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8451A - 크로몰라에나 오도라타를 사용하는 것에 기초한 피부 치료조성물 및 방법 - Google Patents

크로몰라에나 오도라타를 사용하는 것에 기초한 피부 치료조성물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8451A
KR20030048451A KR10-2003-7006054A KR20037006054A KR20030048451A KR 20030048451 A KR20030048451 A KR 20030048451A KR 20037006054 A KR20037006054 A KR 20037006054A KR 20030048451 A KR20030048451 A KR 20030048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extract
odorata
chromolae
decor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6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버트 마크 도노반
Original Assignee
유니레버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레버 엔.브이. filed Critical 유니레버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30048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845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4Aftersun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5Anti-irrit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효량의 크로몰라에나 오도라타 추출물을 사용함을 포함하는, 주름진, 늘어진, 노화된 및/또는 광손상된 피부의 치료 또는 예방, 피부중 데코린의 생성 촉진, 피부중 제 I 형 및 제 III 형 글루타민전이효소의 활성 증대, 각질층의 유연성 증대, 피부의 표피탈락 및 표피분화의 개선, 미백, 피지 분비의 조절, 자극받은, 붉어진 및/또는 민감성 피부의 진정, 피부의 결, 매끄러움 및 단단함의 개선, 피부 상태의 전반적인 향상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피부관리효과를 제공하는 화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크로몰라에나 오도라타를 사용하는 것에 기초한 피부 치료 조성물 및 방법{SKIN TREATMENT COMPOSITION AND METHOD BASED ON THE USE OF CHROMOLAENA ODORATA}
본 발명은 피부의 상태 및 외관을 개선하는 화장 방법, 및 피부의 상태 및 외관을 개선하는 국소용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특정 식물 추출물의 용도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주름 및/또는 광손상된 피부를 치료하는 데에 크로몰라에나 오도라타(Chromolaena Odorata)(예를 들면 샴 위드(Siam Weed) 또는 데블스 위드(Devils Weed)라고도 알려져 있음)의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추출물을 함유하는 국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피부질환, 환경적 혹사(바람, 냉방, 중앙난방) 또는 정상적인 노화 과정(자연노화)(피부가 태양에 노출되면 가속될 수도 있음(광노화))을 통해 손상된다. 근래에, 피부의 외관 및 상태를 개선하는 화장 방법, 특히 주름진, 노화된 및/또는 광손상된 피부의 시각적 증후를 역전시키거나 감소시키거나 방지하는 화장 방법에 대한 요구가 대단히 커졌다.
소비자들은, 주름, 주름살, 늘어짐, 색소침착과잉 및 노화 반점 같은, 피부의 자연노화 및 광노화의 시각적 증후를 역전시키거나 치료하거나 지연시키는 "노화방지" 화장품을 점점 더 많이 찾고 있다.
콜라겐은 탁월한 매트릭스 피부 단백질로서 피부에 인장강도를 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해 분야에는 피부가 노화 및/또는 광손상됨에 따라 피부중 콜라겐 수준이 현저하게 떨어진다는 것도 알려져 있다. 많은 연구 결과, 피부가 노화 및/또는 광손상됨에 따라 피부중 제 I 형 콜라겐 수준이 감소한다는 것이 밝혀졌다(예를 들면 라브커(Lavker), R.J.의 문헌[Inv.Derm., (1979), 73, 79-66]; 그리피쓰(Griffiths) 등의 문헌[N.Eng.J.med.(1993) 329, 530-535]를 참조). 피부중 콜라겐 수준의 감소는 피부의 인장강도의 감소와 이어져 주름과 늘어짐을 초래하게 된다. 피부중 콜라겐 수준을 높임으로써 피부 매트릭스를 강화시키는 것은 노화방지 및 피부 치유 효과가 있다는 것이 널리 인정되고 있다. 또한, 예를 들어 WO 99/47110에 기술된 바와 같이, 데코린(decorin)은 피부 치유의 마커(marker)로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크로몰라에나 오도라타 추출물을 포함하는 샴 위드 추출물은 공지된 피부 치료용 추출물로서, 이것은 예를 들면 베트남에서, 연조직의 상처, 화상 및 피부감염증의 치료에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입증하는 전형적인 종래기술문헌은 판(Phan) 등의 문헌["The Journal of Alternative and Complimentary Medicine", Vol.2, No.3, 1996 pp 335-343]이다. 이 문헌에는 전술한 목적에 샴 위드 잎의 수성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과,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에 의한 수화 콜라겐 격자 수축에 대한 샴 위드 추출물(판 등은 유폴린(Eupolin)이라고 명명)의 효과가 기술되어 있다. 기존의 바셀린-기재의 샴 위드 연고는 플라보노이드(살비게닌, 사쿠라네틴, 이소사쿠라네틴, 카엠페리드, 베툴레놀, 2-5-7-3-테트라-O-메틸퀴에르카타게틴, 타마릭세틴, 칼콘 1 및 칼콘 2), 에센셜 오일(게이렌, 보르닐 아세테이트, 베타 유베덴), 사포닌 트리테르페노이드, 탄닌, 유기 산 및 미량원소를 함유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국소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샴 위드 추출물의 시험관내 수준은 전형적으로 50 내지 200㎍/㎖이다.
또한, 판 등의 문헌["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March 1998, "Enhanced proliferation of Fibroplasts and Endothelial Cells Treated with an Extract of the Leaves of Chromolaena Odorata(Eupolin), a Herbal Remedy for Treating Wounds"]에는 화상 치료에 있어서, 섬유아세포 및 내피 세포 성장을 증가시키는데 샴 위드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이 기술되어 있다. 특히 피부 이식의 경우, 샴 위드 추출물을 사용하면 육아조직의 형성이 빨라질 뿐만 아니라 콜라겐 합성 속도도 증가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 연구에서, 샴 위드 추출물 연고는 10 내지 230㎍/㎖의 국소적 농도로 사용되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크로몰라에나 오도라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 조성물을 국소 도포하면, 주름, 주름살, 늘어짐, 색소침착과잉 및 노화 반점 같은, 자연노화 및 광노화된 정상 피부 상태를 효과적으로 치료 및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화장 조성물에 크로몰라에나 오도라타 추출물을 사용하면, 노화방지 효과 외에도 추가의 이로운 효과들, 예를 들면 민감성의 및/또는 자극받은 피부를 진정시키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첫번째 양태는, 주름진, 늘어진, 노화된 및/또는 광손상된 피부의 치료 또는 예방, 피부중 데코린의 생성 촉진, 피부중 제 I 형 및 제 III형 글루타민전이효소의 활성 증대, 각질층의 유연성 증대, 피부의 표피탈락 및 표피분화의 개선, 미백, 피지 분비의 조절, 자극받은, 붉어진 및/또는 민감성 피부의 진정, 피부의 결, 매끄러움 및 단단함의 개선, 피부 상태의 전반적인 향상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피부관리효과를 제공하는, 바람직하게는 크로몰라에나 오도라타의 수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국소용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함을 포함하는 화장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는, 특히 광손상된 피부 및 미세한 주름살 및 주름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 크로몰라에나 오다라타의 수성 추출물을 유효량으로 사용하는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는, 크로몰라에나 오도라타의 수성 추출물을 유효량으로 포함하는 국소용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인간 피부에 도포하기 위한 수-기재의 국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에서 사용되는 국소용 조성물은 크로몰라에나 오도라타 추출물을 국소용 조성물의 중량의 0.00005 내지 10%,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1.0%, 어떤 경우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0.1%로 포함한다.
"수-기재의(water based)"란 국소용 조성물이 물을 바람직하게는 국소용 조성물의 중량의 3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포함함을 뜻한다. 편의상, 국소용 조성물은 수중유적형 유화액 형태일 수 있다.
광손상된 피부의 치유에 있어서, 상처의 치유 및 진피의 재구성과 연관된 생화학적 및 생물학적 과정은 광손상 피부 치유의 과정과는 같지 않다고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피부 상처의 치유를 유도하는 금잔화 및 몰약 추출물 같은 기타 물질은 광손상 피부 치유에는 효과적이지 않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 방법 및 용도는, 피부를 매끄럽고 유순하게 하면서 탄력을 더해주며 주름 및 노화를 줄여주거나 지연시켜주며 피부색을 개선시켜주는 노화방지효과를 제공한다. 피부의 외관, 결 및 상태를 전반적으로 개선시켜, 특히 피부가 빛나고 깨끗하고 전체적으로 젊어 보이게 한다. 본 발명은 특히 피부관리효과를 제공하는데 있어 유용할 수 있다.
"치료(treating)"란, 정해진 범위내에서, 정상 노화 과정에 의해 야기되는, 정상적이지만 미용상으로는 바람직하지 못한 피부 상태를 감소, 지연 및/또는 방지함을 포함한다. 주름, 주름살 및/또는 늘어짐 같은 노화의 시각적 증후를 지연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주름을 방지 또는 감소시키고 피부의 유연함, 단단함, 매끄러움, 유순함 및 탄력을 증대시킴으로써, 피부 상태를 향상시키고 피부의 외관 및 결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 방법 및 용도는 이미 주름진, 노화된 및/또는 광손상된 피부를 치료하거나, 자연노화/광노화 과정으로 인해 젊은 피부가 전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지 못하게 변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는데에 유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위한 희석제, 분산제 또는 담체로서 작용하는 피부과학적/화장품학적으로 허용되는 비히클도 포함한다. 비히클은 물, 액상 또는 고형 연화제, 실리콘유, 유화제, 용제, 습윤제, 증점제, 분말, 추진제 등과 같이 피부관리용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비히클은 전형적으로 조성물의 중량의 5 내지 99.9%,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80%를 형성하고, 다른 화장품 보조제가 없는 경우에는 유효성분을 제외한 조성물의 나머지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유효성분인 크로몰라에나 오도라타 추출물 외에도, 햇빛차단제, 피부-미백제, 및 피부 태닝제(tanning agent) 같은, 피부에 유익한 기타 특정 유효성분들을 첨가할 수도 있다. 비히클은 추가로 항산화제, 향료, 유백제(opacifier), 보존제, 색소 및 완충액 같은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국소용 조성물을 제조하려면, 피부관리용품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을 일반적으로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피부과학적/화장품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에 혼입한다. 유효성분을 적합하게는 우선 조성물에 혼입되는 분취량의 물 또는 기타 용제 또는 액체에 용해 또는 분산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조성물은 수중유적형 또는 유중수적형 또는 수중유중수적형 유화액이지만, 어떤 경우에는 유중수적형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조성물은 크림, 겔 또는 로션, 캡슐 등과 같은 통상적인 피부관리용품 형태일 수 있다. 조성물은, 헹궈내는 동안에도 유효성분이 피부에 잘 부착되도록 하는 전달 시스템을 함유할 수 있는, 소위 "워시-오프(wash-off)" 제품(예를 들면 목욕용 또는 샤워용 겔)의 형태일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한 직후에 헹구어내지 않아도 되는 피부 도포용 제품인 "리브-온(leave-on)" 제품이다.
조성물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단지(jar), 병, 튜브, 롤-볼(roll-ball) 등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형태로 포장할 수 있다. 추가의 형태로는, 추진제에 의해 분무되는 에어로졸로부터 또는 펌프 분무기로부터, 분무액으로서 전달되기에 적합한 배합물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을 캡슐, 정제 등과 같은, 경구용에 적합한 제형으로서 배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을, 치료를 요하는 피부에 대해 1일 1회 이상 수행할 수 있다. 피부 외관의 개선 효과는, 피부 상태,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된 유효성분의 농도, 조성물의 사용량 및 도포 빈도에 따라서 통상적으로 3 내지 6개월 후 또는 이보다 더 빨리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소량(예를 들면 0.1 내지 5㎖)의 조성물을 적합한 용기 또는 도포기로부터 피부에 도포하고 손 또는 손가락 또는 적합한 장치를 사용해서 피부에 펴 바르고/바르거나 문지른다. 이어서 조성물이 "리브-온" 제품인지 "린스-오프(rinse-off)" 제품인지에 따라, 임의적으로 헹구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시키기 위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을 단지 예시하는 실시예를 다음과 같이 제공하는 바이다.
도 1은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중 PMA-자극된 PGE2 수준에 대한 유폴린의 효과를 보여준다.
본 출원인의 동시계류중인 유럽특허원 제 99908956.8 호에도 기술되어 있듯이, 레틴산을 국소투여함으로써 생체내에서 제 I 형 프로콜라겐 및 데코린의 수준을 높일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특허원중 "비교를 위해, 레틴산을 국소투여한 후 생체 피부 내에서의 제 I 형 프로콜라겐 및 데코린의 수준 향상의 규명(Identification of procollagen I and decorin upregulation in skin in vivo following topical retinoic acid treatment for comparative purposes)"이라는 제목이 붙은 부분을 전부 인용하려고 한다.
실시예 1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중 제 I 형 프로콜라겐 및 데코린 합성의 측정방법
<피부 섬유아세포-조절된 배지의 제조>
2차 계대배양된(P2) 1차성(primary) 인간 포피 섬유아세포를 12-웰 플레이트에 10000 세포/㎠으로 접종하고, 10% 소 태아 혈청이 보충된 듈베코-변형 이글 배지(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DMEM))에서 5% 이산화탄소 및 4% 산소로 이루어진 대기중에서 24시간동안 두었다. 이어서 세포를 무혈청 DMEM으로 세척한 후, 신선한 무혈청 DMEM에서 추가로 60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이어서 섬유아세포 단층을 다시 무혈청 DMEM으로 세척하였다. 시약 및 비히클 대조물질을, 최종 부피가 0.4㎖/웰(신선한 무혈청 DMEM)이 되게, 세포에 첨가하고(이것을 3벌 제조), 추가로 24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이 섬유아세포-조절된 배지를 바로 분석하거나, 나중에 분석할 경우에는 액체 질소에서 급속동결시키고 -70℃에서 저장하였다. 이어서 세포수를 세고, 돗트-블롯(dot-blot) 분석으로부터 얻은 데이타를 세포수에 대해 표준화시켰다.
피부 섬유아세포-조절된 배지중 제 I 형 프로콜라겐 및 데코린 단백질의 돗트-블롯 분석
비히클(대조물질) 또는 시약으로 처리된 피부 섬유아세포-조절된 배지 샘플 을 20mM 디티오트레이톨(200mM 원액을 1:10으로 희석한 것) 및 0.1% 소듐 도데실설페이트(10% 원액을 1:100으로 희석한 것)로 보충하고, 잘 혼합한 후, 75℃에서 2분 동안 배양하였다. 175㎠ 플라스크에 10000 세포/㎠으로 접종된 섬유아세포로 조절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무혈청 DMEM에서 유지된, 순수 섬유아세포-조절된 배지를 계열 희석함(serial dilution)으로써 분석 기준을 마련하였다.
분석 샘플을, 바이오-라드(Bio-Rad)의 96-웰 바이도-도트 장치(Bio-Dot Apparatus)를 제품설명서에 제시된 대로 사용하여, 미리 습윤된 이모빌론-P(Immobilon-P) 전사막(transfer membrane) 시트에 도포하였다(이것을 3벌 제조). 웰 하나당 배지 약 200㎕를 도포하였다. 이 배지를, 중력이 있는 상태에서 막을 통해 여과한 후(30분), 막을 PBS(200㎕)로 2번 세척하였다. PBS 세척물을 중력이 있는 상태에서 막을 통해 여과하였다(15분씩 2번). 이어서 바이오-도트 장치를 진공 매니폴드에 부착하고, 세번째로 및 최종적으로 PBS로 흡입 세척하였다.
이 장치를 떼어내고, 막을 회수하여 재빨리 원하는 대로 절단한 후, 4℃에서 블로킹 완충액(blocking buffer)에서 밤새 놓아두었다. 데코린 분석용 막을 PBS중 3%(w/v) BSA/0.1%(v/v) 트윈 20(Tween 20)으로 블로킹하는 반면, 제 I 형 프로콜라겐 분석용 막은 PBS중 5%(w/v) 탈지분유/0.5% 트윈 20으로 블로킹하였다.
그 다음날, 실온에서 2시간동안 인간 제 I 형 프로콜라겐에 대한 1차 항체(MAB1912; 래트 단클론성; 미국 캘리포니아주 테메큘라 소재의 케미콘 인터네셔날 인코포레이티드(Chemicon Int. Inc.)) 또는 인간 데코린에 대한 1차 항체(래빗 다클론성; 바이오제네시스(Biogenesis))를 1:10000으로 희석한 것으로 막을 검사하였다. 이어서 막을 TBS/0.05% 트윈 20(5분씩 3번)으로 세척하고 실온에서 1시간동안125I-결합된 항-래트 또는 항-래빗 F(ab')2 절편(아머샴(Amersham))을 1:1000으로 희석한 것과 함께 배양하였다. 이어서 이모빌론 스트립을 다시 TBS/트윈 20(5분씩 3번)으로 세척한 후, 실온에서 공기중에서 건조시켰다.
건조된 막을 셀로판으로 감싸고 몰레귤라 다이나믹스(Molecular Dynamics) 저장용 포스포르 스크린(storage phosphor screen)에 16 내지 18시간 동안 노출시켰다. 노출이 끝나면, 노출된 스크린을 이미지콴트(ImageQuant, 등록상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포스포르이미저(phosphorimager)(몰레큘라 다이나믹스 포스포르이미저 SF)로 감시하였다. 이미지콴트의 정량화 도구를 사용하여 컴퓨터 이미지 분석법으로 도트 세기를 평가하고, 세포수에 대해 표준화하고, 데코린과 제 I 형 프로콜라겐 합성에 대한 다양한 시약의 효과를, 비히클-처리된 대조물질의 값인 100과 비교하여 결정하였다.
아래 표 1은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제 I 형 프로콜라겐과 데코린의 합성에 대한 크로몰라에나 오도라타 추출물의 효과를 보여주는데, 여기서 표시된 양은 도포량이다. 결과를 표준화하기 위해, 비히클-처리된 대조물질의 값인 100과 비교하여 시험물질의 효과를 결정하였다. 비교를 위해, 레틴산에 대해서도 인간 피부섬유아세포에서의 데코린 합성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시험을 수행하였다. 이 시험에서 사용된 시약의 농도는 세포 활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샴 위드 잎을 물에서 30분동안 끓여 얻은 수성 추출물을 농축시킴으로써 크로몰라에나 오도라타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 추출물 0.1 내지 1㎍/㎖을 사용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4% 산소를 함유하는 시험관내 섬유아세포 모델을 대상으로 시험하였다.
이 모델을 대상으로 제 I 형 프로콜라겐 및 데코린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처리 제 I 형 프로콜라겐 데코린
대조물질 100 100
크로몰라에나 오도라타 추출물
0.01㎍/㎖ - 172
0.1㎍/㎖ 113 180
1.0㎍/㎖ 116 182
이 결과는 추출물이 비교적 낮은 수준(예를 들면 0.01㎍/㎖)일 때에도 모델의 데코린 합성이 상당히 향상됨을 보여준다. 대조물질과는 대조적으로, 제 I 형 프로콜라겐 합성에 대해서도 작지만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레틴산(1㎛)을 사용하여 1.0㎍/㎖의 샘플에 대해서도 시험해 보았는데, 결과는 비히클-처리된 대조물질의 값인 100과 비교해볼 때, 데코린 합성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138±14.0)(P=0.035, n=4). 이러한 사실은,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에서의 데코린 합성 증가 효과가, 레틴산에 의해서보다는 크로몰라에나 오도라타 추출물에 의해서 더 크게 나타난다는 것을 추가로 입증하는 것이다.
실시예 2
섬유아세포 PGE2 분석
다음 실시예는 크로몰라에나 오도라타 추출물이 시험관내 섬유아세포에 의해 분비되는 프로스타글란딘 E2(PGE2)의 기초수준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2차 계대배양된(P2) 1차성 인간 포피 섬유아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10000 세포/웰로 접종하고, 10% 소 태아 혈청이 보충된 듈베코-변형 이글 배지(DMEM)에서 5% 이산화탄소로 이루어진 대기중에서 24시간동안 두었다. 크로몰라에나 오도라타 추출물을 에탄올에 용해시킨 것을 신선한 세포 배지에 첨가하고(최종농도는 DMEM중 1% EtOH, 10% 소 태아 혈청으로 보충됨), 웰에 들어있는 세포에 첨가하고(이것을 3벌 제조), 추가로 24시간 동안 배양시켰다. 포르발 미리스테이트 아세테이트(PMA)(시그마(Sigma))를 배지에 첨가하고 세포를 추가로 24시간 동안 배양시켰다. PMA는 세포에서의 산화적 스트레스 및 염증반응을 유도하는 스트레서로서 작용한다. 이어서 섬유아세포/배지를 후술된 바와 같이 바로 분석하거나, 나중에 분석할 경우에는 액체 질소에서 급속동결시키고 -70℃에서 저장하였다.
프로스타글란딘 E2(PGE2) 분석
배양 플레이트를 살살 흔든 후, PGE2 분석을 위해 배지 50㎕를 채취하였다. 바이오트락(Biotrak) PGE2 면역분석 키트(영국 아머샴)를 사용하여 배지중 PGE2 수준을 결정하였다. 이 분석법은 특정량의 고정된 PGE2 특이 항체에 대해, 샘플 내의 표지되지 않은 PGE2와 특정량의 고추냉이 과산화효소로 표지된 PGE2간의 경쟁을기본으로 하는 방법이다. 표지되지 않은 샘플 PGE2의 농도를, 동시에 얻어진 표준 곡선에 따라 결정한다.
분비된 PGE2의 기초수준을 감소시키는 화합물의 능력을 측정하고 이것을 대조물질과 비교함으로써 시험 화합물의 항-염증 역가를 평가하였다. 이렇게 얻은 결과를 아래 표 2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크로몰라에나 오도라타 추출물로 처리되고 PMA로 자극된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의 PGE2 수준
대조물질 PMA+EtOH 1㎍/㎖ 100ng/㎖ 10ng/㎖ 1ng/㎖ 0.1ng/㎖
PGE2 446.85 12236.16 1459.69 5190.54 6584.53 5673.89 4016.008
±117.80 ±1692.51 ±337.33 ±720.27 ±1118.06 ±789.19 ±1186.28
억제율% 87.93 56.28 44.46 52.18 66.25
PGE2는 잘 공지된 피부 염증 중개자이다(그리브스(Greaves) 등의 문헌["Prostagludus, leukotriemes, phospholipase, platelet actuating factor and cytokines: an integrated approach to inflammation of human skin", Arch. Dermatol. Res. (1988) 280[supp]: 533-541]을 참조). 상기 결과를 보면, 크로몰라에나 오도라타 추출물로 처리된 섬유아세포는 향-염증성 프로스타글란딘 PFE2를 덜 생성시킴으로써 피부의 염증 가능성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장기 배양-글루타민전이효소 방법
<시험에 사용된 물질>
데톨(Dettol)(영국 헐 소재의 렉키트 앤드 콜만(Reckitt & Coleman)), 글루타맥스-함유 DMEM(듈베코-변형 이글 배지), ABAM(항생/항진균성 X100) 용액(페니실린 G 50000 단위, 스트렙토마이신 설페이트 5000㎍ 및 암포테리신 B 125㎍/5㎖)(영국 파이슬리 소재의 지브코 BRL(Gibco BRL)), 히드로코르티손-21-헤미숙시네이트(나트륨염)(영국 풀 소재의 시그마 캄파니(Sigma Co.)), 35×10㎜ 페트리 접시(영국 러프버러 소재의 피셔 사이언티픽(Fisher Scientific)이 배급하는 눈클론(Nunclon)), 소형 마르브룩(Marbrook) 플라스틱 삼발이(영국 씨 에이 헨들리 리미티드(C.A.Hendley Ltd) 배급), 니볼트(Nybolt) 나일론 메쉬(영국 존 스타니아 리미티드(John Staniar Ltd)), 멸균 일회용 4㎜ 생검 펀치(영국 버킹엄셔 소재의 스테이펠 랩스 리미티드(Steifel Labs Ltd))
바이오티닐레이티드 모노댄실카다베린(Biotinylated monodansylcadaverine), 알렉사 플루오르(Alexa Fluor) 488 스트렙타비딘, 프롤롱(Prolong) 안티페이드 용액(antifade solution)(영국 캠브리지 바이오사이언스(Cambridge Bioscience)가 배급하는 몰레큘라 프로브스(Molecular Probes)), 소 알부민(BSA), 염화칼슘 CaCl2, 트리스히드록시메틸 아미노메탄(TRIZMA 베이스),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 요오드화프로피듐(영국 풀 소재의 시그마 캄파니), 염산(HCl)(영국 도싯 풀 소재의 머크(Merck)).
<장기 배양법>
돼지 등 피부로부터 피하지방과 근육을 조심스럽게 제거하여 두께가 3 내지 4㎜인 피부 샘플을 얻었다. 털을 깎아내고, 피부를 물로 세척하여 임의의 잔류 혈액 또는 오물을 제거하였다. 이 피부 샘플을 7㎝×7㎝ 정사각형이 되게 절단하고,실온에서 5% 데톨(멸균)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어서 이것을 ABAM-함유 DMEM(5㎖/500㎖ 배지)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히드로코르티손 21-헤미숙시네이트(100㎍/㎖, 멸균 여과)를 DMEM + ABAM에 첨가하였다. 배지(DMEM/ABAM/히드로코르티손) 3㎖가 오목 메니스커스(negative meniscus) 형태로 놓인 페트리 접시 위에 삼발이와 메쉬를 설치하였다. 피부를 펀치로 생검하고, 이것을 처리전에 메쉬 위에 올려놓은 후(접시 하나당 4개씩) 370℃에서 5% 이산화탄소에서 24시간 동안 배양시켰다. 배지를 매일 교체하였다.
<동일반응계에서의 글루타민전이효소 방법>
0.013M HCl중 10mM 바이오티닐레이티드 모노댄실카다베린 원액을 -200℃에서 저장하였다. 이 원액으로부터 기본 완충액을 제조하였다: 0.1mM 바이오티닐레이티드 모노댄실카다베린, 100mM 트리스(Tris) HCl중 5mM CaCl2. 5mM CaCl2를 200mM EDTA로 교체한 것을 양성 대조물질로서 사용하였다.
돼지 피부 생검체를 액체 질소에서 급속동결하고 -200℃에서 저장하였다. 절편을 잘라내고(두께가 5 내지 8μ, 브라이츠(Brights) 저온조) 실온에서 10분 동안 공기 건조시켰다. 이 절편을, pH가 8.4인 0.1M 트리스/HCl중 1% BSA와 함께 실온에서 30분 동안 배양한 후, 실온에서 기본 완충액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슬라이드를 PBS중 25mM EDTA로 5분 동안 세척하여 반응을 중단시킨 후, PBS로 2번 세척하였다. 이어서 슬라이드를 실온에서 30분 동안 알렉사 플루오르 488 스트렙타비딘(1:250)에서 배양한 후, 전술한 바와 같이 PBS로 세척하였다. 이 슬라이드를 10㎍/㎖ 요오드화프로피듐으로 10초 동안 대비염색한 후, 물로 세척하고 프롤롱안티페이드 용액에 담가놓았다. 현미경(영국 버킹엄셔 밀턴케인스 라이츠 플로에모팍 필터 블록 L3, 라이츠 DMRB(Leitz DMRB), 라이카(Leica))을 사용하여 이 절편을 관찰하고, 이미지 그래버(Image Grabber) PC 소프트웨어(영국 햄프셔 이스트레이쓰 소재의 네오테크 리미티드(Neotech Ltd.))를 사용하여 이미지화하였다.
돼지 장기 배양물을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농도의 크로몰라에나 오도라타 추출물로 48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돼지 장기 생검체중 저온처리된 절편의 글루타민전이효소 활성을 전술한 바와 같이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아래 표 3에 제시하였다.
48시간 후 돼지 장기 배양물의 글루타민전이효소 활성에 대한 크로몰라에나 오도라타의 효과
처리 대조물질에 대한 상대적인 값
대조물질 100
크로몰라에나 오도라타 추출물 10㎍/㎖ 150
50㎍/㎖ 130
표 3의 결과를 보면, 크로몰라에나 오도라타 추출물로 처리된 경우, 돼지 피부에서의 글루타민전이효소 활성이 대조물질에 비해 훨씬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돼지 피부와 인간 피부의 유사성을 고려해볼 때, 크로몰라에나 오도라타 추출물은 인간 피부에서의 글루타민전이효소 활성에 대해서도 유사한 효과를 가질 것으로 생각된다.
상기 결과는 크로몰라에나 오도라타 추출물은 내피 분화 및 장애물 형성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효소들을 자극하므로 이 식물 추출물은 피부 상태에도 유익하다는 것을 증명한다.
실시예 5
다음에 기술되는 배합물들은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 및 용도에 적합한 수중유적형 크림이다. %는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중량%
광유 4
크로몰라에나 오도라타 추출물 1.15
브리즈 56(Brij 56)(세틸알콜 POE(10)) 4
알폴 16RD(Alfol 16RD)(세틸알콜) 4
트리에탄올아민 0.75
부탄-1,3-디올 3
잔탄 검 0.3
향료 충분량
부틸화 히드록시 톨루엔 0.01
100이 되게 하는 양
실시예 6
다음에 기술되는 배합물들은 본 발명에 따르는 유화액 크림이다.
전체 화학명 또는 CTFA명 상표명 중량%
크로몰라에나 오도라타 추출물 2.0
이나트륨 EDTA 세퀘스테렌 Na2(Sequesterene Na2) 0.05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비검 울트라(Veegum Ultra) 0.6
메틸 파라벤 메틸 파라벤(Methyl Paraben) 0.15
시메티콘 DC 안티폼 에멀젼(DC Antifoam Emulsion) 0.01
부틸렌 글리콜 1,3 부틸렌 글리콜 1,3(Butylene Glycol 1,3) 3.0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나트로솔 250HHR(Natrosol 250HHR) 0.5
글리세린, USP 글리세린 USP(Glycerine USP) 2.0
잔탄 검 켈트롤 1000(Keltrol 1000) 0.2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99%) 1.2
스테아르산 프리스테렌 4911(Pristerene 4911) 3.0
프로필 파라벤 NF 프로필파라벤 NF(Propylparaben NF) 0.1
글리세릴 히드로스테아레이트 네이춰켐 GMHS(Naturechem GMHS) 1.5
스테아릴 알콜 라네트 18 DEO(Lanette 18 DEO) 1.5
이소스테아릴 팔미테이트 프로타켐 ISP(Protachem ISP) 6.0
C12-15알콜 옥타노에이트 헤테스테르 FAO(Hetester FAO) 3.0
디메티콘 실리콘 플루이드 200(Silicone Fluid 200)(50cts) 1.0
콜레스테롤 NF 콜레스테롤 NF(Cholesterol NF) 0.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Sorbitan Stearate) 1.0
부틸화 히드록시톨루엔 엠바녹스 BHT(Embanox BHT) 0.05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비타민 E 아세테이트(Vitamin E Acetate) 0.1
PEG-100 스테아레이트 미르즈 59(Myrj 59) 2.0
소듐 스테아로일 락틸레이트 파셔닉 SSL(Pationic SSL) 0.5
히드록시카프릴산 히드록시카프릴산(Hydroxycaprylic Acid) 0.1
레티닐 팔미테이트 비타민 A 팔미테이트(Vitamin A Palmitate) 0.06
알파-비사볼올 알파-비사볼올(Alpha-bisabolol) 0.2
물, DI 100이 되게 하는 충분량
실시예 5 및 6의 국소용 조성물은 둘 다, 노화 또는 광노화되어 손상된 피부에 도포되거나 이러한 손상을 방지하거나 지연시키기 위해 젊은 피부에 도포될 경우, 주름진, 노화된, 광손상된 및/또는 자극받은 피부의 외관을 개선시키는 미용효과를 나타낸다. 조성물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가공할 수 있다.

Claims (4)

  1. 유효량의 크로몰라에나 오도라타 추출물을 사용함을 포함하는, 주름진, 늘어진, 노화된 및/또는 광손상된 피부의 치료 또는 예방, 피부중 데코린의 생성 촉진, 피부중 제 I 형 및 제 III 형 글루타민전이효소의 활성 증대, 각질층의 유연성 증대, 피부의 표피탈락 및 표피분화의 개선, 미백, 피지 분비의 조절, 자극받은, 붉어진 및/또는 민감성 피부의 진정, 피부의 결, 매끄러움 및 단단함의 개선, 피부 상태의 전반적인 향상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피부관리효과를 제공하는 화장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크로몰라에나 오도라타 추출물이 수성 추출물인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추출물이 조성물 중량의 0.0001 내지 1%의 수준으로 존재하는 방법.
  4. 주름진, 늘어진, 노화된 및/또는 광손상된 피부의 치료 또는 예방, 피부중 데코린의 생성 촉진, 피부중 제 I 형 및 제 III 형 글루타민전이효소의 활성 증대, 각질층의 유연성 증대, 피부의 표피탈락 및 표피분화의 개선, 미백, 피지 분비의 조절, 자극받은, 붉어진 및/또는 민감성 피부의 진정, 피부의 결, 매끄러움 및 단단함의 개선, 피부 상태의 전반적인 향상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피부관리효과를 제공하는 국소용 화장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크로몰라에나 오도라타 추출물의 용도.
KR10-2003-7006054A 2000-11-02 2001-10-24 크로몰라에나 오도라타를 사용하는 것에 기초한 피부 치료조성물 및 방법 KR200300484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0026828.4A GB0026828D0 (en) 2000-11-02 2000-11-02 Skin treatment composition and method
GB0026828.4 2000-11-02
PCT/EP2001/012387 WO2002036091A1 (en) 2000-11-02 2001-10-24 Skin treatment composition and method based on the use of chromolaena odorat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8451A true KR20030048451A (ko) 2003-06-19

Family

ID=9902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6054A KR20030048451A (ko) 2000-11-02 2001-10-24 크로몰라에나 오도라타를 사용하는 것에 기초한 피부 치료조성물 및 방법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EP (2) EP1367988B1 (ko)
JP (1) JP2004512351A (ko)
KR (1) KR20030048451A (ko)
CN (1) CN1303972C (ko)
AT (1) ATE355049T1 (ko)
AU (2) AU2002221758B2 (ko)
BR (1) BR0115375A (ko)
CA (1) CA2423301A1 (ko)
DE (1) DE60126992T2 (ko)
ES (1) ES2280423T3 (ko)
GB (1) GB0026828D0 (ko)
MX (1) MXPA03003712A (ko)
PL (1) PL362209A1 (ko)
RU (1) RU2283083C2 (ko)
WO (1) WO2002036091A1 (ko)
ZA (1) ZA20030224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07760A1 (de) * 2002-10-08 2004-04-14 Cognis France S.A. Verfahren zum Schutz der Haut gegen Alterung
ES2283212B1 (es) 2006-03-31 2008-08-16 Lipotec S.A. Peptidos sinteticos utiles en el tratamiento de la piel y su uso en composiciones cosmeticas o dermofarmaceuticas.
RU2748437C2 (ru) * 2019-10-28 2021-05-25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науки Институт цитологии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ИНЦ РАН) Производное гидрокортизона в качестве средства для лечения болезни Альцгеймер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918023D0 (en) * 1999-07-30 1999-09-29 Unilever Plc Skin care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2221758B2 (en) 2005-10-13
EP1656929A1 (en) 2006-05-17
EP1367988A1 (en) 2003-12-10
GB0026828D0 (en) 2000-12-20
ES2280423T3 (es) 2007-09-16
RU2283083C2 (ru) 2006-09-10
CA2423301A1 (en) 2002-05-10
MXPA03003712A (es) 2003-08-07
CN1630507A (zh) 2005-06-22
PL362209A1 (en) 2004-10-18
BR0115375A (pt) 2003-09-02
DE60126992D1 (de) 2007-04-12
ATE355049T1 (de) 2006-03-15
DE60126992T2 (de) 2007-06-28
EP1367988B1 (en) 2007-02-28
CN1303972C (zh) 2007-03-14
WO2002036091A1 (en) 2002-05-10
AU2175802A (en) 2002-05-15
ZA200302244B (en) 2004-03-23
JP2004512351A (ja) 2004-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27142B (en) Skin care composition
KR100729315B1 (ko) 피부 관리 조성물
CA2322233C (en) Cosmetic method of treating skin
KR100847609B1 (ko) 피부를 치료하는 화장 방법
EP1200058B1 (en) Skin care composition containing petroselinic acid
US6042841A (en) Cosmetic method of treating skin
US20030039672A1 (en) Cosmetic composition and method of treating skin
AU2002324040A1 (en) Cosmetic composition and method of treating skin
AU2002220694B2 (en) Cosmetic method of treating skin
KR20030048451A (ko) 크로몰라에나 오도라타를 사용하는 것에 기초한 피부 치료조성물 및 방법
AU2002221758A1 (en) Skin treatment composition and method based on the use of chromolaena odorata
US20030099677A1 (en) Cosmetic composition and method of treating skin
AU2002324039A1 (en) Cosmetic composition and method of treating skin
MXPA00008982A (en) Cosmetic method of treating sk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