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4460A - 활성탄이 포함된 부직포 필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활성탄이 포함된 부직포 필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4460A
KR20030054460A KR1020010084623A KR20010084623A KR20030054460A KR 20030054460 A KR20030054460 A KR 20030054460A KR 1020010084623 A KR1020010084623 A KR 1020010084623A KR 20010084623 A KR20010084623 A KR 20010084623A KR 20030054460 A KR20030054460 A KR 20030054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activated carbon
filter
web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4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혁
오운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올
Priority to KR1020010084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54460A/ko
Publication of KR20030054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446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5Deodorising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71Surface coa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18Non-wo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5More than one layer present in the filter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10Filtering material manufactu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성탄과 부직포를 결합시켜 일상생활과 산업분야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악취와 인체에 유해한 가스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부직포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유해가스의 흡착력이 우수한 각종 활성탄이 분산된 물중에 부직포를 침지시켜 활성탄이 분산된 부직포층을 얻고, 이를 웹상의 부직포 사이에 삽입시켜 3중 구조를 갖도록 부직포 필터를 제조함으로써 형태상의 안정성을 추구하여 마스크, 생리대, 기저귀, 각종필터 등에 응용할 수 있는 부직포 필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활성탄이 포함된 부직포 필터 및 그 제조방법{Nonwoven fabrics filter inserted active carb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각종 악취가스에 대해 흡착력이 우수한 활성탄을 부직포 속에 삽입함으로써 각종 악취와 유해가스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직포를 활성탄이 고르게 분산된 수중에 침지시킨 다음, 이를 웹(web) 상태의 부직포 사이에 삽입시켜 통상의 부직포 제조공정을 통해 3중구조를 갖도록 형태상의 안정성을 추구하여 마스크, 생리대, 기저귀, 각종필터 등에 응용할 수 있는 부직포 필터와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부직포라는 명칭은 나라마다 다양하게 불리워지고 있다. 그러나 이 용어의 사용에 대해서는 아직까지도 논의의 대상이 되고 있다.
부직포란 용어는 1942년 미국에서 Adhesive Bonded Fiber Webs를 상업적으로 생산하기 시작하면서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그 후 이 용어는 의미 그대로 여러나라 말로 번역되어 섬유공업이 발달한 나라에서는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용어의 부정적인 의미는 많은 연구자와 언어학자들간에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 1959년초 북캐롤라이나 주립대학의 섬유학 교수였던 Elliot Grover는 최초로 이에 대한 반론을 제기하였으나 대체할 만한 적당한 용어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때때로 몇몇 저자들에 의해 "Bonded Fabrics" 또는 "Fiber Fabrics" 와 같은 용어들이 사용되기도 하였으나 보편적으로 널리 통용되지는 못하였다.
미국에서는 Nonwoven Fabrics, Nonwovens, Bonded Web, Nonwoven Textile, Bonded fabrics, Bonded Fiber Fabrics, 영국에서는 Bonded Fibre Fabrics, 독일에서는 Vliesstoften, 프랑스에서는 Nontisses 등으로 부르며 우리나라를 비롯한 극동지역에서는 부직포, 무직포라고 불리워지고 있다.
이와같은 다양한 용어로 표현되는 부직포는, 부직포라는 용어를 글자 의미대로 해석하면 "짜여지지 않은 천"이란 뜻이다.
이러한 의미로 보자면 태고의 인류가 사용하였던 모피, 나뭇잎, 수피 등도 제직하지 않은 의복임에는 틀림없지만 부직포라고 명명하기는 어렵다.
부직포의 정의에 대해서는 학자들간에 여러 가지 정의가 내려지고 있고, 나라들마다 부직포의 정의와 영역에 대한 상이한 해석을 하고 있다. 1942년 이 용어가 처음으로 등장한 무렵에는 재래식 방법으로 생산되는 섬유류를 의미하였으나, 이 기술이 계속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1960년대에는 부직포에 대한 여러 가지 정의가 등장하게 되었다.
부직포에 대한 여러 가지 정의 중에서도 A.S.T.M(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에 의하면 "부직포는 방적(紡績), 제직(製織)에 의하지 않고 섬유집합체 또는 필름을 물리적, 화학적 수단에 의하거나 적당한 수분이나 열로써 섬유 상호간을 결합시킨 것" 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 정의는 미국과 유럽의 부직포업체들에 의해 가장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이외에 "웹(Web)상 또는 Sheet상의 섬유집합체를 Base로 하여 이것을 결정체로 결합시키거나 열가소성 섬유를 이용하여 섬유간 결정을 강하게 한 것" 이라는 정의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부직포는 천연, 화학, 유리, 금속 등 각종 섬유를 상호간의 특성에 따라 엉키게 하며 시트모양의 웹(Web)을 형성, 이를 기계적 또는 물리적인 방법으로 결합시켜 만든 평면 구조를 부직포라 일컫는다.
최근에 와서는 우리 산업과 생활주변에 부직포가 광범위하게 소비되고 있으나 아직도 부직포 용도와 특성, 기능이 실 수요자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아 부직포를 이용한 다양한 제품의 창출이 지금까지는 미약했다. 그러나 앞으로는 응용분야 확대 연구가 업계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어 다기능성 첨단 부직포 제품이 속속 선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같은 부직포를 제조하는 일반적인 방법을 살펴보면, 원료섬유의 종류에따라 단섬유 부직포와 장섬유 부직포가 있고, 웹의 형성방법에 따라 건식부직포와 습식부직포가 있으며, 웹의 결합방법에 따라 NP(Needle Punch), CB(Chemical Bonding), TB(Thermal Bonding), ST(Stitch Bonding), SL(Spunlace), MB(Meltblown), SB(Spunbond), UB(Ultrasonic Bonding) 등의 다양한 부직포가 있다.
일반적인 부직포의 제조공정은 먼저 부직포의 원료를 초기 투입하는 단계, 개면하는 단계, 투입된 원료를 균일하게 섞는 혼면 단계, 카딩 단계, 웹을 성형하는 단계, 웹결합 단계 및 후가공단계로 이루어진다.
부직포의 경우 압축된 베일(Bale) 상태로 입고되므로 부직포를 만들기 위해서는 압축된 섬유들의 개면 과정을 거쳐야한다.
웹의 형성공정은 부직포를 만들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공정으로, 건식 부직포는 웹의 형성을 대기 중에서 행하는데 반하여 습식부직포는 섬유를 고분자 중에 분산시켜 쉬트(Sheet)를 얻는다. 따라서 건식부직포는 섬유의 배열이 방향성을 갖는 것이 대부분이나, 습식부직포는 섬유가 랜덤한 불규칙 배열을 이룬다. 그러나 건식부직포에도 랜덤 카드기의 개발로 용도에 따라 방향성이 없는 웹을 얻을 수 있다.
웹을 결합시키는 공정은 제품이 요구하는 특성에 따라 독특한 결합방법을 사용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점착제를 사용하는 화학적 방법, 열과 물을 이용하는 물리적 방법, NP, SP 기 등과 같은 기계적 방법 등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최근에는 고도의 수류를 이용하는 SL 법, 초음파를 이용하는 UB 법 등이 개발되어 관심을끌고 있다.
Needle Punch(NP) 법은 웹을 기계적으로 결합하는 방법의 하나로써 부직포가 생기기 이전부터 펠트의 제조에 사용되었던 방법이다. 그러나 현재 NP 기술은 기존의 펠트제조에 사용되었던 설비보다 부직포의 경우는 밀도가 높은 것이 사용된다.
NP 부직포는 카드기 또는 에어레이(Air-Laid)법에 의해 형성된 웨브를 Needle Loom을 통과시킬때 니들이 붙은 침판을 상하 반복운동시켜 2차원적인 랜덤한 섬유배열의 일부를 3차원적인 랜덤구조로 결합시키는 것이다.
NP부직포의 원료로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터 S/F가 주로 사용되는데 나일론 S/F, 양모, 아크릴 S/F도 자주 사용된다.
현재는 많은 회사들이 자동차 내장재용으로 요구되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터를 공급하고 있다.
NP법은 산업자재용 부직포를 생산하는데 가장 중요한 공정 중의 하나로써 주로 자동차 내장재와 토목용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들어 카페트, 필터 분야 등으로 용도를 넓혀 이러한 분야에 대한 지나친 의존도를 낮추고 있다. 미국의 시장을 보면 여전히 토목용과 자동차 내장재용이 주류를 이루고 있지만 이외에 필터, 제지용 펠트, 선박 및 우주선의 내장재, 가구용, 각종 산업용 등 다양한 용도로 개발되고 있다.
그리고, CB(Chemical Bonding)법의 제조방법은 에멀젼형의 접착제를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 에멀젼형 중에서도 아크릴과 SBR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접착제는 40~60%의 고체상태로 구입되는데 대부분은 물에 의해 희석된 여러가지 첨가제와의 합성을 요구한다.
CB법은 웹 결합시 주로 함침법, 스프레이(Spray)법, 거품법, 프린트(Print)법의 4가지 방법을 사용한다.
그리고, 섬유간의 결합형태에 따라 부분결합법(Point Bonding)과 전체결합법(Agglomerate Bonding)의 두 가지 타입이 있다. 부분결합은 각 섬유의 교차점에 소량의 접착제를 접착시키는 접착용 수지의 최적 사용방법으로 인장강도 및 신축성이 좋고 최종제품이 부드러운 장점이 있다. 전체결합은 현미경을 통해 관찰해 볼 때 여러섬유의 연결점들을 덮고 있는 폴리머의 큰 덩어리를 보여준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웹을 접착제에 함침시켜 평면롤(Smooth Roller)과 조각롤(Engraved Roller)을 사용하여 합침된 웨브를 짜서 건조시켜 만드는 방법이다. 스프레이법은 담요, 보온재와 같은 벌키한 부직포 제품을 만드는데 선호되고 있다.
CB 부직포는 각종 피지, 보온재를 비롯한 의류용, 필터류, 농업/토목/건설용, 내피류, 종이류 등의 광범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접착제로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아크릴산 에스테르수지, 우레탄수지, 트리아세테이트 등 유기용제에 용해시켜 사용하며, 성질은 에멀젼형에 비해 고강력, 내수성이 우수하나, 유기용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고가이고 용제의 회수곤란, 용제에 의한 중수 및 인화의 위험성이 있다.
에멀젼형으로는 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 SBR, NBR, 폴리초산비닐, 폴리염화비닐 등이 속하며 특징은 접착제의 종류가 풍부하고, 값이 싸며 각종 성능이 쉽게얻어진다.
TB(Thermal Bonding)법의 제조방법은 저융점의 열가소성 합성섬유를 웹 중에 혼합시켜 열, 장력 등으로 처리하여 접착시키는 방법으로 과거 몇 년동안 CB법을 우월해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TB부직포의 용도는 커버스톡(Coverstock), 쿠션재, 보온재, 필터, 토목자재, 의료용 피지, 파프재의 기포, 와이프, 전지 Separator, Floppy Disc Liner, 각종 포장재 등이 있으며, 주로 Coverstock, 피지를 비롯한 얇고 부드러운 제품의 생산에 많이 사용된다.
TB법의 장치는 캘린더, 재래식 컨베이어 오븐, Through-Air System, 초음파 본딩, 적외선 가열기 등이 주로 사용된다.
캘린더(Calender)는 TB법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장치로 가벼운 웹을 접합하는데 주로 이용되며, 가장 경비가 적게 들고 공간 점유율도 가장 적다. 일반적으로 Overall Bonding, Point Seal, Double Pattern Bonding 의 세가지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Stitch Bonding법, 즉 ST법은 형성된 웹을 편침을 사용하여 재봉하는 방식으로 결합하는 방법이다. ST법은 동독에서 Wrap Knitting의 방법으로 누벼서 포를 만드는 것에서 착상하여 1952년 Heinrich Mauersbenger가 Mali법이라 부르는 3종의 기계를 발명한 것이 시초이다.
ST법은 웹을 형성하여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실로써 누비는 것이다. 이때 웹의 중량은 100~700g/㎡ 정도이며, 일반적으로 200~300g/㎡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현재 ST식으로 제조된 부직포는 여타의 직물 및 편물과의 경쟁력에서 뒤지지 않고 있으며, 파일직물, 고성능 산업자재용 제품 등의 용도로 가능성을 인정받고 있다.
Spunlace 법, 즉 SL법은 제트수류를 웨브에 분사하여 섬유를 결합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설비투자에 따른 부담이 크지만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SL 부직포의 원료는 주로 폴리에스터, 레이온, 펄프가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아라미드 섬유, 면, 나일론, 아크릴 등의 원료를 사용하여 일부 제품화하거나 연구 중에 있다.
SL 부직포는 부드러우면서도 강도가 종기 때문에 수술용 가운, 수술용 거즈, 산업용 와이프, 피지, 인공피혁, 각종 포장재 등 여러 분야에 사용할 수 있다.
MB(Meltblown)법은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열가소성수지를 필라멘트 섬유를 제조할 때 고압의 공기로 필라멘트에 충격을 주어 섬유를 배열하여 랜덤하게 웹을 형성시키는 방법이다.
MB법에 사용되어지는 고분자는 광범위하게 연구되어져 왔으며, 그 중 폴리프로필렌이 상업적인 면에서 독점적인 위치를 점유하고 있다.
SB(Spunbond)법은 필라멘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장섬유 부직포라고 한다.
일반적인 폴리에스터,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SB 이외에 폴리우레탄을 사용한 일본 Kanebo 사의 SB, 미국 Du-Pont 사의 Flash Spunbond, 서독 Reifenhauser 사의 Reicofil Spunbond 등이 있다.
그 외에도, 초음파 접합 등의 방법도 있다.
상기 제조방법을 요약하면, 습식부직포 제조는 제지공정인 초지법과 동일한 공정이나 단지 원료가 펄프로 사용되지 않고 각종 섬유를 사용하여 제조, 물성을 매우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으며, 와이퍼(Wiper), 타월, 휠, 타백, 기저귀 커버 등의 제조에 사용된다.
그리고, 건식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케미칼본드는 웹(web) 결합시 접착제를 섬유상에 침투시켜 건조공정을 거쳐 제조하는 것으로서, 유연성과 통기성이 매우 뛰어나다. 그리고, 서멀본드는 저융점의 가소성 합성섬유를 혼합시켜 열, 압력, 용제 등으로 착화하거나 녹여서 결합하여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 위생적이며, 기저귀, 위생용, 내프킨 등의 제조에 사용된다.
에어레이 방법은 압축공기와 접착제를 동시에 이용하여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가로와 세로 방향의 인장 차이가 없는 특징이 있고, 전지휠타, 심지, 카페트기포재, Wiper 스폰지, 절연재 등의 제조에 사용된다.
스판레스 방법은 고압수류를 이용하여 섬유를 결합하여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유연성과 통기성이 뛰어나고, 메디칼용, 심지, 생활용품, 코팅기포, Roofing재, Wiper 등의 제조에 사용된다.
스판본드는 용융섬유를 방사하여 자체 접착하여 결합하는 방법으로서, 용도에 따른 원단설계가 용이하고, 포장재, 생리용 내프킨, 토목건축재, 휠터, 심지, 카페트 기포재, 코팅재 등의 제조에 사용되며, 멜트블로운 방법은 합성고분자를 방사하여 고압열풍에 의해 극세섬유로 되어 균일한 용융섬유 웹을 결합하여 제조하는방법으로서, 유연성, 비투과성, 절연성이 뛰어나 Filter, 절연재, 흡수시트, Wiper, 흡유시트, 생리용 내프킨 등의 제조에 사용된다.
니들펀치 방법은 기계적으로(특수바늘) 웨브(Web)를 결합시켜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두께 조정이 용이하고, 카페트, 모포, 휠터, 코팅기포재, 심지 등의 제조에 사용된다.
스테치본드는 형성된 웹을 편침을 사용하여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실로 누벼서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두께는 얇으나 인장강도는 높아, 심지, 자동차 내장재 등의 제조에 사용된다.
한편, 활성탄은 흡착성이 강하고 대부분의 구성물질이 탄소질로 된 물질로서, 그 제조방법은 목재, 갈탄, 이탄 등을 활성화제인 염화아연이나 인산과 같은 약품으로 처리하여, 건조시키거나 목탄을 수증기로 활성화시켜 만든다. 일반적으로 활성탄은 가루상태나 입자상태로 제조되는데, 가루인 것은 입자상태로 만들어 사용하기도 한다. 용도는 주로 흡착제로서 기체나 습기를 흡수시키는데 사용되며, 그 밖에 용제의 회수제와 가스의 정제용 또는 탈색제로 쓰이는 등 용도가 다양하다.
다시말해, 활성탄은 미세기공과 넓은 표면적을 보유하고 있어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 제거와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탈취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종 산업용 필터, 담배속의 필터, 방독면 등 여러 분야에서 응용되어지고 있으나, 분말 형태로 되어있는 관계로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탈취용으로는 사용에 많은 제약을 받고 있다.
상술한 부직포와 활성탄을 조합하여 냄새제거 등을 위한 필터로 활용하고자한 노력은 종래에 있었는 바, 일예로서 실용신안등록제180426호에서는 외부가 부직포로 되어 있고 부직포 상부와 하부의 이중 구조로 되어 일정한 공간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고, 내부 공간에 첨착활성탄과 세라믹 분말이 충전된 구조를 갖는 부직포를 제공하였는 바, 여기서는 생리대나 기저기와 같은 특유의 체취를 제거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예를들어 생리대보다 약간 적은 면적을 고려하여 부직포를 제조하고, 이후 부직포 필터 내부에 첨착활성탄을 고르게 분포시키며 이후 부직포 필터의 전단과 후단을 결합하여 충전된 첨착활성탄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였다. 이를 여기서는 체취냄새제거 필터로 명명하였다. 이와같이 얻어진 체취냄새 제거필터를 생리대 제조시에 내부에 삽입하고 이를 고정되도록 장착하였다.
그런데, 이와같은 방법으로 활성탄을 이용한 필터를 제조할 경우, 부직포의 일면에 첨착활성탄을 뿌려주는 과정에서 분진의 발생을 감수해야 하고 고른 분산을 기대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별도로 부직포 합지과정을 수행해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부직포와 같은 다공성 지지체의 표면에 나노미터 크기의 탈취제 분말을 결합제와 함께 도포시켜 제조하여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냄새성분과의 접촉면적을 극대화시키고 공기의 흐름에 대한 장애를 최소화하여 탈취성능을 향상시켜, 이를 냉장고에 적용하고자 한 에도 있다. 여기서는 탈취제 분말을 결합제와 함께 혼합하여 부직포 등의 지지체에 고착시키고자 하였으나, 결합제 등의 사용은 또 다른 문제를 야기시킨다.
그리고, 에어컨의 살균 및 탈취 필터로서 부직포에 활성탄을 코팅한 후, 상기 활성탄의 미세기공에 산화티타늄을 담지시킨 구조를 갖도록 형성한 예도 있으나, 활성탄을 부직포에 코팅하는 구체 방법을 제안하고 있지 못하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이 흡착력이 우수한 활성탄을 일상생활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응용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던 중, 통기성이 우수하고 일상생활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응용이 가능한 부직포 속에 활성탄을 삽입한 결과, 이를 이용하여 탈취용 필터를 제작하고 얻어진 필터를 자동차용 필터와 각종 유해가스 제거용 마스크, 에어콘용 필터, 생리대와 기저귀의 냄새 제거용 필터 등 여러 산업 분야와 일상생활에 응용이 용이함을 알게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종 악취가스에 대해 흡착력이 우수한 활성탄의 사용용도를 확대하기 위해 각종 필터의 재료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는 부직포의 제조시에 흡착력이 우수한 활성탄을 부직포 속에 삽입함으로써 자동차용 필터와 각종 유해가스 제거용 마스크, 에어콘용 필터, 생리대와 기저귀의 냄새 제거용 필터 등 여러 산업 분야와 일상생활에 응용할 수 있도록 한 활성탄을 포함하는 부직포 필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활성탄을 포함하는 부직포 필터는 활성탄이 균일하게 부착된 제1부직포를 중간층에 포함하고, 상, 하층에 통상의 부직포층이 구비된 구조를 갖는 것임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부직포 필터는 활성탄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물 속에 일정두께로 제작된 부직포를 함침시켜 활성탄이 표면에 균일하게 부착된 제1부직포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부직포를 웹(web)상태의 부직포 사이에 삽입시켜 통상의 부직포 제조공정을 거쳐 3중 구조를 갖는 부직포를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활성탄을 포함하여 3중 구조로 만든 부직포 필터의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부직포 층,(2)활성탄이 부착된 부직포 층
이와같은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의 구조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삼중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그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활성탄이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물속에 일정두께로 제조된 부직포를 함침시켜 활성탄(2)이 표면에 균일하게 분포된 부직포를 제조한다. 이를 편의상 제1부직포(4)라 한다. 제1부직포의 제조에 사용되는 부직포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니들펀칭, 써멀본드, 케미칼본드, 스테치본드, 스펀레이스, 멜트브론, 스펀본드 등의 공법을 활용하여 일정 두께로 제조된 어떤 부직포라도 가능하다.
이때, 활성탄이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물이라 함은, 물 중 활성탄 함량이 3∼7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균일한 분산을 위해서는 물속에 일정량의 활성탄을 넣어주고 이를 좌,우, 밑면에서 일정속도로 교반하여 주는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물중에 부직포를 침지하는 데, 침지 시간은 1∼10 분 정도이면 활성탄의 흡착이 충분히 이루어진다.
활성탄이 흡착된 부직포, 즉 제1부직포를 통상 웹(web)상의 부직포 사이에 삽입시킨 다음, 일련의 웹결합 과정을 거치면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일반의 부직포(1), 활성탄이 부착된 부직포(2), 그리고 일반의 부직포(1)의 3중 구조를 갖는 부직포 필터를 얻을 수 있다.
이때 활성탄이 부착된 부직포, 즉 제1부직포의 두께는 총 부직포의 두께 중 3∼50 %를 차지하는 것이 부작포의 용도와 탈취효과를 고려하는 점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웹상의 부직포 사이에 제1부직포를 삽입하는 과정은 일반적인 부직포 제조과정에서 웹의 성형이 이루어진 후 연계하여 진행되도록 하는 바, 웹의 결합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니들펀칭, 써멀본드, 케미칼본드, 스테치본드, 스펀레이스, 멜트브론, 스펀본드 등의 어떤 방법을 활용하여도 무방하다.
위와같은 방법으로 탈취용 부직포 필터를 제조할 경우 활성탄을 분산시키는 과정에 있어서 별도의 결합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웹상의 부직포 상에 이를 위치시켜 통상의 웹결합 과정을 진행하면 되므로 별도의 결합과정을 필요로 하지도 않는다. 또한, 활성탄이 지니고 있는 냄새 등에 대한 흡착성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여러 생활분야와 산업분야에서 응용하기 쉬운 부직포의 형태를 지니고 있어 각종 냄새 제거용 필터와 유해가스 제거용 필터로 활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활성탄이 분산된 부직포를 통상의 웹상의 부직포 사이에 삽입한 후 이를 통상의 웹결합과정을 거쳐 얻어진 부직포 필터는 각종악취와 유해가스에 대한 흡착성능이 우수한 활성탄을 부직포내에 삽입시켜 여러 산업분야와 일상생활에서 활용하기 쉽게 만들어졌으며, 이와 같이 제조된 부직포 필터는 여성의 생리대 제조시 필터로 부착시켜 생리시 발생하는 냄새를 제거할 수 있고, 유아용 기저귀나 노인용 기저귀에 부착시켜 냄새를 제거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자동차 내부의 쾌적한 환경을 위하여 자동차용 필터로 활용이 가능하며, 에어콘용 필터, 각종 산업용 마스크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Claims (3)

  1. 활성탄이 균일하게 부착된 제1부직포를 중간층에 포함하고, 상, 하층에 통상의 부직포층이 구비된 구조를 갖는 활성탄이 포함된 부직포 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제1부직포는 전체 부직포 필터 두께 중 3∼50 %를 차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탄이 포함된 부직포 필터.
  3. 활성탄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물 속에 일정두께로 제작된 부직포를 함침시켜 활성탄이 표면에 균일하게 부착된 제1부직포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부직포를 웹(web)상태의 부직포 사이에 삽입시켜 통상의 부직포 제조공정을 거쳐 활성탄이 균일하게 부착된 제1부직포를 중간층에 포함하고, 상, 하층에 통상의 부직포층이 구비된 3중 구조의 부직포 필터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010084623A 2001-12-26 2001-12-26 활성탄이 포함된 부직포 필터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544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4623A KR20030054460A (ko) 2001-12-26 2001-12-26 활성탄이 포함된 부직포 필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4623A KR20030054460A (ko) 2001-12-26 2001-12-26 활성탄이 포함된 부직포 필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4460A true KR20030054460A (ko) 2003-07-02

Family

ID=32213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4623A KR20030054460A (ko) 2001-12-26 2001-12-26 활성탄이 포함된 부직포 필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5446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670B1 (ko) * 2010-04-26 2010-09-16 주식회사 월자인 대 기공 촉매코팅 카본을 이용한 건축용 또는 인테리어용 마감패널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50003989U (ko) * 2014-04-22 2015-10-30 박한호 수처리 및 공기정화기용 원단 필터
KR20160071699A (ko) * 2014-12-12 2016-06-22 송화춘 카본 백필터
US10653571B2 (en) 2015-12-10 2020-05-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ticle comprising odor control composition
KR102603171B1 (ko) * 2022-09-02 2023-11-17 유니온필텍 주식회사 운행중인 자동차를 이용한 미세먼지 흡착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40614A (ja) * 1985-12-16 1987-06-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清浄用脱臭集塵フイルタ−
JPH02171234A (ja) * 1988-12-23 1990-07-02 Osaka Gas Co Ltd 積層体の製造方法
KR920002185A (ko) * 1990-07-20 1992-02-28 다케모토 다카토시 유기기군
KR20000066602A (ko) * 1999-04-19 2000-11-15 손재익 활성탄소입자 함침에 의한 자동차내 유입공기 정화용 필터 및 그제조방법
KR200219720Y1 (ko) * 2000-10-25 2001-04-02 주식회사그린포리스트 신발류 깔창
KR20010068161A (ko) * 2001-04-30 2001-07-13 정래익 공기정화용 필터와 그 제조방법
JP2001288288A (ja) * 2000-04-07 2001-10-16 Satoshi Ukita カーボンシート
KR20020069053A (ko) * 2001-02-23 2002-08-29 화이버 텍 (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섬유 층에 적층된 활성탄소섬유층을 포함하는 금속섬유 필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40614A (ja) * 1985-12-16 1987-06-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清浄用脱臭集塵フイルタ−
JPH02171234A (ja) * 1988-12-23 1990-07-02 Osaka Gas Co Ltd 積層体の製造方法
KR920002185A (ko) * 1990-07-20 1992-02-28 다케모토 다카토시 유기기군
KR20000066602A (ko) * 1999-04-19 2000-11-15 손재익 활성탄소입자 함침에 의한 자동차내 유입공기 정화용 필터 및 그제조방법
JP2001288288A (ja) * 2000-04-07 2001-10-16 Satoshi Ukita カーボンシート
KR200219720Y1 (ko) * 2000-10-25 2001-04-02 주식회사그린포리스트 신발류 깔창
KR20020069053A (ko) * 2001-02-23 2002-08-29 화이버 텍 (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섬유 층에 적층된 활성탄소섬유층을 포함하는 금속섬유 필터
KR20010068161A (ko) * 2001-04-30 2001-07-13 정래익 공기정화용 필터와 그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670B1 (ko) * 2010-04-26 2010-09-16 주식회사 월자인 대 기공 촉매코팅 카본을 이용한 건축용 또는 인테리어용 마감패널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50003989U (ko) * 2014-04-22 2015-10-30 박한호 수처리 및 공기정화기용 원단 필터
KR20160071699A (ko) * 2014-12-12 2016-06-22 송화춘 카본 백필터
US10653571B2 (en) 2015-12-10 2020-05-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ticle comprising odor control composition
KR102603171B1 (ko) * 2022-09-02 2023-11-17 유니온필텍 주식회사 운행중인 자동차를 이용한 미세먼지 흡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34252A (en) Stabilized rayon web and structures made therefrom
CN103173938B (zh) 包含纤维素纤维的水刺产品
US8127575B2 (en) Wicking fabric and garment made therefrom
AU2018268805B2 (en) Hydroentangled airlaid process and industrial wipe products
RU2534534C2 (ru) Ламинированный нетканый материал с высоким содержанием целлюлозы
CN1174724C (zh) 吸收性物品
CN110582601B (zh) 具有不同孔组的纤维素纤维非织造织物
JPH10504613A (ja) 不織布及び/又は編織布廃棄物から生じる再生繊維を一定割合で含む不織布材料
KR930010274A (ko) 수압으로 니들링된 초흡수성 복합 재료의 제조방법
JP2009509064A5 (ko)
CN106062449B (zh) 单向阀非织造材料
KR20030054460A (ko) 활성탄이 포함된 부직포 필터 및 그 제조방법
JP2005139594A (ja) 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30054462A (ko) 활성탄이 포함된 부직포 필터의 제조방법
JP5067808B2 (ja) 有孔不織布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Gupta et al. Nonwovens in absorbent materials
GB2319265A (en) A high durability non-woven fabric
CN214105379U (zh) 一种抑菌去味功能型竹纤维水刺布
JPH1099421A (ja) 面状消臭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826372B (zh) 非織纖維素纖維織物,製造彼之方法和裝置,彼之使用方法,及包含彼之產品
KR101239228B1 (ko) 목탄 분말을 포함하는 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
Yaida Current status and future outlook for nonwovens in Japan
JP4081401B2 (ja) 三次元交絡構造体
CA2431336A1 (en) Non-woven fabrics useful for hard surface cleaning and body cleansing applications
Gao Effects of water treatment on processing and properties of cotton/cellulose acetate nonwov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