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6868A - 유기막 제거용 시너 - Google Patents

유기막 제거용 시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6868A
KR20030046868A KR1020010077167A KR20010077167A KR20030046868A KR 20030046868 A KR20030046868 A KR 20030046868A KR 1020010077167 A KR1020010077167 A KR 1020010077167A KR 20010077167 A KR20010077167 A KR 20010077167A KR 20030046868 A KR20030046868 A KR 20030046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ner
organic film
acetate
linearity
organic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7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홍
최호성
김태근
여상혁
박해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덕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덕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덕성
Priority to KR1020010077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46868A/ko
Publication of KR20030046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686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16Coating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G03F7/168Finishing the coated layer, e.g. drying, baking, soak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C09D11/03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characterised by the solven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63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for applying an electric field parallel to the substrate, i.e. in-plane switching [IP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39Macromolecular compounds which are photodegradable, e.g. positive electron resists
    • G03F7/0392Macromolecular compounds which are photodegradable, e.g. positive electron resists the macromolecular compound being present in a chemically amplified positive photoresist composition
    • G03F7/0397Macromolecular compounds which are photodegradable, e.g. positive electron resists the macromolecular compound being present in a chemically amplified positive photoresist composition the macromolecular compound having an alicyclic moiety in a side chai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6Processing photosensitive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G03F7/30Imagewise removal using liquid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05After-treatment
    • H01L21/311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 H01L21/31127Etching organic layers
    • H01L21/31133Etching organic layers by chemical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ome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leaning Or Drying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패널, 플라즈마표시패널, 반도체 등의 소자 및 부품의 제조공정 중에서 기판표면에 형성된 불필요한 영역의 유기막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시너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시너는 2-부톡시에틸아세테이트, 2-(2-부톡시에톡시)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시너는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프로피오네이트,노말부틸아세테이트, 메틸메톡시프로피오네이트, 에틸-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 2-헵탄온, 2-(2-에톡시에톡시)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공용제를 10 내지 90 중량%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적당하며, 본 발명에 따른 시너는 경화 또는 경화되지 않은 불필요한 유기막을 용해/제거시키는 작용에 있어 저독성, 우수한 용해성, 유기막 경계면의 높은 선형도(linearity)와 적당한 건조성 등의 유용성을 갖는다.

Description

유기막 제거용 시너{THINNER FOR RINSING ORGANIC LAYER}
본 발명은 액정표시패널 등의 전자소자 및 전자 부품의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유기막, 특히 BCB(3-stagged-divynyl siloxane-benzocyclobutene) 유기막에 대한 용해특성이 우수한 시너(thinner)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시너는 2-부톡시에틸아세테이트, 2-(2-부톡시에톡시)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시너는 우수한 용해성,저독성, 우수한 선형도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직접회로 또는 플랫판넬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 FPD) 회로는 극히 미세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많은 단계의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이중 리소그래피패터닝기술(lithography patterning technology)은 액정표시패널, 플라즈마표시패널 등의 각종 전자소자나 전자부품의 제조에 있어서 잘 알려진 방법이다. 이 방법은 먼저, 기판의 표면에 수지조성물층 균일하게 도포시키고, 소정의 공정을 통해 얻고자 하는 유기막을 형성시킨다. 상기 수지조성물의 도포과정에서는 다음 공정에 필요한 영역뿐 아니라, 기판의 가장자리 부위 등 불필요한 부분에도 유기막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유기막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유기막 제거용 시너의 성능을 결정짓는 요소로는 다음과 같은 용해성, 유기막 제거 경계면의 선형도 등이 있다. 상기 선형도는(linearity)는 상기 용해성 등의 시너 성능 모두와 관련되는 요소로, 용해도, 휘발성 등이 적절히 조화되어야 깨끗한 경계면의 선형도를 얻을 수 있다. 그러므로 선형도는 유기막 제거용 시너의 성능을 판단하는 가장 큰 요소라 할 수 있다.
BCB 유기막은 일반 액정표시패널, 플라즈마표시패널 등의 전자소자 및 전자부품의 제조공정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감광성수지조성물를 위한 제거용제(예: n-메틸피로리돈, 시클로헥사논(cyclohexanone), 메틸-3-메톡시프로피오네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프로필렌글리킬모노메틸에테르, 에틸락테이트,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디메틸술폭사이드 등)로는 쉽게 제거되지 않으므로, 유기막에 감광성수지용 시너를 사용할 경우에는 이 시너의 용해력이 충분하지 못하고 잔류막이 남게 되어 사용하기 곤란하다.
또한 현재 사용되고 있는 BCB 유기막 제거용 크실렌(xylene)계 시너(xylene 90% 이상)는 불임 등의 생식계통 이상을 일으킬 뿐 만 아니라 발암성이 의심되고 있어, 작업자가 사용을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감광성 수지 제거용 시너 및 유기막 제거용 크실렌계 시너에서 제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저독성이면서도 유기막 제거공정에서 사용하기에 충분한 용해특성을 갖고, 유기막의 제거 경계면에서 깨끗한 선형도를 나타내는 유기막 제거용 시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유기막 조성물인 XU71918.30이 도포/건조된 산화실리콘 웨이퍼 시편을 본 발명에 따른 시너(EBA)에 침전시킨 후, 선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촬영한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도 2는 유기막 조성물인 XU71918.30이 도포/건조된 산화실리콘 웨이퍼 시편을 비교예인 시너(n-BA)에 침전시킨 후, 선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촬영한 광학현미경 사진으로, 잔유물이 남아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기막 제거용 시너는 2-부톡시에틸아세테이트(2-butoxyethyl acetate), 2-(2-부톡시에톡시)에틸아세테이트(2-(2-butoxy ethoxy)ethyl acetate),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필요에 따라서 상기 시너는 하나 이상의 공용제를 10 내지 90 중량%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공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프로피오네이트(propylene glycol monomethylether propionate), 노말부틸아세테이트(n-butyl acetate), 메틸메톡시프로피오네이트(methyl methoxy propiomate), 에틸-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 (ethyl-3-ethoxypropionate), 2-헵탄온(2-heptanone), 2-(2-에톡시에톡시)에틸 아세테이트(2-(2-ethoxyethoxy)ethyl acetate),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적당하다.
또한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공용제로는 요구되는 물성에 만족된다면 어떤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발명에 따른 시너는 유기막에 대한 용해성이 우수하고 저독성임과 아울러, 경계면에 대하여 깨끗한 선형도를 나타내므로 단시간 내에 유기막의 불필요한 부분을 매우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만족스러운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기막 제거용 시너는 다음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실시예 1] 유기막 제거용 시너의 제조
시너를 그 조성비를 다르게 하여 시너 1 내지 7과 비교예 1 내지 3을 제조하였고, 그 구체적인 조성을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인 시너는 노말부틸아세테이트(비교예 1)와, 2-헵탄온 및 에틸-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비교예 2),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및 노말부틸아세테이트(비교예 3)를 각각 50:5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본 발명의 시너들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을 행하였다.
[표 1]각 시너 및 비교예의 시너의 제조(단위: 중량%)
구 분 각 시너의 조성비
시 너 1 EBA = 100
˝ 2 BDGA = 100
˝ 3 EBA:EDGA = 30:70
˝ 4 EBA:n-BA = 30:70
˝ 5 BDGA:PMP = 10:90
˝ 6 EBA:PMP = 10:90
˝ 7 EBA:PMP = 30:70
비교예 1 n-BA = 100
˝ 2 MAKN:EEP = 50:50
˝ 3 PGMEA:n-BA = 50:50
여기서,EBA : 2-부톡시에틸아세테이트BDGA : 2-(2-부톡시에톡시)에틸아세테이트EDGA : 에톡시에톡시에틸아세테이트n-BA : 노말부틸아세테이트PMP :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프로피오네이트MAKN : 2-헵탄온EEP : 에틸-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PGMEA :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실시예 2] 용해도 테스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표 1>의 시너 1 내지 7과 비교예 1 내지 3에 대하여 용해도를 테스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시편을 준비한다.
먼저, 유기막 조성물로는 XU71918.30(Dow社 제품)을 사용하여, 산화 실리콘웨이퍼에 도포하고, 80℃에서 3분간 소프트 베이크(soft bake)한 후 약 1.5㎛ 두께의 유기막을 형성시켰다. 다음으로 상기 유기막이 형성된 실리콘 웨이퍼를 가로 1cm ×세로 1.5cm 정도의 시편으로 자르고, 실온에서 상기 <표 1>의 각 시너 용액에 상기 시편을 50% 정도 침적(유기막이 제거된 부분과 제거되지 않은 부분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편을 반만 침적시킴)시켜 유기막이 완전 제거되는 시간을 측정하고, 그 결과인 용해도를 아래 <표 2>에 나타냈다.
[실시예 3] 선형도 검사
상기 [실시예 2]에서와 같이 유기막이 제거된 시편에 대하여 그 경계면의 선형도를 광학현미경으로 검사하여 그 결과를 A(우수), B(보통, 잔류물 남음) 2등급으로 나누어 기록하고 결과를 역시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유기막에 대한 본 발명의 각 시너 및 비교예의 용해도 및 선형도 평가
구 분 용해도 선형도
실시예 1 A A
˝ 2 A A
˝ 3 A B
˝ 4 A A
˝ 5 B A
˝ 6 B A
˝ 7 A A
비교예 1 C B
˝ 2 C B
˝ 3 C B
여기서,먼저용해도와 관련하여A: 제거속도가 빠름B: 보통C: 현저히 느린 제거속도 및/또는 불완전 용해다음으로선형도와 관련하여A: 처리단면이 깨끗함(선형도 높음)B: 잔유물이 남음(선형도 보통)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유기막 제거용 시너는 용해도 및 선형도에 대한 각 실험 및 그 결과를 나타낸 <표 2>에서와 같이, 비교예들에 비하여 상기 용해도 및 선형도 특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비록 개별적인 성능에서는 비교예와 유사하거나 다소 떨어지더라도 종합적으로는 양호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너의 유기막 제거 경계면의 선형도는 용해도와도 관련되는 요소이므로, 선형도 정도에 대한 도 1 및 도 2의 광학현미경 사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들에 비하여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즉,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EBA 시너(<표 1>의 시너 1)에 대한 상기 시편의 사진에서는 선형도가 우수한데 비하여, 도 2의 비교예인 n-BA 시너(<표 1>의 비교예 1)에 대한 시편의 사진에서는 잔유물이 남아있다. 첨부된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시너 외에도 다른 각 시너에서도 유사한 선형도를 나타내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기막 제거용 시너는 기판표면으로부터의 부분적 유기막 제거에 대한 성능지표인 용해성이 우수하여 단시간 내에 유기막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고, 유기막의 제거 경계면에서 깨끗한 선형도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불쾌한 냄새가 거의 없고 저독성이어서 매우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Claims (2)

  1. 액정표시패널, 플라즈마표시패널, 반도체 등의 유기막 제거용 시너에 있어서,
    2-부톡시에틸아세테이트, 2-(2-부톡시에톡시)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막 제거용 시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너는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프로피오네이트, 노말부틸아세테이트, 메틸메톡시프로피오네이트, 에틸-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 2-헵탄온, 2-(2-에톡시에톡시)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공용제를 10 내지 90 중량%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막 제거용 시너.
KR1020010077167A 2001-12-07 2001-12-07 유기막 제거용 시너 KR200300468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7167A KR20030046868A (ko) 2001-12-07 2001-12-07 유기막 제거용 시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7167A KR20030046868A (ko) 2001-12-07 2001-12-07 유기막 제거용 시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6868A true KR20030046868A (ko) 2003-06-18

Family

ID=29573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7167A KR20030046868A (ko) 2001-12-07 2001-12-07 유기막 제거용 시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4686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83727A (ja) * 2010-09-17 2012-04-26 Fujifilm Corp パターン形成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8976A (en) * 1980-10-27 1982-03-0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High gel rigidity, negative electron beam resists
JPS5988829A (ja) * 1982-11-12 1984-05-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フオトレジストの除去方法
JPH06212193A (ja) * 1992-12-21 1994-08-02 Nitto Chem Ind Co Ltd レジスト剥離剤除去用洗浄剤
US5630904A (en) * 1994-03-28 1997-05-20 Mitsubishi Gas Chemical Co., Inc. Stripping and cleaning agent for removing dry-etching and photoresist residues from a semiconductor substrate, and a method for forming a line pattern using the stripping and cleaning agent
US6261970B1 (en) * 1998-06-26 2001-07-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Thinner composition and methods and systems for using the thinner composition
KR20030043190A (ko) * 2001-11-27 2003-06-02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레지스트 제거용 신너 조성물
KR20030044517A (ko) * 2001-11-30 2003-06-09 주식회사 덕성 감광성수지 세정용 시너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8976A (en) * 1980-10-27 1982-03-0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High gel rigidity, negative electron beam resists
JPS5988829A (ja) * 1982-11-12 1984-05-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フオトレジストの除去方法
JPH06212193A (ja) * 1992-12-21 1994-08-02 Nitto Chem Ind Co Ltd レジスト剥離剤除去用洗浄剤
US5630904A (en) * 1994-03-28 1997-05-20 Mitsubishi Gas Chemical Co., Inc. Stripping and cleaning agent for removing dry-etching and photoresist residues from a semiconductor substrate, and a method for forming a line pattern using the stripping and cleaning agent
US6261970B1 (en) * 1998-06-26 2001-07-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Thinner composition and methods and systems for using the thinner composition
KR20030043190A (ko) * 2001-11-27 2003-06-02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레지스트 제거용 신너 조성물
KR20030044517A (ko) * 2001-11-30 2003-06-09 주식회사 덕성 감광성수지 세정용 시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83727A (ja) * 2010-09-17 2012-04-26 Fujifilm Corp パターン形成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4912B2 (en) Polymer remover
KR100730521B1 (ko) 포토레지스트용 박리액
TWI334883B (en) Polymer-stripping composition
KR100846057B1 (ko) 포토레지스트용 스트리퍼 조성물
EP2928899B1 (en) Stable metal compounds, their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ir use
EP1264216B1 (en) Method of reducing defects
KR20020012141A (ko) 스트리핑 조성물
KR20030052245A (ko) 씬너 조성물
KR20020010444A (ko) 스트리핑 방법
US6579668B1 (en) Photoresist remover composition
KR100856112B1 (ko)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의 박리 및 세정 조성물
KR20110021189A (ko) 포토레지스트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는 신너 조성물
JP2759462B2 (ja) 水性剥離剤組成物
KR100474098B1 (ko) 감광성수지 세정용 시너 조성물
US5426017A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removing photoresist composition from substrates surfaces
US6511547B1 (en) Dibasic ester stripping composition
US11220659B2 (en) Thinner composition
KR20030046868A (ko) 유기막 제거용 시너
KR102350590B1 (ko) 증발감량이 적은 스핀 온 카본 하드마스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턴화 방법
KR20030044517A (ko) 감광성수지 세정용 시너
KR100733650B1 (ko) 엣지비드 리무버
KR20080076535A (ko) N-메틸아세트아마이드를 포함하는 포토레지스트용 박리액조성물
JPH08123043A (ja) フォトレジスト用剥離液
KR100363272B1 (ko)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표시소자용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하기위한 씬너 조성물
KR20030023204A (ko) 포토레지스트용 스트리퍼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