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6971A -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전사벨트 클리닝 장치 - Google Patents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전사벨트 클리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6971A
KR20030066971A KR1020020006751A KR20020006751A KR20030066971A KR 20030066971 A KR20030066971 A KR 20030066971A KR 1020020006751 A KR1020020006751 A KR 1020020006751A KR 20020006751 A KR20020006751 A KR 20020006751A KR 20030066971 A KR20030066971 A KR 20030066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belt
roller
image
cleaning
clean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6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3537B1 (ko
Inventor
박은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6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3537B1/ko
Publication of KR20030066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6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3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35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88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removing liquid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0026Cleaning of foreign matter, e.g. paper powder, from imaging member
    • G03G2221/0068Cleaning mechanism
    • G03G2221/0089Mechanic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Wet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개시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전사벨트 클리닝 장치는, 복수의 지지롤러에 지지되어 주행되는 전사벨트에 잔류하는 오염원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전사벨트에 선택적으로 착탈되면서 전사벨트에 형성된 화상영역 이외의 영역인 비화상영역에 존재하는 오염원을 제거하는 클리닝롤러와; 전사벨트를 사이에 두고 클리닝롤러와 대면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백업롤러;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클리닝롤러에 의해 전사벨트의 비화상영역에 존재하는 오염원을 제거함으로써, 비화상영역에 존재하는 오염원에 의한 전사롤러의 오염을 방지하여 전사벨트로부터 기록매체로의 전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사벨트에 형성된 화상이 기록매체로 전사된 후에 잔류하는 잔존화상을 제거하는 클리닝브레이드의 부하를 줄여줄 수 있다.

Description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전사벨트 클리닝 장치{Image transfer belt cleaning apparatus for liqui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본 발명은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전사벨트 클리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사벨트상에 형성된 화상영역 이외의 영역인 비화상영역에 존재하는 오염원을 제거하기 위한 전사벨트 클리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는 감광매체를 대전시키고, 대전된 감광매체에 레이저빔을 주사시켜 선택적으로 노광시킴으로써 소정 패턴의 정전잠상을 형성한 후, 현상기를 이용하여 그 정전잠상을 소정 색상의 토너화상로 현상한다. 일반적으로 현상기에 사용되는 토너의 색상은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및 블랙(K;black)인데, 이러한 4가지 색상이 서로 겹쳐지도록 전사벨트 상에 각각 전사되어 완전한 컬러 화상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카세트에 수납된 기록용지는 픽업롤러에 의해 전사벨트에 접촉되어 회전하는 전사롤러 측으로 공급되어 컬러 화상을 전사 받는다. 다음으로, 화상을 전사 받은 기록용지는 정착부인 히팅롤러와 압력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열과 압력을 받아 화상이 정착되어짐으로써 인쇄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정착이 완료된 기록용지는 인쇄기의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기록용지 1매에 대한 인쇄가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작용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는, 현상제로 분말상의 토너를 사용하는 건식과, 액상의 용매와 분말상의 토너가 혼합된 현상액을 현상제로 사용하는 습식이 있다. 이 두 가지 방식 중 인쇄품질의 우수성 및 유해한 토너 분진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습식이 주로 채용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일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는, 대전된 감광매체로서 각 색상에 대응하도록 준비된 복수의 감광드럼(160)과, 상기 각 감광드럼(160)에 레이저빔을 주사시켜 소정 패턴의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노광장치(170)와, 상기 정전잠상을 상기 각 색상별 현상액으로 현상하는 복수의 현상기(180)와, 드라이브롤러(112)와 스티어링롤러(113) 및 텐션롤러(114)에 의해 폐곡선 형태로 지지되어 무한궤도를 따라 순환 주행되는 전사벨트(10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각 감광드럼(160)상에 형성된 토너화상은, 감광드럼(160)과 전사벨트(100)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기력에 의해 전사벨트(100)상으로 이동됨으로써, 제1차전사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제1차전사 된 토너화상은 전사벨트(100)상에 순차적으로 중첩됨으로써 완전한 컬러 화상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전사벨트(100)상에 형성된 컬러 화상은 드라이브롤러(112)와 전사롤러(115)와의 사이에 작용하는 기계적 힘과 전사벨트(100)와 전사롤러(115)와의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기력에 의해 기록용지(S)로 이동됨으로써, 제2차전사가 이루어진다.
그런데, 전사벨트(100)로부터 기록용지(S)로의 제2차전사 과정을 거친 후에, 전사벨트(100)상에는 잔류하는 잔존화상이 남게 되며, 인쇄작업이 반복되다 보면 전사벨트(100)를 통한 컬러 화상의 전사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간이지남에 따라 그 전사벨트(100)의 표면이 서서히 오염되어 간다. 따라서, 선명한 인쇄상태를 계속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잔존화상을 전사벨트(100)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장치가 요구된다. 따라서,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는 상기 전사벨트(100)로부터 기록용지(S)로 컬러 화상이 전사된 후, 전사벨트(100)상에 잔류하는 잔존화상을 제거하기 위한 제1클리닝브레이드(120)를 구비한다.
한편, 전사벨트(100)는 공급되는 기록용지(S)에 컬러 화상이 정확히 전사될 수 있도록 컬러 화상이 형성되는 영역인 화상영역과, 그 화상영역 이외의 영역인 비화상영역으로 구분된다. 만약 공급되는 기록용지(S)가 2매 이상이면, 화상영역과 화상영역 사이의 영역이 비화상영역이 된다. 이와 같이, 공급되는 기록용지(S)에 대응하여 전자벨트(100)상에 화상영역이 형성되는 위치의 제어는 화상제어부(190)가 노광장치(170)의 노광 개시의 시점을 조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런데, 컬러 화상이 기록용지(S)에 제2차전사 된 후 전사벨트(100)에 잔류하는 잔존화상이 상기 제1클리닝브레이드(120)에 의해 제거하더라도, 완전히 제거되기는 어려우며, 그 일부는 그대로 잔존하여 상기 전사벨트(100)의 오염원으로 작용한다. 이와 같은 오염원으로 인하여, 계속되는 인쇄작업에 따라 전사벨트(100)상에 새롭게 형성되는 화상영역은 물론, 비화상영역에도 잔존화상이 남게된다.
또한, 온도나 습도와 같은 인쇄환경의 변화에 따라 감광드럼(160)의 대전전압이나 현상롤러(181)의 현상전압이 미세하게 변하게 되고, 이러한 변화로 인하여 전사벨트(100)상의 비화상영역에도 미세한 토너입자들이 존재하게 되며, 비화상영역에 존재하는 미세한 토너입자들은 전사벨트(100)의 오염원으로 작용한다.
상기와 같이 전사벨트(100)상의 비화상영역에 존재하는 오염원들은 기록용지(S)에 전사되지 않으므로 전사롤러(115)를 직접적으로 오염시키며, 이러한 전사롤러(115)의 오염은 전사벨트(100)로부터 기록용지(S)로 전사되는 컬러 화상의 전사효율을 떨어뜨린다. 또한, 전사벨트(100)상의 화상영역은 물론, 비화상영역에 존재하는 오염원까지도 제거하기 위해 제1클리닝브레이드(120)에 과도한 부하가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필요성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전사벨트상에 형성된 화상영역 이외의 영역인 비화상영역에 존재하는 오염원을 제거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전사벨트 클리닝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사벨트 클리닝 장치가 채용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사벨트 클리닝 장치가 채용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클리닝롤러를 전사벨트에 착탈시키는 클리닝롤러 착탈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전사벨트 111...전사백업롤러
112...드라이브롤러 113...스티어링롤러
114...텐션롤러 115...전사롤러
120...제1클리닝브레이드 130...클리닝롤러
140...백업롤러 150...제2클리닝브레이드
160...감광드럼 170...노광장치
180...현상기 190...화상제어부
200...클리닝롤러 착탈장치 201...회전지지부재
202..가이드부재 203...캠부재
S...기록용지 M...모터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전사벨트 클리닝 장치는, 복수의 지지롤러에 지지되어 주행되는 전사벨트에 잔류하는 오염원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전사벨트에 선택적으로 착탈되면서 상기 전사벨트에 형성된 화상영역 이외의 영역인 비화상영역에 존재하는 오염원을 제거하는 클리닝롤러와; 상기 전사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클리닝롤러와 대면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백업롤러;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전사벨트 클리닝 장치는 상기 클리닝롤러에 존재하는 오염원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클리닝롤러에 접촉되게 설치되는 클리닝브레이드;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클리닝롤러는 감광매체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소정의 토너화상으로 현상하는 복수의 현상기 후방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사벨트 클리닝 장치가 채용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전사벨트 클리닝 장치는, 기록용지(S)에 전사된 후 전사벨트(100)에 잔류하는 잔존화상을 제거하는 제1클리닝브레이드(120)와, 각 감광드럼(160)상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각 색상별 현상액으로 현상하는 현상기(180)의 후방에 각각 설치되며, 전사벨트(100)에 선택적으로 착탈되면서 그 전사벨트(100)에 형성된 화상영역 이외의 영역인 비화상영역에 존재하는 오염원을 제거하는 복수의 클리닝롤러(130)와, 전사벨트(100)를 사이에 두고 상기 복수의 클리닝롤러(130)와 각각 대면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백업롤러(140), 및 상기 복수의 클리닝롤러(130)와 각각 접촉되게 설치되어 클리닝롤러(130)상의 오염원을 제거하는 복수의 제2클리닝브레이드(150)를 구비한다.
한편, 도 3에는 상기 클리닝롤러를 전사벨트에 선택적으로 착탈시키는 클리닝롤러 착탈장치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클리닝롤러 착탈장치(200)는 클리닝롤러(130)의 양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부재(201)와, 상기 회전지지부재(201)가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202)와, 모터(M)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며, 상기 회전지지부재(201)의 하면을 접촉 지지하는 캠부재(203)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모터(M)는 화상제어부(19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된다.
따라서, 화상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모터(M)에 의해 캠부재(203)가 회전을 하면, 그 캠부재(203)에 의해 하면이 밀착 지지되는 회전지지부재(201)는 가이드부재(202)에 의해 가이드 되면서 상하 운동을 하며, 이러한 회전지지부재(201)의 상하 운동에 따라 그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클리닝롤러(130)는 선택적으로 전사벨트(100)에 착탈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전사벨트 클리닝 장치의 작용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색상별 노광의 개시시점을 제어하는 화상제어부(190)의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노광된 각 감광드럼(160)상에는 정전잠상이 형성되며, 그 정전잠상은 현상기(180)에 의해 현상됨으로써 감광드럼(160)상에는 각 색상별 토너화상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각 색상별 토너화상은 일방향으로 순환 주행하는 전사벨트(100)에 순차적으로 중첩되게 전사된다. 그러면, 전사벨트(100)는 각 색상별 토너화상을 순차적으로 중첩되게 전사받는 영역인 화상영역과 화상영역 이외의 영역인 비화상영역으로 구분된다. 만약 공급되는 기록용지(S)가 2매 이상이라면 비화상영역은 화상영역과 화상영역 사이의 영역이된다.
이때 현상기(180)의 후방에 각각 설치되는 클리닝롤러(130)와 백업롤러(140) 사이로 전사벨트(100)의 비화상영역이 통과하는 경우, 각 색상별 노광 개시의 시점을 제어하는 화상제어부(19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상기 클리닝롤러 착탈장치(200)에 의해 클리닝롤러(130)는 전사벨트(100)를 사이에 두고 대면하고 있는 백업롤러(140)쪽으로 밀착하게 된다. 그러면,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는 클리닝롤러(130)와 전사벨트(100)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기력에 의해 전사벨트(100)의 비화상영역에 존재하는 오염원이 클리닝롤러(130)로 전사된다. 이와 같이 클리닝롤러(130)에 전사된 오염원은 제2클리닝브레이드(150)에 의해 제거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사벨트 클리닝 장치에 의하면, 기록용지(S)에 전사된 후 전사벨트(100)에 잔류하는 잔존화상이 제1클리닝브레이드(120)에 의해 제거되지 않고 그대로 잔류하는 잔존화상이나, 전사벨트(100)상의 비화상영역에 존재하는 미세한 토너입자들이 상기 클리닝롤러(130)에 의해 미리 제거됨으로써, 전사롤러(115)의 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록용지(S)에 화상이 전사된 후, 전사벨트(100)상의 비화상영역을 클리닝하는 제1클리닝브레이드(120)의 부하를 줄여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전사벨트 클리닝 장치는, 클리닝롤러에 의해 전사벨트의 비화상영역에 존재하는 오염원을 제거함으로써, 비화상영역에 존재하는 오염원에 의한 전사롤러의 오염을 방지하여 전사벨트로부터 기록매체로의 전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사벨트에 형성된 화상이 기록매체로 전사된 후에 잔류하는 잔존화상을 제거하는 클리닝브레이드의 부하를 줄여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Claims (3)

  1. 복수의 지지롤러에 지지되어 주행되는 전사벨트에 잔류하는 오염원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전사벨트에 선택적으로 착탈되면서 상기 전사벨트에 형성된 화상영역 이외의 영역인 비화상영역에 존재하는 오염원을 제거하는 클리닝롤러와;
    상기 전사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클리닝롤러와 대면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백업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전사벨트 클리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롤러에 존재하는 오염원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클리닝롤러에 접촉되게 설치되는 클리닝브레이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전사벨트 클리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롤러는 감광매체의 표면에 형성된 정점잠상을 소정의 토너화상으로 현상하는 복수의 현상기 후방에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전사벨트 클리닝 장치.
KR10-2002-0006751A 2002-02-06 2002-02-06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전사벨트 클리닝 장치 KR100433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751A KR100433537B1 (ko) 2002-02-06 2002-02-06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전사벨트 클리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751A KR100433537B1 (ko) 2002-02-06 2002-02-06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전사벨트 클리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6971A true KR20030066971A (ko) 2003-08-14
KR100433537B1 KR100433537B1 (ko) 2004-05-31

Family

ID=32220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6751A KR100433537B1 (ko) 2002-02-06 2002-02-06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전사벨트 클리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3537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1288A (ja) * 1992-11-16 1994-06-07 Mita Ind Co Ltd 転写ベルトのクリーニング装置
JPH09152788A (ja) * 1995-11-30 1997-06-10 Mita Ind Co Ltd 画像形成装置の転写装置
KR100247989B1 (ko) * 1997-08-27 2000-03-15 윤종용 습식전자사진방식프린터의감광벨트크리닝장치
KR100313874B1 (ko) * 1998-12-17 2002-04-17 윤종용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유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3537B1 (ko) 2004-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97856B2 (ja) 画像形成装置
CN101226351A (zh) 成像装置及其控制方法
KR19990069625A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전사 롤러 클리닝장치
CN1996161A (zh) 成像方法和使用该方法的成像装置
KR200168977Y1 (ko) 화상형성장치
KR100433537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전사벨트 클리닝 장치
KR100429809B1 (ko) 중간 전사매체의 비화상영역의 오염제거장치를 구비한전자 사진방식 인쇄기 및 그 방법
KR100425321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전사벨트 클리닝 장치
JP3644471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335427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프린터의전사롤러크리닝장치
KR200259771Y1 (ko) 습식전자사진방식프린터의액체캐리어제거장치
JP3485902B2 (ja) カラー画像記録装置
JP2000221800A (ja) 画像形成装置
JPH0784430A (ja) カラー電子写真装置
JP4371203B2 (ja) 画像形成装置
JP3748074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304611B1 (ko) 화상형성장치의감광매체클리닝장치
JP3592437B2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4371204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275687B1 (ko) 화상형성장치의 감광 매체 크리닝 방법
JP2004317994A (ja) 画像形成装置
KR100261094B1 (ko) 인쇄기의 전사롤러 언저리 오염 방지장치
JP2005070584A (ja) 画像形成装置
JP2005266448A (ja) 画像形成装置
JPH08202129A (ja) 電子写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