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1085A - 칸막이벽용 수직고정부재 및 그를 이용한 칸막이벽의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칸막이벽용 수직고정부재 및 그를 이용한 칸막이벽의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1085A
KR20030061085A KR1020020001450A KR20020001450A KR20030061085A KR 20030061085 A KR20030061085 A KR 20030061085A KR 1020020001450 A KR1020020001450 A KR 1020020001450A KR 20020001450 A KR20020001450 A KR 20020001450A KR 20030061085 A KR20030061085 A KR 20030061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plate
partition wall
facing
fireproof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1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봉렬
Original Assignee
광건진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건진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광건진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1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1085A/ko
Publication of KR20030061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108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09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special measures for sound or thermal insulation, including fire protection
    • E04B2/7411Details for fire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53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 E04B2/745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with wallboards attached to the outer faces of the posts, parallel to the part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01Body part
    • A61F2007/0018Trunk or parts thereof
    • A61F2007/0024B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의 방화구조로서 단면내에 별도의 차음ㆍ단열공간이 확보되는 칸막이벽을 설치 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건축물의 실내공간에 방화성능이 우수한 칸막이벽을 얻을 수 있도록 하여 주며, 건축물의 실내공간에 차음ㆍ단열성능이 우수한 칸막이벽을 얻을 수 있도록 하여 주는 칸막이벽용 수직고정부재 및 그를 이용한 칸막이벽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칸막이벽용 수직고정부재는 전체적으로 찬넬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폭방향의 양측에 서로 대칭이 되도록 직각으로 절곡되어서 그 외면에 각각 맞대어지는 외부방화판재(40)의 간격을 유지시켜 주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 대접판부(11)(12)와, 상기 제1 및 제2 대접판부(11)(12)의 중간에 서로 대칭이 되도록 지그재그로 절곡되어서 양측의 외부방화판재(40)들로서 구획된 내부의 공간에 중간방화판재(50)를 좌우로 엇갈리게 끼워 맞출 수 있도록 요입 형성되는 일측 및 타측 끼움홈부(13)(14)로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칸막이벽의 시공방법은 해당위치의 천정에 소요 형태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상부 수평고정부재(20)를 길게 설치하고, 상기 상부 수평고정부재(20)의 직하부 바닥에 소요 형태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하부 수평고정부재(30)를 길게 설치한 후에, 상기 상부 수평고정부재(20)와 하부 수평고정부재(30) 사이의 일정간격마다 각기 제1 및 제2 대접판부(11)(12)와 일측 및 타측 끼움홈부(13)(14)를 가지는수직고정부재(10)를 세워서 마주하도록 위치시키고, 상기 수직고정부재(10)의 일측 및 타측 끼움홈부(13)(14)에 각각 중간방화판재(50)를 끼워 맞춰서 좌우에 엇갈리는 차음ㆍ단열공간(A)과 단열재 채움공간(B)이 구획되도록 하며, 상기 중간방화판재(50)로서 구획된 단열재 채움공간(B)에 단열재(60)를 채워 넣은 후에, 상기 수직고정부재(10)의 제1 및 제2 대접판부(11)(12)의 외면에 외부방화판재(40)가 맞대어지도록 하면서 그 각각의 외부방화판재의 상,하단을 상기 상부 수평고정부재(20)와 하부 수평고정부재(30)에 끼워서 고정시키는 설치작업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서 시공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칸막이벽용 수직고정부재 및 그를 이용한 칸막이벽의 시공방법{Device for Fixing Partition wall and Method of Fixing Partition wall Thereby}
본 발명은 건축물의 실내공간에 방화성능과 차음ㆍ단열성능이 우수한 칸막이벽을 구획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칸막이벽용 수직고정부재 및 그를 이용한 칸막이벽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칸막이벽(200)은 도1의 도시와 같이, 해당위치의 천정에는 상부 수평고정부재(210)를 바닥에는 하부 수평고정부재(220)를 각각 설치하고, 양면의 방화판재(231) 내에 단열재(232)가 채워지며 양측 마구리에 조립홈(233)이 형성된 단위 칸막이판넬(230)의 상,하단을 상기 상부 수평고정부재(210)와 하부 수평고정부재 (220)에 걸쳐지도록 끼워 맞추고, 이웃하는 단위 칸막이판넬(230)의 조립홈(233)에 각형의 수직고정부재(240)를 끼워서 그 단위 칸막이판넬 상호간을 연결 고정시키는 설치작업을 수행하여서 건축물의 실내공간을 구획하여 주도록 시공하여 왔다. 이와 같은 칸막이벽(200)을 시공함에 있어 각형의 수직고정부재(240)는 양면의 방화판재(231) 내에 단열재(232)가 채워진 단위 칸막이판넬(230) 상호간을 효율적으로 연결 고정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칸막이벽(200)의 시공시에 사용되는 각형의 수직고정부재(240)는 양측 마구리에 조립홈(233)이 형성되어 있는 단위 칸막이판넬(230)을 연결 고정시킬 수 있도록 만들어지는 점을 감안하여 볼 때, 칸막이벽을 다중의 방화구조로서 시공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별도의 차음ㆍ단열공간을 확보하는 데 제한을 받게 되므로, 결과적으로우수한 방화성능과 차음ㆍ단열성능을 발휘하는 칸막이벽을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본 발명은 다중의 방화구조로서 단면내에 별도의 차음ㆍ단열공간이 확보되는 칸막이벽을 설치 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첫째 건축물의 실내공간에 방화성능이 우수한 칸막이벽을 얻을 수 있도록 하여 주는 칸막이벽용 수직고정부재 및 그를 이용한 칸막이벽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둘째 건축물의 실내공간에 차음ㆍ단열성능이 우수한 칸막이벽을 얻을 수 있도록 하여 주는 칸막이벽용 수직고정부재 및 그를 이용한 칸막이벽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 칸막이벽의 시공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칸막이벽용 수직고정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3는 본 발명의 칸막이벽용 수직고정부재의 실시상태를 나타낸 일부분 횡단면도
도4a, 도4b, 도4c는 본 발명의 칸막이벽을 시공하는 작업공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것임
도5는 본 발명의 칸막이벽의 시공방법에 따른 변형예를 나타낸 일부분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수직고정부재 11: 제1 대접판부 12: 제2 대접판부
13: 일측 끼움홈부 14: 타측 끼움홈부 20: 상부 수평고정부재
30: 하부 수평고정부재 40: 외부방화판재 50: 중간방화판재
60: 단열재 A: 차음ㆍ단열공간 B: 단열재 채움공간
이하, 첨부도면에 도시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칸막이벽용 수직고정부재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칸막이벽용 수직고정부재(10)는 도2 및 도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찬넬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폭방향의 양측에 서로 대칭이 되도록 직각으로 절곡되어서 그 외면에 각각 맞대어지는 외부방화판재(40)의 간격을 유지시켜 주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 대접판부(11)(12)와, 상기 제1 및 제2 대접판부 (11)(12)의 중간에 서로 대칭이 되도록 지그재그로 절곡되어서 양측의 외부방화판재(40)들로서 구획된 내부의 공간에 중간방화판재(50)를 좌우로 엇갈리게 끼워 맞출 수 있도록 요입 형성되는 일측 및 타측 끼움홈부(13)(14)로 구성되어서, 상기 제1 및 제2 대접판부(11)(12)의 외면에 각각 맞대어지는 양측의 외부방화판재(40)들 간에 상기 일측 및 타측 끼움홈부(13)(14)에 각각 끼워지는 중간방화판재(50)들을 사이에 두고 차음ㆍ단열공간(A)과 단열재 채움공간(B)이 1개조로 하여 좌우에 엇갈리게 배열 형성되는 칸막이벽(100)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함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칸막이벽용 수직고정부재(10)는 첫째 제1 및 제2 대접판부(11)(12)에 각각 맞대어지는 양측의 외부방화판재(40)들 간에 일측 및 타측 끼움홈부(13)(14)에 중간방화판재(50)를 각각 끼워 맞춰서 우수한 방화성능을 발휘하는 칸막이벽(100)을 설치 시공할 수 있게 하여 주므로, 화재 발생시에 이웃의 실내공간으로 전파되는 화염을 효율적으로 차단하여서 대형화재로 발전됨을 방지하여 주며, 둘째 제1 및 제2 대접판부(11)(12)에 각각 맞대어지는 양측의 외부방화판재(40)들 간에 일측 및 타측 끼움홈부(13)(14)에 각각 끼워지는 중간방화판재(50)들로서 구획되는 차음ㆍ단열공간(A)과 단열재 채움공간(B)을 확보하여서 우수한 차음ㆍ단열성능을 발휘하는 칸막이벽(100)을 설치 시공할 수 있게 하여 주므로, 이웃의 실내공간으로 전파되는 소음을 확실하게 차단하여서 소음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됨을 방지하여 주면서도, 냉,난방시에 에너지가 손실됨을 억제하여 주어서 냉,난방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하여 주는 등의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칸막이벽용 수직고정부재(10)는 소요 폭과 길이를 가지는 금속판을 절곡 성형하여서 양측에 제1 및 제2 대접판부(11)(12)를 형성하고, 그 제1및 제2 대접판부(11)(12)의 중간에 일측 및 타측 끼움홈부(13)(14)를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 예시하고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대접판부(11)(12)는 그 각각의 외면에 맞대어지는 외부방화판재(40)의 간격을 유지시켜 주는 구성부이다.
상기 제1 대접판부(11)는 전방을 향하는 전면 대접판(1a)의 일측단에 측면 간격판(1b)을 직각으로 연장 절곡하여서 형성되며, 상기 제2 대접판부(12)는 상기 제1 대접판부(11)의 반대쪽 전방을 향하는 전면 대접판(2a)의 일측단에 측면 간격판(2b)을 직각으로 연장 절곡하여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1 및 제2 대접판부 (11)(12)는 서로 간격을 두고 양측에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어서, 그 제1 및 제2 대접판부의 전면 대접판(1a)(2a)에 각각 맞대어지는 양측의 외부방화판재(40)들 간에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간격을 유지시켜 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대접판부(11)(12)를 이루는 전면 대접판(1a)(2a)의 자유단에 내향 돌출되도록 연장 절곡되는 보강리브(1c)(2c)를 가져서, 그 각각의 전면 대접판(1a)(2a)을 구조적으로 보강하여서 변형됨을 방지하여 주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측 및 타측 끼움홈부(13)(14)는 각각 중간방화판재(50)를 끼워서 고정시킬 수 있게 하여 주는 구성부이다.
상기 일측 및 타측 끼움홈부(13)(14)는 상기 제1 및 제2 대접판부(11)(12)의 중간부를 지그재그로 절곡하여서, 상기 일측 끼움홈부(13)는 상기 제1 대접판부 (11)의 측면 간격판(1b)을 경계로 격판(3a)과 마주하는 중간판(3c)의 타측 끝단을막이판(3b)으로 연결하여서 일측방향으로 지향하도록 요입 형성되며, 상기 타측 끼움홈부(14)는 상기 제2 대접판부(12)의 측면 간격판(2b)을 경계로 격판(4a)과 마주하는 중간판(3c)의 일측 끝단을 막이판(4b)으로 연결하여서 타측방향으로 지향하도록 요입 형성된다. 이와 같은 일측 및 타측 끼움홈부(13)(14)는 상기 제1 및 제2 대접판부(11)(12)의 중간에 서로 대칭이 되도록 요입 형성되어서, 그 일측 및 타측 끼움홈부(13)(14)에 각각 중간방화판재(50)를 끼워 맞춰서 좌우에 엇갈리게 고정시킬 수 있게 하여 주므로, 양측의 외부방화판재(40)로서 구획된 내부의 공간에 중간방화판재(50)들을 사이에 두고 차음ㆍ단열공간(A)과 단열재 채움공간(B)이 1개조로 하여 좌우에 엇갈리게 배열 형성되는 칸막이벽(100)을 설치할 수 있게 하여 준다.
그리고, 상기 일측 및 타측 끼움홈부(13)(14)의 격판(3a)(4a)은 각각 중간방화판재(50)의 두께보다 약간 넓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하여서, 상기 일측 및 타측 끼움홈부(13)(14)에 중간방화판재(50)를 여유 있게 끼워 맞출 수 있도록 하면서도, 필요시에 일측 및 타측 끼움홈부(13)(14)와 중간방화판재(50) 사이에 차음재(70)를 끼워서 차음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칸막이벽용 수직고정부재를 이용한 칸막이벽의 시공방법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칸막이벽의 시공방법은 도4a 내지 도4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해당위치의 천정에 소요 형태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상부 수평고정부재(20)를 길게 설치하고, 상기 상부 수평고정부재(20)의 직하부 바닥에 소요 형태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하부 수평고정부재(30)를 길게 설치한 후에, 상기 상부 수평고정부재(20)와하부 수평고정부재(30) 사이의 일정간격마다 각기 제1 및 제2 대접판부(11)(12)와 일측 및 타측 끼움홈부(13)(14)를 가지는 수직고정부재(10)를 세워서 마주하도록 위치시키고, 상기 수직고정부재(10)의 일측 및 타측 끼움홈부(13)(14)에 각각 중간방화판재(50)를 끼워 맞춰서 좌우에 엇갈리는 차음ㆍ단열공간(A)과 단열재 채움공간(B)이 구획되도록 하며, 상기 중간방화판재(50)로서 구획된 단열재 채움공간(B)에 단열재(60)를 채워 넣은 후에, 상기 수직고정부재(10)의 제1 및 제2 대접판부 (11)(12)의 외면에 외부방화판재(40)가 맞대어지도록 하면서 그 각각의 외부방화판재의 상,하단을 상기 상부 수평고정부재(20)와 하부 수평고정부재(30)에 끼워서 고정시키는 설치작업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서 칸막이벽(100)의 시공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칸막이벽의 시공방법에 따르면, 양측의 외부방화판재 (40)들 간에 중간방화판재(50)를 설치하여서 다중의 방화구조를 가지게 될 뿐만 아니라, 양측의 외부방화판재(40)들과 내부의 중간방화판재(50)들 사이에 구획된 단열재 채움공간(B)에 단열재(60)가 채워지며, 별도의 차음ㆍ단열공간(A)이 확보되도록 시공하여 줌으로써, 방화성능은 물론이고 차음ㆍ단열성능이 우수한 칸막이벽 (100)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 수평고정부재(20)와 하부 수평고정부재(30) 사이에 등간격마다 수직고정부재(10)를 세워져서 위치시킬 때에, 어느 한쪽 수직고정부재(10)의 일측 및 타측 끼움홈부(13)(14)와 다른 한쪽 수직고정부재(10)의 일측 및 타측 끼움홈부(13)(14)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마주하도록 하여서, 그 수직고정부재(10)들의 일측 및 타측 끼움홈부(13)(14)를 통하여 중간방화판재(50)들을 끼워 맞추는 데 지장이 없도록 한다.
또, 상기 수직고정부재(10)의 일측 및 타측 끼움홈부(13)(14)에 외부방화판재(40)를 끼워 맞출 때에, 그 일측 및 타측 끼움홈부(13)(14)와 중간방화판재(50)의 끝부분 사이에 차음재(70)를 끼워서 차음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고정부재(10)의 제1 및 제2 대접판부(11)(12)에 각각 낱장의 외부방화판재(40)를 맞대어서 고정되도록 한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도5의 변형예에서와 같이, 상기 수직고정부재(10)의 제1 및 제2 대접판부(11)(12)에 각각 적어도 2장 이상의 외부방화판재(40)를 포개어진 상태로 맞대어서 고정되도록 하여, 방화성능을 더욱 향상시켜 주도록 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중의 방화구조로서 단면내에 별도의 차음ㆍ단열공간이 확보되는 칸막이벽을 설치 시공할 수 있게 하여 줌으로써, 첫째 시공되는 칸막이벽의 방화성능을 향상시켜서, 화재 발생시에 이웃의 실내공간으로 전파되는 화염을 효율적으로 차단하여 주어서 대형화재로 발전됨을 방지하여 주며, 둘째 시공되는 칸막이벽의 차음ㆍ단열성능을 향상시켜서, 소음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됨을 방지하여 주면서도, 냉,난방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하여 주는 등의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6)

  1. 전체적으로 찬넬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폭방향의 양측에 서로 대칭이 되도록 직각으로 절곡되어서 그 외면에 각각 맞대어지는 외부방화판재(40)의 간격을 유지시켜 주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 대접판부(11)(12)와, 상기 제1 및 제2 대접판부(11)(12)의 중간에 서로 대칭이 되도록 지그재그로 절곡되어서 양측의 외부방화판재(40)들로서 구획된 내부의 공간에 중간방화판재(50)를 좌우로 엇갈리게 끼워 맞출 수 있도록 요입 형성되는 일측 및 타측 끼움홈부(13)(1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벽용 수직고정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접판부(11)는 전방을 향하는 전면 대접판(1a)의 일측단에 측면 간격판(1b)을 직각으로 연장 절곡하여서 형성되며, 상기 제2 대접판부(12)는 상기 제1 대접판부(11)의 반대쪽 전방을 향하는 전면 대접판(2a)의 일측단에 측면 간격판(2b)을 직각으로 연장 절곡하여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벽용 수직고정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및 타측 끼움홈부(13)(14)는 상기 제1 및 제2 대접판부(11)(12)의 중간부를 지그재그로 절곡하여서, 상기 일측 끼움홈부(13)는 상기 제1 대접판부(11)의 측면 간격판(1b)을 경계로 격판(3a)과 마주하는 중간판(3c)의 타측 끝단을 막이판(3b)으로 연결하여서 일측방향으로 지향하도록 요입 형성되며, 상기 타측 끼움홈부(14)는 상기 제2 대접판부(12)의 측면 간격판(2b)을 경계로 격판(4a)과 마주하는 중간판(3c)의 일측 끝단을 막이판(4b)으로 연결하여서 타측방향으로 지향하도록 요입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벽용 수직고정부재.
  4. 해당위치의 천정에 소요 형태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상부 수평고정부재(20)를 길게 설치하고, 상기 상부 수평고정부재(20)의 직하부 바닥에 소요 형태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하부 수평고정부재(30)를 길게 설치한 후에, 상기 상부 수평고정부재 (20)와 하부 수평고정부재(30) 사이의 일정간격마다 각기 제1 및 제2 대접판부 (11)(12)와 일측 및 타측 끼움홈부(13)(14)를 가지는 수직고정부재(10)를 세워서 마주하도록 위치시키고, 상기 수직고정부재(10)의 일측 및 타측 끼움홈부(13)(14)에 각각 중간방화판재(50)를 끼워 맞춰서 좌우에 엇갈리는 차음ㆍ단열공간(A)과 단열재 채움공간(B)이 구획되도록 하며, 상기 중간방화판재(50)로서 구획된 단열재 채움공간(B)에 단열재(60)를 채워 넣은 후에, 상기 수직고정부재(10)의 제1 및 제2 대접판부(11)(12)의 외면에 외부방화판재(40)가 맞대어지도록 하면서 그 각각의 외부방화판재의 상,하단을 상기 상부 수평고정부재(20)와 하부 수평고정부재(30)에 끼워서 고정시키는 설치작업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서 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벽의 시공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고정부재(10)의 일측 및 타측 끼움홈부(13)(14)에 외부방화판재(40)를 끼워 맞출 때에, 그 일측 및 타측 끼움홈부(13)(14)와 중간방화판재(50)의 끝부분 사이에 차음재(70)를 끼워서 차음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벽의 시공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고정부재(10)의 제1 및 제2 대접판부(11)(12)에 각각 적어도 2장 이상의 외부방화판재(40)를 포개어진 상태로 맞대어서 고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벽의 시공방법.
KR1020020001450A 2002-01-10 2002-01-10 칸막이벽용 수직고정부재 및 그를 이용한 칸막이벽의시공방법 KR200300610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1450A KR20030061085A (ko) 2002-01-10 2002-01-10 칸막이벽용 수직고정부재 및 그를 이용한 칸막이벽의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1450A KR20030061085A (ko) 2002-01-10 2002-01-10 칸막이벽용 수직고정부재 및 그를 이용한 칸막이벽의시공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0801U Division KR200272884Y1 (ko) 2002-01-10 2002-01-10 칸막이벽용 수직고정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1085A true KR20030061085A (ko) 2003-07-18

Family

ID=19718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1450A KR20030061085A (ko) 2002-01-10 2002-01-10 칸막이벽용 수직고정부재 및 그를 이용한 칸막이벽의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1085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05427A2 (de) * 1978-05-17 1979-11-28 N.V. GYPROC BENELUX, naamloze vennootschap Verbesserter Ständer für Hohlwände und dergleichen
KR200186188Y1 (ko) * 2000-01-06 2000-06-15 주식회사유창 차음성을 향상한 조립식 벽체패널
KR200200432Y1 (ko) * 2000-05-31 2000-10-16 박광선 차음성을 향상한 칸막이용 구조물
KR200213560Y1 (ko) * 2000-07-22 2001-02-15 주식회사 유 창 씨형 스터드를 이용한 경량화 벽체구조물
KR200279551Y1 (ko) * 2002-03-11 2002-06-24 주식회사 유 창 벽구조물용 스터드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벽구조물
KR20030043228A (ko) * 2001-11-27 2003-06-02 주식회사 유 창 건축물용 벽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05427A2 (de) * 1978-05-17 1979-11-28 N.V. GYPROC BENELUX, naamloze vennootschap Verbesserter Ständer für Hohlwände und dergleichen
KR200186188Y1 (ko) * 2000-01-06 2000-06-15 주식회사유창 차음성을 향상한 조립식 벽체패널
KR200200432Y1 (ko) * 2000-05-31 2000-10-16 박광선 차음성을 향상한 칸막이용 구조물
KR200213560Y1 (ko) * 2000-07-22 2001-02-15 주식회사 유 창 씨형 스터드를 이용한 경량화 벽체구조물
KR20030043228A (ko) * 2001-11-27 2003-06-02 주식회사 유 창 건축물용 벽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279551Y1 (ko) * 2002-03-11 2002-06-24 주식회사 유 창 벽구조물용 스터드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벽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712036A3 (ru) Стенова панель
KR101584036B1 (ko) 화재 확산 차단구조를 갖는 샌드위치 패널
KR100655890B1 (ko) 패널형 스터드를 이용한 건식벽체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200272884Y1 (ko) 칸막이벽용 수직고정부재
KR20030061085A (ko) 칸막이벽용 수직고정부재 및 그를 이용한 칸막이벽의시공방법
KR101835071B1 (ko) 내화성을 갖는 조립식 경량 칸막이
KR200186188Y1 (ko) 차음성을 향상한 조립식 벽체패널
KR101783849B1 (ko) 공동주택용 차음벽
KR200290615Y1 (ko) 경량칸막이용 스터드
KR20020036692A (ko) 내차판넬
KR20180061535A (ko) 차열프레임 및, 이를 활용한 프레임구조체
KR200293890Y1 (ko) 내화 경량칸막이
KR200290614Y1 (ko) 이중벽을 갖는 내화 차음 칸막이
KR200200432Y1 (ko) 차음성을 향상한 칸막이용 구조물
KR100460628B1 (ko) 내차판넬
KR102538796B1 (ko) 결로방지 및 화재확산방지 구조 방화문
KR200261572Y1 (ko) 내차판넬
JP7421399B2 (ja) 外壁構造
CN219863516U (zh) 一种用于可逆安装的装配式高隔声隔墙龙骨
US20060000175A1 (en) Insulating attachment strip
KR200270185Y1 (ko) 건축용 내화패널
JP2018155037A (ja) 建物
KR101036909B1 (ko) 모듈러 건축물의 내화시공시스템
JPH08260597A (ja) 間仕切壁構造
JPH0313642A (ja) 耐火遮音間仕切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