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5789A - 알에프 카드를 이용한 유료도로 요금징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알에프 카드를 이용한 유료도로 요금징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5789A
KR20030065789A KR1020020005785A KR20020005785A KR20030065789A KR 20030065789 A KR20030065789 A KR 20030065789A KR 1020020005785 A KR1020020005785 A KR 1020020005785A KR 20020005785 A KR20020005785 A KR 20020005785A KR 20030065789 A KR20030065789 A KR 20030065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vehicle
entrance
entry
t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5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인호
Original Assignee
조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인호 filed Critical 조인호
Priority to KR1020020005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5789A/ko
Publication of KR20030065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578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G07B15/063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using wireless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the vehicle and a fixed s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40/00Transportation facility access, e.g. fares, tolls or pa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선불 또는 후불 또는 직불방식의 RF카드를 이용한 유료도로 요금징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유료도로 요금징수 시스템은 톨게이트 차량진입로의 일측에 설치되어 진입차량 운전자가 제시하는 RF카드정보를 무선으로 읽어들여 거래여부를 결정하고 거래 승인한 RF카드에서 유료도로 이용요금을 선불(전자화폐) 또는 직불 또는 후불로 징수하는 입측RF카드단말기(200)와, 차량진행방향으로 상기 입측RF카드단말기의 후단에 설치되어 차량통과를 검출하는 입측제2차량센서(240)와, 상기 입측제2차량센서에 의한 차량검출 신호가 입측RF카드단말기에 입력될 때, 입측RF카드단말기에서의 RF카드 거래승인 여부에 따라 진입차량 운전자에게 체크인 성공 여부를 알려주고 또한 체크인 실패시 톨게이트 부스의 징수원에게 요금납부 의무를 알려주기 위한 입측표시장치(210) 및 입측표시음발생장치(220)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 시스템은 유료도로의 이용요금을 RF카드를 기반으로 하는 선, 후불 방식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결제할 수 있어 유료도로 톨게이트 부근에서의 요금정산에 따른 차량 정체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알에프 카드를 이용한 유료도로 요금징수 시스템{Expressway fare collecting system using RF cards}
본 발명은 고속도로 등의 유료도로를 이용하는 차량운전자가 그 유료도로의 통행요금을 RF방식의 선불카드, 후불카드 및 직불카드를 이용하여 지불할 수 있도록 한 RF카드를 이용한 유료도로 요금징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고속도로를 포함하는 폐쇄형 유료도로에서는 차량운전자가 유료도로 진입시 톨게이트의 진입로마다 설치된 일회용 통행권 발급기로부터 마그네틱 통행권을 발급 받게 된다.
이 통행권의 마그네틱 스트라이프에는 차량이 게이트를 통과한 시점(발권시간) 및 발권 톨게이트코드번호(또는 명칭) 등의 정보가 자기적으로 기록되게 되며, 차량운전자가 목적지 톨게이트에 도착한 후 해당 게이트 관리자에게 통행권을 제시하면 그 관리자는 마그네틱 카드리더기에 해당 통행권 정보를 리드시켜 여기에서 산출된 요금이 전방의 금액표시기에 디스플레이 되게 함으로써 차량운전자로 하여금 금액표시기에 표시되는 도로이용요금을 지불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기존의 통행권은 어느 정도의 유연성을 가지는 고강성의 종이재질로 제작되는데, 그 표면의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영역에는 고속도로 톨게이트 고유코드정보 및 진입시간이 기록되고, 또한 통행권의 지면에는 별도의 인쇄장치를 통해 시간 등의 발권정보가 기록되고 있다.
따라서, 현행의 폐쇄식 유로도로에 적용되고 있는 통행권은 그의 재사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로 인한 원자재 소모량은 실로 엄청난 금액에 달하고 있다.
한국도로공사의 통계에 따르면, 1999년도 유료도로 통행차량 수는 92,141만대에 달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므로, 통행권 1매 당 발행비용을 20∼30원으로 추정한다면, 연간 수백억 상당액에 이르는 금액이 일회용 통행권 발행비용으로 소요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고속도로 등의 유료도로 통행요금 징수시, 요금 징수원에 의한 수작업에만 의존하므로 계산착오의 가능성이 상존하며, 또한 징수원의 숙련도에 따라 요금징수 효율이 달라져 교통 흐름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속도로와 같은 유료도로를 이용하는 차량운전자가 현행RF교통카드를 이용하여 도로 이용요금을 지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요금징수의 효율화 및 정산처리의 신속화 그리고 교통량 정보의 수집을 위한 최적의 교통통제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게 될 RF카드를 이용한 유료도로 요금징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용카드 및 직불카드와 전자화폐 등 어떠한 RF교통카드로도 유료도로의 이용요금의 지불을 허용하는 RF카드를 이용한 유료도로 요금징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RF카드 결제방식 기반 유료도로의 진입 차로에 들어선 차량이 RF카드 체크인에 실패하더라도 자연스럽게 일회용 통행권을 발급 받아 유료도로에 진입할 수 있도록 하여 톨게이트의 교통흐름을 원활하게 유지시켜주기 위한 RF카드를 이용한 유료도로 요금징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시스템의 입측 차선별 차량 체크인 설비의 구축 예이다.
도 3은 본 발명 시스템의 입측 차선별 차량 체크인 설비의 다른 구축예이다.
도 4는 본 발명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시스템에 적용되는 입측RF카드단말기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시스템에 적용되는 출측RF카드단말기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시스템의 입측 차량 체크인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시스템의 입측 차량 체크인 시 기본구간요금 선 징수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CPU 12 : SAM블록
12-1,12-2 : SAM 13 : RF변복조모듈
14 : ANT 15 : 직불카드요금징수모듈
16 : 선불카드요금징수모듈 17 : 후불카드요금징수모듈
18 : B/L모듈 19 : 요금테이블DB
100,100-1,100-2 : RF카드 200,200-1 : 입측RF카드단말기
201,202 : 안테나 및 표시부 210 : 입측표시장치
220 : 입측표시음발생장치 230,230-1 : 입측제1차량센서
231,232 : 센서부 240 : 입측제2차량센서
250,250-1 : 통행권발급장치 251,252 : 발행부
300 : 출측RF카드단말기 310 : 출측표시장치
320 : 출측표시음발생장치 330 : 출측제1차량센서
340 : 출측제2차량센서 350 : 요금수납부스단말기
400 : 입측집계컴퓨터 500 : 출측집계컴퓨터
600 : 센터컴퓨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료도로 요금징수 시스템은 폐쇄형의 경우, 유료도로 차량진입로의 일측에 설치되어 진입차량 운전자가 제시하는 RF카드정보를 무선으로 읽어들여 거래여부를 결정하고 거래 승인한 RF카드에 톨게이트정보와 진입시간정보 및 차종정보를 라이트 하는 입측RF카드단말기와, 차량진행방향으로 상기 입측RF카드단말기의 후단에 설치되어 차량통과를 검출하는 입측제2차량센서와, 상기 입측제2차량센서에 의한 차량검출 신호가 입측RF카드단말기에 입력될 때, 입측RF카드단말기에서의 RF카드 거래승인 여부에 따라 진입차량 운전자에게 체크인 성공 여부를 알려주고 또한 체크인 실패시 통행권발급의무를 알려주기 위한입측표시장치 및 입측표시음발생장치와, 상기 입측제2차량센서의 후단에 설치되어 입측RF카드단말기에서의 RF카드 거래 불승인시 이 입측RF카드단말기의 제어에 따라 일회용 통행권을 발행하는 통행권발급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또 다른 시스템인 제2의 유료도로 요금징수 시스템은 개방형 유료도로에 적용하기 위한 것으로, 톨게이트의 차량진입 또는 진출로의 일측에 설치되어 진입 또는 진출차량 운전자가 제시하는 RF카드정보를 무선으로 읽어들여 거래여부를 결정하고 거래 승인한 RF카드에서 유료도로 이용요금을 선불(전자화폐) 또는 직불 또는 후불로 징수하는 RF카드단말기와, 차량진행방향으로 상기 RF카드단말기의 후단에 설치되어 차량통과를 검출하는 제2차량센서와, 상기 제2차량센서에 의한 차량검출 신호가 RF카드단말기에 입력될 때, RF카드단말기에서의 RF카드 거래승인 여부에 따라 진입차량 운전자에게 체크인 성공 여부를 알려주고 또한 체크인 실패시 톨게이트 부스의 징수원에게 요금납부 의무를 알려주기 위한 표시장치 및 표시음발생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시스템의 개념도로서, 유료도로의 입측에는 각 차선마다 그 일측에 각각의 입측RF카드단말기(200)를 설치하고 그 입측RF카드단말기의 수 미터 후방에는 일회용 통행권발급장치(250)를 설치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유료도로의 출측의 각 차로별 수납부스의 전방에는 각각 출측RF카드단말기(300)를 설치한 것을 보이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 시스템의 입측 차로별 차량 체크인 설비의 배치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유료도로 입측 각 차로의 초입에 입측제1차량센서(230)를 설치하고, 상기 제1차량센서의 설치위치 다음에 입측RF카드단말기(200)를 설치하고, 입측RF카드단말기의 설치위치 다음에 입측제2차량센서(240)를 설치하고, 마지막으로 통행권발급장치(250)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입측제1,2차량센서(230,240)로 광센서, 하중센서, 자기장센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입측제1차량센서(230)에 의한 차량진입 및 차종정보와 입측제2차량센서(240)에 의한 차량검출정보는 입측RF카드단말기(200)로 제공되게 연결하고, 상기 입측RF카드단말기에 의한 RF카드의 엑세스 성공 및 거래승인 여부와 상기 제2차량센서(240)의 차량검출신호로 만들어지는 입측RF카드단말기(200)의 출력은 일회용 통행권을 발급하는 상기 통행권발급장치(250)에 그 발급 제어신호로 제공되게 연결한다.
이 통행권발급장치(250)에 제공되는 입측RF카드단말기(200)의 제어신호는 일회용 유료도로 입측 체크인 티켓 발행신호로서, 입측RF카드단말기(200)의 RF카드 엑세스 및 거래승인 확인신호와 제2차량센서(240)의 차량검출신호의 조합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으로, RF카드의 엑세스 및 거래승인 유무 정보가 우선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입측RF카드단말기에서 RF카드 거래 승인 확인신호가 떨어질 경우 제2차량센서에 의한 차량검출신호는 무시(디세이블)된다.
이와 같이 유료도로의 차량 입측에 RF카드단말기 및 통행권발급장치와 함께입측제2차량센서(240)를 도입하고 있는 이유는 유료도로를 이용하려는 차량운전자의 RF카드(100)가 RF카드단말기(200)에서 정상적으로 엑세스되어 체크인이 이루어 졌는가 여부를 확인하고, 만일 유료도로 진입 체크인이 이루어지지 못한 경우라면 통행권발급장치(250)를 통해 기존의 일회용 통행권을 발행하기 위함이다.
또한 입측제1차량센서(230)를 차량진입로의 최전방에 설치하는 이유는 차량진입시점과 그 진입차량의 종류를 검출하여 입측RF카드단말기에 제공함으로써, 입측RF카드 단말기에서 차종별로 유료도로 진입을 체크인하도록 하기 위해서 이다.
따라서, 유료도로 진입차량의 차종구분이 필요하지 않거나 진입차량의 크기를 물리적인 제한장치(예를 들면, 통과차량 제한을 위한 리미트 바)로 제한하는 경우 상기 입측제1차량센서(230)의 설치는 생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폐쇄형 유료도로의 진입측 차로의 톨게이트 또는 개방형 유료도로의 진입(진출)차로 톨게이트에 설치되는 RF카드단말기(200)는 제2차량센서(240)에 의한 차량검출신호가 있을 때, 그 차량검출신호로부터 수초 내지 수백 밀리초 이내에 RF카드로부터 요금징수를 위한 체크인이 있었는가 여부를 파악하는 것으로 해당 차량에 대한 RF카드 거래승인 여부 정보를 생성하여 표시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한편, 이용요금체계가 다른 차종별로 유료도로 체크인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하나의 몸체에 RF카드단말기의 안테나부와 표시부를 상, 하 이중의 듀얼타입으로 설계하고 통행권발급장치도 그 발급부를 상, 하 이중으로 마련하여 설치할 수 있다.
도 3은 위의 듀얼타입 입측 차선별 차량 체크인 설비의 배치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입측제1차량센서(230-1)는 통과차량의 종류를 인식할 수 있도록 센서부(231,232)의 설치위치를 차별화 시켜 배치하고 있고, 이에 따라, 입측RF카드단말기(200-1)의 안테나 및 표시부(201,202)도 차종별 운전석 높이에 적정하도록 배치하고 있다.
또한 통행권발급장치(250-1)도 그 발급부(251,252)를 차종별 운전석 높이에 적정하도록 배치한다.
도 4는 본 발명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
여기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RF카드(100)와 데이터를 주고받는 입측RF카드단말기(200)에는 유료도로의 진입부 일측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입측제1,2차량센서(230,240)로부터 차량검출신호 및 차종정보가 입력되게 접속한다.
또한 상기 입측RF카드단말기(200)에는 이 단말기의 내부처리 제어명령에 따라 통행권 발행동작을 수행하는 통행권발급장치(250)와 입측표시장치(210)와 입측표시음발생장치(220)를 접속한다.
상기 입측표시장치(210)에는 RF카드단말기의 제어출력에 따라, 사용카드가 선불RF카드인 경우에는 잔액정보가, 후불RF카드인 경우에는 정해진 기간동안의 총사용금액정보가 표시될 수 있고, 또한 이와 함께 RF카드의 엑세스 및 거래승인 가부정보도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입측RF카드단말기(200)는 유료도로의 진입차선마다 설치되어야 하므로, 톨게이트의 진입 차로에 따라 그 수가 결정되며, 이들에 의한 RF카드(100)의 체크인 정보 및 요금수수정보(개방식 유료도로 요금징수시 또는 폐쇄식에서 기본구간 이용요금 선 징수 시)는 집계컴퓨터(400)에서 집계 처리된다.
이때, RF카드의 체크인 시 기본요금 분에 대해 선 징수하고 출측에서는 그 선 징수분 만큼 차감 징수하는 요금징수방식의 경우, 입측의 집계컴퓨터에서 부분적인 요금집계 및 정산이 이루어지게 될 것이다.
한편, 유료도로를 이용한 차량운전자의 RF카드(100)와 데이터 통신을 통하여 그 요금을 징수하기 위한 출측RF카드단말기(300)에는 징수금액을 표시하기 위한 출측표시장치(310)와 출측표시음발생장치(320)를 접속하고, 이러한 출측 차로별 단말기에서 징수된 요금정보는 출측집계컴퓨터(500)로 보내져 집계되도록 접속하며, 또한 요금징수부스의 징수원에 의해 수납한 유료도로 요금징수 실적은 부스내의 요금징수부스단말기(350)에서 징수원에 의해 수작업으로 입력 집계되어 상기 출측집계컴퓨터(500)로 보내지게 접속한다.
상기 출측RF카드단말기(300)의 전방과 후방에는 각각 출측제1,2차량센서(330,340)를 설치하여, 상기 출측제1차량센서(330)에 의해서는 차량의 종류를 인식하도록 하고, 출측제2차량센서(340)에 의해서는 출측RF카드단말기에 의한 요금징수 여부를 요금수납부스내의 징수원에게 알려주기 위한 요금징수정보를 생성하도록 한다.
상기 입측 및 출측집계컴퓨터(400,500)에서 각 톨게이트별로 집계된 요금징수 정보는 다시 센터컴퓨터(600)로 보내지게 접속한다. 또한 센터컴퓨터(600)는 각 카드발행사들로부터 수집한 후불제 RF카드, 즉 RF신용카드의 신용불량자의 카드번호정보를 DB화하여 수시로 갱신하며, 이렇게 생성된 B/L정보를 집계컴퓨터, 특히 입측집계컴퓨터 측으로 전송하도록 접속한다.
도 5는 상기 입측RF카드단말기(200)의 구체적인 내부 블록구성을 보이고 있다.
이 RF카드단말기의 블록구성은 선불, 후불, 직불을 포함하는 다수의 RF카드를 다중으로 접속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RF카드(100-1,100-2)를 액티브 시켜주기 위한 무선전파신호를 발생하고 또한 RF카드로부터 칩 시리얼넘버 정보와 카드정보를 순차적으로 수신하는 안테나(14)와, 상기 안테나에 수신된 RF신호를 디지털정보로 복조하고 또한 SAM1,2에서 생성한 디지털 킷값 정보를 RF신호로 변조하는 RF변복조모듈(13)과, RF카드측으로부터의 RF칩 시리얼넘버 정보가 전송 입력되면 UART를 통해 SAM1에 보내 보안접속킷값을 생성하게 하고 이렇게 SAM1에서 생성된 보안접속킷값으로 접근된 RF카드의 메모리영역의 엑세스를 시도하여 메모리영역의 엑세스가 이루어지면 그 메모리영역에 저장된 카드번호정보 또는 잔액정보를 읽어들인 다음 해당 RF카드의 결제방식에 따라 카드사용대금 무선결제 징수루틴을 수행하고, SAM1에 의한 보안접속킷값으로 RF카드의 메모리영역이 엑세스되지 않으면 SAM2를 선택하여 여기에서 생성된 보안접속킷값으로 RF카드의 메모리영역의 엑세스를 시도하여 무선결제를 수행하는 CPU(10)와, 접근된 RF카드의 칩 시리얼넘버를 고유의 내부 연산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카드발행사별 RF카드의 보안접속킷값을생성하는 다수의 SAM1,2(12-1,12-2)로 이루어진 SAM부(12)와, 상기 SAM부와 CPU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CPU의 제어에 따라 상기 SAM부 내의 각각의 SAM1,2를 순차적으로 CPU에 1:1로 접속시키는 UART(11)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RF카드(100-1,100-2)는 각각 결제방식이 다른 선불카드와 후불카드(또는 직불카드)일 수 있으며, 선불카드는 대표적으로 버스카드를 들 수 있고 후불카드는 신용카드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CPU(10)에는 앞서 설명한 입측표시장치(210)와 표시음발생장치(220), 그리고 직불카드요금징수모듈(15)과 선불카드요금징수모듈(16)과 후불카드요금징수모듈(17)과 연결되며, 상기 후불카드요금징수모듈(17)에 적용하기 위한 B/L모듈(18)이 연결된다. 상기 B/L모듈(18)내의 B/L(신용불량카드번호목록)정보는 센터컴퓨터(600)로부터 일정한 주기로 제공되는 갱신정보에 의해 업데이트 된다.
특히, B/L모듈(18)은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유료도로 톨게이트의 개별 입측RF카드단말기 마다 설치하는 방식과는 달리, 입측집계컴퓨터(400)에만 설치하고 이를 다수의 입측RF카드단말기에서 통신망을 통하여 공유하게 설계할 수 있다.
도 6은 출측RF카드단말기(300)의 구체적인 내부 블록구성도로서, 위의 입측RF카드단말기(200)의 구성과 대동소이하다.
다른 점은 CPU(10)에 이용거리에 따른 차종별 이용요금 정보가 수록된 이용요금 테이블DB(19)가 연결된다는 점이다.
실제 운영에 있어, 각 유료도로 톨게이트 영업소는 모두 진입로와 진출로를마련하고 있고 또한 이들의 일부는 진출 및 진입 가변형으로 운영되고 있으므로, 입측RF카드단말기(200)와 출측RF카드단말기(300)를 일체화하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다.
따라서, 입, 출측 통합단말기는 입측RF카드단말기와 출측RF카드단말기의 공통 구성요소 외에 B/L모듈(18)과 요금테이블DB(19)를 모두 포함하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2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고속도로와 같은 폐쇄형 유료도로의 톨게이트 진입 차로의 최전방에 설치된 입측제1차량센서(230)에 의해 진입차량의 차종정보가 검출되면, 이러한 정보는 상기 입측제1차량센서의 후단에 설치되는 입측RF카드단말기(200)에 제공된다.
상기 입측제1차량센서(230)의 설치위치를 통과한 진입차량이 입측RF카드단말기(200)에 이르러, RF단말기의 안테나부에서 방사되는 전자기장에 의해 차량운전자가 접근시키거나 또는 차량에 부착된 RF카드(100)가 활성화됨으로써 입측RF카드단말기에서 해당 RF카드의 엑세스가 이루어져 거래 승인이 떨어지게 되면, 그 거래 승인한 RF카드(100)의 메모리영역에 현 톨게이트의 정보와 진입시간 정보를 라이트 한다.
이러한 입측RF카드단말기(200)는 차종별로 지정된 차로마다 통과하게 될 차량의 운전석 높이에 적정화되어 설치되며, RF카드 기반 유료도로 요금징수 거래승인이 떨어진 경우, 입측제2차량센서(240)에 의한 차량진입검출신호를 무시하고 통행권발급장치(250)에 대해 일회용 통행권의 발행을 금지한다.
만일, 상기 입측RF카드단말기(200)에서 RF카드 거래승인을 얻지 못하였거나 또는 RF카드의 엑세스가 불가능하거나 또는 유료도로 이용요금 지불을 위한 RF카드를 소지하지 않은 경우에, 입측RF카드단말기(200)는 입측제2차량센서(240)의 차량검출신호를 이용하여 일회용 통행권 발행 조건임을 판단하고 상기 통행권발급장치(250)에 해당 차량에 대한 일회용 통행권 발행을 지령한다.
위의 통행권 발행조건의 정의는 비교적 간단하다. 하나의 예로, 입측RF카드단말기(200)에 의한 RF카드(100)의 거래 승인시, 일정시간동안(톨게이트 진입로를 주행하는 차량이 입측RF카드단말기(200)의 설치 위치에서 입측제2차량센서(240)의 설치위치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평균적 시간 값)만 입측제2차량센서(240)의 차량검출신호를 무시하도록 함으로써, 그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다음에 RF카드거래 승인 없이 진입하는 차량에 대해서는 바로 입측RF카드단말기(200)가 인식하여 일회용 통행권을 발행하게 할 수 있다.
이것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RF카드거래 승인차량 판단은 입측RF카드단말기(200)에서 입측1,2차량센서(230,240)의 차량검출신호를 받아들여, 이를 RF카드단말기에 의한 RF카드(100)의 거래승인 정보에 연산 처리하여 내릴 수 있다. 즉, 입측제1차량센서(230)에 의해 차량진입이 검출되고 또 RF카드단말기에서의 거래승인이 없는 상태에서 곧이어 입측제2차량센서(240)로부터 차량검출신호가 들어온다면 그것은 통행권발급장치(250)에 의한 통행권 발행조건임을 간단히 알아낼 수 있다.
도 3은 하나의 진입차로에서 차종별로 구분하여 유료도로 이용요금을 징수할 수 있도록 한 입측설비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여기에서, 입측제1차량센서(230-1)의 센서부(231,232)는 유료도로 진입차량의 차종(예를 들면, 소형차량과 대형차량)을 구분하여 센싱하게 되며, 이러한 센서부(231,232)의 차종 센싱정보에 따라 입측RF카드단말기(200-1)의 안테나 및 표시부(201,202)가 선택되어져, 해당 차량에 장착되어 있거나 그 차량의 운전자가 제시하는 RF카드(100)를 이들 안테나 및 표시부(201,202)중 어느 하나가 엑세스하여 RF카드 기반 유료도로 이용요금 지불을 위한 거래승인 여부를 결정하고 체크인 하게 된다.
상기 입측RF카드단말기(200-1)는 입측제2차량센서(240)로부터 차량검출신호가 입력되면 현재 통과하는 차량의 거래승인 여부에 따라 통행권발급장치(250-1)에 의한 일회용 통행권 발행여부를 결정하게 되며, 만일, RF카드(100)에 의한 거래승인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앞의 입측제1차량센서(230-1)의 차량검출신호에 의해 파악된 차종에 따라 발행부(251,252)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통행권을 발행하게 된다.
한편, 도 4에서 참고되는 것처럼, 입측RF카드단말기(200)는 입측제1,2차량센서(230,240)의 두 신호 모두 또는 입측제2차량센서(240)만의 단독신호를 받아 처리하여 통행권발급장치(250)에 의한 일회용 통행권발행 여부를 결정하게 되며, 그 결정된 사항을 입측표시장치(210)와 입측표시음발생장치(220)를 통해 운전자에게 통보하여 줌으로써, 해당 차량이 RF카드(100)를 이용한 거래승인을 얻지 못한 경우에운전자는 진입로 최종단에 설치되는 통행권발급장치를 통해 일회용 통행권을 발급받아 체크인 하도록 한다.
이러한 입측표시장치(210)와 입측표시음발생장치(220)는 유료도로 진입차량운전자가 RF카드 체크인 성공여부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음향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입측RF카드단말기(200,200-1)에 일체로 마련되며, 또한 RF카드(100)를 이용한 유료도로 진입 체크인에 실패하거나 RF카드(100) 없이 무단으로 진입한 차량의 운전자에 대해 일회용 통행권 발급을 안내하기 위한 또 다른 입측표시장치를 제2입측차량센서(240)와 통행권발급장치(250,250-1)사이에 독립적으로 기립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입측RF카드단말기(200)는 진입차량의 RF카드(100)를 체크인할 때, 우선 해당 RF카드(100)에서 유료도로의 기본구간 요금 분을 선 징수할 수 있다. 이 경우 유료도로의 출측게이트에 설치된 출측RF카드단말기에서는 산출된 유료도로 이용요금 중에서 선 징수한 기본 구간요금 분을 차감하고 그 나머지 요금에 대해서 징수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출측RF카드단말기(300)에 의한 유료도로 이용요금 징수는 앞서 설명한 입측게이트의 입측RF카드단말기(200)와 상당부분 유사하다.
유료도로 출측에서는 그 출측차로의 최전방에 출측제1차량센서(340)가 설치되어 있어 이것에 의해 차량진입사실과 그 차종이 검출된다.
이러한 출측제1차량센서(340)의 차량 및 차종검출신호가 그 후단에 설치된 출측RF카드단말기(300)에 입력되면 이 출측RF카드단말기는 차종별로 구분된 안테나및 표시부를 통해 RF카드(100)를 엑세스하여 유료도로 진입시간정보와 진입톨게이트 고유번호정보 및 차종정보 등을 읽어들인다.
이렇게 읽어들인 RF카드정보를 자체의 메모리에 저장된 요금테이블에 적용하여 징수할 요금을 결정한다. 이때, 해당 유료도로의 기본구간 요금 선 징수 방식이 적용되는 경우, 이용요금 중에서 선 징수 금액만큼 차감한 금액을 출측에서 징수할 금액으로 결정한다.
결정된 금액을 RF카드(100)로부터 징수완료된 경우에는 출측표시장치(310)와 출측표시음발생장치(320)를 통하여 그 차량의 운전자에게 징수액 정보 및 징수완료 정보를 알려준다.
만일, 출측RF카드단말기(300)에서 RF카드(100)에 의한 유료도로 이용요금 징수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출측RF카드단말기(300)의 후단에 설치된 출측제2차량센서(340)의 차량검출신호를 받아들여, 상기 출측표시장치(310)와 출측표시음발생장치(320)를 통해, 그 차량의 운전자에게 RF카드 자동징수 실패를 통보하고, 요금수납부스의 징수원에게 수작업에 의한 요금정산 및 정산된 요금을 지불할 것을 안내한다.
이와 같은 입측RF카드단말기(200)와 출측RF카드단말기(300)는 각 유료도로 톨게이트의 진입차로와 진출차로 마다 설치되므로, 하나의 톨게이트 영업소에는 다수의 입측RF카드단말기와 다수의 출측RF카드단말기가 설치되게 되며, 이들 다수의 입측RF카드단말기에서 체크인하고 출측RF카드단말기에서 징수처리한 정보는 각각 입측집계컴퓨터(400)와 출측집계컴퓨터(500)에 제공되어 교통량 정보와 요금징수정보를 집계 처리된다.
상기 입측집계컴퓨터(400)와 출측집계컴퓨터(500)는 도면상 이원화 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상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실제로 각 톨게이트 영업소에서는 출측 및 입측 집계를 동시에 수행하는 하나의 컴퓨터로 일원화되어 설치될 것이며, 이들 각각의 입, 출측집계컴퓨터(400,500)에서 집계처리된 유료도로 이용상황 및 요금징수정보는 센터컴퓨터(600)로 전송되어 정산 처리된다.
한편, 상기 입측RF카드단말기(200)에 의한 RF카드(100)체크인 과정을 도 5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입측RF카드단말기 내의 안테나(14)는 RF변복조모듈(13)에서 생성된 13.56MHz의 무선전파를 방사한다. 이러한 안테나의 무선전파 방사영역(안테나로부터 수Cm 내지 수m 이내의 거리)내에 RF카드(100-1 또는 100-2)가 접근되면 상기 RF카드는 상기 무선전파의 전자기장에 의해 액티브되어 자신의 RF칩 시리얼넘버 정보를 RF변조하여 안테나(14)측으로 전송한다.
이렇게 안테나(14)에 수신된 RF카드(100-1,100-2)의 RF칩 시리얼넘버의 RF변조신호는 RF변복조모듈(13)에서 복조되어 디지털 정보로 변환된 후 CPU(10)에 제공된다.
CPU(10)에 RF칩 시리얼넘버 정보가 입력되면, 이 CPU(10)는 RF카드의 접근을 인식하고, UART(11)에 SAM부(12)의 첫 번째 SAM1(12-1)을 선택하도록 제어신호를 내보낸 다음, 이 SAM1(12-1)에게 현재 읽어들인 RF카드의 칩 시리얼넘버를 전송한다.
SAM1(12-1)은 사전에 정해놓은 연산 프로그램(알고리즘)을 가진다. 이 연산 알고리즘은 RF카드발행사에 의한 RF카드별 인코딩시 적용되는 알고리즘과 동일하다. 따라서 SAM1에 RF카드의 칩 시리얼넘버가 입력되면 이를 자신의 연산프로그램에 적용하여 연산 처리하는 것으로 특정의 보안접속 킷값을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보안접속킷값은 RF변복조모듈(13)에서 RF신호로 변환된 후 ANT(14)를 통해 해당 RF카드(100-1 또는 100-2)로 전달된다.
RF카드(100-1 또는 100-2)에 수신된 보안접속킷값은 카드내부의 RF칩내 변환기를 통해 디지털화된 후, 사전에 등록된 인코딩 값과 비교된다.
RF카드는 그 RF카드 발행사별로 고유한 연산 알고리즘으로 해당 RF카드의 칩 시리얼 넘버를 연산 처리하여 이때 생성되는 데이터를 RF카드의 보안접속킷값으로서 그 RF칩에 인코딩하고 있다.
그러므로, 상기 SAM1에 의해 생성된 보안접속킷값이 현재 단말기에서 읽어들인 RF카드의 보안접속킷값과 일치한다면 그 RF카드의 메모리 영역을 엑세스할 수 있어, 그 메모리의 정해진 영역에 톨게이트 진입시간정보, 톨게이트 고유번호, 차종정보 등을 기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만일, 입측RF카드단말기(200)의 안테나부에 접근된 RF카드의 칩 시리얼 넘버를 가져와 SAM부(12)의 첫 번째 SAM1(12-1)에서 생성한 보안접속킷값이 해당 RF카드의 메모리영역을 열어보고 또한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보안접속킷값이 아니면, 카드 발행사가 다른 카드로 판단하고, 다음의 SAM2(12-2)을 이용하여 보안접속킷값을 생성한 다음 그 값을 이용하여 다시 해당 접근 RF카드의 메모리 영역 엑세스를 시도한다.
이러한 시도는 접근된 RF카드의 메모리영역이 엑세스될 때까지 RF카드단말기 내의 SAM부(12)를 구성하고 있는 모든 SAM들에 대해 적용되며, 최종 SAM에 의해서도 접근된 RF카드의 엑세스가 허용되지 않으면 미등록발행사의 카드로 간주하고 입측표시장치(210)등을 통하여 RF카드 사용불가를 표시한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 RF카드의 메모리영역의 엑세스가 이루어지면, 그때는 이미 CPU(10)는 접근된 RF카드의 결제방식이 선불방식인지 또는 직불방식인지 또는 후불방식인지를 알 수 있다. 이것은 RF카드를 엑세스하게 된 SAM이 어떤 결제방식의 카드발행사의 것인지 CPU는 자연히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CPU(10)는 RF카드가 엑세스되면 그 RF카드의 결제방식별로 유료도로의 이용요금 결제가 가능한지 판단하게 되는데, 먼저, 접근된 RF카드가 선불카드이면 그 내부의 메모리영역에 저장된 전자화폐의 잔액정보를 읽어들여 잔고가 현 톨게이트로부터 최대구간요금 이상일 경우에만 거래승인을 내려주고, 접근된 RF카드가 후불카드이면 그 RF카드의 카드번호를 B/L모듈(18)에 조회하여 정상카드일 경우에만 거래승인을 내려주고, 접근된 RF카드가 직불카드이면 그 RF카드의 카드번호에 연결된 계좌의 잔고조회를 통해 거래승인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직불카드 거래시, 해당 RF카드의 카드번호에 연결된 계좌의 조회를 대신하여 직불B/L 카드번호를 체크후 정상카드이면 우선 거래승인하고 차후 정산 처리하는 방식을 도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료도로 입측에서의 RF카드 기반 이용요금 결제를 위한 거래승인시, 현 톨게이트로부터 기본구간까지의 기본요금을 선 징수하도록 하는 경우, 앞에서 설명한 바에 의해, 직불RF카드인 경우에는 직불카드요금징수모듈(15)에서, 선불RF카드인 경우에는 선불카드요금징수모듈(16)에서, 후불RF카드인 경우에는 후불카드요금징수모듈(17)에서 각각 기본구간요금에 해당하는 금액을 유료도로 톨게이트 진입로에 설치된 입측RF카드단말기(200)에서 자동 징수하게 된다.
톨게이트 영업소의 입측집계컴퓨터(400)는 다수의 입측RF카드단말기(200)들로부터 업로드되는 유료도로 진입차량의 체크인 정보와 기본구간요금 선징수 정보 등을 수집하여 집계 처리한 후 센터컴퓨터(600)로 전송하여 여기에서 요금의 정산처리 외에 교통량정보의 분석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센터컴퓨터(600)는 각 카드발행사로부터 신용불량카드 정보를 수집하여 B/L 를 생성하고 이를 입측집계컴퓨터(400)에 전송하여 이들 집계컴퓨터에서 입측RF카드단말기(200)의 B/L모듈(18)의 데이터를 갱신하도록 한다.
이와는 달리, 상기 입측RF카드단말기(200)마다 B/L모듈(18)을 설치하지 않고, 입측집계컴퓨터(400)에만 B/L모듈을 설치한 후, 센터컴퓨터로부터 다운로드되는 갱신된 B/L을 업데이트하도록 하고, 각 RF카드단말기(200)에서는 유료도로 입측에서의 RF카드 체크인시마다 상기 입측집계컴퓨터의 B/L모듈에 후불카드의 신용조회를 하게할 수 있다.
한편, 유료도로를 RF카드로 체크인한 차량이 목적지 톨게이트를 빠져나가기 위해서 출측차로에 접근하게 되면, 해당 출측차로 톨게이트의 일정거리 전방에 설치된 출측제1차량센서(330)가 차량진입여부 및 차종을 검출하여 그 검출신호를 출측RF카드단말기(300)의 CPU(10)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CPU(10)는 차종을 판단하여 해당 차종의 운전석 높이로 적정화된 RF카드단말기의 안테나(14)에 RF카드 접근을 대기한다.
출측RF카드단말기 내의 안테나(14)도 입측RF카드단말기와 마찬가지로 RF변복조모듈(13)에서 생성된 13.56MHz의 무선전파를 방사한다. 이러한 안테나의 무선전파 방사영역내에 RF카드(100-1 또는 100-2)가 접근되면 상기 RF카드는 상기 무선전파의 전자기장에 의해 액티브되어 자신의 RF칩 시리얼넘버 정보를 RF변조하여 안테나(14)측에 전송한다.
안테나(14)에 수신된 RF카드(100-1,100-2)의 RF칩 시리얼넘버의 RF변조신호는 RF변복조모듈(13)에서 복조되어 디지털 정보로 변환된 후 CPU(10)에 제공된다.
CPU(10)에 RF칩 시리얼넘버 정보가 입력되면, 이 CPU(10)는 RF카드의 접근을 인식하고, UART(11)에 SAM부(12)의 첫 번째 SAM1(12-1)을 선택하도록 제어신호를 내보낸 다음, 이 SAM1(12-1)에게 현재 읽어들인 RF카드의 칩 시리얼넘버를 전송한다.
SAM1(12-1)은 사전에 정해놓은 연산 프로그램(알고리즘)을 가진다. 이 연산 알고리즘은 RF카드발행사에 의한 RF카드별 인코딩시 적용되는 알고리즘과 동일하다. 따라서 SAM1에 RF카드의 칩 시리얼넘버가 입력되면 이를 자신의 연산프로그램에 적용하여 연산 처리하는 것으로 특정의 보안접속 킷값을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보안접속킷값은 RF변복조모듈(13)에서 RF신호로 변환된 후 ANT(14)를 통해 해당 RF카드(100-1 또는 100-2)로 전달된다.
RF카드(100-1 또는 100-2)에 수신된 보안접속킷값은 카드내부의 RF칩내 변환기를 통해 디지털화된 후, 사전에 등록된 인코딩 값과 비교된다.
RF카드는 그 RF카드 발행사별로 고유한 연산 알고리즘으로 해당 RF카드의 칩 시리얼 넘버를 연산 처리하여 이때 생성되는 데이터를 RF카드의 보안접속킷값으로서 그 RF칩에 인코딩하고 있다.
그러므로, 상기 SAM1에 의해 생성된 보안접속킷값이 현재 단말기에서 읽어들인 RF카드의 보안접속킷값과 일치한다면 그 RF카드의 메모리 영역을 엑세스할 수 있어, 그 메모리에 기록된 유료도로 체크인 정보, 즉 톨게이트 진입시간정보, 톨게이트 고유번호정보, 차종정보 등을 읽어낼 수 있다.
만일, 출측RF카드단말기(300)의 안테나부에 접근된 RF카드의 칩 시리얼 넘버를 가져와 SAM부(12)의 첫 번째 SAM1(12-1)에서 생성한 보안접속킷값이 해당 RF카드의 메모리영역을 열어보고 또한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보안접속킷값이 아니면, 카드 발행사가 다른 카드로 판단하고, 다음의 SAM2(12-2)을 이용하여 보안접속킷값을 생성한 다음 그 값을 이용하여 다시 해당 접근 RF카드의 메모리 영역 엑세스를 시도한다.
이러한 시도는 접근된 RF카드의 메모리영역이 엑세스될 때까지 RF카드단말기 내의 SAM부(12)를 구성하고 있는 모든 SAM들에 대해 적용되며, 최종 SAM에 의해서도 접근된 RF카드의 엑세스가 허용되지 않으면 미등록발행사의 카드로 간주하고 출측표시장치(310)등을 통하여 RF카드 사용불가를 표시한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 RF카드의 메모리영역의 엑세스가 이루어지면, 그때는 이미 CPU(10)는 접근된 RF카드의 결제방식이 선불방식인지 또는 직불방식인지 또는 후불방식인지를 알 수 있다. 이것은 RF카드를 엑세스하게 된 SAM이 어떤 결제방식의 카드발행사의 것인지 CPU는 자연히 알 수 있기 때문이다.
CPU(10)는 이렇게 읽어들인 유료도로 체크인 정보를 요금테이블DB(19)에 조회하는 것으로 유료도로 이용요금을 결정한다.
요금테이블DB(19)는 유료도로의 각 톨게이트마다 정해지는 고유의 구간별, 차종별 이용요금표 테이블로 작성되므로, 여기에 진입지 톨게이트 고유번호와 차종정보, 진입시간정보를 적용하면 간단하게 유료도로 이용요금을 추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출측RF카드단말기(300)에서 RF카드 메모리 영역의 엑세스가 이루어졌을 때, 단말기내 CPU(10)는 해당 RF카드가 선불카드이면 선불카드요금징수모듈(16)을 이용하여 그 메모리에 저장된 전자화폐의 잔액에서 산출된 유료도로 이용요금을 즉시 인출하고, 후불카드이면 또는 직불카드이면 후불카드요금징수모듈(17) 또는 직불카드요금징수모듈(15)을 이용하여 그 RF카드의 번호를 읽어들여 B/L 체크 또는 계좌잔고조회 후 산출된 유료도로 이용요금을 후불 또는 직불로 징수한다.
이때, 출측표시음발생장치(320)를 통하여는 정상결제를 알리는 비프음이 출력되고 출측표시장치(310)를 통하여는 유료도로 이용요금정보, 잔액정보, 총이용액정보 등이 표시된다.
한편, 최종 SAM에 의해서도 접근된 RF카드의 엑세스가 허용되지 않으면 미등록발행사의 카드로 간주하고 출측표시장치(310) 및 출측표시음발생장치(320)를 통하여 해당 RF카드의 사용불가, 즉, 체크아웃 실패를 표시한다.
RF카드 체크아웃에 실패한 차량의 운전자는 징수원이 상주하는 요금수납부스에서 직접 유료도로 이용요금을 현금 등으로 납부해야 하며, 이러한 징수원에 의한 수납정보는 요금수납부스단말기(350)에 의해 출측RF카드단말기에 입력되어 출측집계컴퓨터(500)로 전송된다.
한편, 출측RF카드단말기(300)는 출측제1차량센서(330)에 의한 차량검출 신호 입력후 어떠한 RF카드의 체크아웃이 없는 상태에서 출측제2차량센서(340)로부터 차량검출신호가 입력되면, 이때는 유료도로 이용요금 직접수납 조건으로 판단하고 출측표시장치(310) 및 출측표시음발생장치(320)를 통하여 출측 요금수납부스에서 유료도로 이용요금을 직접 납부할 것을 안내한다.
도 7은 본 발명 시스템의 입측 차량 체크인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여기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유료도로의 진입측 요금징수를 위한 체크인 시스템이 초기화된 상태에서 차량진입이 있게 되면, 입측제1차량센서가 차량진입을 검출한다. 이때, 필요에 따라 이용요금 체계가 다른 차종류도 함께 검출할 수 있다.
차량검출에 이어, 입측RF카드단말기는 진입된 차량에 장착되어 있거나 또는 그 차량의 운전자가 제시하는 RF카드의 엑세스를 시도한다.
RF카드 엑세스가 없는 상태에서 입측RF카드단말기의 후단에 설치되는 입측제2차량센서에서 차량검출신호가 나타나게 되면 입측RF카드단말기는 RF카드의 유료도로 진입 체크인 실패로 간주한다.
또한 입측RF카드단말기에서 RF카드의 엑세스가 이루어졌으나 잔고부족 또는 신용불량정보에 의해 거래승인을 얻지 못한 상태에서 입측제2차량센서로부터 차량검출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도 입측RF카드단말기는 해당 RF카드의 유료도로 진입 체크인 실패로 간주한다.
유료도로의 진입로 체크인에 실패한 경우, 입측RF카드단말기는 입측제2차량센서 후방에 설치되는 표시장치와 표시음발생장치를 통해 RF카드 체크인 실패안내와 일회용 통행권발급을 안내하고 최 후방에 설치되는 통행권발급장치를 이용하여 RF카드 체크인에 성공하지 못한 차량운전자에게 일회용 통행권을 발급한다.
위와는 달리, 상기 입측RF카드단말기에서 RF카드를 이용한 유료도로 진입 체크인과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져 거래승인이 떨어지면, 입측RF카드단말기는 입측제2차량센서에 의한 차량검출신호를 무시하고 표시장치와 표시음발생장치를 통해 RF카드 체크인 성공을 표시한 다음, 입측제2차량센서 후방에 설치되는 통행권발급장치에 의한 통행권 발급을 금지한다.
도 8은 본 발명 시스템의 입측 차량 체크인시 기본구간요금 선징수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것은 앞에서 설명한 도 7의 흐름과 대부분 동일하며, 단지, RF카드로 유료도로 이용요금의 결제를 허용하는 거래승인과 동시에 해당 톨게이트에서 최소구간까지의 기본요금을 선징수 하는 것이 다르다.
본 발명의 RF카드를 이용한 기본구간요금 선 징수 방식은 개방형 유료도로에서의 그 유용성이 높으며, 이는 개방형 유료도로 이용요금의 후 징수 방식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요금징수 방식을 약간 달리하게 있는데, 폐쇄형 유료도로와는 달리 개방형 유료도로에서는 톨게이트의 차량진입로 또응 진출로의 일측에 설치되어 진입 또는 진출차량의 운전자가 제시하는 RF카드정보를 (입측)RF카드단말기(200)에서 무선으로 읽어들여 거래여부를 결정하고 거래 승인한 RF카드에서 유료도로 이용요금을 선불(전자화폐) 또는 직불 또는 후불로 징수하게 된다.
(입측)제2차량센서(240)는 차량진행방향으로 상기 입측RF카드단말기의 후단에 설치되어 차량통과를 검출한다.
(입측)표시장치(210) 및 (입측)표시음발생장치(220)는 상기 입측제2차량센서(240)에 의한 차량검출 신호가 (입측)RF카드단말기(200)에 입력될 때, (입측)RF카드단말기에서의 RF카드 거래승인 여부에 따라 진입차량 운전자에게 체크인 성공 여부를 알려주고 또한 체크인 실패시 톨게이트 부스의 징수원에게 요금납부 의무를 안내해 준다.
여기에서, 상기 (입측)RF카드단말기(200)의 전방에는 차량의 진입여부 검출 및 진입차량의 종류를 검출하는 (입측)제1차량센서(230)를 더 설치하여 이 제1차량센서에 의한 차량진입여부 및 진입차량의 종류 검출신호가 상기 RF카드단말기로 제공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위의 제1차량센서가 진입차량의 유무 검출과 차종을 인식할 수 있도록 이중의 센서부(231,232)로 구성하고 있는데,이것에 의해 센싱된 차종별 차량검출정보는 RF카드단말기의 차종별 운전석 높이에 적정화시킨 이중의 안테나 및 표시부(201,202)중 하나를 선택하게 하여 차종에 따른 유료도로 이용요금을 RF카드로 결제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고속도로나 자동차전용도로 등의 유료도로에서 그 이용요금 징수를 위해 발행되고 있는 일회용 통행권에 의한 자원낭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료도로의 요금징수에 관련된 일체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어 별도의 수 작업 없이 원하는 디지털정보를 단말기단위, 집계컴퓨터단위로 손쉽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료도로의 운영에 있어 각 톨게이트간 차량소통량, 지체시간대, 차종, 주행시간 등의 이용정보를 교통통제 센터컴퓨터 측에서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므로 그에 따른 적정한 대책수립의 신속화를 꾀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새로운 시설의 증설이나 운영방식의 적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RF카드 결제방식 기반 유료도로의 진입 차로에 들어선 차량이 RF카드 체크인에 실패하더라도 자연스럽게 일회용 통행권을 발급받아 유료도로에 진입할 수 있도록 하여 톨게이트의 교통흐름을 원활화 시켜 유료도로의 진입 톨게이트 부근에서의 차량적체를 피할 수 있게 한다.

Claims (4)

  1. 폐쇄형 유료도로 차량진입로의 일측에 설치되어 진입차량 운전자가 제시하는 RF카드정보를 무선으로 읽어들여 거래여부를 결정하고 거래 승인한 RF카드에 톨게이트정보와 진입시간정보 및 차종정보를 라이트하는 입측RF카드단말기(200)와, 차량진행방향으로 상기 입측RF카드단말기의 후단에 설치되어 차량통과를 검출하는 입측제2차량센서(240)와, 상기 입측제2차량센서에 의한 차량검출 신호가 입측RF카드단말기에 입력될 때, 입측RF카드단말기에서의 RF카드 거래승인 여부에 따라 진입차량 운전자에게 체크인 성공 여부를 알려주고 또한 체크인 실패시 통행권발급의무를 알려주기 위한 입측표시장치(210) 및 입측표시음발생장치(220)와, 상기 입측제2차량센서(240)의 후단에 설치되어 입측RF카드단말기에서의 RF카드 거래 불승인시 이 입측RF카드단말기의 제어에 따라 일회용 통행권을 발행하는 통행권발급장치(2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카드를 이용한 유료도로 요금징수 시스템.
  2. 개방형 유료도로 차량진입로의 일측에 설치되어 진입차량 운전자가 제시하는 RF카드정보를 무선으로 읽어들여 거래여부를 결정하고 거래 승인한 RF카드에서 유료도로 이용요금을 선불 또는 직불 또는 후불로 징수하는 입측RF카드단말기(200)와, 차량진행방향으로 상기 입측RF카드단말기의 후단에 설치되어 차량통과를 검출하는 입측제2차량센서(240)와, 상기 입측제2차량센서에 의한 차량검출 신호가 입측RF카드단말기에 입력될 때, 입측RF카드단말기에서의 RF카드 거래승인 여부에따라 진입차량 운전자에게 체크인 성공 여부를 알려주고 또한 체크인 실패시 톨게이트 부스의 징수원에게 요금납부 의무를 알려주기 위한 입측표시장치(210) 및 입측표시음발생장치(2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카드를 이용한 유료도로 요금징수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측RF카드단말기(200)의 전방에는 차량의 진입여부 검출 및 진입차량의 종류를 검출하는 입측제1차량센서(230)를 더 설치하여 이 입측제1차량센서에 의한 차량진입여부 및 진입차량의 종류 검출신호가 상기 입측RF카드단말기로 제공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카드를 이용한 유료도로 요금징수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측제1차량센서는 차량진입 및 진입차량의 종류를 구분 인식할 수 있도록 이중의 센서부(231,232)를 마련하고, 입측RF카드단말기는 차종별 운전석 높이에 적정화시킨 이중의 안테나 및 표시부(201,202)를 마련하고, 통행권발급장치(250-1)도 그 발급부(251,252)를 차종별 운전석 높이에 적정화시켜 이중으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카드를 이용한 유료도로 요금징수 시스템.
KR1020020005785A 2002-02-01 2002-02-01 알에프 카드를 이용한 유료도로 요금징수 시스템 KR200300657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5785A KR20030065789A (ko) 2002-02-01 2002-02-01 알에프 카드를 이용한 유료도로 요금징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5785A KR20030065789A (ko) 2002-02-01 2002-02-01 알에프 카드를 이용한 유료도로 요금징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5789A true KR20030065789A (ko) 2003-08-09

Family

ID=32220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5785A KR20030065789A (ko) 2002-02-01 2002-02-01 알에프 카드를 이용한 유료도로 요금징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578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3246A (ko) * 2002-03-09 2003-09-19 (주)크레디패스 무선인식 칩의 인식번호를 이용한 신용카드 블랙리스트여부 판별 검색 방법
KR100485747B1 (ko) * 2002-07-29 2005-04-2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 및 방법
KR101500323B1 (ko) * 2013-08-20 2015-03-10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통행권 발행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3246A (ko) * 2002-03-09 2003-09-19 (주)크레디패스 무선인식 칩의 인식번호를 이용한 신용카드 블랙리스트여부 판별 검색 방법
KR100485747B1 (ko) * 2002-07-29 2005-04-2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 및 방법
KR101500323B1 (ko) * 2013-08-20 2015-03-10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통행권 발행장치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1758A (en) Automatic non-computer network no-stop collection of expressway tolls by magnetic cards and method
CN100476885C (zh) 收费系统、车载单元及收费方法
US7382275B2 (en) Mobile enforcement reader
US6040785A (en) Mixed lock type toll collecting system and method for toll collection of vehicles on toll road
KR101177201B1 (ko)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 및 방법
US20040083130A1 (en) 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 and method for rental and leased vehicles
KR100920746B1 (ko) 하이패스 카드를 이용한 주차요금 징수시스템
KR20000036745A (ko) 사은포인트 적립금을 이용한 교통요금 결제시스템
KR101484960B1 (ko) 통행요금 자동정산기 및 이를 이용한 유료도로 통행요금 무인수납시스템
JP2007058299A (ja) 料金収受システムおよび料金収受方法
JP3219373B2 (ja) 駐車料金自動課金収受決済システム
KR20030065789A (ko) 알에프 카드를 이용한 유료도로 요금징수 시스템
KR100831111B1 (ko) 알에프 카드를 이용한 유료도로 요금징수 시스템
JP4854185B2 (ja) 有料道路利用管理システムおよび有料道路利用管理方法
KR100963050B1 (ko) 하이패스 미납요금의 정산시스템
KR100341677B1 (ko) 비접촉식 카드를 이용한 통행요금 지불시스템
JPH08287308A (ja) 有料道路料金収受装置
JP3506140B2 (ja) 有料道路の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及びその車載機
KR100367817B1 (ko) 전자지불용 ic칩이 내장된 광송신장치를 이용한전자지불시스템
KR20010067954A (ko) 알에프 및 집적회로가 내장된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도로통행료 자동 결제 시스템
KR101500323B1 (ko) 통행권 발행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504984B1 (ko) 알에프티켓을 이용한 유료도로 요금징수 시스템
KR101909901B1 (ko) 전자식 요금 징수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396581B1 (ko) 통행요금징수시스템 및 그 방법
JP5578967B2 (ja) Rfid方式による料金収受システム及びその電子マネー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