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2291A - 멀티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멀티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2291A
KR20030052291A KR1020010081523A KR20010081523A KR20030052291A KR 20030052291 A KR20030052291 A KR 20030052291A KR 1020010081523 A KR1020010081523 A KR 1020010081523A KR 20010081523 A KR20010081523 A KR 20010081523A KR 20030052291 A KR20030052291 A KR 20030052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indoor
operation mode
conditioning spac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1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20010081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52291A/ko
Publication of KR20030052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2291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멀티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각각 다른 운전을 수행할 경우 동일한 운전을 수행하도록 운전기능을 제어하는 멀티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설정된 온도된 온도범위에 따라, 냉난방 운전 뿐만아니라, 제습기능, 송풍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이때, 현재 측정된 공조공간의 실내기와 다른 공조공간에 구비되어진 실내기의 운전모드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 다른 공조공간에 구비된 실내기의 운전모드와 동일하도록 운전모드를 변경하여 이질운전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제품이 안정적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하여 제품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제품에 대한 만족감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A method for control driving for air-conditioner}
본 발명은 멀티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멀티공기조화기의 다수개의 실내기가 각각 다른 운전을 하는 경우 동일한 운전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멀티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는 일반적인 멀티공기조화기의 상태도시도이다.
일반적으로 멀티공기조화기의 구성형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져 있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공조공간에 독립적으로 실내기가 구비되어져 있고, 상기 다수개의 실내기들은 하나의 실외기와 연결되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다수개의 실내기(10a,10b,10c)와 하나의 실외기(20)를 통해서 각 공조공간에 냉/난방 공조가 수행된다. 이때, 상기 멀티공기조화기의 실내기(10a,10b,10c)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이 각기 다른 운전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즉 실내기(10a,10b,10c)가 하나로 통일된 운전상태를 가지지 않고, 냉방사이클과 난방 사이클이 혼용되어 동시에 운전되는 이질운전 상태가 발생될 수 있다.
이하 종래 기술에 따른 멀티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멀티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제어 흐름도이다.
다수개의 실내기와 하나의 실외기가 구비되어져 있고, 사용자는 상기 다수개의 실내기 중에서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에 구비되어진 실내기를 통해서 멀티공기조화기가 운전하도록 제어신호를 입력한다.
상기 운전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는 멀티공기조화기에 입력된 제어신호가 강제 운전 및 인공지능 초기운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제 100 단계).
만일, 상기 제 100 단계에서 상기 멀티공기조화기의 운전신호가 강제운전 및인공지능 초기운전일때, 이후 제 110 단계, 제 130 단계, 제 140 단계에 따른 동작이 자동으로 수행된다. 즉, 공조공간의 실내온도가 24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제 110 단계).
상기 판단에 따라 실내온도가 24도 이상이면,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의 실내기가 구비되어져 있는 공조공간으로 냉방사이클이 적용되도록 제어부가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는 다른 장소에 구비되어진 실내기가 난방 운전중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제 120 단계).
상기 판단에 따라 만약 다른 공조공간에 있는 실내기에서 난방운전 중이면, 제품이 오프된다(제 150 단계).
한편 사용자가 위치한 실내온도가 24도 이하이면, 실내온도가 22도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제 130 단계). 상기 판단에 따라 실내온도가 22도 이상이면,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는 공기조화기가 제습운전이나 또는 송풍운전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습운전이나 송풍운전은 냉방운전이 포함되어 구동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위치한 공간에 구비되어진 실내기를 제외한, 다른 공조공간에 구비되어져 있는 실내기에서 난방운전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여(제 120 단계), 운전 중이라고 여기면 구동이 정지되도록 제품이 오프된다(제 120 단계).
그러나, 상기 제 130 단계에서 사용자가 위치한 실내온도가 22도 이하이면, 난방운전이 선택되어진다. 이에 따라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는 공기조화기가 난방운전으로 수행되도록 제어하고, 각 공조공간에 구비되어져 있는 실내기가 냉방운전이나 제습운전 중인지 여부를 감지한다(제 140 단계).
상기 감지에 따라, 사용자가 위치한 공간의 실내기를 제외한 다른 공조공간에 있는 실내기 중에서 한 대 이상의 실내기가 냉방운전이나 제습운전중이면, 공기조화기의 구동이 오프된다(제 150 단계).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각 공조공간에 있는 실내기가 서로 다른 운전기능을 수행하는 이질운전이 진행되면, 압축기에 무리가 가해져서 운전능력이 저하되는 결과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품이 이질운전을 수행하면, 자동적으로 공기조화기가 오프됨에 따라 사용자가 추가적으로 공기조화기의 구동을 위해서 신호입력을 해야하는 불편함도 따랐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공조공간에 구비되어져 있는 멀티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각각 다른 운전을 할 경우 이질 운전이 수행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멀티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는 일반적인 멀티공기조화기의 상태도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멀티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제어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공기조화기의 제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제어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신호입력부 40 : 제어부
50 : 온도센서 60 : 압축기
본 발명에 따른 멀티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은, 다수개의 실내기를 각기 다른 공조공간에 설치하고, 상기 다수개의 실내기에 하나의 실외기를 연결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공기조화기의 구동상태에서, 임의의 공조공간의 실내온도를 판단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판단된 실내온도에 따라 기설정된 운전모드를 선택하는 제 2 단계와, 다른 공조공간에 구비된 실내기의 현재 운전모드를 판단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와 제 3 단계에서 판단된 운전모드가 다른 경우, 상기 제 3 단계의 운전모드로 고정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멀티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공기조화기의 제어구성도이다.
사용자가 운전제어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신호입력부(30)와, 공조공간의 실내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50)와, 상기 온도센서에 따라 냉/난방 운전을 하기 위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60)와, 상기 실내온도에 따라 냉/난방 운전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40)는 각 공조공간에 구성되어진 실내기가 동일한 운전모드로 구동하지 않으면 이질 운전이라고 판단하여, 동일한 운전모드로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구성을 가지고 본 발명에 따른 멀티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제어 흐름도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신호에 따라 강제 운전 또는 인공지능 운전 초기시에 제어부(40)에 설정되어져 있는 실내온도 조건에 의해서 냉방/제습/난방운전모드가 결정되고, 그에 따라 제품이 운전하게 되어있다.
상기 제어부(40)에 설정되어져 있는 실내온도 조건은 실내온도가 24도 이상인 경우 냉방운전, 실내온도가 22도 이하인 경우는 난방운전, 실내온도가 22도 이상 24도 이하인경우는 제습운전으로 구동되도록 온도설정되어져 있다.
상기 상태에서 종래기술에 따른 멀티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에서는 제어부(40)는, 강제 운전 및 인공지능 운전 초기시에 각 공조공간에 구비되어져 있는 실내온도 조건에 따라 이질 운전 조건이 되면 제품이 오프되도록 제어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멀티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은 상기 제어부(40)가 강제 운전 및 인공지능 초기시 실내온도에 따라 운전모드를 판단 후, 다른 공조공간에 구비되어져 있는 실내기의 운전모드를 체크한다(제 200 단계).
즉, 상기 제어부(40)는 공기조화기의 상태가 강제 운전 및 인공지능 초기 운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에 따라 공기조화기의 상태가 강제 운전 및 인공지능 초기 운전상태라고 판단하면, 온도센서(50)로부터 감지된 실내온도가 24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제 210 단계).
상기 판단에 따라, 앞서 설명한 상기 제어부(40)에 기설정되어져 있는 온도조건에 의해서 실내온도가 24도 이상이면, 상기 제어부(40)는 다른 공조공간에 구비되어져 있는 실내기가 난방운전중인지 여부를 감지한다(제 220 단계).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 다른 공조공간에 구비되어져 있는 다른 실내기가 난방 운전모드이면, 현재 온도센서(50)가 감지한 실내온도가 24도 이상인 경우에도 운전모드를 난방으로 구동하도록 변경한다(제 230 단계). 그러나 다른 공조공간에 구비되어져 있는 다른 실내기가 동일한 운전모드로 구동중이면, 운전모드를 변경하지 않는다.
한편, 공기조화기가 강제운전 및 인공지능초기운전 중에 상기 온도센서(50)가 감지한 실내온도가 24도 이하이면, 제어부(40)는 온도센서(50)가 감지한 실내온도가 22도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제 240 단계). 상기 판단에 따라, 온도센서(50)가 감지한 실내온도가 22도 이상으로 판단되면, 제습운전을 하도록 제어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조화기가 제습운전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다른 공조공간에 구비되어져 있는 실내기중에서 한대 이상이 난방운전을 수행하면(제 220 단계),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제습운전을 중지하고 다른 공조공간에 구비되어져 있는 실내기와 동일한 운전조건인 난방모드로 변환하여 구동된다(제 230 단계). 이로 인해서 이질운전을 방지한다.
그러나 제 240 단계에서 온도센서(50)가 감지한 실내온도가 22도 이하이면, 난방운전이 선택되고, 제어부(40)는 다른 공조공간에 구비되어져 있는 실내기에서 냉방 또는 제습운전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제 250 단계).
상기 판단에 따라, 제어부(40)가 다른 공조공간에 구비된 실내기에서 냉방 또는 제습운전중이라고 판단하면, 온도센서(50)가 감지한 실내온도가 22도 이하인경우에도 냉방으로 운전하도록 운전모드를 변경한다(제 260 단계). 그러나 제 250 단계에서 다른 공조공간에 구비된 실내기에서 동일한 운전모드로 운전 중이면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시킨다.
이에 따라 각기 다른 공조공간에 구비되어진 실내기가 동일한 운전모드로 구동되도록 제어함으로 인해서 상기 멀티공기조화기 내에서 구동되는 압축기(60)에 무리가 가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각 공조공간에 구비되어져 있는 멀티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운전모드가 동일하게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멀티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으로 인해서 멀티공기조화기가 구동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질 운전을 막을 수 있다. 이로 인해서 이질 운전 조건에 따라 압축기의 무리를 가해지게 되고, 또한 각 실내기의 구동능력이 저하되어 제품이 자동적으로 오프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오프동작시 추가적으로 조작하는 불편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다수개의 실내기를 각기 다른 공조공간에 설치하고, 상기 다수개의 실내기에 하나의 실외기를 연결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공기조화기의 구동상태에서, 임의의 공조공간의 실내온도를 판단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판단된 실내온도에 따라 기설정된 운전모드를 선택하는 제 2 단계와;
    다른 공조공간에 구비된 실내기의 현재 운전모드를 판단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와 제 3 단계에서 판단된 운전모드가 다른 경우, 상기 제 3 단계의 운전모드로 고정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멀티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단계에서 검출된 온도가 기설정된 소정온도 이상이면, 제 2 단계에서 냉방운전모드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단계에서 검출된 온도가 기설정된 소정온도 이하이면, 제 2 단계에서 난방운전모드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단계에서 검출된 온도가 기설정된 소정온도범위이면, 제 2 단계에서 제습운전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KR1020010081523A 2001-12-20 2001-12-20 멀티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KR200300522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1523A KR20030052291A (ko) 2001-12-20 2001-12-20 멀티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1523A KR20030052291A (ko) 2001-12-20 2001-12-20 멀티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2291A true KR20030052291A (ko) 2003-06-27

Family

ID=29576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1523A KR20030052291A (ko) 2001-12-20 2001-12-20 멀티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5229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859B1 (ko) * 2010-08-16 2011-05-02 서창준 컬러 센서를 구비한 완구 자동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859B1 (ko) * 2010-08-16 2011-05-02 서창준 컬러 센서를 구비한 완구 자동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4093B2 (en) Central control system of air conditioner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111023401B (zh) 空调器的除湿控制方法及空调器
KR100715999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방법
US20060207269A1 (en) Multi-air conditioner peak power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1208808A (ja) 空調制御装置、空調制御システム及び空調制御方法
JP4587849B2 (ja) 空気調和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温度設定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040067980A (ko) 공기 조화 장치 및 공기 조화 장치의 제어 방법
KR20030052291A (ko) 멀티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JP3036520B2 (ja) マルチ型空気調和機
KR20090041604A (ko) 공기조화기
JPH08189690A (ja) 多室形空気調和システムの暖房除湿運転制御装置
KR20040034139A (ko) 인버터압축기를 갖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1165491A (ja) マルチエアコンの制御方法
JPH10205851A (ja) 空気調和機の電力デマンド制御装置
KR100664504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JP3148195B2 (ja) 空気調和機の動作モードの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KR100226977B1 (ko) 룸 에어콘의 상.하 풍향 제어 방법
KR0150472B1 (ko) 공기 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JPS5927145A (ja) 空気調和機
JPH07248141A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JPH10332186A (ja) 空気調和機
JPH10281530A (ja) 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KR20050011272A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JP2612864B2 (ja) 多室形空気調和機
KR20210092623A (ko) 중앙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