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3000A - 평판형 칼라 음극선관의 cnt 냉음극 3극부 구조 - Google Patents

평판형 칼라 음극선관의 cnt 냉음극 3극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3000A
KR20030063000A KR1020020003516A KR20020003516A KR20030063000A KR 20030063000 A KR20030063000 A KR 20030063000A KR 1020020003516 A KR1020020003516 A KR 1020020003516A KR 20020003516 A KR20020003516 A KR 20020003516A KR 20030063000 A KR20030063000 A KR 20030063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cathode
cnt
gate electrode
cnt cold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3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건수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Priority to KR1020020003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3000A/ko
Publication of KR20030063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300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00Details of electrodes, of magnetic control means, of screens, or of the mounting or spacing thereof,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1/02Main electrodes
    • H01J1/30Cold cathodes, e.g. field-emissive cath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02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 H01J9/022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of cold cathodes
    • H01J9/025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of cold cathodes of field emission cathodes

Landscapes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영상표시장치의 CNT 냉음극 구조에 관한 것으로, 이는 배면전극판 일면에 일정길이의 홈이 수직배열상태로 다수 형성된 충진홈과, 상기 충진홈에 전기가 통할 수 있도록 전기전도율 큰 전도재를 일정두께로 도포한 도전층과, 상기 도전층 상단부터 상기 충진홈 끝단까지 도포 충진되어 상기 도전층을 통해 흐르는 전기에 의해 전자가 방출되는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분말과 페이스트(Silver Paste)가 상호 혼합된 CNT 냉음극과, 상기 배면전극판과 게이트전극이 상호 절연되도록 상기 충진홈을 제외한 배면전극판 전면에 일정두께로 도포된 절연층과, 상기 절연층 상단에 장착되어 상기 CNT 냉음극에서 방출되는 전자를 인출하여 전자빔 형태로 방사될 수 있도록 상기 충진홈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경사홀이 형성된 게이트 전극으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CNT 냉음극 3극부를 평판형 칼라 음극선관에 적용시, 냉음극을 이루고 있는 CNT 페이스트를 넓은 면적으로 도포할 수 있어 냉음극을 이용한 대형면적의 디스플레이장치 개발이 가능함과 함께, 상기 냉음극 3극부의 구조 및 제조공정의 단순화에 따른 제품가격 및 제품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평판형 칼라 음극선관의 CNT 냉음극 3극부 구조{Construction for CNT cold cathode of flat type CRT}
본 발명은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영상표시장치의 CNT 냉음극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면전극판 전(前)면에 위치한 전자빔 발생원인 선음극과 상기 선음극에서 방출되는 전자를 인출하여 전자빔 형태로 방사되도록 하는 인출전극 대신, 상기 배면전극판 일면에 일정길이의 홈을 다수 형성하여 상기 홈에 도전층 및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 : CNT) 분말과 페이스트(Silver Paste)가 혼합된 CNT 페이스트를 도포시키고, 상기 홈을 제외한 배면전극판 전(全)면에 절연층을 도포함과 동시에 상기 절연층 상단에 금속성 게이트전극를 부착시켜 CNT 냉음극 3극부로 구성하므로서, 상기 냉음극 3극부를 평판형 칼라 음극선관에 적용할 경우, 냉음극을 이루고 있는 CNT 페이스트를 넓은 면적으로 도포할 수 있어 냉음극을 이용한 대형면적의 디스플레이장치 개발이 가능함과 함께, 상기 냉음극 3극부의 구조 및 제조공정의 단순화에 따른 제품가격 및 제품품질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평판형 칼라 음극선관의 CNT 냉음극 3극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칼라 텔레비젼용 화상표시소자로는, 금속 등을 고온으로 가열하게 되면 그 물질을 형성하고 있는 원자속의 전자가 방출되면서 공간으로 방사되는 등의 열전자 방출 현상을 이용한 브라운관(CRT : Cathode-Ray-Tube)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전자빔이 방사되는 일정크기의 전자총이 브라운관 넥 부분에 장착됨에 따른 브라운관의 전후길이가 상당히 길기 때문에, 상기 CRT 칼라 텔레비젼의 설치시 상당한 공간을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상기 CRT 텔레비젼의 경우 무게가 무거워 대형 텔레비젼의 경우 혼자서 운반하기가 힘든 문제점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기존의 브라운관 보다 전후길이가 짧고,무게도 가벼운 평판형 표시소자인 TFT-LCD, OLED, PDP 등이 개발되었는데, 이들 모두 휘도(밝기), 콘트라스트(Contrast), 색 재현성 등 화상표시소자로서 갖춰야 하는 기본 성능이 아직은 불충분한 상황이다.
상기와 같은 화상표시소자의 기본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일본국 공개특허공보(平3-184247, 平3-205751)의 면상표시장치가 제안된 바 있는데, 상기 면상표시장치(이하, 평판형 칼라 음극선관이라 함)는 스크린을 바둑처럼 단위 구역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구역마다 전자빔을 편향 주사하여 형광체를 발광시키는 것으로서, 이의 구성은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판상에 도전재로 코팅된 배면전극(2)과, 표면에 전자방사물질이 도포된 강선이 상기 배면전극(2) 전방의 수직방향으로 배열 장착된 선음극(3)과, 상기 배면전극(2)과 대향되면서 상기 선음극(3) 전방에 위치되며, 상기 선음극(3)의 수직배열상태와 대응되게 관통공이 소정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인출전극(4)과, 상기 인출전극(4) 전방에 가늘고 긴 다수의 도전판이 수평방향으로 배열 장착되어 있으면서, 상기 인출전극(4)의 관통공과 대응되도록 상기 도전판에 다수 관통공이 형성된 신호전극(5)과, 상기 신호전극(5) 전방에 위치되며, 상기 신호전극(5)의 관통공과 대응되도록 일정크기의 도전판에 사각관통공이 다수 형성된 집속전극(6)과, 상기 집속전극(6) 전방에 위치되며, 일측 끝단은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고, 타측 끝단은 수평한 형태가 서로 엇갈려 형성된 각각의 도전판을 상호 평면상으로 부착되어 일정길이의 관통홀이 수평방향으로 다수 배열된 수직편향전극(7)과, 상기 수직편향전극(7) 전방에 위치되며, 상기 수직편향전극(7)과 동일형태의 편향전극을 수평형태로 형성하여 일정길이의 관통홀이 수직방향으로 다수 배열된 수평편향전극(8)과, 상기 배면전극부터 상기 수평편향전극(8)까지 조합하여 글래스(1)(9)용기속에 수용하며, 상기 글래스 용기의 내면에 전자빔의 조사에 의해 발광하는 형광체를 도포하고, 그 상부에 메탈백(Metal Back)층이 형성된 스크린(10)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자빔 인출전극(4), 신호전극(5), 집속전극(6), 수직편향전극(7), 수평편향전극(8)은 각각 절연성의 접착제로 접합되어 하나의 조립체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평판형 칼라 음극선관의 구성요소 중 상기 선음극(3)에 전류를 흘려 텅스텐 강선을 가열하면, 상기 강선 표면에 도포된 전자방사물질에서 전자가 방출되게 되고, 이 후 상기 선음극(3) 전방에 위치된 배면전극(2) 및 인출전극(4)에 인가된 소정의 전압에 의해 상기 방출된 전자가 전자빔형태로 변화되어 상기 인출전극(4)으로 방사되는데, 이 때 전자빔은 상기 인출전극(4)의 관통공을 통해 복수개로 분할되면서 다수의 전자빔 다발로 변화되며, 상기와 같이 변화된 다수의 전자빔 다발은 신호전극(5)에 인가되는 영상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신호전극(5)의 관통공을 통과하면서 각각의 전자빔 세기가 조절된다.
이렇게 세기가 조절된 각각의 전자빔은, 집속전극(6)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공을 통과하면서 상기 관통공의 정전(전자)렌즈 효과에 의해 집속 및 정형된 다음, 수직편향전극(7) 및 수평편향전극(8)의 각 도전판의 전위차에 의해 수직 및 수평으로 편향되게 되고, 상기와 같이 수직 및 수평으로 편향된 전자빔은 글래스 용기 내에 도포된 형광체 및 메탈백층에 주사됨과 동시에, 약 10㎸ 정도의 고전압이 인가된 메탈백 층에 의해 상기 전자빔이 가속되면서 형광면에 강하게 충돌하여 빛을 발산하여 상기 글래스 용기 전면의 스크린을 통해 동화상의 화면이 생성되게 된다.
하지만, 선음극(3)인 텅스텐 강선 표면에 도포된 전자방출물질에서 전자가 방출되도록 하기 위해선 선음극(3)을 750℃이상으로 가열시켜야 하기 때문에, 상기 선음극(3) 전방에 위치한 인출전극(4)이 열변형을 일으키게 되어 상기 인출전극(4)의 관통공을 통해 전자빔 다발로 변형 방사되는 전자빔의 방사경로에 영향을 주어 스크린상에 생성되는 동화상 화면의 색 순도가 나빠지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충격이나 진동이 평판형 칼라 음극선관에 작용될 경우, 상기 전자빔 발생원인 선음극(3)이나 각 전극의 떨림에 의해 상기 선음극(3)으로부터 방사되는 전자빔의 방사경로가 변화되어 스크린상에 화면이 선명해지지 않는 문제점도 있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열팽창이 적은 금속재료인 인바아(Inbar) 즉 철-니켈 합금(Fe-Ni Alloy)를 대체하여 사용하지만 상기 인바아의 재료비가 고가이기 때문에 결국 생산원가 및 제품가격이 상승되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도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CNT 냉음극 3극부를 평판형 칼라 음극선관에 적용할 경우, 냉음극을 이루는 CNT 페이스트를 넓은 면적으로 도포할 수 있어 상기 냉음극이 적용된 대형면적의 디스플레이장치 개발이가능하며, 특히 카본 나노 튜브가 도포된 냉음극 3극부의 구조 및 제조공정이 단순하기 때문에, 이로 인한 제품의 가격 및 제품의 품질을 개선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종래의 가열에 의해 전자가 방출되도록 하는 선음극(열음극)과는 달리 열을 발생시키지 않는 냉음극으로 형성되어 있어 열에 의한 전극들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전극들을 열팽창계수가 크면서 값이 저렴한 금속재료를 적용하여 경제적인 디스플레이장치의 개발 및 제조가 가능토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평판형 칼라 음극선관의 분해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배면전극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CNT 냉음극 형성방법을 나타낸 절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CNT 냉음극 3극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5a, 도 5b 는 게이트전극의 조립여유를 나타낸 상태도.
도 6 은 본 발명인 CNT 냉음극 3극부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실시예도.
도 7 은 본 발명의 CNT 냉음극 3극부의 구동원리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배면전극판 21: 충진홈
22, 22a: 도전층 23, 23a: CNT 페이스트
24, 24a: CNT 냉음극 25, 25a: 절연층
26, 26a: 게이트전극 27, 27a: 경사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CNT 냉음극 3극부는, 배면전극판(20) 일면에 일정길이의 홈이 수직배열상태로 다수 형성된 충진홈(21)과, 상기 충진홈(21)에 전기가 통할 수 있도록 전기전도율 큰 전도재를 일정두께로 도포한 도전층(22)과, 상기 도전층(22)을 통해 흐르는 전기에 의해 전자가 방출되도록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분말과 페이스트(Silver Paste)가 상호 혼합된 CNT 페이스트(23)를 상기 도전층(22) 상단부터 상기 충진홈(21) 끝단까지 도포 충진시켜 형성된 CNT 냉음극(24)과, 상기 배면전극판(20)과 게이트전극(26)이 상호 절연되도록 상기 충진홈(21)을 제외한 배면전극판(20) 전면에 일정두께로 도포된 절연층(25)과, 상기 절연층(25) 상단에 장착되어 상기 CNT 냉음극(24)에서 방출되는 전자를 인출하여 전자빔 형태로 방사될 수 있도록 상기 충진홈(21)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경사홀(27)이 형성된 게이트 전극(26)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인 CNT 냉음극 3극부에 대한 설명을 상기 CNT 냉음극의 제조과정으로 대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배면전극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CNT 냉음극 형성방법을 나타낸 절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CNT 냉음극 3극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5 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게이트전극의 조립여유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배면전극판(20)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400-500℃의 고온에서 견딜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 평판의 일면에 탄소나노튜브(CNT) 분말과 페이스트가 혼합된 CNT 페이스트(23)를 충진할 수 있도록 일정길이의 충진홈(21)이 수직배열상태로 다수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배면전극판(20)의 충진홈(21)에 CNT 페이스트(23)를 충진시켜 냉음극(24)으로 형성하기에 앞서, 상기 CNT 페이스트(23)에서의 전자방출이 원할히 이루어질 수 있게 상기 충진홈(21) 내에 전기가 잘 흐르는 도전재를 도포하므로서, 상기 배면전극판(20)의 충진홈(21)에 일정두께의 도전층(22)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도전재가 도포된 배면전극판(20)의 충진홈(21)에 냉음극(24)으로 형성되는 CNT 페이스트(23)를 일정두께로 도포하게 되는데, 이러한 CNT 페이스트(23)의 도포과정을 도 3 과 대비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면전극판(20) 충진홈(21)에 1차적으로 도포된 도전층(22) 상단에 일정량의 CNT 페이스트(23)를 부은 다음, 평평한 주걱 등을 이용하여 상기 CNT 페이스트(23)를 고르개 긁어주므로서, 상기 충진홈(21)의 도전층(22) 상단으로부터 충진홈(21) 끝단까지 CNT 페이스트(23)가 완전히 충진되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CNT 냉음극(24)이다.
이렇게 CNT 페이스트(23)가 상기 배면전극판(20)의 충진홈(21)에 완전히 충진되게 되면, 상기 충진홈(21)을 제외한 배면전극판(20) 전(全)면에 절연재를 도포하므로서 일정두께의 절연층(25)이 형성되게 되고, 상기 절연층(25) 상단에 상기 CNT 냉음극(24)에서 방출되는 전자를 인출하여 전자빔 형태로 방사되도록 하는 금속층의 게이트전극(26)을 장착시키므로서, 본 발명의 CNT 냉음극 3극부 제조과정이 종료되며, 상기 과정을 통해 제조 완료된 CNT 냉음극 3극부는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게 된다.
이 때, 상기 게이트전극(26)은 상기 CNT 냉음극(24)에서 방출된 전자를 인출하여 전자빔 형태로 방사시키기 위해 상기 CNT 냉음극(24)에 수 ㎛정도로 가까이 근접시켜 장착시켜야 하는데, 이는 눈으로 확인하는 방법이나 기구적인 방법을 이용해선 해결되지 않는 정밀한 작업이기 때문에, 전술한 CNT 냉음극 3극부의 제조과정을 통해 CNT 냉음극(24)에 상기 게이트전극(26)을 근접 장착시키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또한, 게이트전극(26)의 경사홀(27) 폭(A)을 CNT 냉음극(24)의 폭보다 보다 작게 형성할 경우, 절연층(25)이 도포된 배면전극판(20)에 게이트전극(26)을 장착시킬 때, 상기 게이트전극(26)의 경사홀(27)과 CNT 냉음극(24)의 폭을 중심선상에 맞춰 장착할 필요없이 도 5 a 와 도 5 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전극(26)이 좌우로 약간 치우쳐 결합되어도 전자를 방출하는데 전혀 지장이 없게 된다.
도 6 은 본 발명인 CNT 냉음극 3극부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실시예도로서, 이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배면전극판(20) 및 상기 배면전극판(20)에 형성된 충진홈(21)이 제거된 일정두께의 도전층(22a)과, 상기 도전층(22a)을 통해 흐르는 전기에 의해 전자가 방출되도록 상기 도전층(22a) 상단에 CNT 페이스트(23a)를 일정두께로 도포하여 형성한 CNT 냉음극(24a)과, 상기 CNT 냉음극(24a) 상단에 도포되어 상기 CNT 냉음극(24a)과 게이트전극(26a)이 상호 절연되도록 하는 절연층(25a)과, 상기 절연층(25a) 상단에 장착되어 상기 CNT 냉음극(24a)에서 방출되는 전자를 인출하여 전자빔 형태로 방사될 수 있도록 일정길이의 경사홀(27a)이 수직방향배열로 다수 형성된 게이트전극(26a)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의 제조과정을 간단히 설명하면,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CNT 냉음극 3극부의 제조과정과는 달리 배면전극판(20) 및 배면전극판(20)에 형성된 충진홈(21)을 사용하지 않고, 일정길이의 경사홀(27a)이 수직방향배열로 다수 형성된 게이트전극(26a)판 저면에, 상기 게이트전극(26a) 및 CNT 냉음극(24a)의 상호 절연을 위한 절연층(25a)을 일정두께로 도포시키고, 상기 절연층(25a) 저면으로 CNT 페이스트(23a)를 일정두께로 도포시키며, 마지막으로 상기 CNT 페이스트(23a) 저면에 전기전도율이 큰 전도재를 도포하여 일정두께의 도전층(22a)을 형성시키므로서, 이에 따른 제조과정이 종료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CNT 냉음극 3극부의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 은 본 발명의 CNT 냉음극 3극부의 구동원리를 나타낸 것이다.
배면전극판(20)의 충진홈(21) 내에 도포된 도전층(22)에 음극을 연결하고, 게이트전극(26)에 양극을 연결하여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면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전층(22)으로 흐르는 전기에 의해 CNT 냉음극(24)으로부터 (-)전자가 방출되게 되고, 양극에 연결된 상기 게이트전극(26)의 경우 (+) 전자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CNT 냉음극(24)에서 방출된 (-)전자는 상기 게이트전극(26)에서 발생된 (+)전자 쪽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게이트전극(26)의 경사홀(27)로 인출되어 전자빔 형태로 변화되어 도 1 에 도시된 신호전극과, 집속전극과, 수직편향전극과, 수평편향전극 등을 거쳐 스크린으로 방사되게 된다.
여기서, 적당한 전압은 CNT 냉음극(24)과 게이트전극(26) 사이의 거리인 절연층(25)의 두께(C)(도 4 에 도시됨)에 비례하여 달라지게 되며, 대략 다음과 같은 식의 특성을 갖게 된다.
VT= C [㎛] * K [V/㎛]
여기서, CNT 냉음극(24) 특성을 나타내는 K 는 CNT Paste 성분 및 표면처리방법 등에 따라 영향을 받으며, 보통 K 는 3V/㎛ 값을 갖는다.
이 때, 상기 게이트전극(26)의 경사홀(27) 폭(A)은 CNT 냉음극(24)으로부터방출된 전자를 인출하기 때문에, 상기 홀(27)의 크기는 가로 또는 세로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이 10㎛-250㎛으로 제한되며, 상기 게이트전극(26)의 두께(B)는 상기 CNT 냉음극(24)에서 방출된 전자를 인출하는데 중요한 기능을 하지 않으므로 두께의 제한을 받지 않으나 대략 10㎛-250㎛의 치수를 갖는다.
또한, 상기 게이트전극(26)은 전자가 CNT 냉음극(24)으로부터 방출되기 위한 초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이 과정에서 많은 양의 전자가 게이트전극(26)으로 흘러들어 가게 된다. 이 때 스크린에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CNT 냉음극(24)으로부터 인출된 전자가 게이트전극(26)에 모두 흡수되지 않고 일부는 형광체로 빠져나가야 되며, 상기와 같이 CNT 냉음극(24)에서 인출된 전자가 상기 게이트전극(26)에 모두 흡수되지 않고 일부가 형광체로 직접 빠져나가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4 에 도시된 상기 게이트전극(26)의 경사홀(27)의 경사각도가 매우 중요하다.
여기서, 상기 게이트전극(26)의 경사홀(27) 경사각도 θG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30°≤θG≤ 90°이고, 바람직한 제 2 실시예로는 90°≤θG≤ 150°이다.
상기와 같이 상술한 경사홀(27) 경사각도 θG가 상기 범위에 안에 있을 경우, 상기 게이트전극(26)의 경사홀(27) 부근에 등전위선이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성되게 되어 상기 CNT 냉음극(24)으로부터 방출된 전자가 스크린쪽으로 용이하게 빠져나갈 수 있다.
본 발명인 평판형 칼라 음극선관의 CNT 냉음극 3극부는, 상기 CNT 냉음극 3극부를 평판형 칼라 음극선관에 적용시, 냉음극을 이루는 CNT 페이스트를 넓은 면적으로 도포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냉음극이 적용된 대형면적의 디스플레이장치를 개발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와 함께, CNT 페이스트가 도포된 냉음극 3극부의 구조 및 제조공정이 단순하기 때문에, 이로 인한 제품의 가격 및 제품의 품질을 개선시킬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가열에 의해 전자가 방출되도록 하는 선음극(열음극)과는 달리 열을 발생시키지 않는 냉음극으로 형성되어 있어 열에 의한 전극들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전극들을 열팽창계수가 크면서 값이 저렴한 금속재료를 적용하여 경제적인 디스플레이장치의 개발 및 제조가 가능한 탁월한 효과도 있다.

Claims (6)

  1. 배면전극판 일면에 일정길이의 홈이 수직배열상태로 다수 형성된 충진홈과, 상기 충진홈에 전기가 통할 수 있도록 일정두께로 도포한 도전층과, 상기 도전층을 통해 흐르는 전기에 의해 전자가 방출되도록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분말과 페이스트(Silver Paste)가 상호 혼합된 CNT 페이스트를 도포 충진시켜 형성된 CNT 냉음극과, 상기 배면전극판과 게이트전극이 상호 절연되도록 상기 충진홈을 제외한 배면전극판 전면에 일정두께로 도포된 절연층과, 상기 절연층 상단에 장착되어 상기 CNT 냉음극에서 방출되는 전자를 인출하여 전자빔 형태로 방사될 수 있도록 상기 충진홈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경사홀이 형성된 게이트전극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칼라 음극선관의 CNT 냉음극 3극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전극은 10㎛-250㎛ 두께의 금속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게이트전극의 홀 크기는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의 길이가 10㎛-250㎛로 제한된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칼라 음극선관의 CNT 냉음극 3극부.
  3. 제 1 항 내지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전극의 경사홀 경사각도 θG는 30°≤θG≤ 90°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칼라 음극선관의 CNT냉음극 3극부.
  4. 제 1 항 내지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전극의 경사홀 경사각도 θG는 90°≤θG≤ 150°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칼라 음극선관의 CNT 냉음극 3극부.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전극의 홀 폭이 탄소나노튜브를 담는 홈의 폭보다 작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칼라 음극선관의 CNT 냉음극 3극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전극판 및 상기 배면전극판에 형성된 충진홈이 제거된 일정두께의 도전층과, 상기 도전층을 통해 흐르는 전기에 의해 전자가 방출되도록 상기 도전층 상단에 CNT 페이스트를 일정두께로 도포하여 형성한 CNT 냉음극과, 상기 CNT 냉음극 상단에 도포되어 상기 CNT 냉음극과 게이트전극이 상호 절연되도록 하는 절연층과, 상기 절연층 상단에 장착되어 상기 CNT 냉음극에서 방출되는 전자를 인출하여 전자빔 형태로 방사될 수 있도록 일정길이의 경사홀이 수직방향배열로 다수 형성된 게이트전극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칼라 음극선관의 CNT 냉음극 3극부.
KR1020020003516A 2002-01-22 2002-01-22 평판형 칼라 음극선관의 cnt 냉음극 3극부 구조 KR200300630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3516A KR20030063000A (ko) 2002-01-22 2002-01-22 평판형 칼라 음극선관의 cnt 냉음극 3극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3516A KR20030063000A (ko) 2002-01-22 2002-01-22 평판형 칼라 음극선관의 cnt 냉음극 3극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000A true KR20030063000A (ko) 2003-07-28

Family

ID=32218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3516A KR20030063000A (ko) 2002-01-22 2002-01-22 평판형 칼라 음극선관의 cnt 냉음극 3극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300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235B1 (ko) * 2006-05-19 2007-12-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 장치와 이 발광 장치의 전자 방출 유닛 제조 방법 및이 발광 장치를 백 라이트 유닛으로 사용하는 액정 표시장치
KR101049821B1 (ko) * 2004-06-30 2011-07-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자 방출 소자
KR101331021B1 (ko) * 2013-02-28 2013-11-19 주식회사 엔디디 바이오 센서
CN108130053A (zh) * 2017-12-21 2018-06-08 惠州市富济电子材料有限公司 一种导热银浆及其制备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821B1 (ko) * 2004-06-30 2011-07-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자 방출 소자
KR100787235B1 (ko) * 2006-05-19 2007-12-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 장치와 이 발광 장치의 전자 방출 유닛 제조 방법 및이 발광 장치를 백 라이트 유닛으로 사용하는 액정 표시장치
KR101331021B1 (ko) * 2013-02-28 2013-11-19 주식회사 엔디디 바이오 센서
CN108130053A (zh) * 2017-12-21 2018-06-08 惠州市富济电子材料有限公司 一种导热银浆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61571B2 (ja) 電子放出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CN100543913C (zh) 场发射显示装置
TW200410282A (en) Triode structure of field-emission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1542258A2 (en) Field emission display
EP0201609A1 (en) Electron gun of picture display device
JP3936841B2 (ja) 平面電界放出型ディスプレイ
KR100859685B1 (ko) 카본계 물질로 형성된 에미터를 갖는 전계 방출 표시 장치
JP2731733B2 (ja) 電界放出冷陰極と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US7990043B2 (en) Field emission cathode structure and field emission display using the same
JPH10125215A (ja) 電界放射薄膜冷陰極及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KR100863952B1 (ko) 카본계 물질로 형성된 에미터를 갖는 전계 방출 표시 장치
KR100874450B1 (ko) 카본계 물질로 형성된 에미터를 갖는 전계 방출 표시 장치
US20040119396A1 (en) Field emission display having emitter arrangement structure capable of enhancing electron emission characteristics
US7078863B2 (en) Cold-cathode electron source and field-emission display
KR20010092674A (ko) 전계 방출형 냉음극 구조 및 그 냉음극을 이용한 전자총
US7378789B2 (en) Electron emission device
KR20030063000A (ko) 평판형 칼라 음극선관의 cnt 냉음극 3극부 구조
JP2006190665A (ja) 電界放出表示装置
US20070035229A1 (en)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JP5159011B2 (ja) 変調電界を生成する装置とその電界放射フラット画面への適用
KR100284539B1 (ko) 평면 전계 방출형 평판 표시장치
KR100869790B1 (ko) 전계 방출 표시장치
CN100349250C (zh) 电子发射装置
US6844666B2 (en) Color flat-panel display with electrodes including insulators
KR100545713B1 (ko) 플랫 브라운관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