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1812A - 불안 장애의 치료 - Google Patents

불안 장애의 치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1812A
KR20030051812A KR10-2003-7006523A KR20037006523A KR20030051812A KR 20030051812 A KR20030051812 A KR 20030051812A KR 20037006523 A KR20037006523 A KR 20037006523A KR 20030051812 A KR20030051812 A KR 200300518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repinephrine reuptake
anxiety disorders
anxiety
reuptake inhibitor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6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홀리 리드 토마슨
데이비드 마이켈슨
Original Assignee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filed Critical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30051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181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35Amines having aromatic rings, e.g. ketamine, nortriptyline
    • A61K31/138Aryloxyalkylamines, e.g. propranolol, tamoxifen, phenoxybenzam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s, e.g. 1,2-oxazines
    • A61K31/53751,4-Oxazines, e.g. morpho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2Anxioly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택적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를 불안 장애, 특히 강박 장애에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불안 장애의 치료 {Treatment of Anxiety Disorders}
본 발명은 제약 화학 및 중추 신경계 의학 분야에 속하며, 불안 장애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불안 장애는 미국에서 가장 만연된 정신 질환이다. 불안 장애에는 공황 장애, 강박 장애,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특정 공포증, 사회 공포증 및 범불안 장애가 포함된다. 이들 모두는 분명한 이유없는 불안, 공포감 및 걱정의 특징을 보인다. 이들 장애는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는 경우 이 장애를 앓고 있는 환자의 삶의 질과 생산력을 감소시킨다. 미국에서만도 2천 3백만이 넘는 사람들이 불안 장애를 앓고 있다. 이들 장애로 인한 사회 비용이 미국에서만 직간접 비용으로 1990년에 약 466억 달러에 달하였다.
현재 이용되는 불안 장애 치료 방법에는 행동 요법, 인지 요법 및 이완 기술이 있다. 상기 방법들은 통상 원하는 효과를 달성하는 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회복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방법들은 많은 약물치료 중 한 가지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현재 사용되는 약물치료는 벤조디아제핀, 베타-차단제, 부스피론, 모노아민 옥시다제 억제제,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및 트리시클릭 항우울제가 있으며, 이들 모두는 사용과 관련된 부작용을 갖는다. 벤조디아제핀은 강력한 습관성 약물이며 졸음을 일으킬 수 있다. 베타-차단제는 천식, 울혈성 심부전, 당뇨병, 혈관 질환, 갑상선 기능항진증 또는 협심증과 같은 의학적 상태를 갖는 환자에 사용될 수 없다. 부스피론은 약효가 나타나기 전의 유도 기간이 길다. 모노아민 옥시다제 억제제를 복용하는 환자는 심각한 소화 장애를 받게되며, 약물 상호작용, 저혈압, 일정한 체중 증가, 성적 반응의 감소 및 불면증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는 메스꺼움, 신경과민 및 지연 사정을 유발시킬 수 있다. 또한, 트리시클릭 항우울제는 구강 건조증, 변비, 시력 약화, 배뇨곤란증, 현기증, 저혈압 및 일정한 체중 증가를 유발할 수 있다. 현재 치료법의 부작용을 없애거나 감소시킬 수 있는 불안 장애의 신규 치료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불안 장애 치료를 필요로 하는 포유동물에게 유효량의 선택적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불안 장애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불안 장애에 걸리기 쉬운 포유동물에게 유효량의 선택적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불안 장애의 예방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신규 작용 기작에 의한 불안 장애의 예방 및 치료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선택적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인 화합물을 사용하여 불안 장애를 앓고 있거나 앓기 쉬운 포유동물을 치료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기작은 포유동물에 효과적이며, 바람직한 포유동물은 인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태양은 선택적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 활성을 나타내는 조성물의 투여를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은 개별적으로 또는 함께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의 선택적 억제제로 작용하는 1종 이상의 약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불안 장애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용한 약제 제조에서의 선택적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공존하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가 있는 불안 장애 치료에 유용한 약제 제조에서의 선택적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의 용도를 제공한다.
하기에 논의된 것을 비롯한 많은 화합물들이 선택적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이며, 장차 더 많은 것들이 확인되리라는 것에 대해서 의심치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에서는, 문헌 [Wong et al., Drug Development Research, 6, 397 (1985)]에 기재된 프로토콜에서 50 % 유효 농도가 약 1000 nM 이하인 재흡수 억제제를 포함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유용한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는 다른 수용체에서 직접적인 작용제 또는 길항제로 작용하는 능력에 비해 신경전달물질 재흡수의 억제에 선택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유용한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토목세틴(tomoxetine, (R)-(-)-N-메틸-3-(2-메틸페녹시)-3-페닐프로필아민)은 보통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으로 투여된다. 토목세틴은 미국 특허 제4,314,081호에 최초로 개시되어 있다. "토목세틴"이란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분자의 임의의 산 부가 염 또는 유리 염기를 나타내는데도 사용될 것이다. 예를 들어 토목세틴의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로서의 활성에 대한 논의에 대해서는 문헌 [Gehlert,et al., Neuroscience Letters, 157, 203-206 (1993)]을 참고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화학식 I의 화합물은 미국 특허 제5,281,624호 (Gehlert, Robertson, and Wong) 및 문헌 [Gehlert, et al., Life Sciences, 55 (22), 1915-1920, (1995)]에 기재되어 있다.
식 중, X는 C1-C4알킬티오이고, Y는 C1-C2알킬이다.
상기 문헌들에서는 상기 화합물을 뇌에서의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의 억제제로 교시하고 있다. 또한, 화합물이 입체이성질체로 존재하며, 라세미체뿐만 아니라 단리된 개별적인 이성질체 및 개별적인 이성질체의 혼합물도 포함한다고 설명되어 있다.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기 예시적인 종들을 포함한다:
N-에틸-3-페닐-3-(2-메틸티오페녹시)프로필아민 벤조에이트;
(R)-N-메틸-3-페닐-3-(2-프로필티오페녹시)프로필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S)-N-에틸-3-페닐-3-(2-부틸티오페녹시)프로필아민;
N-메틸-3-페닐-3-(2-에틸티오페녹시)프로필아민 말로네이트;
(S)-N-메틸-3-페닐-3-(2-tert-부틸티오페녹시)-프로필아민 나프탈렌-2-술포네이트;
(R)-N-메틸-3-(2-메틸티오페녹시)-3-페닐-프로필아민; 및
레복세틴(reboxetine, 에드로낙스TM(Edronax), 2-[α-(2-에톡시)페녹시벤질]모르폴린)은 보통 라세미체로 투여된다. 상기는 우울증의 치료를 위한 그의 유용성을 기재하고 있는 미국 특허 제4,229,449호에 최초로 교시되어 있다. 레복세틴은 선택적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이다. "레복세틴"이란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라세미체 또는 에난티오머로 존재하는 상기 분자의 임의의 산 부가 염 또는 유리 염기를 나타내는데 사용될 것이다.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를 나타내는 모든 화합물들이 본 발명의 방법에 유용하지만, 특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신경전달물질 상에서 노르에피네프린에 대해 선택적인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가 바람직하다. 토목세틴, 레복세틴 또는 (R)-N-메틸-3-(2-메틸티오페녹시)-3-페닐프로필아민으로부터 선택되는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 대한 토목세틴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용도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태양이다.
본 발명에 사용한 대부분 또는 모든 화합물들이 염을 형성할 수 있으며, 종종 유리 염기보다 더욱 쉽게 결정화되고 정제되기 때문에 제약의 염 형태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모든 경우, 상기 기재된 제약의 염으로서의 용도는 본 상세한 설명에서 예상되며 종종 바람직하며, 모든 화합물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그들의 명칭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사용한 여러 화합물들은 아민이며, 따라서 임의의 여러개의 무기산 및 유기산과 반응하여 제약상 허용되는 산 부가 염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유리 아민의 일부는 통상적으로 실온에서 오일이기 때문에, 취급 및 투여를 쉽게 하기 위해 유리 염기를 실온에서 통상 고체인 그들의 제약상 허용되는 산 부가 염으로 변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염을 형성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산은 염산, 브롬화수소산, 요오드화수소산, 황산, 인산 등의 무기산, 및 p-톨루엔술폰산, 메탄술폰산, 옥살산, p-브로모페닐술폰산, 탄산, 숙신산, 시트르산, 벤조산, 아세트산 등의 유기산이다. 따라서 이러한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술페이트, 피로술페이트, 비술페이트, 술파이트, 비술파이트, 포스페이트, 모노하이드로겐포스페이트, 디하이드로겐포스페이트, 메타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요오다이드,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데카노에이트, 카프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포르메이트, 이소부티레이트, 카프로에이트, 헵타노에이트, 프로피올레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숙시네이트, 수베레이트, 세바케이트, 푸마레이트, 말리에이트, 부틴-1,4-디오에이트, 헥신-1,6-디오에이트, 벤조에이트, 클로로벤조에이트, 메틸벤조에이트, 디니트로벤조에이트, 히드록시벤조에이트, 메톡시벤조에이트, 프탈레이트, 술포네이트, 크실렌술포네이트, 페닐아세테이트, 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페닐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b-히드록시부티레이트, 글리콜레이트, 타르트레이트, 메탄술포네이트, 프로판술포네이트, 나프탈렌-1-술포네이트, 나프탈렌-2-술포네이트, 만델레이트 등이다. 바람직한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염산을 사용하여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약물의 투여량은 최종 분석에서 담당 의사가 약물, 임상실험에서 결정된 바와 같이 배합된 약물의 특성, 및 의사가 환자에서 치료하고 있는 질병 이외의 질병을 가지고 있는 환자의 특성에 대한 지식을 사용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투여량의 일반적인 개요, 및 몇몇 바람직한 투여량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여기에 제공할 것이다.
토목세틴: 하루에 약 5 mg 내지 약 200 mg; 바람직하게는 하루에 약 60 내지 약 150 mg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루에 약 60 내지 약 130 mg;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하루에 약 60 내지 약 120 mg;
화학식 I의 화합물: 약 0.01 mg/kg 내지 약 20 mg/kg; 바람직하게는 1일 투여량이 약 0.05 mg/kg 내지 10 mg/kg일 것임; 이상적으로는 약 0.1 mg/kg 내지 약 5 mg/kg;
레복세틴: 약 1 내지 약 30 mg, 하루 1회 내지 4회;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30 mg, 하루 1회.
모든 관련된 화합물들은 경구로 사용할 수 있고 보통 경구로 투여되므로, 경구 투여가 바람직하다. 그러나, 경구 투여가 유일한 경로 또는 유일한 바람직한 경로는 아니다. 예를 들어, 건망증이 있거나 경구용 약물을 섭취하는데 까다로운 환자에게는 피부를 통한 투여가 매우 바람직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또한 특정 환경에서 경피적, 정맥내, 근육내, 비강내 또는 직장내 경로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투여 경로는 약물의 물리적 특성, 환자 및 간병인의 편리함 및 다른 관련된 환경에 의해 제한되는 임의의 방법으로 변경될 수 있다 (문헌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8th Edition, Mack Publishing Co. (1990)]).
제약 조성물을 제약 업계에 잘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한다. 담체 또는 부형제는 활성 성분에 대한 비히클 또는 매질로 작용할 수 있는 고체, 반고체 또는 액체 물질일 수 있다. 적합한 담체 또는 부형제는 당 업계에 잘 공지되어 있다. 제약 조성물은 경구, 흡입, 비경구, 또는 국소 용도에 적합하고, 환자에게 정제, 캡슐, 에어로졸, 흡입제, 좌약, 용액, 현탁액 등의 형태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불활성 희석제 또는 캡슐과 함께 또는 정제로 압축되어 경구로 투여될 수 있다. 경구 치료 투여의 목적을 위해, 화합물은 부형제와 함께 혼입되고, 정제, 트로케 (troche), 캡슐, 엘릭시르, 현탁제, 시럽, 웨이퍼, 츄잉검 등의 형태로 사용된다. 이들 제제는 활성성분인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적어도 4 % 이상 함유하여야 하지만, 특정 형태에 따라 변경될 것이고, 편리하게는 단위 중량의 4 % 내지 약 70 %일 수 있다. 조성물에 존재하는 화합물의 양은 적합한 투여량이 얻어지는 양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조성물 및 제제는 당업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정제, 환제, 캡슐, 트로케 등은 또한 1종 이상의 하기 부형제를 함유할 수 있고: 미소결정질 셀룰로오스, 트라가칸트 고무 또는 젤라틴과 같은 결합제; 전분 또는 락토오스와 같은 부형제; 알긴산, 프리모겔 (Primogel), 옥수수 전분 등의 붕해제;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또는 스테로텍스 (Sterotex)와 같은 윤활제;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와 같은 활주제; 수크로스 또는 사카린과 같은 감미제; 페퍼민트, 메틸 살리실레이트 또는 오렌지 향 등의 향미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투여 단위 형태가 캡슐인 경우, 상기 유형의 물질 이외에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지방유와 같은 액체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투여 단위 형태는 예를 들어 코팅과 같은 투여 단위의 물리적 형태를 개질시키는 다른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정제 또는 환제는 설탕, 셀락 (shellac) 또는 다른 코팅제로 코팅할 수 있다. 시럽은 본 발명 화합물 이외에 감미제로서 수크로스 및 특정한 방부제, 염료, 착색제 및 향미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된 물질은 제약적으로 순수하며 사용된 양에서 비독성이다.
R-(-)-N-메틸 3-((2-메틸페닐)옥시)-3-페닐-1-아미노프로판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토목세틴)의 투여에 유용한 제형은, R-(-)-N-메틸 3-((2-메틸페닐)옥시)-3-페닐-1-아미노프로판 하이드로클로라이드와 희석제 및 윤활제와의 건식 혼합물을 포함한다. 호화된 옥수수 전분과 같은 전분은 적합한 희석제이고, 디메콘과 같은 실리콘 오일은 경질 젤라틴 캡슐에 사용하는데 적합한 윤활제이다. 약 0.4 내지 26 %의 R-(-)-N-메틸 3-((2-메틸페닐)옥시)-3-페닐-1-아미노프로판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약 73 내지 99 %의 전분, 및 약 0.2 내지 1.0 %의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는 적합한 제형을 제조한다. 하기 표들은 특히 바람직한 제형을 예시하고 있다:
비경구 치료적 투여의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의 화합물을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혼입할 수 있다. 이러한 제제들은 통상적으로 적어도 0.1 % 이상의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지만, 그의 중량의 0.1 내지 약 90 %로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존재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양은 적합한 투여량이 얻어지는 양이다. 용액 또는 현탁액은 또한 1종 이상의 하기 부형제를 포함한다: 멸균 희석제, 예를 들어 주사용 물, 식염수, 정유, 폴리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다른 합성 용매; 항균제, 예를 들어 벤질 알코올 또는 메틸 파라벤; 항산화제, 예를 들어 아스코르빈산 또는 중아황산나트륨; 킬레이트제, 예를 들어 에틸렌 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완충액, 예를 들어 아세테이트, 시트레이트 또는 포스페이트; 및 삼투성 조절용 약품, 예를 들어 염화나트륨 또는 덱스트로스. 비경구용 제제는 앰플, 1회용 시린지 또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다중 투여용 바이알에 넣을 수 있다. 바람직한 조성물 및 제제는 당업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국소적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담체가 적합하게는 용액, 연고 또는 겔 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염기는 바셀린, 라놀린, 폴리에틸렌 글리콜, 밀랍, 광유, 희석제, 예를 들어 물 및 알코올, 유화제, 및 안정화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국소용 제형은 약 0.1 내지 약 10 % w/w (중량/단위 부피) 농도의 화합물 I 또는 그의 제약상 염을 함유할 수 있다.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의 억제
노르에피네프린의 재흡수를 억제하는 화합물의 능력을 문헌 [Wong, et al., supra]의 일반적인 공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체중 150 내지 250 gm의 수컷 스프라규-다울리 (Sprague-Dawley) 쥐를 단두하여 즉시 뇌를 즉시 제거하였다. 0.32 M의 수크로스 및 10 mM의 글루코즈를 함유하는 9 부피의 매질 중에서 대뇌 피질을 균질화하였다. 1000 x g에서 10 분 동안 및 17,000 x g에서 28 분 동안 분별 원심분리한 후, 조 시냅토솜 제제를 단리하였다. 최종 펠렛을 동일한 매질에 현탁하였고, 동일한 날에 사용하기 전까지 얼음 중에 두었다.
3H-노르에피네프린의 시냅토솜 흡수를 하기와 같이 결정하였다. 피질 시냅토솜 (1 mg의 단백질과 동등함)을 10 mM의 글루코스, 0.1 mM의 이프로니아지드, 1 mM의 아스코르빈산, 0.17 mM의 EDTA 및 50 nM의3H-노르에피네프린도 또한 함유하는 1 mL의 크렙스(Krebs)-중탄산염 매질 중에서 37 ℃에서 5 분 동안 배양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 mL의 얼음-냉각된 크렙스-중탄산염 완충액으로 희석하고, 세포 수확기 (Brandel, Gaithersburg, MD)를 사용하여 진공하에서 여과하였다. 필터를 약 5 mL의 얼음-냉각된 0.9 % 식염수로 2회 헹구었고,3H-노르에피네프린의 흡수를 액체 신틸레이션 계측에 의해 분석하였다. 4 ℃에서3H-노르에피네프린의 축적을 백그라운드로 생각하여 모든 측정결과로부터 빼내었다.3H-노르에피네프린 축적을 50 %로 억제하는데 필요한 시험 화합물의 농도 (IC50값)를 선형 회귀 분석에 의해 결정하였다.
불안 장애는 상이한 종류의 질환이다. 불안 장애의 가장 흔한 형태는 하기와 같다.
공황 장애
공황 장애는 강한 불안, 걱정 또는 공포가 갑자기 시작되는 특징을 갖는다. 공황 장애는 원인없이 발작되며, 불연속적으로 지속될 수 있다. 공황 장애 발작시, 환자가 호흡의 빨라짐, 두근거림, 가슴 통증 또는 불편, 숨막힘 또는 숨막히는 느낌 및 자기 제어 상실의 두려움을 경험하는 것은 드문일이 아니다.
범불안 장애
범불안 장애는 6개월 이상 지속되는 과도한 불안과 걱정의 특징을 갖는다. 이것은 물리적 불안 증후, 예를 들어 근육 통증, 피로, 수면 곤란, 발한, 현기증 및 구역질과 관련된다.
특정 공포증
특정 공포증은 회피하고자 하게 되는 특정 대상 또는 상황과 관련된 지속적이고 과도한 분별없는 공포이다.
사회 공포증
사회 공포증은 사람이 다른 사람에 의한 유심한 관찰을 받게되고 자신이 굴욕적인 일을 하거나, 굴욕적인 방법으로 행동하는 것을 두려워하는 한가지 이상의 상황에 대한 지속적인 공포이다. 사회 공포증은 극도의 수줍음을 포함할 수 있다.
강박 장애
강박 장애는 불안을 유발하는 강박 관념(obsession) 및 불안을 중화하는 역할을 하는 강박(compulsion)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인 강박 관념에는 더러움, 세균 또는 오염에 대한 두려움 또는 다른 사람을 해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포함된다. 일반적인 강박에는 과도한 청소, 숫자 확인, 재확인 및 숨기기가 있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각성이 증가하는 증후 및 외상과 관련된 자극의 회피가 수반되는 극단적인 외상 사건의 재경험의 특징을 갖는다. 환자는 경험에 너무 몰두하여 정상 생활을 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관찰된 상기에 기재된 질환 및 다른 불안 장애는 문헌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Version, published by the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SM)]에 분류되어 있다. 상기 경우에, DSM 코드 번호는 독자의 편의를 위해 하기에 제공한다.
광장공포증이 없는 공황 장애DSM300.01
광장공포증을 갖는 공황 장애 DSM300.21
공황 장애 병력이 없는 광장공포증DSM300.22
특정 공포증DSM300.29
사회 공포증DSM300.23
강박 장애DSM 300.3
뇌상후 스트레스 장애DSM309.81
급성 스트레스 장애DSM308.3
범불안 장애DSM300.02
범약물 질환으로 인한 불안 장애DSM293.84
물질 유도된 불안 장애
알콜DSM291.89
암페타민(또는 암페타민 유사 물질)DSM292.89
카페인DSM292.89
칸나비스DSM 292.89
코카인DSM 292.89
할루시노겐DSM 292.89
흡입제DSM292.89
펜시클리딘 (또는 펜시클리딘 유사 물질)DSM292.89
진정제, 최면제 또는 불안완화제DSM292.89
기타 [비공지] 물질DSM292.89
달리 지정되지 않은 불안 장애DSM300.00
분리 불안 장애DSM309.21
성 혐오장애DSM302.79
이들 장애의 어떠한 것도 한 포유동물 내에서 단독으로 또는 여러 장애가 함께 나타는 것에 무관하게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치료 또는 예방될 수 있다. 강박 장애의 치료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이다.
불안 장애를 앓고 있는 환자는 또한 일반적으로 동시에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를 앓는다. 환자에게 공존하는 상태가 존재하는지의 여부와 상관없이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의 사용으로 불안 장애의 증상의 개선이라는 점에서 이점을 얻을 것이다. 또한, 불안 장애 및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를 앓는 환자는 본 발명의 방법으로 통해서 상기 두 가지 상태의 증상의 개선이라는 점에서 이점을 얻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태양은 불안 장애 및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 둘 다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유효량의 선택적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존하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가 있는 불안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어린이, 청년 또는 어른 환자의 치료에서 효과적이며, 상이한 연령의 환자 사이에서 증상 또는 치료 방법의 세부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어린이는 사춘기 연령 미만의 환자인 것으로 생각하였고, 청년은 약 18 세 미만의 사춘기 연령의 환자로 생각하였으며, 어른은 18 세 이상의 환자로 생각하였다.
<실시예 1>
만성적인 손톱 물어뜯기 버릇이 있는 여자 환자. 치료대상에게 60 mg의 토목세틴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하루에 2회씩 13일 동안 연속적으로 투여하였다. 최종 평가시에 치료대상은 하나의 손가락을 제외하고는 건강한 모습의 손톱을 갖는 상당한 개선된 상태를 나타내었다. 토목세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치료를 종료하자 환자의 만성적인 손톱 물어뜯기 행동이 재발되었다.

Claims (8)

  1. 불안 장애 치료용 약제 제조에서의 선택적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의 용도.
  2. 제1항에 있어서, 선택적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가 토목세틴, 레복세틴 및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용도.
    <화학식 I>
    상기 식에서,
    X는 C1-C4알킬티오이고, Y는 C1-C2알킬이다.
  3. 제2항에 있어서, 선택적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가 토목세틴인 용도.
  4. 제2항에 있어서, 선택적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가 토목세틴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인 용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강박 장애를 치료하는 용도.
  6. 공존하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가 있는 불안 장애 치료용 약제 제조에서의 선택적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의 용도.
  7. 제6항에 있어서, 선택적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가 토목세틴인 용도.
  8. 제7항에 있어서, 선택적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가 토목세틴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인 용도.
KR10-2003-7006523A 2000-11-15 2001-11-06 불안 장애의 치료 KR200300518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4901000P 2000-11-15 2000-11-15
US60/249,010 2000-11-15
US26536201P 2001-01-31 2001-01-31
US60/265,362 2001-01-31
PCT/US2001/027801 WO2002040006A2 (en) 2000-11-15 2001-11-06 Treatment of anxiety disord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1812A true KR20030051812A (ko) 2003-06-25

Family

ID=26939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6523A KR20030051812A (ko) 2000-11-15 2001-11-06 불안 장애의 치료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EP (1) EP1395253A2 (ko)
JP (1) JP2004529073A (ko)
KR (1) KR20030051812A (ko)
CN (1) CN1822825A (ko)
AU (1) AU2002217757A1 (ko)
BR (1) BR0115301A (ko)
CA (1) CA2426069A1 (ko)
CZ (1) CZ20031339A3 (ko)
EA (1) EA200300567A1 (ko)
HR (1) HRP20030384A2 (ko)
IL (1) IL155874A0 (ko)
MX (1) MXPA03004190A (ko)
NO (1) NO20032156D0 (ko)
PL (1) PL366119A1 (ko)
SK (1) SK5422003A3 (ko)
WO (1) WO200204000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Z20032380A3 (en) * 2001-03-06 2004-03-17 Eli Lilly And Company Inhibitor of monoamine uptake
CN1674907A (zh) * 2002-08-14 2005-09-28 法玛西亚普强责任有限公司 瑞波西汀在治疗热潮红中的用途
GB0309440D0 (en) * 2003-04-25 2003-06-04 Lilly Co Eli Quinolone derivatives
WO2004103356A2 (en) * 2003-05-15 2004-12-02 Eli Lilly And Company Treatment of emotional dysregulation
KR20060121178A (ko) * 2003-12-12 2006-11-28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일과성 전신 열감, 충동 조절 장애 및 일반적인 의학상태로 인한 인격 변화 치료용 선택적 노르에피네프린재흡수 억제제
WO2009089479A2 (en) 2008-01-09 2009-07-16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Inhibiting neurotransmitter reuptake
US20120220665A1 (en) * 2009-11-03 2012-08-30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Inhibiting Neurotransmitter Reuptake
WO2011056788A2 (en) * 2009-11-03 2011-05-12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Inhibiting neurotransmitter reuptake
WO2014159251A2 (en) 2013-03-14 2014-10-02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Inhibiting neurotransmitter reuptake
JP2022519541A (ja) * 2019-02-01 2022-03-24 ホフマン・テクノロジーズ・エルエルシー 不安関連障害を処置する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931997A (en) * 1996-05-07 1997-11-26 Merck & Co., Inc. Treatment of mood disorders with a growth hormone secretagogue
IT1305322B1 (it) * 1998-04-23 2001-05-04 Pharmacia & Upjohn Spa Uso di reboxetina per il trattamento di disturbi nervosi
ES2246485T3 (es) * 1999-07-01 2006-02-16 PHARMACIA &amp; UPJOHN COMPANY LLC (s,s)-reboxetina para tratar la incontinenci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155874A0 (en) 2003-12-23
CZ20031339A3 (cs) 2003-10-15
CN1822825A (zh) 2006-08-23
NO20032156L (no) 2003-05-13
WO2002040006A3 (en) 2003-12-24
AU2002217757A1 (en) 2002-05-27
JP2004529073A (ja) 2004-09-24
MXPA03004190A (es) 2003-09-22
HRP20030384A2 (en) 2003-08-31
BR0115301A (pt) 2004-12-14
CA2426069A1 (en) 2002-05-23
WO2002040006A2 (en) 2002-05-23
EA200300567A1 (ru) 2004-10-28
EP1395253A2 (en) 2004-03-10
NO20032156D0 (no) 2003-05-13
PL366119A1 (en) 2005-01-24
SK5422003A3 (en) 2003-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04657C (en) Treatment of conduct disorder
Rush et al. Comparative effects of nefazodone and fluoxetine on sleep in out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RU2488392C2 (ru) Лечение агонистом мелатонина
US6028070A (en) Treatment of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JP3688735B2 (ja) (S)−(−)−α−エチル−2−オキソ−1−ピロリジ ンアセトアミドを用いる不安の治療法
KR20030051812A (ko) 불안 장애의 치료
US20080200555A1 (en) Use of 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s for the treatment of tic disorders
TW200300672A (en) Treatment of cognitive failure
US6683114B2 (en) Treatment of psoriasis
CA3167050A1 (en) A method for enhancing the pharmacokinetics or increasing the plasma concentration of methyl 3-((methylsulfonyl)amino)-2-(((4-phenylcyclohexyl)oxy)methyl)piperidine-1-carboxylate or a salt thereof with an inhibitor of cytochrome p450
US20040034106A1 (en) Treatment of anxiety disorders
ZA200303738B (en) Treatment of anxiety disorders.
US6432961B1 (en) Method for preventing the onset of asthma
US20220218598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rapid delivery of anti-seizure therapeutics
JPH09165337A (ja) パニック障害治療剤
US4522830A (en) Pharmaceutical methods using parabenzoquinone to treat muscle spasms
JP2006509773A (ja) 持続性アレルギー性鼻炎の治療のためのレボセチリジンの使用
Smith Local Anesthetics—Clinical and Theoretical Asp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