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9735A - 열연강판의 롤 마크 주기길이에 의한 결함 스텐드 확인방법 - Google Patents

열연강판의 롤 마크 주기길이에 의한 결함 스텐드 확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9735A
KR20030049735A KR1020010080039A KR20010080039A KR20030049735A KR 20030049735 A KR20030049735 A KR 20030049735A KR 1020010080039 A KR1020010080039 A KR 1020010080039A KR 20010080039 A KR20010080039 A KR 20010080039A KR 20030049735 A KR20030049735 A KR 20030049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mark
roll mark
stand
steel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0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성학
박문수
홍성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80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49735A/ko
Publication of KR20030049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973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8/00Maintaining rolls or rolling equipment in effective condition
    • B21B28/02Maintaining rolls in effective condition, e.g. reconditioning
    • B21B28/04Maintaining rolls in effective condition, e.g. reconditioning while in use, e.g. polishing or grinding while the rolls are in their st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5/36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 B24B5/37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grinding rolls, e.g. barrel-shaped ro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연강판의 롤 마크 주기길이에 의한 결함 스텐드 확인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간 압연 작업 중 열연강판에서 발생되는 롤 마크 표면 결함 발생시 주기길이를 비교 판단하여 마무리 압연기의 해당 스텐드를 정확히 찾아 제어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서, 결함이 발생된 스텐드의 롤에 대해 O.R.G를 실시하거나, 롤 교체를 하고자 할 때 작업시간을 감소시켜 롤 원단위를 향상시켜 원가를 절감하고, 제품 품질을 향상시키며, 작업지연으로 인한 대기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열연강판의 롤 마크 주기길이에 의한 결함 스텐드 확인방법 {A method for identifying the number of roller stand causing a periodical roll mark on the hot rolled steel sheet}
본 발명은 열연강판의 롤 마크 주기길이에 의한 결함 스텐드 확인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간 압연 작업 중 열연강판에서 발생되는 롤 마크 표면결함 발생시 주기길이를 비교 판단하여 마무리 압연기의 해당 스텐드를 정확히 찾아 제어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연강판을 제조하는 열연공정은, 제1도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연속주조기로부터 공급받은 슬라브(SLAB,26)를 가열로(12)에서 압연에 적당한 온도인 1100~1200℃ 로 가열하여 조압연기(14)에서 폭압연 및 두께압연을 실시하고, 마무리 압연기(16)에서 원하는 두께의 제품으로 압연을 실시하여 권취기(18)에서 코일형태의 제품으로 감아낸 후 검사반(20)을 운영하여 생산된 열연강판의 표면품질을 평가한다.
이때, 복수개의 압연 롤(F1 ~ F7)중에서 어느 하나의 롤에 이물이 치입된다든지, 통판성 불량에 의하여 압연 중인 롤에 손상을 주게 되는데, 이 손상된 롤은 생산중인 열연제품에 롤 마크라는 치명적인 표면 결함을 유발하고, 롤 마크 표면결함이 발생된 제품은 제품으로서의 가치를 잃어 버리게 된다.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열연공정에서는 롤 마크 표면 결함등의 표면 결함이 발생하면 검출이 가능한 온라인 표면흠 탐상기(SDD, SURFACE DEFECT DETECTOR, 100)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온라인 표면흠 탐상기(100)에서 롤 마크 표면결함을 발견하면, 사상압연(16)의 운전자와 검사자(20)는 표면흠 탐상기(100)에서 제공하는 검사자 단말기(104)에 나타나는 결함의 이미지를 참고하여 사상압연(16) 운전자와 검사자(20)가 가지고 있는 지식에 근거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하게 된다.
예를 들어, 온라인 롤 연마(O.R.G)를 실시하거나, 압연롤을 교체하는 동시에 일관 공정인 관계로 압연 대기중인 후속 코일에 대해서도 일련의 조치들을 취한다.
그러나 사상압연 마무리 압연기(16)는 7개의 스텐드(F1 ~ F7)로 구성되어 있으나, 롤 마크를 발생한 마무리 압연기(16)의 스텐드 넘버(F1 ~ F7)를 알 수 있는 수단이 없어, 통상 운전자와 검사자의 경험치를 근거로 하여 롤 마크 발생 스탠드(F1 ~ F7)을 판단하여 롤 연마(O.R.G)를 실시하거나, 압연하기에는 너무 치명적으로 판단되면 마무리 압연기(16)의 롤을 교체해야 하여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방법은 운전자와 검사자의 경험에 의지하여 판단하기 때문에 롤 마크의 결함을 발생시킨 해당 스탠드(F1 ~ F7)의 롤을 정확하게 알 수가 없어 마무리압연기(16)의 제품 표면에 롤마크를 발생시킨 것으로 추측되는 근접 스텐드 롤을 모두 인출하여 교체하거나, 스텐드 넘버를 잘못 인지하여 교체하는 경우에는 실제 롤 마크발생의 원인이 된 롤은 교체하지 않아 계속하여 롤 마크 결함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반복하여 롤을 교체해야 하기때문에 조치시간이 길어지고, 이로 인해 롤 원단위의 상승으로 인한 원가 상승의 원인과 연속 압연공정에서의 생산성 감소요인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표면흠 탐상기에서 얻어진 화상으로부터 롤 마크가 발생된 마무리 압연기의 롤 주기길이와 스텐드 넘버를 정확하게 알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하게 결함이 발생된 스텐드의 롤을 O.R.G하거나 교체하도록 하여, 연속 압연공정에서의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열연강판의 롤 마크 주기길이에 의한 스텐드 확인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 1 도는 종래의 열연강판 제조공정의 사시도이다.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롤 마크 주기확인 개략도이다.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표면흠 탐상기 구성도이다.
제 4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일련의 수행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제 5 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각 스텐드별 롤 마크 PITCH(주기길이) 기준을 도시한 표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속 주조기12 : 가열로
14 : 조압연기16 : 마무리 압연기(사상압연기)
18 : 권취기22 : SCC1(가열로 제어 컴퓨터)
24 : SCC2(압연기 제어 컴퓨터)100 : SDD(표면 흠 탐상기)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열연강판의 롤 마크 주기길이에 의한 결함 스텐드 확인방법은 복수의 롤러를 갖는 사상압연기에 의한 열간 압연 공정에 의해서 제작된 열간 압연강판을 검출하여 해당 열연강판의 공정계획정보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열연 강판을 촬영하여 롤 마크의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롤 마크의 주기의 길이를 연산하여 롤 마크가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주기적인 것으로 판단되면, 연산된 주기를 상기 공정계획정보에 따라서 롤러의 스텐드 별로 미리 연산되어 정해진 주기길이와 비교하여 롤 마크를 발생시킨 스텐드 번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롤 마크의 주기길이 및 롤 마크를 발생시킨 스텐드 번호를 메시지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는 스트립(STRIP,300)에 발생된 롤 마크(ROLL MARK,201)의 주기길이(202,203)와 열연강판 스트립(300)의 워크 사이드(WORK SIDE)측 폭 방향에서의 거리(205) 및 드라이브 사이드(DRIVE SIDE)측 폭 방향에서의 거리(204) 등 롤 마크의 주기 확인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
제 3도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표면흠 탐상기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표면흠 탐상기(100)는 SCC 1(22)과 SCC2(24)에 네트워크를 통하여 인터페이스되는 아카이브피씨(ARCHIVE P/C,102), 표면흠 탐상기(100)의 전체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서버 피씨(SERVER P/C,106), CCD 카메라(110), 카메라 피씨(108)로 구성된다.
SCC 1(22)과 SCC2(24)에 저장된 가열로(12), 조압연기(14), 사상압연기(16)의 공정계획정보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아카이브 피씨(102)에 전송된다. 아카이브 피씨(102)는 전송된 공정계획정보에 의해서 압연기(16)의 각 스텐드(F1 ~ F7)별 롤 마크 주기길이를 계산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흠 탐상기(100)의 검출부가 흠 탐상기의 상부를 통과하는 열연강판을 검출하면해당 열연 강판의 정보를 활성화시키고(S10), CCD카메라(110)는 강판의 이미지들을 촬영한다(S12). 촬영된 이미지를 카메라 PC(108)에서 수신하여 롤 마크의 존재여부에 따라 열연강판의 결함 유,무를판단하고(S14), 결함이 발견되면 결함 종류를 판단(S16)하여 서버피씨(106)로 전송한다
서버피씨(106)는 각 카메라 피씨(108)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결함종류을 최종 분류(S16)하고, 제3도에 도시 된 바와 같이 롤 마크(201) 결함에 대한 주기길이를 연산하여 동일한 주기길이(202,203)가 연속 2개 이상이면 롤 마크(201)가 주기성 결함으로 발생한 것으로 판단(S18)하여, 연산된 주기를 아카이브피씨(102)의 데이터 베이스에 적재된 마무리압연기(16)의 각 스텐드(F1 ~ F7)별 주기와 비교하여 결합이 발생한 스텐드 넘버(F1 ~ F7)를 추출하여, 검사자 단말기(104)에 롤 마크의 주기길이와 마무리 압연기 스텐드 넘버(F1 ~ F7)를 출력(S20)하게 된다.
또한 계속하여, 상기 표시된 롤 마크의 주기길이와 롤 마크를 발생시킨 스탠드의 롤번호에 의해서 온라인 롤 연마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롤 연마가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결합이 발생한 스탠드의 롤에 대하여 온라인 롤 연마 작업을 실시한다 (S22)(S23).
반대로, 롤 연마가 가능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압연소재추출을 대기시키고 롤 마크를 발생시킨 스탠트의 롤을 교체하는 단계를 진행한다.
제 5 도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각 스텐드별 롤 마크 PITCH(주기길이) 기준을 도시한 표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F1 스텐드 ~ F3 스텐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 롤의 최소경은 735.00mm이고, 최대경은 825.00mm이며, F4 스텐드 ~ F7 스텐드에서 사용되는 롤의최소경은 575.00mm이고, 최대경은 650.00mm이다.
상기의 조건에 따라 압연 작업을 진행하여 롤 마크 주기길이(PITCH)가 예를 들어 1,900mm일 경우 열연강판의 기본정보와 롤 마크(201)의 주기길이(202,203)를 비교하여 스탠드 7번에 의하여 롤 마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S22).
또, 다른 경우에는, 예를 들어, 롤 마크 주기길이(PITCH)가 2,150mm일 경우 표5의 ⑥번에 해당되어 열연강판의 기본정보와 롤 마크(201)의 주기길이(202,203)를 비교하여 스탠드 6번에 의하여 롤 마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S22).
표면흠 탐상기(100)에서 롤 마크(201)의 주기확인 및 주기길이를 압연 마무리압연기(16)의 각 스텐드별로 연동되는 주기길이를 비교하여 주기길이 및 압연 마무리 압연기(16)의 스텐드 넘버(F1 ~ F7)를 찾아내는 알고리즘과 그 실시 예 및 처리 순서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F1p = 마무리 압연기 1번 롤마크 주기.F2p = 마무리 압연기 2번 롤마크 주기, F3p = 마무리 압연기 3번 롤마크 주기, F4p = 마무리 압연기 4번 롤마크 주기, F5p = 마무리 압연기 5번 롤마크 주기, F6p = 마무리 압연기 6번 롤마크 주기, F7p = 마무리 압연기 7번 롤마크 주기, defect.class = 롤마크 class 넘버(3,18), P1 = 주기확인 첫번째 롤마크(201), P2 = 주기확인 두번째 롤마크(202), min_count = 롤마크 주기 개수, max_count = 주기확인 롤마크 개수, size.0 = 열연강판 폭방향에서의 거리(204), size.1 = 열연강판 폭방향에서의거리(205), org = 온라인 롤 연마 장치 (on, off), message = 롤마크의 주기길이와 마무리 압연기 스텐드 넘버 출력(on,off)이다.
1) Default (org = off) && (message = off);
마무리 압연중 표면흠탐상기에서 롤마크가 발생치 않으면 온라인 롤연마 장치는 가동하지 않고, 검사단말기에 롤마크 주기길이와 마무리 압연기 스텐드 넘버를 출력하지 않는다.
2) 롤마크 주기확인 및 제어 프로세스
(1) If ((defect.class = 3, 18) && ((P1 - P2) <= |50|) &&
(min_count >= 3) && (max_count <= 10)
&& (size.0 || size.1 ) <= |40|)
&& (F7p - P1 || F7p - P2) <= |50|)) {
(org = on) && (message = on);}
마무리 압연기 스텐드 넘버 7번에서 롤 마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온라인 롤 연마장치를 가동시키고 검사단말기에 message 출력한다.
(2) else If ((defect.class = 3, 18) && ((P1 - P2) <= |50|) &&
(min_count >= 3) && (max_count <= 10)
&& (size.0 || size.1 ) <= |40|)
&& (F6p - P1 || F6p - P2) <= |50|)) {
(org = on) && (message = on);}
마무리 압연기 스텐드 넘버 6번에서 롤마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온라인 롤 연마장치를 가동시키고 검사단말기에 message 출력한다.
(3)else If ((defect.class = 3, 18) && ((P1 - P2) <= |50|) &&
(min_count >= 3) && (max_count <= 10)
&& (size.0 || size.1 ) <= |40|)
&& (F5p - P1 || F5p - P2) <= |50|)) {
(org = on) && (message = on);}
마무리 압연기 스텐드 넘버 5 번에서 롤마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온라인 롤 연마장치를 가동시키고 검사단말기에 message 출력한다.
(4) else If ((defect.class = 3, 18) && ((P1 - P2) <= |50|) &&
(min_count >= 3) && (max_count <= 10)
&& (size.0 || size.1 ) <= |40|)
&& (F4p - P1 || F4p - P2) <= |50|)) {
(org = on) && (message = on);}
마무리 압연기 스텐드 넘버 4 번에서 롤마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온라인 롤 연마장치를 가동시키고 검사단말기에 message 출력한다.
(5) else If ((defect.class = 3, 18) && ((P1 - P2) <= |50|) &&
(min_count >= 3) && (max_count <= 10)
&& (size.0 || size.1 ) <= |40|)
&& (F3p - P1 || F3p - P2) <= |50|)) {
(org = on) && (message = on);}
마무리 압연기 스텐드 넘버 3번에서 롤마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온라인 롤 연마장치를 가동시키고 검사단말기에 message 출력한다.
(6) else If ((defect.class = 3, 18) && ((P1 - P2) <= |50|) &&
(min_count >= 3) && (max_count <= 10)
&& (size.0 || size.1 ) <= |40|)
&& (F2p - P1 || F2p -P2) <= |50|)) {
(org = on) && (message = on);}
마무리 압연기 스텐드 넘버 2번에서 롤마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온라인 롤 연마장치를 가동시키고 검사단말기에 message 출력한다.
(7) else If ((defect.class = 3, 18) && ((P1 - P2) <= |50|) &&
(min_count >= 3) && (max_count <= 10)
&& (size.0 || size.1 ) <= |40|)
&& (F1p P1 || F1p - P2) <= |50|)) {
(org = on) && (message = on);}
마무리 압연기 스텐드 넘버 2번에서 롤마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온라인 롤 연마장치를 가동시키고 검사단말기에 메세지를 출력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열간 압연공정에서 롤 마크가 발생된 마무리 압연기의 롤 주기길이와 스텐드 넘버를 정확하게 알 수 있도록 하여 결함이 발생된 스텐드의 롤에 대해 O.R.G를 실시하거나, 롤 교체를 하고자 할 때 작업시간을 감소시켜 롤 원단위를 향상시켜 원가를 절감하고, 제품 품질을 향상시키며, 작업지연으로 인한 대기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Claims (4)

  1. 복수의 롤러를 갖는 사상압연기에 의한 열간 압연 공정에 의해서 제작된 열간 압연강판을 검출하여 해당 열연강판의 공정계획정보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열연 강판을 촬영하여 롤 마크의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롤 마크의 주기의 길이를 연산하여 롤 마크가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주기적인 것으로 판단되면, 연산된 주기를 상기 공정계획정보에 따라서 롤러의 스텐드 별로 미리 연산되어 정해진 주기길이와 비교하여 롤 마크를 발생시킨 스텐드 번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롤 마크의 주기길이 및 롤 마크를 발생시킨 스텐드 번호를 메시지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연강판의 롤 마크 주기길이에 의한 결함 스텐드 확인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롤 마크의 주기길이가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볼 마크의 주기길이를 연산하여 동일한 길이 주기가 연속 2개 이상이면 롤 마크가 주기적인 결함인 것으로 판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롤 마크의 주기길이와 롤 마크를 발생시킨 스탠드의 롤번호에 의해서 온라인 롤 연마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롤 연마가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결합이 발생한 스탠드의 롤에 대하여 온라인 롤 연마 작업을 실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롤 연마가 가능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압연소재추출을 대기시키고 롤 마크를 발생시킨 스탠트의 롤을 교체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KR1020010080039A 2001-12-17 2001-12-17 열연강판의 롤 마크 주기길이에 의한 결함 스텐드 확인방법 KR200300497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0039A KR20030049735A (ko) 2001-12-17 2001-12-17 열연강판의 롤 마크 주기길이에 의한 결함 스텐드 확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0039A KR20030049735A (ko) 2001-12-17 2001-12-17 열연강판의 롤 마크 주기길이에 의한 결함 스텐드 확인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9735A true KR20030049735A (ko) 2003-06-25

Family

ID=29575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0039A KR20030049735A (ko) 2001-12-17 2001-12-17 열연강판의 롤 마크 주기길이에 의한 결함 스텐드 확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4973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434B1 (ko) * 2001-12-26 2008-05-26 주식회사 포스코 열연강판의 표면결함에 따른 오알지 자동 제어방법
KR100838723B1 (ko) * 2001-12-05 2008-06-16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표면 결함부의 검출 및 평점산출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8627A (ja) * 1994-01-06 1995-08-01 Nippon Steel Corp 金属表面欠陥検査装置
JP2000028547A (ja) * 1998-07-09 2000-01-28 Nkk Corp 鋼板の表面欠陥検査装置
JP2001242089A (ja) * 2000-02-28 2001-09-07 Nkk Corp 表面欠陥の検出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8627A (ja) * 1994-01-06 1995-08-01 Nippon Steel Corp 金属表面欠陥検査装置
JP2000028547A (ja) * 1998-07-09 2000-01-28 Nkk Corp 鋼板の表面欠陥検査装置
JP2001242089A (ja) * 2000-02-28 2001-09-07 Nkk Corp 表面欠陥の検出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723B1 (ko) * 2001-12-05 2008-06-16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표면 결함부의 검출 및 평점산출장치
KR100832434B1 (ko) * 2001-12-26 2008-05-26 주식회사 포스코 열연강판의 표면결함에 따른 오알지 자동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83632B2 (ja) 連続鋳造装置および連続鋳造方法
JP5828817B2 (ja) 条鋼材の形状検査方法
US20180174316A1 (en) Surface state monitoring apparatus for metallic body and surface state monitoring method for metallic body
JP2013075326A (ja) 熱間圧延設備
WO2020137151A1 (ja) 学習済みモデルの生成方法、学習済みモデル、表面欠陥検出方法、鋼材の製造方法、合否判定方法、等級判定方法、表面欠陥判定プログラム、合否判定プログラム、判定システム、及び鋼材の製造設備
JP5558637B2 (ja) ストリップ部分の表面検査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0838722B1 (ko) 열간압연공정에서의 스트립표면 결함부 검색장치
JP2002156333A (ja) 表面検査装置
KR101913413B1 (ko) 열간 압연롤성 결함 검출방법
KR20030049735A (ko) 열연강판의 롤 마크 주기길이에 의한 결함 스텐드 확인방법
JP2001321829A (ja) 鋼板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6402737B2 (ja) 鋼材非圧下部幅検出装置及びその方法
JP5304369B2 (ja) 熱延鋼帯幅方向端部の疵防止方法および装置
JP2010253526A (ja) 熱延鋼帯の製造方法
JP2013180322A (ja) 熱間圧延設備
JP7464208B1 (ja) 金属帯の欠陥検出装置、金属帯の冷間圧延装置、金属帯の欠陥検出方法及び、金属帯の冷間圧延方法
KR20190130319A (ko) 롤 피치 계산 장치 및 방법
KR20010063547A (ko) 압연소재 단면형상 측정장치
JP2020001065A (ja) 鋼材非圧下部幅検出装置及びその検出方法
KR100836451B1 (ko) 열간압연공정에서 롤마크 표면결함 감소방법
TWI779910B (zh) 偵測邊導器鋼帶品質的軋延系統與偵測方法
JP2012030260A (ja) ロール疵起因ロールの特定方法
JP5359388B2 (ja) 板破断判定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熱間仕上圧延における圧延方法および装置
KR101363858B1 (ko) 냉연 강판 제조 장치
KR100957915B1 (ko) 스트립 표면 결함 제거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