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0058A - Work transfer method and work transfer equipment - Google Patents

Work transfer method and work transfer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0058A
KR20030060058A KR1020020084539A KR20020084539A KR20030060058A KR 20030060058 A KR20030060058 A KR 20030060058A KR 1020020084539 A KR1020020084539 A KR 1020020084539A KR 20020084539 A KR20020084539 A KR 20020084539A KR 20030060058 A KR20030060058 A KR 20030060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carrier
workpiece conveyance
lift
conveyance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45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878652B1 (en
Inventor
미즈구찌슈지
가와모또기이찌로
시로자가즈히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30060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00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8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8652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 B21D43/05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specially adapted for multi-stage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grippers
    • B23Q7/041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grippers step by ste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grippers
    • B23Q7/043Construction of the gri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Abstract

[과제] 공작물 (work) 반송궤적의 지시 (teaching)가 용이하고 공작물반송속도를 고속화할 수 있으며 또 공작물을 직접 앞공정 프레스에서 다음 공정 프레스로 반송할 수 있는 탠덤 프레스라인의 공작물 반송(搬送)방법 및 공작물반송장치를 제공한다.[Problem] Work conveyance of tandem press line that can easily teach work conveyance trajectory, speed up the work conveying speed, and convey work directly from the previous process press to the next process press. Provided are a method and a workpiece conveying apparatus.

[해결수단] 공작물반송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적어도 한쌍 또는 1개의 리프트 빔(13)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공정과, 상기 각 리프트빔(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1개의 캐리어(15)를 이동시키는 동시에 서로 대향하는 좌우 한쌍의 캐리어(15, 15) 사이에 횡방향으로 가설하고 또 공작물유지가 가능한 공작물유지수단(18)을 가진 크로스바(17)를 상기 캐리어(15)에 대하여 캐리어 이동방향으로 오프셋 (offset)시키는 제2공정을 가지며 상기 제1공정 및 상기 제2공정을 동시에 또는 단독으로 하는 크로스바(17)의 승강 및 공작물반송방향의 왕복동작을 하게 하므로서 공작물을 다음 공정으로 순차 반송한다.[Solution] The first step of moving the at least one pair or one lift beam 13 arranged in parallel in the workpiece conveyance dir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t least one carri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lift beam 13 ( 15. A crossbar 17 having work holding means 18 capable of temporarily placing and holding the work between the left and right pairs of carriers 15 and 15 which are opposed to each other while moving 15, with respect to the carrier 15. A second step of offsetting in the carrier movement direction and causing the crossbar 17 to move up and down in the first and second steps simultaneously or singly, and to perform a reciprocating operation in the workpiece conveyance direction, thereby moving the workpiece to the next step. Carries sequentially.

Description

탠덤 프레스라인의 공작물반송방법 및 공작물반송장치{WORK TRANSFER METHOD AND WORK TRANSFER EQUIPMENT}WORK TRANSFER METHOD AND WORK TRANSFER EQUIPMENT}

본 발명은 복수대의 프레스를 공작물 반송방향으로 일렬로 설치한 탠덤프레스라인의 공작물반송 방법 및 공작물반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piece conveyance method and a workpiece conveyance apparatus of a tan dumpless line in which a plurality of presses are arranged in a line in a workpiece conveyance direction.

종래부터 탠덤(tandem)프레스라인의 각 프레스 사이의 공작물(work)반송방법 및 공작물반송장치에는 로봇방식 또는 로더·언로더 (loader/unloader) 방식 등이있다.Conventionally, the work conveying method and the work conveying device between each press of a tandem press line include a robot method or a loader / unloader method.

로봇방식은 각 프레스 사이에 설치된 다관절형 반송로봇에 의해 앞공정(前工程)프레스의 공작물을 반송(搬送)하는 동시에 다음 공정 프레스에 반입하고 있다. 다관절구조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다음 공정으로의 공작물의 반입(搬入)자세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가 있다.The robot system conveys the workpiece of a previous process press and carries it into the next process press by the articulated transfer robot provided between each press. Since the multi-joint structure is used, the carrying position of the workpiece into the next step can be easily changed.

또 공작물반출, 반입의 궤적을 금형에 맞추어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jectory of carrying out and carrying out the workpiece can be set in accordance with the mold.

또 로더·언로더 방식은 각 프레스 본체의 공작물이송방향의 상류측 측면에 설치된 로더와, 하류측면에 설치한 언로더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로더및 언로더는 예컨대 링크구조의 복수의 암을 가지고 있으나 구조상 공작물를 직접 다음 공정 프레스에 반송할 수 없으므로 로더와 언로더의 사이에 셔틀피더(suttle feeder)등의 중간 대차(臺車)를 설치하고 있다.In addition, the loader / unloader system is provided with the loader provided in the upstream side surface of the workpiece conveyance direction of each press main body, and the unloader provided in the downstream side surface, respectively. The loader and unloader have a plurality of arms of link structure, for example, but because the structural workpiece cannot be directly transferred to the next process press, an intermediate bogie such as a shuttle feeder is installed between the loader and the unloader. have.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반송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conveying apparatus has the following problems.

로봇방식에서는 로봇이 다관절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공작물반송궤적을 지시(teaching)할 때 관절의 움직임이 급격하지 않도록, 즉, 각 관절축을 구동하고 있는 서보모터를 급가속하지 않도록 로봇손목이나 각 암의 자세를 고려하여 지시할 필료가 있으며, 이 때문에 지시시간이 오래 걸린다. 따라서 지시에 숙련을 요하기 때문에 경험이 적은 작업자에게는 지시가 매우 곤란하며 작업성이 저하하는 문제가 있다. 또 공작물반송시에 금형이나 프레스 등의 다른 장치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복수의 구동축을 동시에 제어하여 직선보간(直線補間)구동을 하고 있으나 이 때 반송속도가 로봇의 각 축의 속도내의 가장 느린 속도로 제한되게 되어로봇 전체의 공작물반송속도를 고속화 할 수 없고 생산속도를 올릴 수 없는 문제가 있다.In the robot method, since the robot has a multi-joint structure, the robot wrist or each arm does not suddenly accelerate the joint movement when teaching the workpiece transport trajectory, that is, the rapid acceleration of the servomotor driving each joint axis. Considering the posture, there is a necessity to instruct, and this takes a long time. Therefore, since the instruction is required for the skilled worker, the instruction is very difficult and the workability is deteriorated. In addition, in order to avoid interference with other devices such as molds and presses during workpiece conveyance, linear interpolation driving is performed by simultaneous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drive shafts, but the conveying speed is the slowest speed in each axis of the robot.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increase the speed of the workpiece conveyance of the entire robot and can not increase the production speed.

또 로더·언로더 방식의 경우에 있어서 로더 및 언로더가 각각 프레스의 상, 하류측면에 설치되며 또 셔틀피더 등의 중간 대차가 각 프레스 사이에 설치되기 때문에 장치가 크게 되어 큰 설치 스페이스가 필요하며 코스트가 높게 되는 문제가 생긴다.In the case of the loader and unloader system, the loader and the unloader are installed on the upper and downstream sides of the press, respectively, and the intermediate bogie such as the shuttle feeder is installed between the presses, so that the apparatus becomes large and a large installation space is required. There is a problem of high cost.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졌으며, 공작물반송궤적의 지시가 단시간에 용이하게 되고 공작물반송속도를 고속화할 수 있고 또 공작물를 직접 앞공정 프레스에서 다음 공정 프레스로 반송할 수 있는 탠덤 프레스 라인의 공작물반송방법 및 공작물반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possible to indicate the workpiece conveyance trajectory in a short time, to speed up the workpiece conveyance speed, and to transfer the workpiece directly from the previous process press to the next process pres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orkpiece conveyance method and a workpiece conveyance apparatus.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및 작용효과][Means and Effects for Solving the Problem]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1발명은 공작물반송방향을 따라 복수대의 프레스를 설치한 탠덤프레스라인의 공작물반송방법에 있어서 공작물반송방향에 평행하게, 또 공작물반송방향에 대하여 좌우로 배치된 적어도 한 쌍의 리프트빔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공정과, 상기 각 리프트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1개의 캐리어를 이동시키는 동시에 서로 대향하는 좌우 한쌍의 캐리어 사이에 횡방향으로 가설하고 또 공작물유지가 가능한 공작물유지수단을 가진 크로스바를 상기 캐리어에 대하여 캐리어 이동방향으로 오프셋 (offset)시키는 제2공정을 가지며 상기 제1의 공정 및 상기 제2의 공정을 동시에 또는 단독으로 행하여 크로스바의 승강 및 공작물반송방향의 왕복동작을 시키어 공작물를 다음 공정으로 순차 반송하는 방법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irst invention provides at least one member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workpiece conveying direction and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workpiece conveying direction in a method for conveying a workpiece of a tandemless lin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esses along the workpiece conveying direction. The first step of moving the pair of lift beam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t least one carri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spective lift beams a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left and right pair of carriers facing each other and the workpiece holding A second step of offsetting a crossbar having a possible workpiece holding means in the carrier movemen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arrier, and carrying out the first step and the second step simultaneously or alone to move up and down the crossbar; It is a method of conveying a workpiece sequentially to the next process by making reciprocating operation of.

제1발명에 의하면 공작물반송방향에 대하여 좌우로 배치된 리프트빔을 상하동작시키는 공정과, 각 리프트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캐리어를 이동시키며 공작물유지수단을 가진 크로스바를 캐리어에 대하여 캐리어 이동방향으로 오프셋시키는 공정을 동시에 또는 단독으로 행하여 공작물유지수단을 승강과 반송방향으로 직교하는 2개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 공작물반송궤적이 작업자에게 직감적으로 알기 쉽다. 이 때문에 승강, 반송방향의 각 스트로크를 지시하거나 데이터설정하거나 하는 작업이 용이하여 단시간에 마칠 수 있다. 또 초심자의 작업자도 지시가 용이하게 되므로 작업성이 매우 좋다. 또 직교하는 2개의 제에축의 속도는 서로 독립하여 설정되므로 공작물반송속도를 각 구동축모터가 가진 능력의 최대속도까지 올릴 수 있고 수동조작시의 작업성 및 프레스라인 생산속도가 향상된다. 또 리프트빔의 양단부를 인접하는 프레스의 금형 근방에 위치시키거나 또는 공작물유지수단을 가진 크로스바를 캐리어에 대하여 캐리어 이동방향으로 오프셋 시키어서 공작물를 직접 앞공정 프레스에서 다음 공정 프레스로 반송할 수 있어 셔틀피더등의 프레스 사이에 대차가 필요없게 되고 라인의 소형화 및 코스트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invention, a process of vertically operating a lift beam disposed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a workpiece conveyance direction, and moving a carri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lift beam and offsetting a crossbar having a workpiece holding means in a carrier movemen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arrier The workpiece carrying means is moved in two directions orthogonal to the raising and lowering directions by carrying out the step of simultaneously or singly, so that the workpiece conveyance trajectory is intuitive to the worker. For this reason, the operation | movement which instruct | indicates or sets data of each stroke of a lifting and returning direction is easy, and can be completed in a short time. In addition, even the beginner's worker can be easily ordered, so workability is very good. In addition, the speed of the two orthogonal axes is set independently of each other, so that the workpiece conveyance speed can be increased to the maximum speed of each drive shaft motor, and workability and press line production speed in manual operation are improved. In addition, by placing the two ends of the lift beam in the vicinity of the mold of the adjacent press or by offsetting the crossbar with the workpiece holding means in the carrier movemen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arrier, the workpiece can be conveyed directly from the previous process press to the next process press. No balance is required between presses, etc., and the line size can be reduced and the cost can be reduced.

제2발명은 공작물반송방향을 따라 복수대의 프레스를 설치한 탠덤 프레스 라인의 공작물반송방법에 있어서, 프레스가공영역 밖에서 공작물반송방향에 평행하게 또 공작물반송방향에 대하여 좌우방향의 약 중앙에 배치된 적어도 1개의 리프트빔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공정과, 상기 리프트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1개의 캐리어를 이동시키는 동시 공작물유지 가능한 공작물유지수단을 가진 서브 캐리어를 상기 캐리어에 설치한 가이드를 따라 캐리어 이동방향으로 이동시키어 상기 캐리어에 대하여 오프셋시키는 제2공정을 가지며, 상기 제1공정 및 상기 제2공정을 동시에, 또는 단독으로 행하여 공작물유지수단의 승강 및 공작물반송방향으로 왕복동작시키므로서 공작물를 다음 공정으로 순차 반송하는 방법이다.The second invention relates to a workpiece conveyance method of a tandem press line in which a plurality of presses are provided along a workpiece conveyance direction, wherein at least about the center of the workpiece conveyance direction, at least about the center of the workpiece conveyance direction, parallel to the workpiece conveyance direction and 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orkpiece conveyance direction. A first step of moving one lift beam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sub-carrier having a workpiece holding means capable of simultaneously holding the workpiece to move at least one carri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ft beam along the guide provided on the carrier. A second step of moving in the direction of carrier movement to offset the carrier, and carrying out the first step and the second step simultaneously or singly to reciprocate the workpiece holding means in a lifting and lowering direction of the workpiece conveyance. It is a method of conveying sequentially to a process.

제2발명에 의하면 상기 리프트빔을 공작물반송방향에 대하여 좌우방향의 약 중앙위치에 1개를 설치해도 되고 이 경우에도 상기 제1발명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본 발명에서 각 공작물반송장치에 대하여 리프트빔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According to the second invention, one of the lift beams may be provided at about a central posi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workpiece conveyance direction, and in this case, it has the same effect as the first invention.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lift beams is not limited for each workpiece transport apparatus.

제3발명은 공작물반송방향을 따라 복수대의 프레스를 설치한 탠덤 프레스 라인의 공작물반송장치에 있어서, 공작물반송방향으로 평행하게 또 공작물반송방향에 대하여 좌우로 배치되며 상하동작이 가능하게 된 적어도 한쌍의 리프트빔과 상기 각 리프트빔의 길이방향에 따라 이동가능하게 된 적어도 1개의 캐리어와 상기 캐리어에 설치된 가이드를 따라 캐리어 이동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 서브캐리어와, 서로 대향하는 좌우 한쌍의 서브캐리어 사이에 횡방향으로 가설하고 공작물유지가 가능한 공작물유지수단을 크로스바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The third invention is a workpiece conveyance apparatus of a tandem press line in which a plurality of presses are provided along a workpiece conveyance direction, the at least one pair being arranged in parallel in the workpiece conveyance direction and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workpiece conveyance direction and capable of vertical movement. Between at least one carrier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ft beam and the respective lift beams, a subcarrier movable in the carrier moving direction along a guide provided in the carrier,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subcarriers facing each other; The workpiece holding means which can be installed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capable of holding the workpiece is provided with a crossbar.

제3발명에 의하면 공작물반송방향에 평행하게 설치된 좌우 한쌍의 리프트빔을 상하방향으로 구동하고 이 리프트빔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된 캐리어와, 이 케리어에 공작물반송방향(캐리어 이동방향) 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서브캐리어를 공작물반송방향으로 구동하므로서 서브캐리어에 횡방향으로 가설한 크로스바에 설치된 공작물유지수단을 직교하는 2방향(승강 및 반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문에 승강 반송방향의 각 스트로크를 지시하거나 데이터설정을 하는 작업이 용이하고 단시간에 마칠 수 있다. 또 초심자의 작업자라도 지시가 용이하게 되므로 작업성이 매우 양호하다. 또 직교하는 2개의 제어축의 속도는 서로 독립하여 설정될 수 있으므로 공작물반송속도를 각 구동축모터가 가진 능력의 최대속도까지 올릴 수 있어, 수동조작시의 작업성 및 프레스라인 생산속도를 향상할 수 있다. 또 리프트빔의 양단부를 인접하는 프레스의 금형근방에 위치시키므로서 또는 공작물유지수단을 가진 크로스바를 캐리어에 대하여 캐리어의 이동방향으로 오프셋시킴으로서 공작물이 직접 앞가공프레스에서 다음 가공 프레스에 반송되므로 셔틀피더 등의 프레스 사이에 대차가 필요없게 되며 라인의 소형화 및 코스트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of the invention, a carrier which is driven in a vertical direction by driving a pair of left and right lift beams installed in parallel with a workpiece conveyance direction and movable along the lift beam, and movable in a workpiece conveyance direction (carrier movement direction) to this carrier By driving the installed subcarrier in the workpiece conveyance direction, the subcarrier can move in two directions (lifting and conveying directions) orthogonal to the workpiece holding means provided on the crossbar that is provided laterally in the subcarrier. For this reason, the operation | movement which instruct | indicates each stroke of a lifting conveyance direction, or sets data can be completed easily in a short time. In addition, even the beginner's operator can easily instruct, so the workability is very good. In addition, since the speeds of two orthogonal control shafts can be set independently of each other, the workpiece conveyance speed can be increased to the maximum speed of each drive shaft motor, thereby improving workability and press line production speed during manual operation. . In addition, by placing both ends of the lift beam in the vicinity of the mold of the adjacent press or by offsetting the crossbar with the work holding means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arrier with respect to the carrier, the workpiece is conveyed directly from the front press to the next work press, so that the shuttle feeder, etc. There is no need for bogies between presses, and the line size and cost can be reduced.

또 제4발명은 제3발명에서의 상기 한쌍의 리프트빔과 한쌍의 리프트빔에 상류측 또는 하류측에서 인접하는 다른 한쌍의 리프트빔과의 근접위치는 공작물반송방향에서 각 공정의 대략 중심, 또는 가공공정 중심과 아이들 공정의 대략 중심에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In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pair of lift beams and the pair of lift beams in the third invention is located in the proximity of another pair of lift beams adjacent upstream or downstream. It consists of the structure installed in the center of a process process and the approximate center of an idle process.

제4발명에 의하면 제3발명의 효과에 부가하여 상류측 또는 하류측에서 인접하는 다른 한쌍의 리프트의 근접위치를, 공작물반송방향에서의 가공공정의 대략 중심, 또는 가공공정의 대략 중심 및 아이들(idle)공정(공작물종별에 따라 필요시에 설치된다) 의 대략 중심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리프트빔을 따라 이동하는 캐리어의 이동방향으로 서브캐리어를 오프셋 가능하게 한것과 가공 스테이션의 금형 중심위치와 다음공정의 가공스테이션의 금형중심위치와 프레스 사이에 아이들공정(중간패널받이 등)중심위치 사이의 공작물반송이 확실하게 된다. 따라서 금형이나 공작물의 가공상태에 최적의 공작물반송이 가능한 탠덤프레스 라인을 구성한다.According to the fourth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effect of the third invention, the proximity position of another pair of lifts adjacent on the upstream side or the downstream side is determined by the approximate center of the machining process in the workpiece conveyance direction, or the approximate center of the machining process and the idle ( idle) process (installed when necessary according to the workpiece type), so that the subcarrier can be offset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arrier moving along the lift beam, and the mold center position of the machining station and the next process The workpiece transfer between the center position of the die in the machining station and the center position of the idling process (intermediate panel receiving, etc.) between the presses is assured. Therefore, it constructs a tandumpless line that can optimally transport the workpiece to the mold or the workpiece.

제5발명은 공작물반송방향에 따라 복수대의 프레스를 설치한 탠덤프레스 라인의 공작물반송장치에 있어서 프레스가공 구역밖에 공작물반송방향으로 평행하게, 또 공작물반송방향에 대하여 좌우로 배치되며, 상하동작이 가능하게 된 적어도 한쌍의 리프트빔과, 상기 각 리프트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된 적어도 1개의 캐리어와, 상기 캐리어에 설치된 가이드를 따라 캐리어 이동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 서브캐리어와, 서로 대향하는 좌우 한쌍의 서브캐리어 사이에 횡방향으로 가설하며 공작물유지 가능한 공작물유지수단을 가진 크로스바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The fifth invention is a workpiece transporting apparatus of a tandumpless line in which a plurality of presses are installed according to a workpiece conveying direction, which is arranged parallel to the workpiece conveying direction outside the press processing zone and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workpiece conveying direction, and is capable of vertical movement. At least one pair of lift beams, at least one carrier movabl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lift beam, a subcarrier movable in a carrier movement direction along a guide installed in the carrier, and facing each other A crossbar is provid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pair of subcarriers in a transverse direction and having a work holding means capable of holding the work.

제5발명에 의하면 적어도 한쌍의 리프트빔을 프레스가공구역 밖에, 즉, 슬라이더나 금형등과의 간섭이 없는 프레스 간 에어리어 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하여도 되고 이 경우에는 캐리어와 서브 캐리어의 공작물반송방향으로 이동에 의해 크로스바를 캐리어 즉, 리프트빔에 대하여 오프셋시키기 위해 직교하는 2방향(승강 및 반송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가공 스테이션의 금형중심위치에 공작물의 반송이 확실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제3발명과 같은 효과를 얻는다.According to the fifth aspect of the invention, at least one pair of lift beams may be provided to be liftable outside the press working zone, i.e., within the press-to-press area without interference with sliders or molds, and in this case, the carrier and the sub-carrier move in the workpiece conveyance direction. This ensures that the workpiece is conveyed to the mold center position of the machining station by the movement in two directions (raising and lowering directions) orthogonal to offset the crossbar with respect to the carrier, that is, the lift beam. This achieves the same effect as the third invention.

또 제6발명은 제5발명에서 적어도 1조의 인접되는 프레스 사이에 아이들 공정을 부설하고 상기 인접하는 프레스의 한쪽과 상기 아이들공정 사이 및 상기 아이들공정과 상기 인접하는 프레스의 다른쪽과 사이에 공작물반송방향으로 평행하게 또 공작물반송방향에 대하여 좌우로 배치되며 서로 단독으로 상하동작가능하게 된각각 한쌍의 리프트빔을 설치하며 상기 각 한쌍의 리프트빔에 각각 상기 캐리어, 서브 캐리어 및 크로스바를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In the sixth invention, in the fifth invention, an idle process is laid between at least one set of adjacent presses and a workpiece is transported between one of the adjacent presses and the idle process and between the idle process and the other press. And a pair of lift beams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and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workpiece conveyance direction and capable of vertically actin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nd the carrier, subcarrier and crossbars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pair of lift beams. It is.

제6발명에 의하면 인접하는 프레스 사이에 공작물에 따라 필요시에 아이들공정(중간 패널받이 등)을 설치한 경우에도 제5발명을 적용가능하며 프레스와 아이들공정사이에 상하동작 가능한 리프트빔과 리프트빔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캐리어, 서브캐리어 및 크로스바를 설치하므로서 상기 제5발명과 같은 효과가 있다. 이로서 여러가지 라인구성에 대응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ixth invention, the fifth invention is applicable even when an idle process (intermediate panel receiving, etc.) is installed between adjacent presses when necessary according to the workpiece, and the lift beam and the lift beam which can be vertically operated between the press and the idle process. By providing a carrier, a subcarrier and a crossbar which ar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re is the same effect as the fifth invention. This makes it possible to cope with various line configurations.

제7발명은 공작물반송방향을 따라 복수대의 프레스를 설치한 탠덤 프레스 라인의 공작물반송장치에 있어서, 프레스가공구역 밖에 공작물반송방향으로 평행하게 또 공작물반송방향에 대하여 좌우방향의 약 중앙에 배치되며 상하동작가능하게 된 적어도 1개의 리프트빔과 상기 리프트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된 적어도 1개의 캐리어와 상기 캐리어에 설치된 가이드를 따라 캐리어의 이동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 서브캐리어와 상기 서브 캐리어에 설치된 공작물유지가능한 공작물유지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이다.The seventh invention is a workpiece conveying apparatus of a tandem press line in which a plurality of presses are provided along a workpiece conveying direction, which is arranged parallel to the workpiece conveying direction outside the press processing zone and at about the cent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workpiece conveying direction. At least one lift beam enabled and at least one carrier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ft beam and a subcarrier and the subcarrier movable in a moving direction of the carrier along a guide installed in the carrier; It is provided with a work holding means capable of holding the installed work.

즉 제7발명은 제5발명에서의 공작물반송방향에 대하여 좌우로 설치된 적어도 한쌍의 리프트빔 대신에 좌우방향의 약 중앙에 적어도 1개의 리프트빔을 배치한 구성이며, 이와 같은 경우에도 제5발명과 같은 효과를 얻게 되는 동시에 공작물반송장치의 구성을 간소화하여 컴팩트화 할 수 있다.That is, the seventh invention is a configuration in which at least one lift beam is disposed at about the cent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stead of the at least one pair of lift beams provided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workpiece conveyance direction in the fifth invention. The same effect can be obtained,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workpiece conveying device can be simplified and compact.

또 제8발명은 제7발명에 있어서 적어도 1조의 인접하는 프레스 사이에 아이들 공정을 부설하고 상기 인접하는 프레스의 한쪽과 상기 아이들공정의 사이, 및상기 아이들공정과 상기 인접하는 프레스의 다른쪽 사이에 공작물반송방향에 평행하게, 또 공작물반송방향에 대하여 좌우방향의 대략 중앙에 배치되고 서로 단독으로 상하동작 가능하게 된 각각의 1개의 리프트빔을 설치하고 각 1개의 리프트빔에 각각 상기 캐리어, 서브캐리어 및 공작물유지수단을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In the eighth invention, in the seventh invention, an idle process is provided between at least one set of adjacent presses, and between one of the adjacent presses and the idle process, and between the idle process and the other press. Each of the carrier beams and the subcarriers are disposed in each of the lift beams in parallel with the workpiece conveyance direction and provided at one center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workpiece conveyance direction, and each of the one lift beams capable of being operated up and down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nd a work holding means.

제8발명에 의하면 인접하는 프레스 사이에 아이들공정(중간 패널받이 등)을 설치한 경우에도 제7발명을 적용가능하며 프레스와 아이들 공정 사이에 상하동작 가능하게 된 리프트빔과 리프트빔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 캐리어, 서브캐리어 및 크로스바를 설치함으로서 상기 제7발명과 같은 효과를 낸다. 이로서 여러가지 라인의 구성에 대응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ighth invention, the seventh invention can be applied even when an idle process (intermediate panel receiving, etc.) is installed between adjacent presses, a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ft beam and the lift beam which can be vertically operated between the press and the idle process. The provision of the seventh invention is achieved by providing a movable carrier, a subcarrier and a crossbar. This makes it possible to cope with various line configurations.

제9발명은 제3발명∼제8발명의 어느 것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캐리어를 이동시키는 캐리어 구동수단이 리니어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ninth invention, the carrier driving means for moving the carri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ft is a linear motor in any of the third to eighth inventions.

제9발명에 의하면 캐리어구동수단으로서 리니어 모터를 사용하므로 캐리어를 컴팩트한 구성으로 될 수 있고 공작물반송장치의 소형화와 중량경감을 할 수 있다. 이로서 리프트빔 및 캐리어를 고속화 할수 있다.According to the ninth invention, since the linear motor is used as the carrier driving means, the carrier can be made compact and the work conveying device can be reduced in size and reduced in weight. This speeds up the lift beam and the carrier.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공작물반송장치의 정면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front view of the workpiece conveyance apparatus which concerns on 1st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2는 도1의 평면도.Figure 2 is a plan view of Figure 1;

도3은 도1의 측면도.3 is a side view of FIG. 1;

도4는 공작물반송장치의 캐리어 및 서브캐리어의 정면도.4 is a front view of a carrier and a subcarrier of the workpiece conveyance apparatus.

도5는 도4의 A-A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도6은 캐리어 및 서브캐리어의 작동설명도.6 is an operation explanatory diagram of a carrier and a subcarrier.

도7은 제1실시형태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공작물반송장치의 평면도이다7 is a plan view of a workpiece transpor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first embodiment.

도8은 제2실시형태의 공작물반송장치의 정면도.8 is a front view of the workpiece transport apparatus of the second embodiment;

도9는 도8의 평면도.9 is a plan view of FIG. 8;

도10은 도8의 측면도.10 is a side view of FIG. 8;

도11은 제2실시형태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공작물반송장치의 평면도.11 is a plan view of a workpiece transpor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second embodiment.

도12는 제2실시형태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공작물반송장치의 평면도.12 is a plan view of a workpiece transpor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second embodiment.

도13은 제2실시형태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공작물반송장치의 평면도.Fig. 13 is a plan view of a workpiece transpor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second embodiment.

[도면 중 중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Code Description of Important Parts of Drawing]

1 - 탠덤 프레스라인,2 - 프레스(2A,2B,2C,2D)1-Tandem Press Line, 2-Press (2A, 2B, 2C, 2D)

3 - 컨트롤러, 4 - 슬라이드, 5 - 볼스터,3-controller, 4-slide, 5-bolster,

6 - 베드, 7 - 업라이트 9 - 재료공급장치,6-bed, 7-upright 9-material feeder,

10(101∼105,102A, 102B∼104A 104B,201∼205, 202A, 202B∼204A, 204B, 301∼305,302A,302B∼304A 304B) - 공작물반송장치10 (101 to 105, 102A, 102B to 104A 104B, 201 to 205, 202A, 202B to 204A, 204B, 301 to 305, 302A, 302B to 304A 304B)

11 - 공작물, 13 - 리프트빔, 14 - 리프트축 서보모터,11-workpiece, 13-lift beam, 14-lift shaft servomotor,

15 - 캐리어, 16 - 리니어 모터, 17 - 크로스바15-Carrier, 16-Linear Motor, 17-Crossbar

18 - 진공컵장치, 19 - 제품반출장치, 30 - 서브캐리어18-Vacuum Cup Device, 19-Product Carrier, 30-Subcarrier

31 - 베이스플레이트, 32 - 모터, 33 - 엔코더31-Baseplate, 32-Motor, 33-Encoder

35 - 샤프트, 35 - 블록, 40 - 리프트구동수단,35-shaft, 35-block, 40-lift drive means,

41,141 - 지지부재, 42 - 서보모터, 43 - 웜기어 복스41,141-Support member, 42-Servomotor, 43-Worm gear box

44 - 리프트 바, 45 - 피니온, 46 - 중간축,44-lift bar, 45-pinion, 46-intermediate shaft,

W1, W2, W3, W4 -가공스테이션, T1, T2, T3, T4 - 반송에어리어,W1, W2, W3, W4-Machining Station, T1, T2, T3, T4-Return Area,

P1, P2, P3 - 중간패널받이P1, P2, P3-Middle Panel Tray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탠덤 프레스 라인의 공작물반송장치의 정면도이다. 도2, 도3은 각각 도1에 표시된 탠덤 프레스라인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4는 공작물반송장치의 캐리어 및 서브캐리어의 정면도이며 도5는 도4의 A-A의 단면도이다. 도6은 캐리어 및 서브캐리어부의 작동설명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front view of the workpiece conveyance apparatus of the tandem press line which concerns on 1st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2 and 3 are plan and side views, respectively, of the tandem press line shown in FIG. 4 is a front view of a carrier and a subcarrier of the workpiece conveyance apparatus, and FIG. 5 is a sectional view of A-A of FIG. 6 is an operation explanatory diagram of a carrier and a subcarrier unit.

먼저, 텐덤 프레스라인 1에 대하여 설명한다.First, the tandem press line 1 is demonstrated.

도1∼도3에서 복수(본실시형태에서는 4대)의 프레스(2A,2B,2C,2D)가 각각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고 각 프레스(2A,2B,2C,2D)에는 가공스테이션(W1,W2,W3,W4) 을 구비하고 있다. 공작물(11)이 좌측의 프레스(2A)에서 우측의 프레스(2D)에 순차적으로 반송되는 것으로 하고 이후, 도면 중 좌측을 상류(上流), 우측을 하류(下流)로 부른다. 상기 복수대의 프레스(2A∼2D)와, 최상류측의 프레스(2A)의 상류측에 배치된 재료 공급장치(9)와, 최하류측의 프레스(2D)의 하류측에 배설된 제품의 반출장치(19)와 각 프레스 사이에 배설된 후술하는 공작물반송장치로 탠덤 프레스 라인 1을 구성하고 있다.1 to 3, a plurality (four in this embodiment) presses 2A, 2B, 2C, and 2D are provided at intervals, and each press 2A, 2B, 2C, and 2D is provided with a machining station W1. , W2, W3, W4). The work 11 is conveyed sequentially from the press 2A on the left side to the press 2D on the right side, after which the left side is called upstream and the right side is called downstream. A plurality of presses 2A to 2D, a material supply device 9 disposed upstream of the most upstream press 2A, and a product discharging device disposed downstream of the press 2D on the most downstream side. Tandem press line 1 is comprised by the below-mentioned workpiece conveyance apparatus arrange | positioned between 19 and each press.

각 프레스(2A∼2D)는 본체 프레임인 업라이트(upright)(7)와 크랭크기구, 편심(eccentric)기구, 링크기구, 등의 기계식 구동력 전달기구(도시되지 않음), 또는 유압식 실린더나 전동 서보모터에 의한 직동(直動)형 구동력 전달기구(도시되지 않음)등이 내장된 상기 프레임(8)과 업라이트(7)에 상하동작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상부프레임(8)내의 구동력 전달기구에 연결되며, 상금형(上金型)(도시되지 않음)이 부착된 슬라이더(4)와, 하금형(下金型)(도시되지 않음)이 부착된 볼스터(bolster)(5)가 설치된 베드(6)를 구비하고 있다.Each press 2A to 2D has an upright 7 as a main frame, a mechanical drive force transmission mechanism (not shown) such as a crank mechanism, an eccentric mechanism, a link mechanism, or a hydraulic cylinder or electric servomotor. It is supported by the frame 8 and the upright 7 in which a linear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chanism (not shown) and the like are vertically operated and connected to the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chanism in the upper frame 8. , A bed 6 provided with a slider 4 with an upper die (not shown) and a bolster 5 with a lower die (not shown). Equipped with.

컨트롤러(3)는 컴퓨터장치나 고속연산프로세서 등을 사용한 고속연산처리장치를 주체로 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각 프레스(2A∼2D)의 상부 프레임(8)내에 설치된 상기 구동력 전달기구를 제어하여 각각의 슬라이더(4)를 동기(同期)시키어 또는 단독으로 구동하고 또 이들 슬라이더(4)에 동기시키어 공작물반송장치(10)를 제어하는 것이다.The controller 3 is composed mainly of a high speed computing processing device using a computer device or a high speed computing processor. The controller 3 controls the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chanism provided in the upper frame 8 of each press 2A to 2D to control the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chanism. The workpiece conveyance apparatus 10 is controlled by synchronizing the slider 4 or driving alone and synchronizing with the slider 4.

제1실시형태에 관한 공작물반송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workpiece conveyance apparatus which concerns on 1st Embodiment is demonstrated in detail as follows.

공작물반송장치는 도1, 도2에 표시된 바와 같이 각 반송 에어리어(T1∼T5)에 배치된 5개의 공작물반송장치(101∼105)로 구성되어 있다. 재료공급장치(9) 위의 공작물를 가공스테이션(W1)에 반송하기 위하여 프레스(2A)의 상류측에 공작물반송장치(101)가 배치되어 있다. 가공스테이션(W1)에서 W4에 순차반송하기 위하여 인접한 프레스(2A∼2D)사이에 각각 공작물반송장치(102, 103, 104)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공스테이션(W4)에서 가공된 공작물을 제품반출장치(19) 위까지 반송하기 위하여 프레스(2D)의 하류측에 공작물반송장치(105)가 배치되어 있다.The workpiece conveyance apparatus is comprised from five workpiece conveyance apparatuses 101-105 arrange | positioned in each conveyance area T1-T5, as shown to FIG. In order to convey the workpiece | work on the material supply apparatus 9 to the processing station W1, the workpiece conveyance apparatus 101 is arrange | positioned upstream of the press 2A. Work conveyance devices 102, 103, and 104 are disposed between adjacent presses 2A to 2D in order to sequentially transport them from processing station W1 to W4. And the workpiece conveyance apparatus 105 is arrange | positioned downstream of the press 2D, in order to convey the workpiece processed by the processing station W4 to the product carrying apparatus 19 above.

도3에 표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공작물반송장치(101∼105)에는 공작물 반송방향을 따라 또 슬라이딩 모션(sliding motion)과 간섭하지 않도록 반송방향에 대하여 좌우에 간격을 두고 한쌍의 리프트빔(13,13)이 배치되어 있다. 또 각 리프트빔(13)은 프레스(2A∼2D)의 업라이트(7)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각 리프트빔(13)의 상방의 업라이트(7)에는 리프트구동수단(40)으로서 리프트축 서보모터(14)가 지지부재(141)을 통하여 장착되어 있다. 이 서보모터(14)의 출력축에는 도시되지 않은 피니온 등이 장착되어 있고 이 피니온과 맞물린 래크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로드(142)가 업라이트(7)에 상하동작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이 로드(142)의 하단부에 상기 리프트빔(13)이 부착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each of the workpiece transport apparatuses 101 to 105 has a pair of lift beams 13 and 13 at intervals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conveying direction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sliding motion along the workpiece conveying direction. ) Is arranged. Moreover, each lift beam 13 is supported by the upright 7 of the presses 2A-2D so that lifting / lowering is possible. That is, the lift shaft servomotor 14 is attached to the upright 7 above each lift beam 13 as the lift drive means 40 via the support member 141. The output shaft of the servomotor 14 is equipped with a pinion or the like, not shown, and a rod 142 having a rack engaged with the pinion in a vertical direction is mounted on the upright 7 so as to be operated up and down. The lift beam 13 is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142.

상기 리프트축 서보모터(14)는 컨트롤러(3)에 접속되어 있으며 컨트롤러(3)에서 제어신호에 의해 소정의 피더모션에 의해서 제어된다.The lift shaft servomotor 14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3 and controlled by a predetermined feeder motion by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3.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1개의 리프트빔(13)을 2개의 서보모터(14, 14)로 승강시키지만 리프트빔(13)을 무리없이 안정상태로 승강하는 구성이면 서보모터(14)를 1개, 또는 3개 이상을 구비해도 되며, 서보모터(14)의 개수나 리프트(13)와의 연결구조 등은 실시에 있어 임의로 결정해도 된다.In this embodiment, one lift beam 13 is lifted by two servomotors 14 and 14, but one servomotor 14 is lifted if the lift beam 13 is lifted up in a stable state without difficulty. Three or more may be provided, and the number of servomotors 14, the connection structure with the lift 13, etc. may be arbitrarily determined at the time of implementation.

또 각 리프트빔(13)의 하부에는 캐리어(15)가 리프트빔(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이 캐리어(15)와 리프트빔(13) 사이에 캐리어(15)를 이동시키는 캐리어구동수단으로서 리니어모터(16)(도5참조)가 배설되어 있다. 또 캐리어(15)의 하부에는 서브캐리어(30)가 리르트빔(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대향하는 좌우 한쌍의 서브캐리어(30,30) 사이에는 공작물유지수단으로서 진공컵장치(18)가 장착된 크로스바(17)가 횡방향으로 가설되어 있다. 이 진공컵장치(18)는 공작물(11)을 소정의 수개소에서 흡착가능하게 한다.In addition, a carrier 15 is attached to the lower part of each lift beam 13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ft beam 13, and the carrier 15 is moved between the carrier 15 and the lift beam 13. The linear motor 16 (refer FIG. 5) is arrange | positioned as a carrier drive means to make. In addition, a subcarrier 30 is attached to the lower part of the carrier 15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tt beam 13, and a vacuum is provided between the opposing left and right pairs of subcarriers 30 and 30 as work holding means. A crossbar 17 on which the cup device 18 is mounted is construct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is vacuum cup apparatus 18 makes the workpiece | work 11 adsorbable at predetermined several places.

도1, 도2에 표시된 바와 같이, 공작물반송장치(101)의 리프트빔(13)은 재료공급장치(9)상의 공작물세트의 소정의 위치까지 상류측에 돌출되게 배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lift beam 13 of the workpiece conveyance apparatus 101 is arranged to protrude upstream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workpiece set on the material supply apparatus 9.

반송에어리어(T2∼T4)에 각각 대응하는 공작물반송장치(102,103,104)의 각 리프트(13)의 길이방향의 단부는 각각의 상류측 및 하류측의 가공시스테이션(W1∼W4) 대략 중앙위치까지 돌출되게 하고 리프트빔(13)의 공작물반송방향의 길이는 인접하는 가공스테이션(W1∼W4)의 중심간의 거리보다 약간 짧게 설치되어 있다. 또 리프트빔(13)의 공작물반송방향의 길이는 인접하는 가공 스테이션(W1∼W4)의 중심간의 거리에 거의 같게 설정되어도 좋다.The longitudinal ends of the lifts 13 of the workpiece transporters 102, 103, and 104 corresponding to the transport areas T2 to T4, respectively, protrude to an approximately center position at the stations W1 to W4 at the upstream and downstream sides, respectively. The length of the workpiece conveyance direction of the lift beam 13 is slightly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of the adjacent machining stations W1 to W4.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workpiece conveyance direction of the lift beam 13 may be set to be substantially equ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of the adjacent processing stations W1 to W4.

도5에 표시한 바와 같이 리프트빔(13)의 하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속된 턱모양의 가이드부(131)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가이드부(131)에 캐리어(15)의 상부가 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리프트빔(13)과 캐리어(15) 사이에는 캐리어 구동수단으로 리니어 모터(16)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 리니어 모터(16)의 리프트빔측의 구성부분(16B)은 리프트빔(13)의 하면에 장착되며 캐리어측 구성부분(16A)은 상기 리프트빔측의 구성부분(16B)과 대면하는 캐리어(15)의 부위에 장착되어 있다. 캐리어측 구성부분(16A) 및 리프트빔 측 구성부분(16B)은 컨트롤러(3)에서의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며 양자간의 상대운동에 의해 캐리어(15)를 이동시키고 있다.As shown in FIG. 5, the lower part of the lift beam 13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jaw-shaped guide part 131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upper part of the carrier 15 is coupled to the guide part 131 to have a length. It is movable in the direction. Between the lift beam 13 and the carrier 15, a linear motor 16 is arranged as a carrier driving means, and the component 16B on the lift beam side of the linear motor 16 is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ift beam 13. The carrier side component 16A is mounted on the portion of the carrier 15 that faces the component beam 16B on the lift beam side. The carrier side component 16A and the lift beam side component 16B are controlled by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3 and move the carrier 15 by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m.

또 리니어 모터(16)는 캐리어측 구성부분(16A)에 1차코일이 리프트빔 측의 구성부분(16B)에 1차코일과 대향하도록 2차도체나 2차영구자석이 설치되어 있다. 리프트빔 측의 구성부분(16B)에 1차코일을, 캐리어측 구성부분(16A)에 2차도체나 2차 영구자석을 설치해도 된다.In the linear motor 16, a secondary conductor or a secondary permanent magnet is provided in the carrier-side component 16A so that the primary coil faces the primary coil in the component 16B on the lift beam side. The primary coil may be provided in the component 16B on the lift beam side, and the secondary conductor or the secondary permanent magnet may be provided in the component 16A on the carrier side.

또 도4, 도5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의 캐리어(15)의 하부에는 서브캐리어(30)가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4 and 5, the subcarrier 30 is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carrier 15 in the present embodiment so as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서브캐리어(30)는 캐리어(15)의 하부에 부착되어 있으며 또 공작물반송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31A)을 가진 소정길이의 베이스플레이트(31)와 베이스플레이트(31)의 길이방향의 일단측 하면에 설치된 서보모터(32)와 베이스플레이트(31)의 타단부측 하면에 설치된 엔코더(33)와 일단부가 상기 서보모터(32)의 출력축에 제1커플링(34a)을 통하여 연결되고 타단부가 엔코더(33)에 제2의 커플링(34b)를 통하여 연결되며 베이스플레이트(31)에 회동(回動)가능하게 지지된샤프트(34)와 샤프트(34)의 외면에 각설(刻設)된 숫나사부(34A)에 나합(螺合) (screw-locked)되고 또 베이스플레이트(31)의 상기 가이드홈(31A)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감합(interlocking)된 가동블록(35)을 구비하고 있다. 대향하는 한쌍의 서브캐리어(30)의 가동블록(35)에 상기 크로스바(17)의 단부가 연결되어 있다.The subcarrier 30 is attached to the lower part of the carrier 15 and has a base plate 31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having a guide groove 31A along the workpiece conveyance direction and one end surface of the base plate 3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encoder 33 and one end of which are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other end side of the servo motor 32 and the base plate 31 installed in the first end are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of the servo motor 32 via a first coupling 34a,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It is connected to the encoder 33 via a second coupling 34b, and is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haft 34 and the shaft 34 rotatably supported by the base plate 31. The movable block 35 is screw-locked to the male screw portion 34A and slidably interlocked with the guide groove 31A of the base plate 31. An end of the crossbar 17 is connected to the movable block 35 of the opposing pair of subcarriers 30.

다음으로 도6에 의해 서브캐리어(30)의 작동을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subcarrier 3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서보모터(32)를 제어하여 샤프트(34)를 회동시키면 이에 나합된 가동블록(35)은 가이드 홈(31A)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각 리프트빔(13)에 있어서 캐리어(15)가 리프트빔(13)의 중앙부보다도 공작물반송방향의 상류측에 있을 때는 가동블록(35)을 캐리어(15)의 중앙부보다 상류측으로 이동시키므로서(예컨대 도6에 실선으로 표시된 캐리어 15A, 크로스바 17A를 참조)크로스바(17A)에 부착된 진공컵장치(18)를 가공스테이션(W1∼W4)의 중심위치나 제품반출장치(19) 상의 공작물세트의 소정위치까지 이동시킨다.When the shaft 34 is rotated by controlling the servo motor 32, the movable block 35 coupled thereto slides along the guide groove 31A. In each lift beam 13, when the carrier 15 is locat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workpiece conveyance direction from the center portion of the lift beam 13, the movable block 35 is moved upstream than the center portion of the carrier 15 (e.g., (See carrier 15A and crossbar 17A indicated by solid lines in FIG. 6) The vacuum cup device 18 attached to the crossbar 17A is placed at the center position of the processing stations W1 to W4 or the workpiece set on the product ejection device 19. Move to position

반대로 캐리어(15)가 리프트빔(13)의 중앙부보다 공작물반송방향의 하류측에 있을 때는 가동블록(35)을 캐리어(15)의 중앙부보다도 하류측에 이동시키므으로서 (도6에 2점선으로 표시한 캐리어(15B),크로스바(17B)를 참조), 진공컵장치(18)를 가공스테이션(W2∼W4)의 중심위치 또는 제품반출장치(19)상의 공작물세트의 소정위치까지 이동시킨다.On the contrary, when the carrier 15 is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workpiece conveyance direction from the center portion of the lift beam 13, the movable block 35 is moved downstream from the center portion of the carrier 15, as indicated by the two-dot line in FIG. One carrier 15B, crossbar 17B), and the vacuum cup apparatus 18 are moved to the center position of the processing stations W2 to W4 or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work set on the product discharging device 19.

이와 같이 크로스바(17) 및 진공컵장치(18)가 캐리어(15)에 대하여 공작물반송방향에 오프셋되므로 가공스테이션(W1∼W4)의 금형에 대하여 또는 재료공급장치 (9), 제품반출장치(19)의 사양에 따라 공작물(11)을 금형의 중심위치나 재료공급장치 (9)상 또는 제품반출장치(19)상의 소정의 위치에서 유지 및 해방하여 확실하게 반송할 수 있다.Thus, the crossbar 17 and the vacuum cup apparatus 18 are offset in the workpiece conveyanc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arrier 15, so that the molds of the processing stations W1 to W4 or the material supply apparatus 9 and the product discharging apparatus 19 are The workpiece 11 can be reliably transported by holding and releasing the workpiece 11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center of the mold, on the material supply device 9 or on the product discharging device 19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또 이때의 오프셋량의 제어는 엔코더(33)에 의해 검출되는 서브캐리어 (30)의 위치신호에 의하여 컨트롤러(3)가 서보모터(32)의 회전각도를 제어하여 행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of the offset amount at this time is performed by the controller 3 controll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servomotor 32 by the position signal of the subcarrier 30 detected by the encoder 33. As shown in FIG.

도1, 도2에 의해 이상과 같은 구성의 공작물반송장치(101∼105)에 의한 공작물(11)의 반송방법을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FIG. 1, FIG. 2, the conveyance method of the workpiece | work 11 by the workpiece conveyance apparatus 101-105 of the above structure is demonstrated.

각 공작물반송장치(101∼106)는 동일하게 작동한다. 각 공작물반송장치 (101∼105)는 각 리프트빔(13)을 상하방향으로 구동하므로서 캐리어(15), 서브캐리어(30) 및 크로스바(17)를 통하여 진공컵장치(이하 공작물유지수단이라 한다)(18)를 승강한다. 서브캐리어(15)를 리프트빔(13)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동하며 서브캐리어(30)를 이 캐리어이동방향으로 오프셋시켜서 크로스바(17) 및 공작물유지수단(18)을 공작물반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승강과 공작물반송방향의 2개의 직교하는 구동축을 동시에, 또는 단독으로 제어함으로서 공작물유지수단(18)의 이동궤적, 즉 공작물반송궤적을 제어하게 된다. 각 프레스(2A∼2D)의 슬라이드(4) 및 가공스테이션의 금형과 간섭되지 않게 각 공작물반송장치(101∼105)의 이송모션(승강과 반송방향)의 스트로크 및 타이밍이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컨트롤러(3)는 이송모션에 의해서 승강 및 반송방향의 구동을 제어하고 있다.Each workpiece conveyance apparatus 101-106 works similarly. Each workpiece conveying apparatus 101 to 105 drives the respective lift beams 13 in a vertical direction, through a carrier 15, a subcarrier 30 and a crossbar 17 (hereinafter referred to as workpiece holding means). Lift (18). The subcarrier 15 is drive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ft beam 13 and the subcarrier 30 is offset in this carrier movement direction to move the crossbar 17 and the workpiece holding means 18 in the workpiece conveyance direction. By controlling the lifting and the two orthogonal driving shafts in the workpiece conveyance direction simultaneously or singly,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workpiece holding means 18, that is, the workpiece conveyance trajectory is controlled. The stroke and timing of the feed motions (lifting and conveying directions) of the workpiece transport apparatuses 101 to 105 are set in advance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slide 4 of each press 2A to 2D and the mold of the machining station. Reference numeral (3) controls the driving in the lifting and lowering directions by the transfer motion.

통상의 이송모션은 먼저 슬라이더(4)가 하사점 근방에서 하강되어 있을 때는각 반송에어리어(T1∼T5)의 반송방향의 약 중앙의 대기위치에 대기하며 슬라이드(4)가 하사점을 지나 상승행정에 들어가면, 리프트빔(13)의 승강과, 캐리어(15) 및 서브캐리어(30)의 반송방향이동의 구동을 하고 상류측의 가공스테이션, 재료공급장치(9) 또는 아이들공정(상세한 것은 후술함)에 이동하여 공작물를 유지하며, 다음으로 재차 리프트빔(13)의 승강과, 캐리어(15) 및 서브캐리어(30)의 반송방향이동의 구동을 하고 하류측의 가공스테이션, 제품반출장치(19)나 아이들공정으로 이동하여 공작물를 놓는다. 이 시점에 이르면 슬라드(4)가 하강행정에 들어가 있으므로 대기위치로 돌아와 대기한다. 이상의 사이클을 슬라이드(4)의 승강모션에 동기시키어 반복한다.In general, the feed motion waits at a waiting position about the center of the conveying direction of each conveying area T1 to T5 when the slider 4 is lowered near the bottom dead center, and the slide 4 moves upward after the bottom dead center. When entering, the lift beam 13 is moved up and down, and the carrier 15 and the subcarrier 30 are driven to move in the conveying direction, and the upstream processing station, the material supply device 9 or the idle process (details will be described later). ) To hold the workpiece, and then to lift and lower the lift beam 13 and to drive the carrier 15 and the subcarrier 30 in the conveying direction, and the downstream processing station and product discharging device 19 B Move to the idle process and place the workpiece. At this point, the slad 4 enters the descent stroke and returns to the standby position to wait. The above cycle is repeate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lifting motion of the slide 4.

다음으로 제1실시형태에 의한 효과를 설명한다.Next, the effect by 1st Embodiment is demonstrated.

본 실시형태에 관한 공작물반송장치(101∼105)는 승강가능한 리프트빔(13)과 리프트빔(13)의 길이방향(공작물반송방향)에 이동가능한 캐리어(15) 및 서브캐리어 (30)을 구비하기 위하여 공작물반송을 직교좌표계에서 제어할 수 있으므로 공작물반송시의 이동궤적이나 자세가 직감적으로 알기 쉬우며, 금형이나 프레스기계 등의 다른 장치와의 간섭체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리프트빔(13), 캐리어(15) 및 서브캐리어(30)의 각 스트로크의 지시경험이 얕은 작업자에게도 용이하게 지시가 되며 작업성이 좋다.The workpiece conveyance apparatus 101-105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is equipped with the lift beam 13 which can be elevated, and the carrier 15 and the subcarrier 30 which ar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orkpiece conveyance direction) of the lift beam 13. Since the workpiece conveyance can be controlled by the Cartesian coordinate system, the movement trajectory and posture of the workpiece conveyance can be intuitively understood, and the interference check with other devices such as a mold or a press machine can be facilitated. Therefore, the instruction experience of each stroke of the lift beam 13, the carrier 15, and the subcarrier 30 is easily instructed even by a shallow worker, and the workability is good.

각 제어축(승강 및 반송방향)은 각각 직선구동되므로 각각의 제어용의 서보모터(14), 캐리어 구동수단(본 실시형태에서는 리니어 모터(16)) 및 서보모터(32)는 동시제어시의 속도제어를 받는 일이 없이 최대속도로 제어된다. 이것으로 공작물반송속도를 각 모터가 가지는 능력의 최대속도로 설정가능하며 탠덤 프레스 라인의 생산속도를 높일 수가 있다.Since each control shaft (lifting and conveying direction) is linearly driven, the servomotor 14 for each control, the carrier drive means (linear motor 16 in this embodiment), and the servomotor 32 are the speeds at the time of simultaneous control. It is controlled at maximum speed without being controlled. This allows the workpiece conveyance speed to be set to the maximum speed of each motor's capability and speeds up the production of tandem press lines.

또 각 공작물반송장치 마다 리프트빔(13)의 승강 스트로크, 캐리어(15)의 서브캐리어(30)의 각 이송스트로크와 각각 개별적으로 조정가능하므로 각 공작물반송장치 마다 이송 스트로크와 승강스트로크로 형성하는 이송모션의 구동타이밍을 변화시킬수 있으므로 장착하는 금형에 알맞는 금형간섭곡선을 설정할 수 있다. 또 각 가공스테이션마다 원위치(피드 레벨)을 장착하는 금형에 알맞는 위치로 변경할 수 있다. 이로서 금형에 알맞는 간섭곡선을 공정마다 설정되는 탠덤 프레스 라인의 공작물반송장치가 얻어진다.In addition, each work conveying device can be individually adjusted with the lifting stroke of the lift beam 13 and the feeding stroke of the subcarrier 30 of the carrier 15, so that the conveying stroke and the lifting stroke are formed for each work conveying device. Since the drive timing of motion can be changed, the mold interference curve appropriate to the mold to be mounted can be set. In addition, each machining station can be changed to a position suitable for a mold for mounting the original position (feed level). Thereby, the workpiece conveyance apparatus of the tandem press line in which the interference curve suitable for a metal mold | die is set for every process is obtained.

또 서브캐리어(3)의 이동캐리어(15)의 이동과 동시에 오프셋시키어서 큰 이송스트로크를 단시간에 얻을 수 있으므로 탠덤프레스 라인의 생산속도를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 large feed stroke can be obtained in a short time by offsetting the movement of the moving carrier 15 of the subcarrier 3, the production speed of the tan dumpless line can be increased.

캐리어(15)의 구동수단으로서 리니어 모터(16)를 사용하였으므로 캐리어(15)를 소형화 및 경량화 할 수 있고 캐리어(15) 및 서브캐리어(30)의 이동속도를 고속화 할 수 있다.Since the linear motor 16 is used as the driving means of the carrier 15, the carrier 15 can be reduced in size and weight, and the moving speed of the carrier 15 and the subcarrier 30 can be increased.

또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캐리어구동수단은 리니어 모터(16)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서보모터라도 상관 없다.In addition, the carrier driving means is not limited to the linear motor 16 as a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other servomotors.

또 서브캐리어(30)의 구동장치는 상기 이송나사기구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랙, 피니온기구와 같은 다른 기구라도 된다. 또 서보모터와 같은 서브캐리어 자신의 구동원을 갖고 있지 않아도 예컨대 풀리와 벨트를 사용하여 캐리어의 이동에 딸아 움직여 서브캐리어를 이동시키어도 된다.The drive device for the subcarrier 30 is not limited to the transfer screw mechanism but may be another mechanism such as a rack or pinion mechanism. In addition, even if it does not have the drive source of the subcarrier itself like a servomotor, you may move a subcarrier by moving with a carrier, for example using a pulley and a belt.

도7은 제1실시형태에 관한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7에 의해 다른 실시형태의 공작물반송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FIG. 7 shows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FIG. 7 illustrates a workpiece transport apparatus of another embodiment.

이 실시형태에 관한 탠덤프레스 라인에 있어서 인접하는 가공스테이션(W1∼W4)사이의 중간에 중간 패널받이(P1∼P3)등의 아이들공정을 설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공작물반송장치는 각 반송에어리어(T1∼T5)에 배치된 8개의 공작물반송장치(101,102A와 102B,∼104A와 104B, 105)로 구성되어 있다.In the tandemless lin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dle steps such as intermediate panel receivers P1 to P3 are provided in the middle between adjacent processing stations W1 to W4. The workpiece conveyance apparatus of this embodiment is comprised from eight workpiece conveyance apparatuses 101,102A and 102B, and 104A and 104B and 105 arrange | positioned in each conveyance area T1-T5.

재료공급장치(9)의 공작물을 가공스테이션(W1)에 반송하기 위하여 프레스(2A)의 상류측에 공작물반송장치(101)가 배치되어 있다. 또 가공스테이션(W1∼W4)에 순차적으로 반송하기 위하여 반송에어리어(T2)에는 중간 패널받이(P1)와 프레스(2A)의 하류측에 배치된 공작물반송장치(102A)와 프레스(2B)의 상류측에 배치된 공작물반송장치(103B)가 설치되고 반송에어리어(T4)에는 그와 같이 하여 중간 패널받이(P3)와 중간패널받이(P3)를 끼고 프레스(2C) 및 프레스(2D)의 사이에 배치된 공작물 반송장치(104A)(104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공스테이션(W4)에서 가공된 공작물 제품반출장치(19)까지 반송하기 위하여 프레스(2D)의 하류측에 공작물 반송장치(105)가 배치되어 있다.In order to convey the workpiece | work of the material supply apparatus 9 to the processing station W1, the workpiece conveyance apparatus 101 is arrange | positioned upstream of the press 2A. Moreover, in order to convey to the processing stations W1-W4 one by one, the conveyance area T2 is upstream of the workpiece conveyance apparatus 102A and the press 2B arrange | positioned downstream of the intermediate panel receiving P1 and the press 2A. The workpiece conveyance apparatus 103B arrange | positioned at the side is provided, and the conveyance area T4 is similarly sandwiched between the press 2C and the press 2D by sandwiching the intermediate panel support P3 and the intermediate panel support P3. The arranged workpiece conveyance apparatuses 104A and 104B are provided, respectively. And the workpiece conveyance apparatus 105 is arrange | positioned downstream of the press 2D in order to convey to the workpiece | work product carrying apparatus 19 processed by the processing station W4.

또 이하에서 이들의 공작물반송장치(101∼105)에 관하여 제1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공작물반송장치(101∼105)와 다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In addition, below, the structure of these workpiece conveyance apparatuses 101-105 and the structure different from the workpiece conveyance apparatus 101-105 demonstrated by 1st Embodiment is demonstrated.

도7에 표시된 바와 같이 반송에어리어(T2∼T4)에 대응하는 공작물반송장치(102A와 102B, ∼104A와 104B)에서의 각 리프트빔(13)의 길이방향의일단부는 가공스테이션(W1∼W4)의 대략 중앙위치까지 돌출되게, 또 타단부는 각 중간패널받이(P1∼P3)의 대략 중앙부위치까지 돌출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리프트빔(13)의 공작물반송방향의 길이는 가공스테이션(W1∼W4)의 중앙에서 각 중간 패널받이(P1∼P4)의 중앙위치까지의 길이보다 약간 짧게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7, one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of the lift beams 13 in the workpiece transport apparatuses 102A and 102B, and 104A and 104B corresponding to the transport areas T2 to T4 is provided in the processing stations W1 to W4. The other end is configured to protrude up to an approximately central position, and the other end protrudes to an approximately central position of each intermediate panel support P1 to P3.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workpiece conveyance direction of each lift beam 13 is slightly shorter than the length from the center of the processing stations W1 to W4 to the center position of each intermediate panel receiving P1 to P4.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승강과 반송방향의 서로 독립된 직교 2축을 제어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1실시형태과 같은 효과를 낸다. 또 여기에서는 그 효과의 설명을 생략한다.According to the said embodiment, since the mutually independent orthogonal 2 axis | shafts of a lift and a conveyance direction are controlled, it produces the same effect as the said 1st embodiment. In addition, description of the effect is abbreviate | omitted here.

또 공정마다 이송모션의 타이밍을 변경할 수 있는 것에 더하여, 인접하는 프레스 사이에 설치된 중간 패널받이에 공작물반전(反轉)기구나 선회기구등을 구비하므로서 공정간의 공작물(11)의 반전 또는 반선회(半旋回)등의 자세변경이 용이하게 된다.Moreover,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change the timing of the transfer motion for each process, the intermediate panel support provided between the adjacent presses is provided with a work reversing mechanism or a turning mechanism to invert or reverse the work 11 between processes ( 자세) It is easy to change posture.

다음으로 도8∼도10에 의하여 제2실시형태에 관한 공작물반송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의 실시형태에서는 제1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요소와 같은 요소에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8은 제2실시형태에 관한 탠덤프레스 라인의 공작물반송장치의 정면도이며 도9및 도10은 각각 도8의 평면도및 측면도이다.8-10, the workpiece conveyance apparatus which concerns on 2nd Embodiment is demonstrated.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embodiment,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same element as the component demonstrated in 1st Embodiment, and th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Fig. 8 is a front view of the workpiece transport apparatus of the tan dumpless lin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nd Figs. 9 and 10 are plan and side views of Fig. 8, respectively.

공작물반송장치는 각 반송에어리어(T1∼T5)에 배치된 5개의 공작물반송장치 (201∼205)로 구성되어 있다. 재료공급장치(9), 프레스(2A∼2D) 및 제품반출장치 (19)가 공작물반송방향으로 직열로 배열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의 장치 사이에 각각 공작물반송장치(201. 202. 203. 204. 205)가 배치되어 있다.The workpiece conveyance apparatus is comprised from five workpiece conveyance apparatuses 201-205 arrange | positioned at each conveyance area T1-T5. The material feeding device 9, the presses 2A to 2D and the product discharging device 19 are arranged in a line in the workpiece conveying direction in series with each other, and the workpiece conveying apparatus 201.202.203.204. 205 is disposed.

이들 공작물반송장치(201∼205)에 관하여, 제1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공작물반송장치(101∼105)와 다른 구성인데 대하여 아래에 설명한다.These workpiece transport apparatuses 201 to 205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a configuration different from the workpiece transport apparatuses 101 to 105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각 공작물반송장치(201∼205)에는 탠덤 프레스 라인의 반송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모션과 간섭하지 않도록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1개의 리프트빔(13)과 리프트빔(13)을 상하방향으로 구동하는 리프트구동수단(40)을 구비하고 있다.Each work conveying device 201 to 205 has a lift drive for driving one lift beam 13 and the lift beam 13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sliding motion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tandem press line. Means 40 are provided.

공작물반송장치(201)의 리프트빔(13)은 상류측 단부를 재료공급장치(9)의 앞쪽 근방에 위치시키고 하류측 단부를 프레스(2A)의 볼스터(5)의 단면과 슬라이더(4)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가공구역의 앞쪽 근방에 위치시키어 설치되어 있다. 또 반송에어리어(T2∼T4)에 대응하는 공작물반송장치(202, 203, 204)의 각 리프트빔(13)은 상류측 및 하류측의 단부를 각각 가공스테이션(W1∼W4)의 가공구역의 앞쪽 근방에 위치시키어 배치되어 있다. 공작물반송장치(205)의 리프트빔(13)은 상류측단부를 가공스테인숀(W4)의 가공구역의 앞쪽근방에 위치시키어 하류측 단부를 제품반출장치(19)의 상방(上方)의 소정위치에 위치시키어 설치되어 있다.The lift beam 13 of the workpiece conveying apparatus 201 is positioned at the upstream end near the front of the material supply device 9 and the downstream end of the slider 4 of the cross section of the bolster 5 of the press 2A. It is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front of the processing zone formed in the cross section. In addition, the lift beams 13 of the workpiece transport apparatuses 202, 203, and 204 corresponding to the conveyance areas T2 to T4 have their upstream and downstream end portions in front of the machining zones of the machining stations W1 to W4, respectively. It is located in the vicinity. The lift beam 13 of the workpiece conveying apparatus 205 positions the upstream end portion near the front of the machining zone of the processing stain W4, and the downstream end thereof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bove the product discharging apparatus 19. It is located at.

도8, 도10에 표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의 구동수단(40)은 각 반송에어리어(T1∼T5)의 상류측과 하류측에 설립된 4개의 주(柱)부재(143)를 구비하며 좌우 한쌍의 주부재(143, 143) 사이에 제1지지부재(144, 144)가 가설되어 있다. 상류측 및 하류측의 제1지지부재(144, 144) 사이에는 반송방향을 따라 제2지지부재(41)가 설치되며, 또 양 제1지지부재(144,144)에는 각각 수직방향으로 가이드부재(47,47)가 설치되어 있다, 제2지지부재(41)의 반송방향의 대략 중앙부에는 서보모터(42)가 출력축을 수직방향으로 향하여 장착되어 있다. 이 서보모터(42)의 출력축에는웜기어박스(43)내에 설치된 웜기어(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되어 있으며 서보모터(42)의 출력축 방향을 상기 웜기어 박스(43)내의 웜기어로 공작물반송방향으로 변환하고 있다. 또 중간축(46,46)의 단부에는 피니온(45,45)이 장착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8 and 10, the driving means 40 of the lift is provided with four main members 143 which are formed upstream and downstream of each transport area T1 to T5, respectively. First support members 144 and 144 are hypothesized between the main members 143 and 143. A second support member 41 is provided between the upstream and downstream first support members 144 and 144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and the first support members 144 and 144 are guide members 47 in the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47 is provided, and the servomotor 42 is mounted in the center of the conveyance direction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41 with the output shaft fac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output shaft of the servomotor 42 is equipped with a worm gear (not shown) installed in the worm gear box 43, and converts the output shaft direction of the servo motor 42 into the worm gear in the worm gear box 43 in the workpiece conveyance direction. have. In addition, pinions 45 and 45 are attached to ends of the intermediate shafts 46 and 46.

한편, 상기 양가이드부재(47, 47)에는 각각 리프트바(44,44)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리프트바(44,44)의 외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래크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래크와 상기 피니온(45,45)이 맞물리어 있다. 그리고 리프트바(44.44)의 하단부 사이에는 리프트빔(13)이 반송방향으로 평행하게 장착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ift guides (47, 47), respectively, the lift bar (44, 44) is provided to be slid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ift bars 44 and 44, a rack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rack and the pinion 45 and 45 are engaged. The lift beam 13 is mounted in parallel in the conveying direction between the lower ends of the lift bars 44.44.

이와 같이 서보모터(42)의 회전동력이 피니온(45) 및 래크를 통하여 2개의 리프트바(44,44)에 전달되어 승강시키며 리프트빔(13)을 상하방향으로 구동하게 되어 있다. 서보모터(42)는 컨트롤러(3)에 의해 소정의 피더모션에 의하여 제어된다.In this way, the rotational power of the servomotor 42 is transmitted to the two lift bars 44 and 44 through the pinion 45 and the rack to move up and down to drive the lift beam 13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ervomotor 42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3 by a predetermined feeder motion.

또 본 실시예에서는 리프트구동수단으로서 1개의 서보모터와 웜기어박스를 조합한 구성으로 하고 있으나 제1실시형태에 표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리프트축서보모터(14,14)를 사용하여 구성해도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one servo motor and a worm gear box are combined as the lift driving means. However, as shown in the first embodiment, two lift shaft servo motors 14 and 14 may be used.

각 리프트빔(13)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캐리어(15)와 캐리어(15)의 하부에 동일하게 리프트빔(13)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케리어(30)는 제1실시형태와 동일구성이며 여기에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carrier 15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each lift beam 13 and the carrier 30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carrier 15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ft beam 13 are the first embodiment. Same configuration as, and description is omitted here.

도8, 도10에 표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구동수단(40)은 각 반송에어리어(T1∼T5)내의 상류측과 하류측에 입설(立設)된 4개의 주부재(143)을구비되고 좌우 한쌍의 주(柱)부재(143,143) 사이에 제1지지부재(144,144)가 가설되어 있다. 상류측 및 하류측의 제1지지부재(144,144) 사이에는 반송방향을 따라 제2지지부재(41)가 설치되며 또 양 제1지지부재(144,144) 사이에는 각각 수직방향으로 가이드부재(47,47)가 설치되어 있다. 제2지지부재(41)의 반송방향의 약 중앙부에는 서보모터(42)가 출력축을 수직방향으로 향하여 장착되어 있다. 이 서보모터(42)의 출력축에는 웜기어박스 (43)내에 설치된 웜기어(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으며 서보모터(42)의 출력축방향을 상기 웜기어 박스(43)내의 웜기어로 공작물반송방향을 변환하고 있다. 이 변환된 웜출력축의 양측에는 중간축(46, 46)이 연결되어 있다. 또 중간축(46,46)의 단부에는 피니온(45,45)이 부착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8 and 10, the lift driving means 40 is equipped with four main members 143 which are placed upstream and downstream in each of the conveyance areas T1 to T5,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mains (Iii) The first support members 144 and 144 are hypothesized between the members 143 and 143. A second support member 41 is provided between the upstream and downstream first support members 144 and 144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and between the first support members 144 and 144 in the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 Is installed. The servo motor 42 is attached to the center of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41 in the conveying direction toward the vertical direction. The output shaft of the servo motor 42 is provided with a worm gear (not shown) installed in the worm gear box 43. The output shaft direction of the servo motor 42 is converted into a worm gear in the worm gear box 43, and the workpiece conveying direction is changed. have. Intermediate shafts 46 and 46 ar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converted worm output shaft. In addition, pinions 45 and 45 are attached to ends of the intermediate shafts 46 and 46.

한편, 상기 가이드부재(47,47)에는 각각 리프트바(44,44)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리프트바(44,44)의 외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래크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래크와 피니온(45,45)이 맞물리어 있다. 그리고 리프트바(44,44)의 하단부 사이에는 리프트빔(13)이 반송방향에 평행하게 부착되어 있다.Meanwhile, the lift bars 44 and 44 are provided on the guide members 47 and 47 to be slid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ift bars 44 and 44, a rack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rack and the pinion 45 and 45 are engaged. A lift beam 13 is attached in parallel to the conveyance direction between the lower ends of the lift bars 44 and 44.

이와 같이 서보모터(42)의 회전동력이 피니온(45) 및 래크를 통하여 2개의 리프트바(44,44)에 전달되어 이것을 승강시키며 리프트빔(13)을 상하방향으로 구동하게 되어 있다. 서보모터(42)는 컨트롤러(3)에 의해 소정의 피더모션에 의해서 제어된다.In this way, the rotational power of the servomotor 42 is transmitted to the two lift bars 44 and 44 through the pinion 45 and the rack to lift and lift the lift beam 13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ervomotor 42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3 by a predetermined feeder motion.

또 본 실시예서는 리프트 구동수단으로서 1개의 서보모터와 웜기어 박스를 조합하여 구성하고 있으나 제1실시형태에 표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리프트축서보모터(14,14)를 사용하여 구성해도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one servomotor and a worm gear box are configured in combination as the lift drive means. However, as shown in the first embodiment, two lift shaft servomotors 14 and 14 may be used.

각 리프트빔(13)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캐리어(15)와 캐리어(15)의 하부에 동일하게 리프트빔(13)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서보모터(30)는 제1실시형태와 동일 구성으로 되어 있어 여기에서 설명을 생략한다.The firs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carrier 15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each of the lift beams 13 and a servomotor 30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ft beam 13 in the same manner below the carrier 15.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form, and description is omitted here.

또 캐리어(30)에는 리프트빔(13)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돌출되어 크로스바(17)가 설치되어 있으며 크로스바(17)에는 공작물유지수단(18)(진공컵장치등)이 설치되어 있다.The carrier 30 is provided with a crossbar 17 protruding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ft beam 13, and a work holding means 18 (vacuum cup device, etc.) is provided on the crossbar 17. .

제2실시형태에 의하면 승강과 반송방향의 직교하는 2개의 구동축을 제어하고 있으므로 그 효과는 상기 제1실시형태와 동일하며 여기에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since two drive shafts orthogonal to the lifting and lowering directions are controlled, the effect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here.

각 공작물반송장치(201∼205)는 반송방향에 대하여 좌우 대략 중앙에 리프트빔 (13)을 1개 구비하고 있으므로 구성이 간단하고 컴팩트화할 수 있으며 코스트 및 설치공간의 면에서 유리하다.Each work conveying device 201 to 205 is provided with one lift beam 13 substantially in the center on th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conveying direction, so that the configuration can be simplified and compact, which is advantageous in terms of cost and installation space.

각 리프트빔(13)은 각 프레스의 슬라이드(4)나 금형과 간섭하지 않도록 가공구역외에 배치되어 있으나 서브캐리어(30)를 캐리어(15)에 대하여 캐리어 이동방향으로 오프셋하므로서 크로스바(17) 및 공작물유지수단(18)을 리프트빔(13)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오버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금형에 확실하게 공작물를 반송할 수가 있다.Each lift beam 13 is disposed outside the processing zone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slide 4 or the mold of each press, but the crossbar 17 and the workpiece are offset by subcarrier 30 offset in the carrier mov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arrier 15. The holding means 18 can be overwritten from the end of the lift beam 13 to the outside. For this reason, a workpiece can be conveyed reliably to a metal mold | die.

도11에 의해 제2실시형태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공작물반송장치에 대하여설명한다.11, the workpiece conveyance apparatus which concerns on other embodiment of 2nd Embodiment is demonstrated.

도11에서 인접하는 프레스(2A∼2D)사이에는 중간패널받이(P1∼P3)를 설치하고 있으며 프레스(2A)의 상류측에는 재료공급장치(9)를, 프레스(2D)의 하류측에는 제품반출장치(19)가 설치되어 있다. 재료공급장치(9), 프레스(2A∼2D), 중간패널받이(P1∼P3)및 제품반출장치(19)의 각각 인접하는 장치 사이에는 8개의 공작물반송장치(201,202A, 202B, ∼204A,204B,205)가 배설되어 있다.In Fig. 11, intermediate panel supports P1 to P3 are provided between adjacent presses 2A to 2D. A material supply device 9 is provided upstream of the press 2A, and a product discharging device is provided downstream of the press 2D. (19) is provided. Eight workpiece conveying devices 201, 202A, 202B, -204A, between the material supply device 9, the presses 2A to 2D, the intermediate panel receiving parts P1 to P3, and the adjacent device of the product discharging device 19, respectively. 204B and 205 are disposed.

각각의 공작물반송장치(201∼205)는 제2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탠덤프레스라인의 공작물반송방향에 대하여 좌우의 대략 중앙에 공작물반송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모션과 간섭하지 않도록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1개의 리프트빔(13)과 리프트빔(13)을 상하로 구동하는 리프트구동수단(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다. 각 리프트수단의 구성은 상기와 동일하다.Each of the workpiece transport apparatuses 201 to 205 is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sliding motion along the workpiece transport direction at approximately the center of right and left with respect to the workpiece transport direction of the tandemless line as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lift beam 13 and the lift drive means (not shown) which drive the lift beam 13 up and down are provided. The configuration of each lift means is the same as above.

이들의 공작물반송장치(201∼205)에 관하여, 제2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공작물반송장치(201∼205)와 다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About these workpiece conveyance apparatuses 201-205, the structure different from the workpiece conveyance apparatus 201-205 demonstrated in 2nd Embodiment is demonstrated.

도11에 표시된 바와 같이 반송에어리어(T2∼T4)에 대응하는 공작물반송장치 (202A, 202B,∼204A, 204B)의 각 리프트빔(13)은 길이방향의 프레스 근방단부를 각 가공스테이션(W1∼W4)의 가공구역보다도 앞쪽에 위치시키고 타단부를 각 중간패널받이(P1∼P3)의 대략 중앙위치까지 돌출시키어 배설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1, the lift beams 13 of the workpiece conveying apparatuses 202A, 202B, 204A, and 204B corresponding to the conveying areas T2 to T4 have their respective proximate end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respective machining stations W1 to S4. It is located in front of the processing zone of W4),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so as to protrude to the substantially center position of each intermediate panel support P1 to P3.

각 리프트빔(13)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캐리어(15)와, 캐리어(15)의 하부에 동일하게 리프트빔(13)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서브캐리어(30)와는 제1실시형태와 동일구성이다. 또 서브캐리어(30)에는리프트빔(13)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돌출하여 크로스바(17)가 설치되어 있다.The carrier 15 and the subcarrier 30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ft beam 13 in the lower part of the carrier 15 and the carrier 15 provided so that the movemen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each lift beam 13 are the same as 1st Embodiment. The same configuration. The subcarrier 30 is provided with a crossbar 17 protru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ft beam 13.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승강과 반송방향의 직교하는 2개의 구동축을 제어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낸다. 또 인접하는 프레스 사이에 설치된 중간 패널받이를 설치함으로서 상술한 도7에 표시한 실시형태의 구성과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 반송방향에 대하여 좌우 방향의 대략 중앙에 리프트빔(13)을 1개 구비하고 있으므로 제2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낸다.According to the said embodiment, since two drive shafts orthogonal to a lifting and lowering direction are controlled, it produces the same effect as the said 1st Embodiment. Moreover, by providing the intermediate panel receiving provided between the adjacent presses, the same effect as the structure of embodiment shown in FIG. 7 mentioned above is acquired. Moreover, since one lift beam 13 is provided in the substantially center of the left-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a conveyance direction, it produces the same effect as 2nd Embodiment.

다음으로 도12에 의하여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공작물반송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12, the workpiece conveyance apparatus which concerns on other embodiment is demonstrated.

공작물반송장치는 각 반송에어리어(T1∼T5)에 배치된 5개의 공작물반송장치 (301∼305)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공작물반송장치(301∼305)에 관하여, 제1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공작물반송장치(101∼105)와 다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workpiece conveyance apparatus is provided with five workpiece conveyance apparatuses 301-305 arrange | positioned at each conveyance area T1-T5. These workpiece conveyance apparatuses 301 to 305 will be described in a structure different from the workpiece conveyance apparatuses 101 to 105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재료공급장치(9), 프레스(2A∼2D) 및 제품반출장치(19)의 각각 인접장치 사이에 공작물반송장치(301, 302, 303, 304, 305)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들 공작물반송장치(301∼305)에는 공작물반송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모션과 간섭되지 않도록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한쌍의 리프트빔(13)과 각 리프트빔(13)을 상항방향으로 구동하는 리프트구동수단(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되어 있다. 각 리프트구동수단은 제1실시형태의 구성과 동일하다.The workpiece conveyance apparatuses 301, 302, 303, 304, and 305 are arrange | positioned between the adjoining apparatuses of the material supply apparatus 9, the presses 2A-2D, and the product carrying apparatus 19, respectively. These workpiece transport apparatuses 301 to 305 have a pair of lift beams 13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sliding motion along the workpiece transport direction and lift driving means for driving the lift beams 13 in the upward direction ( Not shown). Each lift drive means is the same as the structure of 1st Embodiment.

공작물장치(301)의 리프트빔(13)은 상류측단부를 재료공급장치(9)의 앞쪽근방에 위치시키고 하류측 단부를 프레스(2A)의 볼스터(5)의 단면과 슬라이더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가공구역의 앞쪽근방에 위치시키어 설치되어 있다. 또 반송에어리어(T2∼T4)에 대응하는 공작물반송장치(302, 303, 304)의 각 리프트빔(13)은 상류측 및 하류측의 단부를 각각 가공스테이션(W1∼W4)의 가공구역의 앞쪽근방에 위치시키어 배치되어 있다. 공작물반송장치(305)의 리프트빔(13)은 상류측 단부를 가공스테이션 (W4)의 가공구역의 앞쪽 근방에 위치시키어 하류측 단부를 제품반출장치(19)의 상방의 소정위치에 위치시키어 설치되어 있다.The lift beam 13 of the work device 301 is formed with the upstream end near the front of the material supply device 9 and the downstream end formed with the cross section of the bolster 5 of the press 2A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slider. It is located near the front of the processing area. In addition, the lift beams 13 of the workpiece transport apparatuses 302, 303, and 304 corresponding to the transport areas T2 to T4 have their respective upstream and downstream end portions in front of the machining zones of the machining stations W1 to W4, respectively. It is located in the vicinity. The lift beam 13 of the workpiece conveyance apparatus 305 is positioned with the upstream end near the front of the machining zone of the machining station W4, with the downstream end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bove the product discharging device 19. It is.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반송방향과 승강방향과의 직교한 2개의 구동축을 제어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낸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two drive shafts orthogonal to a conveyance direction and a lifting direction are controlled, it produces the same effect as the said 1st Embodiment.

다음으로 도13에 의하여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공작물반송장치를 설명한다.Next, the workpiece conveyance apparatus which concerns on other embodiment is demonstrated by FIG.

도 13에 있어서 인접하는 프레스(2A∼2D) 사이에는 중간패널받이(P1∼P3)을 설치하고 있으며 프레스(2A)의 상류측에는 재료공급장치(9)를, 프레스(2D)의 하류측에는 제품반출장치(19)를 배치하고 있다. 공작물반송장치는 각 반송에어리어(T1∼T5)에 배치된 8개의 공작물반송장치(301, 302A, 302B,∼304A,304B,305)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공작물반송장치(301∼305)에 관하여, 제1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공작물반송장치(101∼105)와 다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In FIG. 13, intermediate panel supports P1 to P3 are provided between adjacent presses 2A to 2D. A material supply device 9 is provided upstream of the press 2A, and a product is taken out downstream of the press 2D. The apparatus 19 is arrange | positioned. The workpiece conveyance apparatus is provided with eight workpiece conveyance apparatuses 301, 302A, 302B, -304A, 304B, and 305 arrange | positioned in each conveyance area T1-T5. These workpiece conveyance apparatuses 301 to 305 will be described in a structure different from the workpiece conveyance apparatuses 101 to 105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재료공급장치(9), 프레스(2A∼2D), 중간패널받이(P1∼P3) 및 제품반출장치 (19)의 각각 인접하는 장치 사이에는 8개의 공작물반송장치(301∼305)가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공작물반송장치(301∼305)는 탠덤 프레스라인의 공작물반송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모션과 간섭하지 않도록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한쌍의 리프트빔(13)과 리프트빔(13)을 상하에 구동하는 구동수단(도면에 표시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다. 각 리프트구동수단의 구성은 상기와 같다.Eight workpiece conveying apparatuses 301 to 305 are arranged between adjacent materials of the material supply apparatus 9, the presses 2A to 2D, the intermediate panel supporters P1 to P3, and the product discharging apparatus 19, respectively. . Each of the workpiece transport apparatuses 301 to 305 drives the pair of lift beams 13 and the lift beams 13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sliding motion along the workpiece transport direction of the tandem press line. Drive means (not shown). The configuration of each lift driving means is as described above.

공작물반송장치(301)의 리프트빔(13)은 상류측 단부를 재료공급장치(9)의 상방의 소정의 위치에 위치시키고 하류측 단부를 프레스(2A)의 볼스터(5)의 단면과 슬라이드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가공구역의 앞쪽근방에 위치시키어 설치되어 있다. 또 반송에어리어(T2∼T4)에 대응하는 공작물반송장치(302A∼304B)의 각 리프트빔(13)은 프레스측의 일단을 가공스테이션(W1∼W4)의 가공구역의 앞쪽 근방에 위치시키며 하류측 단부를 제품반출장치(19)의 상방의 소정위치에 위치시키어 설치되어 있다.The lift beam 13 of the workpiece transporter 301 is positioned at an upstream en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bove the material supply device 9, and the downstream end of the lift beam 13 of the bolster 5 of the press 2A and the slide. It is located near the front of the processing zone formed in cross section. In addition, each lift beam 13 of the workpiece conveying apparatus 302A-304B corresponding to the conveyance area T2-T4 places one end of a press side in the vicinity of the front of the processing area of the processing station W1-W4, and is downstream. The end is locat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above the product discharging device 19.

각 리프트빔(13)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캐리어(15)와 캐리어(15)의 하부에 동일하게 리프트빔(13)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서브캐리어(30)와 대향하는 한쌍의 서브캐리어(30) 사이에 횡방향으로 가설된 크로스바(17)는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여기에서 설명은 생략한다.A pair of carriers 15 that ar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each lift beam 13 and a subcarrier 30 that is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ft beam 13 equally under the carrier 15. Since the crossbars 17 arrang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between the subcarriers 30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description is omitted here.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승강과 반송방향의 직교하는 2개의 구동축을 제어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 인접하는 프레스 사이에 아이들공정을 설치하므로서 상술한 도7에 표시한 실시형태의 구성과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Also in this embodiment, since two drive shafts orthogonal to a lifting and lowering direction are controlled, the same effect as the said 1st Embodiment is acquired. Moreover, the same effect as the structure of embodiment shown in FIG. 7 mentioned above is acquired by providing an idling process between adjacent presses.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공작물반송장치는 승강공작물반송방향의 직교하는 2개의 구동축으로 공작물을 운반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공작물반송궤적이 작업자에게 직감적으로알기 쉽게 되며, 또 상기 2개의 구동축은 서로 독립하여 속도가 설정되어 동시제어시에도 다른쪽 속도에 의해 제한 받는 일이 없으므로 각 구동축의 스트로크나 타이밍의 지시나 데이터설정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초심자라도 용이하게 지시나 데이터 작업이 가능하므로 작업성이 대폭으로 향상된다. 2개의 구동축은 서로 독립한 속도로 설정되므로 각 구동용모터가 가진 능력의 최대속도에 설정가능하게 되며 공작물반송속도를 최대한으로 고속화하여 생산속도를 높일 수가 있다.Since the workpiece conveying device has a structure for conveying a workpiece by two drive shafts orthogonal to the lifting workpiece conveying direction, the workpiece conveyance trajectory is easily understood by the operator. Even during control, the speed is not limited by the other speed, making it easy to instruct the stroke and timing of each drive shaft and to set data. Therefore, even beginners can easily work with instructions or data, which greatly improves workability. Since the two drive shafts are set at independent speeds, they can be set to the maximum speed of each driving motor's ability and the production speed can be increased by increasing the workpiece conveyance speed to the maximum.

또 리프트빔을 인접하는 프레스의 금형사이에 설치함으로서 1대의 공작물반송장치로 1개의 금형에서 다음 공정의 금형으로 직접 공작물반송이 가능하므로 중간의 아이들공정이 필요 없게 되고 텐덤프레스라인을 간단하고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by installing the lift beam between the molds of adjacent presses, one workpiece transfer device can directly transfer the workpiece from one mold to the mold of the next process, eliminating the need for an intermediate idle process and simplifying and compacting the dump dump line. Can be configured.

Claims (9)

공작물방향을 따라 복수대의 프레스를 설치한 탠덤 프레스라인의 공작물반송방법에 있어서,In the workpiece conveyance method of the tandem press lin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esses along the workpiece direction, 공작물반송방향으로 평행하게 또 공작물반송방향에 대하여 좌우에 배치된 한쌍의 리프트빔(13, 13)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공정과A first step of moving the pair of lift beams 13, 13 arranged in parallel in the workpiece conveyance direction and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workpiece conveyance direction; 상기 리프트빔(13)의 길이방향을 따라 1개의 캐리어(15)를 이동시키는 동시에 서로 대향하는 좌우 한쌍의 캐리어(15, 15) 사이에 횡방향으로 가설하며 공작물유지가 가능한 공작물유지수단(18)을 가진 크로스바(17)를 상기 캐리어(15)에 대하여 캐리어이동방향으로 오프셋시키는 제2공정을 가지며Workpiece holding means 18 capable of holding the workpiece while moving one carrier 15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ft beam 13 and simultaneously installing the left and right pairs of carriers 15 and 15 facing each other. And a second step of offsetting the crossbar 17 having a carrier movemen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arrier 15. 상기 제1공정 및 상기 제2공정을 동시에 하거나 단독으로 행하여 크로스바(17)의 승강 및 공작물반송방향의 왕복동작을 하게 함으로서 공작물를 다음공정으로 순차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탠덤 프레스라인의 공작물반송방법.A method for conveying a workpiece in a tandem press l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tep and the second step are performed simultaneously or independently to cause the crossbar to move up and down and to reciprocate in the workpiece conveyance direction. 공작물반송방향을 따라 복수대의 프레스를 설치한 탠덤 프레스라인의 공작물반송방법에 있어서,In the workpiece conveyance method of the tandem press lin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esses along the workpiece conveyance direction, 프레스가공 영역밖에서 공작물반송방향으로 평행하게 또 공작물반송방향에 대하여 좌우방향의 대략 중앙에 배치된 1개의 리프트빔(13)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공정과The first step of moving one lift beam 13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workpiece transport direction parallel to the workpiece conveyance direction outside the press working area and substantiall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the vertical conveyance direction; 상기 리프트빔(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1개의 캐리어(15)를 이동시키는 동시에 공작물유지가 가능한 공작물유지수단(18)을 가진 서브 캐리어(30)를 상기 캐리어(15)에 설치한 가이드를 따라 캐리어 이동방향으로 이동시키어 상기 캐리어(15)에 대하여 오프셋시키는 제2공정을 가지며A guide having the carrier 15 provided with a sub-carrier 30 having a workpiece holding means 18 capable of moving the at least one carrier 15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ft beam 13 and holding the workpiece. Has a second step of moving in the carrier movement direction to offset the carrier 15 상기 제1공정 및 상기 제2공정을 동시에 또 단독으로 행하여 공작물유지수단(18)의 승강 및 공작물반송방향으로 왕복동작을 하게 함으로서 공작물를 다음 공정으로 순차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탠덤 프레스라인의 공작물반송방법.The workpiece conveyance of the tandem press lin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steps are carried out simultaneously and independently so that the workpiece holding means 18 moves up and down and reciprocates in the workpiece conveying direction. Way. 공작물반송방향을 따라 복수대의 프레스를 설치한 탠덤 프레스라인의 공작물반송장치에 있어서,In the workpiece conveyance apparatus of the tandem press line which installed a plurality of presses along the workpiece conveyance direction, 공작물반송방향으로 평행하게 또 공작물반송방향에 대하여 좌우로 배치되고 상하동작이 가능하게 된 한쌍의 리프트빔(13, 13)과,A pair of lift beams 13 and 13 arranged in parallel in the workpiece conveyance direction and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workpiece conveyance direction and capable of vertical motion; 상기 각 리프트빔(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된 1개의 캐리어(15)와,One carrier 15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lift beam 13; 상기 캐리어(15)에 설치한 가이드를 따라 캐리어 이동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 서브 캐리어(30)와,A sub-carrier 30 made movable in the carrier moving direction along a guide provided in the carrier 15, 서로 대향하는 좌우 한쌍의 서브 캐리어(30, 30) 사이에 횡방향으로 가설하고 공작물유지가 가능한 공작물유지수단(18)을 가진 크로스바(17)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탠덤 프레스라인의 공작물반송장치.A workpiece transport apparatus of a tandem press line, comprising a crossbar 17 having a workpiece holding means 18 capable of temporarily holding a workpie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pairs of subcarriers 30 and 30 facing each other. .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리프트빔(13, 13)과 상기 한쌍의 리프트빔(13, 13)에 상류측 또는 하류측에 인접하는 다른 한쌍의 리프트빔(13, 13)과의 근접위치는 공작물반송방향에서의 각 가공공정의 대략 중심, 또는 가공공정의 대략 중심과 아이들공정의 대략 중심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탠덤 프레스라인의 공작물반송장치.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air of lift beams (13, 13) and the pair of lift beams (13, 13) are adjacent to another pair of lift beams (13, 13) adjacent upstream or downstream. The position of the workpiece conveyance apparatus of the tandem press l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is installed in the approximately center of each machining process in the workpiece conveyance direction, or approximately the center of the machining process and approximately the center of the idle process. 공작물반송방향을 따라 복수대의 프레스를 설치한 탠덤 프레스라인의 공작물반송장치에 있어서,In the workpiece conveyance apparatus of the tandem press line which installed a plurality of presses along the workpiece conveyance direction, 프레스 가공영역 밖에 공작물반송방향으로 평행하게 또 공작물반송방향에 대하여 좌우로 배치되며 상하동작 가능하게 된 한쌍의 리프트빔(13, 13)과A pair of lift beams 13 and 13 which are arranged parallel to the workpiece conveyance direction outside the press working area and to th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workpiece conveyance direction and which can be operated vertically; 상기 각 리프트빔(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된 1개의 캐리어(15)와,One carrier 15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lift beam 13; 상기 캐리어(15)에 설치된 가이드를 따라 캐리어 이동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 서브캐리어(30)와,A subcarrier 30 which is movable in a carrier movement direction along a guide provided in the carrier 15, 서로 대향하는 좌우 한쌍의 서브 캐리어(30, 30) 사이에 횡방향으로 가설하고 공작물유지가 가능한 공작물유지수단(18)을 가진 크로스바(17)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탠덤 프레스라인의 공작물반송장치.A workpiece transport apparatus of a tandem press line, comprising a crossbar 17 having a workpiece holding means 18 capable of temporarily holding a workpie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pairs of subcarriers 30 and 30 facing each other. . 청구항 제5항에 있어서, 적어도 1조의 인접된 프레스 사이에 아이들공정(P1)을 부설하고The idle process P1 is provided between at least one set of adjacent presses, 상기 인접하는 프레스(2A, 2B)의 한쪽과 상기 아이들공정(P1)과의 사이, 및 상기 아이들공정(P1)과 상기 인접하는 프레스(2A, 2B)의 다른쪽과의 사이에 공작물반송방향에 평행하게 또 공작물반송방향에 대하여 좌우에 배치되고 서로 단독으로 상하동작이 가능하게 된 각각 한쌍의 리프트빔(13, 13)을 설치하고In the workpiece conveyance direction between one of the adjacent presses 2A, 2B and the idle step P1, and between the idle step P1 and the other of the adjacent presses 2A, 2B. A pair of lift beams 13 and 13, which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th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workpiece conveyance direction and which can be vertically opera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상기 각 한쌍의 리프트빔(13, 13)에 각각 상기 캐리어(15), 서브캐리어(30) 및 크로스바(17)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덤 프레스라인의 공작물반송장치.And a carrier (15), a subcarrier (30) and a crossbar (17) on each of the pair of lift beams (13, 13), respectively. 공작물반송방향을 따라 복수대의 프레스를 설치한 탠덤 프레스 라인의 공작물반송장치에 있어서,In the workpiece conveyance apparatus of the tandem press line which installed several presses along the workpiece conveyance direction, 프레스가공영역 밖에 공작물반송방향으로 평행하게 또 공작물반송방향에 대하여 좌우방향의 대략 중앙에 배치되고 상하동작이 가능하게 된 1개의 리프트빔(13)과One lift beam 13 disposed parallel to the workpiece conveyance direction outside the press working area and substantially center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workpiece conveyance direction, and capable of vertical motion. 상기 리프트빔(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된 적어도 1개의 캐리어(15)와At least one carrier 15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ft beam 13 and 상기 캐리어(15)에 설치한 가이드를 따라 캐리어 이동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 서브캐리어(30)와 상기 서브캐리어(30,30)에 설치된 공작물유지 가능한 공작물유지수단(18)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덤 프레스라인의 공작물반송장치.A subcarrier 30 which is movable in a carrier moving direction along a guide provided in the carrier 15 and a workpiece holding means 18 which can be held in the subcarriers 30 and 30. The workpiece conveying device of the tandem press line. 청구항 제7항에 있어서, 1조의 인접하는 프레스(2A, 2B) 사이에 아이들공정(P1)을 부설하고 상기 인접하는 프레스(2A, 2B)의 한쪽과 상기 아이들공정(P1)과의 사이, 및 상기 아이들공정(P1)과 상기 인접하는 프레스(2A, 2B)의 다른 쪽과 사이에 공작물반송방향에 평행하게 또 공작물반송방향에 대하여 좌우 방향의 대략 중앙에 배치되고 서로 단독으로 상하동작이 가능하게 된 각각 1개의 리프트빔(13)을 설치하며The idle process P1 is provided between a set of adjacent presses 2A and 2B, and between one of the adjacent presses 2A and 2B and the idle process P1, and Between the idling step P1 and the other of the adjacent presses 2A, 2B, it is arranged in the center in parallel to the workpiece conveyance direction an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workpiece conveyance direction, and enables vertical movement independently of each other. Install one lift beam 13 each 상기 1개의 리프트빔(13)에 각각 상기 캐리어(15), 서브캐리어(30) 및 공작물유지수단(18)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덤 프레스라인의 공작물반송장치.And a carrier (15), a subcarrier (30) and a workpiece holding means (18) on each of the one lift beams (13). 청구항 제3항 내지 청구항 제8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빔(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캐리어(15)를 이동시키는 캐리어 구동수단이 리니어 모터(1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탠덤 프레스라인의 공작물반송장치.The tandem press lin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8, wherein the carrier driving means for moving the carrier 15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ft beam 13 is a linear motor 16. Workpiece carriers.
KR1020020084539A 2001-12-28 2002-12-26 Work transfer method and work transfer equipment KR10087865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400849 2001-12-28
JP2001400849A JP3902006B2 (en) 2001-12-28 2001-12-28 Tandem press line work transfer method and work transfer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0058A true KR20030060058A (en) 2003-07-12
KR100878652B1 KR100878652B1 (en) 2009-01-15

Family

ID=19189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4539A KR100878652B1 (en) 2001-12-28 2002-12-26 Work transfer method and work transfer equipment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902006B2 (en)
KR (1) KR100878652B1 (en)
DE (1) DE10259814B9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62551B2 (en) 2007-03-07 2009-07-21 Gns Co., Ltd. Press die set for a multi-step press system
US7726166B2 (en) 2007-03-07 2010-06-01 Gns Co., Ltd. Multi-step press system
KR101053099B1 (en) * 2009-05-13 2011-08-01 현대로템 주식회사 Driving device of transfer device for tandem press li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58991B4 (en) * 2002-12-17 2016-03-17 Komatsu Ltd. Control method for a press line and tandem press line
US7128198B2 (en) 2002-12-26 2006-10-31 Komatsu Ltd. Workpiece conveyor for press line
WO2004096533A1 (en) 2003-05-01 2004-11-11 Komatsu Ltd. Tandem press line, operation control method for tandem press line, and work transportation device for tandem press line
JP2005131694A (en) * 2003-10-31 2005-05-26 Komatsu Ltd Device for conveying work
JP4483306B2 (en) * 2004-01-16 2010-06-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Tandem press machine
US7316149B2 (en) 2004-01-30 2008-01-08 Komatsu Ltd. Inter-pressing-machine work transfer device
JP2005224855A (en) * 2004-02-16 2005-08-25 Asahi-Seiki Mfg Co Ltd Press machine, and system controlling program and method
JP2006159293A (en) * 2006-02-08 2006-06-22 Komatsu Ltd Work conveying device
JP2006175518A (en) * 2006-02-08 2006-07-06 Komatsu Ltd Workpiece conveying apparatus
KR100956034B1 (en) * 2009-03-04 2010-05-07 한재형 Apparatus suppling materials automatically in press
EP2607068A1 (en) * 2011-12-20 2013-06-26 Güdel Group AG Pressing assembly for reforming flat workpieces
US9616537B2 (en) 2012-03-02 2017-04-11 Hitachi Zosen Fukui Corporation Conveying apparatus with double-speed mechanisms
KR101212195B1 (en) 2012-07-19 2012-12-13 미원정밀공업(주) The system for automatic manufacturing of press forming article using double robot line for tandem press line
KR101616577B1 (en) 2015-10-26 2016-04-28 (주)로파 New concept ultra high speed transfer robot for ultra high speed hybrid press
JP6821374B2 (en) * 2016-10-06 2021-01-27 川崎重工業株式会社 Robot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CN110355296A (en) * 2019-08-18 2019-10-22 无锡市华光金属科技有限公司 A kind of automatic press assembly line
DE102021100842A1 (en) 2021-01-18 2022-07-2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Method for producing a device for moving a workpiece from a first tool to a second tool, electronic computing device,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24232A (en) 1984-04-27 1984-12-17 Komatsu Ltd Work carrier
JPH0773756B2 (en) * 1989-07-17 1995-08-0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Transfer feeder
DE19636823B4 (en) * 1996-09-11 2004-08-19 Müller Weingarten AG transfer device
DE19636824C2 (en) * 1996-09-11 2002-09-26 Erfurt Umformtechnik Gmbh transfer device
DE19716039C2 (en) * 1997-04-17 2001-03-08 Schuler Automation Gmbh & Co Device for transferring plate-like parts from a first position to a second position
JP2000153330A (en) * 1998-11-18 2000-06-06 Hitachi Zosen Corp Transfer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62551B2 (en) 2007-03-07 2009-07-21 Gns Co., Ltd. Press die set for a multi-step press system
US7726166B2 (en) 2007-03-07 2010-06-01 Gns Co., Ltd. Multi-step press system
KR101053099B1 (en) * 2009-05-13 2011-08-01 현대로템 주식회사 Driving device of transfer device for tandem press l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200231A (en) 2003-07-15
KR100878652B1 (en) 2009-01-15
DE10259814A1 (en) 2003-07-31
DE10259814B4 (en) 2008-11-06
DE10259814B9 (en) 2009-03-12
JP3902006B2 (en) 2007-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8652B1 (en) Work transfer method and work transfer equipment
JPH049230A (en) Transfer device for transfer press
JPH02247031A (en) Press equipment having several press for machining of thin plate parts
CN107394557B (en) A variety of shot terminal compression joint systems and compression bonding method
US7128198B2 (en) Workpiece conveyor for press line
KR100346866B1 (en) Transfer device in a metal-forming machine, in particular a transfer press
US5938400A (en)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in particular for loading and unloading presses
JPH06198483A (en) Laser beam machining device
CN203091571U (en) Centering mechanism for production line transmission
JPH0788749A (en) Automatic conveyer
JP3765824B2 (en) Work transfer device in tandem press line
EP0689887B1 (en) Transfer feeder
JP2003136163A (en) Work carrying method and work carrying apparatus of transfer press
JPH06262280A (en) Transfer feeder
JPH0773756B2 (en) Transfer feeder
JP4781881B2 (en) Transfer bar feed bar drive device
JPH0211340B2 (en)
JP3947447B2 (en) Work transfer device and transfer device
CN214340518U (en) Shoe body continuous conveying mechanism of shoe processing equipment
JP2009039727A (en) Workpiece transporting method of multi-process press machine, and its apparatus
JP3902012B2 (en) Press work transfer device
CN218859675U (en) Gantry type lifting carrier butt joint equipment
JP4315702B2 (en) Feeder motion setting method
CN218453735U (en) Turnover and steering conveying platform and operation equipment
JP2568405Y2 (en) 2-axis servo drive transf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