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6212A - 한약재를 이용한 무공해 항균 콩나물 및 그 재배방법 - Google Patents

한약재를 이용한 무공해 항균 콩나물 및 그 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6212A
KR20030066212A KR1020020006549A KR20020006549A KR20030066212A KR 20030066212 A KR20030066212 A KR 20030066212A KR 1020020006549 A KR1020020006549 A KR 1020020006549A KR 20020006549 A KR20020006549 A KR 20020006549A KR 20030066212 A KR20030066212 A KR 20030066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rs
water
sprouts
herbal medicine
dr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6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5759B1 (ko
Inventor
김이수
Original Assignee
김이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이수 filed Critical 김이수
Priority to KR10-2002-0006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5759B1/ko
Publication of KR20030066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6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5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57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약재를 이용한 무공해 항균 콩나물 및 그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물에 인동초, 백년초, 박하, 익모초, 산초, 감초, 황기, 구기자, 천궁, 당귀, 천문동, 인진쑥, 운지를 넣고, 강한 불에서 7∼8시간 동안 달여 한약재 약액을 추출하는 단계; 콩을 배수가 용이한 불림통에 넣고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살수장치 밑에 방치하고 살수장치로부터 4시간 단위로 15∼17℃의 암반수를 연속 4회 살포한 다음 약액과 암반수가 1:10∼15로 혼합된 20∼23℃의 혼합액을 2회 살포하여 원료콩의 수분함량이 약80%가 되도록 불린 후 응달에서 4시간 동안 자연건조 시키는 단계; 상기 자연건조 된 콩을 상기 약액에 넣어 1시간 동안 침지 시킨 후 2시간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건조시킨 콩을 다시 상기 약액에 넣어 1시간 동안 2차 침지시킨 후 3시간 동안 건조시켜 약액을 원료콩에 흡수시키는 단계; 상기 약액을 흡수시킨 원료콩을 분통하여 15∼17℃ 암반수로 2회 살수하고 연속하여 약액과 암반수가 1:5로 혼합되어 21∼23℃로 가열된 혼합액을 1회 뿌려주는 살수단계; 상기 살수단계를 4시간 단위로 6일 동안 반복하는 관수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렇게 제조된 항균 콩나물은 맛이 더욱 고소하고 담백함은 물론 유통과정에서 쉽게 썩지 않고 종래의 콩나물에 비하여 현저히 오랫동안 신선함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한약재를 이용한 무공해 항균 콩나물 및 그 재배방법{chemical-free and antibiotic bean-sprouts by herbal medicine and method of cultivating bean-sprouts thereby}
본 발명은 한약재를 이용한 무공해 항균 콩나물 및 그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항균, 살균 성분을 가지며 성질이 온화한 한약재를 달인 물을 이용하여 콩나물 재배시는 물론 유통과정에서도 쉽게 썩지 않으며 맛과 영양성분이 강화된 무공해 콩나물을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콩나물은 우리나라에서 오랫동안 재배·이용되어 온 고유의 채소식품으로서, 인체에 유익한 영양소를 많이 함유하며 콩에 물을 공급하는 식의 간단하고 용이한 재배법으로 어느 계절을 막론하고 널리 재배되고 이용되어 왔다.
콩나물을 대량으로 재배할 때에는 부패현상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는데 콩나물의 재배온도가 증가할수록 부패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콩나물의 재배과정에서 부패를 일으키는 균으로는 곰팡이류인 후사리움(Fusarium sp.)과 세균류인 프세우도모나스(Pseudomonas spp.) 등이 있는데, 이 균들은 콩나물의 분비물을 이용하여 급속히 증식하면서 여러 종류의 효소와유해한 부산물을 대량 분비하고 콩나물 조직을 분해하여 썩게 만드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부패를 일으키는 균들은 콩나물의 재배과정 중에 공기나 물을 통하여 오염되기도 하므로, 우수한 원료콩과 오염되지 않은 물을 사용하더라도 부패를 막는 근본적인 대책은 될 수 없다.
이러한 부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일부 몰지각한 생산자들이 콩나물에 농약, 화학성분의 방부제, 합성항생제, 식물생장호르몬 등 인체에 유해한 각종 물질을 처리하고 있어 국민 건강상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콩나물에 물만을 공급하여 재배하는 경우에는 콩나물의 줄기가 가늘게 자라고 성장이 더디며, 생육시 쉽게 썩어버리는 문제점과 더불어 조리 후에도 콩나물의 맛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항균, 살균 성분이 함유된 한약재를 달인 물을 이용하여 콩나물의 재배시는 물론 유통과정에서도 쉽게 썩지 않는 항균 콩나물 재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성장이 좋고 맛과 영양성분이 강화된 무공해 항균 콩나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한약재를 이용한 무공해 항균 콩나물 재배방법은 물에 인동초, 백년초, 박하, 익모초, 산초, 감초, 황기, 구기자, 천궁, 당귀, 천문동, 인진쑥, 운지를 넣고, 강한 불에서 7∼8시간 동안 가열하여 물의 부피가처음 부피의 반이 될 정도로 달여 한약재 약액을 추출하는 단계, 원료콩을 배수가 용이한 불림통에 넣고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살수장치 밑에 방치하여 살수장치로부터 4시간 단위로 15∼17℃의 암반수가 연속 4회 살포된 다음 약액과 암반수가 1:10∼15로 혼합된 20∼23℃의 혼합액이 2회 살포되어 원료콩의 수분함량이 약80%가 되도록 불린 후 응달에서 4시간 동안 자연건조 시키는 단계, 상기 자연건조 된 콩을 상기 한약재에서 추출된 약액에 넣어 1시간 동안 침지 시킨 후 2시간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건조시킨 콩을 다시 상기 약액에 넣어 1시간 동안 2차 침지시킨 후 3시간 동안 건조시켜 약액을 원료콩에 흡수시키는 단계, 상기 약액을 흡수시킨 원료콩을 분통(分桶)하여 15∼17℃ 암반수로 2회 살수하고 연속하여 약액과 암반수가 1:5로 혼합되어 21∼23℃로 가열된 혼합액을 1회 뿌려주는 살수단계, 상기 살수단계를 4시간 단위로 6일 동안 반복하는 관수단계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본 발명의 한약재를 이용한 무공해 항균 콩나물 재배방법에서 한약재 조성물은 물 20ℓ에 인동초 80∼120g, 백년초 100∼140g, 박하 80∼120g, 익모초 40∼60g, 산초 40∼60g, 감초 80∼120g, 황기 80∼120g, 구기자 40∼60g, 천궁 80∼120g, 당귀 80∼120g, 천문동 80∼120g, 인진쑥 40∼60g, 운지 25∼35g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한약재로는 독성이 없고 성질이 온화하여 어린이와 노인이 섭취하여도 무난한 인동초, 백년초, 박하, 익모초, 산초, 감초, 황기, 구기자, 천궁, 당귀, 천문동, 인진쑥, 운지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한약재는 다음과 같은 효능을 지닌다.
인동초(忍冬草)는 인동과의 반상록 덩굴식물의 잎과 줄기로서, 꽃봉오리를 금은화라고 하며 종기·매독·임질·치질 등에 사용한다. 또, 해독작용이 강하고 이뇨와 미용작용이 있다고 하여 차나 술을 만들기도 한다. 인동초에서 추출된 성분은 콩나물 재배시 항균작용을 한다.
백년초(百年草)는 손바닥선인장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무기질, 아미노산, 비타민 C, 식이섬유, 칼슘, 플라보노이드가 다량 함유되어 있고 습진·무좀·화상·열상·창상·각종 화농증에 대한 살균작용, 위염·십이지장궤양·위궤양에 대한 항궤양작용, 신경성 위장병에 대한 진통·진정작용 등에 약재로 쓰인다. 백년초에서 추출된 성분은 콩나물 재배시 살균작용 및 소독작용을 한다.
박하는 줄기와 잎을 구토, 소화, 타박상, 지사, 건위, 발한, 지혈, 비염, 진통, 풍열, 위경련, 산통, 치통, 소독, 편두통 등에 약재로 쓰며, 박하에서 추출된 성분은 콩나물 재배시 소독작용을 한다.
익모초(益母草)는 포기 전체를 말려서 산후의 지혈과 복통에 사용하며, 이 풀의 농축액을 익모초고(益母草膏)라고 하는데, 혈압강하·이뇨·진정·진통 작용이 있다고 한다. 익모초에서 추출된 성분은 콩나물 재배시 항균작용을 한다.
산초(山椒)는 초피나무의 열매로, 옛 문헌에 의하면 열매껍질을 화초, 청초라 하였고 씨를 초목이라 하여 따로 이용하였다. 열매껍질에는 정유가 2~4% 정도 들어있고 매운맛 성분으로 산솔1과 산솔2 가 5~8% 들어있다. 열매의 매운맛 성분은 살균작용이 있으며 구충효과도 있고 정유 성분은 살충효과가 있다. 동의 치료에서 열매는 방향성 건위약, 염증약, 위장염, 이뇨제 등으로 쓰이고 민간에서는 열매 달인 물을 류머티스, 신경통에 사용한다. 산초에서 추출된 성분은 콩나물 재배시 구충작용 및 살균작용을 한다.
감초(甘草)는 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草本)의 뿌리로서 기는 평(平)하며 달고 쓴맛이 적으며, 완해(緩解)·진해(鎭咳)·거담(去痰)·진통제에 쓰인다. 감초에서 추출된 성분은 콩나물 재배시 생성되는 독성 성분을 중화시키는 작용과 항균작용을 한다.
황기는 콩과에 속하는 다년초인 황기의 뿌리로서 노두(蘆頭)와 잔뿌리를 제거하고 햇빛에 말린 것을 사용한다. 성질은 미온하며, 강장·지한(止汗)·이뇨(利尿)·소종(消腫)·혈압강화·혈장확장 등의 효능이 있어 허약자·영양불량·자한(自汗)·도한·소변불통에 약재로 쓰인다. 특히 항균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황기에서 추출된 성분은 콩나물 재배시 항균작용을 한다.
구기자(枸杞子)는 구기자나무의 열매를 말린 것으로서 세안, 소염, 해열, 강장, 당뇨병, 치통 음양, 근골 등에 약재로 쓰인다. 구기자에서 추출된 성분은 콩나물 재배시 흡수되어 인체의 피를 맑게 하는 작용을 한다.
천궁(川芎)은 중국이 원산지인 약용 식물로 미나리과에 속하는 천궁의 뿌리를 말한다. 성질은 따뜻하고 맛이 시며, 진정·진통·강장에 효능이 있어 두통·빈혈증·부인병 등에 쓰인다. 천궁에서 추출된 성분은 콩나물 재배시 살균작용을 한다.
당귀(當歸)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승검초의 뿌리로서 성질은 온(溫)하고 맛은 달다. 진통·배농(排膿)·지혈·강장작용이 있으므로 빈혈·복통·종기·타박상 및부인병에 이용하고 있다. 당귀에서 추출된 성분은 콩나물 재배시 살균작용을 한다.
천문동(天門冬)은 연한 순을 식용하며 뿌리를 진해·이뇨·강장제로 사용한다. 천문동에서 추출된 성분은 콩나물 재배시 항균작용을 한다.
인진쑥은 그 어린 싹을 건조시켜 사용하는데, 특이한 향기가 있고 비타민A, B1, B2, C 그리고 칼슘, 철분 등이 많으며 이담작용에 유용한 성분인 호속향두정(蒿屬香豆精), 녹원산(綠原酸)과 카페인산이 함유되어 있다. 인진쑥에서 추출된 성분은 콩나물 재배시 미량원소를 공급하고 항균작용을 하며 살균효과가 있다.
운지(雲芝)는 항암 성분이 최초로 발견된 약용버섯으로 항암제로 이용되고 있다. 운지에서 추출된 성분 역시 콩나물 재배시 항균작용을 하며 살균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한약재를 이용한 무공해 항균 콩나물 재배방법에 쓰이는 한약재는 건조된 것을 사용하며 한약재의 양을 과다하게 많이 혼합시키면 재배된 콩나물에서 역한 맛과 냄새가 나고 재배비용 또한 높아지며, 너무 적은 양의 한약재를 혼합시키면 약효가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재배된 콩나물의 조화로운 향과 맛, 영양 및 생장 속도와 재배 비용 등을 고려하여, 한약재의 비율을 물 20ℓ에 인동초 80∼120g, 백년초 100∼140g, 박하 80∼120g, 익모초 40∼60g, 산초 40∼60g, 감초 80∼120g, 황기 80∼120g, 구기자 40∼60g, 천궁 80∼120g, 당귀 80∼120g, 천문동 80∼120g, 인진쑥 40∼60g, 운지 25∼35g으로 조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조성비율로 혼합된 한약재를 암반수에 넣고 강한불로 가열한다. 7∼8시간 동안 가열되면, 암반수가 처음 부피의 반으로 줄어들고 한약재로부터 유효한 성분이 추출된 약액이 제조된다.
우수한 콩나물 제품을 얻기 위해서는 우수한 원료콩과 오염되지 않은 풍부한 물을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수분 함량이 12%이하이며 직사광선이 들지 않고 통풍이 잘 되는 장소에 보관된 국내산 원료콩을 선택하며, 콩나물의 생육에 필수적인 요건인 물은 천연 암반수를 사용한다.
선택된 원료콩을 배수가 용이한 불림통에 넣고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살수장치 밑에 방치하여 살수장치로부터 4시간 단위로 15∼17℃의 암반수가 연속 4회 살포된 다음 약액과 암반수가 1:10∼15로 혼합된 20∼23℃의 혼합액이 2회 살포되어 원료콩이 발아되기에 충분할 정도로 불린다. 발아하는데 충분한 원료콩의 수분함량은 약 80%가 적당하며 불리는 시간은 24∼30시간이 적당하다. 암반수에 불려진 원료콩을 꺼내어 응달에서 4시간 동안 자연건조시킨다.
표면이 마를 정도로 자연건조 된 상기 원료콩을 상기 한약재에서 추출된 약액에 넣어 1시간 동안 1차 침지시켜 한약재로부터 추출된 유효성분이 흡수되게 한다. 그 다음, 1차 침지시킨 원료콩을 꺼내어 2시간 동안 건조시킴으로써 원료콩 내부에 흡수된 한약재의 유효성분은 그대로 남은 채 수분만 건조되게 한다.
상기 건조시킨 콩을 다시 약액에 넣어 1시간 동안 2차 침지시켜 한약재의 유효성분이 다시 흡수되게 한다. 그 후, 2차 침지시킨 원료콩을 꺼내어 3시간 동안 건조시켜 원료콩 내부에 흡수된 수분이 건조되게 한다.
상기 약액이 흡수된 원료콩을 적당한 양으로 분배하여 각각의 시루에 넣고 살수처리가 용이하도록 배치한다. 이와 같이 배치된 시루들은 상부에 설치된 살수장치로부터 15∼17℃ 암반수가 살수된다. 15∼17℃ 암반수가 연속하여 2회 살수된 다음 약액과 암반수가 1:5로 혼합되어 23℃로 가열된 혼합액이 1회 살수된다. 이때, 상기 암반수와 혼합액은 콩나물 시루들 위로 지나가도록 설치된 살수장치에 의해 순차적으로 살수된다.
상기 살수단계에서 암반수의 온도를 15∼17℃로 낮추어 뿌려주는 것은 세균의 활동을 억제시키고 콩나물의 생육시 호흡작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자체의 열을 냉각시켜주는 효과가 있으며 아울러 미생물에 의한 부패를 경감시키는 효과도 있다.
또, 약액과 암반수가 1:5로 혼합된 혼합액의 온도를 21∼23℃로 하여 뿌려주는 것은 낮은 온도로 살수하였을 때와 비교하여 약액의 성분이 원료콩에 더욱 잘 흡수되고 콩나물의 성장이 촉진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콩나물의 재배에 사용되는 물은 대개 17℃ 안팎의 지하수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 데 수온이 낮은 지하수를 그대로 사용할 경우 콩의 발아를 나쁘게 하며 재배온도와 재배수온의 온도차이로 말미암아 콩나물의 생육이 지연된다. 그러나 재배수온이 23℃이상 될 경우 부패가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주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한약재를 이용한 무공해 항균 콩나물 재배방법에서 상기 3차로 살수되는 혼합액은 여러 가지 한약재로부터 추출된 성분이 함유되어 부패를 일으키는 균을 증식하지 못하게 억제하는 항균 및 살균효과가 있다. 따라서, 23℃ 온도로 살수하여도 부패가 쉽게 발생하지 않으며 오히려 콩나물의 생육이 촉진된다.
상기와 같이 15∼17℃ 암반수가 2회 살수되고 연속하여 21∼23℃로 가열된약액과 암반수의 혼합액이 1회 살수된 다음 4시간 단위로 반복하여 암반수 1회와 혼합액 1회씩 반복하여 살수된다.
콩나물의 재배에 있어 또 하나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점은 잔뿌리의 발생과 줄기가 통통하지 못하다는 점인데, 이와 같은 문제는 콩나물에 물주는 간격과 시간을 조절하여 어느 정도 개선이 가능하다.
표 1은 물주는 방법(관수방법)을 달리하였을 때 콩나물의 줄기길이 비율(줄기길이/전체길이)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표 1에서의 관수방법은 3시간, 4시간, 5시간 간격으로 3회씩 살수한 것으로, 상기 3회라 함은 15℃ 암반수로 2회, 23℃ 혼합액으로 1회를 순차로 살수한 것을 말하며 각각의 살수 간격은 10분씩이다.
표 1에서와 같이 "4시간 간격 3회" 관수로 콩나물을 재배할 경우 콩나물의 줄기 비율이 64.7%까지 증가되어 콩나물의 상품성이 높아진다.
표 1. 관수방법에 따른 콩나물 줄기길이의 증가
관수방법 줄기길이 비율(%)
5일 6일
3시간 간격 3회 50.9 52.7
4시간 간격 3회 56.2 64.7
5시간 간격 3회 53.6 61.7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① 물 20ℓ에 인동초 100g, 백년초 120g, 박하 100g, 익모초 50g, 산초 50g, 감초 100g, 황기 100g, 구기자 50g, 천궁 100g, 당귀 100g, 천문동 100g, 인진쑥50g, 운지 30g을 넣고, 강한 불에서 8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물의 부피가 약 10ℓ가 될 때까지 달여 상기 한약재로부터 약액을 추출하였다.
② 세척단계만을 거친 발아 전단계의 원료콩을 배수가 용이한 불림통에 넣고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살수장치 밑에 방치하여 살수장치로부터 4시간 단위로 17℃의 암반수가 연속 4회 살포된 다음 약액과 암반수가 1:10으로 혼합된 21℃의 혼합액이 2회 살포되어 원료콩의 수분함량이 약80%가 되도록 불린 후 꺼내어 응달에서 4시간 동안 자연건조 시켰다.
③ 상기 자연건조 된 콩을 ①단계에서 준비된 한약재로부터 추출된 약액에 넣어 1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꺼내어, 2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④ 상기 1차 건조시킨 콩을 다시 ①단계에서 준비된 한약재로부터 추출된 약액에 넣어 1시간 동안 2차 침지시킨 후 꺼내어, 3시간 동안 건조시켜 약액을 원료콩에 충분히 흡수시켰다.
⑤ 상기 약액을 흡수시킨 원료콩을 적당한 양으로 분배하여 시루에 각각 넣고 살수처리가 용이하도록 배치하였다. 상기와 같이 배치된 시루들 위로 15℃ 암반수를 연속하여 2회 살수하고 연속하여 약액과 암반수가 1:5로 혼합되어 23℃로 가열된 혼합액을 1회 뿌려주었다.
이때, 살수장치는 상기 콩나물 시루들 위로 지나가도록 설치되어 살수장치가 콩나물 시루들을 지나가면서 순차적으로 암반수 2회, 혼합액 1회를 뿌려주게 하였다.
상기 살수단계에서 암반수의 온도를 15℃로 낮추어 뿌려줌으로써, 세균의 활동을 억제시키고 콩나물의 생육시 호흡작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자체의 열을 식혀주는 효과가 있었으며 아울러 미생물에 의한 부패를 경감시키는 기능도 있었다. 또, 약액과 암반수가 1:5로 혼합된 혼합액의 온도를 23℃로 하여 뿌려줌으로써, 낮은 온도로 살수하였을 때와 비교하여 약액의 성분이 원료콩에 더욱 잘 흡수되었으며, 콩나물의 성장이 촉진되는 효과가 있었다.
⑥ 상기 3회의 살수단계를 4시간 단위로 6일 동안 반복하였더니, 먹기 적당한 7∼9 cm 길이의 콩나물로 자랐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재배된 항균 콩나물은 한약재로부터 추출된 약액의 영향으로 줄기가 통통하고 진한 담황색을 띠었으며, 종래의 일반적인 방법으로 재배된 콩나물보다 약 2배정도 길게 신선함을 유지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한약재를 이용한 무공해 항균 콩나물 재배방법 및 그에 의해 재배된 항균 콩나물은 인체에 유효한 성분이 다량 포함되어 있으며 콩나물의 생장을 도울 수 있는 한약재 성분을 이용함으로써 종래의 방법으로 재배된 콩나물에 비해 맛이 더욱 고소하고 담백함은 물론 유통과정에서 쉽게 썩지 않고 종래의 콩나물에 비하여 현저히 오랫동안 신선함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물에 인동초, 백년초, 박하, 익모초, 산초, 감초, 황기, 구기자, 천궁, 당귀, 천문동, 인진쑥, 운지를 넣고, 강한 불에서 7∼8시간 동안 가열하여 물의 부피가 처음 부피의 반이 될 정도로 달여 한약재 약액을 추출하는 단계;
    원료콩을 배수가 용이한 불림통에 넣고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살수장치 밑에 방치하여 살수장치로부터 4시간 단위로 15∼17℃의 암반수가 연속 4회 살포된 다음 약액과 암반수가 1:10∼15로 혼합된 20∼23℃의 혼합액이 2회 살포되어 원료콩의 수분함량이 약80%가 되도록 불린 후 응달에서 4시간 동안 자연건조 시키는 단계;
    상기 자연건조 된 콩을 상기 한약재에서 추출된 약액에 넣어 1시간 동안 침지 시킨 후 2시간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건조시킨 콩을 다시 상기 약액에 넣어 1시간 동안 2차 침지시킨 후 3시간 동안 건조시켜 약액을 원료콩에 흡수시키는 단계;
    상기 약액을 흡수시킨 원료콩을 분통하여 15∼17℃ 암반수로 2회 살수하고 연속하여 약액과 암반수가 1:5로 혼합되어 21∼23℃로 가열된 혼합액을 1회 뿌려주는 살수단계;
    상기 살수단계를 4시간 단위로 6일 동안 반복하는 관수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재를 이용한 무공해 항균 콩나물 재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 조성물은 물 20ℓ에 인동초 80∼120g, 백년초100∼140g, 박하 80∼120g, 익모초 40∼60g, 산초 40∼60g, 감초 80∼120g, 황기 80∼120g, 구기자 40∼60g, 천궁 80∼120g, 당귀 80∼120g, 천문동 80∼120g, 인진쑥 40∼60g, 운지 25∼35g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재를 이용한 무공해 항균 콩나물 재배방법.
  3. 원료콩을 배수가 용이한 불림통에 넣고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살수장치로부터 4시간 단위로 15∼17℃의 암반수를 연속 4회 살포한 다음 약액과 암반수가 1:10∼15로 혼합된 20∼23℃의 혼합액을 2회 살포하여 원료콩의 수분함량이 약80%가 되도록 불린 후 응달에서 4시간 동안 자연건조 시켜서, 인동초, 백년초, 박하, 익모초, 산초, 감초, 황기, 구기자, 천궁, 당귀, 천문동, 인진쑥, 운지를 물에 넣고 강한 불에서 7∼8시간 동안 가열하여 물의 부피가 처음 부피의 반이 될 정도로 달여서 추출한 한약재 약액에 넣어, 1시간 동안 침지 시킨 후 2시간 건조시킨 다음, 상기 건조시킨 콩을 다시 상기 약액에 넣어 1시간 동안 2차 침지시킨 후 3시간 동안 건조시켜 약액을 원료콩에 흡수시키고, 상기 원료콩을 분통하여 15∼17℃ 암반수로 2회 살수하고 연속하여 약액과 암반수가 1:5로 혼합되어 21∼23℃로 가열된 혼합액을 1회 뿌려주는 것을 4시간 단위로 6일 동안 반복하여 재배된 무공해 항균 콩나물.
KR10-2002-0006549A 2002-02-05 2002-02-05 한약재를 이용한 무공해 항균 콩나물 및 그 재배방법 KR100415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549A KR100415759B1 (ko) 2002-02-05 2002-02-05 한약재를 이용한 무공해 항균 콩나물 및 그 재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549A KR100415759B1 (ko) 2002-02-05 2002-02-05 한약재를 이용한 무공해 항균 콩나물 및 그 재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6212A true KR20030066212A (ko) 2003-08-09
KR100415759B1 KR100415759B1 (ko) 2004-01-24

Family

ID=32220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6549A KR100415759B1 (ko) 2002-02-05 2002-02-05 한약재를 이용한 무공해 항균 콩나물 및 그 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575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91545A1 (en) * 2006-12-20 2009-08-26 Jung Sik Lee A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combined herb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liver disease
CN102150593A (zh) * 2011-03-29 2011-08-17 天津市农业生物技术研究中心 一种利用盐生植物枸杞在盐碱地上建植绿篱的方法
CN103638144A (zh) * 2013-12-23 2014-03-19 贵州凤泰禽业有限公司 一种治疗蛋鸡输卵管炎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KR101533306B1 (ko) * 2015-01-05 2015-07-03 김종대 칡과 구절초 성분을 함유하는 무농약 콩나물 재배 방법
KR102345044B1 (ko) * 2020-11-12 2021-12-29 김상덕 오메가-3와 아스파라긴산과 제니스테인이 다량 함유된 초록콩나물의 재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11363B (zh) * 2011-10-27 2013-09-18 甘肃易源生物制药有限公司 一种葫芦巴豆芽培植方法
CN103229715B (zh) * 2013-02-20 2016-07-06 张龙霏 金银花“忍冬三号”晚花品种选育方法
KR101641477B1 (ko) 2016-01-19 2016-07-20 이국진 홍삼 추출물을 이용한 커피나무의 재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8529A (ko) * 1996-01-24 1997-08-12 김준웅 약초 성분 콩나물 및 숙주나물 재배 방법
KR19990015959A (ko) * 1997-08-09 1999-03-05 최재옥 약초 추출액 사용 콩나물 재배방법
KR100235100B1 (ko) * 1997-09-06 1999-12-15 오기선 콩나물 재배용 콩불림액과 이를 이용한 콩나물 재배방법
KR19990064727A (ko) * 1999-05-04 1999-08-05 김영표 쑥즙, 어성초즙, 솔잎즙을 희석한 물을 재배수로 사용하여 무공해 한방 콩나물 및 숙주나물을 생산하는 방법
KR20010028368A (ko) * 1999-09-21 2001-04-06 황규헌 한약재를 이용한 약초콩나물 재배방법 및 그에 의해 재배된 약초콩나물
KR20000063227A (ko) * 2000-05-24 2000-11-06 이정훈 식초, 한약재, 흑태 및 항아리를 이용한 콩나물 재배방법
KR100393013B1 (ko) * 2000-05-24 2003-07-28 이정훈 식초와 한약재를 이용한 콩나물 재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91545A1 (en) * 2006-12-20 2009-08-26 Jung Sik Lee A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combined herb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liver disease
EP2091545A4 (en) * 2006-12-20 2010-06-09 Jung Sik Lee COMPOSITION COMPRISING A COMBINED HERBS EXTRACT USED TO PREVENT AND TREAT DISEASES OF HEPATITIS
CN102150593A (zh) * 2011-03-29 2011-08-17 天津市农业生物技术研究中心 一种利用盐生植物枸杞在盐碱地上建植绿篱的方法
CN103638144A (zh) * 2013-12-23 2014-03-19 贵州凤泰禽业有限公司 一种治疗蛋鸡输卵管炎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KR101533306B1 (ko) * 2015-01-05 2015-07-03 김종대 칡과 구절초 성분을 함유하는 무농약 콩나물 재배 방법
KR102345044B1 (ko) * 2020-11-12 2021-12-29 김상덕 오메가-3와 아스파라긴산과 제니스테인이 다량 함유된 초록콩나물의 재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5759B1 (ko) 2004-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Snafi Traditional uses of Iraqi medicinal plants (part 2)
CN1969636B (zh) 一种复方植物源农用杀菌剂及生产方法
Morton Folk uses and commercial exploitation of Aloe leaf pulp
Al-Qudah et al. Lemon as a source of functional and medicinal ingredient: A review
Sahu et al. Quisqualis indica Linn: A review of its medicinal properties
KR20110112231A (ko) 약용 잎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05918040A (zh) 一种茶树的种植方法
CN101427692A (zh) 植物农药及其制备方法
KR100415759B1 (ko) 한약재를 이용한 무공해 항균 콩나물 및 그 재배방법
KR100989944B1 (ko) 항산화 미백 활성을 갖는 생약 혼합 추출물
Setshogo A review of some medicinal and or hallucinogenic Solanaceous plants of Botswana: the genus Datura L
Das et al. Commercial cultivation of Aloe
CN117567206A (zh) 中草药农药肥料在防治蔬菜、茶叶病虫害中的应用
KR19990015959A (ko) 약초 추출액 사용 콩나물 재배방법
KR100768471B1 (ko) 솔방울과 솔순을 이용한 음료용 추출액의 제조 방법
CN106508572A (zh) 一种阳台种植无花果技术
CN106358901A (zh) 一种天柱剑毫茶叶的生态种植方法
CN105284963B (zh) 鸡皮果树专用植物杀菌剂及其生产方法
Kumar Cissus quadrangularis Linn: a useful Indian medicinal plant
KR100708552B1 (ko) 특정의 복합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조성물
KR20110091959A (ko) 암의 치료 개선효과를 갖는 무수 유산균발효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11684991A (zh) 一种艾草的种植方法
KR20010028368A (ko) 한약재를 이용한 약초콩나물 재배방법 및 그에 의해 재배된 약초콩나물
KR970019834A (ko) 오존수를 이용한 무공해 콩나물 및 숙주나물의 재배방법
CN109832104A (zh) 一种金线莲套种老油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0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