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6150A - 교량의 박스보 내부 이동식 점검시설 - Google Patents

교량의 박스보 내부 이동식 점검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6150A
KR20030056150A KR1020010086316A KR20010086316A KR20030056150A KR 20030056150 A KR20030056150 A KR 20030056150A KR 1020010086316 A KR1020010086316 A KR 1020010086316A KR 20010086316 A KR20010086316 A KR 20010086316A KR 20030056150 A KR20030056150 A KR 200300561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box
inspection
bridge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6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2096B1 (ko
Inventor
신장철
Original Assignee
용마기술개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용마기술개발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용마기술개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6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2096B1/ko
Publication of KR20030056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6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2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20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6Movable inspection or maintenance platforms, e.g. travelling scaffolding or vehicles specially designed to provide access to the underside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4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box-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의 상부구조물이 PC보 및 트러스보 등과 같은 각종 박스형태를 갖는 박스보(box girder)의 내부에 대하여, 종래의 작업자가 점검 및 보수장비나 부자재를 직접 휴대하여 도보로 박스보의 내부를 이동하면서 점검함으로써 발생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박스보의 내부 바닥에 설치되는 레일장치, 상기 레일을 돌출부위에서 높낮이를 조절하여 받쳐주는 레일 고정장치, 사이 레일을 자체의 전원으로 구동하여 박스보의 전 구간을 전후방으로 이동 주행하는 자주식 점검이동장치와, 작업이동대차 및, 이들을 조합하여 전 구간을 레일 주행으로 이동하면서 제반 점검 및 보수작업을 할 수 있는 박스보 내부 이동식 점검시설을 제공하여, 박스보의 내부 점검 및 보수작업에 있어서, 보수, 점검장비나 자재 운반량을 늘릴 수 있고, 작업자의 이동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하여, 점검 작업시간도 상당히 단축할 뿐 아니라, 작업자의 휴대 하중을 완전히 제거하여 작업자의 피로도를 줄여서 작업안전성을 높이고 작업능률을 높이면서 점검효율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지며, 또한 구성이 간단하여 박스보 내부 이동식 점검시설을 비교적 저렴한 시설비로 설치할 수 있으면서 높은 운영 경제성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교량의 박스보 내부 이동식 점검시설{inner moving inspection device for girder of bridge}
본 발명은 교량의 상부구조물이 PC보 및 트러스보 등과 같은 각종 박스형태를 갖는 박스보(box girder)의 내부에 대하여 제반 점검 및 보수작업을 위한 박스보 내부 이동식 점검시설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량의 박스보 내부에서 전 구간을 레일 주행으로 이동하면서 점검할 수 있는 이동식 점검장치과, 상기 이동식 점검장치를 위한 자주식 점검이동장치와, 레일장치 및 작업이동대차에 관한 것이다.
각종 형태의 박스보를 상부 구조물로 하는 장대 교량에서는 교각의 수량도 많고 교좌장치 및 신축이음부가 많아서 교량의 교각부분에서의 외부 점검 및 보수작업도 중요하지만, 교량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박스보 내부측에서의 제반 점검 및 보수작업도 정기적으로 실시하여야 한다.
지금까지는 교량용의 각종 점검시설들이 주로 교량의 외부 점검을 위한 것들 만 제공되어 있고, 교량 박스보의 내부점검을 위한 이동식 점검장치나 시설은 제공된 바 없다.
따라서 현재의 장대 교량 박스보의 내부점검은, 작업자가 점검 및 보수장비나 부자재를 직접 휴대하여 도보로 박스보의 내부를 이동하면서 점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작업자의 도보에 의한 박스보 내부 점검작업은, 점검 및 보수장비나 부자재를 직접 휴대하여야 함으로, 그 자재 운반량에 한계가 있고, 교량이 길이가수 킬로미터(Km) 단위로 길어서 작업자의 이동이 매우 어렵고 작업시간도 상당히 많은 시간이 걸리며, 작업자의 휴대 하중이 높아서 작업자의 작업능률이 떨어지고 점검효율도 낮은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장대 교량의 박스보 내부점검상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으로서, 일 목적은 장대 교량의 박스보 내부점검을 신속하고 용이하게하고 작업자의 휴대하중을 줄이며 점검 및 보수장비와 부자재의 운반을 용이할 수 있으며, 시설 및 운영비가 저렴한 장대 교량의 박스보 내부 이동식 점검시설을 제공함에 있다.
다른 목적은 상기 일 목적과 관련하여 장대 교량의 박스보 내부 이동식 점검시설을 구성하는 일 구성요소에 관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실용적인 점검이동대차, 레일장치, 레일 고정장치 및 작업이동대차들을 각각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교량의 박스보 내부 이동식 점검시설의 설치도
도 2는 본 발명의 레일장치의 일 실시예 평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레일장치의 일 실시예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레일장치의 일 실시예 신축이음부 설치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레일장치의 일 실시예 신축이음부의 평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레일장치의 일 실시예 신축이음부의 레일부분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레일장치의 일 실시예 신축이음부의 안내레일부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레일장치의 일 실시예 신축이음부의 안내레일부 설치상태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레일장치의 일 실시예 신축이음부의 안내레일부 사용상태단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레일 고정장치의 일 실시예 구성도
도11은 본 발명의 자주식 점검이동대차의 측면 구성도
도12는 본 발명의 자주식 점검이동대차의 평면 구성도
도13은 본 발명의 자주식 점검이동대차의 사용상태 단면 구성도
도14는 본 발명의 자주식 점검이동대차의 주행부 및 구동부 평단면 구성도
도15는 본 발명의 자주식 점검이동대차의 주행부 및 구동부 종단면 구성도
도16은 본 발명의 자주식 점검이동대차의 주행부 및 구동부 측단면 구성도
도17은 본 발명의 견인작업대차의 일 실시예 측면구성도
도18은 본 발명의 견인작업대차의 일 실시예 사용상태 단면구성도
도19는 본 발명의 견인작업대차의 일 실시예 평면구성도
도20은 본 발명의 자주식 작업이동대차의 평면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B:교량의 박스보 전체 Ba:박스보의 상판 Bb:박스보의 바닥
Bc:박스보의 중간기둥 Bd:박스보의 중간기둥 통로부
Bf:박스보의 중간기둥 돌턱부 Eja,Ejb: 교량의 상,하부 신축조인트
PR: 교각
20:레일 20a:일 측 레일 20b:타 측 레일
21,21a:레일 챤넬의 리브 22:고정공 23:장홈
24:고정공 25:가로지지대 26:고정구
30:레일 신축장치 31,31a:전후방 안내레일 32:단턱
33:안내장홈 36:고정대
40:레일 고정장치 41,41a:스크류잭 42:받침판
43:나사부 44:높이조절나사 45,45a:전후방 레일받침관
46:브라켓 47,47a:보강대 48:턴버클
50:자주식 점검이동대차 52:주행휠 52a:안내휠 51;차체
54:베어링 55:직류 구동모터 55a:구동축 56:구동풀리
57:구동벨트 58:종동풀리 59:베벨기어박스 60:종동풀리축
61:베어링 62:구동베벨기어 63:종동베벨기어 64:긴장풀리
65:배터리 66:베어링 67:라이트 68:시그널램프
69:견인고리 70:차체후드 71:시트고정축 72:시트
73:운행제어반 80:견인작업대차 81:차체 82:주행휠
82a:안내휠 83:주행차축 84:베어링 85:케이지
86:측면판 87:문짝 88:연결고리 80a:자주식 이동작업대차
90:배터리 91:직류 구동모터 92:베벨기어박스
상기한 일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 박스보 내부 이동식 점검시설의 구성은,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통로가 형성되는 박스보 내부의 이동식 점검시설을 위한 것으로서, 박스보 내부 바닥에서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일정 간격으로 레일 가로지지대들에 의하여 지지되며, 교량의 박스보 신축이음부에 대응하여 일정 길이의 레일 신축장치를 구비하며, 박스보 바닥보다 높게 형성되는 중간 기둥의 돌턱부에서는 박스보 바닥을 향하여 일정 구배의 경사도를 갖고 레일 고정장치에 의하여 설치되는 두 줄의 레일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교량의 박스보 내부 이동식 점검시설용 레일장치와,
상기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통로가 형성되는 박스보 내부의 이동식 점검시설의 레일의 고정수단으로서, 교량의 박스보 내부 바닥에 설치되는 두 줄의 레일을 박스보 내부 바닥의 높낮이를 따라서 임의의 높이로 레일의 설치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교량의 박스보 내부 이동식 점검시설용 레일 고정장치와,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통로가 형성되는 박스보 내부에서, 박스보의 내부 바닥에 설치되는 두 줄의 레일을 타고 이동 주행하는 주행수단을 갖는 차체와, 상기 주행수단을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구동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식 배터리와, 상기 주행수단과 구동수단 충전식 배터리를 제어하여 전후 양방향으로 주행제어하는 운행제어장치와, 상기 차체의 일 측에 작업자의 탑승부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교량의 박스보 내부 이동식 점검시설용 자주식 점검이동대차와,
상기 자주식 점검이동대차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점검이동대차의 구성을 기본으로하여 추가적으로 차체의 전후방 양측에 별도의 작업대차를 견인하는 견인수단을 구비하는 교량의 박스보 내부 이동식 점검시설용 자주식 점검이동대차와,
상기 점검이동대차의 전후방 어느 일 측에 견인수단으로 연결되고 상기 레일 위에서 주행되는 주행수단을 구비하며, 차체의 상방에 화물을 싣는 케이지를 구비하는 교량의 박스보 내부 이동식 점검시설용 견인작업대차와,
상기 견인작업대차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견인작업대차의 구성을 기본으로하여 추가적으로 상기 점검이동대차에 보조동력을 제공하거나 또는 자체적으로 소요되는 동력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식 보조배터리와 상기 충전식 보조배터리에 의하여 상기 주행수단을 구동시키는 보조 주행 구동수단을 구비하는 자주식 작업이동대차와,
상기 레일장치와, 레일 고정장치와, 자주식 점검이동대차와 작업이동대차들을 조합하여 구성되는 이동식 점검시설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일 실시예 구성의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20에는 일 예의 박스보 교량에 적용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는 일 실시예 박스보 내부 이동식 점검장치의 설치구성 및 이동식 점검장치를 구성하는 일 실시예의 레일장치와 레일 고정장치와 자주식 점검이동대차와 견인작업대차의 구성 및 자주식 작업이동대차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각도에서 부호 PR은 교각, B는 교량의 상부구조물인 일 예의 박스보 전체를 표시하고, Ba는 교량의 도로면으로 사용되는 박스보의 상판, Bb는 박스보의 바닥, Bc는 박스보의 중간기둥, Bd는 중간기둥의 통로부, Bf는 중간기둥의 하단부인 돌턱부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박스보 내부 이동식 점검시설의 레일(20)과, 레일 고정장치(40)와 자주식 점검이동대차(50)를 조합하여 구성된다.
상기 레일(20)은 ㄷ 자형 챤넬을 두 줄로 평행하게 박스보 바닥(Bb)의 상면에 설치하되, 일정 간격으로 좌우 챤넬들의 내측단 간에 L 형의 가로지지대(25)들로 가로방향으로 고정하고, 이 가로지지대(25)들은 박스보의 바닥(Bb)에 앵커볼트류의 고정구(26)로 고정되는 기본 구성을 갖는다(도1~3 참조).
상기 레일(20)의 구성에는 교량의 보 특성에 따라서 부가 구성을 갖는다.
장대 교량은 보의 구성이 전 구간에 걸쳐서 단일 형태의 보로 형성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장대 교량은 보의 형태가 PC보나 강재(鋼材) 트러스보 등과 같이 여러 종류의 보들을 혼합한 복합형태로 건설되는 바,
일정 간격에 걸쳐서 도1,4와 같이 보가 완전히 분리된 신축이음부를 구비하여 상,하부 신축조인트(Eja)(Ejb)로 연결되고, 또한 상기 신축이음부 및 기타의 구간에서 일정 간격으로 수 십개의 중간기둥(Bc)들이 형성되고, 이 중간기둥(Bc)들에는 하단부로 일정면적의 통로부(Bd)가 박스보 바닥(Bb)보다 일정높이 높은 위치로 돌출된 돌턱부(Bf)의 상방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레일(20)은 박스보의 신축이음부에서는 교량의 신축작용에 대응하여 레일의 길이가 신축되는 레일 신축장치(30)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한 중간기둥이 설치된 부분에서는 기존의 박스보 바닥(Bb)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 돌턱부(Bf) 위를 통과하여 설치되는 부분에서 자주식 점검이동대차(50)의 주행성을 위하여, 레일(20)을 박스보 바닥(Bb)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완만한 상향 경사를 갖고 설치하기 위한 고정장치로서 레일 고정장치(40)를 구비한다.
상기 레일 신축장치(30)는 좌우로 분리되어 끝단부가 서로 간에 일정 간격을 갖고 근접하여 위치되는 전후방 2열의 레일(20)들에서 각각, 일 측 레일(20a)의 끝단에는 챤넬의 리브(21)에 일정 간격으로 수 개의 고정공(22)들을 뚫고, 타 측 레일(20b)의 끝단에는 리브(21a)에 선단의 고정공(24)과 그 내측으로 일정 길이의 장홈(23)을 형성하며(도6 참조),
상기 좌우로 분리된 전후방 2열의 레일(20)의 내측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일 측 레일(20a)의 수 개의 고정공(22)들과 타 측 레일(20b)의 장홈(23) 간의 길이에 수용되는 길이를 갖고, 상단 외측에 각각 주행휠(52)의 안내휠(52a)이 얹혀지는 단턱(32)과, 상기 일측 레일(20a)의 수 개의 고정공(22)들과 타 측 레일(20b)의 고정공(24) 및 장홈(23)에 대응하는 한 개의 고정공(34)과 안내장홈(33)을 갖는 갖는 전후방 안내레일(31)(31a)을 구비하여(도7 참조),
상기 전후방 안내레일(31)(31a)들의 좌측단은 상기 일 측 레일(20a)의 끝단에서 수 개의 고정공(22)들에 고정보울트들로 고정하고, 전후방 안내레일(31)(31a)들의 우측단은 타 측 레일(20b)의 끝단에서 전후방 레일 고정공(24)들 간에 고정되는 레일고정대(35)를 안내장홈(34)을 관통시겨 설치하며, 안내전후방 안내레일(31)(31a)의 끝단에는 고정대(36)를 고정한 구성이다(도5 참조).
상기한 구성의 레일 신축장치(30)에 의하면, 교량의 신축이음부에서 좌우로 분리된 박스보들의 간격이 신축작용에 의하여 변화할 경우에, 좌우로 분리되어 끝단부가 서로 간에 일정 간격을 갖고 근접하여 위치되는 전후방 2열의 레일(20)들에서 각각, 일 측 레일(20a)이나 타 측 레일(20b)들 간의 끝단 간격이 박스보의 신축변화로 변화하여도, 전후방 안내레일(31)(31a)들이 벌어진 간격 내에서 항상 연결하는 상태를 유지하여, 전후방 안내레일(31)(31a)의 상단 외측에 형성된 단턱(32)이 주행휠(52)의 안내휠(52a)이 얹혀져 주행되는 작용효과를 갖는다(도8,9 참조).
한편 상기 레일(20)의 설치구성에서, 상기한 중간기둥(Bc)의 하단부재인 돌턱부(Bf)를 통과하는 부분에서는, 돌턱부(Bf)의 높이와 기준높이인 박스보 바닥(Bb)의 높이를 감안하여, 자주식 점검이동대차(50)의 주행성을 위하여 돌턱부(Bf)에서 좌우측으로 박스보 바닥(Bb)을 향하여 완만한 하향 경사를 갖고 레일(20)을 설치하게 되고, 이때 레일(20)들이 박스보 바닥(Bb)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들뜨는 부분에도 레일 받침대를 여러 개 다른 높이로 구비하여야 하는 바, 상기 레일 고정장치(40)는 이를 수용하여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다.
상기 레일 고정장치(40)는 박스보 바닥(Bb)에 고정되는 받침판(42)을 하단에 구비하고, 그 상부에는 상단에 나사부(43)와 높이조절나사(44)를 구비한 전후방 2개의 수직의 스크류잭(41)(41a)이 고정되고,
상기 전후방 스크류잭(41)(41a)들의 상단에는 각각, 나사부(43)에 외접되게 끼워지는 전후방 레일받침관(45)(45a)이 설치되어 그 상단에 레일(20)이 고정되며,
상기 전후방 레일받침관(45)(45a)들의 내측 상하단에는 각각 브라켓(46)들이 고정설치되어, 이 상하단 브라켓(46)들에는 상하단 서로 간에 X 자형으로 교차되는 보강대(47)(47a)들이 끝단에 각각 턴버클(48)을 갖고 설치되는 구성이다(도10 참조).
상기한 구성의 레일 고정장치(40)의 설치작업은, 일정 간격으로 수 개의 받침판(42)을 박스보 바닥(Bb)에 고정한 상태에서, 전후방 스크류잭(41)(41a)들의 상단에서 나사부(43)에 끼워진 높이조절나사(44)를 돌려 임의의 높이로 맞춘 후에, 전후방 레일받침관(45)(45a)들을 각각 나사부(43)에 외접되게 끼워 설치하고, 전후방 레일받침관(45)(45a)들의 상단에 전후방 레일(20)을 고정한다.
이어서 전후방 레일받침관(45)(45a)들의 내측 상하단에서 상하단 서로 간에 X 자형으로 교차되어 설치된 보강대(47)(47a)들을 각각의 턴버클(48)을 조여 긴장시킴으로서 설치를 완료한다.
상기와 같은 레일 고정장치(40)에 의하면, 박스보 바닥(Bb)에서 중간기둥 (Bc)의 하단부재인 돌턱부(Bf)를 완만한 경사로 설치되는 레일(20)의 들뜸부에 대하여, 들뜸의 높이에 맞추어 전후방 레일(20)을 각각 알맞은 높이로 받쳐 줄 수 있게되어, 설치시의 박스보 바닥(Bb)의 높이 불균형이나 설치 후의 높이 변동에 대처하여 전후방 레일(20)들을 각각 적정의 주행선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작용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인 일 실시예 자주식 점검이동대차(50)는 도11에서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의 레일(20)을 타고 작업자의 운행조작에 의하여 박스보(G)의 내부를 자체 전원과 구동수단으로 이동하는 구성이다.
자주식 점검이동대차(50)의 구성은, 일정 크기의 장방형 차체(51)에 대하여 전후방에서 베어링(54)으로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는 구동차축(53)과, 상기 구동차축(53)의 양단에 고정되어 상기 레일(20) 위를 타고 주행하는 전후방 좌우 4개의 주행휠(52)들이 설치된다.
상기 차체(51)의 전후방 상단에는 배터리(65)와, 상기 배터리(65)의 전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직류 구동모터(55)가 설치된다.
상기 직류 구동모터(55)의 구동축(55a)에는 구동풀리(56)가 설치되고, 상기구동차축(53)들의 중간에는 베어링(66)으로 양측이 지지되고 외측 일단은 차체(51)의 일 측에 고정지지된 베벨기어박스(59)가 설치된다.
상기 베벨기어박스(59)의 일 측에는 베어링(61)에 의하여 종동풀리축(60)이 설치되고, 상기 종동풀리축(60)의 외측에는 종동풀리(58)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구동풀리(56)와 종동풀리(60)간에는 긴장풀리(64)를 갖는 구동벨트(57)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축(53)에는 베벨기어박스(59)의 내부에서 종동베벨기어(63)가 고정 설치되고, 이 종동베벨기어(63)에는 사기 종동풀리축(60)의 내측에 고정된 구동베벨기어(62)가 맞물린다.
상기 차체(51)의 전후방에는 후술하는 작업이동대차(80)나 다른 대차를 견인할 수 있는 견인고리(69)가 고정 설치되고, 차체(51)의 중간부에는 180도 회전 제어되는 수 개의 시트고정축(71)들이 고정 설치되어 작업자가 앉는 전후방 2열의 시트(72)들을 전후방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지지한다.
차체(51)의 외면에는 시트(72)가 설치된 중간부를 제외하고 전후방과 하단 일부를 덮는 차체후드(70)가 설치되고, 차체후드(70)의 전후방에는 각각 수 개의 라이트(67)와 시그널램프(68)들이 설치된다.
상기 주행휠(52)은 상기 레일(20)의 상면에 활접하는 구성외에 내측단으로 큰 직경을 갖는 안내휠(52a)이 형성되어, 이 안내휠(52a)이 정상적인 레일위를 주행할 때에는 탈선방지 안내작용을 하고, 상기 레일 신축장치(30) 부분을 주행할 때는 전후방 안내레일(31)(31a)의 상단 외측에 형성된 단턱(32) 상면에 활접되어 주행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한 구성의 자주식 점검이동대차(50)는 시트(72)에 앉는 작업자의 행동반경내에서 차체(51)의 프레임 일부에 장착되는 운행제어반(73)을 전후방으로 구비하여, 작업자가 운행제어반(73)의 스위치 조작으로 구동모터(55)의 구동전원인 배터리(65)의 전원을 제어하여 전후방 양방향으로 주행하면서 박스보(G)의 내부를 길이방향으로 자주식으로 이동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박스보 내부 이동식 점검시설을 위한 일 실시예의 여러 구성요소들을 조합하면 일 실시예의 박스보 내부 이동식 점검시설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박스보 내부 이동식 점검시설은 상술한 일 실시예의 레일 신축장치(30)를 포함하는 레일(20)과, 레일 고정장치(40)와, 자주식 점검이동대차(50)로 구성함으로서, 장대 교량의 박스보(G) 내부에 대한 점검 및 보수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하고 작업자의 휴대하중을 줄이며 점검 및 보수장비와 부자재의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박스보 내부 이동식 점검시설에는 부가적으로 작업장비 및 보수자재를 다량으로 운반할 수 있는 견인작업대차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17~19에는 일 실시예의 견인작업대차(8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 견인작업대차(80)는 상기한 구성의 레일(20)을 타고 주행할 수 있도록 일정 크기의 장방형 차체(81)에 대하여 전후방에서 베어링(84)으로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는 주행차축(83)과, 상기 주행차축(83)의 양단에 고정되어 상기 레일(20) 위를 타고 주행하는 전후방 좌우 4개의 주행휠(82)들이 설치된다.
차체(81)의 상단에는 상부는 개방되고 양측단으로는 문짝(87)이 달린 사방 측면판(86)으로 형성된 케이지(85)를 구비하고, 차체(81)의 전후방에는 각각 상기 점검이동대차(50)의 전후방 견인고리(69)와 연결되는 연결고리(88)가 설치된다.
상기 주행휠(82)은 상기 레일(20)의 상면에 활접하는 구성 외에 내측단으로 큰 직경을 갖는 안내휠(82a)이 형성되어, 이 안내휠(82a)이 정상적인 레일 위를 주행할 때에는 탈선방지 안내작용을 하고, 상기 레일 신축장치(30) 부분을 주행할 때는 전후방 안내레일(31)(31a)의 상단 외측에 형성된 단턱(32) 상면에 활접되어 주행하는 작용은 상술한 자주식 점검이동대차(50)의 구성에서와 동일하다.
상기한 구성의 견인작업대차(80)는 케이지(85) 내부에 작업장비 및 보수자재를 적재하여, 일 측 연결고리(88)를 자주식 점검이동대차(50)의 일 측 견인고리 (69)에 연결하여 자주식 점검이동대차(50)의 구동력으로 레일(20) 위로 견인하면서 사용되는 구성이다.
상기한 일 실시예의 견인작업대차(80)는 경우에 따라서 자주식으로 이동하기 위한 전원 및 주행구동수단을 더 포함한 다른 실시예의 자주식 이동작업대차(80a)로 구성할 수 있다.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의 자주식 이동작업대차(80a)의 구성은 상술한 견인작업대차(80)의 구성을 기본 구성으로 하면서, 상기 차체(81)의 전후방 상단에 배터리(90)와 직류 구동모터(91)를 설치하고, 이 직류 구동모터(91)에 의하여 상기 주행차축(83)을 구동하는 구성은 상술한 자주식 점검이동대차(50)의 구성에서 설명한 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갖는 구동수단과 전동수단 및 베벨기어박스 (92) 등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의 자주식 이동작업대차(80a)는 케이지(85) 내부에 작업장비 및 보수자재를 적재하여, 일 측 연결고리(88)를 자주식 점검이동대차(50)의 일 측 견인고리(69)에 연결하여 자주식 점검이동대차(50)의 구동력으로 레일(20) 위로 견인하면서 사용하거나, 또는 별도의 전원제어장치를 구비하여 자주식 점검이동대차 (50)와 별도로 레일(20) 위를 자주식으로 짧은 거리를 주행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상술한 일 실시예의 구성들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 제시된 것이지 반드시 이에 국한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자주식 점검이동대차의 구성에서 구동차축의 구동수단은 일 실시예의 베벨기어박스에 의한 전동수단 외에도 다른 종류의 전동수단을 사용할 수 있으며, 레일의 구성도 일 실시예의 ㄷ 자형 찬넬 외에도 다른 종류의 챤넬이나 앵글등을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박스보 내부 이동식 점검시설과 이 이동식 점검시설을 위한 레일장치, 레일 고정장치, 자주식 점검이동대차, 견인작업대차 들의 구성에 의하면, 교각의 수량도 많고 교좌장치 및 신축이음부가 많은 각종 형태의 박스보를 상부 구조물로 하는 장대 교량에 대하여, 종래의 작업자가 점검 및 보수장비나 부자재를 직접 휴대하여 도보로 박스보의 내부를 이동하면서 점검함으로써 발생한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보수, 점검장비나 자재 운반량을 늘릴 수 있고, 작업자의 이동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하여, 점검 작업시간도 상당히 단축할 뿐 아니라, 작업자의 휴대 하중을 완전히 제거하여 작업자의 피로도를 줄여서 작업안전성을 높이고 작업능률을 높이면서 점검효율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 것이다.
또한 구성이 간단하여 박스보 내부 이동식 점검시설을 비교적 저렴한 시설비로 설치할 수 있으면서 높은 운영 경제성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Claims (9)

  1.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통로가 형성되는 박스보 내부에서, 박스보 내부 바닥에서 일정 구간에 걸쳐서 신축장치를 갖고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레일 가로지지대들에 의하여 두 줄로 설치되는 레일장치와,
    상기 교량의 박스보 내부에서 레일장치의 레일을 교량의 박스보 내부 바닥에 고정 설치함에 있어서 박스보 내부 바닥의 높낮이를 따라서 자주식 점검이동대차의 운행성을 유지하도록 레일의 설치높이를 조절하여 고정하는 레일 고정장치와,
    상기 레일 위를 타고 이동 주행하는 주행수단과 상기 주행수단을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구동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식 배터리와 상기 주행수단, 구동수단 충전식 배터리를 제어하여 전후 양방향으로 주행제어하는 운행제어장치와, 작업자의 탑승부를 차체의 내부에 구비한 자주식 점검이동대차를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박스보 내부 이동식 점검시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주식 점검이동대차의 차체 전후방에는 견인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자주식 점검이동대차와는 별도의 대차로 되어 레일 주행수단과, 상기 견인수단에 연결되는 연결수단과, 점검장비와 자재를 적재하는 적재함을 갖는 견인작업대차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박스보 내부 이동식 점검시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주식 점검이동대차의 차체 전후방에는 견인수단을 구비하며, 별도의 대차로 되어 레일 주행수단과 ,상기 견인수단에 연결되는 연결수단과, 점검장비와 자재를 적재하는 적재함과, 자체적으로 구동 주행하는 구동수단을 구비하는 자주식 작업이동대차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박스보 내부 이동식 점검시설.
  4.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통로가 형성되는 박스보 내부의 이동식 점검시설을 위한 것으로서, 박스보 내부 바닥에서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일정 간격으로 레일 가로지지대들에 의하여 지지되며, 교량의 박스보 신축이음부에 대응하여 일정 길이의 레일 신축장치를 구비하며, 박스보 바닥보다 높게 형성되는 중간 기둥의 돌턱부에서는 박스보 바닥을 향하여 일정 구배의 경사도를 갖고 레일 고정장치에 의하여 설치되는 두 줄의 레일을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박스보 내부 이동식 점검시설용 레일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레일 신축장치의 구성은, 좌우로 분리되어 끝단부가 서로 간에 일정 간격을 갖고 근접하여 위치되는 전후방 2열의 레일(20)들에서 각각, 일 측 레일(20a)의 끝단에는 챤넬의 리브(21)에 일정 간격으로 수 개의 고정공(22)들을 뚫고, 타 측 레일(20b)의 끝단에는 리브(21a)에 선단의 고정공(24)과 그 내측으로 일정 길이의 장홈(23)을 형성하며,
    상기 좌우로 분리된 전후방 2열의 레일(20)의 내측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상기 일 측 레일(20a)의 수 개의 고정공(22)들과 타 측 레일(20b)의 장홈(23) 간의 길이에 수용되는 길이를 갖고, 상단 외측에 각각 주행휠(52)의 안내휠(52a)이 얹혀지는 단턱(32)과, 상기 일측 레일(20a)의 수 개의 고정공(22)들과 타 측 레일(20b)의 고정공(24) 및 장홈(23)에 대응하는 한 개의 고정공(34)과 안내장홈(33)을 갖는 갖는 전후방 안내레일(31)(31a)을 구비하여,
    상기 전후방 안내레일(31)(31a)들의 좌측단은 상기 일 측 레일(20a)의 끝단에서 수 개의 고정공(22)들에 고정보울트들로 고정하고, 전후방 안내레일(31)(31a)들의 우측단은 타 측 레일(20b)의 끝단에서 전후방 레일 고정공(24)들 간에 고정되는 레일고정대(35)를 안내장홈(34)을 관통시겨 설치하며, 안내전후방 안내레일(31) (31a)의 끝단에는 고정대(36)를 고정한 구성의 레일 신축장치(3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박스보 내부 이동식 점검시설용 레일장치.
  6.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통로가 형성되는 박스보 내부의 이동식 점검시설의 레일의 고정수단으로서, 교량의 박스보 내부 바닥에 설치되는 두 줄의 레일을 박스보 내부 바닥의 높낮이를 따라서 임의의 높이로 레일의 설치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수단을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박스보 내부 이동식 점검시설용 레일 고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고정장치는, 박스보 바닥(Bb)에 고정되는 받침판 (42)을 하단에 구비하고, 그 상부에는 상단에 나사부(43)와 높이조절나사(44)를 구비한 전후방 2개의 수직의 스크류잭(41)(41a)이 고정되고,
    상기 전후방 스크류잭(41)(41a)들의 상단에는 각각, 나사부(43)에 외접되게 끼워지는 전후방 레일받침관(45)(45a)이 설치되어 그 상단에 레일(20)이 고정되며,
    상기 전후방 레일받침관(45)(45a)들의 내측 상하단에는 각각 브라켓(46)들이 고정설치되어, 이 상하단 브라켓(46)들에는 상하단 서로 간에 X 자형으로 교차되는 보강대(47)(47a)들이 끝단에 각각 턴버클(48)을 갖고 설치되는 구성의 레일 고정장치(40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박스보 내부 이동식 점검시설용 레일 고정장치.
  8. 교량의 박스보 내부 통로에서, 박스보의 내부 바닥에 설치되는 두 줄의 레일을 타고 이동 주행하는 주행수단을 갖는 차체와, 상기 주행수단을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구동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식 배터리와, 상기 주행수단과 구동수단 충전식 배터리를 제어하여 전후 양방향으로 주행제어하는 운행제어장치와, 상기 차체의 일 측에 작업자의 탑승부를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박스보 내부 이동식 점검시설용 자주식 점검이동대차.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수단을 구동하는 구동수단은, 차체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직류 구동모터와, 상기 주행수단의 구동차축에 설치되는 베벨기어박스와, 상기 직류 구동모터와 베벨기어박스 간을 풀리에 의한 전동수단으로 전동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박스보 내부 이동식 점검시설용 자주식 점검이동대차.
KR10-2001-0086316A 2001-12-27 2001-12-27 교량의 박스보 내부 이동식 점검시설 KR100472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6316A KR100472096B1 (ko) 2001-12-27 2001-12-27 교량의 박스보 내부 이동식 점검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6316A KR100472096B1 (ko) 2001-12-27 2001-12-27 교량의 박스보 내부 이동식 점검시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6150A true KR20030056150A (ko) 2003-07-04
KR100472096B1 KR100472096B1 (ko) 2005-02-23

Family

ID=32214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6316A KR100472096B1 (ko) 2001-12-27 2001-12-27 교량의 박스보 내부 이동식 점검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20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06428A (zh) * 2019-06-14 2019-10-08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桥梁检修车隐形轨道构造
CN112144395A (zh) * 2020-10-10 2020-12-29 重庆交通大学 一种应用于桥梁的箱梁顶板检测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977B1 (ko) 2017-12-22 2018-06-21 박명복 착용이 편하고 고정력이 우수한 가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7623B1 (ko) * 1998-01-12 2000-05-01 이계철 터널 통신구의 지중레이다 탑재 점검차량
KR100401251B1 (ko) * 2000-07-10 2003-10-11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이동식 교량점검작업차
KR200233184Y1 (ko) * 2001-02-14 2001-09-29 (주)신성엔지니어링 교량 점검대
KR200255635Y1 (ko) * 2001-08-10 2001-12-13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지하구조물 하수박스의 유독가스 제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06428A (zh) * 2019-06-14 2019-10-08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桥梁检修车隐形轨道构造
CN110306428B (zh) * 2019-06-14 2024-03-22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桥梁检修车隐形轨道构造
CN112144395A (zh) * 2020-10-10 2020-12-29 重庆交通大学 一种应用于桥梁的箱梁顶板检测装置
CN112144395B (zh) * 2020-10-10 2021-11-23 重庆交通大学 一种应用于桥梁的箱梁顶板检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2096B1 (ko) 2005-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5236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railway rails
CN211547116U (zh) 一种用于铁路道岔铺换的作业车
CN1287936A (zh) 连续牵引车
KR100472096B1 (ko) 교량의 박스보 내부 이동식 점검시설
KR20160109081A (ko) 교량 작업용 대차 장치
CN108842612B (zh) 桥梁作业平台车
CN112252099A (zh) 一种用于铁路道岔铺换的作业车及其作业方法
CN211171456U (zh) 一种用于铺设u型梁轨道的铺设台车
KR101794205B1 (ko) 교량 작업용 대차 장치
KR101794206B1 (ko) 교량 작업용 대차 장치
CN108867388B (zh) 多功能作业平台车
JP3238799B2 (ja) 転轍器交換作業システム
CN110565458B (zh) 一种用于铺设u型梁轨道的铺设台车及方法
CN209939718U (zh) 用于高陡边坡的材料运输装置
CN110540142B (zh) 带桥梁功能的汽车起重机及桥板和轨道车
CN209100061U (zh) 一种隧道防水布铺设装置
CN208649902U (zh) 多功能作业平台车
CN213475222U (zh) 一种带有无极变跨装置的提梁机
KR100377529B1 (ko) 교량공사용 이동 작업대
CN109775626A (zh) 一种带吊机和动力装置的高架跨座式轨道作业车
CN205369946U (zh) 一种自行式模块化地铁车站屋面钢结构安装支撑架
CN113085951B (zh) 一种轨道车辆用架车装置及架车系统
CN205822023U (zh) 一种桥面混凝土布料机
KR100304538B1 (ko) 하단면주행식의교량하부면작업대차의주행장치
CN2337186Y (zh) 高架路砼桥面板吊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