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2834A - 도어용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용 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2834A
KR20030062834A KR1020020003254A KR20020003254A KR20030062834A KR 20030062834 A KR20030062834 A KR 20030062834A KR 1020020003254 A KR1020020003254 A KR 1020020003254A KR 20020003254 A KR20020003254 A KR 20020003254A KR 20030062834 A KR20030062834 A KR 20030062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ver
case
diaphragm
diaphragm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3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만근
Original Assignee
허만근
이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만근, 이경희 filed Critical 허만근
Priority to KR1020020003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2834A/ko
Publication of KR20030062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2834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08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10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pist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05Y2201/212Buff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3Actuation thereof
    • E05Y2201/246Actuation thereof by auxiliary motors, magnets, springs or weight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용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어의 각운동을 도모하는 도어힌지 일측에 유체와 이를 통한 오리피스 작용에 의해 생성된 유압을 이용한 완충장치로서 도어의 급격한 닫힘현상을 방지하여 구성의 간소화를 통한 시공 및 유지,보수성의 향상과 아울러 사용자의 편익증진을 이루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상기 완충장치(3)는 컵(cup)형의 중공 원통형을 이루며 일측에는 다수 개의 고정홀(32)을 원주면에 구비한 플랜지(33)가 내경에는 다수 개의 체결공(35)을 형성하여 커버(31)등을 안치하기 위해 단턱(34)을 구비한 케이스(30), 상기 케이스(30)내방에는 유압발생을 위한 유체를 비롯하여, 일측선단을 케이스(30)에 구비된 단턱(34)과 커버(31)상간에 고정한 다이어프램(41)과 케이스(30) 내경상간으로 일정한 틈(g;44)를 형성한 습동자(42)가 고정수단(43)을 통해 일체로 구성되는 다이어프램피스톤(40), 전체 형상이 헤드(51)와 바디(52)로 이루어진 형상이 'T'형으로 헤드(51)는 다이어프램피스톤(40)일측에 압입고정되고, 바디(52)는 커버(31)를 관통하여 외방으로 노출되도록 개재되는 완충핀(50) 및 스프링(60)을 더 구비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어용 완충장치{Shockabsorber for door}
본 발명은 도어용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도어 일측에 개재되어 도어의 원활한 각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도어힌지에 있어서, 상기 도어힌지에 장착되어 도어의 급격한 닫힘현상을 방지하는 도어용 완충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힌지는 미닫이 형식의 각종 도어에 개재되며, 이러한 도어힌지를 개재한 도어는 이를 기점으로 일정한 각운동을 반복하여 개,폐작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도어힌지는 도어의 종류와 적용분야에 따른 다양한 형태와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그 가운데 도 1에 도시된 도어힌지(1)는 가장 널리 사용되어진 형태로 주로 실내용의 목재질로 구성된 도어에 사용된다.
상기 도어힌지(1)는 박판의 금속부재를 가공하여 전체 형상이 사각형을 이루는 것으로, 다수 개의 체결공(10)이 형성된 평판형의 힌지플레이트(11)가 각각 형성되고, 각 힌지플레이트(11)는 힌지핀(12)을 통해 회동자유롭게 체결된다.
상기와 같은 도어힌지(1)는 도 2에서와 같이 일측은 도어(2)에 고정하고 타측은 도어프레임(20)에 장착하여 도어(2)의 원활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러한 도어힌지(1)는 도어 개,폐의 원활성을 위해 각 힌지플레이트(11)와 힌지핀(12)의 조립공차가 헐거운공차를 유지하며, 이로 인해 작은 외력에도 쉽게도어(2)가 개,폐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도어힌지(1)의 원활성으로 인해 바람이나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한 과다한 외력이 작용할 경우 급격한 닫힘현상을 유발하여 도어(2)와 도어프레임(20)사이에 신체의 일부가 끼어 부상을 당하는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며, 마찰에 의한 다대한 도어 작동소음을 유발하여 사용자를 비롯한 주위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그리하여 미닫이형식의 도어에 급격한 닫힘현상을 억제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와 구조의 도어 완충장치가 안출되었으나, 구조가 복잡하며 시공 및 유지,보수가 난이하며, 장착 후 완충장치가 외방으로 노출되어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으로 그 실효성이 저조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도어의 각운동을 도모하는 도어힌지 일측에 유체와 이를 통한 오리피스 작용에 의해 생성된 유압을 이용한 완충장치로서 도어의 급격한 닫힘현상을 방지하여 구성의 간소화를 통한 시공 및 유지,보수성의 향상과 아울러 사용자의 편익증진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도어힌지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이 적용된 도어힌지의 일례 가운데 장착상태를 도시한 일부 파절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도어용 완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 - 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도어용 완충장치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일부 파절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도어용 완충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3;도어용 완충장치30;케이스
31;커버33;플랜지
34;단턱4;도어힌지
40;다이어프램피스톤41;다이어프램
42;습동자44;틈
5;도어50;완충핀
6;도어프레임60;스프링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도어용 완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A - 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도어용 완충장치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일부 파절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도어용 완충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도어용 완충장치(3)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개략 컵(cup)형을 이루는 케이스(30) 및 그 개방측을 폐쇄하는 커버(31)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30) 내방에는 유압발생을 위한 유체를 비롯하여 유체의 오리피스작용을 통해 유압을 생성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다이어프램피스톤(40), 상기 다이어프램피스톤(40)과 연계되며 도어힌지(4)에 관통구비되는 완충핀(50), 및 상기 다이어프램피스톤(40)의 원복을 위한 스프링(60)이 수용된다.
상기 케이스(30)는 도 4에서와 같이 중공의 원통형으로 일측에는 다수 개의 고정홀(32)을 원주면에 구비한 플랜지(33)가 형성되고, 플랜지(33) 내경에는 다이어프램피스톤(40)을 비롯하여 원반형인 커버(31)를 안치하기 위한 복수 개의 단턱(34)을 구비하고, 가장자리에 위치한 단턱(34)에는 커버(31)의 고정을 위한 체결공(35)이 다수 개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30) 내방에 안치되어 유압 발생을 도모하는 다이어프램피스톤(40)은 비교적 형상 변형이 용이한 다이어프램(41)과 유체의 오리피스 작용을 도모하는 원주형의 습동자(42)가 볼트 또는 리벳등의 고정수단(43)을 통해 조합된 구성을 가진다.
더불어 상기 다이어프램(41)은 일측선단이 케이스(30) 개방부에 형성된 단턱(34)에 안치되며, 그 외측으로 커버(31)를 개재하여 다이어프램(41)의 유동을비롯하여 케이스(30)내방에 충진된 유체의 기밀유지를 도모한다.
또한 상기 다이어프램(41)과 고정수단(43)을 통해 조합된 습동자(42)는 케이스(30) 내경상간으로 일정한 틈(gab;44)를 형성하고, 이러한 틈(44)의 규격을 통해 유체의 완충유압을 조절할 수 있으며, 나아가 케이스(30) 원주면과의 상간에는 다이어프램피스톤(40)의 완충작용후 원복에 요구되는 스프링(60)을 더 개재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다이어프램피스톤(40)과 연계되며 도어힌지(4)에 관통구비되는 완충핀(50)은 헤드(51)와 바디(52)로 이루어져 그 전체 형상이 'T'형을 이루는 것으로, 헤드(51)는 다이어프램피스톤(40)일측에 압입고정되고, 바디(52)는 케이스커버(31)를 관통하여 소정의 길이가 외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인 도어용 완충장치(3)는;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도어힌지(4) 일측 배면에 볼트를 통하여 고정하고, 도어힌지(4)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하여 완충핀(50)의 일부가 돌출되도록 장착하여, 도어힌지(4)일측은 도어(5)에 고정하고, 타측은 도어프레임(6)에 고정하되 도어힌지(4)저면에 개재된 완충장치(3)를 도어프레임(6)내방에 함몰하여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개재된 도어용 완충장치(3)는 도어(5)의 개방상태에서는 도 6 a)에서와 같이 케이스(30)와 다이어프램피스톤(40) 상간에 개재된 스프링(60)의 탄성력으로 인해 완충핀(50)이 일정길이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며 도어용 완충장치(3)는 초기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6 b)에서와 같이 도어(5)에 바람을 비롯하여 사용자에 의해 외력이 작용하여 도어(5)의 급격한 닫힘현상으로 도어힌지(4) 일측으로 돌출된 완충핀(50)에 순간적인 하중이 작용하면, 완충핀(50)이 후방(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하며 이와 연계된 다이어프램피스톤(40)을 밀게되고, 이러한 다이어프램피스톤(40)은 케이스(30) 내방에 충진된 유체를 가압함으로 밀도를 상승시켜 습동자(42) 일측에 형성된 틈(44)을 통해 유체가 이동하는 오리피스작용으로 유체에는 일정한 유압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유체에 생성된 유압은 완충핀(50)을 비롯한 다이어프램피스톤(40)의 이동속도를 저하시키고, 이러한 과정에서 도어(5)의 급격한 닫힘에서 야기된 충격하중을 유압을 통해 완화하여 상쇄시킴으로써, 도어(5)는 충격을 최소화하여 최종적으로 부드럽게 닫히게 된다.
그리하여 이러한 도어(5)의 부드러운 작동은 특히 가정에서 유아를 비롯한 아동들의 도어(5)를 닫을 경우 부주의에 의해 손가락등이 끼어 신체가 손상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나아가 도어(5) 작동소음이 극히 배제되는 공간에서의 사용자 부주의에 의한 소음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와 같이 일련의 과정을 통해 도어(5)의 부드러운 닫힘을 유도한 도어용 완충장치(3)는 도어(5)의 열림과 동시에 완충핀(50)에 작용하는 하중이 사라지면서 케이스(30)와 다이어프램피스톤(40) 상간에 개재된 스프링(60)의 탄성력에 의해 완충핀(50)을 비롯한 다이어프램피스톤(40)이 원복함과 아울러 케이스(30)내방 전체에 걸쳐 분포하는 유체 역시 원복하여 초기상태를 유지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인 도어용 완충장치는 다이어프램피스톤과 유체를 통한구성의 간소화를 이룰 수 있어 사용 및 시공성이 향상되며, 장착부위가 도어프레임내방에 함몰구비됨으로 장착 후 외관이 미려할 뿐 아니라 반영구적 내구성을 가짐으로 유지, 보수성이 뛰어난 장점을 가진다.
더불어 도어힌지에 돌출된 완충핀의 작용으로 인해 외력에 의해 도어의 급격한 닫힘현상에서 사용자의 신체손상을 야기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

  1. 도어용 완충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완충장치(3)는,
    컵(cup)형의 중공 원통형을 이루며 일측에는 다수 개의 고정홀(32)을 원주면에 구비한 플랜지(33)가 내경에는 다수 개의 체결공(35)을 형성하여 커버(31)등을 안치하기 위해 단턱(34)을 구비한 케이스(30),
    상기 케이스(30)내방에는 유압발생을 위한 유체를 비롯하여,
    일측선단을 케이스(30)에 구비된 단턱(34)과 커버(31)상간에 고정한 다이어프램(41)과 케이스(30) 내경상간으로 일정한 틈(g;44)를 형성한 습동자(42)가 고정수단(43)을 통해 일체로 구성되는 다이어프램피스톤(40),
    전체 형상이 헤드(51)와 바디(52)로 이루어진 형상이 'T'형으로 헤드(51)는 다이어프램피스톤(40)일측에 압입고정되고, 바디(52)는 커버(31)를 관통하여 외방으로 노출되도록 개재되는 완충핀(50) 및
    상기 다이어프램피스톤(40)의 원복에 요구되는 스프링(60)을 더 구비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완충장치.
KR1020020003254A 2002-01-21 2002-01-21 도어용 완충장치 KR200300628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3254A KR20030062834A (ko) 2002-01-21 2002-01-21 도어용 완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3254A KR20030062834A (ko) 2002-01-21 2002-01-21 도어용 완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2834A true KR20030062834A (ko) 2003-07-28

Family

ID=32218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3254A KR20030062834A (ko) 2002-01-21 2002-01-21 도어용 완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283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171Y1 (ko) * 2010-08-20 2011-04-15 이준재 충격흡수 기능이 구비된 이중창
KR102145419B1 (ko) * 2019-06-27 2020-08-19 (주)공간큐비클 화장실 칸막이의 도어 안전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79886A (ja) * 1989-04-21 1990-11-15 Fuji Seiki Co Ltd ドアダンパ
JPH04161684A (ja) * 1990-10-25 1992-06-05 Fuji Seiki Co Ltd 回転蓋等の開閉装置
DE29913854U1 (de) * 1999-08-09 1999-10-07 Salice Arturo Spa Bremsverzögerungsvorrichtung für Türen, Fenster o.dgl.
KR200174125Y1 (ko) * 1997-12-17 2000-04-01 양세일 뚜껑 닫힘동작 완충장치
KR200233054Y1 (ko) * 2001-02-21 2001-09-28 이상훈 도어용 완충기
KR200243185Y1 (ko) * 2001-03-23 2001-10-08 주식회사 솔텍 내장형 도어 개폐 완충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79886A (ja) * 1989-04-21 1990-11-15 Fuji Seiki Co Ltd ドアダンパ
JPH04161684A (ja) * 1990-10-25 1992-06-05 Fuji Seiki Co Ltd 回転蓋等の開閉装置
KR200174125Y1 (ko) * 1997-12-17 2000-04-01 양세일 뚜껑 닫힘동작 완충장치
DE29913854U1 (de) * 1999-08-09 1999-10-07 Salice Arturo Spa Bremsverzögerungsvorrichtung für Türen, Fenster o.dgl.
KR200233054Y1 (ko) * 2001-02-21 2001-09-28 이상훈 도어용 완충기
KR200243185Y1 (ko) * 2001-03-23 2001-10-08 주식회사 솔텍 내장형 도어 개폐 완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171Y1 (ko) * 2010-08-20 2011-04-15 이준재 충격흡수 기능이 구비된 이중창
KR102145419B1 (ko) * 2019-06-27 2020-08-19 (주)공간큐비클 화장실 칸막이의 도어 안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67247B2 (ja) 減衰装置を有する家具用ヒンジ
US5855040A (en) Hinge structure of rotary door
US8336166B2 (en) Hinge damper
JP2000160926A (ja) 制動遅延装置
KR20130041273A (ko) 가구용 댐퍼
KR100393850B1 (ko) 공기 댐퍼
JP2009529641A (ja) 汎用衝撃防止装置
JP2017155578A (ja) 緩衝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什器用蝶番
US20120175830A1 (en) Buffer
KR101738584B1 (ko) 도어용 완충 스토퍼
KR20030062834A (ko) 도어용 완충장치
JP2008156906A (ja) 折り戸開閉装置
WO2012008362A1 (ja) 緩衝装置
JP2007303077A (ja) 折り戸の開閉装置
US11248393B2 (en) Latch bolt buffer structure for lock body
KR20140105916A (ko) 여닫이문의 완충장치
CN217380147U (zh) 一种家具用五金缓冲铰链
KR200475797Y1 (ko) 완충기능이 강화된 창호용 스토퍼
EP2205811A1 (en) Improvements in movement controls
KR200419941Y1 (ko) 미닫이 도어용 완충구조
CN217977203U (zh) 一种微型阻尼器及其车用执行器总成
KR100794370B1 (ko) 완충장치를 겸한 빠찌링
KR102492726B1 (ko) 도어 스토퍼
US2440887A (en) Antirattle device for windows and the like
KR970070402A (ko) 여닫이문용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