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0462A - 선형보간을 이용한 감마 보정 장치 - Google Patents

선형보간을 이용한 감마 보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0462A
KR20030060462A KR1020020001176A KR20020001176A KR20030060462A KR 20030060462 A KR20030060462 A KR 20030060462A KR 1020020001176 A KR1020020001176 A KR 1020020001176A KR 20020001176 A KR20020001176 A KR 20020001176A KR 20030060462 A KR20030060462 A KR 20030060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ma correction
image data
value
input imag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1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4293B1 (ko
Inventor
한동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1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4293B1/ko
Publication of KR20030060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0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4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42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0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 H04N5/202Gamma contro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73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gamma adjustment, e.g. selecting another gamma cur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형보간을 이용한 감마 보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부분의 감마 보정 곡선이 단조 증가의 형태를 가지는 특성을 이용하여 작은 크기의 룩업테이블을 이용하여 주요 위치의 감마보정값을 저장하고 나머지 부분의 감마보정값은 선형 보간을 통하여 생성시킴으로써 필요한 하드웨어의 양을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형보간을 이용한 감마 보정 장치{Gamma Correction Device Using Linear Interpolation}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감마 보정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서 보간 기능을 이용함으로써 필요한 룩업테이블의 양을 최소화하면서 감마 보정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TV로 인하여 고화질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기존에 많이 사용되던 Direct View 형식의 CPT의 수요가 줄고 있으며 반면 대화면 프로젝션 TV, PDP TV, 프로젝터 등이 디지털 TV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각광을 받고 있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TV용 카메라의 경우 CPT 형식의 디스플레이에 맞도록 감마 보정되어 있으며, CPT 이외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경우 영상 처리부에서 각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맞도록 감마 보정을 수행하여야 한다.
또한 PDP, LCD TV, LCD 프로젝션 TV, LCD 프로젝터, DLP 등 디지털 처리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복잡한 감마 곡선을 가지는 경우가 많으며, 이를 위해서 기존의 8비트 해상도의 영상데이터를 사용하지 않고 10비트 혹은 12비트의 영상데이터를 사용하여 감마 보정을 수행하는 경우가 많이 있으며 좀더 좋은 화질을 구현하기 위하여 점차 많은 비트를 사용하여 감마 보정을 수행하고 있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8비트 메모리를 이용한 감마 보정용 룩업테이블의 블록도이다.
도1의 룩업테이블은 감마 보정을 위해 고전적으로 많이 사용되었으며, 보통 R, G, B 각각에 대해서 256×8의 메모리를 이용하여 구성하게 된다.
메모리의 내용으로 어드레스 값과 같은 값을 데이터로 저장하면 바이패스 모드의 룩업테이블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메모리의 내용을 변경함으로써 원하는 감마 보정 곡선을 얻을 수 있다. 실제 사용시에는 입력 영상을 메모리의 어드레스부에 가하면 메모리의 데이터 출력으로 감마 보정된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게 된다.
도2는 종래 기술에 따른 8비트 메모리를 이용한 10비트 영상의 감마 보정용 룩업테이블의 블록도이다.
도2는 PDP나 LCD TV에 적용하기 위하여 10비트의 감마 보정을 기존의 룩업테이블을 이용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 경우 룩업테이블의 데이터 폭이 8비트에서 10비트로 증가하게 되며 5/4의 메모리 양이 증가된다. 또한 256×10 메모리를 4개를 사용하여야 10비트 해상도의 룩업테이블을 구성할 수 있으며, 결국 8비트 해상도에 비해서 5배의 메모리를 이용하여야 10비트 해상도의 감마 보정용 룩업테이블을 구성할 수 있다.
도3은 종래 기술에 따른 10비트 메모리를 이용한 감마 보정용 룩업테이블의 블록도이다.
도3은 (210)1024×10 크기의 메모리를 이용한 10비트 해상도의 룩업테이블의 예를 나타내었으며, 도2와 같이 8비트 해상도에 비해서 5배의 메모리를 사용한다.
화소 해상도가 12bit일 경우는 (212)4096×12 크기의 메모리를 사용하여야 하며 화소 해상도가 1.5배 증가함에 따라 사용 메모리는 24배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은 화소의 해상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되는 메모리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감마 보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8비트 메모리를 이용한 감마 보정용 룩업테이블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8비트 메모리를 이용한 10비트 영상의 감마 보정용 룩업테이블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10비트 메모리를 이용한 감마 보정용 룩업테이블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형 보간을 이용한 감마 보정 장치의 제1 실시 블록도이다.
도 5는 상기 도4의 감마 보정 장치를 이용하고, 상기 표1의 선형 보간 규칙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감마보정값 및 그 근사화 오차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형 보간을 이용한 감마 보정 장치의 제2 실시 블록도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형 보간을 이용한 감마 보정 장치의 제3 실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형 보간을 이용한 감마 보정 장치의 제4 실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 룩업테이블 20 : 증가기,
30 : 제2 룩업테이블 40 : 선형보간부
50 : 증가기 60 : 선택부
70 : 룩업테이블 80 : 선형보간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감마 보정 장치의 특징은 입력 영상 데이터의 소정 상위비트(MSB)를 입력받아 저장된 감마보정값을 출력하는 제1 룩업테이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소정 상위비트(MSB)의 1 증가된 값을 입력받고 저장된 감마보정값을 출력하는 제2 룩업테이블; 상기 제1 및 제2 룩업테이블로부터 상기 출력된 감마보정값을 입력받고,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소정 상위비트(MSB)를 제외한 하위비트(LSB)를 입력받아 하위비트(LSB) 값에 따라 상기 두 개의 출력된 감마보정값을 선형보간에 의해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최종 감마보정값을 출력하는 선형보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상기의 감마 보정장치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처리 속도와 영상 처리 속도가 일치할 것을 가정하고,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소정 상위비트를 1 증가시키는 증가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룩업테이블과 제2 룩업테이블은 동일한 감마 보정 값을 저장하고 동일한 메모리 용량을 갖고, 상기 제1 및 제2 룩업테이블은 상기 입력 영상 테이터의 하위비트가 모두 '0'인 경우의 감마 보정 값을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최상위 값이 제1 룩업테이블에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2 룩업테이블에도 상기 최상위 값이 입력된다.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최상위값이 제1 룩업테이블에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2 룩업테이블에는 영상 데이터의 최하위값이 입력되고, 상기 제1 및 제2 룩업테이블의 내용은 같은 값을 가지며, 이때 제2 룩업테이블의 최하위값이 제1 룩업테이블의 최상위값과 같은 값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작용은 영상처리 속도와 디스플레이 속도가 동일한 경우에 상기 룩업테이블은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의 LSB를 '0'으로 두고, MSB의 자리수를 이용하기 때문에 작은 메모리 크기를 가질 수 있고, 이러한 룩업테이블을 두 개 구비하여 영상 데이터의 MSB 및 1 증가시킨 MSB를 룩업테이블에 입력하여 제공하는 두개의 보정값과, LSB 값에 따라 상기 두 개의 보정값을 적절히 선형보간하여 정확한 감마보정값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감마 보정 장치의 다른 특징은 입력 영상 데이터의 소정 상위비트(MSB) 및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소정상위비트의 1증가된 값을 시분할하여 출력하는 선택부; 상기 선택부로부터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소정 상위비트(MSB) 및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소정 상위비트의 1증가된 값을 시분할하여 입력받고 저장된 감마보정값을 출력하는 룩업테이블; 상기 룩업테이블로부터 두 개의 감마보정값을 시분할하여 입력받고,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소정 상위비트(MSB)를 제외한 하위비트(LSB)를 입력받아 하위비트(LSB) 값에 따라 상기 두 개의 감마보정값을 선형보간에 의해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최종 감마보정값을 출력하는 선형보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상기의 감마 보정 장치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영상 처리 속도가 디스플레이 처리 속도의 두배 이상인 것을 가정하고,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소정 상위비트를 1 증가시키는 증가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룩업테이블은 상기 입력 영상 테이터의 하위비트가 모두 '0'인 경우의 감마 보정 값을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최상위 값이 상기 선택부에 입력되는 경우, 시분할에 의해 다음에 상기 선택부에 입력되는 값도 상기 최상위 값과 동일한 값이 입력된다.
상기 선택부 및 상기 선형보간부는 상기 입력 영상 영상데이터의 상위비트 또는 1증가된 상위비트를 선택 신호에 따라 시분할하여 상기 선택부 및 상기 선형보간부에 입력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작용은 영상처리 속도가 디스플레이 속도의 2배 이상일 경우에 상기 룩업테이블은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의 LSB를 '0'으로 두고, MSB의 자리수를 이용하기 때문에 작은 메모리 크기를 가질수 있고, 상기의 속도 차이로 인해 이러한 룩업테이블을 하나만 구비함으로써, 상기 룩업테이블에 영상 데이터의 MSB 및 이를 1증가시킨 MSB를 시분할하여 입력하고, 상기 룩업테이블로부터 시분할하여 제공하는 두 개의 보정값과, LSB 값에 따라 상기 두 개의 보정값을 적절히 선형보간하여 정확한 감마보정값을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감마 보정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형 보간을 이용한 감마 보정 장치의 제1 실시 블록도로, 디스플레이 처리 속도와 영상 처리 속도가 일치할 경우이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10비트 해상도를 갖는 입력 영상 데이터의 상위비트(MSB) 9~2를 상기 상위비트와 동일한 값의 어드레스(address)에 입력받고 저장된 감마보정값을 출력하는 제1 룩업테이블(10)과,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상위비트를 1 증가시키는 증가기(20)와, 상기 증가기(20)로부터 1증가된 입력 영상 데이터의 상위비트를 상기 상위비트와 동일한 값의 어드레스(address)에 입력받아 저장된 감마보정값을 출력하는 제2 룩업테이블(30)과, 상기 제1 및 제2 룩업테이블(10, 30)로부터 상기 출력된 감마보정값을 입력받고,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하위비트(LSB) 1~0를 입력하여 하위비트(LSB) 값에 따라 상기 두 개의 출력된 감마보정값을 선형보간에 의해 보정하여 출력하는 선형보간부(40)로 구성된다.
입력 영상 데이터 비트 모두를 룩업테이블의 어드레스에 인가하지 않고, 상위비트와 하위비트로 분리하여 룩업테이블(10, 30)은 동일한 감마보정값을 갖는 작은 메모리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룩업테이블(10, 30)은 10비트의 화소 해상도를 가지는 경우에 256×10 크기의 메모리를 사용한다.
이 경우 룩업테이블(10, 30)은 입력 영상 데이터의 상위 8비트 데이터를 어드레스로 입력을 받고 룩업테이블(10, 30) 내에 저장된 감마 곡선으로 보정된 값을 10비트의 데이터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룩업테이블(10, 30)은 1024×10 크기의 룩업테이블에서 하위 2비트의 데이터를 '00'으로 세팅하고, 이때의 상위 8비트를 이용하여 256×10 크기의 룩업테이블로 구성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증가기(20)는 제1 룩업테이블(10)에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의 값을 +1만큼 증가시켜서 제2 룩업테이블(20)로 제공하는데, 상기 제1 룩업테이블(10)에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의 값이 255인 경우에는 출력값으로 255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선형보간부(40)는 두 개의 룩업테이블(10, 30)에서 입력되는 감마보정값과 입력 영상 데이터의 LSB를 입력받아 표1과 같은 규칙으로 선형보간을 수행한다.
표1은 본 발명에 따른 LSB 2비트에 대한 선형 보간 규칙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표1]
in1 in0 out
0 0 A
0 1 A1=3*A/4 + B/4
1 0 A2=A/2 + B/2
1 1 A3=A/4+3*B/4
선형보간부(40)의 A 입력과 B 입력 값 차이를 LSB 00, 01, 10, 11에 따라 선형 보간하고, 그 값을 출력(out) 단자로 출력한다.
즉, LSB가 00인 경우에는 A에 입력되는 감마보정값을 출력(out) 단자로 출력하고, LSB가 01인 경우에는 A에 입력되는 감마보정값의 3/4배 값과 B에 입력되는 감마보정값의 1/4배 값을 합한 값을 출력(out) 단자로 출력한다.
그리고, LSB가 10인 경우에는 A에 입력되는 감마보정값의 1/2배값과 B에 입력되는 감마보정값의 1/2배 값을 합한 값을 출력(out) 단자로 출력하고, LSB가 11인 경우에는 A에 입력되는 감마보정값의 1/4배값과 B에 입력되는 갑마보정값의 1/3배값을 출력(out) 단자로 출력한다.
도5는 상기 도4의 감마 보정 장치를 이용하고, 상기 표1의 선형 보간 규칙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감마보정값 및 그 근사화 오차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형 보간 부분을 확대해서 관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보간에 의한 감마보정값(곡선)과 실제 1024×10크기의 메모리 크기의 룩업테이블을 사용하였을 경우에 얻어지는 감마보정값(직선)이 약간의 차이가 존재한다.
그러나 상기 근사화 오차는 대부분의 경우 +1 ~ -1 정도로 범위 안에 포함되며 실제적인 적용에서 큰 문제가 되지 않는 부분이다. 또한 기본 모드에서는 대부분 감마 보정 함수가 y=x 형태의 바이패스 모드를 사용하므로 이 경우에는 1024×10 크기의 메모리를 사용하였을 때와 같은 결과를 출력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감마 보정 함수는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가진다.
V= 4.5L, 0 ≤L < 0.018
V=1.099L0.45-0.099, 0.018 ≤L < 1
L : 입력영상, V : 보정 후 영상
이러한 감마 보정 함수를 본 특허의 선형 보간 방법을 이용하면 0 ~ -1정도의 오차 이내로 감마 보정 함수를 구현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형 보간을 이용한 감마 보정 장치의 제2 실시 블록도로, 영상 처리 속도가 디스플레이 처리 속도의 2배 이상일 경우이다.
MPEG를 기반으로 하는 HDTV의 도입에 따라서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클럭과 영상 처리 클럭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즉, 720×480 progressive display의 경우 30MHz의 클럭으로 MPEG으로 압축된 HD 영상을 디코딩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 클럭의 정수 배 클럭을 영상 처리용 클럭으로 사용하여 MPEG 디코딩을 수행하고 영상 처리 클럭을 적절한 비율로 분주하여 디스플레이 클럭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의 블록도를 일부 수정하여 도6과 같이 구성함으로써 크기가 작은 하나의 룩업테이블을 이용하여 같은 결과를 제공하는 룩업테이블을 구성할 수 있다.
즉, 도6의 경우에 영상처리 클럭이 디스플레이 클럭의 2배 이상이면 구현이 가능하며 전체 하드웨어 크기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메모리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각 블록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10비트 해상도를 갖는 입력 영상 데이터의 상위비트(MSB) 9~2를 1증가시키는 증가기(50)와,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상위비트 및 상기 증가기(50)로부터 입력 영상 데이터의 상위비트의 1증가된 값을 시분할하여 출력받는 선택부(60)와, 상기 선택부(60)로부터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상위비트(MSB) 및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상위비트의 1증가된 값을 상위비트와 동일한 값의 어드레스(address)에 시분할하여 입력받고 저장된 감마보정값을 출력하는 룩업테이블(70)과, 상기 룩업테이블(70)로부터 두 개의 감마보정값을 시분할하여 입력받고,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하위비트(LSB) 1~0를 입력받아 하위비트(LSB) 값에 따라 상기 두 개의 감마보정값을 선형보간에 의해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최종 감마보정값을 출력하는 선형보간부(80)로 구성된다.
제1 실시예와 같이, 입력 영상 데이터 비트 모두를 룩업테이블의 어드레스에 인가하지 않고, 상위비트와 하위비트로 분리하여 룩업테이블(70)은 작은 메모리 크기를 가진다.
즉, 상기 룩업테이블(70)은 10비트의 화소 해상도를 가지는 경우에 256×10 크기의 메모리를 사용한다.
이 경우 룩업테이블(70)은 입력 영상 데이터의 상위 8비트 데이터를 어드레스로 입력을 받고 룩업테이블(70) 내에 저장된 감마 곡선으로 보정된 값을 10비트의 데이터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룩업테이블(70)은 1024×10 크기의 룩업테이블에서 하위 2비트의 데이터를 '00'으로 세팅하고, 이때의 상위 8비트를 이용하여 256×10 크기의 룩업테이블로 구성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증가기(50)는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의 값을 +1만큼 증가시켜서 선택부(60)로 제공하는데, 상기 선택부(60)에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의 값이 255인 경우에는 출력값으로 255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선택부(60)는 먹스(mux)로 구성되며, 입력 영상 데이터의 MSB 부분과 이 값이 1증가된 값을 선택 신호에 맞추어서 적절한 타이밍으로 선택하게 한다.
그리고 크기가 작은 하나의 룩업테이블(70)로 인해 선택부(60)의 출력이 시분할되어 룩업테이블(70)의 어드레스로 입력되며 이때의 출력 데이터인 감마보정값도 시분할되어 선형보간부(80)에 입력된다.
그리고 룩업테이블(70)은 디스플레이 클럭보다 두 배 이상 빠른 영상처리 클럭을 이용하여 메모리의 읽기 동작을 수행하여 입력 영상이 어드레스로 인가되었을 경우, 이에 해당하는 출력 데이터를 선형보간부(80)의 A입력으로 제공한다.
그리고 증가기(50)를 거쳐서 1이 증가된 입력 영상 데이터가 입력되면 이에 해당하는 출력 데이터를 선형보간부(80)의 B 입력으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면 선형보간부(80)는 입력 선택 신호를 이용하여 시분할되어 A 입력으로 들어오는 감마보정값과 B입력으로 들어오는 감마보정값을 필요에 따라 저장한 후 입력 영상 데이터의 LSB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표1과 같은 규칙에 의해 선형보간하여 최종 감마보정값을 계산하여 출력한다.
도6과 같이 하나의 룩업테이블(70)을 이용하여 감마보정값을 선형보간한 경우와 도4와 같이 두 개의 룩업테이블(10, 30)을 이용하여 감마보정값을 선형 보간한 경우를 비교해보면 보정 결과는 100% 정확하게 일치된다.
그러므로 도6의 방법으로 룩업테이블을 구성하면 종래 도2와 비교하였을 때 약 1/4 정도의 하드웨어로 +1 ~ -1 정도의 오차범위 내에서 구현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형 보간을 이용한 감마 보정 장치의 제3 실시 블록도로, 디스플레이 처리 속도와 영상 처리 속도가 일치할 경우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형 보간을 이용한 감마 보정 장치의 제4 실시 블록도로, 영상 처리 속도가 디스플레이 처리 속도의 2배 이상일 경우이다
도7 및 도8의 감마 보정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의 동작과 동일하며, 단지 입력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가 12비트인 경우를 예시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구성 및 동작은 생략한다.
이러한 제3 및 제4 실시예는 12비트의 화소를 갖는 입력 영상 데이터를 감마 보정하는 하는 것으로, 종래의 도2의 방법과 비교해볼 때 약 1/8, 1/16의 하드웨어로 구현이 가능하다.
물론 감마 보정시 오차가 조금 더 증가할 것으로 생각되나 바이패스 모드에서는 오차없이 구현이 가능하고, 대부분의 경우 실제 적용에 문제가 없는 수준으로 기존의 방법에 비해서 하드웨어의 크기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형 보간을 이용한 감마 보정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대부분의 감마 보정 곡선이 단조 증가의 형태를 가지는 특성을 이용하여 작은 크기의 룩업테이블을 이용하여 주요 위치의 감마보정값을 저장하고 나머지 부분의 감마보정값은 선형 보간을 통하여 생성시킴으로써 필요한 하드웨어의 양을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이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11)

  1. 입력 영상 데이터의 소정 상위비트(MSB)를 입력받고 저장된 감마보정값을 출력하는 제1 룩업테이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소정 상위비트(MSB)의 1 증가된 값을 입력받아 저장된 감마보정값을 출력하는 제2 룩업테이블;
    상기 제1 및 제2 룩업테이블로부터 상기 출력된 감마보정값을 입력받고,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소정 상위비트(MSB)를 제외한 하위비트(LSB)를 입력받아 하위비트(LSB) 값에 따라 상기 두 개의 출력된 감마보정값을 선형보간에 의해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최종 감마보정값을 출력하는 선형보간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보간을 이용한 감마 보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룩업테이블과 제 룩업테이블은 동일한 감마 보정 값을 저장하고 동일한 메모리 용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보간을 이용한 감마 보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룩업테이블은 상기 입력 영상 테이터의 하위비트가 모두 '0'인 경우의 감마 보정 값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보간을 이용한 감마 보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최상위 값이 제1 룩업테이블에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2 룩업테이블에도 상기 최상위 값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보간을 이용한 감마 보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처리 속도와 영상 처리 속도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보간을 이용한 감마 보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최상위값이 제1 룩업테이블에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2 룩업테이블에는 영상 데이터의 최하위값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보간을 이용한 감마 보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룩업테이블의 내용은 같은 값을 가지며, 이때 제2 룩업테이블의 최하위값이 제1 룩업테이블의 최상위값과 같은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보간을 이용한 감마 보정 장치.
  8. 입력 영상 데이터의 소정 상위비트(MSB) 및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소정 상위비트의 1증가된 값을 시분할하여 출력하는 출력하는 선택부;
    상기 선택부로부터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소정 상위비트(MSB) 및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소정 상위비트의 1증가된 값을 시분할하여 입력받고 저장된 감마보정값을 출력하는 룩업테이블;
    상기 룩업테이블로부터 두 개의 감마보정값을 시분할하여 입력받고,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소정 상위비트(MSB)를 제외한 하위비트(LSB)를 입력받아 하위비트(LSB) 값에 따라 상기 두 개의 감마보정값을 선형보간에 의해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최종 감마보정값을 출력하는 선형보간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보간을 이용한 감마 보정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룩업테이블은 상기 입력 영상 테이터의 하위비트가 모두 '0'인 경우의 감마 보정 값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보간을 이용한 감마 보정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최상위 비트가 상기 선택부에 입력되는 경우, 시분할에 의해 다음에 상기 선택부에 입력되는 값도 상기 최상위 비트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보간을 이용한 감마 보정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영상 처리 속도가 디스플레이 처리 속도의 두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보간을 이용한 감마 보정 장치.
KR10-2002-0001176A 2002-01-09 2002-01-09 선형보간을 이용한 감마 보정 장치 KR100434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1176A KR100434293B1 (ko) 2002-01-09 2002-01-09 선형보간을 이용한 감마 보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1176A KR100434293B1 (ko) 2002-01-09 2002-01-09 선형보간을 이용한 감마 보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0462A true KR20030060462A (ko) 2003-07-16
KR100434293B1 KR100434293B1 (ko) 2004-06-05

Family

ID=32217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1176A KR100434293B1 (ko) 2002-01-09 2002-01-09 선형보간을 이용한 감마 보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4293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715B1 (ko) * 2002-02-09 2004-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감마 보정 장치 및 방법
KR100622180B1 (ko) * 2003-10-30 2006-09-19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화상 처리 회로, 화상 표시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KR20060104234A (ko) * 2005-03-29 2006-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처리 장치 및 화상처리방법
KR100970852B1 (ko) * 2007-09-27 2010-07-16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감마 보정을 수행하는 신호 처리 장치 및 신호 처리 방법
US8797346B2 (en) 2011-11-10 2014-08-05 Samsung Display Co., Ltd. Gamma correctio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 device
KR20150080204A (ko) * 2013-12-31 2015-07-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9336707B2 (en) 2013-07-15 2016-05-10 Samsung Display Co., Ltd. Gamma voltage supply devic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CN105632425A (zh) * 2014-10-29 2016-06-01 新相微电子(开曼)有限公司 一种基于薄膜晶体管显示器驱动数字伽马校正方法及电路
KR20190057807A (ko) * 2017-11-20 2019-05-29 (주)코텍 영상 표시 장치의 복수 감마 보정 장치 및 방법
CN114244969A (zh) * 2021-12-21 2022-03-25 上海集成电路装备材料产业创新中心有限公司 一种图像亮度校正方法和硬件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3131A (ja) * 1993-01-29 1994-08-19 Fuji Film Micro Device Kk ディジタル画像のガンマ補正
JP3303412B2 (ja) * 1993-04-07 2002-07-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ガンマ補正回路、表示装置の調整方法及び表示装置
US5726718A (en) * 1994-09-30 1998-03-1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Error diffusion filter for DMD display
JP3071131B2 (ja) * 1995-09-05 2000-07-31 三洋電機株式会社 ガンマ補正装置
DE69900270T2 (de) * 1998-04-03 2002-07-25 Da Vinci Systems Inc Vorrichtung zur Erzeugung von angepassten Gamma-Kurven für einer Farbkorrekturanlage
US6215468B1 (en) * 1998-11-13 2001-04-10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Circuit for converting an 8-bit input video signal into a 10-bit gamma corrected output video signal
KR100308044B1 (ko) * 1999-01-19 2001-09-26 구자홍 자동 영상 이득 조절 방법 및 장치
JP4470243B2 (ja) * 1999-08-31 2010-06-02 ソニー株式会社 ゲインコントロール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GB0006811D0 (en) * 2000-03-22 2000-05-10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Controller ICs for liquid crystal matrix display devices
JP4333023B2 (ja) * 2000-11-24 2009-09-16 ソニー株式会社 デジタル信号処理回路、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および液晶プロジェクタ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715B1 (ko) * 2002-02-09 2004-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감마 보정 장치 및 방법
KR100622180B1 (ko) * 2003-10-30 2006-09-19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화상 처리 회로, 화상 표시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KR20060104234A (ko) * 2005-03-29 2006-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처리 장치 및 화상처리방법
KR100970852B1 (ko) * 2007-09-27 2010-07-16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감마 보정을 수행하는 신호 처리 장치 및 신호 처리 방법
US8797346B2 (en) 2011-11-10 2014-08-05 Samsung Display Co., Ltd. Gamma correctio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 device
US9336707B2 (en) 2013-07-15 2016-05-10 Samsung Display Co., Ltd. Gamma voltage supply devic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150080204A (ko) * 2013-12-31 2015-07-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N105632425A (zh) * 2014-10-29 2016-06-01 新相微电子(开曼)有限公司 一种基于薄膜晶体管显示器驱动数字伽马校正方法及电路
KR20190057807A (ko) * 2017-11-20 2019-05-29 (주)코텍 영상 표시 장치의 복수 감마 보정 장치 및 방법
CN114244969A (zh) * 2021-12-21 2022-03-25 上海集成电路装备材料产业创新中心有限公司 一种图像亮度校正方法和硬件系统
CN114244969B (zh) * 2021-12-21 2024-03-15 上海集成电路装备材料产业创新中心有限公司 一种图像亮度校正方法和硬件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4293B1 (ko) 200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9199B2 (en) Image processing circuit,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5303055A (en) Method and apparatus to improve a video signal
US7679619B2 (en) Data outputting method, data outputting device, liquid crystal panel driving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P0947975A1 (en) Gamma correction circuit
EP1067507A1 (en) Image display
US6388711B1 (en) Apparatus for converting format for digital television
KR100434293B1 (ko) 선형보간을 이용한 감마 보정 장치
US578410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shading correction by multiplying a differential shading correction factor and input image data
EP0773683A2 (en) Controlling video down-conversion
JP2002534007A (ja) ガンマの線形近似のデジタル補正のための回路及び方法
KR0160283B1 (ko) 화상 신호 보간 회로
US20050200761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7925111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image coding apparatus and method
US5699459A (en) Image compression device and a method of image compression
US6020921A (en) Simple gamma correction circuit for multimedia
US8089490B2 (en) Correction arithmetic circuit
US2006003393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color gamut of color image
JPH09172615A (ja) 信号処理装置
JPH09212131A (ja) 画像処理装置
KR100434294B1 (ko) 감마 보정 장치
US7154562B1 (en) Methods and circuits for implementing programmable gamma correction
US5822009A (en) Video down-conversion
US20040239815A1 (en) Image compensation apparatus
US8289348B2 (en) Image signal processing device
KR100487308B1 (ko) 영상 보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