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9887A -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9887A
KR20030059887A KR1020020000291A KR20020000291A KR20030059887A KR 20030059887 A KR20030059887 A KR 20030059887A KR 1020020000291 A KR1020020000291 A KR 1020020000291A KR 20020000291 A KR20020000291 A KR 20020000291A KR 20030059887 A KR20030059887 A KR 20030059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ase
wind direction
discharge port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0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2267B1 (ko
Inventor
김승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0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2267B1/ko
Publication of KR20030059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9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2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22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개선하여, 원하는 곳에 최적의 풍량을 보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외장을 이루며 천장에 부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내설되어 상기 케이스의 저면 중심부에 형성된 흡입구로 공기를 흡입시키고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토출구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터보팬과, 상기 케이스의 토출구와 토출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좌/우로 조절하면서 좌/우 어느 한 토출구로 풍량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풍향조절수단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In-door-unit of ceiling type air-conditioner}
본 발명은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상점 및 사무실 또는 가정 등의 실내의 한 공간 또는 벽체 등에 설치하여 실내냉방 또는 실내난방을 이루도록 한 냉/난방기로서, 특히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천장에 설치하여 냉방 또는 난방을 수행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공간중에 활용도가 비교적 낮은 천장에 설치함으로써 벽걸이형이나 입식형 공기조화기에 비해 공간상의 제약을 덜 받는 이점과 함께, 천장으로부터 냉기가 토출되므로 냉기의 확산속도가 비교적 빠르다는 또 다른 이점으로 인해 점차 그 수요층이 확산되고 있다.
이하,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외장을 형성하고 천장에 부착되는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중앙에 하향으로 설치된 터보팬(2, turbo fan) 및 팬모터(3)와, 상기 터보팬의 주위의 사방에 설치된 열교환기(4)로 크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의 저면 중앙부에는 상기 터보팬(2)에 의해 발생한 흡입력에 의해 케이스 내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흡입구(1a)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는 케이스 내로 유입되어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b)가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의 토출구(1b)에는 토출 공기의 토출각을 상/하 조절하기 위한 루버(5)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팬모터(3)의 동력발생에 의해 이에 결합된 터보팬(2)이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그 회전력에 의해 케이스(1)의 저면 중앙에 형성된 흡입구(1a)를 통해 실내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터보팬(2)의 회전력에 의해 추진력을 받아 터보팬의 주위에 설치된 열교환기(4)를 통과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열교환기(4)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 공기는 최종적으로 케이스(1)의 측면부에 형성된 토출구(1b)의 루버(5)를 통해 기외로 배출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시키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기술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배관시스템(6)과 기타 기구부로 인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1b)로 토출되는 공기가 사방으로 골고루 토출되지 못하고, 어느쪽의 토출구로는 많은양의 공기가, 다른 어느쪽의 토출구로는 적은 양의 공기가 토출되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더 많은 양의 공기를 토출시키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개선하여, 원하는 곳에 최적의 풍량을 보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나타낸 요부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나타낸 요부 횡단면도.
도 4a는 풍향조절판이 좌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공기의 유동방향을 나타낸 도 3의 요부 상세도.
도 4b는 풍향조절판이 우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공기의 유동방향을 나타낸 도 3의 요부 상세도.
도 4c는 풍량조절판이 필폐부에 있는 상태에서 공기의 유동방향을 나타낸 도 3의 요부 상세도.
도 5는 축과 래크부와의 맞물림 상태를 나타낸 도 4c의 "A"부 상세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케이스 1a: 흡입구
1b: 토출구 1c: 밀폐부
2: 터보팬 10: 풍향조절수단
1!: 풍향조절판 11a: 래크부
12: 레일 13: 모터
13a: 모터 축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외장을 이루며 천장에 부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내설되어 상기 케이스의 저면 중심부에 형성된 흡입구로 공기를 흡입시키고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토출구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터보팬과, 상기 케이스의 토출구와 토출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좌/우로 조절하면서 좌/우 어느 한 토출구로 풍량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풍향조절수단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한다.
이 때, 상기 풍향조절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토출구와 토출구 사이의 밀폐부에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어, 좌/우 어느 한 토출구로 이동시키면서 토출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시키는 풍향조절판이 포함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풍향조절판을 좌/우에 위치한 상기 토출구로 슬라이딩시키는 이송유닛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배관시스템, 기타 기구부, 설치장소 등에 상관없이 원하는 곳에 최적의 풍량을 보낼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나타낸 요부 횡단면도이고, 도 4a는 풍향조절판이 좌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공기의 유동방향을 나타낸 도 3의 요부 상세도이며, 도 4b는 풍향조절판이 우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공기의 유동방향을 나타낸 도 3의 요부 상세도이고, 도 4c는 풍량조절판이 필폐부에 있는 상태에서 공기의 유동방향을 나타낸 도 3의 요부 상세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축과 래크부와의 맞물림 상태를 나타낸 도 4c의 "A"부 상세도이다.
도면 설명에 앞서,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종래기술에 언급된 바 있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조에 한해서는 종래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키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을 이루며 천장에 부착되는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에 내설되어 상기 케이스의 저면 중심부에 형성된 흡입구(도 1의 1a참조)로 공기를 흡입시키고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토출구(1b)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터보팬(2)과, 상기 케이스(1)의 토출구(1b)와 토출구(1b)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좌/우로 조절하면서 좌/우 어느 한 토출구로 풍량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풍향조절수단(10)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풍향조절수단(10)은, 도 3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의 토출구(1b)와 토출구(1b) 사이의 밀폐부(1c)에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어, 좌/우 어느 한 토출구로 이동시키면서 토출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시키는 풍향조절판(11)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풍향조절판(11)은, 상기 공기의 유동방향을 좌/우로 전환시킴과 함께 상기 공기에 미치는 유동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풍향조절판(11)은, 토출되는 공기의 힘에 견딜 수 있도록 강성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풍향조절수단(10)은, 상기 풍향조절판(11)을 좌/우에 위치한 상기 토출구(1b)로 슬라이딩시키는 이송유닛이 더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이송유닛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풍향조절판의 좌/우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에 소정량 돌출형성된 레일(12)이 포함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이송유닛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풍향조절판(11) 중 공기가 직접 닿지 않는 외측면에 형성되는 래크부(11a, rack part)와, 상기 밀폐부(1c)에 구비되며 상기 풍량조절판(11)을 좌/우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상기 래크부(11a)와 직접 맞물리는 축(13a)을 갖는 모터(13)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포함된 풍향조절수단의 동작을 설명한다.
첫째, 토출공기를 우측 토출구(1b)로 더 많이 토출시키기 위해서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향조절판(11)을 좌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외부로 돌출된 손잡이(미도시)를 잡고 사용자가 직접 풍향조절판(11)을 이동시킬 수도 있고, 모터(13)에 의해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음은 당연하며, 이러한 동작으로, 풍향조절판(11)은 밀폐부(1c) 및 레일(12)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터보팬(2)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열교환기(4)에서 열교환된 후 토출구(1b)로 이동하는데, 이때, 좌측 토출구(1b)로 토출되는 공기의 일부가 풍향조절판(11)에 의해 가이드 되면서 우측 토출구로 토출되게 된다.
둘째, 토출공기를 좌측 토출구(1b)로 더 많이 토출시키기 위해서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향조절판(11)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된다.
셋째, 토출공기를 어느 한 측의 토출구(1b)로 더 많이 토출시킬 필요가 없을 때에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향조절판(11)을 밀폐부(1c)에 위치시키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배관시스템(6), 기타 기구부, 설치장소 등에 상관없이 원하는 곳에 최적의 풍량을 보낼 수 있게 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풍량조절수단을 포함시킨 것으로서, 배관시스템, 기타 기구부, 설치장소 등에 상관없이 원하는 곳에 최적의 풍량을 보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외장을 이루며 천장에 부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내설되어 상기 케이스의 저면 중앙부에 형성된 흡입구로 공기를 흡입시키고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토출구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터보팬과,
    상기 케이스의 토출구와 토출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좌/우로 조절하면서 좌/우 어느 한 토출구로 풍량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풍향조절수단이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조절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토출구와 토출구 사이의 밀폐부에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어, 좌/우 어느 한 토출구로 이동시키면서 토출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시키는 풍향조절판이 포함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조절판은;
    상기 공기의 유동방향을 좌/우로 전환시킴과 함께 상기 공기에 미치는 유동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조절판을 좌/우에 위치한 상기 토출구로 슬라이딩시키는 이송유닛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풍향조절판의 좌/우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에 돌출형성된 레일이 포함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조절판 중 공기가 직접 닿지 않는 외측면에 형성되는 래크부와,
    상기 밀폐부에 구비되며, 상기 풍량조절판을 좌/우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상기 래크부와 직접 맞물리는 축을 갖는 모터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02-0000291A 2002-01-03 2002-01-03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442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0291A KR100442267B1 (ko) 2002-01-03 2002-01-03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0291A KR100442267B1 (ko) 2002-01-03 2002-01-03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9887A true KR20030059887A (ko) 2003-07-12
KR100442267B1 KR100442267B1 (ko) 2004-07-30

Family

ID=32216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0291A KR100442267B1 (ko) 2002-01-03 2002-01-03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226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591B1 (ko) * 2007-05-09 2008-06-20 신우공조 주식회사 천정 매립형 공기조화기
CN103162354A (zh) * 2011-12-12 2013-06-1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
CN104764181A (zh) * 2015-03-19 2015-07-0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
CN110925881A (zh) * 2018-09-20 2020-03-27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一种空调室内机
CN110925882A (zh) * 2018-09-20 2020-03-27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一种空调室吊顶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9524B1 (ko) * 2002-11-15 2005-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220086425A (ko) * 2020-12-16 2022-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17141A (ja) * 1988-02-23 1989-08-30 Kimura Koki Kk 天井埋込型空調機
JPH028648A (ja) * 1988-06-24 1990-01-12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JPH02136628A (ja) * 1988-11-18 1990-05-25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ツト
JPH03129217A (ja) * 1989-10-15 1991-06-03 Kimura Koki Kk 風量調整装置付き空調ユニット
JPH0436518A (ja) * 1990-06-01 1992-02-06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JP2950252B2 (ja) * 1996-09-30 1999-09-2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高所設置用空気調和機
JP2996185B2 (ja) * 1996-10-09 1999-12-2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高所設置用空気調和機
JP2000283544A (ja) * 1999-03-31 2000-10-13 Fujitsu General Ltd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591B1 (ko) * 2007-05-09 2008-06-20 신우공조 주식회사 천정 매립형 공기조화기
CN103162354A (zh) * 2011-12-12 2013-06-1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
CN104764181A (zh) * 2015-03-19 2015-07-0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
CN110925881A (zh) * 2018-09-20 2020-03-27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一种空调室内机
CN110925882A (zh) * 2018-09-20 2020-03-27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一种空调室吊顶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2267B1 (ko) 2004-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42706A (zh) 吸顶嵌入式集成空调
US11767989B2 (en) Ceiling-embedded air conditioner
CN212339440U (zh) 一种上下出风空调室内机和空调器
US20120238199A1 (en) Air conditioning equipment for air-return area or room by using damper-diffuser integrated motorized diffuser
KR100442267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US20200224889A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0499524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05371458B (zh) 一种嵌入式空调
CN205227550U (zh) 空调器室内机
CN115218278B (zh) 导风组件及空调器
CN210511918U (zh) 空调柜机
KR100434300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5489794B2 (ja) 送風装置
KR100331817B1 (ko) 천장형 에어컨
CN111706917A (zh) 一种上下出风空调室内机、控制方法和空调器
KR20090010449A (ko) 공기조화기
KR20040061689A (ko) 천정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송풍조절장치
KR20200030200A (ko) 환기 기능을 가지는 공기조화기
CN218328354U (zh) 取暖送风装置
CN112303731A (zh) 空调柜机
CN217057911U (zh) 用于卫浴中心的壳体组件及卫浴中心
CN217735824U (zh) 用于卫浴中心的出风组件及卫浴中心
CN210740547U (zh) 室内机及具有其的空调器
CN211233092U (zh) 室内机及具有其的空调器
KR20170103150A (ko) 풍량비 조절이 가능한 환기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