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2873A - 교량용 강바닥판 및 이를 이용한 교량바닥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교량용 강바닥판 및 이를 이용한 교량바닥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2873A
KR20030052873A KR1020010082991A KR20010082991A KR20030052873A KR 20030052873 A KR20030052873 A KR 20030052873A KR 1020010082991 A KR1020010082991 A KR 1020010082991A KR 20010082991 A KR20010082991 A KR 20010082991A KR 20030052873 A KR20030052873 A KR 20030052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ridge
steel
bottom plate
female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2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관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10082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52873A/ko
Publication of KR20030052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2873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용 강바닥판에 있어서, 시공이 용이하게 설계된 교량용 강바닥판 및 이를 이용한 교량바닥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교량의 주형(4) 상면에 설치되며, 평탄한 상판(2)과, 상판(2)의 저면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리브(3)를 포함하는 강바닥판에 있어서, 상판(2)의 가장자리 일부에 상판(2)의 하부방향으로 절곡된 수이음부(30)와, 수이음부(30)와 대칭되는 상판(2)의 가장자리에 수이음부(30)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암이음부(20)를 포함하는 교량용 강바닥판을 제공하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강바닥판(1)을 이용한 교량바닥 시공방법에 있어서, 주형(4)의 상면에 강바닥판(1)을 안착시키고 강바닥판(1)의 암이음부(20)의 내부에 다른 한 강바닥판(1)의 수이음부(30)를 삽입하여 위치하는 단계와, 암이음부(20)의 내부에 모르타르(40)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교량바닥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교량용 강바닥판 및 이를 이용한 교량바닥 시공방법{Orthotropic steel deck for bridge and bridge field construction method using orthotropic steel deck}
본 발명은 교량용 강바닥판에 관한 것이며, 특히, 시공이 간편하여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교량용 강바닥판 및 이를 이용한 교량바닥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교량은 크게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지점에 설치되어 교각과, 이런 교각의 상면에 연결되는 주형 및, 주형에 안착되는 강바닥판으로 구분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교량용 강바닥판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바닥판(1)은 강재인 상판(2)과, 상판(2)의 저면에 부착되어 상판(2)을 지지하는 리브(3)를 포함한다. 이런 강바닥판(1)은 주형(4)에 안착되며, 상판(2)을 인접한 다른 강바닥판(1')의 상판(2)과 용접 고정하여 강바닥판(1)의 상판(2)을 연결 고정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교량용 강바닥판의 설치관계에서, 강바닥판(1)의 크기와 강바닥판(1)의 위치를 고려하여 정밀 측정한 후에 강바닥판(1)의 위치를 설정하고 용접하여야 하며, 용접 자체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시공기간이 장기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교량은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며 고도가 높기 때문에 이런 장소에서 용접을 하기 위해서는 바람막이 등의 부대설비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으로서, 교량용 강바닥판에 가해지는 하중은 강바닥판의 상면에서 하부로 작용한다는 것을 고려하여 연결이 용이한 교량용 강바닥판 및 이를 이용한 교량바닥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교량용 강바닥판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강바닥판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교량용 강바닥판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0, 10' : 강바닥판 2, 12 : 상판
3 : 리브 4 : 주형
20 : 암이음부 30 : 수이음부
40 : 무수축 모르타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교량의 주형 상면에 설치되며, 평탄한 상판과, 상기 상판의 저면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리브를 포함하는 강바닥판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가장자리 일부에 상기 상판의 하부방향으로 절곡된 수이음부와, 상기 수이음부와 대칭되는 상기 상판의 가장자리에 상기 수이음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암이음부를 포함하는 교량용 강바닥판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수이음부는 그 횡단면이 역'T'형상으로서, 상기 상판의 가장자리에 연결된 수직판과, 상기 수직부의 하단에 상기 상판과 평행하게 연결되는 수평판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암이음부는 그 횡단면이 ㄷ형상의 형강으로서, 평행한 두 면 중에서 어느 한 면이 상기 상판의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상기 암이음부의 개방부가 상부를 향하며 폐쇄부는 하부를 향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암이음부의 폐쇄부의 폭은 상기 수이음부의 수평판의 폭보다 넓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강바닥판을 이용한 교량바닥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형의 상면에 상기 강바닥판을 안착시키고 상기 강바닥판의 암이음부의 내부에 다른 한 강바닥판의 수이음부를 삽입하여 위치하는 단계와, 상기 암이음부의 내부에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교량바닥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강바닥판 및 이를 이용한 교량바닥 시공방법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면에서,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강바닥판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교량용 강바닥판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바닥판(10)은 직사각형의 상판(12)과, 상판(12)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판(12)을 지지하는 리브(3)와, 직사각형의 상판(12)에서 직교하는 두 변에 하부방향으로 연장된 수이음부(30) 및, 직사각형의 상판(12)에서 직교하는 다른 두 변에 하부방향으로 연장된 암이음부(20)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판(12)의 저면에 설치되는 리브(3)는 수이음부(30)와 암이음부(20)에 의해 형성된 직사각형의 내부공간에 위치한다.
한편, 수이음부(30)는 역'T'형상으로서, 상판(12)의 두 변에 수직 하부방향으로 연결되는 수직판(31)과, 수직판(31)의 하단에 상판(12)과 평행하게 연결되는 수평판(32)을 포함한다.
그리고, 암이음부(20)는 횡단면이 'ㄷ'형상의 형강으로서, 그 개방부(21)가 상부방향을 향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평행한 두 면 중에서 어느 한 면이 상판(12)의 가장자리에 고정된다. 여기에서 'ㄷ'형상에서의 폐쇄부(22)의 폭은 수이음부(30)의 수평판(32)의 폭보다 더 넓은 폭을 갖고 있으며, 따라서, 수이음부(30)가 암이음부(20)의 내부에 삽입되었을 때에 수이음부(30)는 암이음부(20)의 내부에서 폐쇄부(22)의 폭과 수평판(32)의 폭의 차이만큼 이동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교량용 강바닥판 및 이를 이용한 교량바닥 시공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교량의 주형(4) 상면에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강바닥판(10)을 설치한다. 이때, 한 강바닥판(10)의 암이음부(20)에 다른 강바닥판(10')의 수이음부(30)가 대응하도록 위치하고, 암이음부(20)의 내부에 수이음부(30)를 삽입시킨다. 이와 같이, 강바닥판(10)의 암이음부(20)에 다른 강바닥판(10')의 수이음부(30)가 삽입된 상태로 강바닥판(10, 10')을 주형(4)에 고정하고, 암이음부(20)에 무수축 모르타르(40)를 타설하여 양생한다.
이와 같이, 암이음부(20)에 무수축 모르타르(40)가 타설되어 양생되면 모르타르(40)의 내부에 수이음부(30)가 수용되어 강바닥판(10, 10')들은 교량의 종 및 횡방향으로 연결된다.
한편, 시공자는 무수축 모르타르(40)를 타설하기 이전에 강바닥판(10)의 크기와 강바닥판(10)의 위치를 고려하여 강바닥판(10)을 정렬한다. 이때, 수이음부(30)의 수평판 폭이 암이음부(20)의 폐쇄부 폭 보다 작기 때문에, 폭의 차만큼 이동하기 때문에 강바닥판(10, 10')들을 정렬하기에 용이하다.
한편, 무수축 모르타르(40)가 양생된 강바닥판(10)에 가해지는 하중은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가해지기 때문에, 암이음부(20)의 내부에서 양생된 모르타르(40)는 암이음부(20)의 외부로 이탈하지 않게 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교량용 강바닥판 및 이를 이용한 교량바닥 시공방법은 강바닥판의 상판을 인접한 강바닥판의 상판과 용접하지 않고 무수축 모르타르로 타설하여 연결함으로써, 시공기간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교량용 강바닥판 및 이를 이용한 교량바닥 시공방법은 강바닥판의 크기와 위치를 정밀 측정하지 않고, 강바닥판을 위치한 상태에서 정렬하기 때문에 정밀 측정에 따른 시간을 감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교량용 강바닥판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5)

  1. 교량의 주형 상면에 설치되며, 평탄한 상판과, 상기 상판의 저면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리브를 포함하는 강바닥판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가장자리 일부에 상기 상판의 하부방향으로 절곡된 수이음부와,
    상기 수이음부와 대칭되는 상기 상판의 가장자리에 상기 수이음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암이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강바닥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이음부는 그 횡단면이 역'T'형상으로서, 상기 상판의 가장자리에 연결된 수직판과, 상기 수직부의 하단에 상기 상판과 평행하게 연결되는 수평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강바닥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이음부는 그 횡단면이 ㄷ형상의 형강으로서, 평행한 두 면 중에서 어느 한 면이 상기 상판의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상기 암이음부의 개방부가 상부를 향하며 폐쇄부는 하부를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강바닥판.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이음부의 폐쇄부의 폭은 상기 수이음부의 수평판의 폭보다 넓은 것을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강바닥판.
  5. 청구항 1의 강바닥판을 이용한 교량바닥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형의 상면에 상기 강바닥판을 안착시키고 상기 강바닥판의 암이음부의 내부에 다른 한 강바닥판의 수이음부를 삽입하여 위치하는 단계와,
    상기 암이음부의 내부에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바닥 시공방법.
KR1020010082991A 2001-12-21 2001-12-21 교량용 강바닥판 및 이를 이용한 교량바닥 시공방법 KR200300528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2991A KR20030052873A (ko) 2001-12-21 2001-12-21 교량용 강바닥판 및 이를 이용한 교량바닥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2991A KR20030052873A (ko) 2001-12-21 2001-12-21 교량용 강바닥판 및 이를 이용한 교량바닥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2873A true KR20030052873A (ko) 2003-06-27

Family

ID=29577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2991A KR20030052873A (ko) 2001-12-21 2001-12-21 교량용 강바닥판 및 이를 이용한 교량바닥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5287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373B1 (ko) * 2007-12-20 2008-04-28 코벡주식회사 교량용 상부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107938510A (zh) * 2017-04-28 2018-04-20 重庆大学 一种正交异性钢桥面板结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5010Y1 (ko) * 1987-02-13 1990-06-05 이유원 추진력 증대를 위한 신축식 자전거 크랭크
JPH083938A (ja) * 1994-06-17 1996-01-09 Ishikawajima Constr Materials Co Ltd 橋梁における路盤の張替え方法
JPH11107217A (ja) * 1997-10-03 1999-04-20 Nippon Light Metal Co Ltd 構築物用床版
JPH11124820A (ja) * 1997-10-20 1999-05-11 Nippon Light Metal Co Ltd 構築物用床版
KR100200433B1 (ko) * 1994-05-09 1999-06-15 백호익; 박태권 교량의 교체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5010Y1 (ko) * 1987-02-13 1990-06-05 이유원 추진력 증대를 위한 신축식 자전거 크랭크
KR100200433B1 (ko) * 1994-05-09 1999-06-15 백호익; 박태권 교량의 교체시공방법
JPH083938A (ja) * 1994-06-17 1996-01-09 Ishikawajima Constr Materials Co Ltd 橋梁における路盤の張替え方法
JPH11107217A (ja) * 1997-10-03 1999-04-20 Nippon Light Metal Co Ltd 構築物用床版
JPH11124820A (ja) * 1997-10-20 1999-05-11 Nippon Light Metal Co Ltd 構築物用床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373B1 (ko) * 2007-12-20 2008-04-28 코벡주식회사 교량용 상부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107938510A (zh) * 2017-04-28 2018-04-20 重庆大学 一种正交异性钢桥面板结构
CN107938510B (zh) * 2017-04-28 2024-04-30 重庆大学 一种正交异性钢桥面板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048054A (ja) 載置工法及び接合構造
KR20110042963A (ko) 콘크리트 무타설 교량 연결 방법
KR20030052873A (ko) 교량용 강바닥판 및 이를 이용한 교량바닥 시공방법
KR101447722B1 (ko) 저형고 합성형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KR101658929B1 (ko) 공장제작된 조립식 프리캐스트 박스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박스 구조물 시공방법.
KR101053705B1 (ko) 메탈패널 연결구조
CN114991001A (zh) 一种易检修拼装式桥梁伸缩缝结构及其施工方法
KR100538832B1 (ko) 레일링 시스템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거더의설치구조
CN212170790U (zh) 预制桥面板组合式模板
KR100225536B1 (ko) 교량상판의 신축이음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210009571A (ko) 레일형 신축 이음 장치 및 이의 보수방법
KR100402056B1 (ko) 교량용 빔의 설치구조
JP2019138004A (ja) プレキャストセグメントの製造方法
JP4418247B2 (ja) 床版の設置方法
KR102578180B1 (ko)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창틀용 개구부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체
KR101946960B1 (ko) 교량용 합성거더
KR20180006195A (ko) 유간 보정이 가능한 레일조인트
CN111702947B (zh) 预制桥梁钢筋抬升式定位装置和定位方法
CN110409630B (zh) 一种装配式预制板端头现场连接方法
KR200245129Y1 (ko) 비합성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갖는 소수주형 판형교
KR100881203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JPS6217521Y2 (ko)
JPH0248494Y2 (ko)
JPS5817773Y2 (ja) 道路橋の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ト桁
KR100260716B1 (ko) 신축형 철도 교량 이음구 및 그를 이용한 철도 교량이음부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