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4110Y1 - 바이브레이터 - Google Patents

바이브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4110Y1
KR200184110Y1 KR2020000000158U KR20000000158U KR200184110Y1 KR 200184110 Y1 KR200184110 Y1 KR 200184110Y1 KR 2020000000158 U KR2020000000158 U KR 2020000000158U KR 20000000158 U KR20000000158 U KR 20000000158U KR 200184110 Y1 KR200184110 Y1 KR 2001841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vibrator
rotating body
shaft
upper bob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01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규
Original Assignee
김종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0000014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360126B1/ko
Application filed by 김종규 filed Critical 김종규
Priority to KR20200000001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41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41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41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1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 H02K7/063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integrally combined with motor parts, e.g. motors with eccentric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8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coil systems moving upon intermittent or reversed energisation thereof by interaction with a fixed field system, e.g. permanent 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샤프트와 결합되는 결합공이 천공된 중심판을 중심으로 단극성의 마그네트가 원호형으로 편심되게 형성된 회전체와, 중심판의 결합공에 결합되며 보빈의 각 지지공에 양단이 결합되어 회전체를 보빈 내의 회전공간에 회전 자재토록 고정하게 되는 샤프트와, 회전체의 회전을 위한 회전공간이 형성되고 양측면에 샤프트가 결합되는 지지공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보빈 및 보빈에 감겨 있으며 구동전원으로 마그네트의 자기력과 대응되는 극성의 자기력을 발생하는 코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저전력으로도 휴대폰이나 무선호출기 등의 통신기기에 내장되는 바이브레이터로부터 강한 진동력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바이브레이터{Vibrator}
본 고안은 핸드폰이나 무선호출기 등의 통신제품에 내장되는 바이브레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대방으로부터 전화 착신시 진동되어 사용자에게 전화 착신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하는 바이브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각종 통신설비의 발달로 말미암아 최근에는 사용자의 정보화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항시 휴대할 수 있는 휴대폰이나 무선호출기(페이저:pager)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더욱이 전자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전자부품이 점차 고감도 추세에 따라 무선호출기를 내장한 휴대용 정보단말기가 이동통신의 발달로 다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회의를 하는 중이거나 각종 공공장소에서 이러한 무선호출기나 휴대폰 등의 착신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방법으로서, 무선호출기나 휴대폰은 음성 혹은 바이브레이터(vibrator)를 사용한다.
바이브레이터는 메시지 및 전화신호가 검출되면 바이브레이터 모터를 구동시켜 무선호출기나 휴대폰을 진동시킴으로써 촉감으로 사용자는 상대방으로부터 전화가 착신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바이브레이터의 일 예로서는 모터(motor)와, 모터축에 편심축이 연장된 것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바이브레이터는 모터와 편심축이 분리되어 있어 많은 공간을 차지할 뿐만 아니라 많은 소비전력을 필요로 하는 결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폰이나 무선호출기 등의 통신기기에 사용되는 바이브레이터의 부피를 줄여 휴대폰이나 무선호출기 등의 통신기기를 박형화할 수 있도록 하는 바이브레이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모터에 연결되는 별도의 편심축을 사용하지 않고 마그네트를 편심축으로 사용하여 바이브레이터의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도록 하는 바이브레이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바이브레이터를 SMD형(Surface Mounting Device type)으로 제조하여 휴대폰이나 무선호출기 등에 바이브레이터를 조립 및 제조하는 작업을 단순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바이브레이터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바이브레이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바이브레이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2a는 본 고안에 따른 바이브레이터에 적용된 회전체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b는 본 고안에 따른 바이브레이터에 적용된 회전체의 일 예를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이다.
도3a, b, c, d는 본 고안에 따른 바이브레이터에 적용된 샤프트의 여러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바이브레이터에 적용된 보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4a는 보빈 중 상측 보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4b는 도4a의 단면도이다.
도4c는 보빈 중 하측 보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4d는 도4c의 단면도이다.
도4e는 도4a의 상측 보빈과 도4c의 하측 보빈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4f는 도4e의 종단면도이다.
도4g는 도4e의 횡단면도이다.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바이브레이터에 적용된 보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5a는 보빈 중 상측 보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5b는 도5a의 단면도이다.
도5c는 보빈 중 하측 보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5d는 도5c의 단면도이다.
도5e는 도5a의 상측 보빈과 도5c의 하측 보빈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5f는 도5e의 종단면도이다.
도5g는 도5e의 횡단면도이다.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바이브레이터에 적용된 보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6a는 보빈 중 상측 보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6b는 도6a의 단면도이다.
도6c는 보빈 중 하측 보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6d는 도6c의 단면도이다.
도6e는 도6a의 상측 보빈과 도6c의 하측 보빈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6f는 도6e의 종단면도이다.
도6g는 도6e의 횡단면도이다.
도7a는 본 고안에 따른 바이브레이터에 적용된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7b는 본 고안에 따른 바이브레이터에 적용된 하우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7c는 본 고안에 따른 바이브레이터에 적용된 하우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8은 도7a의 하우징에 매설된 터미널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9a는 본 고안에 따른 바이브레이터에 적용된 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9b는 본 고안에 따른 바이브레이터에 적용된 캡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0은 본 고안에 따른 바이브레이터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회전체 11 : 마그네트
12 : 플라스틱 마그네트 13 : 중심판
14 : 결합공 20 : 샤프트
21 : 테이퍼 22 : 구배(句配)
23 : 기어부 24, 25 : 평면
30, 50, 70 : 상측 보빈 31, 41, 51, 61, 71, 81 : 회전공간
32, 52, 72 : 걸림턱 33, 43, 53, 63, 73, 83 : 지지공
34, 44, 47, 54, 64, 67, 74, 84, 87, 94 : 보스
35, 45, 55, 65, 75, 85, 113 : 에어홀 36, 46, 56, 66, 76, 86 : 차단벽 37, 57, 77 : 홀 39, 59, 79 : 자성체
40, 60, 80 : 하측 보빈 42, 62, 82 : 후크
58, 68, 78, 88 : 허리부 90 : 하우징
91 : 터미널 92 : 용접면
93 : 연장단부 95 : 고정부재
100 : 코일 110 : 캡
111 : 돌기 112 : 가이드 홈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바이브레이터의 일 실시예는, 샤프트와 결합되는 결합공이 천공된 중심판을 중심으로 단극성의 마그네트(magnet)가 원호형으로 편심되게 형성된 회전체; 상기 중심판의 결합공에 결합되며 보빈의 각 지지공에 양단이 결합되어 회전체를 보빈 내의 회전공간에 회전 자재토록 고정하게 되는 샤프트;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위한 회전공간이 형성되고 양측면에 샤프트가 결합되는 지지공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보빈; 및 상기 보빈에 감겨 있으며 구동전원으로 상기 마그네트의 자기력과 대응되는 극성의 자기력을 발생하는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Nd(neodymium) 마그네트 혹은 샤마륨 마그네트(SmCo) 등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회전체의 마그네트의 중앙에는 상기 마그네트와 동일한 극성을 갖는 소정 형상의 플라스틱 마그네트가 매설될 수 있다.
회전체 성형시 상기 회전체에 매설되어 일체형으로 성형되며 상기 회전체를 보빈에 고정하기 위한 상기 샤프트(shaft)로서는 상기 샤프트의 양단에 테이퍼가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것이나, 상기 중심판의 결합공에 결합되는 상기 샤프트의 중앙에 소정폭의 구배(句配)가 형성되고 상기 구배의 외주면에 기어부가 형성된 것이나, 상기 중심판의 결합공에 결합되는 상기 샤프트의 중앙에 소정폭의 구배가 형성되고 상기 구배의 외주면에는 완전 절삭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평면이 형성된 것 혹은 상기 중심판의 결합공에 결합되는 상기 샤프트의 중앙에 소정폭의 구배가 형성되고 상기 구배의 외주면에는 부분 절삭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평면이 형성된 것이 적절하다.
상기 회전체를 고정하기 위한 보빈의 일 예로는 결합시 내부에 회전체가 회전할 수 있는 회전공간이 형성되도록 분리/결합이 가능한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의 중앙에 상기 샤프트의 양단과 결합되는 지지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의 양측에 권취되는 코일이 벗어나는 않도록 하는 차단벽이 형성되며,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을 일체형으로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이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상측 보빈의 주변에 형성된 다수개의 걸림턱과, 상기 상측 보빈의 걸림턱에 대응되게 상기 하측 보빈의 주변에 형성된 후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의 양측에 에어홀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시 공기흐름을 유도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공의 주변에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의 내측면보다 높은 보스가 입설되어 상기 회전체가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의 내측면과 닿지 않고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상측 보빈에 홀이 형성되고 상기 상측 보빈의 홀에 대응되게 상기 하측 보빈에 보스가 입설되어서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을 결합시 서로 맞물리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의 외벽에 자성체(철편)이 매설되어 상기 회전체의 정지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이러한 보빈의 다른 예로서는 결합시 내부에 회전체가 회전할 수 있는 회전공간이 형성되도록 분리/결합이 가능한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의 중앙에 상기 샤프트의 양단과 결합되는 지지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의 양측에 권취되는 코일이 벗어나는 않도록 하는 차단벽이 형성되며, 상기 코일의 권선수를 조절하기 위한 허리부가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의 양쪽 중 적어도 한 쪽에 형성되며,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을 일체형으로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이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상측 보빈의 주변에 형성된 다수개의 걸림턱과, 상기 상측 보빈의 걸림턱에 대응되게 상기 하측 보빈의 주변에 형성된 후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의 양측에 에어홀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시 공기흐름을 유도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공의 주변에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의 내측면보다 높은 보스가 입설되어 상기 회전체가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의 내측면과 닿지 않고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상측 보빈에 홀이 형성되고 상기 상측 보빈의 홀에 대응되게 상기 하측 보빈에 보스가 입설되어서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을 결합시 서로 맞물리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의 외벽에 자성체(철편)이 매설되어 상기 회전체의 정지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이브레이터의 다른 실시예로는, 샤프트와 결합되는 결합공이 천공된 중심판을 중심으로 단극성의 마그네트가 원호형으로 편심되게 형성된 회전체; 상기 중심판의 결합공에 결합되며 보빈의 각 지지공에 양단이 결합되어 회전체를 보빈 내의 회전공간에 회전 자재토록 고정하게 되는 샤프트;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위한 회전공간이 형성되고 양측면에 샤프트가 결합되는 지지공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보빈; 상기 보빈에 감겨 있으며 구동전원으로 상기 마그네트의 자기력과 대응되는 극성의 자기력을 발생하는 코일; 상기 코일이 권취된 보빈이 안착되며 상기 코일의 양단을 외부와 연결하여 주는 하우징; 및 상기 보빈을 감싸면서 상기 하우징의 윗면에 고정되는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Nd(neodymium) 마그네트 혹은 샤마륨 마그네트(SmCo) 등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회전체의 마그네트의 중앙에는 상기 마그네트와 동일한 극성을 갖는 소정 형상의 플라스틱 마그네트가 매설될 수 있다.
회전체 성형시 상기 회전체에 매설되어 일체형으로 성형되며 상기 회전체를 보빈에 고정하기 위한 상기 샤프트(shaft)로서는 상기 샤프트의 양단에 테이퍼가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것이나, 상기 중심판의 결합공에 결합되는 상기 샤프트의 중앙에 소정폭의 구배(句配)가 형성되고 상기 구배의 외주면에 기어부가 형성된 것이나, 상기 중심판의 결합공에 결합되는 상기 샤프트의 중앙에 소정폭의 구배가 형성되고 상기 구배의 외주면에는 완전 절삭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평면이 형성된 것 혹은 상기 중심판의 결합공에 결합되는 상기 샤프트의 중앙에 소정폭의 구배가 형성되고 상기 구배의 외주면에는 부분 절삭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평면이 형성된 것이 적절하다.
상기 회전체를 고정하기 위한 보빈의 일 예로는 결합시 내부에 회전체가 회전할 수 있는 회전공간이 형성되도록 분리/결합이 가능한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의 중앙에 상기 샤프트의 양단과 결합되는 지지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의 양측에 권취되는 코일이 벗어나는 않도록 하는 차단벽이 형성되며,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을 일체형으로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이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상측 보빈의 주변에 형성된 다수개의 걸림턱과, 상기 상측 보빈의 걸림턱에 대응되게 상기 하측 보빈의 주변에 형성된 후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의 양측에 에어홀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시 공기흐름을 유도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공의 주변에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의 내측면보다 높은 보스가 입설되어 상기 회전체가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의 내측면과 닿지 않고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상측 보빈에 홀이 형성되고 상기 상측 보빈의 홀에 대응되게 상기 하측 보빈에 보스가 입설되어서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을 결합시 서로 맞물리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의 외벽에 자성체(철편)이 매설되어 상기 회전체의 정지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이러한 보빈의 다른 예로서는 결합시 내부에 회전체가 회전할 수 있는 회전공간이 형성되도록 분리/결합이 가능한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의 중앙에 상기 샤프트의 양단과 결합되는 지지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의 양측에 권취되는 코일이 벗어나는 않도록 하는 차단벽이 형성되며, 상기 코일의 권선수를 조절하기 위한 허리부가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의 양쪽 중 적어도 한 쪽에 형성되며,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을 일체형으로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이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상측 보빈의 주변에 형성된 다수개의 걸림턱과, 상기 상측 보빈의 걸림턱에 대응되게 상기 하측 보빈의 주변에 형성된 후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의 양측에 에어홀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시 공기흐름을 유도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공의 주변에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의 내측면보다 높은 보스가 입설되어 상기 회전체가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의 내측면과 닿지 않고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상측 보빈에 홀이 형성되고 상기 상측 보빈의 홀에 대응되게 상기 하측 보빈에 보스가 입설되어서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을 결합시 서로 맞물리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의 외벽에 자성체(철편)이 매설되어 상기 회전체의 정지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밑면과 윗면으로 노출되도록 두 개 이상의 터미널이 내부에 매설되어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terminal)의 끝부분에 연장된 연장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을 감싸면서 윗쪽을 향하도록 절곡되며, 상기 하우징의 윗면에 씌워진 캡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절곡되는 것이 적절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 윗면의 용접면에 맞닿는 캡의 하단부에 초음파 용접을 위한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캡의 하단에 아랫방향으로 개방된 다수개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주변에 상기 가이드홈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보스(boss)가 입설되어 하우징(housing)에 캡(cap)을 결합시 정확한 위치를 잡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캡의 일측에 상기 캡의 내측과 외측을 관통하는 에어홀(air hole)이 형성되어 원활한 공기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과 함께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1에 도시한 것처럼, 회전체(10)와 샤프트(20), 한 쌍의 보빈(30)(40)과, 코일(100), 하우징(90) 그리고 캡(110)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Nd(neodymium) 마그네트를 사용하는 회전체(10)는 중심에 원판형의 중심판(13)을 가지며, 이 중심판(13)의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결합공(14)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샤프트(20)를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상하로 관통된 결합공(14)이 중심판(13)의 중앙에 형성되거나 혹은 중심판(13)을 포함하는 회전체(10)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샤프트(20)가 일체형으로 성형되면서 샤프트(20)가 결합된 결합공(14)이 형성된다. 물론, 회전체(10)와 샤프트(20)가 일체형으로 성형되어 회전시 회전체(10)는 샤프트(20)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중심판(13)의 외곽에는 도2a에서와 같이 원호형 형상을 가지며 단극성의 마그네트(11)가 일측으로 편심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원호형 마그네트(11)의 내부에는 도2b에서와 같이 소정 형상의 플라스틱 마그네트(12)가 매설되어 있다. 물론, 마그네트(11)에 플라스틱 마그네트(12)를 일체형으로 성형하여 회전체(10)를 만들어도 회전체(10)는 단극성을 유지한다.
즉, 중심판(13)의 외곽에 마그네트(11)가 편심되게 성형되어 회전체(10)를 구성하기 때문에 회전체(10)가 샤프트(20)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 회전체(10)를 포함하는 바브레이터가 진동을 한다.
도3a, b, c, d는 중심판(13)의 결합공(14)에 결합되어 회전체(10)의 회전을 위한 중심축이 되는 샤프트(20)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샤프트(20)는 소정길이를 갖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회전체(10)와 일체형으로 성형할 수 있다.
도3a는 샤프트(2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원기둥 형상을 갖는 샤프트(20)의 양단이 소정각도를 절삭되어 테이퍼(21)를 이루고 있다. 즉, 샤프트(20)의 양단에 테이퍼(21)가 형성되어 있어 회전체(10)와 함께 회전할 때 샤프트(20)와 보빈의 지지공과의 마찰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샤프트(2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보빈에 지지공을 성형하는 금형을 단순화하고, 원활한 성형작업을 유도할 수 있다.
도3b는 샤프트(2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원기둥 형상을 갖는 샤프트(20)의 양단이 소정각도를 절삭되어 테이퍼(21)를 이루고 있다. 즉, 샤프트(20)의 양단에 테이퍼(21)가 형성되어 있어 회전체(10)와 함께 회전할 때 샤프트(20)와 보빈의 지지공과의 마찰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샤프트(2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보빈에 지지공을 성형하는 금형을 단순화하고, 원활한 성형작업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샤프트(20)의 외주면 중 중심판(13)의 결합공(14)과 만나는 부분에는 샤프트(2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구배(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구배(22)에는 기어부(23) 혹은 돌기 등이 형성되어 있어 중심판(13)의 결합공(14)에 샤프트(20)를 고정하거나, 샤프트(20)를 회전체(10)와 일체형으로 성형했을 때 회전체(10)와 샤프트(20) 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구배(22)가 형성된 샤프트(20)의 재질을 회전체(10)의 재질보다 강한 금속성 재질 등을 사용함으로써 회전체(10) 회전시 보빈과 회전체(10)가 맞닿지 않고 금속성 재질의 샤프트(20)와 보빈이 맞닿기 때문에 회전체(10)의 마모를 줄일 수 있으며, 마찰열을 줄일 수 있다.
도3c는 샤프트(2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위의 여러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샤프트(20)에 테이퍼(21)와 구배(22)를 형성하여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배(22)의 외주면에 완전 절삭된 하나 이상의 평면(24)이 형성되어 있어 중심판(13)의 결합공(14)에 고정되거나 혹은 회전체(10)와 일체형으로 성형된 샤프트(20)가 회전할 때 회전체(10)와 샤프트(20)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샤프트(20)의 다른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구배(22)가 형성된 샤프트(20)의 재질을 회전체(10)의 재질보다 강한 금속성 재질 등을 사용함으로써 회전체(10) 회전시 보빈과 회전체(10)가 맞닿지 않고 금속성 재질의 샤프트(20)와 보빈이 맞닿기 때문에 회전체(10)의 마모를 줄일 수 있으며, 보빈과의 마찰력을 줄여 회전체(10)의 회전시 발생되는 열을 낮출 수 있을 것이다.
도3d는 샤프트(2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위의 여러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샤프트(20)에 테이퍼(21)와 구배(22)를 형성하여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배(22)의 외주면에 부분 절삭된 하나 이상의 평면(25)이 형성되어 있어 중심판(13)의 결합공(14)에 고정되거나 혹은 회전체(10)와 일체형으로 성형된 샤프트(20)가 회전할 때 회전체(10)와 샤프트(20)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회전체(10)의 결합공(14)으로부터 샤프트(20)가 아래 혹은 윗쪽으로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샤프트(20)의 여러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구배(22)가 형성된 샤프트(20)의 재질을 회전체(10)의 재질보다 강한 금속성 재질 등을 사용함으로써 회전체(10) 회전시 보빈과 회전체(10)가 직접 맞닿지 않고 금속성 재질의 샤프트(20)와 보빈이 맞닿기 때문에 회전체(10)의 마모를 줄일 수 있으며, 보빈과의 마찰력을 줄여 회전체(10)의 회전시 발생되는 열을 낮출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회전체(10)는 샤프트(20)에 의해 상측 보빈(30)과 하측 보빈(40), 즉 한 쌍의 보빈 내에 회전 자재토록 설치되는 데, 이 보빈은 회전체(10)의 회전을 위한 회전공간을 제공하면서 외주면에 코일(100)이 권취되어 있다.
이렇게 상측 보빈(30)과 하측 보빈(40)의 외주면에 권취되어 있는 코일(100)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구동전원에 의해 여자되어 보빈 내에 설치된 회전체(10)를 회전시키기 위한 자기력을 발생한다. 즉, 영구자석인 회전체(10)의 자기력과 코일(100)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생성된 자기력의 반발력으로 인해 회전체(10)는 샤프트(20)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도4a, b, c, d, e, f, g는 회전체(10)를 회전 자재토록 고정하면서 외주면에 코일(100)이 권취되는 보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분리/결합이 용이하도록 상측 보빈(30)과 하측 보빈(40)이 한 쌍의 보빈을 이룬다.
한 쌍을 이루는 상측 보빈(30)과 하측 보빈(40)의 내측부분에는 회전체(10)가 회전하기 위한 원형의 회전공간(31)(41)이 형성되는 데, 이는 주변보다 중앙쪽이 낮도록 성형되어 이루어진다.
상측 보빈(30)과 하측 보빈(40)의 중앙에는 샤프트(20)와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체(1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공(33)(4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지지공(33)(43)의 주변에는 상측 보빈(30)과 하측 보빈(40)보다 높게 보스(34)(44)가 입설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샤프트(20)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체(10)가 상측 보빈(30)과 하측 보빈(40)의 전면과 접촉하지 않고 보스(34)(44)와만 접촉하면서 회전하게 되어 서로간의 마찰저항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측 보빈(30)과 하측 보빈(40)의 상하측에는 외부와 회전공간(31)(41)을 연결하여 주는 에어홀(35)(45)이 형성되어 있어 회전체(10) 회전시 원활한 공기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즉, 회전체(10) 회전시 회전체(10)와 공기와의 마찰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한 쌍으로 이루어진 상측 보빈(30)과 하측 보빈(40)은 결합수단, 즉 결합턱(32)과 후크(42)에 의해 일체형의 보빈으로 결합되는 데, 결합턱(32)은 상측 보빈(30)의 각 모서리 부분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후크(42)는 위의 걸림턱(42)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하측 보빈(40)의 각 모서리 부분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측 보빈(30)과 하측 보빈(40) 내에 회전체(10)를 내입하고 쉽게 분리/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측 보빈(30)의 각 모서리부분에 다수개의 홀(37)이 형성되어 있고, 상측 보빈(30)의 홀(37)에 대응되게 하측 보빈(40)의 각 모서리 부분에 다수개의 보스(47)가 입설되어 있으므로 상측 보빈(30)과 하측 보빈(40)을 결합시 상측 보빈(30)과 하측 보빈(40)이 정확하게 일치하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일체형으로 결합된 상측 보빈(30)과 하측 보빈(40)의 외주면에는 자기력을 발생하는 코일(100)이 감겨지는 데, 상측 보빈(30)과 하측 보빈(40) 중 감겨지는 코일(100) 방향의 양측단에는 감겨지는 코일(100)이 벗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차단벽(36)(46)이 소정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물론, 이 차단벽(36)(46)은 감겨지는 코일(100)이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역할도 수행하지만, 동시에 코일(100)이 감겨진 보빈을 캡(110) 내에 고정할 때 코일(100)과의 접촉으로 인하여 코일(100)이 단선되거나 혹은 코일(100)의 피복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측 보빈(30)과 하측 보빈(40)의 외벽 중 소정위치에 철편과 같은 자성체(39)가 매설되어 있어 회전체(10)의 정지위치를 일정하게 한다. 다시 말하면, 외부전원으로 회전하던 회전체(10)가 전원 차단후 일정위치에서 정지하도록 함으로써 최초 구동시 회전체(10)의 자기력과 코일(100)의 자기력 간의 반발력을 극대화하여 회전체(10)의 회전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도5a, b, c, d, e, f, g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빈은 분리/결합이 용이하도록 상측 보빈(50)과 하측 보빈(60)이 한 쌍을 이룬다.
한 쌍을 이루는 상측 보빈(50)과 하측 보빈(60)의 내측부분에는 회전체(10)가 회전하기 위한 원형의 회전공간(51)(61)이 형성되는 데, 이는 주변보다 중앙쪽이 낮도록 성형되어 이루어진다.
상측 보빈(50)과 하측 보빈(60)의 중앙에는 샤프트(20)와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체(1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공(53)(6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지지공(53)(63)의 주변에는 상측 보빈(50)과 하측 보빈(60)보다 높게 보스(54)(64)가 입설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샤프트(20)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체(10)가 상측 보빈(50)과 하측 보빈(60)의 전면과 접촉하지 않고 보스(54)(64)와만 접촉하면서 회전하게 되어 서로간의 마찰저항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측 보빈(50)과 하측 보빈(60)의 상하측에는 외부와 회전공간(51)(61)을 연결하여 주는 에어홀(55)(65)이 형성되어 있어 회전체(10) 회전시 원활한 공기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즉, 회전체(10) 회전시 회전체(10)와 공기와의 마찰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한 쌍으로 이루어진 상측 보빈(50)과 하측 보빈(60)은 결합수단, 즉 결합턱(52)과 후크(62)에 의해 일체형의 보빈으로 결합되는 데, 결합턱(52)은 상측 보빈(60)의 각 모서리 부분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후크(62)는 위의 걸림턱(62)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하측 보빈(60)의 각 모서리 부분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측 보빈(50)과 하측 보빈(60) 내에 회전체(10)를 내입하고 쉽게 분리/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측 보빈(50)의 각 모서리부분에 다수개의 홀(57)이 형성되어 있고, 상측 보빈(50)의 홀(57)에 대응되게 하측 보빈(60)의 각 모서리 부분에 다수개의 보스(67)가 입설되어 있으므로 상측 보빈(50)과 하측 보빈(60)을 결합시 상측 보빈(50)과 하측 보빈(60)이 정확하게 일치하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일체형으로 결합된 상측 보빈(50)과 하측 보빈(60)의 외주면에는 자기력을 발생하는 코일(100)이 감겨지는 데, 상측 보빈(50)과 하측 보빈(60) 중 감겨지는 코일(100) 방향의 양측단에는 감겨지는 코일(100)이 벗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차단벽(56)(66)이 소정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물론, 이 차단벽(56)(66)은 감겨지는 코일(100)이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역할도 수행하지만, 동시에 코일(100)이 감겨진 보빈을 캡(110) 내에 고정할 때 코일(100)과의 접촉으로 인하여 코일(100)이 단선되거나 혹은 코일(100)의 피복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측 보빈(50)과 하측 보빈(60)의 외벽 중 소정위치에 철편과 같은 자성체(59)가 매설되어 있어 회전체(10)의 정지위치를 일정하게 한다. 다시 말하면, 외부전원으로 회전하던 회전체(10)가 전원 차단후 일정위치에서 정지하도록 함으로써 최초 구동시 회전체(10)의 자기력과 코일(100)의 자기력 간의 반발력을 극대화하여 회전체(10)의 회전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일체형으로 결합된 상측 보빈(50)과 하측 보빈(60)의 외주면에 감겨지는 코일(100)의 권선수를 달리할 수 있도록 상측 보빈(50)과 하측 보빈(60)의 한쪽 부분에 허리부(58)(68)를 둔다.
즉, 일체형으로 결합된 상측 보빈(50)과 하측 보빈(60)의 외주면에 감겨지는 코일(100)의 권선수에 따라 자기력이 달라지면서 회전체(10)와의 반발력이 증대되어 회전체(100)를 보다 효율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6a, b, c, d, e, f, g는 보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보빈은 보빈은 분리/결합이 용이하도록 한 쌍을 이루는 상측 보빈(70)과 하측 보빈(80)으로 이루어진다.
한 쌍을 이루는 상측 보빈(70)과 하측 보빈(80)의 내측부분에는 회전체(10)가 회전하기 위한 원형의 회전공간(71)(81)이 형성되는 데, 이는 주변보다 중앙쪽이 낮도록 성형되어 이루어진다.
상측 보빈(70)과 하측 보빈(80)의 중앙에는 샤프트(20)와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체(1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공(73)(8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지지공(73)(83)의 주변에는 상측 보빈(70)과 하측 보빈(80)보다 높게 보스(74)(84)가 입설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샤프트(20)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체(10)가 상측 보빈(70)과 하측 보빈(80)의 전면과 접촉하지 않고 보스(74)(84)와만 접촉하면서 회전하게 되어 서로간의 마찰저항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측 보빈(70)과 하측 보빈(80)의 상하측에는 외부와 회전공간(71)(81)을 연결하여 주는 에어홀(75)(85)이 형성되어 있어 회전체(10) 회전시 원활한 공기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즉, 회전체(10) 회전시 회전체(10)와 공기와의 마찰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한 쌍으로 이루어진 상측 보빈(70)과 하측 보빈(80)은 결합수단, 즉 결합턱(72)과 후크(82)에 의해 일체형의 보빈으로 결합되는 데, 결합턱(72)은 상측 보빈(80)의 각 모서리 부분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후크(82)는 위의 걸림턱(72)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하측 보빈(80)의 각 모서리 부분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측 보빈(70)과 하측 보빈(80) 내에 회전체(10)를 내입하고 쉽게 분리/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측 보빈(70)의 각 모서리부분에 다수개의 홀(77)이 형성되어 있고, 상측 보빈(70)의 홀(77)에 대응되게 하측 보빈(80)의 각 모서리 부분에 다수개의 보스(87)가 입설되어 있으므로 상측 보빈(70)과 하측 보빈(80)을 결합시 상측 보빈(70)과 하측 보빈(80)이 정확하게 일치하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일체형으로 결합된 상측 보빈(70)과 하측 보빈(80)의 외주면에는 자기력을 발생하는 코일(100)이 감겨지는 데, 상측 보빈(70)과 하측 보빈(80) 중 감겨지는 코일(100) 방향의 양측단에는 감겨지는 코일(100)이 벗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차단벽(76)(86)이 소정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물론, 이 차단벽(76)(86)은 감겨지는 코일(100)이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역할도 수행하지만, 동시에 코일(100)이 감겨진 보빈을 캡(110) 내에 고정할 때 코일(100)과의 접촉으로 인하여 코일(100)이 단선되거나 혹은 코일(100)의 피복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측 보빈(70)과 하측 보빈(80)의 외벽 중 소정위치에 철편과 같은 자성체(79)가 매설되어 있어 회전체(10)의 정지위치를 일정하게 한다. 다시 말하면, 외부전원으로 회전하던 회전체(10)가 전원 차단후 일정위치에서 정지하도록 함으로써 최초 구동시 회전체(10)의 자기력과 코일(100)의 자기력 간의 반발력을 극대화하여 회전체(10)의 회전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일체형으로 결합된 상측 보빈(70)과 하측 보빈(80)의 외주면에 감겨지는 코일(100)의 권선수를 달리할 수 있도록 상측 보빈(70)과 하측 보빈(80)의 양쪽 부분에 허리부(78)(88)를 둔다.
즉, 일체형으로 결합된 상측 보빈(70)과 하측 보빈(80)의 외주면에 감겨지는 코일(100)의 권선수에 따라 자기력이 달라지면서 회전체(10)와의 반발력이 증대되어 회전체(100)를 보다 효율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보빈의 다른 실시예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보빈의 한쪽 혹은 양쪽에 허리부를 형성하게 되면, 보빈을 일체형으로 결합하기 위한 걸림턱과 후크, 그리고 보빈의 결합위치를 잡아주기 위한 홀과 보스는 자연스럽게 보빈의 주변에서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당연하다 할 것이다.
도7a, b, c는 하우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이 하우징(90)은 보빈에 감겨진 코일(100)의 양단을 외부전원에 연결하여 주는 역할을 하며, 도8과 같이 고정부재(95)에 달려있는 터미널(91)이 내부에 매설되도록 일체형으로 성형된다. 물론, 하우징(90)의 재질은 터미널(91)과 달리 비전도성 재질이 사용된다.
하우징(90)과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터미널(91)은 하우징(90)의 각 모서리부분에 매설되어 있으며, 코일(100)의 양단과 접속될 수 있도록 하우징(90)의 윗면으로 노출되어 있으며, 다른 장비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우징(90)의 밑면으로 노출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터미널(91)의 연장단부(93)가 측면의 위쪽을 향하도록 절곡되어 있어 별도의 용접 작업없이 바이브레이터를 고정할 수도 있다.
물론, 터미널(91)의 연장단부(93)는 상부에 씌워지는 캡(110)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보빈을 감싸게 되는 캡(110)을 용이하게 씌울 수 있도록 한다.
하우징(90) 윗면의 주변에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은 캡(110)의 하단부와 맞닿도록 동일한 높이로 용접면(9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용접면(92)의 내측에는 캡(110)의 가이드홈(112)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보스(94)가 입설되어 있다.
특히, 하우징(90) 윗면의 용접면(92)에 맞닿는 캡(110)의 하단부에는 초음파 용접으로 하우징(90)과 캡(110)을 일체형으로 용접할 수 있도록 돌기(11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캡(110)의 일측에는 캡(110)의 내측과 외측을 관통하는 에어홀(113)이 형성되어 회전체(10)가 보빈 내에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바이브레이터의 동작을 도10에 의해 설명한다.
샤프트(20)에 의해 상측 보빈(30)과 하측 보빈(40)의 지지공(34)(44)에 회전 자재토록 결합되어 있는 회전체(10)는 상측 보빈(30)과 하측 보빈(40)의 외벽에 부착된 자성체(39)에 의해 소정위치를 유지하다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구동전원이 코일(100)에 흐르는 순간 흐르는 전류에 의해 생성된 자기력에 의해 회전체(10)가 회전하게 된다.
즉, 마그네트로 이루어며 일측방향으로 편심되어 있는 회전체(10)와 보빈에 감겨진 코일(100) 간의 반발력에 의해 회전체(10)가 샤프트(20)를 중심으로 회전하므로, 회전체(10)와 이를 포함하는 바이브레이터가 진동하는 것이다.
소형이면서도 저전력으로 구동되는 바이브레이터를 휴대폰이나 무선호출기 등의 통신제품에 내장함으로써 휴대를 필요로 하는 휴대폰이나 무선호출기 등의 중량과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휴대폰이나 무선호출기 등의 통신기기에 사용되는 바이브레이터의 부피를 줄여 휴대폰이나 무선호출기 등의 통신기기를 박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모터에 연결되는 별도의 편심축을 사용하지 않고 마그네트를 편심축으로 사용하여 바이브레이터의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바이브레이터를 SMD형(Surface Mounting Device type)으로 제조하여 휴대폰이나 무선호출기 등에 바이브레이터를 조립 및 제조하는 작업을 단순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바이브레이터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 사상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46)

  1. 샤프트와 결합되는 결합공이 천공된 중심판을 중심으로 단극성의 마그네트가 원호형으로 편심되게 형성된 회전체;
    상기 중심판의 결합공에 결합되며 보빈의 각 지지공에 양단이 결합되어 회전체를 보빈 내의 회전공간에 회전 자재토록 고정하게 되는 샤프트;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위한 회전공간이 형성되고 양측면에 샤프트가 결합되는 지지공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보빈; 및
    상기 보빈에 감겨 있으며 구동전원으로 상기 마그네트의 자기력과 대응되는 극성의 자기력을 발생하는 코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브레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Nd(neodymium) 마그네트 또는 샤마륨 마그네트(SmCo)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바이브레이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마그네트의 중앙에는 소정 형상의 플라스틱 마그네트가 매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바이브레이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회전체 성형시 상기 회전체에 매설되어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바이브레이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샤프트의 양단에 테이퍼가 형성된 원기둥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바이브레이터.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에는 상기 중심판의 결합공에 결합되는 상기 샤프트의 중앙에 소정폭의 구배(句配)가 형성되고, 상기 구배의 외주면에 기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바이브레이터.
  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에는 상기 중심판의 결합공에 결합되는 상기 샤프트의 중앙에 소정폭의 구배가 형성되고, 상기 구배의 외주면에는 완전 절삭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평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바이브레이터.
  8.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에는 상기 중심판의 결합공에 결합되는 상기 샤프트의 중앙에 소정폭의 구배가 형성되고, 상기 구배의 외주면에는 부분 절삭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평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바이브레이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결합시 내부에 회전체가 회전할 수 있는 회전공간이 형성되도록 분리/결합이 가능한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의 중앙에 상기 샤프트의 양단과 결합되는 지지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의 양측에 권취되는 코일이 벗어나는 않도록 하는 차단벽이 형성되며,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을 일체형으로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이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바이브레이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상측 보빈의 주변에 형성된 다수개의 걸림턱과, 상기 상측 보빈의 걸림턱에 대응되게 상기 하측 보빈의 주변에 형성된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바이브레이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의 양측에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시 공기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에어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바이브레이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공의 주변에는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의 내측면보다 높은 보스가 입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바이브레이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보빈에 홀이 형성되고, 상기 상측 보빈의 홀에 대응되게 상기 하측 보빈에 보스가 입설되어서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을 결합시 서로 맞물리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바이브레이터.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의 외벽에 상기 회전체의 정지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자성체(철편)가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바이브레이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결합시 내부에 회전체가 회전할 수 있는 회전공간이 형성되도록 분리/결합이 가능한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의 중앙에 상기 샤프트의 양단과 결합되는 지지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의 양측에 권취되는 코일이 벗어나는 않도록 하는 차단벽이 형성되며, 상기 코일의 권선수를 조절하기 위한 허리부가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의 양쪽 중 적어도 한 쪽에 형성되며,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을 일체형으로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이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바이브레이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상측 보빈의 주변에 형성된 다수개의 걸림턱과, 상기 상측 보빈의 걸림턱에 대응되게 상기 하측 보빈의 주변에 형성된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바이브레이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의 양측에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시 공기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에어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바이브레이터.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공의 주변에는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의 내측면보다 높은 보스가 입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바이브레이터.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보빈에 홀이 형성되고, 상기 상측 보빈의 홀에 대응되게 상기 하측 보빈에 보스가 입설되어서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을 결합시 서로 맞물리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바이브레이터.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의 외벽에 상기 회전체의 정지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자성체(철편)가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바이브레이터.
  21. 샤프트와 결합되는 결합공이 천공된 중심판을 중심으로 단극성의 마그네트가 원호형으로 편심되게 형성된 회전체;
    상기 중심판의 결합공에 결합되며 보빈의 각 지지공에 양단이 결합되어 회전체를 보빈 내의 회전공간에 회전 자재토록 고정하게 되는 샤프트;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위한 회전공간이 형성되고 양측면에 샤프트가 결합되는 지지공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보빈;
    상기 보빈에 감겨 있으며 구동전원으로 상기 마그네트의 자기력과 대응되는 극성의 자기력을 발생하는 코일;
    상기 코일이 권취된 보빈이 안착되며 상기 코일의 양단을 외부와 연결하여 주는 하우징; 및
    상기 보빈을 감싸면서 상기 하우징의 윗면에 고정되는 캡;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브레이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Nd(neodymium) 마그네트 또는 샤마륨 마그네트(SmCo)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바이브레이터.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마그네트의 중앙에는 소정 형상의 플라스틱 마그네트가 매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바이브레이터.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회전체 성형시 상기 회전체에 매설되어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바이브레이터.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샤프트의 양단에 테이퍼가 형성된 원기둥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바이브레이터.
  26. 제21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에는 상기 중심판의 결합공에 결합되는 상기 샤프트의 중앙에 소정폭의 구배(句配)가 형성되고, 상기 구배의 외주면에 기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바이브레이터.
  27. 제21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에는 상기 중심판의 결합공에 결합되는 상기 샤프트의 중앙에 소정폭의 구배가 형성되고, 상기 구배의 외주면에는 완전 절삭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평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바이브레이터.
  28. 제21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에는 상기 중심판의 결합공에 결합되는 상기 샤프트의 중앙에 소정폭의 구배가 형성되고, 상기 구배의 외주면에는 부분 절삭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평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바이브레이터.
  29.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결합시 내부에 회전체가 회전할 수 있는 회전공간이 형성되도록 분리/결합이 가능한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의 중앙에 상기 샤프트의 양단과 결합되는 지지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의 양측에 권취되는 코일이 벗어나는 않도록 하는 차단벽이 형성되며,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을 일체형으로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이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바이브레이터.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상측 보빈의 주변에 형성된 다수개의 걸림턱과, 상기 상측 보빈의 걸림턱에 대응되게 상기 하측 보빈의 주변에 형성된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바이브레이터.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의 양측에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시 공기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에어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바이브레이터.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공의 주변에는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의 내측면보다 높은 보스가 입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바이브레이터.
  33.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보빈에 홀이 형성되고, 상기 상측 보빈의 홀에 대응되게 상기 하측 보빈에 보스가 입설되어서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을 결합시 서로 맞물리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바이브레이터.
  34.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의 외벽에 상기 회전체의 정지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자성체(철편)가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바이브레이터.
  3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결합시 내부에 회전체가 회전할 수 있는 회전공간이 형성되도록 분리/결합이 가능한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의 중앙에 상기 샤프트의 양단과 결합되는 지지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의 양측에 권취되는 코일이 벗어나는 않도록 하는 차단벽이 형성되며, 상기 코일의 권선수를 조절하기 위한 허리부가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의 양쪽 중 적어도 한 쪽에 형성되며,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을 일체형으로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이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바이브레이터.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상측 보빈의 주변에 형성된 다수개의 걸림턱과, 상기 상측 보빈의 걸림턱에 대응되게 상기 하측 보빈의 주변에 형성된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바이브레이터.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의 양측에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시 공기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에어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바이브레이터.
  38.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공의 주변에는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의 내측면보다 높은 보스가 입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바이브레이터.
  39.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보빈에 홀이 형성되고, 상기 상측 보빈의 홀에 대응되게 상기 하측 보빈에 보스가 입설되어서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을 결합시 서로 맞물리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바이브레이터.
  40.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보빈과 하측 보빈의 외벽에 상기 회전체의 정지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자성체(철편)가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바이브레이터.
  41.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밑면과 윗면으로 노출되도록 두 개 이상의 터미널이 상기 하우징 내에 매설되어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바이브레이터.
  4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의 끝부분에 연장된 연장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측면을 감싸면서 윗쪽을 향하도록 절곡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바이브레이터.
  4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의 끝부분에 연장된 연장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윗면에 씌워진 캡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절곡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바이브레이터.
  4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윗면의 용접면에 맞닿는 캡의 하단부에 초음파 용접을 위한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바이브레이터.
  4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하단에는 아랫방향으로 개방된 다수개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주변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보스가 입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바이브레이터.
  4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일측에는 상기 캡의 내측과 외측을 관통하는 에어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바이브레이터.
KR2020000000158U 2000-01-04 2000-01-05 바이브레이터 KR2001841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158U KR200184110Y1 (ko) 2000-01-04 2000-01-05 바이브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0142A KR100360126B1 (ko) 2000-01-04 2000-01-04 바이브레이터
KR2020000000158U KR200184110Y1 (ko) 2000-01-04 2000-01-05 바이브레이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0142A Division KR100360126B1 (ko) 2000-01-04 2000-01-04 바이브레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4110Y1 true KR200184110Y1 (ko) 2000-06-01

Family

ID=26636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0158U KR200184110Y1 (ko) 2000-01-04 2000-01-05 바이브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411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5403B2 (en) Vibration device
KR100245379B1 (ko) 진동 발생장치
KR101746007B1 (ko) 자계 폐회로 형성 케이스를 포함하는 리니어 타입 상하진동모터
CN103379416B (zh) 振动产生装置
EP1187509A1 (en) Signal converter functioning as a loudspeaker or a receiver and as a vibrator
JPH1014195A (ja) 報知用振動発生装置
KR100360126B1 (ko) 바이브레이터
JP4422354B2 (ja) 電気−機械−音響変換器
KR200184110Y1 (ko) 바이브레이터
CN101192771B (zh) 振动马达
JPH09285096A (ja) 振動発生装置
KR100443239B1 (ko) 스피커와 일체형으로 된 진동 모터
KR100336989B1 (ko) 다목적 부저
KR100368295B1 (ko) 두 개의 요크를 이용한 다용도 신호 변환장치
KR200173126Y1 (ko) 박판부저
KR100313356B1 (ko) 음향 및 진동발생소자
KR100385074B1 (ko) 진동모터
KR100295572B1 (ko) 다목적 부저
KR100419249B1 (ko) 진동모터
KR100356011B1 (ko) 신호 변환장치
KR200298322Y1 (ko) 신호변환장치
KR20030069589A (ko) 진동 모터
KR100336988B1 (ko) 신호 변환장치의 요크 구조
KR200237952Y1 (ko) 진동 모터
KR200208138Y1 (ko) 다기능 진동 스피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2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