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9656A - 음성통신기능을 갖는 무선중계장치 - Google Patents

음성통신기능을 갖는 무선중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9656A
KR20030049656A KR1020010079944A KR20010079944A KR20030049656A KR 20030049656 A KR20030049656 A KR 20030049656A KR 1020010079944 A KR1020010079944 A KR 1020010079944A KR 20010079944 A KR20010079944 A KR 20010079944A KR 20030049656 A KR20030049656 A KR 20030049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donor
signal
voice
voic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9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이택
박정일
최경한
Original Assignee
(주) 케이비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케이비아이 filed Critical (주) 케이비아이
Priority to KR1020010079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49656A/ko
Publication of KR20030049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965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6Cell enhancers or enhancement, e.g. for tunnels, building sha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Abstract

본 발명은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한 도너와, 이 도너와 결합되어 전파음영지역에 존재하는 무선통신단말기와의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다수의 리모트간 음성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음성통신기능을 갖는 무선중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너와 다수의 리모트로 구성되는 무선중계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너와 다수의 리모트는 각각 음성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음성통신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도너와 리모트간은 시간분할다중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도너는 기지국으로부터 인가되는 순방향신호는 모든 리모트로 송출하고, 상기 음성통신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는 해당 리모트에 대해 할당된 타임슬롯을 통해 순방향신호와 합성하여 해당 리모트로 송출함과 더불어, 리모트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분할하여 역방향신호는 기지국으로 송출하고 음성신호는 상기 음성통신수단으로 송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리모트는 도너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분할하여 순방향신호는 안테나를 통해 무선송출하고 음성신호는 음성통신수단으로 송출하며, 안테나로부터 인가되는 역방향신호와 상기 음성통신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는 합성하여 자신에게 할당된 타임슬롯을 통해 도너로 송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성통신기능을 갖는 무선중계장치{RF repeater having a function of voice communication}
본 발명은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한 도너와, 이 도너와 결합되어 전파음영지역에 존재하는 무선통신단말기와의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다수의 리모트로 구성되는 무선중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너와 리모트, 리모트와 리모트간 음성통신이 가능하도록 된 음성통신기능을 갖는 무선중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통신시스템은 소정 통신 셀(cell) 영역을 관할하는 다수의 기지국에서 자신의 관할 셀 영역에 존재하는 다수의 무선통신단말기에 대한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의 관할 셀 영역내에는 지하 또는 빌딩등의 소정 통신음영지역이 형성되고, 이러한 통신음영지역에 의한 통신서비스의 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순방향(Forward) 신호를 증폭하여 통신음영지역의 무선통신단말기로 송출하고 또한 통신음영지역의 무선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역방향(Reverse) 신호를 증폭하여 기지국으로 송출하는 무선중계장치가 개발되어 도입 운영되고 있다.
상기 무선중계장치는 일반적으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 기지국의 통화가능지역내에 설치되어 기지국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도너(10)와, 이 도너(10)와 유선케이블(1)을 통해 결합되면서 전파음영지역에 설치되어 무선통신단말기(2)와의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리모트(20)로 구성된다.
또한 최근에는 무선중계장치의 중계범위를 보다 넓게 확보하기 위하여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도너(10)에 대해 전파음영지역에 다수의 리모트(20 : 201∼20n)를 결합하여 구성된 무선중계장치를 운영하고 있다.
이때, 도너(10)와 리모트(20) 또는 리모트(20)와 리모트(20)간은 보통 수 Km 떨어져 구성되게 된다. 따라서, 무선중계장치를 초기화하거나 또는 임의 장치에 장애가 발생하는 등의 비상사태가 발생하는 경우 한 명의 관리자가 도너(10)와 다수의 리모트(20)를 일일이 찾아다니며 해당 장치를 관리하기에는 그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이에 따라 서비스의 질 저하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게 된다.
이에, 각 장치 즉 도너(10)와 각 리모트(20)에 해당 장치를 관리하는 관리자를 두어 무선중계장치를 관리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리모트(20)가 존재하는 구간은 통신음영지역으로 관리자간의 통신이 불가능함으로 개별 장치의 관리에는 효과가 있으나, 무선중계장치의 초기화와 같은 장치 전체적인 문제의 해결에는 별 의미가 없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무선중계장치를 구성하는 원거리의 도너와 리모트간 음성통신이 가능하도록 하여 각 관리자가 무선중계장치 전반적인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고, 무선중계장치의 초기화와 같은 장치 전반적인 문제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대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된 음성통신기능을 갖는 무선중계장치를 제공함에 그 기술적 목적이 있다.
도1 및 도2는 종래 무선중계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성통신기능을 갖는 무선중계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4는 도3에 도시된 도너(100)와 리모트(20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
도5는 도4에 도시된 음성통신수단(300)의 요부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6은 도4에 도시된 제1 및 제2 인터페이스(103,203)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성통신기능을 갖는 무선중계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0 : 도너, 200 : 리모트,
101, 205 : 순방향신호처리부, 102,202 : 콤바이너,
103,203 : 인터페이스, 104,202 : 스플리터,
105,201 : 역방향신호처리부, 106,206 : 데이터메모리,
107,207 : 제어부, 300 : 음성통신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성통신기능을 갖는 무선중계장치는,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는 도너와, 이 도너에 결합되면서 전파음영지역에 설치되어 해당 지역에 위치하는 무선통신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다수의 리모트로 구성되어, 기지국과 전파음영지역에 존재하는 무선통신단말기간의 신호중계처리를 행하는 무선중계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너와 다수의 리모트는 각각 음성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음성통신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도너와 리모트간은 시간분할다중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도너는 기지국으로부터 인가되는 순방향신호는 모든 리모트로 송출하고, 상기 음성통신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는 해당 리모트에 대해 할당된 타임슬롯을 통해 순방향신호와 합성하여 해당 리모트로 송출함과 더불어, 리모트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분할하여 역방향신호는 기지국으로 송출하고 음성신호는 상기 음성통신수단으로 송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리모트는 도너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분할하여 순방향신호는 안테나를 통해 무선송출하고 음성신호는 음성통신수단으로 송출하며, 안테나로부터 인가되는 역방향신호와 상기 음성통신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는 합성하여 자신에게 할당된 타임슬롯을 통해 도너로 송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한 바에 의하면, 기지국과 통신하는 도너와, 도너와 결합되면서 전파음영지역에 설치되어 전파음영지역에 존재하는 무선통신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다수의 리모트에 소정 음성통신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원거리에 위치하는 각관리자간의 통신이 용이하여 무선중계장치의 전반적인 관리를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성통신기능을 갖는 무선중계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중계장치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과의 통신이 가능한 통화가능지역에 설치되어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는 도너(100)와, 이 도너(100)와 결합되면서 전파음영지역에 설치되어 전파음영지역에 존재하는 무선통신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각 리모트(200 : 2001∼200n) 및, 상기 도너(100)와 각 리모트(200 : 2001∼200n)에 소정 음성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음성통신수단(300 : 3001∼300n+1)을 결합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도너(100)와 기지국간은 무선, 또는 유선으로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도너(100)는 각 리모트(200)와 시간분할다중방식으로 통신하며, 각 리모트(200)는 고유 식별코드 및 도너(100)와 통신하기 위한 타임슬롯을 할당받아 이용하게 된다.
또한, 도너(100)와 리모트(200), 리모트(200)와 리모트(200)간은 유선결합되며, 특히 광케이블(S)로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때 각 리모트(200)마다 도너(100)로의 정보전송을 위한 파장대역이 각각다르게 설정된다.
또한, 상기 도너(100)는 상기 리모트(200)와 음성통신수단(300)을 통한 음성통신처리를 수행하며, 특히 리모트(200)간의 음성통신이 가능하도록 중계처리를 수행한다.
한편 도4은 도3에 도시된 도너(100)와 리모트(20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너(100)는 기지국으로부터 인가되는 포워드신호를 소정 레벨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1 순방향신호처리부(101)와, 이 제1 순방향신호처리부(101)로부터 인가되는 순방향신호와 이후에 설명할 제1 제어부(107)로부터 인가되는 음성데이터프레임을 주파수합성하여 출력하는 제1 콤바이너(102), 이 제1 콤바이너(102)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리모트(200)로 송출함과 더불어, 리모트(200)로부터 인가되는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이후에 설명할 제1 스플리터(104)로 송출하는 제1 인터페이스(10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도너(100)는 제1 인터페이스(103)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주파수대역별로 분할하여 각각 출력하는 제1 스플리터(104)와, 이 제1 스플리터(104)로부터 인가되는 역방향신호를 소정 레벨 증폭하여 기지국으로 출력하는 제1 역방향 신호처리부(10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기지국과 무선통신단말기와의 중계처리용 순방향신호와 역방향신호는 예컨대 1800MHz, 1700MHz로 고주파수대역이며, 음성데이터프레임은 예컨대 200MHz대의 저주파수대역이므로, 상기 제1 스플리터(104)는입력되는 신호중 제2 주파수대역신호, 예컨대 1700MHz 신호는 제1 역방향 신호처리부(105)로 송출하고 음성주파수대역, 예컨대 200MHz 신호는 제1 제어부(107)로 송출한다.
그리고 상기 도너(100)는 각 리모트(200)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정보, 예컨대 리모트별 식별코드, 타임슬롯, 광파장대역정보등을 저장하기 위한 제1데이터메모리(106)와, 도너(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10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제어부(107)는 제1 음성통신수단(3001)로부터 인가되는 음성데이터프레임을 제1 콤바이너(102)로 송출함과 더불어, 제1 스플리터(104)로부터 인가되는 음성데이터프레임을 제1 음성통신수단(3001)으로 송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음성데이터프레임은 소정 비트의 제어데이터와 소정 비트의 음성데이터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제어부(107)는 제1 스플리터(104)로부터 인가되는 음성데이터프레임의 제어데이터를 독출하여 해당 음성데이터프레임이 제2 리모트(2002)로 전송할 음성데이터프레임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제2 리모트(2002)에 할당된 타임슬롯을 통해 해당 음성데이터프레임을 송출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한편, 리모트(200)는 전파음영지역에 존재하는 무선통신단말기로부터 인가되는 역방향 신호를 소정 레벨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2 역방향신호처리부(201)와, 이 제2 역방향신호처리부(201)로부터 인가되는 역방향 신호와 이후에 설명할 제2 제어부(207)로부터 인가되는 음성데이터프레임을 주파수합성하는 제2 콤바이너(202),이 제2 콤바이너(202)로부터 인가되는 합성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도너(100)의 제1 인터페이스(103)로 송출함과 더불어, 제1 인터페이스(103)로부터 인가되는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2 인터페이스(20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리모트(200)는 제2 인터페이스(203)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주파수대역별로 분할하여 출력하는 제2 스플리터(204)와, 이 제2 스플리터(204)로부터 인가되는 순방향신호를 소정 레벨 증폭하여 무선신호로 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출력하는 제2 순방향신호처리부(20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스플리터(204)는 입력되는 신호에서 제1 주파수대역신호, 예컨대 1800MHz신호는 제2 순방향신호처리부(205)로 송출하고 음성주파수대역신호, 예컨대 200MHz는 제2 제어부(207)로 송출한다.
또한 리모트(200)는 리모트를 구동하기 위한 각종 정보, 예컨대 자기에게 할당된 타임슬롯정보 및 식별코드정보와 전송파장대역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제2 데이터메모리(206)와, 리모트(2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2 제어부(20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제어부(207)는 특히 제2 음성통신수단(3002)로부터 인가되는 음성데이터프레임은 제2 콤바이너(202)로 송출하고 제2 스플리터(204)로부터 인가되는 음성데이터프레임은 제2 음성통신수단(3002)으로 송출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7)는 상기 제2 인터페이스(203)를 제어하여 자신에게 할당된 타임슬롯을 통해 도너(100)로부터 인가되는 정보는 제2 스플리터(204)로 송출하고, 그 외 타임슬롯에 대해서는 제2 인터페이스(203)와 결합되는 제2 리모트(2002)로 송출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7)는 상기 제2 인터페이스(203)를 제어하여 자신에게 할당된 파장으로의 전/광변환처리를 수행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한편, 도5는 도4에 도시된 음성통신수단(30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구성도로서, 이는 도너(100) 및 각 리모트(200)에 결합되는 음성통신수단(3001∼300N+1)을 총칭하는 것이다.
즉, 음성통신수단(300)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장치의 제어부(107, 207)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를 근거로 소정의 링신호를 발생하는 링발생부(301)와, 관리자가 송수화기(305)를 들거나 놓음에 따라 이와 함께 연동되게 되는 훅스위치(hook switch)의 온 또는 오프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훅검출부(302), 관리자가 다이얼링을 하거나 특정기능 실행명령을 입력하는데 사용되는 숫자키 및 기능키가 설치된 키패드(303), 본 음성통신수단(300)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30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음성통신수단(300)은 음성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스피커와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로폰으로 구성되는 송수화기(305)와, 이 송수화기(305)로부터 인가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고 이후에 설명할 압신기(307)로부터 인가되는 다지탈 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코덱(306), 코덱(306)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압축처리함과 더불어 모뎀(308)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신장처리하는 압신기(307) 및, 이 압신기(307)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소정 데이터프레임으로 변조하여 제어부(107,207)로 출력함과 더불어, 제어부(107,207)로부터 인가되는 음성데이터를 복조하여 압신기(307)로 출력하는 모뎀(30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도6은 도4의 제1 및 제2 인터페이스(103,203)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구성도로서, 이는 도너(100)와 리모트(200)간이 광케이블을 통해 결합된 경우의 인터페이스(103,203)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인터페이스(103)는 제1 콤바이너(102)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제1 전/광변환부(1031)와, 입력되는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제1 광/전변환부(1032) 및, 상기 제1 전/광변환부(1031)로부터 인가되는 제1 파장대역의 광신호를 광케이블(S)을 통해 리모트(200)로 송출하고, 광케이블(S)을 통해 리모트(200)로부터 인가되는 제2 파장대역의 광신호를 제1 광/전변환부(1032)로 송출하는 제1 파장분할다중화기(제1 WDM : 10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전/광변환부(1031)는 제1 제어부(107)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를 근거로 소정 파장의 광신호로 변환처리하게 된다.
또한 제2 인터페이스(203)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콤바이너(202)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제2 전/광변환부(2031)와,입력되는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제2 광/전변환부(2032), 상기 제2 전/광변환부(2031)로부터 인가되는 제1 파장대역의 광신호를 이후 설명할 경로제어부(2034)로 송출하고, 이 경로제어부(2034)로부터 인가되는 제2 파장대역의 광신호를 제2 광/전변환부(2032)로 송출하는 제2 파장분할다중화기(제2 WDM : 2033) 및, 제2 제어부(207)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를 근거로 제2 파장분할다중화기(2033)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도너(100)로 송출함과 더불어 도너(100)로부터 인가되는 광신호를 제2 파장분할다중화기(2033) 또는 제2 리모트(200)로 송출하도록 경로제어하는 경로제어부(20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제어부(207)는 해당 리모트(200)에 할당된 타임슬롯에 대해서만 제1 파장분할다중화기(1033)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제2 파장분할다중화기(2033)로 송출하도록 경로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제어부(207)는 제2 전/광변환부(2031)를 제어하여 제2 콤바이너(202)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해당 리모트(200)에 할당된 파장대역의 광신호로 변환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어, 상기한 구성으로 된 음성통신기능을 갖는 무선중계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너(100)와 다수의 리모트(200)가 설치되고, 도너(100)로부터 리모트(200)로의 순방향 정보전송시에는 제1 파장대역, 예컨대1310nm파장대역을 이용하고, 리모트(200)로부터 도너(100)로의 역방향 정보전송시에는 제2 파장대역, 예컨대 1500nm이상의 파장대역을 이용하도록 설정된다.
여기서, 각 리모트(200)는 역방향 정보전송을 위한 제2 파장대역을 할당받아 이용하게 되는 바, 각 리모트(200)로부터 도너(100)로 전송되는 광파장을 각각 상이하게 된다.
그리고, 도너(100)와 리모트(200)간은 시간분할다중방식 통신을 수행하게 되는 바, 각 리모트(200)는 자신에게 할당된 타임슬롯을 통해 도너(100)와 통신하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제1 주파수대역의 순방향신호가 기지국으로부터 도너(100)의 제1 순방향신호처리부(101)로 인가되면, 도너(100)는 이 제1 주파수대역의 순방향신호를 제1 인터페이스(103)를 통해 제1 파장, 예컨대 1310nm대역의 광신호로 변환하여 광케이블(S)을 통해 리모트(200)로 송출하게 된다.
이때 도너(100)는 기지국으로부터 인가되는 순방향신호는 모든 리모트(200)로 송출하게 된다. 즉 도너(100)는 각 리모트(200)에 할당된 타임슬롯에 대해 동일한 순방향정보를 송출하게 된다.
한편, 리모트(200)는 자신에게 할당된 타임슬롯만을 수신하며, 도너(100)로부터 수신되는 순방향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 후 제2 순방향신호처리부(205) 및 안테나를 통해 무선송출하게 된다.
또한 리모트(200)는 무선통신단말기로부터 인가되는 제2 주파수대역의 역방향신호를 제2 인터페이스(203)를 통해 자신에게 할당된 제2 파장대역, 예컨대1550nm대역의 광신호로 변환한 후 자신에게 할당된 타임슬롯을 통해 도너(100)로 송출하게 된다.
그리고, 도너(100)는 제2 인터페이스(203)로부터 제2 파장대역의 광신호가 제1 인터페이스(103)로 인가되는 경우, 그 제2 파장대역의 광신호를 제2 주파수대역의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 후 제1 역방향신호처리부(105)를 통해 기지국으로 송출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너(100)와 리모트(200)가 통상의 순방향신호와 역방향신호에 대한 중계처리를 수행하는 상태에서, 도너(100)를 관리하는 제1 관리자가 제1 음성통신수단(3001)의 송수화기(305)를 들어 훅검출부(302)로부터 오프훅상태정보가 제1 제어부(107)로 인가됨과 더불어 키패드(303)로부터 소정의 리모트 식별코드가 제1 제어부(107)로 인가되면, 제1 제어부(107)는 제1 데이터메모리(106)에서 해당 리모트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리모트를 검색하여 그 리모트에 할당된 타임슬롯을 통해 소정 통화요구정보를 제1 콤바이너(102)로 송출하게 된다.
이때, 통화요구정보는 모뎀(308)을 통해 소정 포맷의 음성데이터프레임형태로 변환됨과 더불어 음성주파수대역, 예컨대 200MHz주파수대역신호로 변조되어 제1 콤바이너(102)로 인가되며, 제1 콤바이너(102)는 제1 순방향신호처리부(101)로부터 인가되는 제1 주파수대역의 순방향신호와 음성 주파수대역의 통화요구정보를 주파수합성하여 제1 인터페이스(103)로 송출한다.
그리고, 제1 인터페이스(103)는 제1 콤바이너(102)를 통해 인가되는 합성 주파수신호를 제1 파장대역의 광신호로 변환하여 해당 리모트(200)의 타임슬롯을 통해 전송하게 된다.
한편, 제2 인터페이스(203)는 자신의 타임슬롯을 통해 수신되는 광신호를 전기적인 주파수신호로 변환한 후 이를 제2 스플리터(204)로 인가하고, 제2 스플리터(204)는 수신되는 주파수신호를 주파수대역별로 분할하여 송출한다. 즉 제1 주파수대역의 순방향신호는 제2 순방향신호처리부(205)로 송출하고, 음성주파수대역의 음성데이터프레임은 제2 제어부(207)로 송출하게 된다.
그리고 제2 제어부(207)는 제2 스플리터(204)로부터 인가되는 음성데이터프레임을 근거로 제2 음성통신수단(3002)의 링발생부(301)로 링신호발생을 제어하게 된다.
이어, 해당 리모트(200) 관리자가 리모트(200)에 결합된 제2 음성통신수단(3002)의 송수화기(305)를 들게 되면 이에 따라 훅검출부(302)로부터 소정 오프훅상태신호가 제2 제어부(207)로 인가되고, 제2 제어부(207)는 이를 근거로 소정의 통화응답신호를 자신의 타임슬롯을 통해 도너(100)로 송출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제어부(207)는 통화응답신호를 소정 포맷의 음성데이터프레임으로 변환한 후 제2 음성주파수대역신호로 변조하여 제2 콤바이너(202)로 송출하게 되고, 제2 콤바이너(202)를 통해 제2 주파수대역의 역방향신호와 주파수합성되어 제2 인터페이스(203)로 인가되며, 제2 인터페이스(203)는 제2 콤바이너(202)로부터 인가되는 합성 주파수신호를 제2 파장대역의 광신호로 변환하여 도너(100)로 송출하게 된다.
한편, 도너(100)의 제1 인터페이스(103)는 제2 인터페이스(203)로부터 인가되는 제2 파장대역의 광신호를 전기적인 주파수신호로 변환하여 제1 스플리터(104)로 송출하고, 제1 스플리터(104)는 제1 인터페이스(103)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주파수대역별로 분할하여 제1 역방향신호처리부(105)와 제1 제어부(107)로 각각 송출하게 된다. 즉, 제2 주파수대역의 역방향신호는 제1 역방향신호처리부(105)로 출력되고, 음성주파수대역의 음성데이터프레임은 제1 제어부(107)로 출력되게 된다.
이어, 제1 제어부(107)는 제1 스플리터(104)로부터 인가되는 음성데이터프레임의 통화응답신호를 근거로 도너(100)와 리모트(200)간의 통화로를 형성하여 음성통신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도너(100)와 리모트(200)간의 음성통신은 상술한 통화요구신호와 이에 대한 통화응답신호의 전송과정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선중계장치에 있어서는 도너(100)와 리모트(200)간 음성통신 뿐 아니라 리모트(200)와 리모트(200)간의 음성통신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리모트 관리자자 제2 리모트의 식별코드를 입력하게 되면, 제1 리모트 식별코드와 이 제2 리모트 식별코드가 도너(100)로 인가되고, 도너(100)는 제2 리모트 식별코드를 근거로 제2 리모트의 타임슬롯을 통해 소정 통화요구신호를 송출한다. 이에 대해 제2 리모트의 관리자가 송수화기를 들게 되면 제2 리모트로부터 소정의 통화응답요구가 도너(100)로 인가되고, 도너(100)는 이를 근거로 제1 리모트와 제2 리모트정보를 소정 메모리에 일시 저장하여 두고, 제1 리모트와 제2 리모트간의 통화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다시말해 제1 리모트와 제2 리모트는 도너(100)를 통해 상호간 음성통화를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기지국과 통신하는 도너와, 도너와 결합되면서 전파음영지역에 설치되어 전파음영지역에 존재하는 무선통신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다수의 리모트에 소정 음성통신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도너와 리모트, 리모트와 리모트간 음성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원거리에 위치하는 도너와 통신음영지역의 리모트를 관리하는 각 관리자간의 음성통신이 제공되게 됨으로써, 무선중계장치의 전반적인 관리를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너와 리모트가 직렬접속방식으로 결합되는 형태를 예시하였으나,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너(100)에 대해 멀티접속방식으로 다수의 리모트(200)가 결합되는 형태의 무선중계장치에도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때 도너(100)의 제1 인터페이스(103)는 각 리모트(200)의 제2 인터페이스(203)와 각각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제2 인터페이스(203)는 도6에 도시된 경로제어부(2034)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지국과 통신하는 도너와, 도너와 결합되면서 전파음영지역에 설치되어 전파음영지역에 존재하는 무선통신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다수의 리모트에 소정 음성통신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원거리에 위치하는 각 관리자간의 통신이 용이하여 무선중계장치의 전반적인 관리를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5)

  1.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는 도너와, 도너와 결합되면서 전파음영지역에 설치되어 해당 지역에 위치하는 무선통신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다수의 리모트로 구성되어, 기지국과 전파음영지역에 존재하는 무선통신단말기간의 신호중계처리를 행하는 무선중계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너와 다수의 리모트는 각각 음성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음성통신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도너와 리모트간은 시간분할다중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도너는 기지국으로부터 인가되는 순방향신호는 모든 리모트로 송출하고, 상기 음성통신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는 해당 리모트에 대해 할당된 타임슬롯을 통해 순방향신호와 합성하여 해당 리모트로 송출함과 더불어, 리모트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분할하여 역방향신호는 기지국으로 송출하고 음성신호는 상기 음성통신수단으로 송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리모트는 도너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분할하여 순방향신호는 안테나를 통해 무선송출하고 음성신호는 음성통신수단으로 송출하며, 안테나로부터 인가되는 역방향신호와 상기 음성통신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는 합성하여 자신에게 할당된 타임슬롯을 통해 도너로 송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통신기능을 갖는 무선중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에 대해 각각 소정의 식별코드가 할당되며,
    상기 도너는 제1 리모트로부터 인가되는 음성데이터프레임의 제2 리모트 식별코드를 근거로 제1 리모트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는 제2 리모트 타임슬롯을 통해 제2 리모트로 송출하고, 제2 리모트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는 제1 리모트 타임슬롯을 통해 제1 리모트로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통신기능을 갖는 무선중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너에 대해 다수의 리모트는 직렬접속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통신기능을 갖는 무선중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너와 리모트간, 리모트와 리모트간은 광케이블을 통해 결합되고, 상기 도너와 리모트는 광케이블을 통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그 접속부분에 전광변환수단 및 광전변환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통신기능을 갖는 무선중계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너는 다수의 리모트와 멀티접속방식으로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통신기능을 갖는 무선중계장치.
KR1020010079944A 2001-12-17 2001-12-17 음성통신기능을 갖는 무선중계장치 KR200300496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944A KR20030049656A (ko) 2001-12-17 2001-12-17 음성통신기능을 갖는 무선중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944A KR20030049656A (ko) 2001-12-17 2001-12-17 음성통신기능을 갖는 무선중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9656A true KR20030049656A (ko) 2003-06-25

Family

ID=29575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9944A KR20030049656A (ko) 2001-12-17 2001-12-17 음성통신기능을 갖는 무선중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4965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9860B1 (ko) * 2003-06-09 2005-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초고속광대역망간 신호전송장치
KR100788872B1 (ko) * 2006-01-24 2007-12-27 유파인테크놀러지스 주식회사 송수신 안테나 분리를 이용한 tdd용 rf 중계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3777A (ko) * 1989-12-06 1991-08-08 이만용 원격 고지 중계소의 무인 감시 제어장치 및 방법
JPH09275363A (ja) * 1996-04-05 1997-10-21 Hokuriku Hoso Kk デジタル携帯電話による中継局監視制御方法
JPH1093496A (ja) * 1996-09-11 1998-04-10 N T T Chuo Personal Tsushinmo Kk 無線中継装置およびその保守制御方式
KR19980037322A (ko) * 1996-11-21 1998-08-05 정장호 공중통신망을 이용한 주파수공용 통신시스템의 중계기고장 경보장치
KR20000000365A (ko) * 1999-10-15 2000-01-15 이세한 중계기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KR20010008240A (ko) * 2000-11-16 2001-02-05 이진섭 N:1다중접속형 cdma중계기 감시장치
KR20010098064A (ko) * 2000-04-28 2001-11-08 박승복 중계기 기지국 원격 감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3777A (ko) * 1989-12-06 1991-08-08 이만용 원격 고지 중계소의 무인 감시 제어장치 및 방법
JPH09275363A (ja) * 1996-04-05 1997-10-21 Hokuriku Hoso Kk デジタル携帯電話による中継局監視制御方法
JPH1093496A (ja) * 1996-09-11 1998-04-10 N T T Chuo Personal Tsushinmo Kk 無線中継装置およびその保守制御方式
KR19980037322A (ko) * 1996-11-21 1998-08-05 정장호 공중통신망을 이용한 주파수공용 통신시스템의 중계기고장 경보장치
KR20000000365A (ko) * 1999-10-15 2000-01-15 이세한 중계기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KR20010098064A (ko) * 2000-04-28 2001-11-08 박승복 중계기 기지국 원격 감시 시스템
KR20010008240A (ko) * 2000-11-16 2001-02-05 이진섭 N:1다중접속형 cdma중계기 감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9860B1 (ko) * 2003-06-09 2005-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초고속광대역망간 신호전송장치
KR100788872B1 (ko) * 2006-01-24 2007-12-27 유파인테크놀러지스 주식회사 송수신 안테나 분리를 이용한 tdd용 rf 중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10197A1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relay apparatus, and remote radio base station apparatus
KR102068340B1 (ko) 커버리지가 증가된 무선 마을방송 시스템
EP0690590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for TDMA system with transmission of speech and control data
US5682417A (en) Power saving mobile data communication system using adaptors
JP4620295B2 (ja) 移動体通信用光伝送装置
KR20060104636A (ko) 통합 무선 광중계 장치
KR20030049656A (ko) 음성통신기능을 갖는 무선중계장치
CA2039767C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US7684810B2 (en) Trunking system control method
JPS61248698A (ja) スペクトラム拡散変調を用いた交換システム
JPH06237483A (ja) 無線電話装置
JP4145778B2 (ja) 光通信システム
JP3038633B2 (ja) デジタル携帯無線電話システム
KR200228565Y1 (ko) 광스위치를 구비한 광신호 중계장치
JPH10257002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2001044893A (ja) 無線方法および無線装置
JPH0435234A (ja) 光ファイバー無線通信方式
JPS6322494B2 (ko)
KR100535272B1 (ko) 사설 교환기의 톤 및 디지트 제공 장치
CN117651279A (zh) 一种家庭5g小站多运营商共建共享的系统
JP2005210478A (ja) 無線機の遠隔通信システム及び遠隔通信方法
KR20050032244A (ko) 파이롯트 신호를 이용한 광 중계기의 이득 설정방법
JP2005191758A (ja) 遠隔地のトランシーバを中継する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JPH09187068A (ja) 無線中継システム、子機、及び無線中継装置
JPS6024738A (ja) 遠方監視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