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1905A - 브레이크 트랙션 콘트롤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 Google Patents

브레이크 트랙션 콘트롤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1905A
KR20030051905A KR1020010081544A KR20010081544A KR20030051905A KR 20030051905 A KR20030051905 A KR 20030051905A KR 1020010081544 A KR1020010081544 A KR 1020010081544A KR 20010081544 A KR20010081544 A KR 20010081544A KR 20030051905 A KR20030051905 A KR 20030051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noid valve
piston
traction control
pressur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1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1242B1 (ko
Inventor
이충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10081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1242B1/ko
Publication of KR20030051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1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1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12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36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including a pilot valve responding to an electromagnetic force
    • B60T8/3615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5Brake regulation specially adapted to prevent excessive wheel spin during vehicle acceleration, e.g. for traction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레이크 트랙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릴리프밸브의 기능 및 트랙션 콘트롤용 솔레노이드밸브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트랙션 콘트롤용 솔레노이드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랙션 콘트롤용 솔레노이드밸브는 플런저의 하부몸체가 일단이 상기 상부몸체의 하단 외주에 결합되고 중공으로 마련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 내부에 설치되며 유압펌프 출구 측의 유압 크기에 따라 밸브코어의 입구 측에 마련된 밸브시트와 접하거나 이격되도록 마련되는 피스톤과, 상기 밸브시트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입구 측에 가해지는 유압에 의해 상기 피스톤이 진퇴하도록 일단은 상기 상부몸체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피스톤에 지지되는 제2스프링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랙션 콘트롤용 솔레노이드밸브는 상기 가이드부재와 피스톤 및 제2스프링에 의해 유압펌프의 출구 측 압력이 소정압력 이상일 때 유체의 압력에 의해 플런저 하부몸체의 피스톤이 후퇴하면서 밸브코어의 입구가 열려 유압펌프 출구 측의 오일이 마스터실린더 쪽으로 흘러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우회유로 및 압력조절밸브가 없이도 유압펌프 출구 측의 제동압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브레이크 시스템의 구성이 단순화되고, 장치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브레이크 트랙션 콘트롤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SOLENOID VALVE FOR BRAKE TRACTION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브레이크 트랙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릴리프밸브의 기능 및 트랙션 콘트롤용 솔레노이드밸브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트랙션 콘트롤용 솔레노이드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차량의 감속 또는 정지를 목적으로 각 바퀴측에 설치되는 휠실린더와, 제동압을 형성하여 휠실린더 측으로 전달하는 부스터 및 마스터실린더 등이 장착되어 있어서,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을 밟으면 마스터실린더에서 형성된 제동압이 휠실린더로 전달되어 제동력이 발생된다. 그러나 이러한 제동작용 중에는 바퀴가 멈춰선 상태에서도 차가 여전히 진행하여 노면에서 미끄러지는 슬립현상이 흔히 발생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슬립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하여 강력하고 안정된 제동력을 발휘하며 운전조작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동시 바퀴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Anti-Lock Brake System)과, 제동시 뿐만 아니라 차량의 급발진시나 급가속시 구동륜의 과도한 슬립을 방지하는 브레이크 트랙션 제어 시스템(Brake Traction Control System) 기능을 갖춘 브레이크 액압 제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상기 브레이크 트랙션 제어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터실린더(1)에서 바퀴 측의 휠실린더(2)로 연결된 유압라인의 중도에 설치된 노말오픈형솔레노이드밸브(3)와, 바퀴 측에서 오일이 복귀하는 복귀유로에 설치된 노말클로즈형 솔레노이드밸브(4)와, 바퀴 측에서 복귀하는 오일을 재 가압하여 제동압이 생성되도록 하는 유압펌프(5)와, 유압펌프(5)의 상류와 하류에 각각 설치되며 순환하는 오일을 축압하는 저압어큐뮬레이터(6) 및 고압어큐뮬레이터(7)를 구비한다. 이러한 장치들의 동작은 전자제어장치(미도시)에 의해 제어되는데, 전자제어장치(미도시)가 노말오픈형 및 노말클로즈형 솔레노이드밸브(3,4)의 개폐를 제어하여 바퀴 측으로 공급되는 제동압을 단속함과 동시에 유압펌프(5)의 구동을 제어하여 유압라인을 따라 복귀된 유체를 바퀴 측으로 재 가압함으로써 단속적인 제동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브레이크 트랙션 제어 시스템에는 왕복형 유압밸브(8)와 트랙션 콘트롤용 솔레노이드밸브(9) 및 릴리프밸브(9') 등이 더 구비되는데, 우선, 왕복형 유압밸브(8)는 마스터실린더(1)의 출구 측 유압라인과 유압펌프(5)의 입구 측 유압라인을 연결하는 별도의 제1우회유로(8a)에 설치된다. 이러한 왕복형 유압밸브(8)는 평소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1a)을 밟아 제동압이 전달되면 유로를 폐쇄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트랙션 콘트롤용 솔레노이드밸브(9)는 마스터실린더(1)의 출구 측과 고압어큐뮬레이터(7)의 출구 측을 연결하는 유압라인(9a)에 평소 열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되고, 릴리프밸브(9')는 고압어큐뮬레이터(7)의 출구 측에서 마스터실린더(1)의 출구 측을 연결하는 제2우회유로(9'a)에 압력조절을 목적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브레이크 트랙션 제어 시스템은 운전자의 브레이크페달(1a) 조작과는 무관하게 차량 바퀴의 슬립현상이 감지될 때 동작한다. 즉 차량의 출발시 바퀴의슬립이 감지되면, 전자제어장치(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유압펌프(5)가 구동되면서 바퀴 측의 휠실린더(2)로 제동압이 가해진다. 이때 트랙션 콘트롤용 솔레노이드밸브(9)와 노말클로즈형 솔레노이드밸브(4)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마스터실린더(1)의 출구 측 오일이 왕복형 유압밸브(8)를 거쳐 유압펌프(5)로 공급되고, 유압펌프(5)는 이를 가압하여 바퀴의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동작과정에서 유압펌프(5)의 출구 측 제동압이 너무 높을 때는 상기 릴리프밸브(9')가 열려서 오일이 제2우회유로(9'a)를 통해 우회하기 때문에 바퀴 측으로 가해지는 제동압은 항상 적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브레이크 트랙션 제어 시스템은 유압펌프(5) 출구 측의 압력이 과다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제2우회유로(9'a)를 구비하여야 하고, 제2우회유로(9'a)에는 유압펌프(5) 출구 측의 압력이 필요이상으로 높을 때 제2우회유로(9'a)를 개방하기 위한 별도의 릴리프밸브(9')를 구비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브레이크시스템이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장치의 부피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압펌프의 출구 측 압력이 소정압력 이상일 때 트랙션 콘트롤용 솔레노이드밸브가 열려서 오일이 마스터실린더 쪽으로 흘러갈 수 있게 하여 별도의 우회유로 및 릴리프밸브가 없이도 유압펌프 출구 측의 제동압이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브레이크 트랙션 제어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트랙션 콘트롤 시스템의 유압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션 콘트롤 시스템의 유압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랙션 콘트롤용 솔레노이드밸브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션 콘트롤용 솔레노이드밸브의 플러저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0: 트랙션 콘트롤용 솔레노이드밸브91: 밸브코어
91a: 관통공91b: 입구
91c: 출구92: 밸브시트
93: 밸브돔94: 아마츄어
95: 여자코일100: 플런저
110: 상부몸체120: 하부몸체
121: 가이드부재122: 피스톤
123: 제2스프링130: 제1스프링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앙에 길이방향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유체의 흐름을 위한 입구와 출구가 형성된 밸브코어, 상기 밸브코어의 내부에 진퇴 가능하도록 마련된 아마츄어, 상기 아마츄어의 진퇴운동과 연동하여 상기 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밸브코어의 관통공 내에 설치된 플런저, 상기 아마츄어에 탄성복원력을 부여하여 상기 입구가 개방되도록 상기 플런저를 복귀시키는 제1스프링을 구비하는 브레이크 트랙션 제어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상기 아마츄어 측에 마련되는 상부몸체와 상기 입구 측에 마련되는 하부몸체를 구비하되, 상기 하부몸체는 일단이 상기 상부몸체의 하단 외주에 결합되며 중공으로 마련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에 마련되며 상기 플런저의 동작에 따라 상기 입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피스톤과, 상기 입구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입구측에 가해지는 유압에 의해 상기 피스톤이 진퇴하도록 일단은 상기 상부몸체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피스톤에 지지되는 제2스프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스프링은 상기 제1스프링보다 큰 탄성력을 갖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브레이크 트랙션 제어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력장치(12)와 연결된 마스터실린더(10)에서 바퀴 측 휠실린더(20)로 연결된유압라인의 중도에 설치되어 유로를 개폐하는 노말오픈형 솔레노이드밸브(30)를 구비하고, 또한 바퀴 측에서 복귀하는 오일의 유로를 개폐하는 노말클로즈형 솔레노이드밸브(40)를 구비한다. 이때 노말오픈형 솔레노이드밸브(30)가 열릴 때는 노말클로즈형 솔레노이드밸브(40)가 닫혀서 바퀴 측에 제동압이 가해지도록 하고, 노말오픈형 솔레노이드밸브(30)가 닫힐 때는 노말클로즈형 솔레노이드밸브(40)가 열려서 바퀴의 제동압이 해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 트랙션 제어 시스템은 바퀴 측 휠실린더(20)에서 복귀하는 오일을 노말오픈형 솔레노이드밸브(30)의 상류 측 유로로 재 가압하는 유압펌프(50)를 구비하며, 유압펌프(50)의 상류와 하류 측 유로에 각각 설치되어 완충공간을 이루는 저압어큐뮬레이터(60)와 고압어큐뮬레이터(70)를 구비한다. 이때 유압펌프(50) 상류 측에 설치되는 저압큐뮬레이터(60)는 바퀴 측에서 복귀하는 브레이크 오일이 일시 저장되었다가 유압펌프(50)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기능을 하고, 유압펌프(50)의 하류 측에 설치되는 고압어큐뮬레이터(70)는 유압펌프(50)에서 가압된 오일이 일시 저장되면서 유압펌프(50)의 동작에 따른 압력맥동이 감쇠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이러한 장치들은 전자제어장치(미도시)에 의해 동작이 제어된다. 즉, 전자제어장치(미도시)는 노말오픈형 및 노말클로즈형 솔레노이드밸브(30,40)를 제어하여 바퀴 측으로 공급되는 유로가 개폐되도록 하고, 또한 유압펌프(50)의 구동을 제어하여 복귀하는 유로를 통해 저압어큐뮬레이터(60) 쪽으로 흐르는 오일이 바퀴 측으로 재 가압되어 단속적인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 트랙션 제어 시스템에는 차량의 급출발시에 바퀴와 노면의 슬립현상을 방지하여 차량이 원활하게 출발할 수 있도록 왕복형 유압밸브(80) 및 트랙션 콘트롤용 솔레노이드밸브(90)가 마련된다.
즉, 마스터실린더(10)의 출구 측 유압라인과 유압펌프의 입구 측 유압라인을 연결하는 별도의 우회유로(81)에는 평소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11)을 밟아 제동압이 전달되면 유로를 폐쇄하는 왕복형 유압밸브(80)가 설치되는데, 이는 평소에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11)을 밟았을 때 제동압이 바퀴의 휠실린더(20) 쪽으로 가해지도록 한 것이다. 또 마스터실린더(10)의 출구 측과 고압어큐뮬레이터(70)의 출구 측을 연결하는 유압라인에는 평소 열린 상태를 유지하다가 차량의 급출발 등으로 바퀴의 노면슬립이 발생할 때 유로를 폐쇄함으로써 유압펌프(50)의 구동으로 발생된 제동압이 바퀴 측으로 전해질 수 있게 하는 트랙션 콘트롤용 솔레노이드밸브(90)가 설치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트랙션 콘트롤용 솔레노이드밸브(90)는 유압펌프(50) 출구 측 유로의 압력이 소정압력 이상일 때 밸브가 스스로 열려서 오일의 일부가 마스터실린더(10) 쪽으로 흐를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트랙션 콘트롤용 솔레노이드밸브(90)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길이방향의 관통공(91a)이 형성되고 하단에 오일의 유입과 배출을 위한 입구(91b)와 출구(91c)가 마련된 밸브코어(91)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밸브코어(91)의 입구 측에는 밸브시트(92)가 마련되며, 밸브코어(91)의 상부에는 얇은 원통상으로 마련된 밸브돔(93)이 씌워져 결합된다. 밸브돔(93)의 내측에는 원통형상의 아마츄어(94)가 설치되는데, 이 아마츄어(94)는 길이방향으로 소정구간 진퇴가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밸브코어(91)와 밸브돔(93)의 외측에는 전원을 인가받아 아마츄어(94)를 진퇴시키기 위한 원통형상의 여자코일(95)이 설치된다.
또 밸브코어(91) 내측 관통공(91a)에는 길이방향으로 진퇴가 가능하도록 아마츄어(94)로부터 연장되는 봉상의 플런저(100)가 설치된다. 이러한 플런저(100)는 상기 밸브시트(92)의 유로를 막아 오일의 흐름을 차단시키는 동시에 유압펌프(50)의 출구 측 제동압이 너무 높아 바퀴 측으로 가해지는 제동력이 너무 클 때, 유압펌프(50) 출구 측의 압력에 의해 밸브시트(92)가 개방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플런저(100)는 상부 측의 상부몸체(110)와, 하부 측의 하부몸체(120)로 구분되는데, 상부몸체(110)에는 일단이 상부몸체(110) 측에 지지되고 타단이 밸브코어(91) 측에 지지되어 여자코일(95)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을 때, 플런저(100)와 아마츄어(94)를 후퇴시켜 유로를 개방시키는 제1스프링(130)이 설치된다.
그리고 하부몸체(120)는 일단이 상기 상부몸체(110)의 하단 외주에 결합되며 중공으로 마련되는 가이드부재(121)와, 상기 가이드부재(121)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입구(91b) 측에 가해지는 유압의 크기에 따라 상기 밸브시트(92)와 접하거나 이격되도록 마련되는 피스톤(122)과, 상기 밸브시트(92)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입구(91b) 측에 가해지는 유압에 의해 상기 피스톤이 진퇴하도록 일단은 상기 상부몸체(110)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피스톤(122)에 지지되는 제2스프링(123)을 구비한다.
상기 상부몸체(110)의 하단부에는 상기 가이드부재(121)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111)가 단차에 의해 마련되어, 가이드부재(121)의 상단은 상기 결합부(111)에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중공으로 마련되는 가이드부재(121)의 하단에는 상기 피스톤(122) 끝단부의 출입을 위한 출입구(121a)가 형성되고, 출입구(121a)의 상단에는 상기 피스톤(122)이 가이드부재(121) 외부로 완전히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121b)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121)의 측면 일측에는 가이드부재(121)의 내부와 외부가 서로 통하도록 하는 연통홀(121c)이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부재(121) 내부에 설치되는 피스톤(122)은 상기 가이드부재(121)의 출입구(121a)로 출입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하단부의 머리부(122a)와, 상기 머리부(122a)의 상측에 마련되며 피스톤(122)의 길이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걸림턱(121b)에 걸리도록 마련되는 걸림부(122b)와, 걸림부(122b) 상부에 형성되며 피스톤(122)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지지부(122c)가 일체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122c)는 제2스프링(123)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부재(121) 내부에서 피스톤(122)을 진퇴시키는 제2스프링(123)은 상부몸체(110)와 피스톤(122) 사이의 가이드부재(121) 내부에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 상부몸체(110)의 하단에는 제2스프링(123)의 상단을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턱(112)이 마련되고, 피스톤(122)의 걸림부(122b) 상면에는 제2스프링(123)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제2지지턱(122d)이 형성된다. 내부에는 피스톤(122)의 지지부(122c)가 삽입되며,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부몸체(110) 측의 제1지지턱(112)과 피스톤(122)의 제2지지턱(122d)에 지지되는 제2스프링(123)은 상기 피스톤(122)을 안정적이며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스프링(123)은 상기 제1스프링(130)보다 큰 탄성력을 갖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여자코일(95)에 인가된 전류에 의한 아마츄어(94)의 작동으로 제1스프링(130)이 가압되며, 플런저(100)의 하부몸체(120)가 밸브시트(92)를 폐쇄하게 되는 경우, 밸브시트(92)와 접하게 된 피스톤(122)에 의해 제2스프링(123)이 압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은 이러한 구성의 트랙션 콘트롤용 솔레노이드밸브(90)가 적용된 차량용 브레이크 트랙션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11)을 밟으면, 배력장치(12)에서 기압차에 의해 배력이 발생되고, 마스터실린더(10)에서는 증폭된 힘을 전달받아 제동압이 형성되며, 이 유압은 노말오픈형 솔레노이드밸브(30)를 통해 각 바퀴측의 휠실린더(20)로 공급되어 제동력을 발휘한다. 이때 과도한 제동압력이 전달되면 차량의 타이어가 회전을 멈추고 노면에서 미끄러지는 슬립현상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슬립현상은 차량의 바퀴 측에 장착된 휠센서(미도시)를 통해 감지되고, 감지된 정보는 전자제어장치(미도시)에 전달된다. 이때 전자제어장치(미도시)는 노말클로즈형 솔레노이드밸브(40)를 개방하여 휠실린더(20) 내의 오일이 빠져나오도록 함으로써 일시 제동을 해제하여 슬립현상을 방지한다.
또한 노말클로즈형 솔레노이드밸브(40)를 통해 빠져나온 오일은 저압어큐뮬레이터(60)로 이동해 잠시 저장되고, 저압어큐뮬레이터(60)의 오일은 유압펌프(50)의 구동에 의해 재 가압이 되면서 고압어큐뮬레이터(70) 내부로 토출되며, 고압어큐뮬레이터(70)의 오일은 다시 노말오픈형 솔레노이드밸브(30)의 상류 측으로 공급되어 제동압을 형성한다. 이러한 동작은 전자제어장치(미도시)에 의해 계속 반복 제어되면서 휠실린더(20)에 단속적인 제동압이 가해지도록 하고, 이를 통해 안정적인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11)을 조작하는 것과는 무관하게 차량의 급출발 등으로 차량 바퀴의 슬립현상이 감지될 때에는 전자제어장치(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트랙션 콘트롤용 솔레노이드밸브(90)와 노말클로즈형 솔레노이드밸브(4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유압펌프(50)가 구동되면서 노말오픈형 솔레노이드 밸브(30)를 통해 바퀴 측으로 제동압이 가해진다. 또 오일은 마스터실린더(10)의 출구측에서 왕복형 유압밸브(80)를 거쳐 유압펌프(50)로 공급되고, 유압펌프(50)가 이를 가압하여 바퀴의 제동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러한 동작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유압펌프(50)의 출구 측 제동압이 너무 높아 바퀴 측으로 가해지는 제동력이 너무 클 때에는 유압펌프(50)의 출구 측의 압력에 의해 트랙션 콘트롤용 솔레노이드밸브(90)의 유로가 열리면서 유압펌프(50) 출구 측 오일이 마스터실린더(10) 쪽으로 흐르게 된다. 따라서 바퀴에 가해지는 제동압이 적절하게 유지되어 바퀴가 완전하게 멈추는 것이 방지되고, 이를 통해 차량의 출발이 원활해진다.
도 3을 참조하면서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트랙션 콘트롤용 솔레노이드밸브(90)의 여자코일(95)에 전원이 인가되어 아마츄어(94)가 밸브코어(91) 쪽으로 전진하면, 플런저(100)가 제1스프링을 가압하면서 밸브시트(92) 쪽으로 전진하여 하부몸체(120)의 머리부(122a)가 밸브시트의 유로를 막아준다. 즉 트랙션 콘트롤용솔레노이드밸브(90)의 유로를 폐쇄한다.
이 상태에서 밸브코어(91)의 입구(91b)로 가해지는 유체의 압력이 너무 높아지면, 유체의 압력이 플런저(100) 하부몸체(120)의 머리부(122a)를 밀어서 유로를 개방시킨다. 이때 가이드부재(121) 내부의 제2스프링(123)은 유압에 밀려 후퇴하는 피스톤(122)에 의해 약간 압축이 된다. 즉 입구(91b)의 유압에 의해 하부몸체(120)의 피스톤(122)과 제2스프링(123)이 밀리면서 유로가 개방되고, 이로써 유압펌프(50) 출구 측 압력의 과다상승이 방지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트랙션 콘트롤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는 유압펌프의 출구 측 압력이 소정압력 이상일 때 유체의 압력에 의해 플런저 하부몸체의 피스톤이 후퇴하면서 유로가 열려 유압펌프 출구 측의 오일이 마스터실린더 쪽으로 흘러갈 수 있게 되어 별도의 우회유로 및 압력조절밸브가 없이도 유압펌프 출구 측의 제동압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브레이크 시스템의 구성이 단순화되고, 장치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중앙에 길이방향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유체의 흐름을 위한 입구와 출구가 형성된 밸브코어, 상기 밸브코어의 내부에 진퇴 가능하도록 마련된 아마츄어, 상기 아마츄어의 진퇴운동과 연동하여 상기 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밸브코어의 관통공 내에 설치된 플런저, 상기 아마츄어에 탄성복원력을 부여하여 상기 입구가 개방되도록 상기 플런저를 복귀시키는 제1스프링을 구비하는 브레이크 트랙션 제어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상기 아마츄어 측에 마련되는 상부몸체와 상기 입구 측에 마련되는 하부몸체를 구비하되,
    상기 하부몸체는 일단이 상기 상부몸체의 하단 외주에 결합되며 중공으로 마련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에 마련되며 상기 플런저의 동작에 따라 상기 입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피스톤과, 상기 입구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입구측에 가해지는 유압에 의해 상기 피스톤이 진퇴하도록 일단은 상기 상부몸체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피스톤에 지지되는 제2스프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트랙션 콘트롤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프링은 상기 제1스프링보다 큰 탄성력을 갖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트랙션 콘트롤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KR1020010081544A 2001-12-20 2001-12-20 브레이크 트랙션 콘트롤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KR100751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1544A KR100751242B1 (ko) 2001-12-20 2001-12-20 브레이크 트랙션 콘트롤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1544A KR100751242B1 (ko) 2001-12-20 2001-12-20 브레이크 트랙션 콘트롤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1905A true KR20030051905A (ko) 2003-06-26
KR100751242B1 KR100751242B1 (ko) 2007-08-23

Family

ID=29576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1544A KR100751242B1 (ko) 2001-12-20 2001-12-20 브레이크 트랙션 콘트롤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12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502B1 (ko) * 2005-12-08 2011-03-16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 트랙션 제어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CN110562475A (zh) * 2019-09-06 2019-12-13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西安飞机设计研究所 一种飞机弹射牵引杆的控制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1792B1 (ko) * 1998-11-13 2002-06-26 밍 루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502B1 (ko) * 2005-12-08 2011-03-16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 트랙션 제어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CN110562475A (zh) * 2019-09-06 2019-12-13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西安飞机设计研究所 一种飞机弹射牵引杆的控制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1242B1 (ko) 2007-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4018B2 (en) Solenoid valve for brake system
JP3716215B2 (ja) 車両用電子制御式ブレーキシステム
US20060284482A1 (en) Anti-lock brake system
JP3875233B2 (ja) ブレーキトラクションコントロールバルブ
JPH07503206A (ja) スリップ制御液圧ブレーキシステム
JPH01262248A (ja) 車輌用油圧式ロック防止制動系
KR100191828B1 (ko) 브레이크 유압제어기
US6195995B1 (en) Hydraulic brake system with device for active braking
KR100751242B1 (ko) 브레이크 트랙션 콘트롤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JP3115909B2 (ja) 車両用アンチロックブレーキおよびトラクション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用油圧モジュレータ
EP1437277B1 (en) Brake traction control valve
KR100413256B1 (ko) 브레이크 트랙션 콘트롤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KR102403605B1 (ko) 브레이크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KR20140104260A (ko)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
KR100575600B1 (ko) 브레이크 트랙션 콘트롤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KR100444817B1 (ko) 브레이크 트랙션 콘트롤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US5697680A (en) Vehicle brake pressure controller
KR100863547B1 (ko) 전자기력을 이용한 릴리프 기능을 갖는 솔레노이드밸브
KR101021502B1 (ko) 브레이크 트랙션 제어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KR20010097100A (ko) 브레이크 액압제어장치
KR101351344B1 (ko)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
KR100349553B1 (ko) 자동제동 기능을 갖춘 차량용 제동시스템
KR200144417Y1 (ko) 차량용 브레이크의 유압유니트
JP2683351B2 (ja) アンチスキッドブレーキ装置
JPH0592035U (ja) 車両用ブレーキ液圧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