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7608A - 투명기판 감지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투명기판 감지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7608A
KR20030057608A KR1020010087681A KR20010087681A KR20030057608A KR 20030057608 A KR20030057608 A KR 20030057608A KR 1020010087681 A KR1020010087681 A KR 1020010087681A KR 20010087681 A KR20010087681 A KR 20010087681A KR 20030057608 A KR20030057608 A KR 20030057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ubstrate
transparent substrate
light emitting
emit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7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6589B1 (ko
Inventor
서풍부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7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6589B1/ko
Publication of KR20030057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7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6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65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8Arrangements comprising a monitoring photodetec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기판의 감지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발광부와 수광부가 일측에 위치하고, 타측에는 흡수판을 구비한 감지장치를 제공하고, 일측과 타측 사이에 투명기판이 위치하게 하여 감지하도록 한다.
투명기판이 없는 경우, 발광부에서 나온 빛이 흡수판에 거의 흡수되어 수광부에는 빛이 감지되지 않도록 하고, 투명기판이 있는 경우에는 발광부에서 나온 빛이 투명기판에 (난)반사되어 수광부에서 광량이 일정치 이상 되어 감지하게 된다.
이런 설정방법을 사용하면, 기판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와의 광량의 기준점이 크게 차이가 나게 되므로 감지오류가 거의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투명기판 감지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a transparent substrate}
본 발명은 기판의 존재유무를 파악하여 후속공정을 진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리와 같은 투명기판의 존재유무를 감지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반도체와 디스플레이장치산업에 있어서, 유리기판 또는 석영기판과 같이 투명한 기판이 공정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투명한 기판은 보통 로봇이나 반송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공정장비쪽으로 이동된다. 그런데 이러한 투명기판의 존재유무에 따라 후속공정진행이 결정되므로, 기판이 제 위치에 안착되었는지를 파악하는 감지장치는 필수적이다.
예를 들어,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에서 건식식각(dry etching)을 위해 이송챔버(transfer chamber)로 기판이 이송된 후 기판을 에칭하게 되는 바, 이 경우 이송챔버내에 기판이 정위치에 도달했는지를 감지하는 센서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센서 즉, 감지장치는 도 1에 그 원리가 도시되어 있는 바, 발광부(10)와 수광부(20)를 갖춘 센서(100)와 저면의 반사판(30)으로 구성된다. 센서(100)와 반사판(30)사이에 투명기판이 위치하게 된다. 투명기판이 제 위치에 없는 경우에는 센서의 발광부(10)에서 나온 빛이 반사판(30)에 반사되어 거의 모든 빛이 그대로 수광부(20)로 들어간다. 이때 발광부(10)에서 나온 광량의 일정한도이상이 수광부(20)로 들어오면 정상적으로 기판이 없는 것으로 감지되는 것이다.
한편, 투명기판이 있는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발광부(10)에서 나온 빛이 기판(40)을 통과하면서 난 반사가 일어나 수광부(20)로 들어가는 광량은 떨어지면서 설정치 이하로 감지되어 기판이 있는 것으로 정상적으로 감지한다.
그런데, 수광부(20)에서 감지되는 광량이 일정치 이하로 감지되어 기판(40)이 없음에도 있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는 이송챔버(transfer chamber)의 분위기나, 발광부(10)로 들어오는 광의 경로인 광케이블(15)에서 광손실이 일어나는 경우, 기판(40)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수광부(20)에서 인식되는 광량은 설정치 이하로 떨어지게 되어 기판이 있는 것으로 인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그래프를 이용해서 도 3a 내지 도 3c에 나타내고 있는 바, 도 3a의 "a"만큼의 광량이 들어와서 설정치 "s" 보다 높으면, 기판이 없는 것으로 감지되고, 도 3b의 경우 수광부(20)의 광량이 설정치 "s" 보다 낮으면 기판이 있는 것으로 정상적으로 감지되지만, 발광부에서 나온 광량이 일정치 보다 작거나 주위 환경으로 수광량이 떨어지는 경우, 기판이 없는 경우에도 불구하고, 도 3c와 같이 기판이 있는 것으로 감지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투명기판의 존재유무를 정확히 판정할 수 있는 개선된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타 장점이나 목적은 추후 설명하는 실시예를 통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투명기판 감지장치에서 기판이 없는 경우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투명기판 감지장치에서 기판이 있는 경우를 나타낸 개략도
도 3a 내지 도 3c는 각각 종래의 장치에서 나타나는 광량의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정상적으로 기판이 없는 경우, 도 3b는 정상적으로 기판이 있는 경우, 도 3c는 비정상적인 환경으로 인하여 기판이 없음에도 있는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투명기판 감지장치에서 기판이 없는 경우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투명기판 감지장치에서 기판이 있는 경우를 나타낸 개략도
도 6a와 도 6b는 각각 도 4와 도 5에 따른 광량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면의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발광부20: 수광부
130: 흡수판40: 투명기판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발광부와 수광부가 일측에 위치하고, 타측에는 흡수판을 구비한 감지장치를 제공하고, 일측과 타측 사이에 투명기판이 위치하게 하여 감지하도록 한다.
즉, 투명기판이 없는 경우, 발광부에서 나온 빛이 흡수판에 거의 흡수되어 수광부에는 빛이 감지되지 않도록 하고, 투명기판이 있는 경우에는 발광부에서 나온 빛이 투명기판에 (난)반사되어 수광부에서 광량이 일정치 이상 되어 감지하게 된다.
이런 설정방법을 사용하면, 기판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와의 광량의 기준점이 크게 차이가 나게 되므로 감지오류가 거의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와 동일, 유사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 유사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감지장치를 개략 도시하고 있으며, 도시한 바와 같이, 미도시된 광케이블과 연결된 발광부(10)와 상기 발광부(10)에서 발광된 빛이반사되는 위치에 자리한 수광부(20)와, 상기 발광부(10)의 빛이 입사되는 흡수판(130)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흡수판(130)의 모양은 본 발명의 핵심이 아님은 물론이다.
먼저 기판이 없는 경우에, 발광부(10)의 빛이 흡수판(130)에 흡수되므로, 수광부(20)에서 감지되는 광량은 극히 적으므로 거의 "0"에 가까운 경우 기판이 없는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한편, 도 5와 같이, 발광부(10)와 흡수판(130) 사이에 투명기판(40)이 위치하게 되면, 발광부(10)에서 나온 빛이 투명기판(40)에서 반사되므로, 수광부(20)에서는 일정량의 광량이 감지된다.
이를 도 6a와 도 6b에서 그래프로 도시하고 있는 바, 도 6a는 기판이 없는 경우에 광량이 거의 "0"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설정치(s)를 아주 낮게, 바람직하게는 "0"의 값보다 조금 크게 잡는 것이 좋다.
그런데 기판이 있는 경우에는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량이 설정치(s) 이상으로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발광부(10)의 광량이 조금 적어지더라도, 발광부에서 발광되는 광량과 수광부(20)에서 감지되는 광량 사이에는 큰 마잔(margin)을 가지게 되고, 기판의 유무에 따라 수광부(20)에서 감지되는 광량은 현저한 차일르 보이므로, 감지에러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이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화와 변형이 가능할 것이나, 이러한 다양한 변화와 변형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은 첨부된 청구범위를 통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적용가능한 투명기판이 반드시 유리기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흡수판의 모양 및 재질에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아울러 액정표시장치의 제조공정 뿐 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도 적용 가능하다.
이상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투명기판 감지장치로 인하여, 기판유무에 따른 결과치 광량의 차이가 종래의 반사판을 사용할때와 비교하여 커지게 되어 감지오류의 발생이 줄어들게 된다.
이에 따라 기판의 반송작업이 안정화되므로 기판의 파손피해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기판 반송이 잘못된 경우, 중간에 수정할 수 있어 수율향상에 기여하게 된다.

Claims (4)

  1. 광을 발광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된 빛이 반사되는 위치에 자리잡은 수광부와;
    상기 발광부의 빛이 도달하는 흡수판
    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흡수판과 발광부 사이에 투명기판이 위치하도록 하는 투명기판감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기판은 액정표시장치용 유리기판인 투명기판감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 및 수광부는 액정표시장치용 건식식각 장비의 반송챔버내 위치한 투명기판 감지장치
  4. 기판이 놓여질 위치에 빛을 발광하는 단계와;
    상기 발광된 빛이 기판이 놓여질 위치에서 반사되어 수광되는 빛의 광량을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수광된 광량이 설정치 이상이면, 기판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고, 상기 수광된 광량이 일정치 이하면 기판이 없는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투명기판 감지방법
KR1020010087681A 2001-12-29 2001-12-29 투명기판 감지장치 및 방법 KR100806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7681A KR100806589B1 (ko) 2001-12-29 2001-12-29 투명기판 감지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7681A KR100806589B1 (ko) 2001-12-29 2001-12-29 투명기판 감지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7608A true KR20030057608A (ko) 2003-07-07
KR100806589B1 KR100806589B1 (ko) 2008-02-28

Family

ID=32215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7681A KR100806589B1 (ko) 2001-12-29 2001-12-29 투명기판 감지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65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556B1 (ko) 2015-05-18 2017-04-10 한국화학연구원 수분 또는 알코올의 흡착을 위한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를 포함하는 흡착제 및 이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4997Y1 (en) * 1995-12-22 2000-03-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detecting wafer insertion st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6589B1 (ko) 2008-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01633A1 (en) Dual Sensing End Effector with Single Sensor
KR920010811A (ko) 엣지검출에 의한 반도체장치나 lcd의 웨이퍼나 기판부재와 같은 기판검출 시스템
JP2005156539A (ja) ガラス基板のエッジ部分の破損検出装置及びその方法
CN100401465C (zh) 用于集成的多用途光学对准的系统和方法
KR100806589B1 (ko) 투명기판 감지장치 및 방법
JPH11195695A (ja) 電子デバイス製造装置
JP2908227B2 (ja) 半導体製造装置
JP6617068B2 (ja) 基板検出センサ
US6992316B2 (en) Angled sensors for detecting substrates
KR100586808B1 (ko) 글래스의 파손 감지 방법
JP2007242949A (ja) 板状部材の位置決め装置
CN219513051U (zh) 晶圆位置检测装置
CN219066766U (zh) 晶圆检测装置
JP2000338179A (ja) オートハンドラ
KR20040005359A (ko) 기판 안착상태 감지장치
JP2001044263A (ja) 基板搬送方法及び基板搬送装置
KR0125237Y1 (ko) 웨이퍼 식각장치에서의 웨이퍼 안착기구
KR20050030025A (ko) 웨이퍼 이송장치
KR19980014084A (ko) 이온주입설비의 웨이퍼 위치 감지시스템 및 웨이퍼 감지방법
JPH0410639A (ja) 基板処理装置
JPH06323827A (ja) 基板検出装置
KR20010086513A (ko) 웨이퍼 이송장치
JPH04138303A (ja) 光透過性材料の端面検出方法
KR20020075583A (ko) 반도체 제조에 사용되는 기판의 이송을 제어하는 장치
KR20050011403A (ko) 섀도우 링 내에 웨이퍼 검출 센서를 갖는 반도체 식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식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