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1566A - 산업폐기물의 탈수방법 및 탈수장치 - Google Patents

산업폐기물의 탈수방법 및 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1566A
KR20030061566A KR1020020002185A KR20020002185A KR20030061566A KR 20030061566 A KR20030061566 A KR 20030061566A KR 1020020002185 A KR1020020002185 A KR 1020020002185A KR 20020002185 A KR20020002185 A KR 20020002185A KR 20030061566 A KR20030061566 A KR 20030061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hydration
waste
industrial waste
conveyor syste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2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기
Original Assignee
황성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성기 filed Critical 황성기
Priority to KR1020020002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1566A/ko
Publication of KR20030061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156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1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applying pressure, e.g. wringing; by brushing; by wi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폐기물의 탈수방법과 그 탈수방법에 적합한 탈수장치에 대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탈수기구에시 실시하는 탈수과정 이전에 예비탈수를 목적으로 하는 제2차 탈수과정을 거치도록 하여 탈수 효율을 높이고자 하는데 있으며, 또 그 이전에 이송과정에서 이송을 주 목적으로 하지만 제1차적인 예비탈수가 실시될 수 있도록 하여 탈수작업 능률을 최대로 올릴 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며, 더 나가서 상기와 같은 탈수방법에 적합한 탈수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천공판재(14)로써 구성된 용기부(13)와, 이 용기부의 다음 위치에서 천공판재(14)로 구성하되 차폐판(16)을 가진 압착실(15)과, 상기 용기부측에서 상기 압착실로 왕복할 수 있도록 유압실린더(18)의 로드(19)에 고정한 압착판(11)으로 이루어진 탈수기구(10)와; 상기한 탈수기구(10)의 차폐판(16) 다음의 위치에 연결된 배출측 컨베이어 시스템(30)과 ; 상기한 탈수기구(10)의 위에 설치하되, 용기부(13)의 상측에 입설한 배출측 슈트(41a)와, 상기 배출측 슈트의 일측으로 수평연장된 이송통로부(42)와, 상기 이송통로부(42)의 도입부에서 다시 상측으로 연장한 도입측 슈트(41b)를 구성한 후, 상기 이송통로부(42)의 속을 전진 후퇴할 수 있도록 유압실린더(44a)의 로드(44b)에 연결한 압송기구(43)로 이루어진 폐기물 공급수단(40)과; 상기한 폐기물 공급수단(40)의 도입측 슈트(41b)의 위로 폐기물을 공급하기 위해 기어드 모터(21)와, 이기어드 모터의 동력으로 구동되는 원동측 롤러(22)와, 원동측 롤러와 임의의 거리를 두고 설치된 종동측 롤러(23)와, 이들 롤러에 감긴 컨베이어 벨트(24)로 이루어진 컨베이어를 설치하되, 출발지 보다 목적지의 높이가 더 높게 지지대(25)를 설치 하면서 그 지지대를 이용하여 상기 컨베이어 벨트(24)의 전 구간 아래에 물받이 받침대(26)를 설치한 공급측 컨베이어 시스템(20); 으로 구성하는데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산업폐기물의 탈수방법 및 탈수장치{Dehydration Method and Dehydration System for Industrial Waste}
본 발명은 산업폐기물의 탈수방법과 그 탈수방법에 적합한 탈수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수분을 함유하는 산업폐기물을 오직 탈수를 목적으로 하는 탈수기구로 써 탈수하되, 이 탈수기구까지 산업폐기물을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예비적인 1차, 2차 탈수 과정을 거치도록 하는 탈수방법과, 이 탈수방법에 적합하도록 컨베이어를 이용한 1차 예비 탈수수단, 일정량씩 공급하는 공급기구를 이용한 2차 예비 탈수수단을 포함하는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지, 폐섬유, 폐수지 등 각종 자원을 재활용 하기 위해 재생시키는 재생산업분야라든지, 각종 산업쓰레기를 폐기하기 위한 처리장소에는 그 각각의 폐기물에서 수분을 탈수한 후 소각하기 위해 탈수장치를 구비한다.
도 1은 이러한 탈수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일측에 탈수기구(10)가 설치되어 있고, 그 탈수기구로 폐기물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측 컨베이어 시스템(20)과, 탈수된 폐기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측 컨베이어 시스템(30)을 함께 구비하고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탈수기구(10)와 그 이전의 공급측 컨베이어 시스템(20)을, 또는 탈수기구(10)와 그 이후의 배출측 컨베이어 시스템(30) 만을 구비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상기한 탈수기구(10)는 통상적인 것으로서, 유압실린더(18)의 로드(19)로써 진퇴시킬 수 있는 압착판(11)과, 상기 압착판의 진퇴 작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수단(12)과, 상기 압착판(11)의 진퇴 행정거리 내에 있으면서 천공판재(14)로써 구성된 용기부(13)와, 이 용기부의 다음 위치에서 역시 천공판재(14)로 이루어진 압착실(15)과, 상기 압착실(15)의 배후를 차단 또는 개방할 수 있도록 유압기구(17)로써 작동하는 차폐판(16)으로 이루어 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폐기물 탈수장치는 수분을 함유한 폐기물이 공급측 컨베이어 시스템(20)으로 공급되면 먼저, 천공판재(14)로 이루어진 용기부(13)로 투입되고, 압착판(11)은 차폐판(16)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압착실(15)로 폐기물을밀어 넣어 압착을 시킨다.
즉, 용기부(13)속으로 투입된 폐기물을 압착판(11)이 압착실(15)로 밀어 넣게 되고, 압착실로 보내진 상태에서도 계속 유압실린더 로드(19)가 전진하면 차폐판(16)과의 사이에서 탈수가 이루어지고, 탈수가 이루어진 폐기물은 유압기구(17)에 의해 차폐판(16)이 위로 들어 올려 졌을 때, 배출측 컨베이어 시스템(30)으로 보내 진다.
이와 같은 작동을 반복하면 공급측 컨베이어 시스템(20)으로부터 탈수기구(10)로 보내지고, 탈수기구(10)에서 탈수를 한 다음 배출측 컨베이어 시스템(30)으로 보내지는 일련의 공정이 반복되면서 많은 양의 폐기물을 계속 탈수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탈수장치는 공급측 컨베이어 시스템이 탈수에 도움을 주지 못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예비 탈수과정이 없고, 오직 탈수기구에서만 탈수기능을 발휘하기 때문에 탈수 효율이 높지 못하며, 탈수기구(10)의 성능이 좋아도 약 70% 이하의 함유율로 탈수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탈수장치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탈수기구에시 실시하는 탈수과정 이전에 예비탈수를 목적으로 하는 제2차 탈수과정을 거치도록 하여 탈수 효율을 높이고자 하는데 있으며, 또 그 이전에 이송과정에서 이송을 주 목적으로 하지만 제1차적인 예비탈수가 실시될 수 있도록 하여 탈수작업 능률을 최대로 올릴 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며, 더 나가서 상기와 같은 탈수방법에 적합한 탈수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그 방법에 있어서, 컨베이어 벨트를 도입되는쪽 보다 목적지쪽이 더 높은 위치를 갖도록 기울어지게 설치하고, 그 아래에 기울어진 상태를 따라 물받이 받침대를 설치하여 컨베이어 벨트위의 산업폐기물에서 떨어지는 물이 물받이 받침대를 타고 목적지쪽과 반대 방향으로 흘러 그 다음 공정으로 유입되지 못하게 하는 이송을 겸한 제1차 예비탈수과정; 상기 제1차 예비탈수과정을 거쳐 공급된 산업폐기물을 사방으로 다수의 천공구멍을 가진 이송통로부를 통과시키되, 유압기구로써 왕복하는 압송기구를 사용하여 간헐적으로 이송시키므로써 대부분의 물이 자연낙하하도록 하는 제2차 예비탈수과정; 상기 제2차 예비탈수과정을 거쳐 공급되는 산업폐기물을 차폐판이 구비된 압착실 내에 투입한 후, 상기 차폐판을 향하여 유압기구로 왕복하는 압착판으로 써 압착하여 탈수하는 주 탈수과정; 을 순차적으로 거쳐 탈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그 장치에 있어서, 천공판재로써 구성된 용기부와, 이 용기부의 다음 위치에서 천공판재로 구성하되 차폐판을 가진 압착실과, 상기 용기부측에서 상기 압착실로 왕복할 수 있도록 유압실린더의 로드에 고정한 압착판으로 이루어진 탈수기구와; 상기한 탈수기구의 차폐판 다음의 위치에 연결된 배출측 컨베이어 시스템과 ; 상기한 탈수기구의 위에 설치하되, 용기부의 상측에 입설한 배출측 슈트와, 상기 배출측 슈트의 일측으로 수평연장된 이송통로부와, 상기 이송통로의 도입부에서 다시 상측으로 연장한 도입측 슈트를 구성한 후, 상기 이송통로부의 속을 전진 후퇴할 수 있도록 유압실린더의 로드에 연결한 압송기구로 이루어진 폐기물 공급수단과; 상기한 폐기물 공급수단의 도입측 슈트의 위로 폐기물을 공급하기 위해 기어드 모터와, 이 기어드 모터의 동력으로 구동되는 원동측 롤러와, 원동측 롤러와 임의의 거리를 두고 설치된 종동측 롤러와, 이들 롤러에 감긴 컨베이어 벨트로 이루어진 컨베이어를 설치하되, 출발지 보다 목적지의 높이가 더 높게 지지대를 설치 하면서 그 지지대를 이용하여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전 구간 아래에 물받이 받침대를 설치한 공급측 컨베이어 시스템;으로 구성하는데 특징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탈수장치를 보인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탈수기구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탈수장치를 보인 전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공급측 컨베이어 시스템의 구성도
도 5는 도 3의 일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공급수단과 탈수기구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탈수기구11 : 압착판
12 : 가이드수단13 : 용기부
14 : 천공판재15 : 압착실
16 : 차폐판17 : 유압기구
18 : 유압실린더19 : 로드
20 : 공급측 컨베이어 시스템21 : 기어드 모터
22 : 원동측 롤러23 : 종동측 롤러
24 : 컨베이어 벨트25 : 지지대
26 : 물받이 받침대30 : 배출측 컨베이어 시스템
40 : 폐기물 공급수단41a : 배출측 슈트
41b : 도입측 슈트42 : 이송통로부
43 : 압송기구44a : 유압실린더
44b : 로드45 : 압송판
46 : 케이스46a : 브라켓트
47 : 롤러 어셈브리48 : 지지프레임
48a : 가이드레일
이하 본 발명의 탈수방법과 탈수장치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탈수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탈수장치이다.
먼저, 도면을 통해 탈수장치의 구성을 보면, 크게 중앙 아래에 놓인 탈수기구(10)와, 그 다음 배출측 컨베이어 시스템(30)과, 그 전의 폐기물 공급수단(40)과, 이 폐기물 공급수단 이전의 공급측 컨베이어 시스템(20)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한 탈수기구(10)는 천공판재(14)로써 구성된 용기부(13)와, 이 용기부의 다음 위치에서 천공판재(14)로 구성하되 차폐판(16)을 가진 압착실(15)과, 상기 용기부측에서 상기 압착실로 왕복할 수 있도록 유압실린더(18)의 로드(19)에 고정한 압착판(11)으로 이루어 지며 종래와 대동소이하다.
또, 배출측 컨베이어 시스템(30)은 종래와 대동소이한 것으로, 상기한 탈수기구(10)의 차폐판(16) 다음의 위치에 연결되어 탈수가 이루어진 페기물을 다음공정으로 보내기 위한 것이다.
상기 폐기물 공급수단(40)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징적인 부분으로서, 상기한 탈수기구(10)의 위에 설치하되, 용기부(13)의 상측에 입설한 배출측 슈트(41a)와, 상기 배출측 슈트의 일측으로 수평연장된 이송통로부(42)와, 상기 이송통로부(42)의 도입부에서 다시 상측으로 연장한 도입측 슈트(41b)를 구성한 후, 상기 이송통로부(42)의 속을 전진 후퇴할 수 있도록 유압실린더(44a)의 로드(44b)에 연결한 압송기구(43)로 이루어 진다.
그리고 이때, 상기한 압송기구(43)는 유압실린더(44a)의 로드(44b)에 연결된 압송판(45)과, 이 압송판의 상, 하 좌, 우 측면에서 후방으로 연장시킨 케이스(46)와, 이 케이스의 좌, 우 측면에서 각각의 브라켓트(46a)상에 부착한 롤러 어셈브리(47)와, 이 롤러 어셈브리가 전, 후로 안내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48)상에 설치한 가이드레일(48a)로 구성하는 것이며, 이는 유압기구의 큰 힘으로 작동하는 압송기구가 전, 후진 할 때 무리가 없이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 공급측 컨베이어 시스템(20)은 앞에서의 폐기물 공급수단(40)의 도입측 슈트(41b) 위로 폐기물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어드 모터(21)와, 이 기어드 모터의 동력으로 구동되는 원동측 롤러(22)와, 원동측 롤러와 임의의 거리를 두고 설치된 종동측 롤러(23)와, 이들 롤러에 감긴 컨베이어 벨트(24)로 이루어 지는데, 가장 중요한 점은 폐기물의 출발지 보다 목적지의 높이가 더 높게 지지대(25)를 기울여서 설치 하고, 그 지지대(25)를 이용하여 상기 컨베이어 벨트(24)의 전 구간 아래에 물받이 받침대(26)를 설치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탈수방법은 상기와 같은 새로운 탈수장치를 사용하여 실시하는 탈수방법으로서, 제1차 예비탈수과정과, 제2차 예비탈수과정을 거친 후에 본격적인 탈수과정을 거쳐 탈수 효율을 높이는 것이 특징이다.
제1차 예비탈수과정은 공급측 컨베이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수집된 산업폐기물을 공급측 컨베이어 시스템을 사용하여 다음 과정인 폐기물 공급수단(40)으로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흘러 내리는 물을 물받이 받침대(26)로 떨어지게 하여 수집하되, 기울어진 컨베이어 벨트(24)와 같은 기울기로 설치된 물받이 받침대(26)를 따라 역방향으로 수집되게 하는 것이다.
이는 종래와 같은 방법으로 폐기물을 이송 시키면서도 흘러 내리는 물의 대부분이 폐기물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아니라 반대방향으로 수집되므로 매우 효과적이다.
제2차 예비탈수과정은 폐기물 공급수단(40)에서 폐기물을 일정 주기를 가지고 간헐적으로 공급하도록 하여 탈수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차 예비탈수과정에서 어느정도의 물이 빠진 폐기물을 도입측 슈트(41b)로 전달 받게 되고, 이 도입측 슈트(41b)의 아래에는 유압실린더의 로드에 의해 작동하는 압송기구(43)가 있는 바, 이 압송기구(43)가폐기물을 가로방향으로 연장된 이송통로부(42)로 밀어 이송시킨다.
폐기물을 밀어 이송시키기 위해서 압송기구(43)가 전진해 있는 동안 상기 도입측 슈트(41b) 속의 폐기물은 상기 압송기구(43)의 상면에 얹혀 대기 상태로 있다가 압송기구(43)가 후퇴하면 다시 낙하하게 되고 낙하한 폐기물을 다시 압송기구(43)가 밀어 전진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폐기물을 가로로 이송시키되 간헐적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수분이 천공판재(14)의 구멍들을 통해 빠지게 된다.
그 다음으로 본격적인 탈수과정을 거친다.
이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폐기물 공급수단(40)에 의해 폐기물이 용기부(13)로 들어 오면 역시 압착판(11)이 유압실린더(18)에 의해 전진 하고, 전진하는 상대쪽에 차폐판(16)이 내려와 있으므로 그 사이에서 압축되는 폐기물은 철저히 탈수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탈수가 이루어진 폐기물은 차폐판(16)이 상승하였을 때, 그 다음의 배출측 컨베이어 시스템(30)으로 보내진다.
이때는 제1차 예비탈수과정 및 제2차 예비탈수과정을 거친 상태이기 때문에 많은 양의 수분이 제거 된 상태이고, 그 상태에서 다시 또 압착판(11)으로 써 강하게 눌러 적극적으로 탈수하기 때문에 탈수 효율이 상당히 높아지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폐기물 공급수단(40)의 이송통로부(42)를 짧게 또는 길게 가변하였을 때 탈수 효과에 차이가 있으므로 폐기물의 종류에 따라 설계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또, 그 단면 모양도 폐기물의 성분 및 성질에 따라 사각 단면모양으로, 혹은 원형 단면모양으로 설계 변경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탈수장치는 공급측 컨베이어와 배출측 컨베이어의 사이에 폐기물을 간헐적으로 이송시키는 별도의 폐기물공급수단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공급측 컨베이어와 배출측 컨베이어의 사이에 단순히 탈수기구만을 설치하던 종래와 달리 탈수작업이 간편하고 효과가 향상되며, 특히, 공급측 컨베이어 시스템을 이용한 제1차 예비탈수과정과, 상기의 폐기물공급수단을 이용하는 제2차 예비탈수과정을 거친 후에 본격적인 탈수작업을 실시 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에 비하여 탈수 효율이 월등히 높아지는 것이다.

Claims (4)

  1. 수집된 산업폐기물을 공급측 컨베이어 시스템을 사용하여 다음 과정으로 이송시키되, 상기 컨베이어 시스템의 컨베이어 벨트는 도입되는쪽 보다 목적지쪽이 더 높은 위치를 갖도록 기울어지게 설치하고, 그 아래에 기울어진 상태를 따라 물받이 받침대를 설치하여 컨베이어 벨트위의 산업폐기물에서 떨어지는 물이 물받이 받침대를 타고 목적지쪽과 반대 방향으로 흘러 그 다음 공정으로 유입되지 못하게 하는 이송을 겸한 제1차 예비탈수과정;
    상기 제1차 예비탈수과정을 거쳐 공급된 산업폐기물을 사방으로 다수의 천공구멍을 가진 이송통로부를 통과시키되, 유압기구로써 왕복하는 압송기구를 사용하여 간헐적으로 이송시키므로써 대부분의 물이 자연낙하하도록 하는 제2차 예비탈수과정;
    상기 제2차 예비탈수과정을 거쳐 공급되는 산업폐기물을 차폐판이 구비된 압착실 내에 투입한 후, 상기 차폐판을 향하여 유압기구로 왕복하는 압착판으로 써 압착하여 탈수하는 주 탈수과정; 을
    순차적으로 거쳐 탈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폐기물의 탈수방법.
  2. 천공판재(14)로써 구성된 용기부(13)와, 이 용기부의 다음 위치에서 천공판재(14)로 구성하되 차폐판(16)을 가진 압착실(15)과, 상기 용기부측에서 상기 압착실로 왕복할 수 있도록 유압실린더(18)의 로드(19)에 고정한 압착판(11)으로 이루어진 탈수기구(10)와;
    상기한 탈수기구(10)의 차폐판(16) 다음의 위치에 연결된 배출측 컨베이어 시스템(30)과 ;
    상기한 탈수기구(10)의 위에 설치하되, 용기부(13)의 상측에 입설한 배출측 슈트(41a)와, 상기 배출측 슈트의 일측으로 수평연장된 이송통로부(42)와, 상기 이송통로부(42)의 도입부에서 다시 상측으로 연장한 도입측 슈트(41b)를 구성한 후, 상기 이송통로부(42)의 속을 전진 후퇴할 수 있도록 유압실린더(44a)의 로드(44b)에 연결한 압송기구(43)로 이루어진 폐기물 공급수단(40)과;
    상기한 폐기물 공급수단(40)의 도입측 슈트(41b)의 위로 폐기물을 공급하기 위해 기어드 모터(21)와, 이 기어드 모터의 동력으로 구동되는 원동측 롤러(22)와, 원동측 롤러와 임의의 거리를 두고 설치된 종동측 롤러(23)와, 이들 롤러에 감긴 컨베이어 벨트(24)로 이루어진 컨베이어를 설치하되, 출발지 보다 목적지의 높이가 더 높게 지지대(25)를 설치 하면서 그 지지대를 이용하여 상기 컨베이어 벨트(24)의 전 구간 아래에 물받이 받침대(26)를 설치한 공급측 컨베이어 시스템(20); 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폐기물의 탈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한 산업폐기물 공급수단(40)의 압송기구(43)는 유압실린더(44a)의로드(44b)에 연결된 압송판(45)과, 이 압송판의 상, 하 좌, 우 측면에서 후방으로 연장시킨 케이스(46)와, 이 케이스의 좌, 우 측면에 각각 부착한 롤러 어셈브리(47)와, 이 롤러 어셈브리가 전, 후로 안내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48)상에 설치한 가이드레일(48a)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폐기물의 탈수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한 산업폐기물 공급수단(40)의 이송통로부(42)는 그 단면모양을 원통형으로 하고, 그 내부를 왕복할 압송기구(43)의 압송판(45)을 원형으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폐기물의 탈수장치.
KR1020020002185A 2002-01-15 2002-01-15 산업폐기물의 탈수방법 및 탈수장치 KR200300615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2185A KR20030061566A (ko) 2002-01-15 2002-01-15 산업폐기물의 탈수방법 및 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2185A KR20030061566A (ko) 2002-01-15 2002-01-15 산업폐기물의 탈수방법 및 탈수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1180U Division KR200270984Y1 (ko) 2002-01-15 2002-01-15 산업폐기물의 탈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1566A true KR20030061566A (ko) 2003-07-22

Family

ID=32218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2185A KR20030061566A (ko) 2002-01-15 2002-01-15 산업폐기물의 탈수방법 및 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1566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13432A (ja) * 1982-06-04 1983-12-12 Nec Corp 処理装置
JPS6447488A (en) * 1987-08-12 1989-02-21 Sekoguchi Kensetsu Kk Equipment for separating scrap building material
JPH0544207U (ja) * 1991-11-20 1993-06-15 璋 伊東 残菜等の水切り搬送装置
KR950013468U (ko) * 1993-11-04 1995-06-15 주식회사 유천엔지니어링 잡폐기물 탈수장치
KR19980036140A (ko) * 1996-11-16 1998-08-05 양춘회 수분 분리용 압착기
KR200194531Y1 (ko) * 2000-03-30 2000-09-01 주식회사신텍 폐기물의 현장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13432A (ja) * 1982-06-04 1983-12-12 Nec Corp 処理装置
JPS6447488A (en) * 1987-08-12 1989-02-21 Sekoguchi Kensetsu Kk Equipment for separating scrap building material
JPH0544207U (ja) * 1991-11-20 1993-06-15 璋 伊東 残菜等の水切り搬送装置
KR950013468U (ko) * 1993-11-04 1995-06-15 주식회사 유천엔지니어링 잡폐기물 탈수장치
KR19980036140A (ko) * 1996-11-16 1998-08-05 양춘회 수분 분리용 압착기
KR200194531Y1 (ko) * 2000-03-30 2000-09-01 주식회사신텍 폐기물의 현장처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1438602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рессовани в блоки отходов металлообработки
AU2016393244B2 (en) Apparatus for pressing and dehydrating of waste
UA90096C2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ил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101928833B (zh) 金属废料再生设备
CN106965242A (zh) 模切机的万能清废机构
CN210045820U (zh) 一种多工位冲床的上料装置
KR200270984Y1 (ko) 산업폐기물의 탈수장치
KR20030061566A (ko) 산업폐기물의 탈수방법 및 탈수장치
CN107008800B (zh) 全自动冲孔机
KR101470849B1 (ko) 폐기용 고철 압축장치
CN107597938A (zh) 一种五金配件用连续冲压装置
GB2032842A (en)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compacting a light material of varying nature and dimensions to a product processible to bales
CN104816345A (zh) 鞋底冲切打料输送装置
CN209579660U (zh) 一种劈纸生产线
US20080181806A1 (en) Compression Molding Machine for Briquette for Metal Raw Material, Manufacturing Apparatus for Briquette for Metal Raw Material, and Compression Molding Method Thereof
KR101111914B1 (ko) 두 장의 벨트를 이용한 연속비접촉양면가열가압건조방식 산업용 벨트프레스 탈수건조장치
CN212057964U (zh) 一种用于垃圾预处理的烘干装置
CN106345901B (zh) 一种焊码自动加工设备
CN209171390U (zh) 一种废弃蔬菜压榨脱水装置
CN210190705U (zh) 固体废弃物压实装置
US3491682A (en) Press concentrator
CN219405542U (zh) 一种瓶盖自动造型装置
CN116037623B (zh) 一种水治理工程中的固体废物处理装置
CN206953122U (zh) 模切机的清废机构
CN213386227U (zh) 一种输送带稳定性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1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4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10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412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41019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0404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