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2631A - 핀이 없는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핀이 없는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2631A
KR20030052631A KR1020010082650A KR20010082650A KR20030052631A KR 20030052631 A KR20030052631 A KR 20030052631A KR 1020010082650 A KR1020010082650 A KR 1020010082650A KR 20010082650 A KR20010082650 A KR 20010082650A KR 20030052631 A KR20030052631 A KR 20030052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
plate
heat exchanger
beads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2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3482B1 (ko
Inventor
김인갑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2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3482B1/ko
Publication of KR20030052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2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3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34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s
    • F28D1/0308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s the conduits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28D1/032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s the conduits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lateral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th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 F28D1/033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s the conduits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lateral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th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the plates having integrated connect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 F28F3/04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 F28F3/04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in the form of local deformations of the element
    • F28F3/044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in the form of local deformations of the element the deformations being pontual, e.g. dimp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핀이 없는 열교환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열교환매체가 유동하는 한 쌍의 플레이트가 다수개 적층된 튜브와, 이 튜브에 결합되어 열교환매체를 유입 및 토출시키는 유입구 및 토출구와, 플레이트의 상하부에 연통가능하게 설치되는 탱크부를 가지며, 플레이트에는 성형면으로부터 대향되게 설치되어서 결합되는 플레이트측으로 돌출한 내부 비드와, 내부 비드와 반대 방향인 외부로 돌출하는 외부 비드가 교번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방열휜이 없어도 열교환매체의 유동이 원활하게 되어 열교환 효율이 향상된다.

Description

핀이 없는 열교환기{Finless-typed heat exchanger}
본 발명은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레이트의 내외부로 비드를 형성시켜서 복수의 열교환매체의 통로를 형성한 핀이 없는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교환기중에서 증발기 유니트는 히이터 유니트 및 송풍기 유니트와 함께 일렬로 장착된다. 증발기는 팽창과정을 통하여 유입되는 습포화 증기상태의 저온저압의 제1 열교환매체를 차실내, 실외의 제2 열교환매체와 열교환시켜 기체로 변환시킨다. 열을 빼앗긴 제2 교환매체는 저온저습 상태로 변화되고, 송풍기 유니트에 의하여 차량의 실내로 토출되어 실내환경을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가 있다.
이러한 증발기는 평면의 알루미늄판에 구멍를 뚫고, 그 사이로 원형 단면의 튜브를 압입한 형태인 휜-튜브형(fin-tube type)과, 튜브를 “S”자형으로 구부리고 그 사이에 방열 휜을 끼워넣은 형태인 서펜틴형(serpentine)과, 강판 모양의 알루미늄판 두 개를 한 쌍으로 하여 일렬로 적층하고, 그 사이에 휜을 삽입한 형태인 적층형(laminate type)으로 분류할 수가 있다.
도 1은 일본 특개평 2000-205785호에 개시된 적층형 열교환기의 플레이트를 도시한 것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의 Ⅰ-Ⅰ, Ⅱ-Ⅱ, Ⅲ-Ⅲ 선을 따라 절개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열교환기는 다수개로 적층되어 연통결합되는 튜브(10)와, 상기 튜브(10)의 상하부에 형성되는 탱크부(11)를 포함한다.
상기 튜브(10)는 제1 플레이트(12a)와 제2 플레이트(12b)로 된 한 쌍의 플레이트(12)가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플레이트(12)에는 중앙에 제1 열교환매체가 좌우로 각각 유동가능하게 리브(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나의 플레이트(12a)(12b)의 내측면에는 플레이트(13) 내부에서 제1 열교환매체의 유동통로를 제공하는 내부 비드(15)가, 외측면에는 플레이트와 이와 인접하는 플레이트 사이에서 제2 열교환매체의 유동통로를 제공하는 외부 비드(1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부 비드(15)는 플레이트(12)의 일면을 따라 그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인 통로를 형성하고 있으며, 일정 간격을 두고 플레이트(12)의 폭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구조이다. 상기 외부 비드(16)는 인접하는 플레이트의 외면끼리 접촉된 상태에서 브레이징 용접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튜브(10)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제1 열교환매체의 통로를 제공하는 내부 비드(15)는 플레이트(1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열교환매체는 이러한 경로를 통해서만 유동이 가능하게 되어서 열전달 성능의 저하가 예상된다.
둘째, 제2 열교환매체의 통로를 제공하는 외부 비드(16) 또한 플레이트(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통되어 있으며, 제2 열교환매체의 유동방향(화살표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호 열전달이 이루어지게 되어서 열전달 성능의 저하가 예상된다.
셋째, 외부 비드(16)는 인접하는 플레이트의 외면끼리 상호 용접되어 있어서 이 부분으로는 제2 열교환매체의 유동이 차단되어 열전달이 불리하며, 열교환시 유동저항이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나의 플레이트를 내외부로 성형하여 복수개의 열교환매체가 유동가능한 통로를 형성하여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킨 핀이 없는 열교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를 도시한 평면도,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의 Ⅰ-Ⅰ, Ⅱ-Ⅱ, Ⅲ-Ⅲ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의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매체의 유동통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3의 한 쌍의 플레이트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도 6의 Ⅳ-Ⅳ 선을 따라 절개한 부분단면도,
도 8은 도 6의 Ⅴ-Ⅴ 선을 따라 절개한 부분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를 도시한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31...튜브11,32...탱크부
12a,36a...제1 플레이트12b,36b...제2 플레이트
13,51,64...리브30...열교환기
33...엔드 플레이트34...유입구
35...유출구36...플레이트
37...비드38...배플
52,65...격막61,91...성형면
62,93...외부 비드63,92...내부 비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핀이 없는 열교환기는,
제1 열교환매체가 내부를 통하여 유동가능하도록 상호 결합되어 외부로 유동되는 제2 열교환매체와 열교환가능한 한 쌍의 플레이트가 다수개 적층된 튜브와, 상기 튜브에 열교환매체를 유입 및 토출시키도록 결합되는 유입구 및 토출구와,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의 상하부에 연통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탱크부를 구비하는 핀이 없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는 상호 대향되도록 설치된 복수개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레이트에는 성형면으로부터 대향되게 설치된 상대 플레이트측으로돌출한 내부 비드와, 상기 내부 비드와 반대 방향인 외부로 돌출한 외부 비드가 교번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드는 상기 성형면에 연속적이지 않고, 독립적으로 다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상기 내부 비드는 제1 열교환매체의 난류화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상호 대향되는 플레이트끼리 상호 결합시 각 비드들은 교번 배열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는 인접하는 다른 한 쌍의 플레이트간의 사이로 제2 열교환매체의 유동이 원활하도록 외부 비드가 교차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플레이트의 외측 방향의 임의의 위치에는 한 쌍의 플레이트간의 간격을 유지하고 내구성 유지를 위하여 적정 간격으로 격막이 상호 결합용접되도록 돌출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 탱크부측에 위치한 내부 및 외부 비드는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 탱크부측에 위치한 내부 및 외부 비드와 상호 비대칭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열교환기(30)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열교환기(30)는 다수개로 적층되어 연통결합되는 튜브(31)와, 상기 튜브(31)의 상하부에 형성되는 탱크부(32)와, 상기 튜브(31)의 최외곽에 설치되는 엔드 플레이트(33)와, 상기 엔드 플레이트(33)에 형성되어 열교환매체가 유입 및 토출되는 유입구(34) 및 유출구(35)를 포함한다.
상기 튜브(31)는 제1 플레이트(36a)와 제2 플레이트(36b)가 결합되어 한 쌍의 플레이트(36)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플레이트(36)에는 전면에 걸쳐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비드(37)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튜브(31)에는 열교환매체의 흐름을 전환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플(38)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열교환기(30)의 작동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유입구(34)로부터 유입된 제1 열교환매체는 적층된 플레이트(36) 내부로 유동하고, 내측으로 돌출된 비드(37a)에 의하여 난류화가 촉진되어서 열전달이 이루어지며, 외측으로 돌출된 비드(37b)에 의하여 제2 열교환매체의 난류 유동(A 화살표)과 함께 제1 열교환매체와의 열교환을 통하여 제2 열교환매체가 냉각된다. 이러한 과정들은 다수로 적층된 플레이트(36)를 통하여 열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배플(38)에 의하여 유동 흐름이 전환가능하다.
도 5는 도 3의 플레이트(36)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플레이트(36)는 제1 플레이트(36a)와 이와 대향하여 결합되는 제2 플레이트(36b)를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36)의 상하부에는 열교환매체가 유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복수개의 탱크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탱크부(32)는 경우에 따라서는 상하부에 한 개씩만 형성시킬 수도 있으며, 또한, 플레이트(36)의 한 부분에만 형성시키는 등 그 적용예가 다양하다고 할 것이다.
상기 플레이트(36)의 내측면으로는 한 쌍의 플레이트(36a)(36b)가 결합시 그 내부를 유동하는 열교환매체의 유동경로를 구획하는 리브(5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리브(51)는 플레이트(36)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36)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36a)와 제2 플레이트(36b)의 내측으로는 내부 비드(37a)가 다수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내부 비드(37a)는 플레이트(36)의 성형면(36c)으로부터 대향되게 위치한 플레이트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이때, 상기 내부 비드(37a)는 연속적이지 않고, 독립적으로 성형면(36c)으로부터 안쪽으로 향하도록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플레이트(36a)와 제2 플레이트(36b)의 외측으로는 외부 비드(37b)가 다수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외부 비드(37b)는 상기 성형면(36c)으로부터 인접한 다른 한 쌍의 플레이트를 향하여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즉, 상기 외부 비드(37b)는 상기 내부 비드(37a)가 형성된 성형면(36c)으로부터 내부 비드(37a)가 돌출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성형되어 있다. 또한, 내부 비드(37a)와 마찬가지로 독립적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이처럼, 상기 내부 및 외부 비드(37a)(37b)는 하나의 플레이트의 성형면(36c)으로부터 상호 반대되는 방향으로 향하여 돌출되어 있으며, 각각이 연속적이지 않고 독립적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내부 및 외부 비드(37a)(37b)는 열교환매체의 유동 및 열교환성이 보다 효율적일 수 있도록 원형뿐만 아니라, 타원형이나 슬롯의 형상을 가질수도 있다. 특히, 타원형이나 슬롯형상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열교환매체의 유동방향과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성형면(36c)에 배치되는 것이 유동저항을 줄일 수 있어서 열교환에 보다 유리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도 6에서 부가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60)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도 6의 플레이트(60)가 다수장 적층된 것을 Ⅳ-Ⅳ로 절개하여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상기 플레이트(60)의 Ⅴ-Ⅴ 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플레이트(60)는 성형면(61)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 외부 비드(62)와, 상기 외부 비드(62)와 반대되는 방향인 내측으로 돌출한 내부 비드(63)가 교번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때, 내부 비드(63)는 사선으로 표시한 부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비드(62)(63)는 하나의 성형면(61)으로부터 내외부로 독립하여 단속적으로 형성되어서 열교환매체의 난류화를 촉진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비드들(62)(63)은 열교환매체가 유동하는 방향(화살표)에 대하여 소정각도 경사진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열교환매체가 유입되는 측의 비드(좌측비드)는 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져 있고, 반대로, 열교환매체가 유출되는 측의 비드(우측비드)는 반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져서 유동저항을 가능한 줄여서 열교환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60)의 중앙부에는 열교환매체의 유동을 좌우로 구획하는 리브(6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리브(64)에는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한쌍의 플레이트와 이와 인접한 다른 한 쌍의 플레이트간의 거리를 적정하게 유지하고,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격막(65)이 다수개 돌출되어 있다. 상기 격막(65)은 상기 리브(64)에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60)는 제1 플레이트(71)와, 제2 플레이트(72)가 상호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71)(72)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성형면(61)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한 외부 비드(62)와, 이와 반대로 내부로 돌출한 내부 비드(63)가 단속적으로 성형면(61)의 전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71)(72)는 결합시 양 측으로 설치되는 인접한 플레이트(73)(74)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플레이트 내부를 유동하는 제1 열교환매체와 열교환하는 제2 열교환매체(화살표)가 유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즉, 상기 제1 플레이트(71)의 외부 비드(62)와 대향되는 플레이트(73)에는 내부 비드(75)가 위치하고, 반면에 내부 비드(63)와 대향되는 부분에는 외부 비드(76)가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2 플레이트(72)의 외부 비드(62)와 대향되는 플레이트(74)에는 내부 비드(77)가 위치하고, 내부 비드(63)와 대향되는 부분에는 외부 비드(78)가 위치하여 인접하는 플레이트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처럼, 한 쌍의 플레이트는 인접한 다른 한 쌍의 플레이트와 교차하도록 형성된 비드에 의하여 상호 간격을 유지하여 열교환매체가 원활하게 유동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의 외측 임의의 위치에는 외측 방향으로 리브를 따라서 적정 간격으로 격막을 설치하여 한 쌍의 플레이트간의 거리를 유지함과 동시에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90)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플레이트(90)는 성형면(91)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한 내부 비드(92)와, 상기 내부 비드(92)와 반대되는 방향인 외측으로 돌출한 외부 비드(93)가 교번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내부 비드(92)는 사선으로 표시한 부분이다. 여기서, 상기 내부 및 외부 비드(92)(93)는 일정한 설계규칙에 의하여 성형면(91)으로부터 내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플레이트(90)에는 열교환매체가 유입시 열교환되는 제1 열교환부(910)와, 열교환매체가 토출시 열교환되는 제2 열교환부(9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열교환부(910)(920)는 플레이트(90)의 중앙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리브(94)에 의하여 열교환되는 영역이 구획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90)의 상부에는 복수개의 상부 탱크부(930)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복수개의 하부 탱크부(940)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상부 탱크부(930)측에 위치한 내부 및 외부 비드(92)(93)는 상기 하부 탱크부(940)측에 위치한 내부 및 외부 비드(92)(93)와 비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상부 탱크부(930)측의 제1 열, 제2 열순으로 배치된 내부 및 외부 비드(92)(93)는 하부 탱크부(940)측의 제1 열, 제2 열순으로 배치된 내부 및 외부 비드(92)(93)와 비교할 때 상호 대칭적이지 않게 성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열교환부(910)에 위치한 내부 및 외부 비드(92)(93)는 동일한 열교환부내에서 대각선 방향으로는 상호 대칭적이다. 즉, 상기 제1 열교환부(910)에 위치한 내부 및 외부 비드(92)(93)중 상부 탱크부(930)측의 제1 열의 일측 끝단에 제1 내부 비드(92a)가 위치하고 있다면, 상기 하부 탱크부(940)측의 제1 열의 반대측 끝단에 이와 동일한 방향으로 제2 내부 비드(92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탱크부(940)측의 제1 열의 일측 끝단에 제1 외부 비드(93a)가 위치하고 있다면, 상기 상부 탱크부(930)측의 제1 열의 반대측 끝단에 제2 외부 비드(93b)가 형성되어 있다. 이처럼, 동일한 열교환부(910) 내에서 비드 배열은 대각선 방향으로는 항상 대칭적으로 성형되어 있다. 이는 제2 열교환부(920)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열교환부(910)(920)에 배치된 내부 및 외부 비드(92)(93)는 대각선 방향으로 상호 대칭적이다. 즉, 상기 제1 열교환부(910)에 위치한 내부 및 외부 비드(92)(93)중 상부 탱크부(930)측의 제1 열의 일측 끝단에 제1 내부 비드(92a)가 위치하고 있다면, 상기 제2 열교환부(920)에 위치한 내부 및 외부 비드(92)(93)중 하부 탱크부(940)측의 제1 열의 반대측 끝단에 이와 동일한 방향으로 제3 내부 비드(93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열교환부(910)에 위치한 내부 및 외부 비드(92)(93)중 하부 탱크부(940)측의 제1 열의 일측 끝단에 제1 외부 비드(93a)가 위치하고 있다면, 상기 제2 열교환부(920)에 위치한 내부 및 외부 비드(92)(93)중 상부 탱크부(930)측의 제1 열의 반대측 끝단에 제3 외부 비드(93c)가 형성되어 있다. 이처럼, 제1 및 제2 열교환부(910)(920) 내에서 비드 배열은 대각선 방향으로는 항상 대칭적으로성형되어 있다.
이렇게, 제1 및 제2 열교환부(910)(920)에 위치한 내부 및 외부 비드(92)(93)들이 연속적이지 않고 독립적으로 형성되고, 성형면(91)에 일정한 설계규칙을 가지고 형성됨에 따라서, 열교환매체는 상기 비드들(92)(93)의 외주면을 통하여 통과하면서 열교환매체의 난류화를 유도하여 열교환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핀이 없는 열교환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하나의 플레이트로부터 내부 및 외부 비드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는 방열휜을 없앨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조 공정이 간단해지며, 조립성이 향상되고, 원가가 절감된다.
둘째, 인접하는 한 쌍의 플레이트가 적정 간격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이 사이를 유동하는 열교환매체의 유동저항을 현저하게 줄일 수가 있게되어 플레이트 내부를 유동하는 열교환매체와의 열교환 효율이 향상된다.
셋째, 플레이트사이의 난류화를 촉진시키는 비드가 연속적이지 않고, 단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정한 설계 규칙에 따라 성형되어 있어서 열전달 성능이 향상된다.
넷째, 인접하는 플레이트사이에 격막이 설치되어 그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변형또한 방지하게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제1 열교환매체가 내부를 통하여 유동가능하도록 상호 결합되어 외부로 유동되는 제2 열교환매체와 열교환가능한 한 쌍의 플레이트가 다수개 적층된 튜브와, 상기 튜브에 열교환매체를 유입 및 토출시키도록 결합되는 유입구 및 토출구와,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의 상하부에 연통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탱크부를 구비하는 핀이 없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는 상호 대향되도록 설치된 복수개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레이트에는 성형면으로부터 대향되게 설치된 상대 플레이트측으로 돌출한 내부 비드와, 상기 내부 비드와 반대 방향인 외부로 돌출한 외부 비드가 교번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이 없는 열교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는 상기 성형면에 연속적이지 않고, 독립적으로 다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이 없는 열교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비드는 제1 열교환매체의 난류화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상호 대향되는 플레이트끼리 상호 결합시 각 비드들은 교번 배열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이 없는 열교환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는 인접하는 다른 한 쌍의 플레이트간의 사이로 제2 열교환매체의 유동이 원활하도록 외부 비드가 교차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이 없는 열교환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외측 방향의 임의의 위치에는 한 쌍의 플레이트간의 간격을 유지하고 내구성 유지를 위하여 적정 간격으로 격막이 상호 결합용접되도록 돌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이 없는 열교환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는 열교환매체의 유동이 원활하도록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이 없는 열교환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는 원형, 타원형, 슬롯형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이 없는 열교환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 탱크부측에 위치한 내부 및 외부 비드는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 탱크부측에 위치한 내부 및 외부 비드와 상호 비대칭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이 없는 열교환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중앙에는 양 측으로 유입 및 토출되는 열교환매체의 유동경로를 제1 열교환부와 제2 열교환부로 구획하는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열교환부의 내부 및 외부 비드는 상기 제2 열교환부의 내부 및 외부 비드와 대각선 방향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이 없는 열교환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열교환부는 각 열교환부내에서 내부 및 외부 비드가 대각선 방향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이 없는 열교환기.
KR1020010082650A 2001-12-21 2001-12-21 핀이 없는 열교환기 KR100833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2650A KR100833482B1 (ko) 2001-12-21 2001-12-21 핀이 없는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2650A KR100833482B1 (ko) 2001-12-21 2001-12-21 핀이 없는 열교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2631A true KR20030052631A (ko) 2003-06-27
KR100833482B1 KR100833482B1 (ko) 2008-05-29

Family

ID=29577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2650A KR100833482B1 (ko) 2001-12-21 2001-12-21 핀이 없는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34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931B1 (ko) * 2012-11-08 2014-08-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판형 열교환기
JP2016151392A (ja) * 2015-02-18 2016-08-22 有限会社和氣製作所 熱交換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6917B1 (ko) 2009-04-20 2011-11-29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열교환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2201A (en) * 1974-05-24 1977-01-11 Borg-Warner Corporation Multiple fluid stacked plate heat exchanger
KR960000790Y1 (ko) * 1993-07-20 1996-01-31 제일가전 주식회사 훈제기의 뚜껑연결장치
JPH07167581A (ja) * 1993-10-22 1995-07-04 Zexel Corp 積層型熱交換器のチューブエレメント
JPH08291989A (ja) * 1995-04-21 1996-11-05 Nippondenso Co Ltd 積層型熱交換器
CA2150437C (en) * 1995-05-29 1999-06-08 Alex S. Cheong Plate heat exchanger with improved undulating passageway
JP3923118B2 (ja) * 1997-01-27 2007-05-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熱交換器
JP4122578B2 (ja) * 1997-07-17 2008-07-23 株式会社デンソー 熱交換器
JP3146246B1 (ja) * 1999-10-19 2001-03-12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プレート式熱交換器及びその溶接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931B1 (ko) * 2012-11-08 2014-08-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판형 열교환기
JP2016151392A (ja) * 2015-02-18 2016-08-22 有限会社和氣製作所 熱交換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3482B1 (ko) 2008-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72430B2 (en) Plate laminate type heat exchanger
JP3814917B2 (ja) 積層型蒸発器
US8794303B2 (en) Plate laminate type heat exchanger
KR940004308A (ko) 적층형 열교환기 및 그 제조방법
JPH11294984A (ja) 並設一体型熱交換器
US6892803B2 (en) High pressure heat exchanger
JP5722528B2 (ja) 熱交換器用プレート
US11060761B2 (en) Plate heat exchanger and water heater including same
JP2009103404A (ja) 熱交換器
KR100833482B1 (ko) 핀이 없는 열교환기
KR20060009653A (ko) 열교환기
JP2005351520A (ja) 熱交換器
JPH08240395A (ja) 熱交換器
JP2941768B1 (ja) 積層型熱交換器
JP3095540B2 (ja) 積層型熱交換器
JPH0432697A (ja) 積層型熱交換器
JPH09273830A (ja) 蒸発器
JPH06123581A (ja) 積層型熱交換器
KR101104278B1 (ko) 열교환기용 플레이트
KR200366753Y1 (ko) 열교환기
JP2005090861A (ja) 熱交換器の組立構造
JP3073331B2 (ja) 積層型熱交換器
JPH0674679A (ja) 積層型熱交換器
JP2003161592A (ja) 積層型熱交換器およびその熱交換器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2572083Y2 (ja) 蒸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