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8854A - 나일론계 나노복합재를 이용한 고분자 얼로이 조성물 - Google Patents

나일론계 나노복합재를 이용한 고분자 얼로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8854A
KR20030068854A KR1020020008511A KR20020008511A KR20030068854A KR 20030068854 A KR20030068854 A KR 20030068854A KR 1020020008511 A KR1020020008511 A KR 1020020008511A KR 20020008511 A KR20020008511 A KR 20020008511A KR 20030068854 A KR20030068854 A KR 20030068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ylon
nanocomposite
elastomer
weight
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8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7047B1 (ko
Inventor
이영근
남병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8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7047B1/ko
Publication of KR20030068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8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7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70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2Polyamides derived from omega-amino carboxylic acids or from lactam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Abstract

본 발명은 30 내지 99중량%의 나일론 6 나노복합재에 1 내지 70중량%의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6을 블렌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일론 6 나노복합재 조성물 및 30 내지 90중량%의 나일론 6 나노복합재에 제1충격보강제로 5 내지 35중량%의 말레인산 및 이의 유도체로 개질된 폴리올레핀계 에라스토머, 스티렌계 에라스토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및 제2충격보강제로 2 내지 35중량%의 폴리올레핀계 에라스토머, 스티렌계 에라스토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내충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1 조성물에 의하여 나일론 6에 무기필러 또는 유리섬유로 보강된 컴파운드의 대체가 가능하고, 상기 나일론 나노복합재의 터프닝을 통한 제2 조성물에 의하여 기존의 나일론 컴파운드의 한계를 극복한 고내열성, 고충격성의 얼로이를 제조하여 폴리카보네이트계 및 폴리페닐렌옥사이드계 얼로이를 대체할 수 있다.

Description

나일론계 나노복합재를 이용한 고분자 얼로이 조성물{Polymer alloy compositions using nylon nanocomposite}
본 발명은 나일론계 나노복합재를 이용한 고분자 얼로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나일론계 나노복합재의 우수한 기계적, 열적 성질을 활용하여 이의 고분자 얼로이를 통하여 기존의 나일론계 고분자 얼로이가 지니지 못하는 새로운 개념의 나일론계 나노복합재를 이용한 고분자 얼로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나노복합재는 금속을 포함한 무기재료 분야와 고분자를 주축으로 하는 유기재료 분야로 크게 나뉘며 무기/금속입자 분산 고분자 나노복합재료는 열가소성수지, 열경화성수지 등의 고분자재료에 무기/금속입자를 나노 스케일(scale)로 박리, 분산시킴으로써 기계적 물성의 개선, 즉, 내충격성, 인성 및 투명성의 손상이 없이 ① 강도 및 강성, ② 기체 및 액체 투과억제성능, ③ 난연 및 방염성, ④ 내마모성, 및 ⑤ 고온안정성이 대폭 향상된 신개념의 차세대 복합소재로, 자동차, 항공우주 및 선박, 포장재 및 용기, 도료 및 코팅, 전자정보, 건축토목, 의료등 사회전반에 걸쳐 응용이 기대되는 신소재로서 전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현재 외국에서는 나일론 나노복합재료의 개발에 성공하였으며, 이밖의 다양한 고분자를 나노복합재료화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 나노 복합재료는 충진입자를 5%이하로 충진시키더라도 우수한 강도와 탄성이 나오며 기체투과억제성과 난연성이 크게 향상된다고 알려져 있다. 나노재료기술은 재료 및 제조기술뿐만 아니라 정보/전자기술, 의약/생체기술, 에너지/환경기술, 국가안보 관련기술 등 국민복지 및 산업전반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21세기 국가경쟁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기술의 하나로 부각되고 있다.
나일론계 나노복합재는 일반적으로 나일론 6계로서 이의 제조는 나일론 6 중합시 나노미터 사이즈의 판상형 클레이(몬트모릴로나이트), 인조마이카, 실리케이트등의 무기필러를 사용한다. 이때 사용되는 무기필러의 요구 조건은 미국특허 제6,136,908호와 제5,747,560호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판상형의 종횡비(Aspect ratio)가 수백 이상으로 충분히 커야된다는 점과 층간에 단량체가 잘 침투해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이를 인터칼레이션(Intercalation)이라 하고, 이와 같은 상태가 고분자중합시 단량체의 성장에 의해서 무기필러 적층 구조들이 등방성 형태로 고루 분포된 상태를 익스폴리에이션(Exfoliation)이라 하며, 이 상태가 일반적인 고분자 나노복합재의 형태학이 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나일론 6 나노복합재는 기존의 나일론 6 대비 3배의 열변형온도와 80% 정도 굴곡탄성율의 상승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나일론 6 나노복합재는 기존의 나일론 6과 비교하여 나노미터 스케일의 특수 무기필러로 개질을 하였기 때문에 결정격자의 형태가 바뀜에 따라 전혀 다른 형태의 기계적, 열적성질을 보여주게 되어 이의 응용을 통하여 기존에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 가지는 기계적 성질, 열적 성질, 내약품성, 제품외관 등에서 나타나는 한계점을 극복시켜주는 의미가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나일론 6 및 나일론 66 수지는 인장강도와 내마모성이 특히 우수하고, 내열성 그리고 모듈러스 등이 우수한 특성을 가진다. 그래서 나일론은 이에 유리섬유 및 탈크, 클레이 등의 무기필러를 컴파운딩하여 제반 물성을 더욱 향상시켜서 내열성이 필요한 분야에 많이 적용이 되고 있다. 이 경우 제품의 비중이 증가하고 외관이 열세해지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 또한 기존의 나일론 6을 사용하여 내충격성을 부여한 제품들은 그 충격강도를 폴리카보네이트계 얼로이,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PC/ABS) 얼로이, 폴리카보네이트/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C/PBT) 얼로이, 폴리카보네이트/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C/PET) 얼로이 등에 맞추면 모듈러스, 내열성 등이 열세여서 폴리카보네이트계 얼로이가 사용되는 분야에 적용이 곤란하고 실제 한국 공개특허 제91-09829호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굴곡탄성율을 폴리카보네이트계 얼로이 수준으로 유지했을 때 충격보강제의 종류에 무관하게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매우 열세인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고분자 나노복합재, 그 중에서도 나일론계 나노복합재가 지니는 우수한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응용, 즉 나일론 6 나노복합재를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6과 일정비율로 블렌딩하여 종래의 나일론계 컴파운드 제품이 가지는 기계적, 열적 성질의 한계성을 극복하고, 또한, 나일론 나노복합재를 주원료로 하고, 충격보강제를 이용하여 내충격성을 부여함으로써 폴리카보네이트계 얼로이 수준의 충격강도를 갖는 조성물을 얻었고, 본 발명은 이에 기초하여 완성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나일론계 나노복합재를 종래의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6과 블렌딩하여 비중이 작고, 외관이 개선된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나일론계 나노 복합재, 제1충격보강제 및 제2충격보강제를 포함하는 개선된 내충격성을 갖는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상기 조성물은 30 내지 99중량%의 나일론 6 나노복합재에 1 내지 70중량%의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6을 블렌딩한 것을 포함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조성물은 30 내지 90중량%의 나일론 6 나노복합재에 제1충격보강제로 5 내지 35중량%의 말레인산 및 이의 유도체로 개질된 폴리올레핀계 에라스토머, 스티렌계 에라스토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및 제2충격보강제로 2 내지 35중량%의 폴리올레핀계 에라스토머, 스티렌계 에라스토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나일론 6 나노복합재를 사용하여 이와 적정비율로 나일론 6 및 나일론 66을 블렌딩하여 기존의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6에 유리섬유 또는 무기필러로 보강된 컴파운드를 대체하는 새로운 조성물과 나일론 6 나노복합재를 주원료로 하여 이에 내충격성을 부여함으로써 폴리카보네이트계 및 폴리페닐렌옥사이드계 얼로이를 대체하는 조성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나일론 6 나노복합재는 무기필러의 무게분율이 1 내지 8중량%, 예를 들어, 인조마이카 및 몬트모릴로나이트가 각각 4% 충진된 것으로 96% 황산에서 상대점도가 각각 2.2 내지 3.2인 것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나일론 복합재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나일론 6 대비 열변형온도와 굴곡탄성율이 현저히 증가되는 특성이 있다. 상기 블렌딩에 사용한 나일론 6은 상대점도가 96% 황산에서 2.0 내지 3.5사이의 제품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6 사이이며, 2.0미만이면 충격 강도가 저하되고, 3.5를 초과하면 점도가 상승하여 사출성형시 흐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나일론 66은 90% 개미산에서 상대점도가 40 내지 250의 제품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25이며, 40미만이거나 250을 초과하면 나일론 6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나일론 6 나노복합재와 나일론 6 및 나일론 66과의 블렌드 비는 30 내지 99중량%의 나일론 6 나노복합재에 1 내지 70중량%의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6을 블렌딩한 것으로, 나일론 6 나노복합재와 나일론 6 및 나일론 66과의 블렌드비는 나일론 6 나노복합재의 비율이 30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하에서는 혼합물의 내열성이 각각의 범용수지 수준으로 급격히 떨어지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나일론 6 나노복합재는 특히 내열온도가 매우 높아 기존의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6과 일정비율 블렌딩하여 사용하여도 기존의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6 수지에 유리섬유 및 무기필러를 컴파운딩하여 제조한 제품수준의 내열성이 확보되므로 이의 대체가 우선적으로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품의 외관이 종래의 컴파운딩 제품에 비교하여 나노복합재 블렌드 제품이 매우 우수하며 제품의 비중도 20%까지 줄일 수 있다.
한편, 나일론 6 나노복합재를 터프닝(Toughening)하여 내충격 나노복합재를 제조하는 경우는 나일론 6 나노복합재를 총량에 30 내지 90중량%로 사용하고,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0중량%이다. 충격보강제는 말레인산 및 이의 유도체로 개질된 폴리올레핀계, 스티렌계 에라스토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제1충격보강제와 폴리올레핀계, 스티렌계 에라스토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제2충격보강제의 두 가지 형태를 동시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에라스토머 및 스티렌계 에라스토머의 비중은 각각 0.86 내지 0.90 및 0.89 내지 0.95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충격보강제를 총량에 5 내지 35중량%, 제2충격보강제를 총량에 2 내지 35중량%를 사용하였고, 바람직하게는 각각 총량에 10 내지 20중량%, 8 내지 20중량%를 사용하였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열안정제(Antioxidant), 활제(Lubricant), 유/무기 착색제를 각각 0.5 내지 0.6중량%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1충격보강제는 에틸렌/프로필렌 또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 에라스토머(EPR 또는 EPDM), 에틸렌/부텐-1 또는 에틸렌/옥텐-1 공중합체 에라스토머(EBR 또는 EOR), 스티렌/에틸렌/부틸렌 블록공중합체 에라스토머(SEBS),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 에라스토머(SEPS), 스티렌/에틸렌/에틸렌/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 에라스토머(SEEPS),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에라스토머 및 수지에 말레인산 및 이의 유도체로 개질된 형태로서 에라스토머 및 수지 내에 이들 개질제는 0.1 내지 2.0중량%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0.4 내지 1.2중량%이다. 말레인산이 0.1중량% 미만이면 나일론 6 나노복합재와의 상용성이 감소되어 얼로이 조성의 유연성을 확보하기 어렵게 되고, 말레인산이 2.0중량%를 초과하면 최종 얼로이의 점도가 증가하여 사출성형성이 열세한 특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2충격보강제는 제1충격보강제에서 사용한 충격보강제를 말레인산 및 그의 유도체로 개질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 경우 제2충격보강제 단독으로는 나일론 6 나노복합재와 상용성이 없기 때문에 컴파운딩 및 사출성형이 쉽지 않고, 충격강도 등 제반 물성이 많이 열세해지며, 제1충격보강제 단독으로는 최종 얼로이의 점도가 증가하여 사출성형성이 열세해진다. 따라서 제1충격보강제와 제2충격보강제를 같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제1충격보강제와 제2충격보강제의 비율은 30/70 내지 90/10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0/60 내지 70/30이다. 이는 미국특허 제6,235,840호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주원료를 나일론 6을 사용한 경우 첫번째 형태 및 두 번째 형태의 조합만이 수지의 흐름성을 확보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고, 본 발명에서 사용한 나일론 6 나노복합재를 주원료로 사용한 경우에도 동일한 특성을 나타낸다.
제1충격보강제 및 제2충격보강제의 조합 선정은 일반적으로 소재의 충격강도와 모듈러스, 예를 들면 굴곡탄성율을 고려하여 각각 선정되고 일반적으로 제2충격보강제에 의한 충격보강 효과가 더욱 크게 나타나므로 제1충격보강제의 선정시 이를 고려하여 선정하면 된다.
상기 조성물을 슈퍼믹서에서 조성 성분들을 균일하게 믹싱(mixing)하여 연속식 이축압출기(twin extruder)에서 220℃ 내지 250℃ 온도로 용융 압출하여 펠렛상 형태의 제품을 얻는다.
본 발명의 나일론 6 나노복합재를 이용하여 낮은 비중, 우수한 기계적, 열적성질을 갖는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었고, 나일론 6 나노복합재를 주원료로 내충격성을 부여하면 폴리카보네이트계 얼로이 수준의 충격강도를 맞추어도 모듈러스 및 내열성이 동등이상의 성능을 갖게 되고, 더욱이 폴리카보네이트계 얼로이가 가지는 단점인 내약품성을 획기적으로 개선 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하기 예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나일론 6 나노복합재 물성비교
하기 표 1에 나일론 6 나노복합재와 일반 나일론 6, 나일론 66의 기계적 물성을 비교하였다.
측정방법 PA6NANO PA6 PA66
열변형온도(℃) ASTM D648 150 65 75
굴곡탄성율(kg/cm2) ASTM D790 42540 27000 29000
굴곡강도(kg/cm2) ASTM D790 1460 1160 1210
충격강도(kgf cm/cm) ASTM D256 5.5 5.8 5.2
인장강도(kg/cm2) ASTM D638 950 810 920
비중 ASTM D792 1.14 1.13 1.14
* PA6NANO : 무기필러 4중량%, 상대점도(96% 황산) 2.3인 나일론 6 나노복합재
* PA6 : 상대점도(96% 황산) 2.5인 나일론 6
* PA66 : 상대점도(90% 개미산) 50.0인 나일론 66
* 열변형온도 : Heat Deflection Temperature(HDT), 사용한 하중은 18.6 kgf/cm2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나일론 6 나노복합재는 일반 나일론 6 및 나일론 66에 대비하여 열변형온도와 굴곡탄성율이 특히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2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으로 PA6NANO와 PA6 및 PA66을 수지상태에서 혼합하여 사출한 것으로 사출온도는 220 내지 240℃(또는 PA66을 사용한 경우, 260 내지 280℃), 금형온도는 60℃로 하여 ASTM 시편금형에 사출하여 30℃ 건조오븐에서 24시간 방치 후 측정한 물성결과이다. 각 물성 항목은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ASTM 방법으로 측정하였고 결과 수치에 대한 단위도 상기 표 1과 동일하다.
나일론 6 나노복합재 혼합물과 일반 컴파운드의 물성비교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PA6NANO(%) 70 70 - - -
PA6(%) 30 - 84.6 79.6 89.6
PA66(%) - 30 - - -
유리섬유(%) - - - - 10.0
탈크(%) - - 15.0 20.0 -
산화방지제(%) - - 0.2 0.2 0.2
활제(%) - - 0.2 0.2 0.2
열변형온도 128 137 110 145 150
굴곡탄성율 38000 40000 35000 37000 41000
충격강도 5.5 5.3 4.1 5.0 4.5
인장강도 900 940 650 780 950
비중 1.13 1.14 1.23 1.29 1.19
제품외관 우수 우수 양호 열세 열세
비교예 1∼3
상기 표 2에 제시된 조성으로 원료를 혼합하여 이축압출기로 컴파운딩을 통해 제조하였다. 사용한 압출기는 L/D=40, 구경 40파이이고 압출온도는 220 내지 260℃, RPM은 240으로 하였고, 탈크와 유리섬유는 4번 배럴에 사이드 피딩(Side Feeding)하여 주입하였다. 제조한 펠렛 형상의 수지는 80℃/24시간 건조 후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ASTM 시편을 제조하여 같은 방식으로 물성측정을 하였다.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PA6NANO는 PA6 또는 PA66과 혼합하여 유리섬유 및 탈크 충진 컴파운드제품의 대체가 가능하고 이 경우 우수한 외관 및 제품의 비중이 작은 장점이 있다.
실시예 3∼5
하기 표 3에 제시된 조성으로 원료를 혼합한 후 비교예 3과 같은 방식으로 압출온도를 230 내지 260℃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같은 방식으로 펠렛을 제조하였고, ASTM 시편 사출은 사출온도를 230 내지 250℃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편을 제조하였으며, 물성평가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한편, 여기서 사용한 충격보강제는 상술한 제1충격보강제(IM-01)와 제2충격보강제(IM-02)의 대표적인 것만 실시한 것으로 추가의 조합으로도 동일한 성능의 나일론 6 나노복합재 얼로이를 제조할 수 있다.
충격보강제에 따른 나일론 6 나노복합재 얼로이 물성비교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4 비교예 5
PA6NANO 88 84 82 82 82
IM-01 6 8 9 18 -
IM-02 6 8 9 - 18
MFR 4.0 2.5 2.0 0.3 8.5
HDT(4.6) 195 185 178 182 160
HDT(18.6) 115 105 96 100 85
굴곡탄성율 30700 26300 24000 24800 22500
충격강도 22 53 80 72 5.0
인장강도 780 700 670 680 590
비중 1.10 1.09 1.08 1.08 1.07
제품외관 우수 우수 우수 열세 매우열세
내약품성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 IM-01 : 에틸렌/옥텐-1 공중합체 에라스토머와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의 블렌드물에 말레인산 및 그의 유도체로 개질된 충격보강제
* IM-02 : 에틸렌/옥텐-1 공중합체 에라스토머
* MFR(Melt Flow Index) : 235℃/2.16kg
* HDT(4.6), HDT(18.6) : 각각 4.6 및 18.6 kgf/cm2하중에서의 열변형온도
* 내약품성 : 염소계 용제, 알칼리계 수산화물, 산등에 대한 내약품성
비교예 4∼5
상기 표 3에 제시된 조성으로 원료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식으로 컴파운딩하고, 물성평가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5와 비교예 4∼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충격보강제(IM-01)와 제2충격보강제(IM-02)의 두 개의 충격보강제를 함께 처방한 것이 기계적물성, 외관, 수지의 흐름성 측면에서 우수한 특성을 보이고 있다. 한편 비교예 5의 경우는 컴파운딩시 다이에서 수지간의 상용성이 없음으로 인한 스웰링(swelling) 현상이 심하고, 사출제품의 표면에 박리(delamination) 현상이 생기며, 기계적 물성에 있어서도 특히 충격강도가 현저하게 저조한 물성을 나타낸다.
비교예 6∼8
현재 상업화 되어 있는 폴리카보네이트계(PC) 얼로이 및 폴리페닐렌옥사이드계 얼로이(MPPO)를 입수하여 80℃/24시간 건조 후 사출온도 270 내지 290℃, 금형온도 70℃로 조정하여 ASTM 시편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식으로 물성을 측정하였고, 이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나일론 6 나노복합재 얼로이와 일반 얼로이와의 물성비교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HDT(4.6) 125 115 125
HDT(18.6) 105 100 116
굴곡탄성율 22000 21000 25500
충격강도 65 50 21
인장강도 560 570 680
비중 1.14 1.22 1.10
제품외관 우수 우수 우수
내약품성 매우열세 열세 열세
* 비교예 4 : PC/ABS(=70/30) 얼로이
* 비교예 5 : PC/PBT(=80/20) 얼로이
* 비교예 6 : MPPO(폴리페닐렌옥사이드 얼로이)
상기 표 3과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3은 MPPO 대비 내열성 및 굴곡탄성율등이 우수하고, 실시예 4는 PC/PBT 얼로이 대비 전반적인 물성이 우수하고 비중도 10% 정도 작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실시예 5도 PC/ABS 얼로이 대비 우수한 물성을 나타낸다. 내약품성 측면에서는 실시예 3∼5는 비교예 4∼6 대비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내열성과 강성이 우수한 나일론 6 나노복합재를 응용하여 일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 갖지 못하는 기계적 물성과 우수한 외관 그리고 내약품성을 개선하였는데, 첫째로 나일론 6 나노복합재와 일반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6과 펠렛상태의 단순 블렌딩에 의해서 나일론 6에 무기필러 또는 유리섬유로된 보강된 컴파운드의 대체가 가능하고, 둘째는 나일론 6 나노복합재의 터프닝을 통해서 기존의 나일론 컴파운드의 한계를 극복한 고내열성, 고충격성의 얼로이를 발명하여 폴리카보네이트계 및 폴리페닐렌옥사이드계 얼로이를 대체 할 수 있었다.

Claims (6)

  1. 30 내지 99중량%의 나일론 6 나노복합재에 1 내지 70중량%의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6을 블렌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일론계 나노복합재를 이용한 고분자 얼로이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일론 6 나노복합재는 무기필러의 무게 분율이 1 내지 8중량%이고, 96% 황산에서 상대점도 2.2 내지 3.2이며, 상기 나일론 6은 96% 황산에서 상대점도 2.0 내지 3.5이고, 나일론 66은 90% 개미산에서 상대점도 40 내지 2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30 내지 90중량%의 나일론 6 나노복합재에 제1충격보강제로 5 내지 35중량%의 말레인산 및 이의 유도체로 개질된 폴리올레핀계 에라스토머, 스티렌계 에라스토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및 제2충격보강제로 2 내지 35중량%의 폴리올레핀계 에라스토머, 스티렌계 에라스토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에라스토머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라스토머(EPR),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 에라스토머(EPDM), 에틸렌/부텐-1 공중합체 에라스토머, 에틸렌/헥센-1 공중합체 에라스토머, 에틸렌/옥텐-1 공중합체 에라스토머이고, 그 비중이 0.86 내지 0.90이며, 상기 스티렌계 에라스토머는 스티렌/에틸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 에라스토머(SEBS),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 에라스토머(SEPS), 스티렌/에틸렌/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에라스토머(SEEPS)이고, 그 비중이 0.89 내지 0.9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말레인산 및 이의 유도체로 개질된 폴리올레핀계 에라스토머, 스티렌계 에라스토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 말레인산 및 이의 유도체는 0.1 내지 2.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충격보강제와 제2충격보강제의 무게비가 30/70 내지 90/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020008511A 2002-02-18 2002-02-18 나일론계 나노복합재를 이용한 고분자 얼로이 조성물 KR100707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511A KR100707047B1 (ko) 2002-02-18 2002-02-18 나일론계 나노복합재를 이용한 고분자 얼로이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511A KR100707047B1 (ko) 2002-02-18 2002-02-18 나일론계 나노복합재를 이용한 고분자 얼로이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8854A true KR20030068854A (ko) 2003-08-25
KR100707047B1 KR100707047B1 (ko) 2007-04-13

Family

ID=32221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8511A KR100707047B1 (ko) 2002-02-18 2002-02-18 나일론계 나노복합재를 이용한 고분자 얼로이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70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348A (ko) * 2002-07-23 2004-01-31 삼성 엔이씨 모바일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듀얼 타입 유기전자발광소자와 그 제조방법
US7855251B2 (en) 2004-09-23 2010-12-21 Polyone Corporation Impact-modified polyamide compound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0549A (en) * 1997-05-20 2000-05-09 Exxon Chemical Patents, Inc. Rubber toughened thermoplastic resin nano composites
AU6162398A (en) * 1998-02-13 1999-08-30 Solutia Inc. Polymer nanocomposite composition
JP2000017169A (ja) * 1998-06-30 2000-01-18 Toyo Alum Kk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AU768841B2 (en) * 1998-12-07 2004-01-08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Research Foundation Process for preparing an exfoliated, high I.V. polymer nanocomposite with an oligomer resin precursor and an article produced therefrom
JP4043631B2 (ja) * 1999-02-01 2008-02-06 フォスター電機株式会社 電気音響変換器用振動板
WO2001012678A1 (en) * 1999-08-13 2001-02-22 Solutia Inc.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olyamide nanocomposite compositions by in situ polymeriz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348A (ko) * 2002-07-23 2004-01-31 삼성 엔이씨 모바일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듀얼 타입 유기전자발광소자와 그 제조방법
US7855251B2 (en) 2004-09-23 2010-12-21 Polyone Corporation Impact-modified polyamide compoun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7047B1 (ko) 2007-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1332B1 (ko) 착색 장섬유 강화 펠렛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착색 수지성형품
KR20090022835A (ko) 무기물 함유 장섬유 강화 펠렛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수지 성형품
KR101916247B1 (ko) 천연섬유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용 컴파운드 조성물
JPS60203654A (ja) ガラス繊維強化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
CN1966564A (zh) 增强增韧抗老化聚丙烯/纳米碳酸钙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20160094724A (ko) 탄소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성형품
CN103497425A (zh) 一种高强高韧的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8467544B (zh) 一种高强、高刚且透明改性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US7053154B2 (en) Impact modified polyolefin compositions
KR100707047B1 (ko) 나일론계 나노복합재를 이용한 고분자 얼로이 조성물
KR20130055167A (ko)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187193B1 (ko) 내충격성이 향상된 재활용 폴리프로필렌 고분자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성형품
JP3579770B2 (ja) 長繊維及び板状の無機フィラーで強化された結晶性熱可塑性樹脂柱状体
JP5209178B2 (ja) 樹脂組成物
KR101352760B1 (ko) 저 비중, 내스크래치 및 외관 특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4476621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KR101587320B1 (ko) 유리섬유 강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CN1966559A (zh) 高光泽低收缩率纳米聚丙烯改性复合物及其制备方法
KR100792115B1 (ko) 강도 및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0478601B1 (ko) 층상점토광물을 함유한 폴리에스테르 나노복합재의제조방법
KR102391576B1 (ko) 열전도성과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234585B1 (ko) 투명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S6251981B2 (ko)
KR20110014462A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0808722B1 (ko) 전도성이 우수한 고강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