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6266A - 스트립 사행 방지용 핀치롤 압력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스트립 사행 방지용 핀치롤 압력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6266A
KR20030046266A KR1020010076744A KR20010076744A KR20030046266A KR 20030046266 A KR20030046266 A KR 20030046266A KR 1020010076744 A KR1020010076744 A KR 1020010076744A KR 20010076744 A KR20010076744 A KR 20010076744A KR 20030046266 A KR20030046266 A KR 20030046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ch roll
strip
pressing force
pressure control
re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6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2757B1 (ko
Inventor
김종기
임경남
차종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76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2757B1/ko
Publication of KR20030046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6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2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27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34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51/00Measuring, gauging, indicating, counting, or mar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the production or manipulation of material in accordance with subclasses B21B - B21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핀치롤의 자유측(W/S)과 구동측(D/S)간에 압하편차를 조절하여 압하편차를 최소화시키고 이러한 핀치롤이 스트립을 지지하도록 압입하는 동안에 핀치롤의 자유측(W/S)과 구동측(D/S)간에 발생되는 압하력을 감지 및 조정하여 균형을 유지시킴으로써 스트립이 압하마찰력의 차이에 의해 어느 한쪽으로 밀리면서 사행, 권취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강판이 사행 방지용 핀치롤 압력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핀치롤(103)을 지지하도록 회동실린더(101)에 의해서 회동되는 회동암(102)의 저면에 설치된 핀치롤 지지부(100); 상기 핀치롤 지지부(100)에 의해서 지지된 핀치롤(103)의 압하력을 조절하도록 회동암(102)의 상면에 설치된 압하력 조절부(200); 상기 압하력 조절부(200)에 가해지는 압하력을 감지하도록 그 압하력 조절부(200)의 상면에 설치된 압하력 감지부(300)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스트립 사행 방지용 핀치롤 압력 제어장치{Pinch roll pressure control apparatus for meandering prevention of strip}
본 발명은 스트립 사행 방지용 핀치롤 압력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트립을 코일형으로 권취하는 권취작업 공정에서 스트립을 절단함에 따라서 스트립에 가해지던 장력이 제거되면서 절단기부터 권취기 구간까지의 스트립이 외부적 조건(스트립 사이즈, 스트립 재질, 도금처리와 후처리에 따른 스트립 표면의 상태, CPC와 EPC 작동에 따른 스트립 센터링 유지상태, 스트립 분할작업시의 관련설비 작동 시퀀스 및 운전조건, 핀치롤 압하력과 롤러장치의 압하력 및 이 구간에서의 스트립 센터링 유지상태, 압하롤 크라운 상태 등)들에 영향을 받아 사행된 상태로 권취되는 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트립 절단 작업시 클로우즈(Close) 작동된 핀치롤의 자유측(WS)과 구동측(DS)간에 발생되는 압하력의차이를 감지하여 압하력의 균형이 이루어지도록 조정하여 스트립 선단부와 후단부의 사행현상을 방지 할 수 있는 스트립 사행 방지용 핀치롤 압력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연제품인 스트립은 수요가가 원하는 양만큼 텐션릴(Tension Reel)장치를 이용하여 코일 형태로 권취하고 있으며 이러한 작업을 '권취작업'이라고 한다.
상기 스트립을 권취 할 때에는 코일의 지름이 최대 2.2m에 이르기 때문에 스트립이 옆으로 나오지 않게 감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데 이러한 권취불량을 방지하기 위하여 Edge Position Control(이하 "EPC"라고 칭함)장치를 사용한다.
상기한 권취 작업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립을 코일형태로 권취를 목적으로 작동되는 출측작업공정에서 출측설비는 전기적인 시퀀스에 의해 자동 제어되어 작동한다.
먼저, 스트립의 권취를 완료시키고 이미 준비되어 있는 권취기에 스트립을 권취하기 위해서는 출측라인의 속도가 감속되어 저속으로 운전된다.
이와 같이 출측라인의 속도가 저속 운전 속도까지 감속 완료되면 출측구간 각각의 핀치롤과 스트립의 권취를 완료시키는 쪽의 롤러장치'가 닫혀지게 되어 스트립을 압입하면서 잡아줌으로써 스트립의 원활한 권취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유지된다.
따라서 스트립(S)의 분할지점을 절단기(1)가 절단하면 스트립에 작용되는 장력이 급격히 감소하게 되고 스트립(S)은 외부적 조건들에 미세한 영향에도자유측(W/S) 또는 구동측(D/S)으로 사행되면서 권취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절단기(1)가 스트립(S)의 분할지점을 절단함으로써 스트립 후단부의 권취를 완료시키는 텐션릴과 스트립 선단부의 권취를 시작하기 위한 텐션릴이 동시에 작동되는데 스트립 후단부까지 감아서 권취를 완료시키는 텐션릴을 제 1 텐션릴(2)이라고 정하고 스트립 선단부를 감아서 권취작업을 시작하는 텐션릴을 제 2 텐션릴(2a)이라고 정한다.
상기 권취를 완료시키는 작업에 있어서 발생되는 문제점은 절단기(1)가 스트립(S)을 절단하면 절단된 스트립(S)의 후단부는 느슨해지므로 스트립(S)에 작용되는 장력이 급격히 감소하고 디프렉터롤(3) 직전의 구동측(DS)에서 스트립 에지(Edge)를 감지하고 감지된 데이터에 의해 제 2 텐션릴(2a)이 슬라이딩 레일(4)을 타고 자유측, 구동측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하여 텐션릴에 감기고 있는 스트립이 옆으로 삐져나오지 않고 고르게 권취되도록 하는 장치인 EPC가 작동을 중지한다.
한편, EPC의 작동중지와 함께 제 2 텐션릴(2a)도 슬라이딩 동작이 정지되며 정지된 위치에서 스트립(S)의 후단부를 권취 완료할 때까지 유지한다.
이때 제 2 텐션릴(2a)이 유지하고 있는 위치는 EPC시스템이 중지하여 EPC용 유압실린더(5)가 최종적으로 슬라이딩시켜서 정지된 위치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트립(S)의 후단부는 외부적 조건들에 쉽게 영향을 받아 권취됨으로써 자유측 또는 구동측으로 사행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기한 문제점의 외부적 조건들에 의한 영향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트립(S)의 센터링을 유지시키는 Center Position Control(이하 "CPC"라고 칭함)(6)에 의해 일정한 센터링이 유지되는 스트립은 CPC 조정상태, 스트립 사이즈(Size), 스트립에 걸리는 장력, 설비운전 조건 등에 따라 유지되는 스트립의 센터링 편차는 매우 심하게 나타나며 이러한 스트립을 EPC시스템이 권취기에 고르게 감겨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CPC(6)와 EPC에 의해 제어되는 스트립(S)은 대부분 정확한 센터를 유지하지 못하고 자유측(WS) 또는 구동측(DS)으로 약간 치우친 상태를 유지하며 이러한 상태의 스트립(S)을 절단하기 위해 전기적인 시퀀스에 따라 핀치롤(7)(7a)(7b)과 스트립(S)의 권취를 완료시키는 쪽의 롤러장치(8a)가 닫혀지게 되어 스트립(S)을 압입하면서 잡아주게 된다.
따라서 정확한 센터를 유지하지 못한 스트립(S)이 핀치롤(7)(7a)(7b)과 롤러장치(8)에 의해 압입되는데 여기서 핀치롤(7)(7a)의 자유측과 구동측간에 동일한 압하력으로 스트립(S)을 압입하여도 상기 스트립(S)이 치우친 쪽의 압입마찰력이 높게 발생됨으로써 절단기(1)가 스트립(S)을 절단하면 스트립 후단부는 스트립(S)이 치우친 압입 마찰력이 큰 쪽으로 급격히 사행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한편, 권취를 시작하는 작업에 있어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절단된 스트립 선단부는 EPC용 실린더(5a)에 의해 슬라이딩 레일(4)을 타고 슬라이딩되어 센터(Center)에 정지된 상태로 초기 권취를 준비하고 있는 제 1 텐션릴(2)에 유도되는데 스트립(S)의 초기 권취시 텐션릴에 밀착되어 스트립(S)의 선단부를 제 1 텐션릴(2)에 2바퀴이상 감기게 하여 스트립(S)이 초기 권취 되도록 하는 벨트레퍼(9)에 의해 스트립(S)의 선단부가 초기 권취 완료되면 벨트레퍼(9)가 열려짐과 동시에 중지되어 있던 EPC가 작동되면서 EPC 감지센서(6a)와 그 EPC용 실린더(6a)에 의해 스트립(S)의 에지에 따라 제 1 텐션릴(2)이 슬라이딩되면서 스트립(S)을 고르게 감겨지도록 한다.
한편, 스트립(S)의 선단부는 절단된 후 제 1 텐션릴(2)에 감기기 전까지는 장력이 거의 없거나 미미한 상태로 유지되면서 진행되는데 이러한 스트립(S)의 선단부는 상기와 같은 핀치롤(7)(7a)의 영향을 받음으로써 사행되어 권취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스트립(S)의 후단부와 스트립(S)의 선단부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치롤(7)의 자유측(W/S)과 구동측(D/S)의 압하력이 동일하더라도 압하마찰력이 크게 발생하는 쪽(A')으로 그 폭(W) 만큼 소정 방향(B)으로 사행이 발생된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립(S)이 센터에 위치하더라도 자유측(W/S)과 구동측(D/S)의 압하력에 차이가 발생될 때는 압하력이 큰 쪽(A)으로 압하마찰력이 크게 작용하며 그 폭(W) 만큼 소정 방향(B)으로 사행이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은 핀치롤(7)의 자유측과 구동측 압하력이 차이가 발생하여 압하마찰력이 큰쪽으로 스트립 후단부 또는 선단부가 사행된 상태로 권취되면 운전자가 핀치롤(7)의 자유측과 구동측 실린더(10)(10a) 전단에 설치된 공기압 게이지(11)(11a)를 확인하면서 공기압 조절밸브(12)(12a)를 직접 조작하여 공기압을 조정하고 있다.
그러나 매 코일마다 스트립과 설비운전에서의 외부적 조건들의 변화가 심하기 때문에 스트립의 사행현상도 불규칙적으로 발생함으로써 운전자가 매 코일마다 조정하는데는 한계가 있고 조치시간도 과다하게 소요되며 조정한 후의 실질적인 효과도 미미한 실정이다.
도 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립(S)의 선단부와 후단부가 포장 불가능할 정도로 사행된 상태로 권취가 완료된 코일(C)은 후 공정에서 코일 벤딩 및 테이핑 처리 후 포장공정 작업 시 포장작업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매 코일마다 수정을 해야 하는데 코일(C)은 고 중량물(2~30톤)이며 벤더(13) 및 테이프(14)로 견고히 결속된 상태이므로 벤더(13)를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수정할 때에는 수정부분이 변형됨은 물론 느슨하게 풀려져서 품질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이에 따르는 수작업 공정이 추가되어 생산성이 저하되고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핀치롤의 자유측(W/S)과 구동측(D/S)간에 압하편차를 조절하여 압하편차를 최소화시키고 이러한 핀치롤이 스트립을 지지하도록 압입하는 동안에 핀치롤의 자유측(W/S)과 구동측(D/S)간에 발생되는 압하력을 감지 및 조정하여 균형을 유지시킴으로써 스트립이 압하마찰력의 차이에 의해 어느 한쪽으로 밀리면서 사행, 권취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강판이 사행 방지용 핀치롤 압력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권취설비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의 'A' 부분 평면도.
도 3은 종래의 핀치롤 압력 제어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압력 제어장치에 의해서 스트립의 진행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제어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제어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핀치롤 지지부101 : 회동실린더
102 : 회동암103 : 핀치롤
104 : 제 1 볼트110 : 지지부재
111 : 제 1 가이드레일120 : 베어링블럭
121 : 제 1 가이드바130 : 압하력 전달바
131 : 지지스프링200 : 압하력 조절부
210 : 고정부재211 : 제 2 볼트
212 : 제 2 가이드레일220 : 승강부재
221 : 제 2 가이드바223 : 제 1 랙기어
230 : 구동모터231 : 제 1 피니언 기어
240 : 승강봉241 : 제 2 랙기어
250 : 브레이크 드럼251 : 제 2 피니언 기어
252 : 차동기300 : 압하력 감지부
301 : 브래킷310 : 압하력 감지기
320 : 표시기330 : 압하력 조절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강판의 사행 방지용 핀치롤 압력 제어장치는 핀치롤(103)을 지지하도록 회동실린더(101)에 의해서 회동되는 회동암(102)의 저면에 설치된 핀치롤 지지부(100); 상기 핀치롤 지지부(100)에 의해서 지지된 핀치롤(103)의 압하력을 조절하도록 회동암(102)의 상면에 설치된 압하력 조절부(200); 상기 압하력 조절부(200)에 가해지는 압하력을 감지하도록 그 압하력 조절부(200)의 상면에 설치된 압하력 감지부(300)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제어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제어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핀치롤(103)을 지지하도록 회동실린더(101)에 의해서 회동되는 회동암(102)의 저면에 설치된 핀치롤 지지부(100); 상기 핀치롤 지지부(100)에 의해서 지지된 핀치롤(103)의 압하력을 조절하도록 회동암(102)의 상면에 설치된 압하력 조절부(200); 상기 압하력 조절부(200)에 가해지는 압하력을 감지하도록 그 압하력 조절부(200)의 상면에 설치된 압하력 감지부(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핀치롤 지지부(100)는 스트립(S)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되는 핀치롤(103)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회동암(102)의 저면에 제 1 볼트(104)를매개로 지지부재(110)가 설치되어 있고 그 지지부재(110)의 내측면에는 제 1 가이드레일(11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110)의 내부에는 핀치롤(103)이 끼워진 베어링블럭(120)이 상승/하강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있되, 상기 베어링블럭(120)의 양측면에는 상기 제 1 가이드레일(111)을 따라 이동되는 제 1 가이드바(12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어링블럭(120)의 상면에는 그 베어링블럭(120)과 함께 상승/하강되면서 핀치롤(103)의 압하력을 전달하는 압하력 전달바(130)가 지지스프링(131)을 매개로 탄력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압하력 조절부(200)는 스트립(S)을 가압하는 핀치롤(103)의 가압력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상기 회동암(102)의 상면에 제 2 볼트(211)를 매개로 설치되며 고정부재(210)가 설치되어 있고 그 고정부재(210)의 내부 일측면에는 제 2 가이드레일(21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210)의 내측에는 승강부재(220)가 설치되어 있되, 그 승강부재(220)의 일면에는 제 2 가이드레일(212)을 따라 이동되는 제 2 가이드바(2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승강부재(220)의 타측에는 제 1 랙기어(22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랙기어(223)에는 제 1 피니언 기어(231)가 기어 결합되어 있고 그 제 1 피니언 기어(231)는 고정부재(210)의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230)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승강부재(220)의 내부에는 압하력 전달바(130)에 의해서 상승/하강되는 승강봉(240)이 관통 삽입되어 있고 그 승강봉(240)의 외측 둘레면에는 제 2 랙기어(241)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제 2 랙기어(241)에는 제 2 피니언 기어(251)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 2 피니언 기어(251)는 차동기(252)의 작동에 따라서 고정/장착되는 브레이크 드럼(250)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압하력 감지부(300)는 핀치롤(103)에 가해지는 압하력을 감지하는 것으로서, 승강봉(24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압하력 감지기(310)가 설치되어 있되, 그 압하력 감지기(310)는 고정부재(210)의 일측에 고정된 브래킷(301)을 매개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압하력 감지기(310)에는 감지되는 압하력을 표시하도록 표시기(320)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승강봉(240)과 압하력 감지기(310)의 사이에는 쇄기 형상의 압하력 조절키(330)가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압하력 조절키(330)에는 제 3 랙기어(331)가 형성되어 있고 그 제 3 랙기어(331)에는 키 이동용 모터(340)에 의해서 회전되는 제 3 피니언 기어(341)가 기어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트립(S)을 안내할 때에는 회동실린더(101)가 작동되면 회동암(102)이 회동됨과 동시에 핀치롤(103)이 회동되면서 스트립(S)의 상면을 가압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핀치롤(103)이 스트립(S)의 가압하게 되면 상기 핀치롤(103)의 양단에 설치된 베어링블럭(120)은 지지부재(110)를 따라 상부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에는 제 1 가이드레일(111)에 제 2 가이드바(221)가 안내를 받으면서 이동되는 것이고 상기 베어링블럭(120)이 상승하게 됨에 따라 그 상부에 설치된 압하력 전달바(130)는 지지스프링(131)을 압축하면서 상승하게 된다.
상기 압하력 전달바(130)가 상승하게 됨에 따라 그 상부에 설치된 승강봉(240)이 함께 상승하게 되므로 상기 승강봉(240)의 상측에 설치된 압하력 감지지(310)에는 핀치롤(103)에 가해지는 압하력이 감지되고 그 감지된 압하력은 표시기를 통하여 표시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압하력 감지기(310)에 의해서 감지되는 핀치롤(103) 양측의 압하력 차이를 산출하여 그 산출된 데이터에 따라서 구동모터(230)를 작동시키면 상기 구동모터(230)에 설치된 제 1 피니언 기어(231)가 회전됨에 따라 제 1 랙기어(223)가 형성된 승강부재(220)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므로 상기 핀치롤(103)의 양단에 가해지는 압하력을 조정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핀치롤(103) 양측의 압하력의 편차가 과다할 경우에는 차동기(252)가 작동되어 브레이크 드럼(250)을 고정상태로 유지하게 되므로 상기 브레이크 드럼(250)에 설치된 제 2 피니언 기어(251)의 회전이 방지되므로 그 제 2 피니언 기어(251)에 기어 결합된 제 2 랙기어(241)가 이동되지 않게되어 승강봉(240)이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핀치롤(103)에 의해서 스트립(S)에 가해지는 압하력이 조정되면절단기를 작동시켜 스트립(S)을 절단하는 것이다.
이때 스트립(S)을 가압하는 핀치롤(103)은 스트립(S)을 절단시킨 후 출측의 시퀀스 제어에 의해 회동실린더(101)의 작동에 의해서 상부로 이동되어 대기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핀치롤(103)이 대기중인 상태에서 압하력 조절키(330)를 이동시키면서 핀치롤(103) 양단의 압하력 차이를 보정하는 것이며 이때에는 키 이동용 모터(340)를 구동시켜 그 키 이동용 모터(340)에 설치된 제 3 피니언 기어(341)가 회전됨에 따라서 그 제 3 피니언 기어(341)에 기어 결합된 제 3 랙기어(331)가 형성된 압하력 조절키(330)의 이동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스트립 선단부와 후단부의 사행방지용 핀치롤 압하력의 균형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유지하게 되므로 스트립의 권취불량을 미연에 방지하여 후 공정의 추가 작업이 필요없고 또 수정작업으로 인하여 지연되는 공정을 해소함으로써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핀치롤(103)을 지지하도록 회동실린더(101)에 의해서 회동되는 회동암(102)의 저면에 설치된 핀치롤 지지부(100);
    상기 핀치롤 지지부(100)에 의해서 지지된 핀치롤(103)의 압하력을 조절하도록 회동암(102)의 상면에 설치된 압하력 조절부(200);
    상기 압하력 조절부(200)에 가해지는 압하력을 감지하도록 그 압하력 조절부(200)의 상면에 설치된 압하력 감지부(30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사행 방지용 핀치롤 압력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핀치롤 지지부(100)는 회동암(102)의 저면에 제 1 볼트(104)를 매개로 설치되며 내측면에는 제 1 가이드레일(111)이 형성된 지지부재(110)와,
    상기 지지부재(110)에 형성된 제 1 가이드레일(111)을 따라 이동되는 제 1 가이드바(121)가 양측면에 형성되고 중앙에는 핀치롤(103)의 단부가 결합된 베어링블럭(120)과,
    상기 베어링블럭(120)과 함께 승강되도록 그 베어링블럭(120)의 상면에 지지스프링(131)을 매개로 탄력 설치된 압하력 전달바(13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사행 방지용 핀치롤 압력 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하력 조절부(200)는 회동암(102)의 상면에 제 2 볼트(211)를 매개로 설치되며 내부 일측면에는 제 2 가이드레일(212)이 형성된 고정부재(210)와,
    상기 고정부재(210)에 형성된 제 2 가이드레일(212)을 따라 이동되는 제 2 가이드바(221)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 1 랙기어(223)가 형성된 승강부재(220)와,
    상기 제 1 랙기어(223)에 기어 결합되는 제 1 피니언 기어(231)가 구비되고 고정부재(210)의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230)와,
    상기 압하력 전달바(130)에 의해서 상승/하강 되도록 승강부재(220)의 내부에 관통 삽입되며 외측 둘레면에는 제 2 랙기어(241)가 형성된 승강봉(240)과,
    상기 승강봉(240)에 형성된 제 2 랙기어(241)에 기어 결합되는 제 2 피니언 기어(251)가 결합되고 차동기(252)의 작동에 따라서 고정/장착되는 브레이크 드럼(250)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사행 방지용 핀치롤 압력 제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하력 감지부(300)는 승강봉(24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고정부재(210)의 일측에 고정된 브래킷(301)을 매개로 고정된 압하력 감지기(310)와,
    상기 압하력 감지기(310)에 감지되는 압하력을 표시하도록 압하력 감지기(310)에 연결된 표시기(320)와,
    상기 승강봉(240)과 압하력 감지기(310) 사이에 입/출됨에 따라 간격을 조절하는 쇄기 형상의 압하력 조절키(33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의 사행 방지용 핀치롤 압력 제어장치.
KR1020010076744A 2001-12-05 2001-12-05 스트립 사행 방지용 핀치롤 압력 제어장치 KR100792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744A KR100792757B1 (ko) 2001-12-05 2001-12-05 스트립 사행 방지용 핀치롤 압력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744A KR100792757B1 (ko) 2001-12-05 2001-12-05 스트립 사행 방지용 핀치롤 압력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6266A true KR20030046266A (ko) 2003-06-12
KR100792757B1 KR100792757B1 (ko) 2008-01-11

Family

ID=29573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6744A KR100792757B1 (ko) 2001-12-05 2001-12-05 스트립 사행 방지용 핀치롤 압력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27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864B1 (ko) 2014-12-19 2016-07-22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사행 방지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2757B1 (ko) 2008-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75086A (en) Take-out/take-up tension control apparatus
EP2069088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fwickeln von metallbändern auf einen wickeldorn
EP0427408A2 (en) Continuous winder for web materials
JPH07502721A (ja) 紙ウェブ巻取り装置及び巻取り方法
EP0281790A1 (de) Einrichtung zum kontinuierlichen Auf- oder Abwickeln von Flächengebilden zu bzw. ab einem Wickel
JP4167976B2 (ja) 平坦度測定ローラーを有する薄ストリップ巻上げ機
EP1770038B1 (en) Paper splicing apparatus
JP2010504216A (ja) 巻取りマンドレルで、ストリップを巻き上げる方法及び装置。
RO119411B1 (ro) Dispozitiv de ghidare a unei benzi şi procedeu de ghidare şi menţinere a poziţiei laterale a unei benzi pe o suprafaţă de trecere
US6874723B2 (en) Control method for winding
US3692251A (en) Winding,unwinding and tensioning apparatus
KR100792757B1 (ko) 스트립 사행 방지용 핀치롤 압력 제어장치
KR20020050379A (ko) 코일 권취장치
KR100797879B1 (ko) 권취기의 스트립 유도장치
KR100408694B1 (ko) 권취기의 코일 텔레스코프 방지장치
KR100760568B1 (ko) 스트립의 권취위치 조정장치
KR100466417B1 (ko) 코일결속기 밴드 자동유도장치
US3796390A (en) Winding, unwinding and tensioning apparatus
CN211870844U (zh) 一种窄条分切机收卷自动调节装置
CN217577596U (zh) 一种重卷机组活套设备
JP3033627B2 (ja) 金属条のスリッティング装置
JPH0824944A (ja) 金属板または金属条の巻き取り装置
CN220076757U (zh) 一种无纺布卷包装膜缠绕装置
CN216889343U (zh) 自动卷纸机构
KR20020043031A (ko) 코일형 제품의 외권 단부 개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