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9713A - 광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광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9713A
KR20030049713A KR1020010080014A KR20010080014A KR20030049713A KR 20030049713 A KR20030049713 A KR 20030049713A KR 1020010080014 A KR1020010080014 A KR 1020010080014A KR 20010080014 A KR20010080014 A KR 20010080014A KR 20030049713 A KR20030049713 A KR 20030049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ecording
ecc
code
syn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0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3227B1 (ko
Inventor
황성희
이윤우
한성휴
류상현
주영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0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3227B1/ko
Priority to TW091120254A priority patent/TWI229321B/zh
Priority to EP02256330A priority patent/EP1324335A3/en
Priority to CNB021443130A priority patent/CN1303592C/zh
Priority to JP2002354229A priority patent/JP2003208763A/ja
Priority to US10/320,739 priority patent/US7062699B2/en
Publication of KR20030049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9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3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32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4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sensing features on the record carrier other than the transducing track ; sensing signals or marks recorded by another method than the main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45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7Tracks or pits;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thereof
    • G11B7/24085P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20/1218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 G11B2020/1222ECC block, i.e. a block of error correction encoded symbols which includes all parity data needed for deco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64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kind of data
    • G11B2020/1265Control data, system data or management information, i.e. data used to access or process user data
    • G11B2020/1267Address data
    • G11B2020/1269Absolute time in pregroove [ATIP] inform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6Rewritabl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8Write-onc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G11B2220/2566DVDs belonging to the minus family, i.e. -R, -RW, -V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G11B2220/257DVDs belonging to the plus family, i.e. +R, +RW, +V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G11B2220/2575DVD-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의 주소지정가능 단위 영역이 마련된 광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주소지정가능 단위 영역에 각각 싱크 코드와 데이터로 구성된 62 개의 싱크 프레임을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기록가능 광 디스크, 특히 기록가능 컴팩트 디스크에 보다 높은 기록 밀도로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of recording data on an optical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기록가능한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록가능 컴팩트 디스크에 고밀도로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을 기반으로 데이터의 크기가 비교적 큰 비디오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의 송수신이 빈번해지고 있다. 이에, 이들 데이터를 쉽게 기록해두고 재생할 수 있는 고밀도 기록매체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기록가능한 정보저장매체로서 CD-R, CD-RW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CD-R은 한번만 기록가능하며 CD-RW는 반복하여 기록가능하다. 그러나, CD-R, CD-RW의 기록 포맷에 따르면 대략 650 MB의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을 뿐이다.
한편, D-RW, DVD+RW 및 DVD-RAM은 대략 4.7 GB의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그러나 지금의 시장 상황을 살펴보면 DVD-ROM이 점차로 보급되고 있을 뿐, 기록가능한 DVD 및 DVD에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드라이브는 대부분의 일반 사용자들에게 아직 보급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록가능 디스크에 고밀도로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록가능 컴팩트 디스크에 고밀도로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 및 1b는 컴팩트 디스크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록장치의 블록도,
도 3은 도 2의 구현예,
도 4는 1 논리 섹터의 구성도,
도 5 및 6은 1 ECC 블록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리빙의 기초가 되는 ECC 블록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7 내지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리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라 도 6의 ECC 블록 A 및 B를 대상으로 인터리빙을 수행하여 기록 블록을 생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참고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1 물리 섹터의 구성도,
도 14는 주소지정가능 단위 영역에 본 발명에 따라 기록된 데이터 구조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16은 본 실시예에 따른 기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복수개의 주소지정가능 단위 영역이 마련된 광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주소지정가능 단위 영역에 각각 싱크 코드와 데이터로 구성된 62 개의 싱크 프레임을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디스크 제조 과정에서 미리 기록된 어드레싱 정보에 의해 지정된 복수개의 물리 섹터 영역을 포함하는 컴팩트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물리 섹터 영역에 2 물리 섹터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a)단계는 각각 싱크 코드와 77 바이트의 데이터로 구성된 62 개의 싱크 프레임을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단계는 (a1) 사용자 데이터와 헤더 정보에 에러 검출 코드를 부가하는 단계; (a2) ECC(Error Correction Code) 인코딩을 수행하는 단계; (a3) 인터리빙을 수행하는 단계; (a4) 채널 변조를 수행하는 단계; (a5) 77 바이트 데이터에 해당하는 채널 비트열에 싱크 코드를 부가하여 하나의 싱크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a6) 상기 물리 섹터 영역에 62 개의 싱크 프레임을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2)단계는 리드-솔로몬 프로덕트 코드로 148×112 바이트 메인 데이터와 6 바이트의 PI(Parity Inner)와 12 행의 PO(Parity Out)이 부가된 ECC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3)단계는 (a31) 두 개의 N1×N2 바이트 ECC 블록들에 대해 각각 열 방향으로 N1과 N2의 최대 공약수 d 바이트 단위로 분할하는 단계; (a32) 분할된 d×N1 바이트의 대상 블록들을 각각 열 방향 및 행 방향으로 d 개의 부분으로 분할하여 d×d 개의 파티션들을 얻는 단계; 및 (a33) 상기 두 개의 ECC 블록들이 교번적으로 선택되도록 소정 파티션에 속하는 데이터를 인터리브하여 기록 블록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3)단계는 인터리빙을 수행하여 16개의 기록 단위로 구성된 기록 블록을 생성하며, 상기 기록 단위는 154×15.5 바이트의 크기를 가지며, 1.5 행의 PO를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a4)단계는 1 바이트의 데이터를 15.3 채널 비트로 변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듀얼(Dual) 변조 방식에 따르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디스크 제조 과정에서 미리 기록된 어드레싱 정보에 의해 지정된 복수개의 물리 섹터 영역을 포함하는 컴팩트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데이터와 헤더 정보를 인코딩하는 인코딩부; 인코딩된 데이터를 채널 변조하는 변조부; 변조된 데이터에 싱크 코드를 부가하는 싱크부; 및 상기 주소지정가능 단위 영역에 각각 싱크 코드와 데이터로 구성된 62 개의 싱크 프레임을 기록하는 기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인코딩부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와 헤더 정보에 에러 검출 코드를 부가하는 EDC 애더; 에러 검출 코드가 부가된 사용자 데이터와 헤더 정보를 리드-솔로몬 코드로 ECC 인코딩하여 ECC 블록을 생성하는 ECC 인코더; 및 생성된 ECC 블록에 대해 인터리빙을 수행하는 인터리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EDC 애더는 각각 2048 바이트 사용자 데이터, 헤더 정보 및 에러 검출 코드가 포함된 172×14 바이트 논리 섹터를 생성하고, 상기 ECC 인코더는 상기 논리 섹터 8 개에 리드-솔로몬 프로덕트 코드로 6 바이트의 PI(Parity Inner)와 12 행의 PO(Parity Out)이 부가된 154×124 바이트 ECC 블록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터리버는 제1 및 제2 ECC 블록을 각각 행 방향으로 두 부분으로 나누고 열 방향으로 2 행을 단위로 분할하여 각각 4 개의 파티션이 포함된 56 개의 대상 블록으로 분할한 다음, 제1 ECC 블록에 속하는 대상 블록과 제2 ECC 블록에 속하는 대상 블록의 파티션이 교번적으로 선택되도록 데이터를 인터리빙하여 기록 블록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싱크부는 77 바이트에 해당하는 채널 비트열에 32 채널 비트의 싱크 코드를 부가된 싱크 프레임 31개로 구성된 1 물리 섹터를 생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1b는 컴팩트 디스크의 개략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기록가능 컴팩트 디스크(100)에는 나선형의 트랙이 형성되어 있다. 트랙은 랜드 트랙과 그루브 트랙으로 구분된다. 도 1b를 참조하면, 알파벳 G는 그루브 트랙을, 알파벳 L은 랜드 트랙을 가리킨다. 그루브 트랙에는컴팩트 디스크(100)의 반지름 방향으로 ±0.03㎛ 정도 워블링(wobbling)되어 있다. 워블링된 트랙으로부터 푸시-풀 채널(push-pull channel)을 통해 검출된 신호는 워블 신호라고 부른다. 워블 신호에는 디스크 상의 절대 시간 정보, 즉 ATIP(Absolute Time In Pregroove) 정보가 주파수 변조되어 실려 있다. ATIP 정보는 일종의 어드레스 정보이다. 따라서, ATIP 정보를 기초로 1 물리 섹터 영역이 정해진다. 기존의 기록 포맷(format)에 따르면「1 물리 섹터 영역」, 즉 「1 ATIP 섹터」에는 사용자 데이터 2048 바이트(1 물리 섹터)가 기록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데이터 4096 바이트(2 물리 섹터)를 기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록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록장치는 도 1a 및 1b의 컴팩트 디스크(100)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장치로서, 인코딩부(1), 변조부(2), 싱크부(3) 및 기록부(4)를 구비한다.
인코딩부(1)는 사용자 데이터와 헤더 정보를 인코딩한다. 변조부(2)는 인코딩된 데이터를 채널 비트열로 변조한다. 싱크부(3)는 변조된 채널 비트열의 소정 위치에 소정 채널 비트의 싱크 코드를 부가한다. 기록부(4)는 컴팩트 디스크(100)에 싱크 코드가 포함된 채널 비트열을 기록한다. 본 발명에 따라 1 물리 섹터 영역에 2 물리 섹터, 즉 62 개의 싱크 프레임(sync frame)이 기록된다. 1 싱크 프레임은 소정 채널 비트의 싱크 코드와 77 바이트의 데이터로 구성된다.
도 3은 도 2의 구현예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기록장치는 EDC 애더(adder)(11), ECC 인코더(12), 인터리버(13), 변조부(32), 싱크부(33) 및 기록부(34)를 구비한다.
EDC 애더(11)는 사용자 데이터와 헤더 정보에 EDC(Error Detection Code)를 부가하여 논리 섹터를 생성한다. ECC 인코더(12)는 리드-솔로몬 프로덕트 코드(Reed-Solomon Product Code)로 ECC 인코딩하여 복수개의 논리 섹터들에 패리티, 즉 PI(Parity Inner)와 PO(Parity Out)가 부가된 ECC 블록을 생성한다. 리드-솔로몬 프로덕트 코드는 다중 오류를 정정하는 강력한 코드로 알려져 있다. 다만, 채용되는 코드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ECC 블록의 크기, PI 및 PO에 할당되는 바이트 수 또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인터리버(13)는 두 개의 ECC 블록에 대해 인터리빙을 수행하여 기록 블록을 생성한다. 제1 및 제2 ECC 블록을 각각 행 방향으로 두 부분으로 나누고 열 방향으로 2 행을 단위로 분할하여 각각 4 개의 파티션이 포함된 56 개의 대상 블록으로 분할한 다음, 제1 ECC 블록에 속하는 대상 블록과 제2 ECC 블록에 속하는 대상 블록의 파티션이 교번적으로 선택되도록 데이터를 인터리빙하여 기록 블록을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변조부(32)는 Dual 변조 방식에 따라 1 바이트의 데이터를 15.3 채널 비트로 변조한다. 싱크부(33)는 채널 비트열에 Dual 변조 방식에 따른 32 채널 비트의 싱크 코드를 부가한다. Dual 변조 방식은 본 출원인에 의해 1999년 9월 30일자로 출원되고 2000년 11월 25일자로 공개된 한국 특허출원 제99-42032호 "개선된 DC 억압 능력을 갖는 RLL 코드 배치 방법, 변복조 방법 및 복조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Dual 변조 방식에 따르면 코드열의 DC 억압 제어를 위해 억압 제어가 가능한 코드그룹쌍을 배치하고, 코드 그룹쌍 내에 동일한 소스 코드에 해당하는 코드의 코드 워드 내의 DC값을 나타내는 파라미터(CSV)의 부호와 다음 코드 워드의 DSV(Digital Sum Value) 천이 방향을 예측하는 파라미터(INV)의 특징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배치한 (1,8,8,12) 코드를 사용한다. 기록부(34)는 본 발명에 따라 2 물리 섹터를 1 ATIP 섹터에 기록한다. 본 발명에 따른 1 물리 섹터는 31 개의 싱크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1 싱크 프레임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32 채널 비트의 싱크 코드와 77 바이트의 데이터로 구성된다. 1 물리 섹터의 상세한 구성은 후술한다.
도 4는 1 논리 섹터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EDC 애더(11)에 의해 생성되는 1 논리 섹터는 본 실시예에 따라 172×14 바이트의 크기를 가지며 사용자 데이터 2048 바이트, 헤더 정보 20 바이트 및 EDC 4 바이트로 구성된다.
도 5 및 6은 1 ECC 블록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ECC인코더(12)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논리 섹터 8개에 PI와 PO를 부가하여 154 ×124 바이트 ECC 블록을 생성한다. 행 방향으로 148 바이트의 데이터에 6 바이트의 PI가 부가된 코드 워드가 배치되어 있고, 열 방향으로 112 행의 코드 워드와 12 행의 PO가 배치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터리빙은 2 개의 ECC 블록 A 및 B를 기초로 수행된다. PI와 PO를 제외한 나머지는 메인 데이터라고 불리운다.
도 7 내지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리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7 및 8을 참조하면, ECC 블록 A 및 B는 각각 행 방향으로 N1 바이트,열(column) 방향으로 N2 바이트의 데이터로 구성된다고 가정하면 인터리빙은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먼저 ECC 블록 A 및 B를 각각 열 방향으로 d 행을 단위로 분할한다. 여기서, d는 N1과 N2의 공약수이다. ECC 블록 A 및 B를 각각 열 방향으로 나누어 얻어진 블록을 대상 블록이라고 부른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터리빙은 ECC 블록 A 및 B에 각각 속하는 두 개의 대상 블록 a 및 b를 단위로 수행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터리빙 알고리즘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대상 블록 a 및 b를 각각 열 방향으로 각 행을 기준으로 분할한다. 이에, 대상 블록 a 및 b는 각각 d ×d 개의 파티션으로 나뉘어진다. 결과적으로, 대상 블록 a 및 대상 블록 b로부터 2 ×d ×d 파티션이 생성된다. 이들 파티션은 1_1, 1_2,‥, 1_2×d, 2_1, 2_2,‥, 2_2×d,‥, d_1, d_2,‥, d_2×d이다. 최종적으로 얻어진 파티션 1_1, 1_2,‥, 1_2×d, 2_1, 2_2,‥, 2_2×d,‥, d_1, d_2,‥, d_2×d 각각에는 N1/d개의 바이트 단위 데이터가 존재한다.
다음으로, 번호 순서대로 파티션에서 데이터를 추출한다. 즉, 먼저 파티션 1_1에서 데이터를 추출하고, 두 번째로 파티션 1_2에서 데이터를 추출하고,‥, 2×d번째로 파티션 1_2×d에서 데이터를 추출한다. 다시 파티션 1_1에서 2×d+1번째로 데이터를 추출하고, 파티션 1_2에서 2×d+2번째로 데이터를 추출하고,‥, 파티션 1_2×d에서 2×d+2×d번째로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런 순서로 파티션 1_1, 1_2,‥,1_2×d에서 모두 데이터를 추출한 다음, 마찬가지로 파티션 2_1, 2_2,‥,2_2×d에서 번갈아 가며 데이터를 하나씩 추출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d행 단위로 반복해서 수행한다. 그 결과 생성된 블록은 도 3과 같다.
도 9를 참조하면, 생성된 블록은 2×(N2-k2)행의 데이터와 2×k2 행의 외부 패리티 구간으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블록의 행 방향으로 기록된 숫자들은 각 파티션에 존재하는 바이트 단위 데이터에 부여된 일련번호를 가리킨다. 즉, 도 7 및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인터리빙이 수행되면 바이트 단위 데이터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순서로 배열된다.
한편, 대상 블록 a 및 b를 예를 들어 일련번호를 부여하는 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대상 블록 a 및 b의 각 파티션에는 N1/d개의 바이트 단위 데이터가 존재하는 바, 이들에는 다음과 같이 일련번호가 부여된다.
파티션 1_1: 1~2×N1의 수 중에서 2×d로 나눈 나머지가 1인 N1/d 개의 수가 순서대로 배열됨.
파티션 1_2: 1~2×N1의 수 중에서 2×d로 나눈 나머지가 2인 N1/d 개의 수가 순서대로 배열됨.
...
파티션 1_2×d: 1~2×N1의 수 중에서 2×d로 나눈 나머지가 0인 N1/d 개의 수가 순서대로 배열됨.
파티션 2_1: 2×N1+1~2×N1+2×N1의 수 중에서 2×d로 나눈 나머지가 1인 N1/d 개의 수가 순서대로 배열됨.
파티션 2_2: 2×N1+1~2×N1+2×N1의 수 중에서 2×d로 나눈 나머지가 2인N1/d 개의 수가 순서대로 배열됨.
...
파티션 2_2×d: 2×N1+1~2×N1+2×N1의 수 중에서 2×d로 나눈 나머지가 0인 N1/d 개의 수가 순서대로 배열됨.
...
파티션 d_1: (d-1)×2×N1+1~d×2×N1의 수 중에서 2×d로 나눈 나머지가 1인 N1/d 개의 수가 순서대로 배열됨.
파티션 d_2: (d-1)×2×N1+1~d×2×N1의 수 중에서 2×d로 나눈 나머지가 2인 N1/d 개의 수가 순서대로 배열됨.
...
파티션 d_2×d: (d-1)×2×N1+1~d×2×N1의 수 중에서 2×d로 나눈 나머지가 0인 N1/d 개의 수가 순서대로 배열됨.
이를 일반화시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파티션 m_n: (m-1)×2×N1+1~m×2×N1의 수 중에서 2×d로 나눈 나머지가 n인 N1/d 개의 수가 순서대로 배열됨.
도 10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파티션 1_1에 속하는 N1/d개의 바이트 단위 데이터에는 순차적으로 1, 1+2d, 1+4d, ..., 1+2N1-4d, 1+2N1-2d라는 수가 부여된다. 즉, 파티션 1_1에는 N1/d개의 바이트 단위 데이터가 존재하며, 이들 중 첫 번째 바이트에는 1, 두 번째 바이트에는 1+2d번, 세 번째 바이트에는 1+4d, ..., (N1/d)-1 번째 바이트에는 1+2N1-4d번, N1/d 번째 바이트에는 1+2N1-2d번이 부여된다.
도 11은 도 9의 블록을 기초로 재배열된 기록 블록의 개략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9의 블록에 포함된 2×k2 행의 PO를 2×k2/16 행씩 균일한 간격으로 삽입함으로써 생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라 도 6의 ECC 블록 A 및 B를 대상으로 인터리빙을 수행하여 기록 블록을 생성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ECC 블록 A 및 B를 각각 행 방향으로 2 행을 단위로 분할하면 인터리브 수행 단위인 대상 블록 a 및 b에는 8 개의 파티션 ①, ②, ③, ④, ⑤, ⑥, ⑦, ⑧이 존재한다. 대상 블록 a는 ECC 블록 A에 속하며, 대상 블록 b는 ECC 블록 B에 속한다. 파티션 ①에는 1, 5, 9,‥, 305번의 데이터가 존재하고, 파티션 ②에는 309,‥,613번의 데이터가 존재하며, 파티션 ③에는 2, 6, 10,‥, 306번의 데이터가 존재하고, 파티션 ④에는 310,‥,614번의 데이터가 존재한다. 파티션 ⑤에는 311,‥,615번의 데이터가 존재하고, 파티션 ⑥에는 3, 7, 11,‥, 307번의 데이터가 존재하며, 파티션 ⑦에는 312,‥,616번의 데이터가 존재하며, 파티션 ⑧에는 4, 8, 12,‥, 308번의 데이터가 존재한다.
인터리빙을 위해 먼저 파티션 ①에서 첫 번째 데이터를 추출하고, 파티션 ③에서 두 번째 데이터를 추출하고, 파티션 ⑥에서 세 번째 데이터를 추출하고, 파티션 ⑧에서 네 번째 데이터를 추출한다. 다시 파티션 ①에서 다섯 번째 데이터를 추출하고, 파티션 ③에서 여섯 번째 데이터를 추출하고, 파티션 ⑥에서 일곱 번째 데이터를 추출하고, 파티션 ⑧에서 여덟 번째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렇게 파티션 ①, ③, ⑥, ⑧에서 모두 데이터를 추출한 이후에는 다시 파티션 ②, ④, ⑤, ⑦에서 번갈아가며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2행 단위로 반복해서 수행한다. 한편, ECC 블록 A 및 B의 PO는 모두 24 행이므로 1.5 행씩 각 기록 단위에 균등하게 배분한다. 그 결과 기록 블록이 생성된다.
기록 블록은 16개의 기록 단위로 구성된다. 각 기록 단위는 154×15.5 바이트의 크기를 가진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1 물리 섹터의 구성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1 물리 섹터는 도 12의 1 기록 단위에 속하는 데이터를 77 바이트에 싱크 코드가 더해져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싱크 코드는 Dual 코딩 방식에 따라 32 채널 비트로 구성된다. 32 채널 비트의 싱크 코드와 77 바이트의 데이터를 1 싱크 프레임이라고 하면 1 섹터 데이터는 31 싱크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싱크 코드에 할당되는 채널 비트의 수 및 싱크 코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4는 주소지정가능 단위 영역에 본 발명에 따라 기록된 데이터 구조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기록가능 컴팩트 디스크의 1 주소지정가능 단위 영역(addressable unit area)인 1 물리 섹터 영역에는 2 개의 물리 섹터가 기록된다. 각 물리 섹터는 31 개의 싱크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각 싱크 프레임은 32 채널 비트의 싱크 코드와 77 바이트의 사용자 데이터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기초로 본 발명에 따른 기록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기록장치는 기록가능 컴팩트 디스크의 제조과정에서 미리 기록된 어드레싱 정보에 의해 지정된 하나의 물리 섹터 영역에 2 물리 섹터, 즉 32 채널 비트의 싱크 코드와 77 바이트의 데이터로 각각 구성된 62 개의 싱크 프레임을 기록한다(1501단계).
도 16은 본 실시예에 따른 기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기록장치의 EDC 애더(11)는 2048 바이트의 사용자 데이터와 헤더 정보에 EDC를 부가하여 1 논리 섹터를 생성한다(1601단계). ECC 인코더(12)는 리드-솔로몬 프로덕트 코드로 ECC 인코딩하여 6 바이트 PI와 12 행의 PO가 부가된 154×124 바이트의 ECC 블록을 생성한다(1602단계). 인터리버(13)는 두 개의 ECC 블록에 대해 인터리빙을 수행하여 16개의 기록 단위로 구성된 기록 블록을 생성한다(1603단계). 변조부(32)는 Dual 변조 방식에 따라 1 바이트의 데이터를 15.3 채널 비트로 변조한다(1604단계). 싱크부(33)는 채널 비트열에 Dual 변조 방식에 따라 32 채널 비트의 싱크 코드를 부가하여 1 싱크 프레임을 생성한다(1605단계). 기록부(34)는 본 발명에 따라 1 물리 섹터 영역에 2 물리 섹터, 즉 62 개의 싱크 프레임을 기록한다(1606단계).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록가능 광 디스크, 특히 기록가능 컴팩트 디스크에 보다 높은 기록 밀도로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즉, 종래기록가능 CD의 1 ATIP 섹터에는 사용자 데이터 2048바이트가 기록되기 위해 총 98 EFM(Eight-to-Fourteen Modulation) 프레임, 즉 57624 채널 비트(약 3390 바이트)의 데이터가 기록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1 ATIP 섹터에 2개의 물리 섹터가 기록되며 각 물리 섹터에는 2449 바이트(싱크 32 채널 비트(2 바이트) + 헤더 정보 20 바이트 + 사용자 데이터 2048 바이트 + EDC 4 바이트)가 기록되므로 종래에 비해 약 1.384(3390/2449) 배 더 높은 기록 밀도를 갖게 된다.
나아가, 듀얼 변조 방식에 따르면 종래 8 바이트가 17 채널 비트로 변조됨에 비해 15.3 채널 비트로 변조되므로 약 1.1배 기록 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최소 마크 길이를 기존 0.833㎛에서 0.627㎛로 줄이면 1.33배 기록 밀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듀얼 변조 방식을 함께 채용한다면 총 2.04배 높은 기록 밀도를 얻을 수 있다. 최소 마크 길이를 줄이는 것은 재생 품질이 보장되는 한도 내에게 가능하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ECC 블록 및 인터리빙 방식에 따르면 버스트 에러에 대한 에러 정정율이 높아지므로 최소 마크 길이를 0.627 ㎛로 줄이더라도 어느 정도 재생 품질이 보장되기 때문이다.

Claims (16)

  1. 복수개의 주소지정가능 단위 영역이 마련된 광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주소지정가능 단위 영역에 각각 싱크 코드와 데이터로 구성된 62 개의 싱크 프레임을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디스크 제조 과정에서 미리 기록된 어드레싱 정보에 의해 지정된 복수개의 물리 섹터 영역을 포함하는 컴팩트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물리 섹터 영역에 2 물리 섹터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각각 싱크 코드와 77 바이트의 데이터로 구성된 62 개의 싱크 프레임을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a1) 사용자 데이터와 헤더 정보에 에러 검출 코드를 부가하는 단계;
    (a2) ECC(Error Correction Code) 인코딩을 수행하는 단계
    (a3) 인터리빙을 수행하는 단계;
    (a4) 채널 변조를 수행하는 단계;
    (a5) 77 바이트 데이터에 해당하는 채널 비트열에 싱크 코드를 부가하여 하나의 싱크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a6) 상기 물리 섹터 영역에 62 개의 싱크 프레임을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2)단계는
    리드-솔로몬 프로덕트 코드로 148×112 바이트 메인 데이터와 6 바이트의 PI(Parity Inner)와 12 행의 PO(Parity Out)이 부가된 ECC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3)단계는
    (a31) 두 개의 N1×N2 바이트 ECC 블록들에 대해 각각 열 방향으로 N1과 N2의 최대 공약수 d 바이트 단위로 분할하는 단계;
    (a32) 분할된 d×N1 바이트의 대상 블록들을 각각 열 방향 및 행 방향으로 d 개의 부분으로 분할하여 d×d 개의 파티션들을 얻는 단계; 및
    (a33) 상기 두 개의 ECC 블록들이 교번적으로 선택되도록 소정 파티션에 속하는 데이터를 인터리브하여 기록 블록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3)단계는
    인터리빙을 수행하여 16개의 기록 단위로 구성된 기록 블록을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단위는 154×15.5 바이트의 크기를 가지며, 1.5 행의 PO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4)단계는 1 바이트의 데이터를 15.3 채널 비트로 변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4)단계는 듀얼(Dual) 변조 방식에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디스크 제조 과정에서 미리 기록된 어드레싱 정보에 의해 지정된 복수개의 물리 섹터 영역을 포함하는 컴팩트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데이터와 헤더 정보를 인코딩하는 인코딩부;
    인코딩된 데이터를 채널 변조하는 변조부;
    변조된 데이터에 싱크 코드를 부가하는 싱크부; 및
    상기 주소지정가능 단위 영역에 각각 싱크 코드와 데이터로 구성된 62 개의 싱크 프레임을 기록하는 기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부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와 헤더 정보에 에러 검출 코드를 부가하는 EDC 애더;
    에러 검출 코드가 부가된 사용자 데이터와 헤더 정보를 리드-솔로몬 코드로 ECC 인코딩하여 ECC 블록을 생성하는 ECC 인코더; 및
    생성된 ECC 블록에 대해 인터리빙을 수행하는 인터리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EDC 애더는 각각 2048 바이트 사용자 데이터, 헤더 정보 및 에러 검출 코드가 포함된 172×14 바이트 논리 섹터를 생성하고,
    상기 ECC 인코더는 상기 논리 섹터 8 개에 리드-솔로몬 프로덕트 코드로 6 바이트의 PI(Parity Inner)와 12 행의 PO(Parity Out)이 부가된 154×124 바이트 ECC 블록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리버는
    제1 및 제2 ECC 블록을 각각 행 방향으로 두 부분으로 나누고 열 방향으로 2 행을 단위로 분할하여 각각 4 개의 파티션이 포함된 56 개의 대상 블록으로 분할한다음, 제1 ECC 블록에 속하는 대상 블록과 제2 ECC 블록에 속하는 대상 블록의 파티션이 교번적으로 선택되도록 데이터를 인터리빙하여 기록 블록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리버는
    제1 ECC 블록의 대상 블록에 속하는 파티션 ①에는 1, 5, 9,‥, 305번의 데이터가 존재하고, 파티션 ②에는 309,‥,613번의 데이터가 존재하며, 파티션 ③에는 2, 6, 10,‥, 306번의 데이터가 존재하고, 파티션 ④에는 310,‥,614번의 데이터가 존재하고, 제1 ECC 블록의 대상 블록에 속하는 파티션 ⑤에는 311,‥,615번의 데이터가 존재하고, 파티션 ⑥에는 3, 7, 11,‥, 307번의 데이터가 존재하며, 파티션 ⑦에는 312,‥,616번의 데이터가 존재하며, 파티션 ⑧에는 4, 8, 12,‥, 308번의 데이터가 존재할 때
    1번부터 616번까지의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배열되고 1.5 행의 PO가 부가된 154×15.5 바이트의 기록 단위 16개로 구성된 기록 블록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부는 77 바이트에 해당하는 채널 비트열에 32 채널 비트의 싱크 코드를 부가된 싱크 프레임 31개로 구성된 1 물리 섹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10080014A 2001-12-17 2001-12-17 광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833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0014A KR100833227B1 (ko) 2001-12-17 2001-12-17 광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및 장치
TW091120254A TWI229321B (en) 2001-12-17 2002-09-05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on optical recording medium
EP02256330A EP1324335A3 (en) 2001-12-17 2002-09-12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on optical recording medium
CNB021443130A CN1303592C (zh) 2001-12-17 2002-10-09 在光学记录介质上记录数据的方法和装置
JP2002354229A JP2003208763A (ja) 2001-12-17 2002-12-05 光記録媒体へのデータ記録方法及び装置
US10/320,739 US7062699B2 (en) 2001-12-17 2002-12-17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on recording medium and recording medium including recorded 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0014A KR100833227B1 (ko) 2001-12-17 2001-12-17 광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9713A true KR20030049713A (ko) 2003-06-25
KR100833227B1 KR100833227B1 (ko) 2008-05-28

Family

ID=19717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0014A KR100833227B1 (ko) 2001-12-17 2001-12-17 광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062699B2 (ko)
EP (1) EP1324335A3 (ko)
JP (1) JP2003208763A (ko)
KR (1) KR100833227B1 (ko)
CN (1) CN1303592C (ko)
TW (1) TWI22932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079B1 (ko) * 2003-02-21 2007-01-09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동기 프레임 구조, 정보 기억 매체, 정보 기록 방법, 정보재생 방법 및 정보 재생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681B1 (ko) 2001-12-18 2009-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팩트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및 그 장치
JP2003318865A (ja) * 2002-04-26 2003-11-07 Fuji Xerox Co Ltd 信号伝送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206233T1 (de) * 1995-04-10 2001-10-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Optischer aufzeichnungsträger und verfahren zur aufzeichnung und wiedergabe dessen signalen
JP3951317B2 (ja) * 1995-09-28 2007-08-01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記録/再生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JP3586041B2 (ja) * 1996-04-26 2004-11-10 株式会社東芝 記録データ生成方法およびデータ再生装置
KR100565046B1 (ko) 1999-04-21 2006-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선된 dc 억압 능력을 갖는 rll 코드 배치 방법, 변복조 방법 및 복조 장치
JP3883092B2 (ja) * 1999-07-06 2007-02-21 富士通株式会社 記録媒体及び情報記憶装置
US6281816B1 (en) * 1999-08-24 2001-08-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data expansion during data compression
JP2001101806A (ja) * 1999-09-27 2001-04-13 Hitachi Ltd ディジタル信号記録方法、及びその装置、記録媒体
MY126615A (en) * 1999-09-29 2006-10-31 Sony Corp Data record medium, recording apparatus, reproducing apparatus, and reproducing method
JP2001297536A (ja) * 2000-04-14 2001-10-26 Sony Corp データ再生方法、データ再生装置、データ記録方法並びにデータ記録装置
KR100714019B1 (ko) * 2001-03-12 2007-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록매체 및 기록방법
KR100739669B1 (ko) 2001-04-20 2007-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정보저장 매체, 데이터 기록장치 및 데이터 기록방법
KR100896681B1 (ko) * 2001-12-18 2009-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팩트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079B1 (ko) * 2003-02-21 2007-01-09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동기 프레임 구조, 정보 기억 매체, 정보 기록 방법, 정보재생 방법 및 정보 재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062699B2 (en) 2006-06-13
KR100833227B1 (ko) 2008-05-28
CN1427397A (zh) 2003-07-02
JP2003208763A (ja) 2003-07-25
US20030131309A1 (en) 2003-07-10
EP1324335A3 (en) 2006-11-02
EP1324335A2 (en) 2003-07-02
TWI229321B (en) 2005-03-11
CN1303592C (zh) 2007-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66811B2 (en) Encoding multiword information by wordwise interleaving
EP1304698B1 (en) Disc recording medium, disc drive apparatus, and reproduction method
KR100436311B1 (ko) 데이타기록/재생장치및방법및데이타기록매체
JPH07311949A (ja) 光ディスク記録媒体、光ディスク記録方法、光ディスク記録装置、及び光ディスク再生装置
US5757752A (en) Method for recording/reproducing data with a plurality of sector formats on record medium and apparatus thereof
JP2002319242A (ja) 記録方法、記録装置、伝送装置、再生方法、再生装置、受信装置、記録媒体及び伝送媒体
KR100557724B1 (ko) 광디스크와 그 정보 기록 방법 및 장치
JP4658075B2 (ja) データ記録方法及び装置
JPH07311950A (ja) 光ディスク記録媒体、光ディスク記録方法、光ディスク記録装置、及び光ディスク再生装置
KR100273080B1 (ko) 데이터 기록 장치와 방법 및 데이터 재생장치
KR100833227B1 (ko) 광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40052199A (ko) 재생 전용 기록 매체, 재생 장치, 재생 방법, 디스크 제조방법
JP3557729B2 (ja) データ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ディスク状記録媒体
KR20050026906A (ko) 데이터 기록 방법 및 장치
JP3557728B2 (ja) データ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ディスク状記録媒体
JPH08329616A (ja) データ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データ記録媒体
KR100784740B1 (ko) 에러 검출 코드 산출 회로, 에러 검출 코드 산출 방법, 및 레코딩 장치
JPH08339635A (ja) データ記録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データ記録媒体
JP2006190483A (ja) 光ディスクとその情報記録方法及び装置
AU5940200A (en) Method for recording/reproducing data with a plurality of sector formats on record medium and apparatus thereof
WO2006024984A1 (en) Error correction format for small optical dis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