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8913A - 오일 분리 필터가 형성된 오일 필러 캡 - Google Patents

오일 분리 필터가 형성된 오일 필러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8913A
KR20030068913A KR1020020008624A KR20020008624A KR20030068913A KR 20030068913 A KR20030068913 A KR 20030068913A KR 1020020008624 A KR1020020008624 A KR 1020020008624A KR 20020008624 A KR20020008624 A KR 20020008624A KR 20030068913 A KR20030068913 A KR 20030068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filler cap
separation filter
gas
b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8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태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8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8913A/ko
Publication of KR20030068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8913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4Filling or draining lubricant of or from machines or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4Filling or draining lubricant of or from machines or engines
    • F01M2011/0491Filing cap with special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랭크 케이스에서 생성되어 실린더 헤드 상부의 로커 커버 측으로 유도되는 블로바이가스를 에어덕트 측으로 보내며, 블로바이가스 중에 포함된 오일을 분리하기 위한 세퍼레이터 필터가 오일 필러 캡의 케이스 내측에 형성되는 오일 분리 필터가 형성된 오일 필러 캡에 관한 것으로,
크랭크 케이스에서 생성되는 블로바이가스를 에어덕트 측으로 유도하여 재연소시키기 위해 블로바이가스를 로커 커버측으로 유도한 다음 그 중에 포함되어 있는 오일을 분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엔진 오일을 충진하기 위해 로커 커버의 상측면에 형성되는 오일 필러 캡의 케이스 내측에 상부 격막 및 하부 격막에 의해 원통형상의 오일 분리 필터가 지지되고, 블로바이가스가 상기 오일 분리 필터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오일이 분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상부측에 오일이 분리된 블로바이가스가 에어덕트 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유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오일 분리 필터를 통과한 블로바이가스가 상기 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오일 분리 필터가 형성된 오일 필러 캡{Oil filler cap having oil seperation filter}
본 발명은 오일 분리 필터가 형성된 오일 필러 캡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크랭크 케이스에서 생성되어 실린더 헤드 상부의 로커 커버 측으로 유도되는 블로바이가스를 에어덕트 측으로 보내며, 블로바이가스 중에 포함된 오일을 분리하기 위한 세퍼레이터 필터가 오일 필러 캡의 케이스 내측에 형성되는 오일 분리 필터가 형성된 오일 필러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이 운전되는 중에는 연소실로부터 크랭크 케이스 내에 어느 정도의 배기가스나 혼합기가 새어 들어온다. 그 때문에 엔진 오일은 연소가스의 수분, 연료 등의 영향으로 엷어지거나 변질되어 슬러지가 생긴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크랭크 케이스에 브리더라는 환기장치를 설치하여 대기중으로 방출하였다.
그래서 상기와 같이 블로바이가스가 대기중으로 무방비하게 방출되어 대기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도 4와 같이 실린더 헤드를 덮는 로커 커버(10)의 일측에는 에어 브리싱 리플(Air breathing nipple)(15)을 형성하여 오일이 제거된 블로바이가스가 에어덕트 측으로 유도되어 재연소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로커 커버(10)의 내측에는 배플 플레이트(16)가 설치되어 블로바이가스 내의 오일이 분리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로커 커버(10)의 상부 일측에는 엔진 오일을 보충하기 위한 오일 필러 캡(12)이 형성되어, 엔진 오일을 보충할 경우에는 상기 오일 필러 캡(12)을 개방하여 오일 충진구로 오일을 주입하고 있다.
그런데 블로바이가스 중에 포함된 오일을 분리하기 위한 종래의 배플 플레이트는 단순 격자형태로 구성되므로서 엔진 고속 운전시 에어덕트 쪽으로 부압이 상승될 경우에 오일 분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므로서 오일이 다량 함유된 채로 블로바이가스가 연소실로 공급되어 엔진의 출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이상연소를발생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크랭크 케이스에서 생성되어 실린더 헤드 상부의 로커 커버 측으로 유도되는 블로바이가스를 에어덕트 측으로 보내며, 블로바이가스 중에 포함된 오일을 분리하기 위한 세퍼레이터 필터가 오일 필러 캡의 케이스 내측에 형성되는 오일 분리 필터가 형성된 오일 필러 캡을 제동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크랭크 케이스에서 생성되는 블로바이가스를 에어덕트 측으로 유도하여 재연소시키기 위해 블로바이가스를 로커 커버측으로 유도한 다음 그 중에 포함되어 있는 오일을 분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엔진 오일을 충진하기 위해 로커 커버의 상측면에 형성되는 오일 필러 캡의 케이스 내측에 상부 격막 및 하부 격막에 의해 원통형상의 오일 분리 필터가 지지되고, 블로바이가스가 상기 오일 분리 필터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오일이 분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상부측에 오일이 분리된 블로바이가스가 에어덕트 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유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오일 분리 필터를 통과한 블로바이가스가 상기 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오일 필러 캡이 장착된 로커 커버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오일 필러 캡이 장착된 로커 커버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로커 커버 11 : 오일 충진구
20 : 오일 필러 캡 21 : 케이스
22 : 유출구 23 : 상부 격막
24 : 하부 격막 25 : 오일 필러 캡
26 : 오일 드레인 홀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오일 필러 캡이 장착된 로커 커버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오일 필러 캡이 장착된 로커 커버의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20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오일 필러 캡을 지시하는 것이고, 도면부호 10은 로커 커버를 지시하는 것이다.
상기한 로커 커버(10)는 종래와 같이 실린더 헤드 상부에 형성되는 각종 장치를 씌우기 위해 알루미늄재질 혹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며, 그 일측에는 엔진을 윤활하는 오일을 충진하기 위한 오일 충진구(11)가 형성된다.
상기한 오일 필러 캡(20)의 케이스(21)의 하측에는 상기한 오일 충진구(11)에 체결되기 위한 나사(21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케이스(21)의 내부에는 상부 격막(23) 및 하부 격막(24)에 의해 지지되는 원통형상의 오일 분리 필터(25)가 형성되는데, 상기한 오일 분리 필터(25)는 블로바이가스가 원통형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동되면서 오일이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 격막(23)은 원판형으로 상기 오일 분리 필터(25)의 상측으로 블로바이가스가 바로 이동되는 것을 막고, 상기 하부 격막(24)은 상부가 넓게 퍼진 원통형상으로 블로바이가스가 상기 오일 분리 필터(25) 측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한 하부 격막(24)의 길이 방향으로 오일 드레인 홀(26)이 형성되는데, 이 오일 드레인 홀(26)은 상기한 오일 분리 필터(25)에서 걸러지는 오일이 로커 커버(10)의 오일 충진구(11) 하측으로 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오일 필러 캡(20)은 상기한 로커 커버(10)의 오일 충진구(11)에 체결되며, 상기한 케이스(21)의 상부에 형성되는 유출구(22)는 별도의 호스 등으로 에어덕트 측과 연결된다.
이상과 같이 형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엔진이 시동되면 특히 흡기행정에서 연소실 내의 가스가 크랭크 케이스로 스며들게되어 블로바이가스가 생성되어진다. 이렇게 크랭크 케이스에 생성된 블로바이가스는 종래와 같이 블로바이가스 통로를 통해 상기한 로커 커버(10)의 내측으로 유도된다.
로커 커버(10)의 내측으로 유도된 블로바이가스는 상기한 오일 필러 캡(20)의 케이스(21) 내측에 마련된 오일 분리 필터(25)를 통과하여 유출구(22)를 거쳐 에어 덕트 측으로 유도된다. 이 때, 블로바이가스가 상기한 에어 분리 필터(25)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블로바이가스 중에 포함된 기채상태의 오일은 응축되고, 그 자중에 의해서 하측으로 이동되어 상기한 오일 드레인 홀(26)로 흐르게 된다. 이렇게 오일 드레인 홀(26)로 흐르는 오일은 실린더 헤드 상부면에 마련되는 별도의 오일 통로를 통해 오일 팬으로 귀환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블로바이가스 중에 포함된 오일을 분리하기 위한 오일 분리 필터(25)가 오일 필러 캡(20)의 케이스(21) 내측에 형성되므로서 엔진 고속 운전시에도 블로바이가스 내에 포함된 오일을 충분히 분리되어 에어덕트 측으로 공급되는 오일의 함량이 줄어들게 되어 엔진 출력이 향상되며 이상연소가 방지된다.
또한, 종래에 로커 커버 내측에 형성되었던 배플 플레이트와 로커 커버 일측에 형성되었던 에어 브레싱 니플이 필요없게 되므로서 엔진조립이 간편해지고 엔진레이아웃 상의 제약이 줄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본 발명은 블로바이가스 중에 포함되어 있는 오일을 분리하기 위한 오일 분리 필터가 엔진에 오일을 충진하기 위한 오일 필러 캡의 케이스 내측에 형성되므로서 종래의 로커 커버 내측에 설치되던 배플 플레이트와 에어 브리싱 니플이 삭제되므로서 엔진조립과정이 단순화되고 엔진 레이아웃 상의 제약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엔진 고속 운전시에도 에어 분리 필터에서 블로바이가스 중에 포함되어 있는 오일을 분리하게 되므로서 에어덕트로 공급되는 오일의 함량이 줄게 되는 커다란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크랭크 케이스에서 생성되는 블로바이가스를 에어덕트 측으로 유도하여 재연소시키기 위해 블로바이가스를 로커 커버측으로 유도한 다음 그 중에 포함되어 있는 오일을 분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엔진 오일을 충진하기 위해 로커 커버(10)의 상측면에 형성되는 오일 필러 캡(20)의 케이스(21) 내측에 상부 격막(23) 및 하부 격막(24)에 의해 원통형상의 오일 분리 필터(25)가 지지되고, 블로바이가스가 상기 오일 분리 필터(25)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오일이 분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21)의 상부측에 오일이 분리된 블로바이가스가 에어덕트 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유출구(22)가 형성되어, 상기 오일 분리 필터(25)를 통과한 블로바이가스가 상기 유출구(22)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분리 필터가 형성된 오일 필러 캡.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하부 격막(24)은 상부가 넓게 퍼진 원통형상으로, 원통형상의 길이방향으로 오일 드레인 홀(2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분리 필터가 형성된 오일 필러 캡.
KR1020020008624A 2002-02-19 2002-02-19 오일 분리 필터가 형성된 오일 필러 캡 KR200300689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624A KR20030068913A (ko) 2002-02-19 2002-02-19 오일 분리 필터가 형성된 오일 필러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624A KR20030068913A (ko) 2002-02-19 2002-02-19 오일 분리 필터가 형성된 오일 필러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8913A true KR20030068913A (ko) 2003-08-25

Family

ID=32221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8624A KR20030068913A (ko) 2002-02-19 2002-02-19 오일 분리 필터가 형성된 오일 필러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891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0163A (ko) * 2003-12-16 2005-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오일 세퍼레이터가 일체로 형성된 오일 필러 캡의 구조
KR101022693B1 (ko) 2004-12-20 2011-03-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의 오일 드레인 기구
CN107813674A (zh) * 2016-09-12 2018-03-20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分离控制内部/外部空气的流动的车辆空调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5413A (ja) * 1994-05-17 1996-02-06 Tokai Rubber Ind Ltd オイルミスト分離回収装置
KR19980033233U (ko) * 1996-12-06 1998-09-05 박병재 로커 커버의 필러 캡 구조
KR19980038435U (ko) * 1996-12-19 1998-09-15 박병재 PCV(Positive Crankcase Ventilation) 밸브 구조
KR19990030321U (ko) * 1997-12-30 1999-07-26 정몽규 브리더 겸용 오일 필러 캡
JP2000008828A (ja) * 1998-04-21 2000-01-11 Nippon Soken Inc ブローバイガス還元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5413A (ja) * 1994-05-17 1996-02-06 Tokai Rubber Ind Ltd オイルミスト分離回収装置
KR19980033233U (ko) * 1996-12-06 1998-09-05 박병재 로커 커버의 필러 캡 구조
KR19980038435U (ko) * 1996-12-19 1998-09-15 박병재 PCV(Positive Crankcase Ventilation) 밸브 구조
KR19990030321U (ko) * 1997-12-30 1999-07-26 정몽규 브리더 겸용 오일 필러 캡
JP2000008828A (ja) * 1998-04-21 2000-01-11 Nippon Soken Inc ブローバイガス還元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0163A (ko) * 2003-12-16 2005-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오일 세퍼레이터가 일체로 형성된 오일 필러 캡의 구조
KR101022693B1 (ko) 2004-12-20 2011-03-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의 오일 드레인 기구
CN107813674A (zh) * 2016-09-12 2018-03-20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分离控制内部/外部空气的流动的车辆空调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0687B1 (ko) 블로바이가스의 오일 분리장치
KR100401914B1 (ko) 체인커버를 이용한 블로바이가스의 오일분리장치
EP2087212A2 (en) Engine head cover assembly having an integrated oil separator
KR20030068913A (ko) 오일 분리 필터가 형성된 오일 필러 캡
KR100409579B1 (ko) 디젤엔진의 블로바이가스 재순환장치
CN113272531B (zh) 内燃机
US20220056825A1 (en) Breather/check valve oil and air separator system and method
KR100453654B1 (ko) 피스톤에 일체로 형성되는 피시브이밸브
KR20030053916A (ko) 블로바이가스의 오일 분리장치
KR100528199B1 (ko) 블로바이가스 재순환 라인의 오일 분리장치
KR19980055473A (ko)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의 오일 세퍼레이터
KR100428223B1 (ko) 피시브이 호스의 니플 장착 구조
KR0134659Y1 (ko) 엔진 실린더헤드커버내의 블로우바이가스 벤틸레이션 구조
KR19980038896A (ko)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의 오일 세퍼레이터
KR19980028583U (ko) 브로바이가스 제어용 세퍼레이터설치구조
KR100622379B1 (ko) 무화촉진을 위한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의 구조
JPH08193508A (ja) ブリーザ装置付きエンジン
KR19980040558U (ko)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의 오일 세퍼레이터
KR200160391Y1 (ko) 내연기관의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
KR20070052014A (ko) 블로우 바이 가스의 오일 제거 장치
KR0113237Y1 (ko) 자동차용 블로우 바이 가스 환원 장치
KR950005822B1 (ko) 블로바이 가스와 오일의 유도분리구조를 갖는 캠샤프트 커버
KR19980038435U (ko) PCV(Positive Crankcase Ventilation) 밸브 구조
KR19980051146A (ko) 로커카바의 에어블리더장치
KR19990026758U (ko) 자동차의 블로바이 가스 포집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