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6373A - 가전제품용 센서와 가전제품용 센서의 하우징 - Google Patents

가전제품용 센서와 가전제품용 센서의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6373A
KR20030066373A KR10-2003-0005887A KR20030005887A KR20030066373A KR 20030066373 A KR20030066373 A KR 20030066373A KR 20030005887 A KR20030005887 A KR 20030005887A KR 20030066373 A KR20030066373 A KR 20030066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home appliances
sensor
finger
sens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5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7071B1 (ko
Inventor
셴클요한
Original Assignee
엘렉트로마누팍투어 창엔스타인 하나우어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아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렉트로마누팍투어 창엔스타인 하나우어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아아 filed Critical 엘렉트로마누팍투어 창엔스타인 하나우어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아아
Publication of KR20030066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6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7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70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K13/02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mperature of moving fluids or granular materials capable of fl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87Temperature measuring or regul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97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the condition of the washing water, e.g. turb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2Condition of the washing liquid, e.g. turbid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7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 G01N21/49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within a body or fluid
    • G01N21/53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within a body or fluid within a flowing fluid, e.g. smoke
    • G01N21/534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within a body or fluid within a flowing fluid, e.g. smoke by measuring transmission alone, i.e. determining opac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6Washing liquid 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0Washing liquid condition, e.g. turbid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2207/00Application of thermometers in household applian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세탁기와 식기세척기 등의 가전전품용 센서는, 기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하우징 핑거(8, 10)를 포함하는 하우징(2)과; 제 1 하우징 핑거(8)내에 배치되는 제 1 광소자(12)와; 제 2 하우징 핑거(10)내에 배치되는 제 2 광소자(14)로서, 광소자(12, 14)에 의해 전달 및 수신되는 측정 빔이 하우징(2)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세척 매체의 혼탁도를 측정하기 위해 하우징(2) 외부에서 하우징 핑거(8, 10) 사이에 전파되는, 제 2 광소자와; 세척 매체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제 2 하우징 핑거(10)내에 제 2 광소자(14)에 비해 기부로부터 먼 거리에 배치되는 온도 센서(18)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전제품용 센서와 가전제품용 센서의 하우징{TURBIDITY SENSOR WITH TEMPERATURE SENSING FOR HOUSEHOLD APPLIANCE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세척 매체(cleaning media)를 사용하는 가전제품용 센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예컨대 세탁기(washing machine)와 식기세척기(dishwasher)에 사용된 세척 매체의 혼탁도(turbidity)와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 또는 식기세척기의 효율의 기본적 특징은, 기본적으로 세척될 제품의 오염 수준에 따라서 에너지와 물의 소비를 낮추는 것이다. 세척될 제품의 오염 수준은 직접적으로 거의 판정될 수 없거나 전혀 판정될 수 없기 때문에, 세척될 제품의 오염 수준을 세척 매체의 혼탁도 또는 오염도에 의해 간접적으로 판정하는 소위 혼탁도 센서(turbidity sensor)를 채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세척 매체를 통과하여 전파되는 감지 빔을 사용하는 혼탁도 센서에 의해, 세척 매체, 예컨대 세척수 또는 세탁수의 혼탁도와 오염도가 각각 판정된다. 판정된 세척 매체의 혼탁도 또는 오염도(dirtying)에 근거하여, 세척될 제품의 현재의 오염 수준이 판정되고 그에 따라 세탁기 또는 식기세척기의 운전이 조절되어 에너지와 물의 소비가 최소로 되는 능률적인 세척이 달성된다.
또한, 세척 매체의 온도, 특히 소정 온도에 상응하는 온도 또는 소정 온도 코스에 상응하는 소정 온도 코스가 세척될 물건으로부터 오염 입자를 제거하는 것을 결정하기 때문에, 세탁기 또는 식기세척기에 의한 세척 효율은 세척 매체의 온도에 좌우된다.
이것을 위해, 각각의 기계의 세탁 또는 세척 영역내에 배치되어 세척 매체의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가 채용된다. 또한, 온도 센서 쉘(shell)은, 예컨대 세탁시 너무 높은 온도에 의해 직물 조각이 손상되지 않도록 세척 매체의 온도가 세척될 제품에 대하여 주어진 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보장한다.
일반적으로, 세탁기 또는 식기세척기에는 가전제품내의 상이한 위치에서 세척 매체의 각각의 측정을 수행하는 별도의 요소로서 구현된 혼탁도 센서와 온도 센서가 설치된다. 이로 인해, 특히 혼탁도 센서에 의해 판정된 혼탁도값과 온도 센서에 의해 판정된 온도값이 기계의 운전을 최적화하도록 조합되는 경우에는, 비능률적인 운전이 초래될 수 있다.
또한, 세탁기 또는 식기세척기의 세척 매체의 혼탁도와 온도를 판정하는 공지된 센서는 기계내의 각각의 영역을 점유하는 큰 크기를 갖는다. 더욱이, 큰 크기를 갖는 이러한 센서는, 센서의 크기 때문에 센서가 위치하는 기계내의 영역내에서 실제의 세척이 수행되는 영역에 비해 상이한 세척 매체의 정적 및 동적 상태가 초래되는 경우에는, 측정 결과를 왜곡시킬 수 있다.
이러한 조합된 센서의 또 다른 문제는, 센서 자체로부터의 발열에 의해 온도 표시용 요소들이 종종 왜곡되며 또한/또는 세척 매체의 온도 변화가 센서내의 구조 때문에 너무 느리게 판정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지된 해결책의 상기 언급된 결점을 극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세척 매체의 혼탁도와 온도 양자를 신속하고 신뢰성 있게 판정하고, 크기가 작고 가전제품내에 간단한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는, 세탁기 또는 식기세척기와 같은 가전제품용 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부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하우징 핑거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청구항 1에 따른 센서에 의해 해결된다. 양 하우징 핑거, 즉 제 1 하우징 핑거와 제 2 하우징 핑거는 세탁기 또는 식기세척기내에 설치된 센서의 경우 세척 매체내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제 1 하우징 핑거에 제 1 광소자가 배치되며, 제 2 하우징 핑거에 제 2 광소자가 배치된다.
세척 매체의 혼탁도 또는 오염도의 측정을 위해, 광소자 사이에서 한 쪽의 하우징 핑거로부터 다른 쪽의 하우징 핑거로 세척 매체를 통과하여 전파되는 감지 빔이 채용된다. 세척 매체를 통과하는 그 전파 경로상의 감지 빔의 상호작용이 세척 매체의 혼탁도 또는 오염도를 추론하는데 채용된다.
또한, 제 2 하우징 핑거내에, 세척 매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는 온도 센서와 기부 사이의 거리가 제 2 광소자와 기부 사이의 거리보다 크도록 배치된다.
이 방식에 의해, 온도 센서가 배치되는 제 2 하중 핑거의 부분이 제 2 광소자를 포함하는 제 2 하우징 핑거의 부분에 비해 세척 매체내로 더 연장되고 있다. 이것이 세척 매체의 온도를 보다 신속하고 보다 신뢰성 있게 감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그 이유는, 예컨대 온도 센서를 둘러싸는 부분 또는 센서의 발열부에 의한 온도 센서 자체의 가열이 회피되기 때문이다.
하우징 핑거는 그 종축이 소정 각도를 갖도록 설계될 수 있는데, 하우징 핑거의 자유단 사이의 거리가 기부에 연결되는 하우징 핑거의 부분간의 거리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 핑거는 기부로부터 V자형으로 연장되고, 보다 긴 측정 경로가 얻어지며, 심지어 제 1 및 제 2 광소자가 반대로 배치되는 경우에도 세척 매체의 혼탁도 또는 오염도의 보다 정확한 표시가 가능해진다.
보다 긴 측정 경로를 얻기 위해서, 광소자간 측정 경로가 하우징 핑거 사이에서 대각선으로 연장되도록 하우징 핑거의 종축에 대해서 변위된 방식으로 제 1 및 제 2 광소자를 배치하는 것이 또한 고려된다. 이러한 측정 경로의 연장은 제 1 및 제 2 하우징 핑거가 본질적으로 기부로부터 평행하게 연장되는 경우에 특히 적합하며, 그 이유는, 예컨대 2개의 하우징 핑거가 V자형으로 배치되는 것과는 달리, 하우징 핑거 사이에 본질적으로 일정한 거리가 주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제 1 및 제 2 광소자가 감지 빔에 대한 직선의 전파 경로와 일치하는 축선상에 놓이도록 제 1 및 제 2 광소자를 서로에 대하여 배치하는 것이 고려된다. 변형예로서, 세척 매체를 통과하는 그 전파 경로에 대한 감지 빔의 특별한 상호작용(예컨대 산란 효과)을 표시하기 위해 제 1 및 제 2 광소자를 이러한 축선에 대하여 변위된 방식으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센서의 보다 콤팩트한 설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제 2 하우징 핑거가 다른 쪽의 제 1 하우징 핑거보다 길게 되도록, 제 1 및 제 2 하우징 핑거가 상이한 길이를 갖는 것이 고려된다.
제 1 광소자가 제 1 하우징 핑거의 단부에, 예컨대 기부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제 1 하우징 핑거의 부분에 배치되는 경우, 축소된 구조가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이한 길이의 하우징 핑거를 사용하는 경우, 온도 센서는 기부로부터 가능한 한 떨어져서, 예컨대 제 2 하우징 핑거의 단부에 배치되며, 제 2 광소자는 온도 센서와 기부 사이에 위치한다.
광소자에 의해 판정된 세척 매체의 혼탁도 또는 오염도가 실제의 혼탁도 또는 오염도를 표현하도록 하우징 핑거들의 상이한 길이가 세척시 하우징 핑거 사이에 위치되는 세척 매체의 균형을 조장한다. 이것은 기부의 각각의 구조와 가전제품내의 센서의 적절한 장착 위치에 의해 각각 뒷받침될 수 있다.
상이한 길이의 하우징 핑거의 또 다른 장점은 온도 센서가 센서의 구조를 본질적으로 확대하지 않고서 세척 매체내로 더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온도 센서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제 2 하우징 핑거의 단부를 충전시킬 수 있는 열전도성 페이스트(paste) 또는 겔(gel)로 둘러싸인다. 열전도성 페이스트는 하우징 외부의 세척 매체로부터 하우징을 거쳐, 보다 정확하게는 제 2 하우징 핑거의 재료를 거쳐, 온도 센서로의 향상된 열전달을 제공한다. 또한, 이 방식에 있어서, 온도 센서는 하우징내에 견고하게/고정적으로 제공되지 않고, 이에 의해 하우징과 온도 센서를 둘러싸는 재료의 상이한 온도 계수로 인한 문제점이 회피된다. 더욱이, 온도 센서를 둘러싸는 재료는 부서지지 않으며, 견고하게 주조된 물질에 비해 하우징에의 보다 양호한 부착을 제공한다.
열전도성 페이스트가 단지 제 2 하우징 핑거의 단부내로 주입되거나 충전되기만 하면 되므로, 온도 센서로의 열전달을 향상하기 위해 열전도성 페이스트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단순한 센서 구조가 가능하다.
또한, 제 2 하우징 핑거의 단부와 하우징에 의해 봉해지는 센서의 나머지 부분을 분리시키는 분리 수단이 채용될 수있다. 바람직하게는, 분리 수단은 제 2 하우징 핑거의 단부에 대하여 적어도 열전도성 페이스트에 대하여 밀봉하는 시일을 제공한다.
센서의 설치에 따라서, 예컨대 세탁기 또는 식기세척기내의 그 배향에 따라서, 분리 수단은 열전도성 페이스트가 제 2 하우징 핑거로부터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변형예로서, 분리 수단은 또한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제 2 하우징 핑거의 부분의 제 2 광소자를 포함하는 부분으로부터의 단열 또는 분리를 제공할 수 있다.
하우징내에 광소자와 온도 센서를 배치하는 것에 대해서는, 이들 구성요소에 연결되는 지지체를 채용하는 것이 고려되며, 이 지지체는 센서의 조립을 위해 하우징 내로 도입되고 하우징내에, 예컨대 클램프, 스냅 및/또는 접착제 연결에 의해 장착된다. 또한, 지지체는 하우징내의 광소자 및/또는 온도 센서의 각각의 위치와 배향을 제공할 수 있다.
유리한 방식에 있어서, 분리 수단은 지지체에 의해, 예컨대 지지체상에 형성되고 보다 긴 제 2 하우징 핑거의 단부를 밀봉하는, 리드(lid)에 상당하는, 편평한 구조체에 의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센서의 전기 부품들이 사전 제조 방식으로 센서내에배치될 수 있도록 광소자와 온도 센서를 회로 기판과 연결하는 것이 고려된다.
광소자와 온도 센서에 대한 지지체는 회로 기판과 연결될 수 있거나 일체로 합체될 수 있다. 또한, 지지체의 기능이 회로 기판 자체에 의해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후자의 경우는 또한 예컨대 본질적으로 실체의 회로 기판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표면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분리 수단에 적용된다.
바람직하게는, 회로 기판은 센서를 세탁기 또는 식기세척기에 간단한 방식으로 작동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는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한다.
하우징에 의해 봉해진 공간은 리드에 의해, 예컨대 바람직하지 않은 물질(예컨대, 표류하는 세척 매체와 오물)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밀봉될 수 있다. 또한, 리드는 회로 기판의 플러그 커넥터가 리드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리드는 외부로 연장되는 플러그 커넥터의 일부를 둘러싸는, 플러그 하우징에 상당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방식에 있어서, 리드는 세탁기 또는 식기세척기에의 형상적합 연결부(form fit connection)로서 작용할 수 있으며, 리드의 각각의 부분에 대하여 고려된 구조체가 센서를 세탁기 또는 식기세척기에 연결하기 위한 코드 및/또는 스냅 또는 클릭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센서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센서2 : 하우징
4 : 개방 단부6 : 기부
8, 10 : 하우징 핑거12, 14 : 광소자
16 : 감지 빔18 : 온도 센서
20 : 열전도 페이스트22 : 회로 기판
24 : 플러그 커넥터26 : 지지체
28 : 리드30 : 하우징 리드
32 : 벽34, 36 : 반투명부
도 1 및 도 2는 세척 매체(cleaning medium), 예컨대 물, 세척액, 증기 등과 그 조합물의 혼탁도 및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가전제품, 특히 세탁기(washingmachine)와 식기세척기(dishwasher)용 센서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센서(1)는 기부(6)에 의해 둘러싸인 개구(4)를 구비한 하우징(2)을 포함한다. 또한, 하우징(2)은 기부로부터 연장되고, 핑거에 상당하는 2개의 단부(8, 10)를 포함한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기에 단순히 핑거로서 지칭되는 하우징(2)의 이들 단부(8, 10)는 하기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향상된 온도 감지가 가능하도록 상이한 길이를 갖는다.
혼탁도를 감지하기 위해, 광소자(12, 14)가 하우징(2)내에, 각 핑거(8, 10)내에 서로 대향하게 배치된다. 세척 매체가 핑거(8, 10) 사이에[예컨대, 하우징(2) 외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광소자(12, 14) 사이에서 전파되는 감지 빔의 상호작용이 세척 매체의 혼탁도 또는 오염도를 판정하기 위해 채용된다. 예컨대 오물 입자, 현탁된 물질, 직물 잔류물 등에 의한 세척 매체의 혼탁도 및 오염도 등을 지시하는, 세척 매체에 대하여 감지될 파라미터에 따라서, 감지 빔(16)은 광학 및/또는 음향 감지 빔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한편으로는 오물 입자에 의한 다른 한편으로는 거품의 형성에 의한 세척 매체의 혼탁도/오염도를 개별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상이한 혼탁도/오염도를 도출하는 효과에 상응하는 파라미터가 발생되도록, 광학 감지 빔의 주파수를 바람직하게는 교호적 방식으로 변화시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감지 빔(16)의 발생에 대해서, 광소자(12, 14)는 송신기(sender)와 수신기(receiver)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소자(12, 14) 중의 하나가 일체로 합체된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의 광소자는 전달된 광선을 다른 광소자에 돌려보내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고려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광소자(12)는 송신기로서 작용하고 광소자(14)는 수신기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세탁기 또는 식기세척기내에 센서(1)를 배치한 경우 세척 매체내로 더 연장되는 보다 긴 핑거(10)내에 온도 센서(18)가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온도 센서(18)는 핑거(10)의 외측 단부에, 즉 기부(6)의 반대쪽 단부내에 배치된다. 핑거(10)가 세척 매체내로 더 연장하기 때문에, 세척 매체의 온도 변화에 대한 온도 센서(18)의 응답 시간이 향상된다. 또한, 온도 센서(18)가 센서(1)의 나머지 구성요소들로부터 멀리 위치하고, 따라서 센서(1)내의 열 발생 및/또는 열 변화가 온도 측정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거나 전혀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온도 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온도 센서(18)가 위치하는 핑거(10)의 단부는, 온도 센서 상세하게는 그 온도 감지 구성요소가 열전도성 페이스트(paste)(20)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열전도성 페이스트 또는 겔(gel)(20)로 충전된다. 열전도성 페이스트(20)는 온도 센서(18)와 온도 센서를 둘러싸는 핑거(10)와의 열 접촉을 증가시키고, 이에 의해 온도 센서(18)와 세척 매체와의 열 접촉을 또한 증가시킨다. 변형예로서, 온도 센서(18)는 온도 센서(18)와 그 온도 감지 구성요소가 각각 핑거(10)에 직접 접촉하도록 핑거(10)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 조작 및 에너지 공급을 위해, 광소자(12, 14)와 온도 센서(18)는 전선(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로 기판(22)과 접속되어 있다. 회로 기판(22)은,핑거(8, 10)의 반대측에 있는 그 단부상에 개구(4)를 통해 연장되는 플러그 커넥터(24)를 포함한다.
광소자(12, 14)와 온도 센서(18)의 지지를 위해서, 회로 기판(22)에 장착되고, 또한 회로 기판(22)과 광소자(12, 14)와 온도 센서(18)를 하우징(2)내에 각각 배열하도록 기능하는 지지체(26)가 제공된다. 특히, 지지체(26)는 핑거(10)의 단부를 밀봉하고 본질적으로 회로 기판(22)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표면(28)을 포함하며, 온도 센서(18)는 리드(lid)에 상당하는 방식으로 위치한다. 이러한 핑거(10) 단부의 접합이 온도 센서(18)와 센서(1)의 나머지 부분과의, 특히 회로 기판(22)에 결합된 발열 부재와의 단열을 제공한다. 또한, 하기에 리드로서 지칭되는 표면(28)은 열전도성 페이스트(20)(사용된 경우)가 핑거(10)의 단부로부터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회로 기판(22)의 구조에 따라서, 지지체의 기능이 회로 기판(22)에 의해 제공되는 경우 지지체(26)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세하게는, 이 경우, 회로 기판(22)은 핑거(10)의 단부를 하우징(2)에 의해 봉해지는 센서(1)의 나머지 부분과 분리시키고, 필요한 경우, 단부를 밀봉 방식으로 폐쇄하는, 리드(28)에 상당하는(열적으로 유리한 방식임), 구조체 또는 표면을 포함한다. 또한, 리드(28)는 회로 기판(22)상에 배치되는 각자의 형상을 갖는 전기 또는 전자 부재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하우징(2)의 개방 단부(4)는 본질적으로 하우징 리드(30)로 밀봉된다. 하우징 리드(30)는 센서(1)를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클릭(click) 및/또는스냅(snap) 연결에 의해 하우징(2)에 연결될 수 있다. 센서(1)의 내부로, 특히 하우징 리드(30)가 하우징(2)에 접촉하는 부분내로 세척 매체가 침투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특히 하우징 리드(30)와 하우징(2)의 결합이 자체적으로 센서(1)의 적합한 밀봉을 확보하지 않는 경우에, 밀봉 요소(도시되지 않음)가 채용될 수 있다.
하우징 리드(30)는 회로 기판(22)의 플러그 커넥터(24)가 연장되고, 밀봉이 또한 실행될 수 있는 개구(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또한, 하우징 리드(30)는, 세탁기 또는 식기세척기와 같은 가전제품의 상응하는 구조체 및/또는 구성요소로의 안내 및 연결부로서 기능하는 플러그 커넥터(24)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벽(32)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벽(32)은 플러그 커넥터(24)를 상응하는 전기 부품에 접속시키기 위해 가전제품의 내부에 상응하게 형성된 개구 또는 리세스내로 센서(1)를 삽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채용된 광소자(12, 14)에 의하면, 특히 채용된 감지 빔(16)에 의하면, 하우징(2)은 적어도 광소자(12, 14)가 배치되는 부분에 감지 빔(16)에 대한 반투명부가 형성되는 것이 고려된다. 이 방식에 있어서,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은 감지 빔(16)이 광학 감지 빔인 경우 반투명부 또는 윈도우(34)를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2) 전체가 측정 빔(16)에 대해, 예컨대 퍼스펙스(Perspex)와 같은 반투명 재료로 제조되는 경우, 단순화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은, 적어도 온도 센서(18)가 배치되는 핑거(10)의 수용 단부내에 내부에 위치한 온도 센서(18)에 의한 하우징(2) 외부의 세척 매체의 온도의신속하고 정확한 감지를 가능하게 하는 열 특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 고려된다. 유리한 방식으로서, 하우징(2)은 감지 빔(16)에 대해 반투명하고 온도 센서(18)로의 최적의 열전달을 제공하는 재료로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전제품용 센서는, 세탁기와 식기세척기등에 사용되는 세척 매체의 혼탁도와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세척 매체의 혼탁도와 온도 양자를 신속하고 신뢰성 있게 판정하고, 크기가 작으며 가전제품내에 간단한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Claims (32)

  1. 세탁기와 식기세척기 등의 가전전품용 센서에 있어서,
    기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하우징 핑거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제 1 하우징 핑거내에 배치되는 제 1 광소자와,
    상기 제 2 하우징 핑거내에 배치되는 제 2 광소자로서, 상기 광소자들에 의해 전달 및 수신되는 측정 빔이 상기 하우징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세척 매체의 혼탁도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외부에서 상기 하우징 핑거 사이에서 전파되는, 상기 제 2 광소자와,
    상기 세척 매체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제 2 하우징 핑거내에 상기 제 2 광소자에 비해 상기 기부로부터 먼 거리에 배치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용 센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 핑거는 본질적으로 서로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는
    가전제품용 센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 핑거는 상기 제 2 하우징 핑거보다 짧은
    가전제품용 센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소자는 상기 제 1 하우징 핑거의 단부내에 배치되는
    가전제품용 센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광소자는 상기 제 1 광소자에 대향하게 상기 제 2 하우징 핑거내에서 상기 온도 센서와 기부 사이의 부분에 배치되는
    가전 제품용 센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센서(18)는, 상기 온도 센서(18)를 포함하는 상기 제 2 하우징 핑거의 부분을 본질적으로 완전히 충전하는 열전도성 페이스트(20) 또는 겔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가전제품용 센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센서(18)를 포함하는 상기 제 2 하우징 핑거(10)의 부분은 분리 수단(28)에 의해 상기 하우징(2)에 의해 봉해지는 나머지 부분과 분리되어 있는
    가전제품용 센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수단(28)이 상기 온도 센서(18)를 포함하는 상기 제 2 하우징 핑거(10)의 부분을 밀봉 방식으로 폐쇄하는
    가전제품용 센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소자(12, 14)와 상기 온도 센서(18)는 지지체(26)에 의해 상기 하우징(2)내에 배치되는
    가전제품용 센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수단(28)은 본질적으로 상기 지지체(26)의 평면 구조체인
    가전제품용 센서.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소자(12, 14)와 상기 온도 센서(18)는 도전 방식으로 상기 하우징(2)내에 배치된 회로 기판에 접속되어 있는
    가전제품용 센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수단(28)은 본질적으로 상기 회로 기판(22)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평면 구조체인
    가전제품용 센서.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수단(28)은 회로 기판(22) 또는 그 상에 배치된 부재에 의해 제공되는
    가전제품용 센서.
  14.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26)는 상기 회로 기판(22)에 접속되어 있는
    가전제품용 센서.
  15. 제 1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22)은 가전제품에의 전기적 접속을 위해 상기 하우징(2)으로부터 연장되는 플러그 커넥터(24)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용 센서.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은 상기 하우징 핑거(8, 10)의 반대측에 있는 하우징 리드(30)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2)과 상기 하우징 리드(30)가 센서 내부를 형성하는
    가전제품용 센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24) 또는 상기 회로 기판(22)은 상기 하우징 리드(30)를 통해 상기 센서 내부로부터 연장되는
    가전제품용 센서.
  18. 세탁기와 식기세척기 등의 가전전품용 센서의 하우징에 있어서,
    기부(6)와,
    제 1 광소자(12)를 수용하고 상기 기부(6)로부터 연장되는 제 1 광학 하우징 핑거(8)와,
    제 2 광소자(14)를 수용하고 상기 기부(6)로부터 연장되는 제 2 광학 하우징 핑거(10)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광소자(12, 14)는 상기 제 1 및 제 2 광소자(12, 14) 사이에서 전파되는 측정 빔(16)에 의해 상기 하우징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세척 매체의 혼탁도를 측정하기 위해 제공되고, 상기 제 2 광학 하우징 핑거는 상기 세척 매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18)를 수용하는, 상기 제 2 광학 하우징 핑거를 포함하며,
    상기 온도 센서(18)를 수용하기 위해 제공된 상기 제 2 하우징 핑거(8)의 부분은 상기 기부(6)로부터 상기 제 2 광소자(14)를 수용하기 위해 제공된 제 2 하우징 핑거(8)의 부분보다 먼 거리에 위치하는
    가전제품용 센서의 하우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 핑거(8, 10)는 본질적으로 서로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는
    가전제품용 센서의 하우징.
  20.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 핑거(8)는 상기 제 2 하우징 핑거(10)보다 짧은
    가전제품용 센서의 하우징.
  21. 제 18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소자(12)를 배치하기 위해 제공된 부분은 상기 제 1 하우징 핑거(8)의 단부에 위치하는
    가전제품용 센서의 하우징.
  22. 제 18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광소자(10)를 배치하기 위해 제공된 상기 제 2 하우징 핑거(10) 부분은, 상기 제 1 광소자(12)를 배치하기 위해 제공된 제 1 하우징 핑거(8) 부분에 대향하게 상기 기부(6)와 상기 온도 센서(18)를 배치하기 위해 제공된 상기 제 2 하우징 핑거(10)의 부분 사이의 부분에 위치하는
    가전제품용 센서의 하우징.
  23. 제 18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리 수단(28)이 상기 온도 센서(18)를 배치하기 위해 제공된 상기 제 2 하우징 핑거(10)의 부분을 상기 하우징에 의해 봉해지는 나머지 부분과 분리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가전제품용 센서의 하우징.
  24. 제 18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내에 배치되는 지지체(26)는 상기 광소자(12, 14) 및/또는 상기 온도 센서(18)를 배치하기 위해 제공되는
    가전제품용 센서의 하우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수단(28)은 본질적으로 상기 지지체(26)의 평면 구조체인
    가전제품용 센서의 하우징.
  26. 제 18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내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22)이 상기 광소자(12, 14) 및/또는 상기 온도 센서(18)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가전제품용 센서의 하우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수단(28)은 본질적으로 상기 회로 기판(22)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평면 구조체인
    가전제품용 센서의 하우징.
  28. 제 26 항 또는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수단(28)은 상기 회로 기판(22) 또는 그 위에 배치된 부재에 의해 제공되는
    가전제품용 센서의 하우징.
  29. 제 26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26)가 상기 회로 기판(22)에 접속하기 위해 제공되는
    가전제품용 센서의 하우징.
  30. 제 26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22)은 가전제품의 전기적 접속을 위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는 플러그 커넥터(24)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용 센서의 하우징.
  31. 제 18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핑거(8, 10)와 반대측에 배치되는 하우징 리드(30)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리드(30)가 센서 내부를 형성하는
    가전제품용 센서의 하우징.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22)의 플러그 커넥터(24)는 상기 센서 내부로부터 상기 하우징 리드(30)를 통해 연장되는
    가전제품용 센서의 하우징.
KR1020030005887A 2002-01-31 2003-01-29 가전제품용 센서와 가전제품용 센서를 위한 하우징 KR1009370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2001933A EP1335060B1 (de) 2002-01-31 2002-01-31 Trübungssensor mit Temperaturerfassung für Haushaltsgeräte
EP02001933.7 2002-01-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6373A true KR20030066373A (ko) 2003-08-09
KR100937071B1 KR100937071B1 (ko) 2010-01-15

Family

ID=27589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5887A KR100937071B1 (ko) 2002-01-31 2003-01-29 가전제품용 센서와 가전제품용 센서를 위한 하우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771373B2 (ko)
EP (1) EP1335060B1 (ko)
KR (1) KR100937071B1 (ko)
DE (1) DE50210345D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7183A (ko) * 2009-03-06 2011-11-24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가전기기용 탁도 센서
US8817259B2 (en) 2011-03-25 2014-08-26 Parker-Hannifin Corporation Optical sensors for monitoring biopharmaceutical solutions in single-use container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42243B2 (en) * 2001-12-10 2005-01-11 Apprise Technologies, Inc. Turbidity sensor
WO2004101878A1 (de) * 2003-05-16 2004-11-25 Emz-Hanauer Gmbh & Co. Kgaa Vorrichtung für eine sensoreinheit zur erfassung optischer eigenschaften eines mediums
DE10358647B4 (de) * 2003-12-15 2005-10-13 Elektromanufaktur Zangenstein Hanauer Gmbh & Co. Kgaa Sensor zur Transmissionsmessung
ES1056475Y (es) * 2003-12-18 2004-07-16 Zertan Sa Sensor de turbidez perfeccionado.
EP1645857A1 (en) * 2004-10-06 2006-04-12 Whirlpool Corporation Sensor device for domestic appliances
EP1649797A1 (en) * 2004-10-20 2006-04-26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Dishwasher and corresponding method for operating it
EP1674837B1 (en) * 2004-12-23 2016-10-05 Candy S.p.A. Laundry dryer machine
ITTO20050856A1 (it) * 2005-12-06 2007-06-07 Eltek Spa Componente per elettrodomestico, in particolare per lavastoviglie, e pozzetto per elettrodomestico, in particolare per lavastoviglie, che lo utilizza
EP2004031B1 (de) * 2006-04-08 2016-09-07 Marquardt GmbH Sensor zur trübungs- und temperaturmessung
DE102006052892B4 (de) * 2006-11-09 2021-07-15 BSH Hausgeräte GmbH Trübungssensor
ES2345803B9 (es) * 2009-03-31 2011-11-07 Zertan, S.A. Sensor combinado para medir variables en medio liquido.
US20110094544A1 (en) * 2009-10-23 2011-04-28 Premark Feg L.L.C. Warewash machine with soil detection
US9329119B2 (en) 2010-12-02 2016-05-03 Nabtesco Corporation Speed reducer for industrial robot
JP5839436B2 (ja) * 2010-12-02 2016-01-06 ナブテスコ株式会社 光学センサ
CN102141514A (zh) * 2010-12-15 2011-08-03 杭州神林电子有限公司 家电设备用水电导和水浊度传感器
ITTO20101045A1 (it) 2010-12-23 2012-06-24 Indesit Co Spa Metodo per il rilevamento di un agente brillantante in un liquido di risciacquo di una macchina di lavaggio di uso domestico, in particolare una lavastoviglie, e relativa macchina di lavaggio.
CN102634960A (zh) * 2012-03-28 2012-08-15 海尔集团公司 洗衣机的传感装置和洗衣机及其控制方法
ITTO20120598A1 (it) 2012-07-06 2014-01-07 Illinois Tool Works Dispositivo di riscaldamento per elettrodomestici con sensore ottico di livello di liquido
US9140648B2 (en) * 2013-03-12 2015-09-22 Ecolab Usa Inc. Fluorometer with multiple detection channels
KR101981679B1 (ko) 2013-04-25 2019-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센싱 모듈
US10390675B2 (en) 2015-06-01 2019-08-27 Illinois Tool Works Inc. Warewash machine cleaning notification and in-situ dilution process
PL3314054T3 (pl) * 2015-06-29 2023-08-07 Bitron S.P.A. Urządzenie czujnikowe do optycznego wykrywania właściwości płynu
US9651534B1 (en) 2015-12-02 2017-05-16 Sani-Hawk Optical Solutions LLC Optical chemical test systems and methods
TWI567390B (zh) * 2016-02-16 2017-01-21 Solteam Opto Inc Can be automated production of water quality sensor
CN107692944A (zh) * 2016-08-08 2018-02-16 迪尔阿扣基金两合公司 传感器装置和设有该传感器装置的用于洗涤的电器
PL3712317T3 (pl) 2019-03-21 2022-04-04 Tp Reflex Group S.P.A. Czujnik zmętnienia do urządzenia do mycia, w szczególności do użytku domowego, i powiązane urządzenie do mycia obejmujące wspomniany czujnik
US20210108967A1 (en) 2019-10-14 2021-04-15 Justin Thrash TempTech
DE102019007379A1 (de) * 2019-10-23 2021-04-29 Emz-Hanauer Gmbh & Co. Kgaa Sensor zum Einbau in ein elektrisches Haushaltsgerät
DE102020121000B4 (de) 2020-08-10 2024-03-14 Emz-Hanauer Gmbh & Co. Kgaa Sensor für den Einbau in ein elektrisches Haushaltsgerät
US11187586B2 (en) 2020-08-17 2021-11-30 SoCal Dab Tools, LLC Temperature sensing system
DE102021123022A1 (de) 2020-09-11 2022-03-17 Emz-Hanauer Gmbh & Co. Kgaa Elektrisches Haushaltsgerät mit Sensoranordnung für optische Trübungsmessungen
DE202020005563U1 (de) 2020-10-05 2021-09-14 Marquardt Gmbh Messvorrichtung zur Messung wenigstens einer Messgröße eines Fluids sowie Verwendung einer Gehäuse-in-Gehäuse-Anordnung
EP4323752A1 (en) 2021-04-12 2024-02-21 Illinois Tool Works Inc. A sensor assembly for sensing the turbidity of a cleaning medium in a cleaning applianc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23922B2 (en) * 1978-04-28 1982-08-19 Tokyo Shibaura Electric Company Ltd. Apparatus for measuring the degree of rinsing
JPS5716110Y2 (ko) 1978-10-12 1982-04-05
US4463572A (en) * 1982-11-19 1984-08-07 Glacier Products, Inc. Soft ice cream machine
DE3819026A1 (de) * 1988-06-03 1989-12-14 Pfaudler Werke Ag Sondenanordnung
US5331177A (en) * 1993-04-26 1994-07-19 Honeywell Inc. Turbidity sensor with analog to digital conversion capability
US5446531A (en) * 1994-05-20 1995-08-29 Honeywell Inc. Sensor platform for use in machines for washing articles
DE19521326A1 (de) 1995-06-12 1996-12-19 Bosch Siemens Hausgeraete Verfahren zur Temperaturkompensation der Meßwerte eines Trübungssensors in einer automatischen Wasch- oder Geschirrspülmaschine
US5596408A (en) * 1996-05-07 1997-01-21 Honeywell Inc. Turbidity sensor with replaceable covers
US5923433A (en) * 1997-10-28 1999-07-13 Honeywell Inc. Overmolded flowthrough turbidity sensor
DE19806559B4 (de) * 1998-02-17 2015-10-29 BSH Hausgerät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handlung von Geschirr in Spülmaschinen
DE19831688C1 (de) 1998-07-15 2000-04-06 Whirlpool Co Optischer Sensor
US6118914A (en) * 1998-07-20 2000-09-12 Cidra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stable and precise optical reference signals
DE20022433U1 (de) * 2000-04-29 2001-09-06 Whirlpool Co Sensor zum Messen der Eigenschaften eines gasförmigen oder flüssigen Medium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7183A (ko) * 2009-03-06 2011-11-24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가전기기용 탁도 센서
US8817259B2 (en) 2011-03-25 2014-08-26 Parker-Hannifin Corporation Optical sensors for monitoring biopharmaceutical solutions in single-use containers
US9568420B2 (en) 2011-03-25 2017-02-14 Parker-Hannifin Corporation Optical sensors for monitoring biopharmaceutical solutions in single-use containers
US11506597B2 (en) 2011-03-25 2022-11-22 Parker Hannifin Corporation Optical sensors for monitoring biopharmaceutical solutions in single-use contain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35060B1 (de) 2007-06-20
DE50210345D1 (de) 2007-08-02
KR100937071B1 (ko) 2010-01-15
EP1335060A1 (de) 2003-08-13
US20030142316A1 (en) 2003-07-31
US6771373B2 (en) 2004-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7071B1 (ko) 가전제품용 센서와 가전제품용 센서를 위한 하우징
US7733097B2 (en) Method for determining a property of a fluid for a household device
KR102149310B1 (ko) 광학적 액체 수위 센서를 갖는 가전기기용 가열 장치
JP5021725B2 (ja) 導電率測定用のセンサ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US20090266442A1 (en) Device for determining a fill level of a liquid container of an appliance, particularly a domestic appliance, and fill level sensor and detector circuit therefor
RU2005130015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и/или контроля уровня среды в резервуаре
JP4676346B2 (ja) 超音波センサユニット
EP1245713A1 (en) Sensor to measure the properties of a gaseous or liquid medium
US20180249929A1 (en) Breath sensor
CN100389318C (zh) 供家用电器用的带温度检测的混浊度传感器
US9671338B1 (en) Water quality sensor for household appliance
ES2605361T3 (es) Sensor para la medición de turbiedad y temperatura
KR100748977B1 (ko) 드럼 세탁기
CN105177921A (zh) 用于洗衣机的传感器组件及洗衣机
JP2001038089A (ja) 洗濯機
EP2247228B1 (en) Multipurpose transducer for an appliance using water
CN217178918U (zh) 一种通用型水位温度感应装置
CN211270056U (zh) 一种电水壶
CN217464550U (zh) 一种烹饪设备及烹饪套组
CN210842761U (zh) 一种温度传感器封装结构及采用该结构的料理机
JP3131457B2 (ja) 洗濯機導電度センサ付洗濯機
EP1645857A1 (en) Sensor device for domestic appliances
CN211533983U (zh) 防溢结构、盖体组件和烹饪器具
US20210404857A1 (en) Sensor Assembly
CN220541169U (zh) 一种测温模块及吸油烟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