12-0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평판 표시장치
US7499677B2 (en) 2005-03-22 2009-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transceiver
US20100134467A1 (en) * 2008-12-01 2010-06-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KR100971216B1 (ko) * 2008-08-25 2010-07-20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디스플레이
KR101010148B1 (ko) * 2003-12-24 2011-01-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장치의 구동회로
KR20110078714A (ko) * 2009-12-31 2011-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저전압차동신호방식의 인터페이스
US8854211B2 (en) 2009-03-31 2014-10-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grated circuit card system and a data transmission method thereof
US11336313B2 (en) 2019-09-24 2022-05-17 Silicon Works Co., Ltd Data transmission circui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70822U (ko) * 1976-11-15 1978-06-14
KR100350638B1 (ko) * 1995-11-02 2002-12-2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저전압신호발생,다중화회로를이용한박막트랜지스터액정표시장치
JP3699764B2 (ja) * 1996-01-31 2005-09-28 株式会社東芝 ドライバ回路装置及びインターフェース
US6463092B1 (en) * 1998-09-10 2002-10-08 Silicon Image, Inc. System and method for sending and receiving data signals over a clock signal line
JP2000181591A (ja) * 1998-12-18 2000-06-30 Pfu Ltd Lvdsインタフェース信号振幅設定機能を備える情報処理装置及びlvdsインタフェース信号振幅設定方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148B1 (ko) * 2003-12-24 2011-01-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장치의 구동회로
KR100761305B1 (ko) * 2004-01-21 2007-09-27 엔이씨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발광 소자 구동 회로
US7499677B2 (en) 2005-03-22 2009-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transceiver
KR100873077B1 (ko) * 2007-04-10 2008-12-0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평판 표시장치
KR100859941B1 (ko) * 2007-04-10 2008-09-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평판 표시장치
US7999802B2 (en) 2007-04-10 2011-08-16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Interface system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the same
US8319758B2 (en) 2007-04-10 2012-11-27 Samsung Display Co., Ltd. Interface system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the same
KR100971216B1 (ko) * 2008-08-25 2010-07-20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디스플레이
US20100134467A1 (en) * 2008-12-01 2010-06-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US8773417B2 (en) * 2008-12-01 2014-07-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US8854211B2 (en) 2009-03-31 2014-10-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grated circuit card system and a data transmission method thereof
KR20110078714A (ko) * 2009-12-31 2011-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저전압차동신호방식의 인터페이스
US11336313B2 (en) 2019-09-24 2022-05-17 Silicon Works Co., Ltd Data transmission circu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048378A (ja) 2011-03-10
KR100900545B1 (ko) 2009-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6891B2 (en) Flat panel display including transceiver circuit for digital interface
JP2011048378A (ja) 平板ディスプレイ装置
JP4327504B2 (ja) トランスミッタ回路、伝送回路及び駆動装置
US6836149B2 (en) Versatile RSDS-LVDS-miniLVDS-BLVDS differential signal interface circuit
US5959472A (en) Driver circuit device
CN101650928B (zh) 计算机、双模式dp和hdmi传输装置及其使用方法
US10923074B2 (en) Receiving circuit with offset voltage compensation
US20150009202A1 (en) Display driv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KR20030094058A (ko) 표시 장치의 드라이버 회로와 시프트 레지스터, 및 표시장치
JP2001085990A (ja) レベルシフト回路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3949636B2 (ja) Lvdsドライバー回路
KR20130011173A (ko) 인터페이스 구동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평판표시장치
TW201830189A (zh) 前置驅動電路
JP5632390B2 (ja) Cogアプリケーションのためのインターフェースシステム
US20100079172A1 (en) Differential output circuit
JP2021150867A (ja) Lvdsドライバ
US10445284B2 (en) Display apparatus, signal transmitter, and data transmitting method for display apparatus
TWI804211B (zh) 訊號延伸器和訊號傳遞方法
JP2000347635A (ja) 表示体駆動装置、表示装置、携帯電子機器及び表示体駆動方法
TWI658456B (zh) 顯示裝置及顯示裝置的驅動電路
KR20000040532A (ko) 이.엠.아이.를 줄이기 위한 액정 구동 장치
JP2002313922A (ja) 信号線駆動方法および信号線駆動装置
KR20070044127A (ko) 평판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