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9589A - 진동 모터 - Google Patents

진동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9589A
KR20030069589A KR1020020009465A KR20020009465A KR20030069589A KR 20030069589 A KR20030069589 A KR 20030069589A KR 1020020009465 A KR1020020009465 A KR 1020020009465A KR 20020009465 A KR20020009465 A KR 20020009465A KR 20030069589 A KR20030069589 A KR 20030069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coil
coils
vibration motor
rota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9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부커뮤닉스
김주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부커뮤닉스, 김주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부커뮤닉스
Priority to KR1020020009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9589A/ko
Publication of KR20030069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958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1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 H02K7/063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integrally combined with motor parts, e.g. motors with eccentric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 H02K7/0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both ends of the ro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로 배치된 마그네트와 코일 사이에 교차로 형성되는 흡인력과 반발력으로 회전축에 편심지게 결합된 마그네트를 회전시켜 진동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진동 모터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분리 결합되는 한 쌍의 상하부 케이스로 이루어지며 결합되었을 때 마그네트의 회전을 위한 내부공간을 가지는 케이스와, 상부 케이스의 공간에 서로 마주보고 평면으로 배치되고 AC 전원의 입력으로 마그네트의 극성과 대향되는 극성의 자력을 교차로 형성토록 서로 반대방향으로 감겨진 1쌍 이상의 코일 및 코일과 소정거리 이격되게 상하로 배치되며 코일과의 흡인력 및 반발력으로 인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토록 회전축에 편심지게 결합된 마그네트로 구성된 것이다.
이로서, 진동 모터의 부피를 최소화하고, 코일과 마그네트 사이의 반발력과 흡인력을 극대화시켜 더 큰 진동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마그네트와 코일 사이에 형성되는 힘의 방향에 변화를 주기 위한 코일을 추가로 설치하여 마그네트의 회전력을 증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동 모터{Vibration motor}
본 발명은 휴대전화나 무선 호출기 등에 장착되는 진동 모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로 배치된 마그네트와 코일 사이에 교차로 형성되는 흡인력과 반발력으로 회전축에 편심지게 결합된 마그네트를 회전시켜 진동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진동 모터에 관한 것이다.
각종 통신설비의 발달로 말미암아 최근에는 사용자의 정보화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항시 휴대할 수 있는 휴대전화나 무선호출기(페이저:pager)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더욱이 전자산업의 발달로 인한 전자부품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휴대전화 등의 부피가 소형화됨과 동시에 기능 역시 다양화되고 있다.
회의를 하는 중이나 각종 공공장소에서 무선호출기나 휴대전화 등의 착신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방법으로서, 무선호출기나 휴대전화는 음성 혹은 진동 모터(vibrator)를 사용한다.
메시지 및 착신신호가 검출되었을 때 진동 모터가 구동되어 무선호출기나 휴대전화를 진동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촉감으로 상대방으로부터 전화가 착신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진동 모터의 일 예로서는 모터(motor)와, 모터축에 편심축이 연장된 것을들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진동 모터는 모터와 편심축이 분리되어 있어 많은 공간을 차지할 뿐만 아니라 많은 소비전력을 필요로 하는 결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진동 모터의 부피를 최소화하 고, 코일과 마그네트 사이의 반발력과 흡인력을 극대화시켜 더 큰 진동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진동 모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마그네트와 코일 사이에 형성되는 힘의 방향에 변화를 주기 위한 코일을 추가로 설치하여 마그네트의 회전력을 증대할 수 있는 진동 모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진동 모터의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진동 모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3은 도1의 진동 모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6은 도5의 진동 모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7은 도5의 진동 모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AC 전원 파형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상부 케이스 12 : 하부 케이스
13 : 공간 14 : 고정홈
15a,15b : 와셔 16a,16b,16c : 코일
17 : 오일레스 베어링 18 : 마그네트
19 : 관통공 20 : 회전축
21 : 내부공간 22 : 고정공
23 : 결합턱 24 : 단부
25 : 이격턱 D : 다이오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모터는, 분리 결합되는 한 쌍의 상하부 케이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케이스 내면에는 1쌍 이상의 코일을 장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내면 중앙에는 회전축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과 고정공이 각각 형성되며 결합되었을 때 마그네트의 회전을 위한 내부공간을 가지는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의 공간에 서로 마주보고 평면으로 배치되고 AC 전원의 입력으로 상기 마그네트의 극성과 대향되는 극성의 자력을 교차로 형성토록 서로 반대방향으로 감겨진 1쌍 이상의 코일 및 상기 코일과 소정거리 이격되게 상하로 배치되며 상기 코일과의 흡인력 및 반발력으로 인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토록 회전축에 편심지게 결합된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진동모터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마그네트의 자력이 상측 및/또는 하측으로부터 착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진동모터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과 마그네트 사이에는 오일레스 베어링(oilless bearing)이 내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진동모터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감겨진 2개의 코일 사이에 1개의 코일이 더 구비되고, 상기 코일에는 AC 전원을 반파 정류하는 다이오드가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진동모터에 있어서, 상기 더 구비된 코일은 같은 방향으로 감겨진 코일에 가깝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분리 결합되며 마그네트(18)의 회전을 위한 내부공간(21)을 형성하는 한 쌍의 상하부케이스(11)(12) 중 상부 케이스(11)의 저면(도면에서)에는 판형으로 감겨진 2개의 코일(16a)(16b)을 고정하기 위한 공간(13)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케이스(11)의 저면 중앙에는 회전축(2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14)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홈(14)의 주변에는 마그네트(18)를 상부 케이스(11), 즉 공간(13)에 고정된 코일(16a)(16b)과 최소한의 거리를 이격시키기 위한 이격턱(2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11)의 외곽에는 하부 케이스(12)와 결합되는 소정높이의 단부(24)가 연장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11)의 공간(13)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감겨진 2개의 코일(16)(16b)이 서로 마주보게 평면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때 2개의 코일(16a)(16b)은 AC 전원에 의해 상부 케이스(11)와 맞닿는 부분과 마그네트(18)와 맞닿는 부분이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다. 물론, 2개의 코일(16a)(16b)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감겨 있어 마그네트(18)와 맞닿는 부분의 극성이 서로 다름은 당연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4에서와 같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감겨진 2쌍의 코일(16a)(16b)을 공간(13)에 평면으로 고정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본 발명은 공간(13)에 3쌍 이상의 코일을 서로 마주보게 평면으로 배치하여 마그네트와 대향되는 극성의 자력을 형성할 수도 있다.
특히, 도5에서와 같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감겨진 2개의 코일(16a)(16b) 사이에는 1개의 코일(16b)이 더 고정되어 있고, 이 코일(16c)에는 2개의 코일(16a)(16b)에 공급되는 AC 전원을 반파 정류하는 다이오드(D)가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2개의 코일(16a)(16b) 사이에 고정되는 코일(16c)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감겨진 2개의 코일(16a)(16b) 사이의 중심선에서 코일(16c)과 같은 방향으로 감겨진 코일에 가깝도록 배치되어, 마그네트와 코일 사이에 형성되는 힘의 방향에 변화를 주도록 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11)의 고정홈(14)과 하부 케이스(12)의 고정공(22)에 고정된 회전축(20)에는 편심된 마그네트(18)가 회전축(2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토록 코일(16a)(16b)과 상하로 배치되게 결합되어 있다.
이때 마그네트(18)의 관통공(19)과 회전축(20) 사이에는 오일레스 베어링(17)이 내재되어 있고, 오일레스 베어링(17)과 상부 케이스(11)의 이격턱(25) 그리고 오일레스 베어링(17)과 하부 케이스(12)의 고정공(22) 사이에는 마그네트(18)의 원활한회전을 유도하고, 상부 케이스(11)와 마그네트(18) 그리고 하부 케이스(12)와 마그네트(18) 사이에 최소한의 이격거리를 두기 위한 와셔(15a)(15b)가 각각 내재되어 있다.
특히, 측면으로부터 착자하던 종래 방식과는 달리 마그네트(18)의 자력을 마그네트(18)의 상측 및/또는 하측으로부터 착자함으로써 마그네트(18)와 코일(16a)(16b) 사이의 반발력과 흡인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부 케이스(11)와 한 쌍을 이루는 하부 케이스(12)의 상면 중앙에는 회전축(2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공(22)이 형성되어 있고, 외곽에는 상부 케이스(11)의 단부(24)와 결합되는 결합턱(23)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하부 케이스(12)의 결합턱(23)을 상부 케이스(11)의 단부(24)가 감싸는 구조를 가지므로 코일의 고정 및 마그네트의 회전을 위한 공간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도3 내지 도5에서 코일(16a)(16b)에 도7의 (A)와 같은 AC 전원의 (+) 전원이 입력되면, 코일(16a)에는 N극이 형성되고 코일(16b)에는 S극이 형성된다. 물론, 코일(16a)(16b)의 감겨진 방향에 따라 반대로도 가능하나,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이 극성이 형성되는 것을 예로 설명한다.
이에 따라, 마그네트(18)의 N극과 코일(16a)의 N극 그리고 마그네트(18)의 S극과 코일(16b)의 S극이 서로 밀고, 마그네트(18)의 S극과 코일(16a)의 N극 그리고 마그네트(18)의 N극과 코일(16b)의 S극이 서로 당기므로 마그네트(18)가 시계방향(도면에서)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도면과는 반대방향에 위치하게 된다.
이어서, 도7의 (A)와 같이 AC 전원의 (-) 전원이 코일(16a)(16b)에 입력되면,코일(16a)에는 S극이 형성되고 코일(16b)에는 N극이 형성된다.
따라서, 마그네트(18)의 N극과 코일(16a)의 S극 그리고 마그네트(18)의 S극과 코일(16b)의 N극이 서로 당기고, 마그네트(18)의 S극과 코일(16a)의 S극 그리고 마그네트(18)의 N극과 코일(16b)의 N극이 서로 밀어 마그네트(18)가 시계방향(도면에서)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이 AC 전원의 (+)(-)가 변환될 때마다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편심되게 결합된 마그네트(18)의 회전으로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도5 및 도6에서와 같이 코일(16a)에 근접되게 별도의 코일(16c)이 설치된 상태에서 코일(16a)(16b)에 도7의 (A)와 같은 AC 전원의 (+) 전원이 입력되고 코일(16c)에 도7의 (B)와 같이 다이오드(D)에 의해 반파 정류된 (+) 전원이 입력되면, 코일(16a)(16c)에는 N극이 형성되고 코일(16b)에는 S극이 형성된다.
이 경우에도 코일(16a)(16b)(16c)의 감겨진 방향에 따라 반대로도 가능하나,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이 극성이 형성되는 것을 예로 설명한다.
따라서, 마그네트(18)의 N극과 코일(16a)의 N극 그리고 마그네트(18)의 S극과 코일(16b)의 S극이 서로 밀고, 마그네트(18)의 S극과 코일(16a)의 N극 그리고 마그네트(18)의 N극과 코일(16b)의 S극이 서로 당기는 중에 코일(16c)의 N극이 마그네트(18)의 N극을 미는 힘이 가해지면서 마그네트(18)와 코일(16a)(16b) 사이에 형성된 힘의 방향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변환되므로 마그네트(18)가 순식간에 시계방향(도면에서)으로 빠르게 회전하여 도면과는 반대방향에 위치하게 된다.
반대로 코일(16a)(16b)(16c)에 도7의 (A)와 같은 AC 전원의 (-)이 입력되면,코일(16a)에는 S극이 형성되고 코일(16b)에는 N극이 형성되지만, 코일(16c)에 공급되는 AC 전원이 다이오드(D)에 의해 차단되어 코일(16c)에는 극성이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코일(16c)의 극성에 관계없이 위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마그네트(18)의 N극과 코일(16a)의 S극 그리고 마그네트(18)의 S극과 코일(16b)의 N극이 서로 당기고, 마그네트(18)의 S극과 코일(16a)의 S극 그리고 마그네트(18)의 N극과 코일(16b)의 N극이 서로 밀어 마그네트(18)가 시계방향(도면에서)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이 AC 전원의 (+)(-)가 변환될 때마다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편심되게 결합된 마그네트(18)의 회전으로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진동 모터의 부피를 최소화하고, 코일과 마그네트 사이의 반발력과 흡인력을 극대화시켜 최소한의 전력으로 더 큰 진동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그네트와 코일 사이에 형성되는 힘의 방향에 변화를 주기 위한 코일을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마그네트의 회전력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5)

  1. 분리 결합되는 한 쌍의 상하부 케이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케이스 내면에는 1쌍 이상의 코일을 장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내면 중앙에는 회전축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과 고정공이 각각 형성되며 결합되었을 때 마그네트의 회전을 위한 내부공간을 가지는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의 공간에 서로 마주보고 평면으로 배치되고 AC 전원의 입력으로 상기 마그네트의 극성과 대향되는 극성의 자력을 교차로 형성토록 서로 반대방향으로 감겨진 1쌍 이상의 코일; 및
    상기 코일과 소정거리 이격되게 상하로 배치되며 상기 코일과의 흡인력 및 반발력으로 인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토록 회전축에 편심지게 결합된 마그네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마그네트의 자력이 상측 및/또는 하측으로부터 착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진동 모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과 마그네트 사이에는 오일레스 베어링(oilless bearing)이 내재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진동 모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감겨진 2개의 코일 사이에 1개의 코일이 더 구비되고, 상기 코일에는 AC 전원을 반파 정류하는 다이오드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진동 모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더 구비된 코일은, 같은 방향으로 감겨진 코일에 가깝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진동 모터.
KR1020020009465A 2002-02-22 2002-02-22 진동 모터 KR200300695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9465A KR20030069589A (ko) 2002-02-22 2002-02-22 진동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9465A KR20030069589A (ko) 2002-02-22 2002-02-22 진동 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9589A true KR20030069589A (ko) 2003-08-27

Family

ID=32222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9465A KR20030069589A (ko) 2002-02-22 2002-02-22 진동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958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558B1 (ko) * 2002-10-14 2004-12-03 주식회사 엠베스트 원판형 단상 브러시리스 진동 모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1745A (ja) * 1992-01-30 1993-08-20 Tokin Corp 振動発生器
JPH06284662A (ja) * 1991-05-24 1994-10-07 Tokyo Parts Ind Co Ltd 円筒型ブラシレス振動モ−タ
KR100299765B1 (ko) * 1994-07-27 2001-10-22 송재인 마그네트회전형진동모터
KR200268109Y1 (ko) * 2001-12-06 2002-03-15 김정훈 편평형 무정류자 진동모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4662A (ja) * 1991-05-24 1994-10-07 Tokyo Parts Ind Co Ltd 円筒型ブラシレス振動モ−タ
JPH05211745A (ja) * 1992-01-30 1993-08-20 Tokin Corp 振動発生器
KR100299765B1 (ko) * 1994-07-27 2001-10-22 송재인 마그네트회전형진동모터
KR200268109Y1 (ko) * 2001-12-06 2002-03-15 김정훈 편평형 무정류자 진동모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558B1 (ko) * 2002-10-14 2004-12-03 주식회사 엠베스트 원판형 단상 브러시리스 진동 모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5679B2 (en) Vibration motor
US11081950B2 (en) Linear vibration motor
CN205212673U (zh) 振动电机
JP3712719B2 (ja) 偏平型振動モータ
JPH11197601A (ja) 携帯電子機器
JP4422354B2 (ja) 電気−機械−音響変換器
KR101035339B1 (ko) 휴대 통신장치용 실린더타입 리니어 진동모터
US20200044537A1 (en) Vibration motor
JPH11155274A (ja) 振動装置
KR101793072B1 (ko) 수평 진동 디바이스
US7085585B2 (en) System and method for vibrating a portable device
KR20030069589A (ko) 진동 모터
KR100360126B1 (ko) 바이브레이터
KR100443239B1 (ko) 스피커와 일체형으로 된 진동 모터
JPH09285096A (ja) 振動発生装置
US20050253470A1 (en) Direct current brushless vibration motor
CN209314072U (zh) 发声器件
KR100347176B1 (ko) 편평형 진동모터
JP3923819B2 (ja) 振動発生器
KR200316436Y1 (ko) 진동 액츄에이터
JP3830149B2 (ja) 多機能ステップモータ
KR200184110Y1 (ko) 바이브레이터
JP2005324162A (ja) 振動アクチュエータ
KR200298322Y1 (ko) 신호변환장치
KR200259832Y1 (ko) 양면 신호변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